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856B1 -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856B1
KR101788856B1 KR1020170059927A KR20170059927A KR101788856B1 KR 101788856 B1 KR101788856 B1 KR 101788856B1 KR 1020170059927 A KR1020170059927 A KR 1020170059927A KR 20170059927 A KR20170059927 A KR 20170059927A KR 101788856 B1 KR101788856 B1 KR 10178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torch
trailing
current
welding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찬
안영남
Original Assignee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스트에프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 B23K9/0253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for rectilinear seams for the longitudinal seam of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23K9/1012Power supply characterised by parts of the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2203/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차폐케이블은 코일 형태로 감겨있던 평판소재가 풀리면서 포밍장치에 의해 관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관의 형태로 만들어진 소재의 모서리 부분을 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Continuous welding method for aluminum screen cable}
본 발명은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차폐케이블은 코일 형태로 감겨있던 평판소재가 풀리면서 포밍장치에 의해 관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관의 형태로 만들어진 소재의 모서리 부분을 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이다.
고압 송전선의 경우 송전선의 주위에 생기는 유도전압을 알루미늄을 소재로 하는 차폐케이블(파이프)로서 차폐하여 송전에 따른 주위의 피해를 줄이게 된다.
이러한 차폐케이블은 평판소재가 코일 형태로 감겨 있는 상태로 고압 송전선이 깔리는 현장에 운송되고, 이후 코일에서 풀리면서 포밍장치에 의해 관의 형태로 만들어지며, 관의 형태로 만든 이후 소재의 모서리를 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하여 외부와 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차폐케이블은 현장에 따라 그 길이가 수십km에 달할 수 있으며, 이로써 연속적인 용접을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등록특허 제10-1156730호에 제안되어 있는 길이방향 용접선을 갖는 금속관의 연속 제조 방법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띠 저장부에서 금속띠가 공급되어 성형장치에서 슬롯을 갖는 관으로 성형되고, 상기 슬롯 관은 용접장치에서 띠 가장자리들이 용접되며, 상기 용접된 관은 배출장치에 의해 배출되고, 상기 용접장치는 분리된 용접전원들에 의해 공급되는 여러 전극들을 가진 비활성 기체 아크 용접장치이며, 상기 전극들은 제조방향으로 이어서 배치되는, 길이방향 용접선을 갖는 금속관의 연속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접장치는 두 개의 용접기를 가지며, 이 용접기들의 전극 끝은 공통의 용접점을 향하고, 상기 용접기들 중 하나가 작동하는 동안 다른 용접기는 대기위치에 있으며, 전극교환이 필요할 때에는 먼저 대기위치에 있는 용접기의 아크가 파일럿 아크에 의하여 점화되고 작동 중인 용접기의 용접전류 강도는 감소되며 이와 동시에 대기위치에 있는 용접기의 용접전류 강도는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는데, 두 개의 용접기가 같은 용접점을 향하고 있으므로 용접기 간에 아크 간섭이 생겨 균일한 품질을 가지는 용접이 어렵다.
이러한 아크의 간섭은 도 6에 나타나듯이 두 개의 용접기 거리가 가까울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되며, 아크 간섭이 생긴 용접물은 표면의 비드 형상이 균일하지 못하고, 용입 깊이에서 차이가 생기게 되어 용접불량으로 나타나게 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56730호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용접캐리어에 두 개의 용접토치를 설치하되, 두 개의 용접토치가 용접선을 따라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극봉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접을 끊지않고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는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토치의 전극봉 교체가 필요할 경우 선행토치의 용접전류는 서서히 떨어뜨리고 후행토치의 용접전류는 정상용접전류까지 올린 다음 지연시간을 두고 선행토치의 용접전류를 "0"으로 떨어뜨려 후행토치에 의해 수행되는 용접작업의 안정성과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은 관의 형태를 가지는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에 있어서, 차폐케이블 용접선의 주위에서 용접선 방향으로 용접캐리어가 이동되고, 상기 용접캐리어에는 각각의 용접기에서 전류를 공급받는 두 개의 용접토치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용접토치는 시간을 두고 같은 경로를 지나가도록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은 용접선을 따라 이동되는 용접캐리어에 두 개의 용접토치를 설치하되, 두 개의 용접토치가 용접선을 따라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극봉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접을 끊지않고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선행토치의 전극봉 교체가 필요할 경우 선행토치의 용접전류는 서서히 떨어뜨리고 후행토치의 용접전류는 정상용접전류까지 올린 다음 지연시간을 두고 선행토치의 용접전류를 "0"으로 떨어뜨려 후행토치에 의해 수행되는 용접작업의 안정성과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접방법 설명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그릇된 실시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토치의 용접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사진
도 7은 종래 연속용접장치의 아크간섭 사진
본 발명은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차폐케이블은 코일 형태로 감겨있던 평판소재가 풀리면서 포밍장치에 의해 관의 형태로 만들어지고, 관의 형태로 만들어진 소재의 모서리 부분을 용접장치에 의해 용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용접방법 설명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은 관의 형태를 가지는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에 있어서, 차폐케이블(4) 용접선(5)의 주위에서 용접선(5) 방향으로 용접캐리어(1)가 이동되고, 상기 용접캐리어(1)에는 각각의 용접기에서 전류를 공급받는 두 개의 용접토치(2, 3)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용접토치(2, 3)는 시간을 두고 같은 경로를 지나가도록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용접토치(2, 3)는 용접선(5)을 따라 용접진행방향 쪽으로 먼저 지나가는 선행토치(2)와, 상기 선행토치(2)와 일정거리 떨어져 선행토치(2)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후행토치(3)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두 개의 용접토치(2, 3)를 이용해 용접을 행하게 되는데, 두 개의 용접토치(2, 3) 즉,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3)는 각각의 용접기에서 전류를 공급받게 되며, 두 용접기 간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하여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3)의 아크 점화 및 아크 소멸 등의 제어가 용이하며, 일체의 용접캐리어(1)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상기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3)는 두 개의 토치로서 용접을 행할 때 아크간섭이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3)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 경우 연속용접이 되지 않고 단속용접이 됨으로써 차폐케이블(4)에 형성되는 용접비드(7)의 형상이 끊어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아크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최소한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3) 사이의 거리는 5~10cm 사이가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3) 사이의 거리가 5cm 미만이 되면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를 고정하는 브라켓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선행토치(2)와 후행토치(3)에 동시에 전류를 인가할 경우 아크간섭의 우려가 높아지고, 반대로 10cm를 초과하면 연속용접은 가능하지만 용접된 비드의 중첩길이가 증가되어 용접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그릇된 실시사진으로써, 선행토치(2)로서 용접을 행하다가 선행토치(2)의 전극봉(2a)을 교체해주기 위해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를 "0"으로 떨어뜨리고 동시에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를 정상용접전류(150A)로 급격히 상승시켰을 경우의 용접비드 형상으로써, 용접비드가 형성된 사이 즉, 선행토치에서 후행토치로 용접을 이어받은 위치에 반원 또는 원 형상의 비드가 나타나 양쪽의 비드가 서로 끊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실제 이러한 비드는 용접불량에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선행토치(2)의 전극봉(2a) 교체가 필요할 경우 용접전류를 서서히 떨어뜨리고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를 서서히 올려서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가 "0"이 되면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는 정상용접전류(150A)가 되도록 연속용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를 정상용접전류(150A)에서부터 서서히 떨어뜨려 "0"까지 떨어뜨리고,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를 떨어뜨리는 동안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는 "0"에서 서서히 올려서 정상용접전류(150A)까지 올림으로써 두 개의 용접토치의 임무를 교대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행토치(2)의 전극봉(2a) 교체가 필요할 경우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는 서서히 떨어뜨리고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는 정상용접전류까지 올린 다음 지연시간(t1)을 두고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를 "0"으로 떨어뜨릴 수 있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용접토치의 용접전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써, 최초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가 정상용접전류(150A)에서 서서히 "0"까지 낮아지고,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를 선행토치(2)와는 반대로 "0"에서 정상용접전류(150A)까지 서서히 높이되,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가 정상용접전류(150A)까지 높아진 다음에서 일정시간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를 "0"보다 높은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것이다.
이는 후행토치(3)가 용접을 행하기 전에 선행토치(2)에 의해 예열을 해줌으로써 급격한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비드의 형상변화를 방지하고, 후행토치(3)의 정상적인 용접을 위한 준비시간이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용접이 진행되면 도 5와 도 6처럼 두 개의 용접토치에 의한 용접비드가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연시간(t1)은 0.5~3초 사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지연시간(t1)을 0.5초 미만으로 할 경우 후행토치(3)에 의한 용접의 준비시간이 너무 짧아 용접비드의 형상이 끊어져서 보일 수 있고, 반대로 3초를 초과할 경우 정상용접구간에 비해 폭이 넓거나 용입 깊이가 깊은 용접구간이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범위 내의 지연시간(t1)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연시간(t1)에서 유지하는 전류값은 정상전류값의 10~20% 사이가 바람직하다. 즉, 지연시간(t1)에서 유지하는 전류값이 정상전류값의 10% 미만이 되면 후행토치(3)를 위한 용접준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반대로 20%를 초과하면 1번 이상의 용접을 한 것과 같이 용접비드(7)가 너무 퍼지거나 용입깊이가 너무 깊어질 수 있으므로 상술한 범위의 유지가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은 용접선을 따라 이동되는 용접캐리어에 두 개의 용접토치를 설치하되, 두 개의 용접토치가 용접선을 따라 일정한 시간차를 두고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전극봉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접을 끊지않고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으며, 상기 선행토치의 전극봉 교체가 필요할 경우 선행토치의 용접전류는 서서히 떨어뜨리고 후행토치의 용접전류는 정상용접전류까지 올린 다음 지연시간을 두고 선행토치의 용접전류를 "0"으로 떨어뜨려 후행토치에 의해 수행되는 용접작업의 안정성과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용접캐리어 2. 선행토치
2a. 전극봉 3. 후행토치
3a. 전극봉 4. 차폐케이블(모재)
5. 용접선 6. 아크
7. 용접비드

Claims (5)

  1. 관의 형태를 가지는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에 있어서,
    차폐케이블(4) 용접선(5)의 주위에서 용접선(5) 방향으로 용접캐리어(1)가 이동되고, 상기 용접캐리어(1)에는 각각의 용접기에서 전류를 공급받는 두 개의 용접토치(2, 3)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용접토치(2, 3)는 시간을 두고 같은 경로를 지나가도록 설치되며,
    상기 두 개의 용접토치(2, 3)는 용접선(5)을 따라 용접진행방향 쪽으로 먼저 지나가는 선행토치(2)와, 상기 선행토치(2)와 일정거리 떨어져 선행토치(2)의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되는 후행토치(3)로 구성되고,
    상기 선행토치(2)의 전극봉(2a) 교체가 필요할 경우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는 서서히 떨어뜨리고 후행토치(3)의 용접전류는 정상용접전류까지 올린 다음 지연시간(t1)을 두고 선행토치(2)의 용접전류를 "0"으로 떨어뜨림으로써 후행토치(3)가 용접을 행하기 전에 선행토치(2)에 의해 예열을 해줌으로써 급격한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비드의 형상변화를 방지하고, 후행토치(3)의 정상적인 용접을 위한 준비시간을 주는 과정에 의해 용접이 진행되면서 두 개의 용접토치에 의한 용접비드가 끊기지 않고 자연스럽게 연결된 형태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 특징인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시간(t1)은 0.5~3초 사이인 것이 특징인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KR1020170059927A 2017-05-15 2017-05-15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KR101788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27A KR101788856B1 (ko) 2017-05-15 2017-05-15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927A KR101788856B1 (ko) 2017-05-15 2017-05-15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856B1 true KR101788856B1 (ko) 2017-10-20

Family

ID=60299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927A KR101788856B1 (ko) 2017-05-15 2017-05-15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8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022B1 (ko) * 2018-12-19 2020-04-23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이음부 결함발생이 저감된 니켈강의 용접 방법
KR102445326B1 (ko) 2022-02-10 2022-09-20 대륙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자율주행 시스템 레이더 센서용 친환경 경량화 차폐 케이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975B1 (ko) * 2015-02-27 2016-04-05 씨에스윈드(주) 후판 맞대기 용접용 2토치 가스메탈아크용접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975B1 (ko) * 2015-02-27 2016-04-05 씨에스윈드(주) 후판 맞대기 용접용 2토치 가스메탈아크용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022B1 (ko) * 2018-12-19 2020-04-23 주식회사 포스코 용접이음부 결함발생이 저감된 니켈강의 용접 방법
KR102445326B1 (ko) 2022-02-10 2022-09-20 대륙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자율주행 시스템 레이더 센서용 친환경 경량화 차폐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5650C (en) Electric welding apparatus and method
US5961863A (en) Short circuit pipe welding
EP2010353B1 (en) Metal cored electrode for open root pass welding
EP104382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lding a plurality of windings of rotary electric machine
KR101788856B1 (ko) 알루미늄 차폐케이블의 연속용접방법
KR102490672B1 (ko) 용접 방법 및 아크 용접 장치
EP2841232B1 (en) Flux cored wi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US3668360A (en) Automatic pipeline welding method
WO2015122047A1 (ja) 多電極片面サブマージアーク溶接方法、溶接物の製造方法
KR101156730B1 (ko) 길이방향 용접선을 갖는 금속관의 연속 제조 방법
US1965331A (en) Arc welding apparatus
KR20150138235A (ko) 용접 접합부에서의 자동 조향을 동반하는 아크 용접 시스템 및 아크 용접 실행 방법
US2814719A (en) Automatic electric arc-stitch welding
JP4788094B2 (ja) 自動溶接装置
US2490023A (en) Welding electrode
US3385948A (en) Seam welding method
JP5966107B1 (ja) 自動溶接方法及び自動溶接装置
CN107635706B (zh) 焊接方法以及焊接装置
JP2016034658A (ja) 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JP2003025066A (ja) 溶接の実施方法
JP2022014714A (ja) アーク溶接方法
JP6637272B2 (ja) 溶接方法
FI125047B (fi) Hitsausmenetelmä ja -laitteisto
JPH05131273A (ja) 2電極の非消耗電極によるアーク溶接方法
JP3520743B2 (ja) 周溶接方法および周溶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