KR101794256B1 -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56B1
KR101794256B1 KR1020160058896A KR20160058896A KR101794256B1 KR 101794256 B1 KR101794256 B1 KR 101794256B1 KR 1020160058896 A KR1020160058896 A KR 1020160058896A KR 20160058896 A KR20160058896 A KR 20160058896A KR 101794256 B1 KR101794256 B1 KR 101794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vehicle
loop
cap loo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준
김정재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8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1For commercial vehicles or tractor-trailer combinations, e.g.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5/00Vehicle bodies characterised by streamlining
    • B62D35/005Front spo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2Elements for improving aerodyna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루프와 상기 운전석 루프의 상측으로 돌출된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캡 루프 페어링부를 포함하고, 캡 루프 페어링부는, 운전석 루프와 상기 컨테이너의 사이 위치에서 돌출되며, 표면이 제1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캡 루프와, 제1 캡 루프와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에서 돌출되며 표면이 제1 경사각과 상이한 제2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2 캡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AIR RESISTANCE REDUCTI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공기 저항을 저감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세계 각국은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류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류비를 절감시키기 위하여 기술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유류비 절감의 위한 기술 개발 중에, 운송 분담율이 70%(톤-km 기준) 정도인 화물 자동차의 유류비 감축을 위한 기술 개발은, 개발 비용 대비 수익 효과가 매우 크고 고유가 시대에 대비함과 동시에 온실가스 감축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컨테이너가 설치된 화물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국내의 관련 기술 개발이 초기 단계에 있다.
아울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공기저항 저감장치들은 부착될 차량에 대한 최적화 검증 없이 모양만 흉내 낸 것이 대부분으로 공기저항 저감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전면부에서 발생하는 유동박리 현상(flow separation)을 지연시키고, 와류 생성을 억제시켜 차량의 공기 저장을 감소시켜 유류비를 절감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의 운전석 루프와 상기 운전석 루프의 상측으로 돌출된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캡 루프 페어링부를 포함하고, 캡 루프 페어링부는, 운전석 루프와 상기 컨테이너의 사이 위치에서 돌출되며, 표면이 제1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캡 루프와, 제1 캡 루프와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에서 돌출되며 표면이 제1 경사각과 상이한 제2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2 캡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 루프와 제2 캡 루프는, 운전석 루프와 컨테이너의 사이 위치에서 돌출된 표면의 곡률 반경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루프의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캡루프의 제2 곡률 반경(R2)에서, 제1 곡률 반경이 제2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곡률 반경(R2)의 비는 3:1일 수 있다.
제1 캡 루프와 제2 캡 루프가 접하는 변곡점(A) 위치는, 캡 루프 페어링부의 전체 길이(L)에 대해서 캡 루프 페어링부의 전방의 가장자리로부터 2/3 이격된 부분에 위치되는 길이(L1)를 갖을 수 있다.
변곡점(A) 위치는 제2 캡 루프가 컨테이너에 접하는 부분의 높이(H)의 2/3 높이(H1)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캡 루프에서 운전석 루프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부분의 제1 폭(W1)과 제2 캡 루프에서 컨테이너와 접하는 제2 폭(W2)의 각각은 운전석 루프의 폭과 컨테이너의 폭과 동일 길이일 수 있다.
제2 캡 루프에서 컨테이너와 접하는 측면의 높이는 컨테이너의 전방 가장자리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캡 루프 페어링부의 측면에는 차량의 차체 측면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는, 캡 루프 페어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일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홈과, 캡 루프 페어링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타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의 선단과 제2 가이드 홈의 선단을 연결한 제3 폭(W3)의 길이는 제2 폭(W2)의 1/3일 수 있다.
캡 루프 페어링부의 하부 측면에는 캡 익스텐션부가 돌출될 수 있다.
캡 익스텐션부는, 캡 루프 페어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일측에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돌부와, 캡 루프 페어링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타측에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 가이드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부 또는 제2 가이드 돌부는, 캡 루프 페어링부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캡 루프 페어링부의 표면에는 극소수성 코팅부가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가 설치된 화물 차량의 운전석 루프와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에서 공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전면부에서 발생하는 유동박리 현상(flow separation)을 지연시키고 와류 발생을 저감하여 차량의 연비 향상 및 주행 안정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의 캡 익스텐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의 캡 루프 페어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100)는, 차량의 운전석 루프(11)와 운전석 루프(11)의 상측으로 돌출된 컨테이너(13)의 사이 부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캡 루프 페어링부(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캡 루프 페어링부(10)는 컨테이너가 설치된 화물 차량에서 차량의 주행 중에 컨테이너(13)와 운전석 상부의 운전석 루프(11)의 사이 부분에 형성되는 단차 부분에서 공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캡 루프 페어링부(10)는, 운전석 루프(11)와 컨테이너(13)의 사이 위치에서 돌출되는 제1 캡 루프(12)와, 제1 캡 루프(12)와 컨테이너(13)의 사이 부분에서 돌출되는 제2 캡 루프(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 루프(12)는 일측은 운전석 루프(11)의 전방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측은 컨테이너(13)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캡 루프(12)의 돌출된 표면은 제1 경사각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1 곡률 반경(R1)을 갖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캡 루프(12)가 제1 곡률 반경(R1)을 갖도록 운전석 루프(11)의 상부에 돌출되는 것은,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 캡 루프(12)에는 제2 캡 루프(14)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캡 루프(14)는 제1 캡 루프(12)의 측면에서 연결되어, 제1 캡 루프(12)와 컨테이너(13)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캡 루프(14)의 돌출된 표면은 제2 경사각을 갖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곡률 반경(R2)을 갖도록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캡 루프(14)는 제1 경사각 보다 큰 경사각의 제2 경사각을 갖는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캡 루프(14)는 제1 곡률 반경(R1) 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는 제2 곡률 반경(R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캡 루프 페어링부(10)가 경사각 및 곡률 반경을 달리하면서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곡률 반경(R2)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 차량의 전면부에서 발생되는 유동박리현상(flow separation)을 지연시키고, 난류 운동에너지(turbulent kinetic energy)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캡 루프(12)의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캡 루프(14)의 제2 곡률 반경(R2)의 비는 3:1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곡률 반경과 제2 곡률 반경의 크기의 비가 3:1을 갖도록 형성되는 바, 제1 캡 루프(12)와 제2 캡 루프(14)가 서로간에 접하는 변곡점(A) 부분을 기준으로 제1 캡 루프(12) 및 제2 캡 루프(14)의 표면을 따라 공기의 흐름 변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1 캡 루프(12) 및 제2 캡 루프(14)의 상측에서 난류가 발생되는 것이 억제되는 바, 공기 저항이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곡률 반경(R1)과 제2 곡률 반경(R2)의 비가 3:1로 형성되는 것은, 운전석 루프(11)의 상측에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실험값을 말한다.
또한, 변곡점(A) 위치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전체 길이에 대해서,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전체 길이(L)에 대해서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전방의 가장자리로부터 2/3 부분에 위치되는 길이(L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곡점(A) 위치가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전방 가장자리로부터 2/3 부분에 위치되는 것은, 곡률 변경점인 변곡점(A)를 기준으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여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는 실험값을 말한다.
한편, 제1 캡 루프(12)에서 운전석 루프(11)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부분의 제1 폭(W1)과, 제2 캡 루프(14)에서 컨테이너(13)와 접하는 제2 폭(W2)의 각각은 운전석 루프 폭 및 컨테이너 폭과 동일 길이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폭(W1)과 제2 폭(W2)의 각각이 운전석 루프 폭과 컨테이너 폭의 각각에 동일 길이로 형성되는 것은, 차량의 운전석 상측에서 제1 캡 루프(12)와 제2 캡 루프(14)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이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제2 캡 루프(14)에서 컨테이너(13)와 접하는 부분의 최대 높이는 컨테이너(13)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캡 루프(14)와 컨테이너(13)가 서로간에 접하는 부분에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와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측면에는 유동 가이드부(20)가 마련될 수 있다.
유동 가이드부(20)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일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홈(21)과,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차량의 타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 가이드 홈(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홈(21)은 차량의 일측 방향으로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홈(23)은 차량의 타측 방향으로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홈(21) 및 제2 가이드 홈(23)은, 차량의 일측 및 타측으로 각각 공기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공기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가이드 홈(21)의 선단과 제2 가이드 홈(23)의 선단을 연결한 제3 폭(W3)의 길이는 제2 폭(W2)의 1/3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촉의 길이가 제2 폭의 길이의 1/3로 형성되는 것은,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운전석 루프(11)의 상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100)는, 컨테이너가 설치된 차량의 운전석 루프와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에서 공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연비 향상 및 주행 안정성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의 캡 익스텐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200)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측면에 캡 익스텐션부(110)가 설치된다.
캡 익스텐션부(110)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양측 하부에 마련되어, 차체의 측면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체의 측면에서 추가적인 항력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캡 익스텐션부(110)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 돌부(111)와,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 돌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부(111)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차량의 일측에서 공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 돌부(111)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측면에 돌출되어 차체의 측면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에서 발생되는 항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부(111)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돌부(111)는, 차량의 일측에서 크기를 달리하면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일측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항력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돌부(111)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컨테이너(13)와 접하는 부분에서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가이드 돌부(111)는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차량의 측면 방향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부(113)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 돌부(113)는, 차량의 일측에서 크기를 달리하면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일측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항력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부(113)는 제1 가이드 돌부(111)가 설치된 위치의 대향하는 위치에서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타측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돌부(113)는, 차량의 일측에서 크기를 달리하면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타측에서 흐르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항력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돌부(113)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높이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컨테이너(13)와 접하는 부분에서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돌부(113)는 차량의 전방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바,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차량의 측면 방향을 따라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돌부(111)와 제2 가이드 돌부(113)는, 동일 형상과 동일 크기로 형성되어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제1 가이드 돌부(111)와 제2 가이드 돌부(113)는 설치 위치를 달리하면서 크기 및 형상이 일부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15톤 화물 차량의 모형에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풍동 실험을 실시한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표의 비교예1은, 차량에 캡 루프 페어링부가 미설치된 상태이며, 비교예2는 2차원 형상의 종래 일반적인 페어링부가 설치된 상태이며, 실시예1은, 본 발명의 캡 루프 페어링부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이며, 실시예2는, 캡 루프 페어링부의 측면에 캡 익스텐션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된 상태이다.
공기저항 계수(CD) 공기저항 개선량(%)
1 비교예1 0.712 기준
2 비교예2 0.604 -15.1%
3 실시예1 0.572 -19.5%
4 실시예2 0.568 -20.2%
위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1은 비교예1에 대하여 공기저항 계수가 19.5% 감소하였고, 비교예2에 대해서는 공기저항 계수가 30% 정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1에 해당하는 도 2를 참조하면, 캡 루프 페어링부의 측면의 라운드부에 의해 공기 유동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공기 저항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2는 실시예1에 캡 익스텐션부를 설치한 상태로서, 비교예1에 대해서 공기 저항이 20.2%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2를 확인하면, 유선형의 유동 가이드에 의해 차량의 측면부에서 유동 박리 형상을 제어하여 공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저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는 캡 루프 페어링부와 캡 익스텐션부를 차량의 운전석 루프와 컨테이너의 사이에 설치하여, 3차원 형상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의 캡 루프 페어링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의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표면에는 극소수성 코팅부(211)가 마련된다.
극소수성 코팅부(211)는 캡 루프 페어링부(10)의 표면 전체에 코팅되어, 공기와의 표면 마찰을 더욱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바, 차량의 주행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캡 루프 페어링부 11...운전석 루프
12...제1 캡 루프 13...컨테이너
14...제2 캡 루프 20...유동 가이드부
21...제1 가이드 홈 23...제2 가이드 홈
110..캡 익스텐션부 211...극소수성 코팅부

Claims (15)

  1. 차량의 운전석 루프와 상기 운전석 루프의 상측으로 돌출된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캡 루프 페어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는,
    상기 운전석 루프와 상기 컨테이너의 사이 위치에서 돌출되며, 표면이 제1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1 캡 루프; 및
    상기 제1 캡 루프와 상기 컨테이너의 사이 부분에서 돌출되며, 표면이 상기 제1 경사각과 상이한 제2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 제2 캡 루프;
    를 포함하고,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하부 측면에는 캡 익스텐션부가 돌출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루프와 상기 제2 캡 루프는, 상기 운전석 루프와 상기 컨테이너의 사이 위치에서 돌출된 표면의 곡률 반경이 상이하게 형성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루프의 제1 곡률 반경(R1)과 상기 제2 캡루프의 제2 곡률 반경(R2)에서, 상기 제1 곡률 반경이 상기 제2 곡률 반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 반경(R1)과 상기 제2 곡률 반경(R2)의 비는 3:1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루프와 상기 제2 캡 루프가 접하는 변곡점(A) 위치는,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전체 길이(L)에 대해서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전방의 가장자리로부터 2/3 이격된 부분에 위치되는 길이(L1)를 갖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곡점(A) 위치는 상기 제2 캡 루프가 상기 컨테이너에 접하는 부분의 높이(H)의 2/3 높이(H1)로 형성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 루프에서 상기 운전석 루프의 가장자리에 접하는 부분의 제1 폭(W1)과 상기 제2 캡 루프에서 상기 컨테이너와 접하는 제2 폭(W2)의 각각은 운전석 루프의 폭과 컨테이너의 폭과 동일 길이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 루프에서 상기 컨테이너와 접하는 측면의 높이는 상기 컨테이너의 전방 가장자리의 높이와 동일한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측면에는 상기 차량의 차체 측면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유동 가이드가 형성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가이드는,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일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타측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 가이드 홈;
    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의 선단과 상기 제2 가이드 홈의 선단을 연결한 제3 폭(W3)의 길이는 상기 제2 폭(W2)의 1/3인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익스텐션부는,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일측에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돌부; 및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차량의 타측에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는 제2 가이드 돌부;
    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돌부 또는 상기 제2 가이드 돌부는,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 루프 페어링부의 표면에는 극소수성 코팅부가 코팅되는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KR1020160058896A 2016-05-13 2016-05-13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KR101794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96A KR101794256B1 (ko) 2016-05-13 2016-05-13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896A KR101794256B1 (ko) 2016-05-13 2016-05-13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56B1 true KR101794256B1 (ko) 2017-11-07

Family

ID=60384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896A KR101794256B1 (ko) 2016-05-13 2016-05-13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582A (ko) * 2019-12-13 2021-06-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공력 개선 케이지
CN114889700A (zh) * 2022-05-16 2022-08-12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梁体、顶盖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9673B1 (en) 2004-06-21 2008-03-26 Isuzu Motors Limited Air deflector for a vehicle roof
JP2010149535A (ja) 2008-12-23 2010-07-08 Takagi Seiko Corp 車両用エアデフレクター
JP4883685B2 (ja) 2006-08-30 2012-02-2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導風板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9673B1 (en) 2004-06-21 2008-03-26 Isuzu Motors Limited Air deflector for a vehicle roof
JP4883685B2 (ja) 2006-08-30 2012-02-2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導風板構造
JP2010149535A (ja) 2008-12-23 2010-07-08 Takagi Seiko Corp 車両用エアデフレクタ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5582A (ko) * 2019-12-13 2021-06-23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공력 개선 케이지
KR102343465B1 (ko) * 2019-12-13 2021-12-2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용 공력 개선 케이지
CN114889700A (zh) * 2022-05-16 2022-08-12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梁体、顶盖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178B2 (en) Vehicle and vehicle substructure
US10654532B2 (en) Vehicle body structure
JP6756899B2 (ja) 自動車用空力部品
KR101794256B1 (ko) 차량의 공기 저항 감소 장치
US10933927B2 (en) Airflow deflector for a vehicle
JP5935533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EP3224123B1 (en) Aerodynamic device for reducing the drag of terrestrial vehicles
EP2990310B1 (en) Flow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150073901A (ko) 비대선
JP2008247146A (ja) 車両用インナーフェンダ
US10913501B2 (en) Vehicle understructure
CN103979018B (zh) 前支柱的空气噪音降低构造
EP3272615A1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railroad vehicle
JP6060879B2 (ja) 車両用リヤスポイラー構造
JP2015193372A (ja) 車体下部整流構造
JP5569338B2 (ja) 車両用空力装置
CN208325034U (zh) 汽车雾灯周边结构
KR101934334B1 (ko) 화물차량용 와류 제어장치
CN205113226U (zh) 后保险杠
JP2013244814A (ja) 車両荷台構造
JP2008247144A (ja) 車両の床下構造
CN108528546A (zh) 一种减阻减升的两厢车扰流器及具有该扰流器的两厢车
JP2021008262A (ja) 自動車外装品
CN115891584A (zh) 通风口结构
JP2009154827A (ja) 自動車の空気抵抗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