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384B1 - 앵커블록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앵커블록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1384B1 KR101791384B1 KR1020170044322A KR20170044322A KR101791384B1 KR 101791384 B1 KR101791384 B1 KR 101791384B1 KR 1020170044322 A KR1020170044322 A KR 1020170044322A KR 20170044322 A KR20170044322 A KR 20170044322A KR 101791384 B1 KR101791384 B1 KR 101791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module
- anchor block
- anchor
- mou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08—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using driven mechanical means affecting the mixing
- B28C5/0806—Details; Accessor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02—Apparatus for washing concrete for decorative purposes or similar surface treatments for exposing the te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1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dividing shaped articles by cut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4—Unitary mould structures with a plurality of moulding spaces, e.g. moulds divided into multiple moulding spaces by integratable partitions, mould part structures providing a number of moulding spaces in mutual co-oper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원재료가 저장되는 저장모듈과, 상기 두 개 이상의 원재료를 혼합시키는 혼합모듈과, 상기 혼합모듈로부터 공급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을 결합된 상태로 성형하는 가공모듈과, 상기 가공모듈에 의하여 성형된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모듈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을 한 개의 앵커블록으로 절단하는 절단모듈을 포함하는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이 자동화된 상태를 이룸과 동시에 제조되는 앵커블록의 마무리공정 및 보관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블록의 성형공정은 시멘트와 다양한 골재 등이 포함된 혼합물을 물과 섞은 후 기층을 금형 내에 타설한 후 가압기로 금형 상부를 가압하여 포장블록을 찍어내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정을 통하여 성형된 앵커블록은 일정 장소로 옮겨져 건조되는 양생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블록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앵커블록의 제조를 위해서는 원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모듈과 상기 공급된 원재료를 혼합하는 혼합모듈 및 블록을 성형하는 가공모듈이 필요한데 종래의 경우 공급모듈과 혼합모듈 및 가공모듈이 모두 독립적으로 분리된 위치로 별개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각의 작업모듈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앵커블록 제조장치는 각각의 모듈이 서로 개별적으로 작동되어 앵커블록의 생산 효율이 낮음은 물론 작업 전반적인 작업성 검사 등에 문제점이 많았으며, 모듈 주변 환경이 재료들로 인하여 어수선하게 되는 등 앵커블록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공간 활용 면에서도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체 제조공정이 자동화된 상태를 이루어 앵커블록의 제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된 앵커블록의 마무리 공정이 추가되어 앵커블록의 불량률을 줄이고 제조가 완료된 앵커블록의 최종 상태의 개선을 가져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 완료된 앵커블록의 보관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며, 상황에 따라 복수 개의 앵커블록을 결합하여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원재료가 저장되는 저장모듈과, 상기 두 개 이상의 원재료를 혼합시키는 혼합모듈과, 상기 혼합모듈로부터 공급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을 결합된 상태로 성형하는 가공모듈과, 상기 가공모듈에 의하여 성형된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모듈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을 한 개의 앵커블록으로 절단하는 절단모듈을 포함하는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세척모듈의 일측으로 성형된 앵커블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모듈과 상기 카메라부 사이로 세척수가 상기 카메라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가 구비된 측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분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앵커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관모듈은 앵커블록이 제조되어 수용된 성형틀이 보관되는 보관함부와, 상기 성형틀을 소정 높이로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상하이동부 상측으로 상기 성형틀이 이송되도록 하는 보조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의하면, 원재료의 공급부터 앵커블록의 가공 및 세척 나아가 상황에 따라서 분리작업까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앵커블록 제조 수율을 높이고 제조상의 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의하면, 세척모듈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의 압력 및 양을 조절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앵커블록에 맞추어 적절한 운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의하면,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이 결합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되, 별도로 절단모듈이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앵커블록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레일부와 보관모듈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제조가 완료된 앵커블록의 보관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혼합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세척모듈의 사시도;
도 5는 세척모듈에 카메라부, 차폐부 및 에어분사부가 적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차폐부에 적용되는 반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절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용 제조되는 앵커블록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앵커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9의 절단모듈을 이용 앵커블록을 분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보관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도 13은 다른 형태에 따른 성형틀을 이용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혼합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세척모듈의 사시도;
도 5는 세척모듈에 카메라부, 차폐부 및 에어분사부가 적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상기 도 5에서 차폐부에 적용되는 반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절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용 제조되는 앵커블록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의 앵커블록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틀의 일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9의 절단모듈을 이용 앵커블록을 분리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보관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및
도 13은 다른 형태에 따른 성형틀을 이용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를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1)는 저장모듈(100), 혼합모듈(200), 가공모듈(300), 세척모듈(400), 보관모듈(500) 및 절단모듈(70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모듈(100)은 콘크리트나 모래 또는 공지된 다양한 앵커블록을 이루기 위한 원재료가 저장되는 구성을 이룬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모듈(100)은 소정 하우징(110) 형태를 이루되, 상기 하우징(110)은 두 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내측에는 원재료 저장용기(11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10) 내측으로 또는 상기 하우징(110) 간에 앵커블록 원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 벨트 방식 등이 적용된 이송부(120)가 한 개 이상 연결되어 앵커블록 원재료를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들 사이에도 앵커블록 원재료가 이송되도록 이송부(120)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부(12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 중 일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그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소정 공간부가 형성된 별도의 메인하우징(50)을 구비하되, 상기 저장모듈(100)을 제외한 이하 설명되는 상기 혼합모듈(200), 가공모듈(300), 세척모듈(400), 보관모듈(500) 및 절단모듈(700) 등은 상기 메인하우징(50) 내부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혼합모듈(200)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 원재료를 혼합시킨 후, 별도의 배출파이프(240)를 통하여 성형틀(10)로 혼합된 원재료를 공급하는 구성을 이룬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상기 메인하우징(50) 내부에는 바닥면에 소정 메인레일부(30)가 적용되어, 상기 메인레일부(30)를 따라서 앵커블록이 성형되는 성형틀(10)이 이송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레일부(30)는 상기 가공모듈(300)과 세척모듈(400), 절단모듈(700) 및 보관모듈(500)로 상기 성형틀(10)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모듈(300)은 앵커블록을 성형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되며, 앵커블록 원재료를 소정 성형틀(10)에 투입하여 프레스기(310) 등을 이용 가압하여 앵커블록을 제조하는 방식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모듈(400)은 상기 가공모듈(300)을 통하여 성형이 완료된 앵커블록의 표면을 세척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절단모듈(700)은 상기 세척모듈(400)에 의하여 세척된 앵커블록 두개를 상황에 따라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상기 절단모듈(700) 일측으로 보조카메라부(800)가 구비되어 최종 생성된 앵커블록을 확인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혼합모듈, 세척모듈, 절단모듈 및 보관모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혼합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합모듈(200)은 내부수용부(210)가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를 이루는 드럼 형상의 외부케이스(220)와, 상기 외부케이스(22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앙회전부(250)와, 상기 중앙회전부(250)에 구비되는 혼합블레이드(270)를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중앙회전부(250)는 상기 외부케이스(220)에 외부에 구비된 모터부(미도시)의 회전축에 축연결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모터부의 작동 시 중앙회전부(250)가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혼합블레이드(270)는 상기 중앙회전부(250)의 상하로 복수 개가 구비되며, 최하측에 위치된 혼합블레이드(270)는 공기배출공(27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회전부(250)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앙회전부(250)의 내부관부를 따라서 공기를 공급 시 상기 공기배출공(275)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중앙회전부(250) 상측으로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280)이 연결되며, 상기 중앙회전부(250)의 회전 시 공기공급관(280)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상기 중앙회전부(250)와 공기공급관(280)은 별도의 베어링부(288)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케이스(420) 하측으로는 혼합된 원재료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240)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중앙회전부(2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혼합블레이드(270)에 의하여 두 개 이상의 원재료를 혼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공기공급관(280)을 통하여 외부로 고압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 혼합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1)는 상기 외부케이스(220)의 최하부에 위치되는 혼합블레이드(270)만 공기공급관(280)이 구비되므로 소정 높이 이상 원재료가 수용된 경우 공기의 공급에 따라 원재료가 외부케이스(220) 외부로 확산 등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세척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세척모듈(400)은 지반에 소정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거치부(410)와, 상기 거치부(410)에 거치되는 사면을 가지는 블록부(420)와, 상기 블록부(420)의 각 면에 설치되며 세척수공급홀(431, 432)이 구비된 세척수공급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거치부(410) 사이로 성형틀(10)이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부(420)의 각 면에 설치되는 상기 세척수공급부(430)의 세척수공급홀(431, 432)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압력으로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세척수공급부(430) 각각은 외부로부터 고압의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공급호스(미도시) 및 펌핑부(460: 도 7 참조)가 연결 설치된다.
한편, 상기 양측 거치부(410)의 상부에는 거치홀(415)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부(420)의 양측은 상기 거치부(410)에 거치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홀(415)에 대응되는 형태로 거치돌출부(425)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거치홀(415)의 상측으로 상기 거치돌출부(425)를 이탈시키고 원하는 세척수공급부(430)가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블록부(420)의 위치를 변경시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블록부(420)의 각면은 서로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별도의 문자가 적용되어 제조하고자 하는 앵커블록에 따라서 대응되는 세척수가 소정 압력으로 공급되도록 블록부(420)의 설치 위치를 작업자가 현장에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인 460은 자석부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카메라부가 적용된 세척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부(410) 사이로 상기 가공모듈(300)에 의하여 성형된 앵커블록이 수용된 성형틀(10)이 통과 시 세척모듈(400)의 세척수공급부(430)를 통하여 앵커블록 표면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세척모듈(400) 일측으로 카메라부(470)를 적용하여 원격지에서 세척 정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470)의 일측으로 별도의 에어분사부(480)가 구비되되, 상기 에어분사부(480)는 상기 카메라부(470)의 렌즈로 에어를 공급하여 렌즈 표면에 묻은 물이나 이물질을 닦을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모듈(400)과 카메라부(470) 사이로 세척수나 이물질이 앵커블록으로부터 튀어 카메라부의 일측에 구비된 렌즈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차폐부(450)가 구비되되,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차폐부(450)에 상기 에어분사부(48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카메라부(470) 측으로 재공급되도록 반구 형상의 반사돌기부(458)가 소정 이격되게 배치된 반사부(455)가 구비된다. 여기서, 반사돌기부(458)는 다수 방향으로 공급되는 에어가 분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돌기부 형태가 아닌 오목한 홈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차폐부(450)는 상황에 따라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폐부(450)를 제거 시에는 상기 에어분사부(480)를 이용 상기 세척모듈(400)의 상기 세척수공급부나 세척수공급홀에 묻은 이물질 등을 제거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제조 시스템을 이루는 주요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1)는 별도의 제어부(600)가 구비되되, 상기 제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에어분사부(480)로 에어를 공급하는 펌핑부(4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와 상기 세척모듈(400), 카메라부(470) 및 보조카메라부(800)도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어, 상기 제어부(600)를 통하여 카메라부(470)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상태에 따라서 세척수의 공급과 함께 상기 에어분사부(480)를 이용 상기 카메라부(470)로 에어를 공급하여 렌즈에 묻은 이물질 및 세척수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절단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절단모듈(700)은 실린더부(730)와 피스톤부(720) 및 상기 피스톤부(720) 단부에 구비되는 절단날부(7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부(730)와 피스톤부(720)는 유압식으로 작동하게 되며 상기 절단날부(710)는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개 이상 제조된 앵커블록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는 도 9와 같은 앵커블록(2)을 제조하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성형틀(10)이 사용된다.
상기 성형틀(10)은 내부에 제조하고자 하는 앵커블록의 외형에 대응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기 공간부에 앵커블록(2)에 적용되는 관통부에 대응하는 성형돌기부(12, 13)가 구비되며, 하나의 성형틀(10)에 두 개의 앵커블록을 성형 시 각 앵커블록 사이 부로 벽부(1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벽부(14)는 도 11에서와 같이, 제조되는 앵커블록(2)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앵커블록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도록 제조하는 이유는 하나의 앵커블록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한 번에 다수 개의 앵커블록을 제조하되, 상황에 따라서 연결된 앵커블록을 지반 보강 등에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거나 소정 위치로 앵커블록의 이동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절단모듈(700)의 절단날부(710)를 이용 상기 벽부(14)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얇게 연결된 상태를 이루는 두 개의 앵커블록 부위를 타격하여 각각의 앵커블록으로 분리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여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도 10 및 도 11에서는 두 개의 앵커블록이 제조되는 성형틀이 도시되고 있으나, 네 개나 여섯 개의 앵커블록이 제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블록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보관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관모듈(500)은 상기 가공모듈(300)과 세척모듈(400) 및 절단모듈(700)을 통한 작업을 거치어 제조가 완료된 앵커블록이 수용된 성형틀(10)을 보관하는 보관함부(570)가 한 쌍 이상 구비되되, 상기 보관함부(570) 사이로 보조레일부(33)가 구비된 후, 상기 보조레일부(33)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하이동부(5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하이동부(510)는 상기 메인레일부(33)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부레일부(35)가 구비되어 성형틀(10)이 상하이동부(510) 상측까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510)는 하측으로 작동부(530)와 상기 작동부(530)의 작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상하이동로드(520)에 연결되어, 보관함(570)을 상하로 다수층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 선택된 층으로의 이동 작업 또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블록부(420)의 양측에 자석부(460)가 적용되도록 하되, 성형틀(10A)의 가장자리 상기 블록부(420)의 자석부(460)에 대응되는 위치로 서로 다른 극이 작용하도록 블록 형태의 자석블록부(22)가 설치되도록 하여, 자석 사이의 척력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세척모듈(400)의 높이가 정하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원하는 높이에 해당되는 자석에 의한 척력이 발생하도록 각각 서로 다른 자력을 가지는 블록 형태의 자석블록부(22)를 준비한 후, 해당되는 자석블록부(22)를 적용하게 될 것이다.
1: 앵커블록 제조장치 100: 저장모듈
110: 하우징 120: 이송부
121: 롤러부 122: 콘베이어벨트부
123: 콘베이어부 124: 구동부
125: 회전부 126: 돌기부
127: 분쇄부 200: 혼합모듈
210: 내부수용부 220: 외부케이스
222: 연결관부 240: 배출파이프
250: 중앙회전부 262: 중간마개부
270: 혼합블레이드 275: 공기배출공
300: 가공모듈 400: 세척모듈
410: 거치부 415: 거치홀
420: 블록부 425: 거치돌출부
430: 세척수공급부 431, 432: 세척수공급홀
500:: 보관모듈 570: 메인레일부
600: 제어부 700: 절단모듈
710: 절단날부 720: 피스톤부
730: 실린더부 800: 보조카메라부
110: 하우징 120: 이송부
121: 롤러부 122: 콘베이어벨트부
123: 콘베이어부 124: 구동부
125: 회전부 126: 돌기부
127: 분쇄부 200: 혼합모듈
210: 내부수용부 220: 외부케이스
222: 연결관부 240: 배출파이프
250: 중앙회전부 262: 중간마개부
270: 혼합블레이드 275: 공기배출공
300: 가공모듈 400: 세척모듈
410: 거치부 415: 거치홀
420: 블록부 425: 거치돌출부
430: 세척수공급부 431, 432: 세척수공급홀
500:: 보관모듈 570: 메인레일부
600: 제어부 700: 절단모듈
710: 절단날부 720: 피스톤부
730: 실린더부 800: 보조카메라부
Claims (4)
- 두 개 이상의 원재료가 저장되는 저장모듈과, 상기 두 개 이상의 원재료를 혼합시키는 혼합모듈과, 상기 혼합모듈로부터 공급된 원재료를 가공하여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을 결합된 상태로 성형하는 가공모듈과, 상기 가공모듈에 의하여 성형된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모듈과, 상기 두 개 이상의 앵커블록을 한 개의 앵커블록으로 절단하는 절단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모듈은 소정 이격된 상태로 수직 상방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 상측으로 상기 거치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각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블록부와, 상기 블록부의 각 면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공급홀이 구비된 세척수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부 각면에 구비되는 세척수공급부의 세척수공급홀은 상기 블록부의 각면에 각각 서로 다른 압력으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각 거치부의 상부에는 거치홀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부의 양측은 상기 블록부가 상기 거치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홀에 삽입되되 외력의 미작용 시에는 상기 거치홀에 거치된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거치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블록부는 양측에 자석부가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 사이로 통과하는 성형틀이 더 구비되되 상기 성형틀의 가장자리로 상기 블록부의 자석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블록부와 대면되는 측으로 서로 다른 자극이 배치되어 상기 자석부와 척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블록 형태의 자석블록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세척모듈의 일측으로 성형된 앵커블록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척모듈과 상기 카메라부 사이로 세척수가 상기 카메라부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카메라부의 일측으로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로 에어를 공급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렌즈 표면에 묻은 물이나 이물질을 닦을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분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에어분사부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다양한 방향으로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부 측으로 재공급되도록 반구 형상의 반사돌기부가 소정 이격되게 배치된 반사부가 더 구비되는,
앵커블록 제조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앵커블록을 보관하는 보관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관모듈은,
앵커블록이 제조되어 수용된 성형틀이 보관되는 보관함부와,
상기 성형틀을 소정 높이로 상하 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와,
상기 상하이동부 상측으로 상기 성형틀이 이송되도록 하는 보조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앵커블록 제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322A KR101791384B1 (ko) | 2017-04-05 | 2017-04-05 | 앵커블록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44322A KR101791384B1 (ko) | 2017-04-05 | 2017-04-05 | 앵커블록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1384B1 true KR101791384B1 (ko) | 2017-10-30 |
Family
ID=6030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4322A KR101791384B1 (ko) | 2017-04-05 | 2017-04-05 | 앵커블록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1384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1991B1 (ko) * | 2000-03-28 | 2002-11-23 |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 옹벽용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과 상기 장치 및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옹벽용 블럭 |
KR100934873B1 (ko) * | 2009-11-13 | 2009-12-31 | 김만수 | 한국형 증기발생기 환형공간부 침전물 제거장치 |
-
2017
- 2017-04-05 KR KR1020170044322A patent/KR1017913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1991B1 (ko) * | 2000-03-28 | 2002-11-23 | 주식회사 기성콘크리트 | 옹벽용 블럭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과 상기 장치 및 방법에의하여 제조된 옹벽용 블럭 |
KR100934873B1 (ko) * | 2009-11-13 | 2009-12-31 | 김만수 | 한국형 증기발생기 환형공간부 침전물 제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0935692U (zh) | 一种不易堵塞的pvc革用上胶机 | |
CN109760193B (zh) | 石英石板材自动生产线 | |
KR20150093375A (ko) | 부품용 세척 장치 | |
KR101791384B1 (ko) | 앵커블록 제조장치 | |
CN205687107U (zh) | 一种电池自动喷码装盆机 | |
US20110133357A1 (en) | Masonry blocks and masonry block assemblies having molded utility openings | |
KR101791818B1 (ko) | 블록 제조장치 | |
CN107322781A (zh) | 高压注浆成型机的顶紧机构及成型机 | |
CN106738282B (zh) | 带边框预制板的成型方法及其生产设备 | |
CN210846939U (zh) | 一种升降喷泉装置 | |
JPH07314425A (ja) | 離型油の塗布装置 | |
RU160425U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роительных и бетонных смесей | |
CN212707351U (zh) | 一种pc构件的自动生产系统 | |
JPH07290434A (ja) | 離型油の塗布装置 | |
CN211729655U (zh) | 布料系统 | |
CN209633621U (zh) | 一种聚氨酯泡沫的移动浇筑机 | |
CN109590433B (zh) | 旋转式喷粉与注蜡整机 | |
KR102086636B1 (ko) | 오링삽입장치 | |
CN203622631U (zh) | 一种墙板生产线 | |
CN208679930U (zh) | 一种美术工艺品清洗装置 | |
CN208245311U (zh) | 零件清洗设备 | |
KR20100037708A (ko) | 접착식 보.차도 블럭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CN112339076A (zh) | 混凝土试块制作装置及操作方法及其应用 | |
KR20200112509A (ko) | Pc 이중벽 구조물 제작 몰드 | |
CN205497784U (zh) | 柱塞式砂浆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