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916B1 -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916B1
KR101788916B1 KR1020150028342A KR20150028342A KR101788916B1 KR 101788916 B1 KR101788916 B1 KR 101788916B1 KR 1020150028342 A KR1020150028342 A KR 1020150028342A KR 20150028342 A KR20150028342 A KR 20150028342A KR 101788916 B1 KR101788916 B1 KR 10178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ontal ligament
periodontal
differentiation
cementum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627A (ko
Inventor
박주철
정한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8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916B1/ko
Priority to PCT/KR2016/001912 priority patent/WO2016137267A2/ko
Publication of KR2016010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ell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주인대 세포의 이동을 자극하고, 백악모세포의 분화 및 무기질화를 촉진할 수 있는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 분화촉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 분화촉진용 키트,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분화용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주인대를 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이용하면, 치아조직을 형성하는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조직의 퇴화를 유도하는 치성강직부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치주질환을 효과적인 치료할 수 있는 제제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 comprising preameloblast-conditioned medium}
본 발명은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치주인대 세포의 이동을 자극하고, 백악모세포의 분화 및 무기질화를 촉진할 수 있는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 분화촉진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 분화촉진용 키트,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분화용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주인대를 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주조직(periodontium)은 상피조직, 연조직성 결합조직 및 석회화된 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복합기관이다. 치주조직의 구조로는 치은(gingiva), 치주인대(PDL: periodontal ligament), 백악질(cementum) 및 치조골(alveolar bone)이 있다. 치은 섬유아세포(gingival fibroblast)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는 치은연조직성 결합조직의 주요 세포 구성 성분이며,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형성하고 이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 치은 섬유아세포는 주로 치은 결합조직을 유지하는 데 관여하는 반면,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는 그 특유 기능으로 치주인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생체 내에서의 인접 치조골 및 백악질의 수복과 재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이 발생하면 임상적으로 치은 출혈과 종창,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으로 치아의 상실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치주질환의 원인으로서는 국소적 요인과 전신적 요인이 있는데, 국소적 요인으로 치태가 치주낭 내에 기계적으로 축적되면 주변에 존재하는 세균들의 서식처가 되며 이러한 서식은 점차 호기성, 통기성, 그람 양성 세균에서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으로 점차 이행되며, 치주낭의 심부로 증식되게 된다. 이때 증식된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으로 점차 이행되며, 치주낭의 심부로 증식되게 된다. 이때 증식된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의 독소 및 모든 산물이 직접 조직을 파괴하거나 면역계를 자극하여 자극된 면역계에서부터 여러 가지 작용에 의하여 치주조직파괴와 더불어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방어기전으로서 다형핵 백혈구의 기능과 면역반응이 전신적인 요인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근원적인 인자인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 및 정균작용과 이들 세균의 독성산물을 제거하고 파괴, 소실된 치주조직을 원상 회복시키는 것이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는 1920년대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특히, 구미 각국에서는 항생제 및 화학요법제를 이용한 치태제거에 주력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는 치태내에 존재하는 세균 중 치주병인균의 윤곽이 밝혀지고 있는 1970년 이후에 더욱 활발히 개발되어 페놀성 화합물 제제인 리스테린, 4급 암모니움 화합물 제제인 스코푸, 클로르헥시딘 제제인 페리덱스 등이 현재 구미에서 시판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수입 판매되고 있다. 제제중 리스테린이나 스코푸는 화학요법 제제로 부작용이 경미한 반면 치태 제거 및 항균효과가 월등하지 못한 실정이고, 클로르헥시딘 제제인 페리덱스는 상당히 효과적으로 치태제거 및 항균작용을 보이나 부작용이 심하여 통상 사용하는 0.12% 농도에서도 구강 점막 궤양, 박리성 치은염 유발, 착색 등이 나타나고, 장기간 사용할 시 구강건조증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치주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는 치주질환의 원인균을 제거하는 과정 뿐만 아니라 치주조직을 재생하는 과정이 함께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처럼 치주조직을 효과적으로 재생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등록특허 제1179476호에는 인간치주인대 (hPDL) 세포의 광물화 과정에서 높게 발현되는 전골수구성 백혈병 아연 손가락(PLZF) 유전자, Fk506 결합 단백질 5(FKBP5) 유전자, 혈청 아밀로이드 A1(SAA1) 유전자, 지방산 결합 단백질 4(FABP4) 유전자, 서열 유사성을 갖는 계열 A(FAM107A) 유전자, 코린(CORIN) 유전자, ras-관련 C3 부톨리눔 독소 기질 3(RAC3) 유전자 또는 프로락틴-유도된 단백질(PIP) 유전자 및 인간치주인대 (hPDL) 세포의 광물화 과정에서 낮게 발현되는 FNDC1, PTGS2, RSAD2, NPTX1, VCAM1, MX1, IFIT1, CLDN1 또는 WISP2 유전자가 개시되어 있다.
치주질환을 치료하는 궁극적인 결과는 손상된 결합조직과 뼈를 복원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하여는 뼈를 지지하는 치주인대를 재생시키거나 또는 이를 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는 치주인대를 직접적으로 재생하거나 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보고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치주인대를 재생 또는 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사용하면 치주인대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켜서 치주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분화용 배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주인대를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치주인대를 재생 또는 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법랑모세포에 주목하게 되었다. 상기 법랑모세포는 치아의 법랑질을 형성하고, 법랑질의 유기기질을 분비하며, 법랑질 석회화 과정에도 관여하지만, 일단 치아가 형성된 후에는 치아로부터 제거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또한 치아의 발생과정에서 치아상피세포(dental epithelial cell)는 장차 법랑모세포로 분화하게 되는데, 이 치아상피세포가 치주인대와 백악질을 포함한 치주조직의 발생과도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상기 법랑모세포로부터 유래된 성분이 치주질환에 의하여 손상된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상기 법랑모세포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이 치주인대의 재생 또는 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상기 법랑모세포의 배양액은 치주인대 세포의 이동성을 촉진시킬 수 있고, 백악모세포세포주(OCCM-30)의 분화 및 무기질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치주질환에 의하여 손상된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키고, 치아의 퇴화를 유도하는 치성강직부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법랑모세포의 배양액은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법랑모세포 배양액이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키는 효과는 종래에 전혀 공지되지 않았고, 본 발명자에 의하여 최초로 규명되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양태로서 법랑모세포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법랑모세포(preameloblast)"란, 치아의 법랑질을 형성하고, 법랑질의 유기기질을 분비하며, 법랑질 석회화 과정에도 관여하는 외배엽성 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법랑모세포는 법랑질을 형성할 때 유기기질과 무기질을 동시에 분비하여 부분 무기질화된 상태로 존재하다가 성숙해감에 따라 높은 함량의 유기기질을 제거하고 석회화 기질 성분을 높여가는 형태로 법랑질을 석회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법랑모세포는 법랑질 형성 후에 퇴화되어 성인에서의 치아에서 일반적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치아가 손상되었을 때 손상된 치아의 재생에 관여할 수 없다. 다만 법랑모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치아상피세포의 경우 치은의 접합상피(junctional epithelium)의 형태로 일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법랑모세포 배양액"이란, 법랑모세포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상등액을 의미한다. 상기 법랑모세포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상등액에는 상기 법랑모세포가 배양되면서 분비한 다양한 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이용하면 치주질환에 의하여 손실된 치주인대 뿐만 아니라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켜서, 결과적으로는 치주질환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의 구강조직으로부터 수득한 법랑모세포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상등액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법랑모세포 배양액으로, 마우스 유래 법랑모세포의 일종인 ABCs(apical bud cells)를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상등액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용어 "치주인대(periodontal ligament, PDL)"란, 치근막이라고도 호칭되며, 포유류에서 치근의 백악질과 치조골벽을 결합하는 결합조직성 섬유막을 의미한다. 상기 치주인대는 치아의 장축에 대해 평행 또는 비스듬히 뻗는 교원섬유인 주섬유와 이것에 연속하여 양끝이 경조직에 묻혀있는 샤피(Sharpey)섬유의 다발로 구성되며, 치주인대를 통하여 치아가 탄성적으로 턱뼈에 고착된다. 상기 치주인대는 음식물을 씹을 때 생기는 압력을 완충할 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신경이 풍부하며 영양공급이나 감각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치주인대는 치수와 구별되는데, 상기 치수는 치아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아질을 형성하는 상아모세포 및 신경혈관을 포함하는 결합조직을 의미하는 반면, 상기 치주인대는 치아의 외부에서 치아와 턱뼈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그의 위치, 구성 및 기능면에서 완전히 구별된다.
본 발명의 용어 "백악질(cementum, 白堊質)"이란, 포유동물의 치아 뿌리(치근齒根)와 기타 일부를 덮고 있는 뼈가 약간 변형된 형태의 얇은 막을 의미한다. 상기 백악질은 50%의 무기질 및 50%의 수분-유기질로 구성되고, 노란색을 띠고 있으며 상아질이나 에나멜질보다 낮은 경도를 나타낸다. 상기 백악질은 치아를 치조골에 고정시키는 치주인대 섬유질을 포함하는데, 세균이 잇몸에 감염되면 치아를 둘러싼 백악질의 변성이 일어나고, 변성된 백악질에는 치아와 치조골을 연결해주는 치주인대 섬유질이 달라붙지 못해서 치아가 흔들리게 된다. 이러한 백악질의 변성을 치료하기 위하여는 변성된 백악질을 제거하고 새로운 백악질의 형성을 촉진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 이란, 풍치라고도 하며, 치은(잇몸)과 치아 사이의 틈에 박테리아가 감염되어 치주인대와 인접조직을 손상시키는 질환을 의미하는데, 병증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된다. 상기 치주질환의 발병시 염증이 진행되어 더 많은 조직이 손상되면서 치주낭(periodontal pocket)이 형성되고, 치주염이 심할수록 치주낭의 깊이가 깊어지게 되는데, 치주낭이 깊어지면서 치주인대에 염증이 생기게 되고 최종적으로는 골소실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법랑모세포 배양액(preameloblast-conditioned medium, PA-CM)을 제조하고, 이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치주인대 세포의 이동성을 촉진시킬 수 있고(도 1 및 2), 백악모세포(OCCM-30)의 분화 및 무기질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도 3a 내지 3f), 동물실험을 통하여, 치주질환에 의하여 손상된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키고, 치아의 퇴화를 유도하는 치성강직부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도 7 내지 11)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은 치주질환에 의해 손상된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하는 조성물 또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 분화촉진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자연적 또는 비자연적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치주질환이 유발된 부위에 투여할 수 있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콜라겐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특히,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된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의 함량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최종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용어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의학적 치료 또는 예방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질환의 중증도, 약물의 활성,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성별, 환자의 약물에 대한 민감도, 사용된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사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과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독으로로 투여하거나 공지된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과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목적, 질환의 중독도,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기왕력, 또는 유효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물질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성인 1인당 약 0.1 ng 내지 약 100 mg/kg, 바람직하게는 1 ng 내지 약 10 mg/kg로 투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빈도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1일 1회 투여하거나 또는 용량을 분할하여 수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약학 조성물을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치주질환이 발병된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란 치주질환의 치료가 요구되는 쥐, 가축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 등을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질환이 발명된 개체 중에서 인간을 제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치료"란, 본 발명의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치주질환의 치료가 요구되는 개체에 투여하여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치주질환의 치료가 수행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도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목적하는 바에 따라 구강내 투여 또는 구강내 주사 등의 경로를 통해 투여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법랑모세포 배양액은 치주인대 세포의 이동성을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주질환에 의하여 손상된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은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키트는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주질환의 발병에 의하여 손상되는 치주인대 및 백악질을 재생 또는 분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하는 키트는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 외에도 테스트 튜브,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주사용기,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분화용 배지 조성물 및 상기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주인대를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법랑모세포 배양액은 치주질환에 의하여 손상된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법랑모세포 배양액은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로부터 치주인대를 분화시키기 위한 분화용 배지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분화용 배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주인대를 분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치주인대의 분화방법은 상기 치주인대 분화용 배지 조성물에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백악질은 분화된 백악모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백악질 형성의 시작은 치근이 형성되기 시작하는 HERS(Hertwig’s epithelial root sheath; Hertwig 상피치근집) 부위로부터 시작된다. HERS는 치아상피세포에서 유래된 내치아상피세포(inner dental epithelial cell)와 외치아상피세포(outer dental epithelial cell)의 두 층으로 구성된 구조물이다. 상기 백악모세포는 치아주머니(dental follicle)로부터 유래된 세포가 HERS세포의 유도신호를 받아 분화된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치근형성이 시작되는 부위에서 치아상피세포에서 유래된 HERS는 치아주머니세포를 백악모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는데, HERS는 발생과정 중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구조물이기에 완성된 성인의 치아에서는 이 HERS를 백악질 재생에 이용하기 어렵다. 또한, 법랑모세포는 치관부에서 치아상피세포로부터 분화된다고 알려져 있다. 결국, 법랑모세포의 기원인 치아상피세포는 HERS의 기원이기도 하기 때문에 백악모세포 분화와 백악질 재생에 있어서 HERS대신 법랑모세포를 이용해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이용하면, 치아조직을 형성하는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아조직의 퇴화를 유도하는 치성강직부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치주질환을 효과적인 치료할 수 있는 제제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PA-CM에 의한 PDL 세포의 이동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처치료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PA-CM에 의한 PDL 세포의 이동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트랜스웰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대조군에 비하여 PA-CM이 처리된 경우에는, PDL 세포의 이동수준이 약 5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3a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의 무기질화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b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Osx(Osterix)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d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OC(Osteocalcin)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e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Bsp(Bone sialoprotein)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f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Cap(cementum attachment protein)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재식술 대상부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서, CO는 이식된 치근인 관상부를 나타내고, AP는 치주인대가 남아있는 첨단부를 나타낸다.
도 5는 잡종견의 치아를 이용한 일련의 재식과정의 시술단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재식된 치아조직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4주째 재식된 치아의 미세사진으로서, 도 7의 A는 양성대조군을 나타내고, B는 음성대조군을 나타내며, C 및 D는 실험군을 나타내고, Ab는 치조골을 의미하고, De는 상아질을 의미하며, Ce는 백악질을 의미하고, Pd는 치주인대를 의미하며, nCe(흰색 화살표)는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 유사조직을 의미하고, nPd는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을 의미하며, (*)는 표면 흡수 부위를 나타내고, 검은색 화살표는 치성강직부(대체 흡수부)를 나타낸다.
도 8은 4주째 재식된 치아의 다른 미세사진으로서, A 및 B는 양성대조군을 나타내고, C 및 D는 음성대조군을 나타내며, E 및 F는 실험군을 나타내고, Ab는 치조골을 의미하고, De는 상아질을 의미하며, Ce는 백악질을 의미하고, Pd는 치주인대를 의미하며, nPd는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을 의미하고, 검은색 화살표는 치성강직부(대체 흡수부)를 나타낸다.
도 9는 8주째 재식된 치아의 미세사진으로서, 도 9의 A는 양성대조군을 나타내고, B는 음성대조군을 나타내며, C 및 D는 실험군을 나타내고, Ab는 치조골을 의미하고, De는 상아질을 의미하며, Ce는 백악질을 의미하고, Pd는 치주인대를 의미하며, nCe(흰색 화살표)는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 유사조직을 의미하고, nPd는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을 의미하며, (*)는 표면 흡수 부위를 나타내고, 검은색 화살표는 치성강직부(대체 흡수부)를 나타낸다.
도 10은 재식후 4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음성대조군 또는 실험군의 치근에 포함된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대체흡수가 수행된 치성강직부 및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재식후 8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음성대조군 또는 실험군의 치근에 포함된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대체흡수가 수행된 치성강직부 및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법랑모세포 배양액( preameloblast - conditioned medium , PA - CM )의 제조
C57BL/6 마우스로부터 ABCs(apical bud cells)를 분리하고, 분리된 ABCs를 7.5 x 105 세포수로 100-mm 콜라겐 코팅 배양용기에 접종한 다음, DMEM 분화배지를 가하여 3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종료된 후, 상기 세포를 PBS로 2회 세척하고, FBS와 EGF가 포함되지 않은 분화배지에 다시 접종하였으며, 8시간 동안 배양하고 배양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배양상등액을 0.2㎛ 기공크기의 필터로 여과하고, 황산암모늄 침전법으로 농축한 다음, PBS로 투석하여 법랑모세포 배양액(PA-CM)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치주인대 ( periodontal ligament , PDL ) 세포의 이동성에 대한 PA -CM의 효과
PDL 세포에서 PA-CM에 의한 세포이동 촉진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처치료 분석과 트랜스웰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2-1: 상처치료 분석
먼저, 15명의 성인(18 내지 22세)으로부터 매복지치를 수득하고, 이로부터 분리한 치주인대 조직의 외식배양물로부터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치주인대 세포를 10% FBS와 항생제를 포함하는 DMEM 배지에 접종하고, 37℃ 및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1 × 105 세포수의 PDL 세포를 35mm 배양용기에 접종하고, 포화배양하였다. 멸균 피펫팁으로 각 배양용기의 중앙에 스크래치를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PBS로 3회 세척하고, BSA(10 ㎍/㎖, 대조군) 또는 PA-CM(10 ㎍/㎖)를 포함하는 배양배지를 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배양이 종료된 후 상기 스크래치 부위로 이동한 세포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1).
도 1은 PA-CM에 의한 PDL 세포의 이동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상처치료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에서 보듯이, PDL 세포의 이동은 대조군에 비하여 PA-CM에 의하여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2: 트랜스웰 분석
Transwell chambers(Costar)의 8-㎛ 공극필터의 상면에 PDL 세포를 1 × 104 세포수/well의 농도로 접종하고, 하면에 PA-CM(10㎍/㎖) 또는 BSA(10㎍/㎖, 대조군)를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상기 필터의 상면에 남아있는 세포를 기계적으로 제거하고, 하면에 위치한 세포에 4% PFA를 가하여 고정시켰다. 상기 고정된 세포를 헤마톡실린으로 염색하고, 염색된 세포를 계수하였다(도 2).
도 2는 PA-CM에 의한 PDL 세포의 이동촉진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트랜스웰 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 및 그래프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대조군에 비하여 PA-CM이 처리된 경우에는, PDL 세포의 이동수준이 약 5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1 및 2-2의 결과로부터, PA-CM이 PDL 세포의 이동성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백악모세포(OCCM-30)의 분화 및 무기질화에 대한 PA - CM 의 효과
실시예 3-1: 백악모세포(OCCM-30)의 배양 및 분화
불멸화된 마우스의 백악모세포 세포주(OCCM-30)를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에 PA-CM을 처리하지 않거나(대조군) 또는 처리한 조건(실험군)에서, 50 ㎍/㎖ 아스코르브산 및 10 mM ß-글리세포포스페이트를 처리하고 2주이상 배양하여 세포분화를 유도하고, 무기질화된 결절을 형성시켰다.
실시예 3-2: Alizarin red S 염색
상기 실시예 3-1에서 0, 4, 7, 10 및 14일 동안 배양하여 분화된 각각의 백악모세포 세포주(OCCM-30)에 70% 에탄올을 가하여 20분 동안 고정시키고, 1% Alizarin red S를 가하여 무기질화된 결절을 염색하였다(도 3a).
도 3a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의 무기질화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a에서 보듯이, PA-CM이 처리된 실험군의 백악모세포 세포주는 분화 4일째에 무기질화가 시작된 반면, PA-CM이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의 백악모세포 세포주는 분화 7일째에 무기질화가 시작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3: 실시간 PCR 분석
상기 실시예 3-1에서 0, 4, 7, 10 및 14일 동안 배양하여 분화된 각각의 배양된 백악모세포 세포주(OCCM-30)에 Trizol 시약을 가하여 총 RNA를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총 RNA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상기 합성된 cDNA를 주형으로 사용한 실시간 PCR을 SYBR GREEN PCR Master Mix를 사용한 ABI PRISM 7300 sequence detection system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로서 수행하여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유전자, Osx(Osterix) 유전자, OC(Osteocalcin) 유전자, Bsp(Bone sialoprotein) 유전자 및 Cap(cementum attachment protein) 유전자를 증폭시켰다(도 3b 내지 3f). 이때, 내부대조군으로는 GAPDH(Glyceraldehyde 3-phosphate dehydrogenase) 유전자를 사용하였고, PCR 조건은 94℃에서 1분 동안 반응시킨 후, 95℃ 15초 및 60℃ 34초 반응을 40회 반복수행하였다.
도 3b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b에서 보듯이, 대조군에 비하여 Runx2의 발현은 분화 4일째에 약 25배 증가하였고 7일째부터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도 3c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Osx(Osterix)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c에서 보듯이, Osx의 발현은 4일째에 시작되어 14일까지 유지되었고, 대조군에 비하여 PA-CM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발현수준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3d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OC(Osteocalcin)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d에서 보듯이, OC의 발현은 4일째에 시작되어 14일까지 유지되었고, 대조군에 비하여 PA-CM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발현수준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3e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Bsp(Bone sialoprotein)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e에서 보듯이, Bsp의 발현은 4일째에 시작되어 14일까지 유지되었고, 대조군에 비하여 PA-CM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발현수준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3f는 PA-CM의 처리여부에 따른 백악모세포 세포주에서 발현되는 Cap(cementum attachment protein) 유전자의 mRNA 수준을 배양시간에 따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f에서 보듯이, Cap의 발현은 4일째에 시작되어 14일까지 유지되었고, 대조군에 비하여 PA-CM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발현수준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3-2 및 3-3의 결과로부터, PA-CM이 백악모세포의 분화 및 무기질화를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동물실험을 통한 PA - CM 의 효과검증
6마리의 잡종견(12 내지 16kg; 6 내지 8주령)에 겔로란을 흡입시켜서 마취시키고, 졸레틸(Zoletil, 5mg/kg)과 자일라진(xylazine, 0.2~0.5mg/kg)을 정맥주사한 다음, 리도카인을 처리하였다(Lidocaine 2% with 1:80,000 epinephrine). 상기 잡종견의 하악골에서 무작위적으로 소구치를 선발하고, 선발된 소구치의 중간을 고속 카바이드 버로 절단한 후, 발치하였다(도 2a). 그런 다음, 약 5mm의 간격으로 근심부 또는 원위부 치근의 관상부에 흠집(notch)을 형성하였다(도 4).
도 4는 재식술 대상부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으로서, CO는 이식된 치근인 관상부를 나타내고, AP는 치주인대가 남아있는 첨단부를 나타낸다.
총 36개의 치근를 발치한 다음, 치주인대가 유지되는 12개 시료(양성대조군), 치주인대와 백악질이 제거된 12개 시료(음성대조군) 및 치주인대와 백악질이 제거되고 PA-CM을 처리한 12개 시료(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때, 음성대조군과 실험군에서는 각 흠집사이의 치주인대와 백악질을 그레이시 큐렛으로 제거하였다. 이어, 상기 실험군의 치근을 80 ㎍의 PA-CM을 포함하는 0.08 ㎖ 수용액에 2분 동안 침지하고, 대조군의 치근은 생리식염수에 2분 동안 침지하여 건조를 방지하였다.
상기 치근을 각각의 치조에 재식하고 카바이드 버로 치아의 관상부를 제거한 다음, 상기 치근의 상부를 관상의 플랩으로 완전히 덮었다(도 5 및 6).
도 5는 잡종견의 치아를 이용한 일련의 재식과정의 시술단계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6은 재식된 치아조직의 단면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N-PDL-T은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을 나타내고, R-R은 대체 흡수 영역(치성강직부)을 나타내며, N-C는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 유사조직을 나타내고, PDL은 정상 치주인대 부위를 나타낸다.
재식후, 4주 또는 8주 되는 시점에서, 상기 잡종견에 과량(90-120 mg/kg)의 펜토바비탈을 투여하여 희생시켰다. 상기 잡종견의 치아부위를 적출하고,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후, 5% 포름산을 가하여 칼슘을 제거하며, 성형하고, 파라핀에 포매한 다음, 5㎛ 두께의 조직절편을 수득하였으며, 상기 수득한 조직절편을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고, 디지털 카메라(LEICA ICC50 camera, Germany)가 장착된 광학현미경(LEICA DM750, Germany)을 사용하여 관찰하면서,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인 치근 표면에 부착된 결합조직의 길이, 치성강직부의 높이, 치근에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 유사조직의 길이 등을 측정한 다음, 모든 측정값을 i-SOLUTION Lite® 및 분석프로그램(IMT i-Solution Corporation, Korea, www. IMT-Solution. co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도 7 내지 9).
도 7은 4주째 재식된 치아의 미세사진으로서, 도 7의 A는 양성대조군을 나타내고, B는 음성대조군을 나타내며, C 및 D는 실험군을 나타내고, Ab는 치조골을 의미하고, De는 상아질을 의미하며, Ce는 백악질을 의미하고, Pd는 치주인대를 의미하며, nCe(흰색 화살표)는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 유사조직을 의미하고, nPd는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을 의미하며, (*)는 표면 흡수 부위를 나타내고, 검은색 화살표는 치성강직부(대체 흡수부)를 나타낸다.
도 8은 4주째 재식된 치아의 다른 미세사진으로서, A 및 B는 양성대조군을 나타내고, C 및 D는 음성대조군을 나타내며, E 및 F는 실험군을 나타내고, Ab는 치조골을 의미하고, De는 상아질을 의미하며, Ce는 백악질을 의미하고, Pd는 치주인대를 의미하며, nPd는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을 의미하고, 검은색 화살표는 치성강직부(대체 흡수부)를 나타낸다.
도 7의 A, 도 8의 A 및 B에서 보듯이, 양성대조군은 4주째에, 정상 치주인대가 관찰되었고, 치근 표면의 일부영역에서, 치근 흡수 및/또는 대체 흡수가 관찰되었으며, 치근 흡수영역에 결합조직이 형성되었고, PDL의 결합조직 섬유는 치근표면과 치조골 사이에서 관찰됨을 확인하였다.
도 7의 B, 도 8의 C 및 D에서 보듯이, 음성대조군은 4주째에, 모든 치근의 치주인대의 주된 부분 및 백악질 결여 영역에서 대체 흡수가 관찰되었고, 치근 표면에 결합조직이 형성되었으며, 치근흡수영역이 제한되었다. 특히, 관상부에서 치성강직부가 관찰되었는데, 상기 치성강직부에서는 치근 표면에서의 대체 흡수와 치근표면에 근접한 개별적인 골형성이 확인되었고, 상기 치근표면은 치조골과 융합된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치주인대의 결합조직 섬유는 치근표면에서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도 7의 C, 도 8의 E 및 F에서 보듯이, 실험군은 4주째에, 골 형성이 치조의 골표면을 따라 증가되었고, 새로이 형성된 결합조직은 치근 표면과 새로운 골의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골아세포 유사세포 및 백악모세포 유사세포가 각각 새로운 골과 백악질 유사조직에서 관찰되었고, 새로이 형성된 결합조직은 밀집되고 치근 표면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조직의 콜라겐 다발은 새로운 백악질에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과 백악질이 치근표면에서 확인되었는데, 상기 치주인대 유사조직은 치근의 첨단부에 잔류하는 치주인대로부터 확장된 것으로 예상되었다.
도 9는 8주째 재식된 치아의 미세사진으로서, 도 9의 A는 양성대조군을 나타내고, B는 음성대조군을 나타내며, C 및 D는 실험군을 나타내고, Ab는 치조골을 의미하고, De는 상아질을 의미하며, Ce는 백악질을 의미하고, Pd는 치주인대를 의미하며, nCe(흰색 화살표)는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 유사조직을 의미하고, nPd는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을 의미하며, (*)는 표면 흡수 부위를 나타내고, 검은색 화살표는 치성강직부(대체 흡수부)를 나타낸다.
도 9의 A에서 보듯이, 양성대조군은 8주째에, 모든 치근에서 치근 흡수가 관찰되었는데, 치주인대는 일부분에서 확인되었고, 상기 치주인대는 치근의 첨단부까지 확장되었으며, 치주인대의 콜라겐 다발은 치조골과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에 삽입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양성대조군의 경우에는 치주인대가 일부 재생됨을 알 수 있었다.
도 9의 B에서 보듯이, 음성대조군은 8주째에, 모든 치근의 치주인대의 주된 부분 및 백악질 결여 영역에서 대체 흡수가 관찰되고, 치근표면에 결합조직이 형성되었으며, 치근흡수영역은 극히 제한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대체 흡수가 관찰된 부위에서는 치성강직이 형성되어 대부분의 치주인대가 골조직으로 대체되었고, 이러한 골조직은 치근표면과 융합된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음성대조군의 경우에는 치주인대가 재생되지 않고, 골조직으로 변화된 치성강직부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도 9의 C 및 D에서 보듯이, 실험군은 8주째에, 새로이 형성된 치조골이 재삽입된 치아의 치근 전체를 감싸도록 확장되었고,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은 치근 표면과 새로운 골사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었으며, 백악모세포 유사세포는 새로운 백악질 유사조직의 표면을 따라 배열되었는데,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은 주변의 새로운 골과 새로운 백악질에 삽입되었는데, 상기 치주인대 유사조직은 콜라겐 다발이 밀집된 형태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체흡수가 수행된 치성강직부는 극히 일부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은 막대형태의 세포와 미세혈관으로 구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험군의 경우에는 치조골, 치주인대 및 백악질이 재생됨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재식후 4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음성대조군 또는 실험군의 치근에 포함된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대체흡수가 수행된 치성강직부 및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의 비율을 산출하였다(도 10).
도 10은 재식후 4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음성대조군 또는 실험군의 치근에 포함된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대체흡수가 수행된 치성강직부 및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보듯이, 음성대조군의 치근에 비하여 실험군의 치근은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및 백악질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지만, 치성강직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재식후 8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음성대조군 또는 실험군의 치근에 포함된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대체흡수가 수행된 치성강직부 및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의 비율을 산출하였다(도 11).
도 11은 재식후 8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음성대조군 또는 실험군의 치근에 포함된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대체흡수가 수행된 치성강직부 및 새로이 형성된 백악질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에서 보듯이, 음성대조군의 치근에 비하여 실험군의 치근은 새로이 형성된 치주인대 유사조직 및 백악질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지만, 치성강직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 도 10 및 11의 결과를 종합하면, PA-CM은 치근조직에 포함된 치주인대와 백악질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10)

  1. 법랑모세포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법랑모세포의 배양액은 치주인대의 재생 또는 분화를 촉진시키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법랑모세포의 배양액은 ABCs(apical bud cells)을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상등액인 것인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조성물.
  6. 제5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주인대의 재생 또는 분화촉진용 키트.
  7.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인대 분화용 배지 조성물.
  8. 제7항의 치주인대 분화용 배지 조성물에 치주인대 섬유아세포를 접종하고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주인대의 분화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50028342A 2015-02-27 2015-02-27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78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42A KR101788916B1 (ko) 2015-02-27 2015-02-27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16/001912 WO2016137267A2 (ko) 2015-02-27 2016-02-26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342A KR101788916B1 (ko) 2015-02-27 2015-02-27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627A KR20160105627A (ko) 2016-09-07
KR101788916B1 true KR101788916B1 (ko) 2017-10-24

Family

ID=5678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342A KR101788916B1 (ko) 2015-02-27 2015-02-27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8916B1 (ko)
WO (1) WO201613726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438A (ko) 2017-10-26 2019-05-07 (주)예스킨 만성 치주질환 개선 식품조성물
WO2021251673A1 (ko)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치주질환 또는 탈구성 외상 치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3978B1 (ko) 2017-12-28 2019-01-30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신규한 펩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460B1 (ko) * 2010-12-13 2013-12-1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법랑모세포, 애피컬 버드세포 또는 이들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조직 형성 및, 상아질 또는 치수조직 재생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 J Oral Maxillofac Pathol, Vol. 32, No. 4, pp.267-276 (200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438A (ko) 2017-10-26 2019-05-07 (주)예스킨 만성 치주질환 개선 식품조성물
WO2021251673A1 (ko)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치주질환 또는 탈구성 외상 치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7267A3 (ko) 2016-10-27
KR20160105627A (ko) 2016-09-07
WO2016137267A2 (ko) 201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ignoletti et al. Soft tissue wound healing at teeth, dental implants and the edentulous ridge when using barrier membranes, growth and differentiation factors and soft tissue substitutes
Yan et al. Comparison of acellular dermal graft and palatal autograft in the reconstruction of keratinized gingiva around dental implants: a case report.
Hirooka The biologic concept for the use of enamel matrix protein: true periodontal regeneration.
Novaes Jr et al.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on plastic periodontal procedures
KR101788916B1 (ko) 법랑모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5313209B2 (ja) 歯周病と歯髄疾患の治療剤と治療方法
Nakamura et al.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dental pulp applied with 4‐META/MMA‐TBB adhesive resin after pulpotomy
Yang et al. Effects of platelet-rich plasma on tooth replantation in dogs: a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RU2624131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их апикальных периодонтитов
WO2019143070A1 (ko) Cpne7의 치주인대 재생 용도
Frasdsen Effects of roentgen irradiation of the jaws on socket healing in young rats
US20140271499A1 (en) Article and method of initiating bone regrowth and restoration of gum recession with localized subgingival delivery of medications
Register Induced reattachment in periodontic-endodontic lesions by root demineralization in situ
EP3914258B1 (en) A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periodontitis and regeneration of interdental papilla
Isomura et al. Inferior alveolar nerve regeneration after bifocal distraction osteogenesis in dogs
US20150359848A1 (en) Methods and Related Kits for Treating and Regenerating Tooth Pulp and Periapical Tissues in a Mammal
JP5424353B2 (ja) 硬組織再生治療用組成物
Bhide et al. Surgical Treatment of Peri-implantitis with Guided Bone Regeneration Using Dehydrated Amnion-Chorion Membranes: A Case Report with a 2-Year Follow-up.
US20090286728A1 (en) Tooth root formation promoting factors and method for promotion of tooth root formation
Lestari et al. The Effect of Alendronate to Osseointegration of Dental Implant at Ovariectomized Sprague Dawley Rat
Azzi et al. Bone regeneration using the pouch-and-tunnel technique.
RU2785189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рецессии десны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ультипотентных мезенхимальных стволовых клеток
RU2331426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ародонта
Moolya Comparative Evaluation of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and Acellular Dermal Matrix Graft in the Treatment of Gingival Recession-A Clinical Study
Zucchelli Long-term maintenance of an apparently hopeless tooth: a case re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