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782B1 -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782B1
KR101788782B1 KR1020160162729A KR20160162729A KR101788782B1 KR 101788782 B1 KR101788782 B1 KR 101788782B1 KR 1020160162729 A KR1020160162729 A KR 1020160162729A KR 20160162729 A KR20160162729 A KR 20160162729A KR 101788782 B1 KR101788782 B1 KR 101788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cone
wedge plate
top ce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기
정유철
정임식
Original Assignee
(주)거산기계
(주)정우개발
대진환경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앙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산기계, (주)정우개발, 대진환경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중앙환경 filed Critical (주)거산기계
Priority to KR102016016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7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02C2/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 B02C2/04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eccentrically moved with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TS) 및 콘 크러셔의 탑셀 구조체에서 마모된 콘케이브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M)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콘케이브를 수용하는 원통형 탑셀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탑셀 본체의 하부에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가 내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탑셀 본체의 중심 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되, 상기 웨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내측이 하향되게 웨지부가 형성되어 콘케이브의 상단 외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이로써,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기계 가동률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Topshell Structure to Replace Concave Easily and the Methods}
본 발명은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탑셀 본체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가 탑셀 본체의 중심 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웨지플레이트의 상면에는 내측이 하향되게 웨지부가 형성되어 콘케이브의 상단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재의 채취과정은 채석장이나 광산 등의 장소에서 다이너마이트 등과 같은 폭발물을 이용하여 바위를 터트린 후에 분쇄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적정한 크기로 분쇄하는 분쇄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분쇄 과정에 사용되는 분쇄장치로서, 비교적 큰 덩어리의 골재를 분쇄하는 죠 크러셔와 상기 죠 크러셔로부터 분쇄된 골재를 더 작은 크기로 분쇄시키는 콘 크러셔 등이 있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 제10-1404667호의 종래기술로 개시된 콘 크러셔의 단면도로, 상기 콘 크러셔는 편심 회전되는 콘(Cone) 형상의 맨틀(2)과 탑셀(Topshell)(5)에 결합된 콘케이브(4) 사이에 골재를 투입하여 그 사이에서 골재가 분쇄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중심에 소정 각도로 편심된 상태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축(1)과, 상기 회전축(1)의 상단에 결합된 콘 형상의 맨틀(2)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안착된 탑프레임(3)과, 상기 맨틀(2)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분쇄작용을 하는 콘케이브(4)가 결합된 탑셀(5)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된 릴리즈 스프링(6)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축(1)의 회전력은 구동축(8)이 베벨 기어(7)로 전달하도록 형성되고, 탑셀(5)의 상면에는 골재를 투입하는 슈트(9)가 설치되며, 탑프레임(3)의 상단에는 캡프레임(11)과 슈트(9)가 고정 볼트(12)에 의하여 해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콘케이브(4)는 파쇄 동작 시, 시간이 경과되면 마모되기 때문에 탑셀(5)과 분리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종래에는 에폭시(Epoxy) 계열의 화학 화합물을 이용한 충전 접착재를 사용하여 탑셀(5)과 콘케이브(4)를 결합 고정하였으나, 접착재를 충전한 후 완전히 경화되려면 12 시간 가량이 소모되어 기계 가동률이 감소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화되는 시간을 절감하기 위하여 에폭시에 열을 가하는 방법을 채택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4시간 이상 충분한 경화시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통상 현장에서는 탑셀(5)과 콘케이브(4)에 대한 한 세트 여유분을 구매하여 기계 가동율을 확보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제10-1404667호(2014. 5. 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모된 콘케이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로써 콘케이브의 교체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기계 가동률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며, 안정적이면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TS)는, 콘 크러셔에 구비되어 골재를 분쇄하기 위한 탑셀 구조체(TS)에 있어서, 하부에 콘케이브(C)를 수용하는 원통형 탑셀 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안착턱(11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110)에 링형상의 어댑터(400)가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400)의 상부에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200)가 링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에는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이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볼트(230)가 상기 가이드공(220)을 관통하여 어댑터(40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웨지플레이트(200)가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내측이 하향되게 웨지부(210)가 형성되어 콘케이브(C)의 상단 외주면에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안착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턱(110)의 상부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되며,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가 탑셀 본체(10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웨지플레이트(20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셀 본체(100) 내주면에는 상기 웨지고정구(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가이드편(120)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웨지고정구(300)의 고정볼트(310)가 가이드되고, 상기 고정볼트(310)에 고정너트(320)가 나사 결합되어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안착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턱(110)의 상부에 링형상의 어댑터(400)가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400)의 상부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콘 크러셔의 탑셀 구조체(TS)에서 마모된 콘케이브(C)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M)은, 원통형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 링형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를 해체하는 웨지고정구 해체 단계(S11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을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볼트(230)의 조임을 푸는 가이드볼트 풀림 단계(S12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공(220)이 가이드볼트(2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웨지플레이트 해체 단계(S130); 및 사용된 콘케이브(C)를 분리하는 콘케이브 분리 단계(S140);를 포함하는 콘케이브 해체 단계(S100); 및 새로운 콘케이브(C)의 상단 외주면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내측으로 하향되게 형성된 웨지부(210)가 끼움되도록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200)를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하여 콘케이브(C)를 고정시키는 콘케이브 고정 단계(S200);를 포함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콘케이브 고정 단계(S200)는, 새로운 콘케이브(C)를 구비하는 콘케이브 구비 단계(S21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공(220)이 가이드볼트(2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웨지플레이트 끼움 단계(S22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을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볼트(230)를 조으는 가이드볼트 조임 단계(S230); 및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를 체결하는 웨지고정구 체결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TS) 및 콘 크러셔의 탑셀 구조체(TS)에서 마모된 콘케이브(C)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M)은, 탑셀 본체의 중심 방향을 따라 웨지플레이트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상기 웨지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된 웨지부가 콘케이브의 상단 외주면을 끼움 결합하거나 해체하여 용이하게 콘케이브의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로써 콘케이브의 교체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기계 가동률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웨지고정구가 탑셀 본체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웨지플레이트를 내측으로 가압 고정하는 바,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편 사이에 웨지고정구가 가이드되도록 구비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안정적인 체결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나아가 탑셀 본체의 상부와 웨지플레이트의 하부 사이에는 어댑터가 구비되어 콘케이브의 교체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탑셀의 손상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웨지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의 장공형 가이드공은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볼트에 의하여 가이드됨으로써 특정방향으로의 안정적인 슬라이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콘 크러셔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케이브를 구비한 상태의 탑셀 구조체와 분리한 상태의 탑셀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셀 구조체의 A-A' 단면 및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를 구비한 기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셀 구조체의 웨지고정구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셀 구조체의 가이드볼트의 조임을 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셀 구조체의 웨지플레이트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M)을 도시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TS)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탑셀 구조체(TS)는, 콘 크러셔에 구비되어 골재를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셀 본체(100)와 그 하부에 구비되는 웨지플레이트(2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내측'은 원통형 탑셀 본체(10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외측'은 그 반대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기 탑셀 본체(100)는 그 하부에 콘케이브(C)를 수용하는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중공부가 마련되어 상기 중공부에 맨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이 구비된다.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원호형 웨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되며, 상기 웨지플레이트(200)는 탑셀 본체(100)의 내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구비되어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웨지플레이트(200)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가 마련되며, 인접한 웨지플레이트(200)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호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여유공간을 마련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내측이 하향되게 웨지부(210)가 형성되어 콘케이브(C)의 상단 외주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콘케이브(C)는 웨지플레이트(200)에 의하여 끼움 결합하거나 반대로 해체하는 경우에도 웨지플레이트(200)를 외측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콘케이브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콘케이브의 교체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기계 가동률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하면에는 내측이 상향되게 하단 웨지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콘케이브(C)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웨지플레이트(200)를 내,외측으로 슬라이드하는 경우, 웨지플레이트(200) 하면의 모서리에 의하여 후술할 탑셀(100)의 안착턱(110)이나, 어댑터(400)와 상호 마찰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모서리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하면에 형성된 하단 웨지부(240)에 의하여 웨지플레이트(200)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마찰없이 부드럽게 작동되될 수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안착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턱(110)의 상부에 웨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가 탑셀 본체(10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웨지고정구(300)는 탑셀 본체(100)와 웨지플레이트(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를 내측으로 가압하며, 이로써,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콘케이브(C)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밀리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셀 본체(100) 내주면에는 상기 웨지고정구(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가이드편(1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편(120)은 그 사이에 웨지고정구(300)가 구비되도록 하여 일정한 위치에 웨지고정구(300)가 구비되도록 하여 복수의 웨지고정구(300)를 균등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웨지고정구(300)는 고정볼트(310)의 헤드가 상기 가이드편(120)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기 고정볼트(310)에 고정너트(320)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볼트(310)와 고정너트(320)의 체결 정도에 따라 고정너트(320)가 웨지플레이트(200)를 가압 고정하는 정도를 달리할 수 있어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안착턱(110)의 상부에는 링형상의 어댑터(4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400)는 고정나사(410)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나사(410)의 헤드는 어댑터(400)에 형성된 안착홈(42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댑터(400)의 상부에는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되어 콘케이브(C)의 교체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탑셀(100)과 웨지플레이트(200)의 손상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안착턱(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웨지플레이트(200)는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이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볼트(230)가 상기 가이드공(220)을 관통하여 어댑터(40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웨지플레이트(200)가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웨지플레이트(200)에는 복수의 가이드공(2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이드공(220)이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웨지플레이트(200)는 가이드공(220)의 장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볼트(230)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바, 고유한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볼트(230)는 링형상의 어댑터(400)에 나사 결합되어 웨지플레이트(200)의 조임 및 풀림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내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콘케이브(C)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볼트(230)를 어댑터(400)에 조으고, 반대로 콘케이브(C)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가이드볼트(230)를 어댑터(400)로부터 풀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볼트(230)가 가이드공(220)을 따라 가이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 크러셔의 탑셀 구조체(TS)에서 마모된 콘케이브(C)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M)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케이브 해체 단계(S100) 및 콘케이브 고정 단계(S200)를 포함한다.
상기 콘케이브 해체 단계(S100)은, 원통형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 링형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200)를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드하여 콘케이브(C)를 해체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웨지플레이트(200)를 슬라이드하는 과정만으로 콘케이브의 교체 시간을 절감할 수 있어 기계 가동률이 향상되고,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콘케이브 고정 단계(S200)는, 상기 콘케이브 해체 단계(S100)의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단계로서, 새로운 콘케이브(C)의 상단 외주면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내측으로 하향되게 형성된 웨지부(210)가 끼움되도록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200)를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하여 콘케이브(C)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콘케이브 해체 단계(S100)는, 웨지고정구 해체 단계(S110), 가이드볼트 풀림 단계(S120), 웨지플레이트 해체 단계(S130) 및 콘케이브 분리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지고정구 해체 단계(S1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를 해체하는 단계이다.
상기 웨지고정구(300)는 탑셀 본체(100)와 웨지플레이트(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를 내측으로 가압하며, 이로써,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콘케이브(C)를 끼움 결합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밀리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웨지고정구(300)를 해체함으로써 웨지플레이트(200)가 외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볼트 풀림 단계(S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을 관통하여 링형상의 어댑터(400)에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볼트(230)의 조임을 푸는 단계이다.
상기 가이드볼트(230)의 조임을 풀어 가이드볼트(220)가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웨지플레이트(200)가 슬라이드될 수 있는 상태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웨지플레이트 해체 단계(S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공(220)이 가이드볼트(2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단계이다.
이후 진행되는 콘케이브 분리단계(S1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된 콘케이브(C)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한편, 상기 콘케이브 고정 단계(S200)는, 콘케이브 해체 단계(S100)와 정확하게 역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콘케이브 구비 단계(S210), 웨지플레이트 끼움 단계(S220), 가이드볼트 조임 단계(S230) 및 웨지고정구 체결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콘케이브 구비 단계(S210)는 새로운 콘케이브(C)를 구비하는 단계로서, 마모된 콘케이브를 대체하여 사용될 새로운 콘케이브(C)를 탑셀 몸체(100)의 하부에 구비하여 웨지플레이트(200)에 의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정위치에 마련하는 단계이다.
상기 웨지플레이트 끼움 단계(S220)는,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공(220)이 가이드볼트(2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볼트 조임 단계(S230)는 웨지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을 관통하여 링형상의 어댑터(400)에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볼트(230)를 조으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웨지고정구 체결 단계(S240)는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를 체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TS) 및 콘 크러셔의 탑셀 구조체에서 마모된 콘케이브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M)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내에 있게 된다.
TS:탑셀 구조체 C:콘케이브
100:탑셀 본체 110:안착턱
120:가이드편
200:웨지플레이트 210:웨지부
220:가이드공 230:가이드볼트
240:하단 웨지부 300:웨지고정구
310:고정볼트 320:고정너트
400:어댑터 410:고정나사
420:안착홈 M: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S100:콘케이브 해체 단계 S110:웨지고정구 해체 단계
S120:가이드볼트 풀림 단계 S130:웨지플레이트 해체 단계
S140:콘케이브 분리 단계 S200:콘케이브 고정 단계
S210:콘케이브 구비 단계 S220:웨지플레이트 끼움 단계
S230:가이드볼트 조임 단계 S240:웨지고정구 체결 단계

Claims (9)

  1. 콘 크러셔에 구비되어 골재를 분쇄하기 위한 탑셀 구조체(TS)에 있어서,
    상기 탑셀 구조체(TS)는, 하부에 콘케이브(C)를 수용하는 원통형 탑셀 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안착턱(11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턱(110)에 링형상의 어댑터(400)가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400)의 상부에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200)가 링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에는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이 슬라이드 방향으로 형성되고, 가이드볼트(230)가 상기 가이드공(220)을 관통하여 어댑터(40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웨지플레이트(200)가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을 따라 내,외측으로 슬라이드되며,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상면에는 내측이 하향되게 웨지부(210)가 형성되어 콘케이브(C)의 상단 외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안착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턱(110)의 상부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되며,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가 탑셀 본체(100)의 내주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웨지플레이트(2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탑셀 본체(100) 내주면에는 상기 웨지고정구(3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가이드편(120)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웨지고정구(300)의 고정볼트(310)가 가이드되고, 상기 고정볼트(310)에 고정너트(320)가 나사 결합되어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는 내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안착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착턱(110)의 상부에 링형상의 어댑터(400)가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400)의 상부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5. 삭제
  6. 삭제
  7. 콘 크러셔의 탑셀 구조체(TS)에서 마모된 콘케이브(C)를 교체하기 위한 방법(M)에 있어서,
    원통형 탑셀 본체(100)의 하부에 링형상으로 구비된 복수의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를 해체하는 웨지고정구 해체 단계(S11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을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볼트(230)의 조임을 푸는 가이드볼트 풀림 단계(S12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공(220)이 가이드볼트(2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웨지플레이트 해체 단계(S130); 및
    사용된 콘케이브(C)를 분리하는 콘케이브 분리 단계(S140);
    를 포함하는 콘케이브 해체 단계(S100); 및
    새로운 콘케이브(C)의 상단 외주면에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내측으로 하향되게 형성된 웨지부(210)가 끼움되도록 복수의 원호형 웨지플레이트(200)를 탑셀 본체(100)의 중심 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드하여 콘케이브(C)를 고정시키는 콘케이브 고정 단계(S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콘케이브 고정 단계(S200)는,
    새로운 콘케이브(C)를 구비하는 콘케이브 구비 단계(S21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가이드공(220)이 가이드볼트(230)를 따라 가이드되어 상기 웨지플레이트(200)가 내측으로 슬라이드되는 웨지플레이트 끼움 단계(S220);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에 형성된 장공형의 가이드공(220)을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되는 가이드볼트(230)를 조으는 가이드볼트 조임 단계(S230); 및
    상기 웨지플레이트(200)의 외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웨지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복수의 웨지고정구(300)를 체결하는 웨지고정구 체결 단계(S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KR1020160162729A 2016-12-01 2016-12-01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KR10178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729A KR101788782B1 (ko) 2016-12-01 2016-12-01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729A KR101788782B1 (ko) 2016-12-01 2016-12-01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782B1 true KR101788782B1 (ko) 2017-10-23

Family

ID=6029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729A KR101788782B1 (ko) 2016-12-01 2016-12-01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20B1 (ko) * 2019-09-25 2020-05-29 주식회사 유신건자재연구소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234A (ja) * 1998-12-22 2000-07-04 Kawasaki Heavy Ind Ltd 旋動式破砕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5234A (ja) * 1998-12-22 2000-07-04 Kawasaki Heavy Ind Ltd 旋動式破砕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420B1 (ko) * 2019-09-25 2020-05-29 주식회사 유신건자재연구소 경량화와 회전성 및 보수성을 향상한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4586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оединения/присоединения полировального диска ручной шлифмашины
EA015853B1 (ru) Внутренняя броня конусной дробилки и способ прикрепления такой брони к дробящей головке
CN102985184B (zh) 一种耐磨板紧固系统、装置和方法
ZA200504819B (en) System for fixing the mobile jaw of a cone of giratory crusher
AU2011253666B2 (en) Pick Assembly
KR101788782B1 (ko) 콘케이브의 교체가 용이한 탑셀 구조체 및 탑셀 구조체의 콘케이브 교체방법
JP6513671B2 (ja) 締付部材、締付装置、ジョークラッシャー、鉱石の加工プラント、および摩耗部品の締付度を調整する方法
CA2888364C (en) Crusher feed hopper wear protection cassette
US10391500B2 (en) Crushing shell with rotational lock
EP2789390B1 (en) Crusher inspection hatch
US20150273474A1 (en) Gyratory crusher bearing
WO2021013329A1 (en) Retaining assembly for inner crushing shell of gyratory crusher
CN209901446U (zh) 快速装配的撕碎机刀片
KR101583328B1 (ko) 분쇄날의 탈착이 편리한 폐기물 분쇄장치
US3539120A (en) Bowl liner securing device
JP2000185234A (ja) 旋動式破砕機
TWM498677U (zh) 車輪轂組裝用固定工具
KR101761192B1 (ko) 볼트 및 이를 구비한 커터조립체
CN105916618A (zh) 用于将嵌入件附接到切割工具或者将嵌入件从切割工具拆卸的装置
JP2005211748A (ja) 生ゴミ粉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