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751B1 -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 Google Patents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751B1
KR101789751B1 KR1020160069682A KR20160069682A KR101789751B1 KR 101789751 B1 KR101789751 B1 KR 101789751B1 KR 1020160069682 A KR1020160069682 A KR 1020160069682A KR 20160069682 A KR20160069682 A KR 20160069682A KR 101789751 B1 KR101789751 B1 KR 101789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film
air cushion
porous
weight
porous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행수
문성진
Original Assignee
정행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행수 filed Critical 정행수
Priority to KR102016006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2Bonding of a preformed macromolecular material to the same or other solid material such as metal, glass, leather, e.g.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표면 cell의 크기(직경 size)를 폴리우레탄 수지의 배합비, 코팅 두께 및 응고조 농도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화장료의 흡수 정도 및 피부에 사용감(touch feel)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sanding 공정을 사용하지 않아 분진 및 부스러기의 발생 가능성이 없고 매우 깔끔하고 규칙적인 다공층 표면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제품의 단면 cell 구조)으로 길쭉한 항아리 형의 cell을 얻을 수 있어 액상의 화장료를 적절하게 묻힌 후 일정하게 얼굴에 바르는데 용이하고 액상 화장료를 골고루 흡수시킬 수 있어 표면의 오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얼룩이 덜 생겨 세척 회수를 줄일 수 있고 일상 사용시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필름은 cell의 분포도가 불규칙적인 기존 제품과 달리 표면의 cell 구조가 거의 일정한 그물망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품질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rous polyurethane film for air cushion having improved productivity and fouling resistant and the porous polyurethane film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우레탄 필름 제조시 망초(芒硝)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사용함으로써 폐수의 발생량도 현저히 줄이고, 표면샌딩(sanding)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균일한 open-cell이 형성가능하여 퍼프액의 균일한 흡착 및 얼굴로의 전사가 가능하고 매끄러운 사용감(touch feel)을 가지며 연속생산(roll-to-roll) 방식으로 생산성이 증대되고 내오염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품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으나,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make-up) 화장품이 주종을 이루고 있고 그 용도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화장품으로는 메이크업 화장품으로서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분 형태의 파운데이션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볼터치 등에 사용되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는 마스카라, 아이라인, 립스틱 등이 있다. 이들 화장품들 중 소모성이 가장 많은 화장품으로는 파운데이션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파운데이션은 색조가 있는 분말 원료에 고착제, 유화제와 같은 성분을 혼합하고 일정의 온도에서 용융, 냉각시킨 다음 고형화된 파우더를 화장품 용기 내에 수납하고, 사용 시에 내부에 함침된 화장 용구인 퍼프를 이용하여 파우더를 묻혀 얼굴에 바르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고형의 파우더가 갖고 있는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인해 수분이 함유된 액상으로 개량하여 얼굴 화장의 용이성은 물론 화장에 따른 피부에 뭉침이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이 있게 화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콤팩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콤팩트, 즉 화장품 용기는 액상 파우더가 함침된 스펀지가 보관되는 내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며 그 상부에는 퍼프가 로딩되는 내부 캡과, 용기 본체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에 힌지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를 완전히 닫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커버부를 연 후, 내부 캡을 연 다음 퍼프를 이용해 스펀지의 액상 파우더를 흡인한 후 퍼프에 흡인된 액상 파우더를 얼굴에 발라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화장을 수행할 때, 액상 파우더를 함침하는 스펀지로는 폴리에스테르를 기반으로 한 폴리우레탄 폼인 에스테르 폼을 사용한다. 그러나, 에스테르 폼은 축축한 상황에서 부서지는 성향이 있고, 셀(Cell) 구조가 너무 작아서 공기 투과성이 낮으며 그 결과로 폭신함, 부드러움 및 유연성이 낮은 단점이 있어서, 특히 액상의 조성물을 함침시켰을 때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펀지에 함침된 액상 파우더의 분진 또는 부스러기에 의해 케이스들의 외측으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거나 튀기게 되어 내부 케이스 및 외부 케이스가 더러워질 수 있으며, 따라서 폼이나 케이스에 이물질이 잔존하여 오염의 우려가 있다.
최근에는 에어쿠션 폼(퍼프)이 유행인데, 대표적으로 합성고무의 일종인 NBR(Nitile Butadien Rubber)이 진동 파운데이션 뿐만 아니라 메이크업에서 많이 사용되며, 합성수지의 일종인 루비셀(Rubycell)은 폴리우레탄이란 합성 수지로서 block 응고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이가 최소 15mm 이상인 상자틀안에 폴리우레탄 배합액(망초(芒硝) 50 내지 500% 함유)을 넣고 응고조(물 100% 또는 DMF(dimethylformamide) 40%이하 농도 수용액)에 상자를 두께에 따라 최소 1일 최대 4-5주 동안 담구어 block center 내부의 폴리우레탄 용액까지 완전응고시키고, 응고가 진행되면서 DMF와 물 또는 수용액 사이에 모세관현상으로 치환반응이 일어나고 그 치환된 자리에 미세 다공층 cell이 형성된다. 이 때 첨가제로서 망초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우레탄 용액의 응고가 진행되면서 망초가 수용액 밖으로 빠져나오면서 응고된 시트 전체 두께에 cell이 골고루 균일하게 생성되고 시트상태가 매우 부드러운 장점이 있다. 이를 단면절단(slicing)하여 표면이 open-cell인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루비셀은 slicing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표면에 부스러기 오염이 전혀 없고 면평활성이 균일하여 부드러운 사용감(touch feel)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block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완전 응고되는데 시간이 매우 오래 걸려 생산성에 문제가 있으며, 연속생산(roll-to-roll)이 아닌 batch 생산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생산성이 떨어지고, slicing 공정시 두께편차가 발생해서 수율이 악화될 수 있으며, 망초를 대량으로 혼합하여 제조하기 때문에 망초가 빠져나온 폐수 처리를 위한 filtering 장치 및 정제시설 운용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후, 개발된 폼으로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예를 들어 Oxford 지 또는 PET 필름) 위에 폴리우레탄 배합액(망초 10 내지 500% 함유)을 코팅하여 응고 및 수세, 건조 공정을 거쳐 폴리우레탄 다공성 필름시트를 제조한 다음 표면을 샌딩(sanding) 또는 버핑(buffing)후 사용한 carrier film을 박리하여 표면이 open-cell인 다공성 세무 사용감(nubuck touch feel)을 수득할 수 있다. 이는 연속생산(roll-to-roll) 방식으로 연속 작업이 가능해서 생산성이 우수하고, 표면을 sanding함으로써 두께 편차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루비셀과 마찬가지로 망초 파우더를 대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망초슬러지 발생으로 인한 DMF의 정제운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많은 양의 폐수가 발생하며, 불완전하게 연마된 폴리우레탄 버핑가루가 잔존할 우려가 있어, 우레탄 조각 및 버핑가루 등이 빠져나와 퍼프액에 묻어남으로서 화장품으로서 부적합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무셀(no cell) 영역이 30% 이상되어 화장료가 불규칙적으로 오염되어 외관상 지저분할 뿐만 아니라 세균 감염의 우려가 있다. 또한 상층에 분첩액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퍼프내부로 계속 침투하여 침적되어 퍼프전체에 축축한 노폐물이 쌓여 각종 균번식 및 청결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block방식의 rubycell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부드러운 사용감을 부여하면서 분진 및 부스러기가 발생하지 않아 깔끔하고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생산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하던 중 폴리에스터 필름 위에 망초를 함유하지 않은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코팅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고 buffing 공정을 거치지 않고 표면이 아닌 배면을 slicing함으로써 매우 규칙적인 벌집모양의 규칙적인 다공층 표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드러운 사용감(touch feel)을 가지며 우수한 생산성 및 내오염성을 가지는 에어쿠션용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S1)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 내지 3 중량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0.2 내지 3 중량부, 안료 0.05 내지 2 중량부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 30 내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불소계 발수제를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S2)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인 폴리에스터 필름 표면에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코팅한 다음 응고, 수세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및
(S3)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배면층을 정밀기계로 0.05 내지 0.5mm의 두께로 정밀 슬라이싱(slicing)하여 다공성 표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2층 구조를 가지며, 이 때 상부층은 분첨액을 흡수 및 피부로 전사시키는 작용을 하고, 하부층은 퍼프 제조시 상부층의 형태 안정성 및 전체적인 형태 안정성을 보완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하부 경계로 인해 상부층의 퍼프액이 하부층으로 침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공정은 기존의 공정과 달리 폴리우레탄 필름의 코팅 표면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배면을 사용한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표면은 그물망 형태의 cell 구조를 가지며, 분첩액의 흡수량과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공정은 기존의 제법과 달리 망초를 사용하지 않고, cell의 길이 및 직경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면서 분첩액의 흡수량 및 사용감 조절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하부배면 표피층을 샌딩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정밀설비를 이용하여 0.1-0.5mm 정도를 정밀 slicing하여 사용함으로써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개념의 폴리우레탄 폼을 완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표면 cell의 크기(직경 size)를 폴리우레탄 수지의 배합비, 코팅 두께 및 응고조 농도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화장료의 흡수 정도 및 피부에 사용감(touch feel)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sanding 공정을 사용하지 않아 분진 및 부스러기의 발생 가능성이 없고 매우 깔끔하고 규칙적인 다공층 표면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제품의 단면 cell 구조)으로 길쭉한 항아리 형의 cell을 얻을 수 있어 액상의 화장료를 적절하게 묻힌 후 일정하게 얼굴에 바르는데 용이하고 액상 화장료를 골고루 흡수시킬 수 있어 표면의 오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얼룩이 덜 생겨 세척 회수를 줄일 수 있고 일상 사용시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cell의 분포도가 불규칙적인 기존 제품과 달리 표면의 cell 구조가 거의 일정한 그물망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오염성이 우수하고 일정한 품질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우레탄 배합액은 망초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 내지 3 중량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0.2 내지 3 중량부, 안료 0.05 내지 2 중량부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 30 내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불소계 발수제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카르복시산 염(RCOO-M+), 설폰산 염(RSO3 -M+), 인산에스테르 염(RPO3 -Na2 +) 등이 있으며, 특히 설폰산 염으로서 상품명 AF-101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계 발수제는 폴리우레탄 배합액에 선택적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이 때 2.0 중량부 이하의 양, 바람직하게는 0.00001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분지된 폴리다이메틸실록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안료(pigment)로는 카본 블랙, 티타늄 옥사이드, 유기안료 무기안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응고, 수세 및 건조단계는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응고공정은 10℃ 내지 40℃ 온도의 물이 담긴 응고조에서 5분 내지 30분 동안 응고시킬 수 있으며, 수세공정은 60℃ 내지 80℃ 온도의 물이 담긴 수세조에서 10분 내지 40분 동안 수세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60℃ 내지 70℃ 온도에서 20분 내지 40분 동안 건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망초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위에 코팅하여 수득된 폴리우레탄 필름은 0.1 내지 1.8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배면층, 즉 표면이 아닌 캐리어 필름의 접촉면을 슬라이싱(slicing)하여 벌집 모양에 가까운 규칙적인 배면 미세 다공층 표면을 수득할 수 있으며, 이 때 0.05 내지 0.5 mm의 두께로 슬라이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은 도 1 상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층의 두께는 0.1 내지 0.3mm이고, 하층의 두께는 0.2 내지 2.0mm이다. 이 때 상층은 퍼프액의 흡수액 및 전사 역할을 하며, 제조된 폴리우레탄 시트의 배면(뒷면)을 slicing 가공해서 제품 표면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박막이어도 일정한 크기의 cell구조가 표면으로 나올 수 있다(일반적인 습식폴리우레탄의 cell 구조는 항아리형으로서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형태임). 또한, 상층은 0.5mm 이하의 박막 두께구조로서 기존 퍼프와 달리 퍼프액의 퍼프제품 하단으로의 지나친 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최대침투 0.1 내지 0.5mm로서 퍼프액 절감되고, 내오염성이 향상되고, 항균성이 특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화장시 퍼프표면에 일정한 압력을 가했을 때 박막두께의 cell의 횡방향으로의 넓어짐-좁아짐을 반복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퍼프액의 흡수와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층제품의 박막으로 인한 시트 자체로 힘이 없어서 불안정한 퍼프 쿠션제를 제조할 때 문제가 있어 한 층(하층)을 더 입힘으로써 형태 가공성을 보완시켜 줄 수 있다.
한편, 망초를 사용하는 기존 제품은 도 1 하단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층 구조로 0.9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며, 최대침투는 상하 open 상태로 0.9mm 이상이어서, 퍼프액 소비가 클 뿐만 아니라 많은 퍼프액이 퍼프내부에 상시 잠겨있어 오염성에 문제가 있으며, 고습으로 인한 세균오염 가능성 많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필름의 하부층 슬라이싱으로 후가공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박막의 두께임에도 불구하고 표면이 일정크기 이상의 표면기공을 가질 수 있으며, 깔끔한 슬라이싱으로 인해 표면 기공이 크지만 매우 부드러운 세무감(touch)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퍼프의 사용감 및 부피감을 고려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슬라이싱된 배면층의 반대면에 부드러운 폴리우레탄 습식 폼을 합지 및 접착할 수 있다. 이 때 적용되는 습식 폼은 0.2 내지 1.0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공정에 의해 폴리우레탄 폼의 상단은 퍼프 기능을 가지며, 하단은 전체적인 쿠션감 및 퍼프 제조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공하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0.2 내지 2.0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화장용 퍼프, 아이새도 칩 등의 화장용 스펀지, 쿠션재, OA 기기용 롤러, 흡수 롤러, 도전 롤러, 잉크 롤러 등의 각종 롤러, 흡수 시트 등의 흡액 부재, 스와브, 의료용 스펀지, 약액 도포용 헤드 러버 등의 도포용 스펀지, 붓펜, 필터, 전자부품소재용 완충제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표면 cell의 크기(직경 size)를 폴리우레탄 수지의 배합비, 코팅 두께 및 응고조 농도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화장료의 흡수 정도 및 피부에 사용감(touch feel)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sanding 공정을 사용하지 않아 분진 및 부스러기의 발생 가능성이 없고 매우 깔끔하고 규칙적인 다공층 표면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제품의 단면 cell 구조)으로 길쭉한 항아리 형의 cell을 얻을 수 있어 액상의 화장료를 적절하게 묻힌 후 일정하게 얼굴에 바르는데 용이하고 액상 화장료를 골고루 흡수시킬 수 있어 표면의 오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얼룩이 덜 생겨 세척 회수를 줄일 수 있고 일상 사용시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필름은 cell의 분포도가 불규칙적인 기존 제품과 달리 표면의 cell 구조가 거의 일정한 그물망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품질 구현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2층 구조를 기존제품의 단일층구조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이 포함된 에어쿠션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단면 및 표면의 cell 균일도를 기존의 폴리우레탄 필름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AF-1-1 2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2 중량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1 중량부, 안료 1 중량부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 100 중량부를 혼합하여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제조하였다.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인 폴리에스터 필름 표면에 상기 제조된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코팅한 다음 30℃ 온도의 물이 담긴 응고조에서 15분 동안 응고시킨 다음 70℃ 온도의 물이 담긴 수세조에서 30분 동안 수세시키고 65℃에서 30분 동안 건조 처리하여 0.1 내지 1.8 mm 두께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배면층을 0.05 내지 0.5 mm 정도로 슬라이싱(slicing)하여 다공성 표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단면 및 표면의 cell 균일도를 기존의 폴리우레탄 필름과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에서 A는 기존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서 망초가 함유된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사용하여 block 응고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TOYO POLYMER사의 "RUBY-CELL")이고, B는 기존의 폴리우레탄 필름으로서 망초가 함유된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사용하여 연속생산 공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기존의 폴리우레탄 필름은 기공이 균일하지 않고 표면이 거친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종방향(제품의 단면 cell 구조)으로 길쭉한 항아리 형의 cell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표면이 매끈하고, 기공이 균일한 open-cell 형상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은 표면 cell의 크기(직경 size)를 폴리우레탄 수지의 배합비, 코팅 두께 및 응고조 농도를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화장료의 흡수 정도 및 피부에 사용감(touch feel)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sanding 공정을 사용하지 않아 분진 및 부스러기의 발생 가능성이 없고 매우 깔끔하고 규칙적인 다공층 표면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종방향(제품의 단면 cell 구조)으로 길쭉한 항아리 형의 cell을 얻을 수 있어 액상의 화장료를 적절하게 묻힌 후 일정하게 얼굴에 바르는데 용이하고 액상 화장료를 골고루 흡수시킬 수 있어 표면의 오염을 제어할 수 있으며, 얼룩이 덜 생겨 세척 회수를 줄일 수 있고 일상 사용시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필름은 cell의 분포도가 불규칙적인 기존 제품과 달리 표면의 cell 구조가 거의 일정한 그물망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오염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품질 구현이 가능하다.

Claims (7)

  1.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S1) 폴리우레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1 내지 3 중량부,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0.2 내지 3 중량부, 안료 0.05 내지 2 중량부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 30 내지 12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불소계 발수제를 2.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S2) 캐리어 필름(carrier film)인 폴리에스터 필름 표면에 상기 단계 (S1)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배합액을 코팅한 다음 응고, 수세 및 건조 공정을 수행하여 폴리우레탄 필름을 수득하는 단계; 및
    (S3) 상기 단계 (S2)에서 제조된 폴리우레탄 필름의 배면층을 슬라이싱(slicing)하여 다공성 표면을 가지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에서 수득된 폴리우레탄 필름은 0.1 내지 1.8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에서 폴리우레탄 필름의 배면층의 0.05 내지 0.5 mm의 두께를 슬라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3)에서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슬라이싱된 배면층의 반대면에 폴리우레탄 습식 폼을 추가로 합지 또는 접착하여 2층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6. 제 5 항에 있어서,
    0.5 내지 1.5 m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7. 제 5 항에 따른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화장용 퍼프, 화장용 스펀지, 쿠션재, OA 기기용 롤러, 흡수 롤러, 도전 롤러, 잉크 롤러, 흡수 시트, 스와브, 의료용 스펀지, 약액 도포용 헤드 러버, 붓펜 또는 필터, 전자부품용 완충제에 이용하는 방법.
KR1020160069682A 2016-06-03 2016-06-03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KR101789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82A KR101789751B1 (ko) 2016-06-03 2016-06-03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682A KR101789751B1 (ko) 2016-06-03 2016-06-03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751B1 true KR101789751B1 (ko) 2017-10-25

Family

ID=6029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682A KR101789751B1 (ko) 2016-06-03 2016-06-03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762B1 (ko) 2018-11-15 2019-05-2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이중 도포스타일을 갖는 화장용 퍼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17B1 (ko) * 2014-03-20 2015-05-04 정행수 습식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폼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폼테이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117B1 (ko) * 2014-03-20 2015-05-04 정행수 습식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폼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되는 폼테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762B1 (ko) 2018-11-15 2019-05-27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이중 도포스타일을 갖는 화장용 퍼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848C (zh) 剥离式面膜
JP6508815B2 (ja) 化粧料塗布具
TWI617261B (zh) 用於包含供於應用的海綿之化妝品組合物的容器
CN102481044A (zh) 化妆用涂抹器具
KR101751445B1 (ko) 실리콘 퍼프
CN116725309A (zh) 包括非透过层的化妆品组合物涂抹工具
KR101599236B1 (ko) 연속식 분첩용 스펀지 시트 제조방법
KR20170114231A (ko) 자당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화장용 도포구의 제조방법
US20210000703A1 (en) Multiple durometer cosmetic pad
KR20160003993U (ko) 화장용 퍼프
KR101789751B1 (ko) 생산성 및 내오염성이 향상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에어쿠션용 다공성 폴리우레탄 필름
WO2011087124A1 (ja) 化粧用チップ
KR100861346B1 (ko) 피혁원단의 습식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101743610B1 (ko) 화장용 퍼프
KR100915973B1 (ko) 피연마체의 표면 연마용 폴리우레탄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949681B1 (ko) 분첩용 스펀지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80490A (zh) 包括具有层结构的一体型海绵的化妆品组合物载体
KR101006208B1 (ko) 액상화장품용 퍼프 제조방법
KR20060091770A (ko) 나노항균 금속과 이산화티타늄 파우더 항균을 이용한 항균퍼프 제조방법
JP2004267277A (ja) 化粧用スポンジとその製造方法
KR101758075B1 (ko) 연속식 화장품 분첩용 우레탄 폼 시트의 제조방법
JP2000152817A (ja) 化粧用塗布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19991A (ko) 비투과성 항균 폴리우레탄 필름을 이용한 화장용 도포구 제조방법
KR20180009588A (ko) 화장용 퍼프
KR920010719B1 (ko) 은층형 스웨드(suede)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