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086B1 -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086B1
KR101790086B1 KR1020167006425A KR20167006425A KR101790086B1 KR 101790086 B1 KR101790086 B1 KR 101790086B1 KR 1020167006425 A KR1020167006425 A KR 1020167006425A KR 20167006425 A KR20167006425 A KR 20167006425A KR 101790086 B1 KR101790086 B1 KR 101790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nterface
notification information
detected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237A (ko
Inventor
렌 리우
하오 얀
지안춘 장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4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12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interrupt, e.g. mask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3Battery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50, 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 G06F2221/032Protect output to user by software means
    • Y02B60/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지연 송신하는 것을 실현하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크린 잠금 상태시에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이 해제된후에만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도록 하여, 파워 손실을 최적화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Description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METHOD,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DELAYING INFORMATION BROADCASTING}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CN201510641838.3이고 출원일이 2015년9월30일인 중국특허출원에 기초하여 제출하고, 당해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네트워크 통신기술이 끊임없이 발전함에 따라, 스마트 폰의 응용이 점점 광범해지고 있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스마트 폰이 스크린 온 된후, 또한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에 진입한 상태일 시, 스마트 폰상의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수신하게 되고, 또한 수신된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업데이트 등과 같은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하게 된다. 하지만, 스마트 폰이 스크린 온 된후, 잠금이 해제되지 않고 스크린 오프될 경우, 시스템이 브로드캐스팅함으로 인하여 트리거된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어떠한 역할도 일으키지 못하고, 또한 스마트 폰의 파워 손실에 의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1 양상에 의하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을 제공하며,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을 온시키는 스크린 온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이 검출되고, 또한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이 스크린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을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지 정보는 스크린 온 통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는 단계 이후에,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2 양상에 의하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를 제공하며,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과, 상기 검출모듈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단 모듈과,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검출 모듈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을 온시키는 스크린 온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서브 모듈과,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이 검출되고, 또한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이 스크린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을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온 이벤트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지 정보는 스크린 온 통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한 후,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버퍼 메모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3 양상에 의하면,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를 제공하며,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며;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 양상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 5 양상에 의하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안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고,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함으로써,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지연 송신하는 것을 실현하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이 해제된 후에만 브로드캐스팅된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도록 하여, 파워 손실을 최적화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스크린 온 된후,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면 통지 정보가 차단하고, 진입된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통지 정보를 차단하지 않는 것을 통하여,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단말기의 파워 손실도 감소한다.
본 발명의 단말기는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여러번 스크린을 온 시켰지만 잠금을 해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조성된 리소스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일반적인 서술과 하기의 상세한 서술은 다만 예시적이고 해석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의 응용 장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용 장치의 구조 모식도이다.
하기에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그 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할 경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단지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상술하는 본 발명의 일 방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된 실시예를 서술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전후 문맥에서 특별히 기타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본 발명과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의 "일 종", “상기”와 “당해”는 복수의 형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문장에서 사용하는 용어“및/또는"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로 관련되는 항목의 임의의 하나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제 2", "제 3" 등과 같은 용어로 각 종 정보를 서술할 가능성이 존재하나, 이러한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서는 아니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제 1 정보는 제 2 정보라 칭할 수도 있고, 유사하게 제 2 정보도 제 1 정보라 칭할 수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여기서 사용하는 단어 "만약"은 "~ 시" 또는 "확정에 응답하여"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10에 있어서,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는 인터넷 접속 기능을 구비하는 임의의 스마트 단말기일 수 있고,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휴대 전화,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퍼스널 컴퓨터 (Personal Computer) 등일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무선 LAN을 통하여 라우터에 접속하고, 또한 라우터를 통하여 공중망의 서버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110을 수행할 시,
사용자가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을 온시키는 스크린 온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스크린 온 조작이 검출되고, 또한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이 스크린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스크린 온 조작을 스크린 온 이벤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기가 스마트 폰이고, 사용자는 사전 설정된 눌림 버튼을 눌러 스마트 폰의 스크린을 온 시킬수 있으며, 스마트 폰이 자체의 스크린이 블랙 스크린으로부터 스크린 온으로 변화된 것을 검출하였을 시, 이때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었음을 표시한다.
단계 120에 있어서,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가 스크린 온 된후, 사용자가 스크린 잠금을 설정하였을 경우, 진입된 인터페이스는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단말기가 스크린 온 된후,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에 진입한 상태일 시, 단말기의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하게 된다.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고 스크린 오프될 경우, 시스템이 브로드캐스팅함으로 인하여 트리거된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는 어떠한 역할도 일으키지 못하고, 또한 단말기의 파워 손실에 의한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단말기의 파워 손실을 감소하고 파워 손실을 최적화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에 의하여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에 진입하였을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리하여 단말기의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팅을 수신하지 않게 되고, 시스템이 브로드캐스팅함으로 인해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트리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는 예를 들면, 스크린 온 통지와 같이 현재의 시스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통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30에 있어서,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된후, 스크린 잠금상태에서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함으로써,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단말기의 잠금이 해제된후에만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하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바와 같이,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고,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함으로써,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지연 송신하는 것을 실현하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크린 잠금 상태시에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이 해제된후에만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도록 하여, 파워 손실을 최적화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의 흐름도이며, 상기 방법은 단말기에 적용되며, 하기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210에 있어서,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한다.
단계 220에 있어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 인터페이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예"일 경우, 단계 230을 수행하고, "아니오"일 경우, 단계 250을 수행한다.
단계 230에 있어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한다.
단계 240에 있어서,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고, 과정을 끝낸다.
단계 250에 있어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고, 과정을 끝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말기가 스크린 온 된후, 사용자가 스크린 잠금을 설정하지 않았거나 또는 원래의 스크린 잠금의 설정을 취소하였을 경우, 진입된 인터페이스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이고, 이때 단말기의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통지 정보에 기초하여 일련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트리거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할 필요가 없고,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직접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상기의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바와 같이, 단말기가 스크린 온 된후,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면 차단하고, 진입된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차단하지 않는 것을 통하여,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단말기의 파워 손실도 감소한다.
상기 단계 230을 수행한 후,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응되게,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 후, 단계 240을 수행할 시,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되게,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한 후,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 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는 원인은 매우 많으며,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비밀키를 잊어버려 긴시간 잠금 해제에 성공하지 못한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잠금을 해제할 필요가 없어 스크린이 쾌속으로 오프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전 설정된 시간대를 설정하고, 당해 사전 설정된 시간대를 초과할 경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단말기는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여러번 스크린을 온 시켰지만 잠금을 해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조성된 리소스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의 응용 장면도이다. 당해 응용 장면은 단말기를 포함하고, 당해 단말기에는 스크린 잠금이 설정되어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을 온 시키는 스크린 온 조작을 검출하고;
스크린 온 조작이 검출되고,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이 스크린 온 상태에 있으며,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상기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의 실시예와 대응되게, 본 발명에서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실시예도 제공한다.
도 4와 같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장치는 검출 모듈 (41), 차단 모듈 (42) 및 송신 모듈 (43)을 포함한다.
여기서, 검출 모듈 (41)은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차단 모듈 (42)은 상기 검출 모듈 (41)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는 스크린 온 통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신 모듈 (43)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바와 같이,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고,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함으로써, 스크린 잠금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팅 정보를 지연 송신하는 것을 실현하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스크린 잠금 상태시에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는 것을 방지하고, 잠금이 해제된후에만 브로드캐스팅 정보에 의해 운행 서비스를 트리거하도록 하여, 파워 손실을 최적화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도 4 에 도시된 장치의 기초위에, 상기 장치는 제 2 송신 모듈 (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송신 모듈 (51)은 상기 검출 모듈 (41)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의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바와 같이, 단말기가 스크린 온 된후,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에 진입하면 차단하고, 진입된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차단하지 않는 것을 통하여,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단말기의 파워 손실도 감소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도 4 에 도시된 장치의 기초위에, 상기 검출 모듈 (41)은 검출 서브 모듈 (61) 및 스크린 온 이벤트 확정 서브 모듈 (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서브 모듈(61)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을 온시키는 스크린 온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스크린 온 이벤트 확정 서브 모듈 (62)은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이 검출되고, 또한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이 스크린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을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도 4 에 도시된 장치의 기초위에, 상기 장치는 버퍼 메모리 모듈 (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퍼 메모리 모듈(71)은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한 후,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기초위에, 상기 송신 모듈 (43)은 송신 서브 모듈 (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서브 모듈(81)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의 블록도이고,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도 7 에 도시된 장치의 기초위에, 상기 장치는 삭제 모듈 (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삭제 모듈 (91)은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수 있는바와 같이, 단말기는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통지 정보를 삭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여러번 스크린을 온 시켰지만 잠금을 해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조성된 리소스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대응되게, 본 발명에서는 다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비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며;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한다.
상기 장치의 각 유닛의 기능과 작용의 실현 과정의 세부는 상기 방법의 대응하는 단계의 실현 과정을 참조하면 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방법 실시예에 대응하므로, 관련되는 부분은 방법 실시예의 부분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이상에서 서술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그 중, 분리 부품으로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즉 동일한 곳에 위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에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모듈을 선택하여 본 발명의 기술안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당업자는 창조적인 노동이 없이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용 장치(1000)의 다른 구조 모식도(단말기기 측)이며, 예를 들면, 장치(1000)는 라우터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장치, 게임 콘솔, 태블릿 장치, 의료 설비, 피트니스 장치, PDA 등일 수 있다.
도 10를 참조하면, 장치(10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 메모리(1004), 전원 어셈블리(10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 오디오 어셈블리(10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1012), 센서 어셈블리(1014) 및 통신 어셈블리(1016) 등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통상적으로 장치(10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10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10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장치(10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런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10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처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10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1006)는 장치(10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어셈블리(10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10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는 상기 장치(10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0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10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10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10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10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10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10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10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장치(10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1014)는 장치(1000)의 온/오프 상태,디스플레이, 키패드와 같은 장치(1000)의 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어셈블리(1014)는 장치(1000) 혹은 장치(10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장치(1000)사이의 접촉여부, 장치(1000)의 방위 혹은 가속/감속 및 장치(10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 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황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0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어셈블리(10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016)는 장치(10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10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1016)는 브로드캐스팅 채널을 통하여 외부 브로드캐스팅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브로드캐스팅 신호 혹은 브로드캐스팅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1016) 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 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10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제공하는데, 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1004) 등을 포함하며, 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1000)의 프로세서(10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의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천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성적인 원리에 따른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하고 도면으로 도시한 특정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각종 수정과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7)

  1.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을 온시키는 스크린 온 조작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이 스크린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을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는 스크린 온 통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통지 정보를 차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상기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차단된 통지 정보를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상기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상기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지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8.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과,
    상기 검출모듈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차단 모듈과,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송신 모듈과,
    상기 검출 모듈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상기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제 2 송신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모듈은,
    사용자가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을 온시키는 스크린 온 조작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서브 모듈과,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이 검출되고, 또한 상기 단말기의 표시 스크린이 스크린 온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스크린 온 조작을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온 이벤트 확정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정보는 스크린 온 통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통지 정보를 차단한 후, 상기 차단된 통지 정보를 버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버퍼 메모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전 설정된 시간내에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상기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통지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삭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
  15. 단말기에 적용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스크린 온 이벤트를 검출하고;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일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통지 정보를 차단하고;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잠금 해제후 인터페이스로 전환하였음이 검출될 경우, 상기 차단된 통지 정보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며;
    상기 스크린 온 이벤트가 검출되고, 또한 현재의 인터페이스가 상기 스크린 잠금 인터페이스가 아닐 경우,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으로부터 브로드캐스팅된 상기 통지 정보를 상기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장치.
  16.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7. 제16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
KR1020167006425A 2015-09-30 2015-12-29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790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41838.3 2015-09-30
CN201510641838.3A CN105338177B (zh) 2015-09-30 2015-09-30 信息延迟广播方法及装置
PCT/CN2015/099519 WO2017054351A1 (zh) 2015-09-30 2015-12-29 信息延迟广播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237A KR20170048237A (ko) 2017-05-08
KR101790086B1 true KR101790086B1 (ko) 2017-10-25

Family

ID=55288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6425A KR101790086B1 (ko) 2015-09-30 2015-12-29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241637B2 (ko)
EP (1) EP3151117B1 (ko)
JP (1) JP6363304B2 (ko)
KR (1) KR101790086B1 (ko)
CN (1) CN105338177B (ko)
MX (1) MX360996B (ko)
RU (1) RU2643517C2 (ko)
WO (1) WO20170543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1637B2 (en) 2015-09-30 2019-03-26 Xiaomi Inc.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5305B (zh) * 2016-04-29 2019-03-2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操作系统事件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5979088B (zh) * 2016-05-06 2020-0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及装置
CN106648855B (zh) * 2016-11-21 2020-04-10 武汉斗鱼网络科技有限公司 对终端的应用程序进行控制的方法及装置
CN108475096A (zh) * 2016-12-23 2018-08-31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8334345B (zh) * 2017-08-14 2021-07-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应用程序处理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和移动终端
CN110020563B (zh) * 2018-01-10 2023-08-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用户设备和存储介质
CN109144359A (zh) * 2018-06-27 2019-01-0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屏幕参数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44728B (zh) * 2018-08-22 2020-11-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相机应用的占用控制方法和装置
CN109462882A (zh) * 2018-09-03 2019-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终端的控制方法、装置和终端
CN111027043B (zh) * 2019-12-18 2022-07-01 明度智云(浙江)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的解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468490B (zh) * 2020-03-30 2024-05-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终端设备的锁屏方法、装置和设备
CN113840358A (zh) * 2020-06-24 2021-12-24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报文过滤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73896B1 (ko) * 2020-07-14 2021-07-05 주식회사 후후앤컴퍼니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도즈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비정상 종료를 방지하기 위한 통신 단말 및 그 방법
CN112616179A (zh) * 2020-12-31 2021-04-0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广播拦截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9912A (zh) 2011-06-03 2011-12-14 奇智软件(北京)有限公司 客户端程序监控方法、装置及客户端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3140B2 (ja) * 2006-07-18 2009-06-03 シャープ株式会社 基板レイアウトチェックシステムおよび基板レイアウトチェック方法
KR100756336B1 (ko) * 2006-09-21 2007-09-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비밀 번호 알림 방법 및 장치
US9049302B2 (en) * 2007-01-07 2015-06-02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mmunications received while in a locked state
WO2008109150A1 (en) * 2007-03-06 2008-09-12 Secude International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e authentication of devices awakened from powered sleep state
JP5345775B2 (ja) * 2007-10-30 2013-11-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20100146437A1 (en) * 2008-12-04 2010-06-10 Microsoft Corporation Glanceable animated notifications on a locked device
CN103500306A (zh) * 2011-06-03 2014-01-08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客户端程序监控方法、装置及客户端
JP5198646B1 (ja) * 2011-11-25 2013-05-15 イクス株式会社 プログラム
US9448680B2 (en) * 2012-02-16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ower efficient application notification system
CN103024186A (zh) * 2012-12-17 2013-04-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手机信息自动查看的方法及手机
KR20140099734A (ko) 2013-02-04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256484B2 (en) * 2013-06-09 2016-02-09 Apple Inc. Dynamic adjustment of mobile device based on user activity
KR102223277B1 (ko) 2014-01-06 2021-03-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9032321B1 (en) * 2014-06-16 2015-05-12 Google Inc. Context-based presentation of a user interface
CN104199669B (zh) * 2014-09-12 2017-12-1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对应用程序的进程进行管理的方法及装置
CN105487844A (zh) * 2014-09-18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和装置
CN104915123A (zh) * 2015-06-01 2015-09-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终端显示方法及装置
CN105338177B (zh) 2015-09-30 2018-10-1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延迟广播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79912A (zh) 2011-06-03 2011-12-14 奇智软件(北京)有限公司 客户端程序监控方法、装置及客户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41637B2 (en) 2015-09-30 2019-03-26 Xiaomi Inc.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electron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51117B1 (en) 2020-10-21
RU2643517C2 (ru) 2018-02-02
CN105338177A (zh) 2016-02-17
MX2016003770A (es) 2017-05-04
RU2016110028A (ru) 2017-09-26
US10241637B2 (en) 2019-03-26
WO2017054351A1 (zh) 2017-04-06
MX360996B (es) 2018-11-23
KR20170048237A (ko) 2017-05-08
JP2017535224A (ja) 2017-11-24
JP6363304B2 (ja) 2018-07-25
CN105338177B (zh) 2018-10-19
US20170090683A1 (en) 2017-03-30
EP3151117A1 (en)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086B1 (ko) 정보 지연 브로드캐스팅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1723556B1 (ko) 스마트 장면 삭제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56692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액세스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6346711B2 (ja) 通信事業者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及び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59306B1 (ko) 스마트 기기의 바인딩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769667B2 (en) Method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WO2016192323A1 (zh) 视频通信方法及装置
KR101684814B1 (ko) Wi-fi 네트워크 접속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732559B1 (ko) 네트워크 접속 방법, 기기,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6386092B2 (ja) ネットワーク選択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145221B2 (ja) 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715801B1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07071862B (zh) 账号绑定方法及装置和智能设备
JP2016533110A5 (ko)
WO2019056271A1 (zh) 网络连接方法及装置
CN105163290B (zh) 漫游提示方法和装置
CN107404521B (zh) 重置设备的方法、装置和系统
KR101688176B1 (ko)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210385823A1 (en) Information feedback method and apparatus
CN105227426B (zh) 一种应用界面切换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9674768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cessing wireless network
WO2021042227A1 (zh) 系统消息处理方法和装置
CN108989457A (zh) 信息处理方法及服务器、终端
KR101810557B1 (ko) 중계 라우터 정보의 취득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17616790A (zh) 语音设备组网方法、装置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