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380B1 -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 Google Patents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380B1
KR101793380B1 KR1020160081084A KR20160081084A KR101793380B1 KR 101793380 B1 KR101793380 B1 KR 101793380B1 KR 1020160081084 A KR1020160081084 A KR 1020160081084A KR 20160081084 A KR20160081084 A KR 20160081084A KR 101793380 B1 KR101793380 B1 KR 10179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lter
retina
filter adap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용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1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380B1/ko
Priority to PCT/KR2016/011549 priority patent/WO201800407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07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0023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by functional association of additional optical elements, e.g. filters, gratings,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필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기능의 역할이 가능한 교환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 수용부 및 망막 검사용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 장착부를 통해서, 삽입되는 교환 필터에 종류에 따라 상기 망막 검사용 렌즈 기능이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필터가 렌즈상의 코팅된 망막 검사용 렌즈의 구매에 따른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광범위한 망막의 촬영 등의 기능이 향상된 망막 검사용 렌즈의 제공이 가능한바, 망막을 보다 효과적으로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체결끈부를 통해서,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등과 연결하여 고가의 안저 촬영 카메라와 같은 해상도의 망막 영상의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Lens filter adapter for improving fundus examination efficiency}
본 발명은 렌즈 필터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망막 검사용 렌즈 또는 콘택트렌즈의 기능의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에 망막 검사용 렌즈 또는 콘택트렌즈를 장착하고, 교환이 가능한 필터를 삽입함으로서, 다양한 안구 및 안저 검사에 적용이 가능한 렌즈 필터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
안저 검사는 맥락막, 망막, 시신경 유두부, 망막 혈관상의 병리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안과에서 일상적으로 시행되는 검사로서, 현재 안과 외래진료실에서 기본적인 안과적 검사는 세극등을 이용한 안구전반부 검사와 검안경을 이용한 안저 검사가 있다.
한편, 세극등 현미경은, 거의 투명한 눈 조직에 대하여 세로로 길고 가는 빛을 조사하여, 눈의 광학적 절단면을 관찰함으로서, 눈의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로,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면, 조사되는 빛의 폭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여 눈꺼풀, 결막, 각막, 전방, 수정체, 유리체 등을 검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속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안저까지 검사가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부속장치를 통하여 안저를 검사할 경우에는 안구 내 망막으로 광을 조사하여 조사되는 광량의 위치에 따라서, 망막의 검안이 가능하기 때문에 세극등의 좁은 빛에 의해 선택되는 영역의 국부 촬영만이 가능할 뿐, 망막의 전체 관찰이 불가능하여 정확한 검진이 어려운 형편이다.
따라서, 상용화된 망막 검사용 렌즈 또는 콘택트렌즈를 이용할 때, 입사되는 광량의 각도를 조절하여 광범위한 망막 부위를 관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필터의 적용이 가능하여 상기 망막 검사용 렌즈 또는 콘택트렌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주요한 과제의 대상이 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한국등록특허 10-1088637),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종래 사용하는 망막 검사용 렌즈 또는 콘택트렌즈 상에 프리즘 렌즈 또는 레이저광 필터 등의 필터를 적용하여 레이저 광선으로부터 검사자의 눈을 보호하고 광범위한 망막 부위의 관찰 등이 가능한 렌즈 필터 어댑터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형의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에 내설되고 외주면 일측이 개구되어, 교환 필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수용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100) 일측에 형성되어, 망막 검사용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렌즈 장착부(300)를 포함하는, 렌즈 필터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형의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에 내설되고 외주면 일측이 개구되어, 교환 필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수용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100) 일측에 형성되어, 망막 검사용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렌즈 장착부(300)를 포함하는, 렌즈 필터 어댑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는, 상기 교환 필터가 안착 고정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장착되게 하기 위한 가이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하우징부(100) 타측에 연결되어,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는 체결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필터 수용부(20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덮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장착부(300)는,
일측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망막 검사용 렌즈를 고정하는 걸림턱(31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환 필터는 프리즘 렌즈, 레이저 필터 및 단생광 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는, 원하는 기능의 역할이 가능한 교환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 수용부 및 망막 검사용 렌즈가 고정되는 렌즈 장착부를 통해서, 상기 망막 검사용 렌즈 기능이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필터 수용부에 프리즘 렌즈를 교환 필터로서 장착할 경우에는 광범위한 망막의 촬영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 외에 상기 교환 필터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망막 검사용 렌즈의 기능의 향상이 가능할 수 있다.
더욱이, 체결끈부를 통해서,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등과 연결하여 고가의 안저 촬영 카메라와 같은 해상도의 망막 영상의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종래의 필터가 렌즈상의 코팅된 망막 검사용 렌즈의 구매에 따른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며, 광범위한 망막의 촬영 등의 기능이 향상된 망막 검사용 렌즈의 제공이 가능한바, 망막을 보다 효과적으로 검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에서 걸림턱(310) 및 가이딩부(4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에서 체결끈부(5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에서 덮개부(6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의 사시도 및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는 하우징부(100), 필터 수용부(200) 및 렌즈 장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가이딩부(400)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끈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는, 교환 필터가 수용될 수 있는 필터 수용부(200) 및 망막 검사용 렌즈가 고정 결합되는 렌즈 장착부(300)를 통해서, 상기 망막 검사용 렌즈 상에 교환 필터를 코팅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세극등 현미경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망막 검사용 렌즈를 통한 안저 검사를 진행함에 있어서, 상기 교환 필터의 교체에 따라서 원하는 기능을 이용한 안저 촬영 (예컨대, 망막 주변부까지의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아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우징부(100)는, 후술할 구성요소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피검체의 상을 관찰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렌즈 장착부(300)에 망막 검사용 렌즈를 장착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상기 망막 검사용 렌즈를 통한 검사를 진행하기 위해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하우징부(100)에 망막 검사용 렌즈가 장착될 때, 렌즈의 손상을 막으면서, 용이하게 분리 결합이 가능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연한 재질로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종래의 망막 검사용 렌즈는 세극등 현미경 또는 도상 검안경 등을 이용하여 안저를 촬영할 때, 보조 장치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상기 세극등 현미경에서 조사되는 광이 안구 내 망막으로 조사되고, 조사되는 광량의 위치에 따라서 망막의 검안이 가능하다. 하지만, 환자의 눈부심으로 인한 눈깜박임 등은 검사의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광량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검사를 진행하면, 환자의 눈부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광량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은 환자의 안구 내 망막으로 좁은 선상의 광을 조사하게 되는바, 검사할 수 있는 망막의 면적이 적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가 코팅된 고가의 망막 검사용 렌즈를 구매하여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는 상기 하우징부(100)에 필터 수용부(200)를 내설하였는바, 이를 통해 상기 필터 수용부(200)에 교환 필터를 삽입하여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망막의 주변부까지의 검사가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교환 필터에 따라서, 향상된 기능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수용부(200)는, 망막 검사용 렌즈를 이용하여 안저 촬영을 진행할 때, 망막의 효과적인 검사를 위한 교환 필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에 내설되고, 외주면 일측이 개구되어 있는바, 상기 교환 필터가 관통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교환 필터의 외주면은 대체로 곡률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필터 수용부(200)는 상기 교환 필터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 필터의 곡률에 따라서 곡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교환 필터는 프리즘 렌즈, 레이저 필터 및 단색광 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즘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 없이 안구 및 안저 검사에 사용되는 렌즈를 필터로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리즘 렌즈를 교환 필터로서 사용하여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여 안저 검사를 진행하면, 입사되는 광량이 상기 프리즘 렌즈를 통해서 광이 굴절되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여 좁은 선상의 광으로 인한 좁은 부위의 망막으로의 광의 입사를 망막의 주변부까지 입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범위한 망막의 영상의 획득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적색광 필터, 청색광 필터, 녹색광 필터 등을 교환 필터로서 사용할 경우, 망막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통해서, 망막의 병변 진단에 도움을 얻을 수 있으며, 레이저 치료에 사용되는 레이저 필터를 교환 필터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 망막검사용 렌즈를 레이저 치료 용도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렌즈 장착부(300)는,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렌즈 장착부(300)는 시판되는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가 수용될 수 있는 지름, 폭과 형상에 대응하는 지름, 폭 및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시판되고 있는 망막 검안용 렌즈의 경우에는 외주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에 대응하여 상기 렌즈 장착부(300)의 렌즈 장착 부위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망막 검안용 렌즈의 지름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한 다양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제조할 수도 있으나, 보다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의 지름의 크기와 상관없이 상기 렌즈 장착부(30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 상기 렌즈 장착부(300)에는 걸림턱(3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걸림턱(310)은,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가 상기 렌즈 장착부(3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밀착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와 접촉하는 상기 렌즈 장착부(300) 일측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림턱(310)은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와의 밀착 안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310)은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의 대응부위와 밀착 고정시킬 수 있는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걸림턱(310)은 탄성 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가 상기 렌즈 장착부(300)에 장착될 때, 망막 검안용 렌즈 외주면에 걸림턱(310)이 걸림으로써, 움직임 등으로 인한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의 분리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장착부(300)의 걸림턱(310)은 시판되는 망막 검안용 렌즈의 다양한 크기와 상관없이 밀착되어 고정이 가능한바, 다양한 망막 검안용 렌즈를 사용하여 각각 효과가 다른 렌즈의 사용 또한 가능할 수 있다.
가이딩부(400)는, 상기 교환 필터가 안착 고정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이동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수용부(200)의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교환 필터를 필터 수용부(200)내로 삽입할 때, 이탈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각도로 고정되어, 상기 입사되는 광의 이동경로의 변화의 방지가 가능하며, 또한, 기울임 등의 외부 변화로 인한 상기 교환 필터의 흔들림을 막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각도는 입사되는 광에 대하여 90 ˚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끈부(500)는,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10)와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100)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끈부(500)를 통해 상기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의 렌즈를 상기 렌즈 장착부(300)가 장착되는 반대측에 연결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체결끈부(500)는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스마트 모바일 기기의 카메라 부위에 밀착하여 장착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 이로 인해, 기존의 상기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서 고가의 안저 촬영 카메라와 같은 선명한 망막 영상의 촬영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교환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10)에 망막 검사용 렌즈 또는 콘택트렌즈를 장착하여 검사의 진행도 가능할 수 있으나, 상기 교환 필터가 삽입되는 필터 수용부(200)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광으로 인한 빛의 간섭으로 원활한 검사가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덮개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부(6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수용부(20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수용부(200)를 덮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외부 광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부(600)의 분실을 막기 위해 상기 하우징부(100)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연결부재와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형식 등으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로 인해, 상기 필터 수용부(200)의 개폐가 가능하여 교환 필터의 사용 유무와 관계없이 원활한 검사의 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사용하기 위한 준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이용하여 안구 내 망막을 검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렌즈 장착부(300)에 망막 검안용 렌즈를 장착한다. 이 때, 상기 렌즈 장착부(300)에 형성된 걸림턱(310)에 의해서 상기 망막 검안용 렌즈가 외부로의 분리 없이 강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하는 기능을 갖는 교환 필터를 필터 수용부(200)에 삽입시킨다. 만약, 보다 넓은 범위의 망막의 검사의 진행이 필요할 때에는 프리즘 렌즈를 교환 필터로서 사용하고, 이로 인해 광량을 조절하여 망막의 주변부까지 검사의 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필터를 제한 없이 사용이 가능한 바, 다양한 안구 검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필터 어댑터(10)의 준비가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저 촬영 장치와 검사 대상자 안구 사이에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10)를 위치시킨다. 이후, 상기 안저 촬영 장치를 작동시켜 광의 조사가 시작되면,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10)의 교환 필터 및 장착된 망막 검안용 렌즈를 지나 안구 내 망막으로 광이 조사되고, 상기 교환 필터에 따라서 원하는 검사의 진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안저 촬영 장치로는 세극등 현미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망막 검안용 렌즈의 제한된 망막 검사 기능의 확장이 가능한 바, 저비용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안구 내 검사가 가능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렌즈 필터 어댑터
100 : 하우징부 200 : 필터 수용부
300 : 렌즈 장착부 310 : 걸림턱
400 : 가이딩부 500 : 체결끈부
600 : 덮개부

Claims (6)

  1. 중공형의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에 내설되고 외주면 일측이 개구되어, 교환 필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수용부(200);
    상기 필터 수용부(20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광을 차단하는 덮개부(600); 및
    상기 하우징부 일측에 형성되어, 망막 검사용 렌즈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렌즈 장착부(300)를 포함하는, 렌즈 필터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는, 상기 교환필터가 안착 고정되면서, 슬라이딩되어 장착되게 하기 위한 가이딩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필터 어댑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필터 어댑터는, 상기 하우징부(100) 타측에 연결되어, 카메라 또는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는 체결끈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필터 어댑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장착부(300)는,
    일측단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망막 검사용 렌즈를 고정하는 걸림턱(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필터 어댑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필터는 프리즘 렌즈, 레이저 필터 및 단생광 필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필터 어댑터.
KR1020160081084A 2016-06-28 2016-06-28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KR10179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84A KR101793380B1 (ko) 2016-06-28 2016-06-28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PCT/KR2016/011549 WO2018004071A1 (ko) 2016-06-28 2016-10-14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084A KR101793380B1 (ko) 2016-06-28 2016-06-28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380B1 true KR101793380B1 (ko) 2017-11-02

Family

ID=60383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084A KR101793380B1 (ko) 2016-06-28 2016-06-28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3380B1 (ko)
WO (1) WO20180040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320A1 (ko) * 2022-07-07 2024-01-11 김남성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는 보호윈도우를 갖는 플랫탑 레이저빔 헤드 모듈
WO2024010321A1 (ko) * 2022-07-07 2024-01-11 김남성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는 보호윈도우를 갖는 플랫탑 레이저빔 헤드 모듈
KR102671301B1 (ko) * 2022-07-07 2024-05-31 레이저쎌 주식회사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는 보호윈도우를 갖는 플랫탑 레이저빔 헤드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704B2 (ja) * 2005-12-12 2012-03-21 淳大 上田 画像診断用データ・サンプリング・デバイス並びに該デバイスに用いられる撮像用アダプタ
KR200476846Y1 (ko) * 2013-06-14 2015-04-10 김동관 안저 촬영 인터페이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8468A (ja) * 1994-12-16 1996-07-02 Terumo Corp 対物レンズ及び該対物レンズを備えた眼底カメラ
JP3732789B2 (ja) * 2002-02-15 2006-01-1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特性測定装置用模型眼及びその校正方法
KR101253302B1 (ko) * 2011-02-16 2013-04-12 박상우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8704B2 (ja) * 2005-12-12 2012-03-21 淳大 上田 画像診断用データ・サンプリング・デバイス並びに該デバイスに用いられる撮像用アダプタ
KR200476846Y1 (ko) * 2013-06-14 2015-04-10 김동관 안저 촬영 인터페이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320A1 (ko) * 2022-07-07 2024-01-11 김남성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는 보호윈도우를 갖는 플랫탑 레이저빔 헤드 모듈
WO2024010321A1 (ko) * 2022-07-07 2024-01-11 김남성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는 보호윈도우를 갖는 플랫탑 레이저빔 헤드 모듈
KR102671301B1 (ko) * 2022-07-07 2024-05-31 레이저쎌 주식회사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되는 보호윈도우를 갖는 플랫탑 레이저빔 헤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4071A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611102U (zh) 适配器和包含适配器的眼底照相系统
US8123353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observation, examination, diagnosis, and/or treatment of an eye
US5579063A (en) Methods and devices for the measurement of the degradation of image quality on the retina of the human eye due to cataract
JP2008518740A (ja) 総合的眼診断用光学装置および方法
JP6899632B2 (ja) 眼科撮影装置
JP6766413B2 (ja) 眼底撮影装置
JP6627071B2 (ja) 近接撮影用装置
KR102126065B1 (ko) 휴대용 디지털 세극등 현미경
KR101793380B1 (ko) 안저 검사 효율을 향상시키는 렌즈 필터 어댑터
WO2008138953A1 (en) 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images of eye structures
KR101712738B1 (ko) 렌즈 교환식 안저 카메라
KR101922609B1 (ko) 안과 진료를 위한 휴대용 세극등 카메라 장치
JP2020157098A (ja) 眼科撮影装置
CN109715043B (zh) 眼科摄像设备
JPWO2019163911A1 (ja) 眼科光学系、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US10729319B2 (en) Opthalmic device for fundus examination
JP7420476B2 (ja) 眼科装置、その制御方法、眼科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57917B1 (ko) 검안경
JP2005168941A (ja) 眼科撮像方法、眼科光学アダプタ、および眼科光学装置
KR100796355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세극등 검사장치
ES2733978A1 (es) Explorador oftalmológico
CN216135860U (zh) 一种便携荧光放大检测灯
JP7412170B2 (ja) 眼科装置、その評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22030222A1 (ja) 眼科装置
WO2021033561A1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