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718B1 -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 Google Patents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718B1
KR101789718B1 KR1020150136126A KR20150136126A KR101789718B1 KR 101789718 B1 KR101789718 B1 KR 101789718B1 KR 1020150136126 A KR1020150136126 A KR 1020150136126A KR 20150136126 A KR20150136126 A KR 20150136126A KR 101789718 B1 KR101789718 B1 KR 101789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reservation
liquid composi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057A (ko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김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열 filed Critical 김광열
Priority to KR102015013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718B1/ko
Publication of KR20170037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 A01N3/02Keeping cut flowers fresh chemical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6Devices for preserv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00Preservation of plants or parts thereof, e.g. inhibiting evaporation, improvement of the appearance of leaves or protection against physical influences such as UV radiation using chemical compositions; Grafting wax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줄기를 보존용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 및 물올림이 완료된 상기 절화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물 30 ~ 80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METHOD FOR PRESERVING CUT-FLOWERS BY USING WATER ABSORPTION AND LIQUID AGENT USED THEREFFOR}
본 발명은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안개꽃 등의 생화를 보존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드라이플라워와 보존화 처리방법 등이 있다. 드라이플라워(Dried Flower)는 절화된 꽃을 수분을 차단하고 공기중 혹은 건조기에서 건조하는 방법이다. 드라이플라워법은 처리가 쉽고 가격이 저렴하여 간편하게 제작되고 있으나, 건조 중에 수축이 발생하여 원래의 꽃이 갖는 형태가 변형되어 외관이 저하되며, 건조 후에는 접촉에 의해 쉽게 부스러지므로 취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보존화(Preserved Flower)는 시들기 쉬운 생화의 색상이나 꽃 형태를 오랫동안 유지시킴으로써 꽃이 갖는 아름다움을 오랫동안 감상하고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대안방법으로서 도입되었다. 보존화의 원리는 생화가 갖는 수분을 단시간 내에 배출시키고 보존용액으로 대체함으로써, 꽃의 형태와 질감은 그대로 유지하고 여기에 필요한 색을 물들이는 것이다. 보존화 처리 방법으로는 절화된 꽃을 용액에 침지하여 탈수·탈색을 하고 염색을 실시하는 방법과, 절화된 꽃이 물올림을 할 수 있도록 하되, 물 대신 보존용액을 물올림하여 꽃이 보존화가 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다. 전자의 경우, 침지방식이므로 절차가 번거롭고, 건조시간도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생화와 같이 외관 품질이 좋으나, 가격이 비싸고 제작기간이 7일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길며, 습기에 의해 염료가 배어 나와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럼에도, 물올림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보존 및 건조시키기 간편하므로 다른 방식에 비해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기존에 글리세린만을 사용하는 경우, 습기에 의해 용액이 배어 나오고 화랑곡나방의 애벌레가 상당수 발생하여 꽃이 갉아먹히는 현상도 보고되고 있다.
* 관련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 10-0902014/0902015호(2009.06.15. 공고)
일본 공개특허 2014-218452호(2014.11.20. 공개)
한국 공개특허 2008-0020034호(2008.03.05.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한 것으로, 드라이플라워와 보존화처리의 특성을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드라이플라워와 보존화의 장점을 갖는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목적은, 액상조성물을 갖는 물올림액만으로도 누구나 간편하게 보존화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목적은, 보존화 처리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키면서도 염료가 외부로 쉽게 배어 나오지 않는 액상조성물을 제시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줄기를 보존용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 및 물올림이 완료된 상기 절화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물 30 ~ 80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글리세린(glycerin) 1 ~ 50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염료 0.3 ~ 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에틸알콜 0.3 ~ 3중량부, 단당류 0.5 ~ 3중량부 및 이당류 0.5 ~ 3중량부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염료 0.3 ~ 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에 의하면,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하는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물올림함으로써 일주일 정도 소요되는 기존의 경우에 비해 하루 또는 이틀만에도 반건조 드라이플라워 또는 반건조보존화를 완성시킬 수 있다. 보존처리된 꽃은 드라이플라워와 보존화의 중간성격을 갖는다. 즉, 보존화의 장점인 꽃의 수축이나 부서짐과 같은 현상이 없고 보존화와 유사한 촉감이 있으며, 건조화적인 성격으로 인해 습기에 의한 이염(염료가 배어 나오는 것)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존화가 제한되는 습한 환경(예; 장마철, 꽃집의 실내, 제주도 등 도서지역 등)에서도 작업 및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액상조성물은 물올림만으로도 짧은 시간에 보존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보존화의 대량 생산에 유리하며, 취급성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액상조성물을 통하여 물올림을 실시한 결과 사진들을 3가지 대상화에 대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비교하여 보인 도표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른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은,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와, 줄기를 보전용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한 후, 물올림이 완료된 절화를 건조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에서는 물올림이 어려운 마른 부분이나 꺽인 부분, 잎맥이나 줄기의 관다발이 손상된 부위 등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물올림이 완료된 이후 절화를 건조하는 과정에서 물올림이 되지 않은 부위를 선별하여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줄기를 보전용 보존용 액상조성물에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에서는 미리 준비된 보존용 액상조성물에 물올림이 가능한 정도로 줄기를 담근다. 균일한 깊이로 담기거나 여러 화초들을 한꺼번에 물올림을 할 수 있도록 부수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부수장치는 화초를 고정하는 수단이나, 하나의 화초라도 줄기마다 서로 다른 색을 갖는 보존화를 제작하거나 여러 화초간에 색을 달리하기 위해 보존용 액상조성물이 담기는 용기들을 구별하여 거치하거나, 화초들을 고정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용기에 고인 형태 외에도 펌프류에 의해 흐르거나 자동으로 공급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물올림의 실시 및 건조과정은 자동화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자동화 장치는 보존용 액상조성물의 공급부와 연결된 물올림조와, 절화를 일정한 양만큼 잡아 정렬시키는 정렬 홀더와, 정렬 홀더를 이동시켜 물올림조에 줄기 부분이 담글 수 있도록 하고, 물올림이 완료된 절화의 정렬 홀더를 건조부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 이송제어부와, 자연공기의 통풍이나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송풍할 수 있게 구성된 건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제어부는, 경우에 따라 물올림이 완료된 절화를 일정한 각도(비스듬하거나, 세우거나, 거꾸로 뒤집는 것 등)로 자세를 유지시키는 제어 요소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물 30 ~ 80중량부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글리콜은 글리세린과 유사한 보습능력을 보유하면서도 물에 잘 용해되고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며 발효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글리세린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염료가 줄기나 꽃잎으로부터 배어나오는 이염현상이 거의 없어 보존화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물올림중의 절화는 증산을 통하여 수분을 배출하고 프로필렌글리콜 용액을 흡수하여 내부를 채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절화는 반건조 드라이플라워 또는 반건조 보존화가 된다. 프로필렌글리콜 용액은 글리세린보다 용해성이 우수하므로 물올림성에 있어서 글리세린 용액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물올림 시간을 하루 또는 이틀 이내에 보존처리에 적합한 상태가 될 정도로 획기적으로 단축시킨다. 또한, 수분을 함유하는 듯한 부드러움으로 인해, 본 발명과 관련된 보존용 액상조성물에 의해 물올림된 절화는 건조화와 달리 꽃의 부서짐이 발생이 거의 없다.
보존처리시 원하는 색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염료 0.3 ~ 15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염료의 색상은 꽃의 종류나 선택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보습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글리세린(glycerin) 1 ~ 50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에틸알콜 0.3 ~ 3중량부, 단당류 0.5 ~ 3중량부 및 이당류 0.5 ~ 3중량부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염료는 0.3 ~ 1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액상조성물을 통하여 물올림을 실시한 결과 사진들을 3가지 대상화에 대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비교하여 보인 도표들이다. 대상화1 내지 대상화3은 모두 안개꽃과 강아지풀 및 상대적으로 잎이 두꺼운 나무의 절화를 공통적으로 사용하였다. 초기상태에서 모두 초록색의 줄기나 잎색깔이며, 꽃잎의 색은 흰색이었다. 대상화1을 물올림하기 위한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빨강색 염료가 포함된 것이고, 대상화2를 물올림하기 위한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보라색 염료가 포함된 것이며, 대상화3을 물올림하기 위한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녹색 염료가 포함된 것이다.
물올림이 시작된 때부터 2시간이 경과한 후 도 2와 같이, 각 염료의 색이 발현되는 것이 관찰된다. 12시간이 경과한 후, 대상화1 내지 대상화3은 각 염료의 색은 더욱 진한색으로 바뀌고 있으며, 프로필렌글리콜용액은 절화의 수분을 배출시키고 상당부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4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도 3의 2일 경과된 것들과 색의 농도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물올림의 완성이 대부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3일 이후 7일까지 계속 관찰된 결과들도 마찬가지였다.
[실시예 1]
80㎖의 물에 프로필렌 글리콜 10㎖을 혼합하고, 붉은색 염료 3㎖를 혼합하여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30분 이후부터 붉은색의 발현이 관찰되고, 24시간 정도까지 붉은색의 농도가 짙어진 후 큰 변화가 없었다.
물 8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및 염료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보존용 액상조성물.
[실시예 2]
70㎖의 물에 프로필렌 글리콜 30㎖을 혼합하고, 붉은색 염료 3㎖를 혼합하여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50분 이후부터 붉은색의 발현이 관찰되고, 30시간 정도까지 붉은색의 농도가 짙어진 후 큰 변화가 없었다.
물 7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30중량부 및 염료 3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보존용 액상조성물.
[실시예 3]
50㎖의 물에 프로필렌 글리콜 40㎖을 혼합하고, 붉은색 염료 5㎖를 혼합하여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50분 이후부터 붉은색의 발현이 관찰되고, 약 40시간 정도까지 붉은색의 농도가 짙어진 후 큰 변화가 없었다.
물 5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40중량부 및 염료 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보존용 액상조성물.
[실시예 4]
35㎖의 물에 프로필렌 글리콜 50㎖을 혼합하고, 보라색 염료 1㎖를 혼합하여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1시간 이후부터 보라색의 발현이 관찰되고, 약 48시간 정도까지 보라색의 농도가 짙어진 후 큰 변화가 없었다.
물 35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50중량부 및 염료 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보존용 액상조성물.
[실시예 4]
50㎖의 물에 프로필렌 글리콜 10㎖ 및 글리세린 10㎖을 혼합하고, 붉은색 염료 3㎖를 혼합하여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40분 이후부터 붉은색의 발현이 관찰되고, 약 30시간 정도까지 붉은색의 농도가 짙어진 후 큰 변화가 없었다. 절화의 줄기 및 꽃잎은 상대적으로 수축이 적었다.
물 5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및 염료 1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보존용 액상조성물.
[실시예 5]
50㎖의 물에 프로필렌 글리콜 10㎖, 글리세린 10㎖, 에틸알콜 2㎖을 혼합하고, 붉은색 염료 2㎖를 혼합하여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25분 이후부터 붉은색의 발현이 관찰되고, 약 24시간 정도까지 붉은색의 농도가 짙어진 후 큰 변화가 없었다. 절화의 줄기 및 꽃잎은 상대적으로 수축이 적었다.
물 5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에틸알콜 2 중량부 및 염료 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보존용 액상조성물.
[실시예 6]
50㎖의 물에 프로필렌 글리콜 10㎖, 글리세린 10㎖, 에틸알콜 2㎖ 및 과당 2㎖을 혼합하고, 보라색 염료 10㎖를 혼합하여 보존용 액상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약 15분 이후부터 보라색의 발현이 관찰되고, 약 12시간 정도까지 보라색의 농도가 짙어진 후 큰 변화가 없었다. 절화의 줄기 및 꽃잎은 상대적으로 수축이 적었으며, 줄기나 꽃잎의 윤택도 큰 변화가 없었다.
물 5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 10중량부, 글리세린 10중량부, 에틸알콜 2 중량부, 과당 2 중량부 및 염료 1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보존용 액상조성물.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은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줄기를 절단한 절화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줄기를 보존용 액상조성물에 부분적으로 담그고 물올림을 실시하는 단계; 및
    물올림이 완료된 상기 절화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물 30 ~ 8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 ~ 50 중량부; 및
    염료 0.3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에틸알콜 0.3 ~ 3중량부, 단당류 0.5 ~ 3중량부 및 이당류 0.5 ~ 3중량부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5. 삭제
  6. 절화를 부분적으로 담궈 물올림에 의하여 보존처리할 수 있게 조성되는 보존용 액상조성물로서,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물 30 ~ 80중량부;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5 ~ 50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 ~ 50 중량부; 및
    염료 0.3 ~ 15중량부를 포함하는,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용 액상조성물은,
    에틸알콜 0.3 ~ 3중량부, 단당류 0.5 ~ 3중량부 및 이당류 0.5 ~ 3중량부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10. 삭제
KR1020150136126A 2015-09-25 2015-09-25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KR101789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26A KR101789718B1 (ko) 2015-09-25 2015-09-25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126A KR101789718B1 (ko) 2015-09-25 2015-09-25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057A KR20170037057A (ko) 2017-04-04
KR101789718B1 true KR101789718B1 (ko) 2017-10-23

Family

ID=58588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126A KR101789718B1 (ko) 2015-09-25 2015-09-25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7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248A (ko) 2018-11-01 2020-05-11 (주)아모레퍼시픽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및 수분 손실 억제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231B1 (ko) * 2019-10-08 2021-12-06 최규호 절화 보존화 용액 및 이를 이용한 절화 처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984B1 (ko) * 2008-10-14 2009-09-14 이진희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및 식물의 처리방법
JP5201678B2 (ja) * 2008-12-09 2013-06-05 パネフリ工業株式会社 切花延命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984B1 (ko) * 2008-10-14 2009-09-14 이진희 식물보존용 액상조성물 및 식물의 처리방법
JP5201678B2 (ja) * 2008-12-09 2013-06-05 パネフリ工業株式会社 切花延命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248A (ko) 2018-11-01 2020-05-11 (주)아모레퍼시픽 수크로스, 인돌-3-아세트산 및 로즈힙 열매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절화의 수명 연장 및 수분 손실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057A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60610B (zh) 一种永生月季花的加工方法
JPS6141481B2 (ko)
CN108174844A (zh) 一种永生月季花的制作工艺
KR101789718B1 (ko)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조성물
US8819990B2 (en) Preservation of plant material
KR100851211B1 (ko) 절화를 원형 그대로 장기간 시들지 않게 보존처리하는방법과 과정
CN101925298B (zh) 由易变色的花卉类制造不变色的干燥花卉类的方法
KR20190119875A (ko) 드라이 플라워의 처리 방법
KR101855329B1 (ko) 절화의 물올림에 의한 착색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Karmakar et al. Processing of Nephrolepis exaltata with glycerine to enhance shelf life by drying
KR101865760B1 (ko) 해충 기피성을 갖는 절화의 보존처리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액상 조성물
Malakar et al. Standardization of dehydration techniques of some Ornamental Foliages
JP6058462B2 (ja) プリザーブドフラワーの製造方法
JP4584670B2 (ja) 生花保存処理方法
Jhanji et al. Improving the shelf life of cut foliage through glycerinization
CN109497046A (zh) 一种干燥玫瑰鲜花的化学保色方法
KR101714452B1 (ko) 생화착색보존용 액상처리제 및 생화착색보존처리방법
RU2698058C1 (ru) Метод консервации и/или окрашивания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ключая срезанные цветы
Kumari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preservation methods to produce dried flowers of rose and statice
CN115568464B (zh) 一种竹标本的制作方法
JP3664521B2 (ja) 生花類乾燥物の製造法
KR101113553B1 (ko) 꽃받침 보존이 가능한 보존화 제조방법
Yadav et al. Effect of glycerine on drying of cut foliage of Polystichum squarrosum (D Don) Fee
Yadav et al. Effect of glycerine for drying of cut foliage of Peltophorum ferrugineum
KR20170062900A (ko) 변색 방지 효과를 갖는 식물 염색용 염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