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035B1 -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 Google Patents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035B1
KR101788035B1 KR1020160122200A KR20160122200A KR101788035B1 KR 101788035 B1 KR101788035 B1 KR 101788035B1 KR 1020160122200 A KR1020160122200 A KR 1020160122200A KR 20160122200 A KR20160122200 A KR 20160122200A KR 101788035 B1 KR101788035 B1 KR 10178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cap
base plate
end portion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재
Original Assignee
김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재 filed Critical 김정재
Priority to KR1020160122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12Accessories for att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팅 로드를 구성하는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 세레이션(serration: 톱니)가공을 수행할 때, 커넥팅 로드의 성형변형에 따른 오차를 적용하여 가공하도록 되어, 로드와 캡의 접촉도를 증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커넥팅 로드를 구성하는 로드의 소단부를 고정하는 소단부고정수단과, 상기 로드에 형성된 대단부 부위와 상기 로드의 대단부 부위와 결합하여 대단부를 구성하는 캡을 고정하는 대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한 대단부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대단부 부위에 대하여 양측단과 중간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들과; 상기 로드의 대단부 부위의 상부에 적층되는 캡의 상부에서, 상기 캡과 로드의 대단부 부위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지지부재들 중에서 상기 대단부의 변형부위를 지지하는 변형부 지지부재는, 상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A connecting rod processing jig}
본 발명은, 커넥팅 로드에서 로드와 캡의 접촉면을 동시에 가공할 때 고정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팅 로드를 구성하는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 세레이션(serration: 톱니)가공을 수행할 때, 커넥팅 로드의 성형변형에 따른 오차를 적용하여 가공하도록 되어, 로드와 캡의 접촉도를 증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선박용 엔진의 구성요소를 대별하여 보면, 엔진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다수의 실린더가 일체로 제작되며, 각 실린더 사이에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워터 재킷과 냉각수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블록과, 실린더 블록의 상부에 배치되어 피스톤과 함께 연소실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각종 밸브 기구 및 스파크 플러그나 분사밸브 등이 설치되는 실린더 헤드와, 크랭크축이 설치되는 크랭크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 블록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에는 커넥팅 로드를 통해 전달되는 크랭크축의 회전력에 의해 실린더의 벽면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으며, 실린더 헤드와 피스톤의 헤드부에 의해 제공되는 연소실에는 흡기다기관을 거쳐 흡기포트로 유입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흡기계통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분사밸브에서 분사된 연료와 혼합되어 혼합기를 형성하며, 크랭크축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팅 로드에 의해 실린더 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압축된 혼합기는 스파크 플러그에 의해 점화됨으로써, 이때, 발생되는 폭발력으로 크랭크 축을 회전시켜 동력을 얻게 된다.
상기에서 커넥팅 로드는, 크랭크축과 연결되어 피스톤을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매개체로 사용되는 것으로, 크랭크축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이에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캡을 볼트의 고정수단으로 하여 크랭크축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팅 로드에 커넥팅 캡을 볼트로 연결하기 위해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캡의 각각에는 서로 대향되는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를 통해 볼트 공이 가공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캡은 플랜지부를 통해 접촉되는 조립 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로드와 커넥팅 캡의 조립 면은 서로에 대해 허용공차가 주어져 크랭크축에 정밀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팅 로드는 그 제조 방식에 따라 소재상태에서 로드(Rod) 부위와 캡(Cap)부위가 분리된 후 체결해 제조되는 분리형 타입 커넥팅 로드나 또는, 소재상태에서 일체형으로 가공한 후 로드(Rod) 부위와 캡(Cap)부위를 분리 후 체결해 제조되는 일체형 타입 커넥팅 로드로 구분되어 진다.
이러한 커넥팅 로드는 분리형 타입 커넥팅 로드에 비해 일체형 타입 커넥팅 로드가 다양한 장점이 있어 즉, 엔진의 고출력/경량화/저 원가 및 내구 보증연한 연장에 따른 주요부품 내구수명 향상과 더불어, 소재 편차와 치수정밀도 확보로 인한 가공 공법 간소화(브로치 가공 삭제 및 소재 일체형으로 인한 물류 간소화)에 따른 투자비 절감과 같은 장점이 있어, 주로 커넥팅 로드의 제조 방식으로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일체형 타입 커넥팅 로드의 제조는 소재상태에서 그라인딩과 드릴링 및 보링 등을 이용해 일체형으로 가공한 후, 조립을 위해 소재를 로드(Rod) 부위와 캡(Cap)부위로 분리하도록 크래킹(Cracking) 공법을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크래킹(Cracking) 공법은 단면적이나 형상이 급변하는 노치(Notch)부위에는 공칭 응력보다 큰 응력이 작용하는 응력 집중 현상을 이용하는 것으로, 즉, 응력 집중인 노치효과를 이용하도록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 안쪽에 레이저(LASER)를 이용하거나 또는, 소재 금형 상태에서 폭 0.3mm와 깊이 0.5mm로 노치(Notch)를 발생시킨 후, 유압 맨드렐(MANDREL)을 이용하여 응력 집중된 부위에 힘을 가해서 대단부를 로드(Rod)와 캡(Cap)으로 분리시켜주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러한 크래킹(Cracking) 공법을 이용한 커넥팅 로드 제조 방식은 유압 맨드렐(MANDREL)을 이용해 로드(Rod)와 캡(Cap)으로 분리시켜줌에 따라, 분리된 대단부 면에는 부스러기 입자(Particle)들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파단 부위로 에어 블로우(Air Blow)를 함과 더불어 커넥팅 로드에 진동을 가해 소재에 붙어있는 쓰레기 입자를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넥팅 로드를 구성하는 대단부를 가지는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는,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결합을 공고히 하도록 된 레이션(serration: 톱니)가공이 이루어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커넥팅 로드의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 세레이션을 가공할 때, 로드와 캡을 동시에 고정하도록 된 지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의 하나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208825호(명칭: 커넥팅 로드의 플랜지 조립면 측정 지그)가 있으며,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평행도를 유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커넥팅 로드를 수평 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수평정반을 고정 수단으로 고정하고, 상기 커넥팅 로드에 형성된 피스톤 링 홀이 삽입되어 커넥팅 로드의 위치를 설정시키는 가이드 포스트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하고, 상기 수평정반을 통해 커넥팅 로드 외관의 자세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가이드 폴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복수로 설치된 클램프를 매개로 다이얼 게이지를 설치하여 상기 다이얼 게이지의 측정자를 수평정반에 설치된 안내봉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출몰 가능하게 하여서 상기 측정자가 커넥팅 로드의 양 플랜지부에 가공된 조립 면에 접촉되어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지그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191613호(명칭: 시작용 커넥팅 로드의 고정지그)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피스톤 핀이 삽입되는 핀홀을 지닌 소단부와, 베어링을 개재하여 크랭크축에 결합되는 것으로, 오일홀이 형성된 베어링 안착면을 지닌 대단부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엔진의 커넥팅 로드에 있어서, 제 1고정볼트에 의해 인접한 2개의 커넥팅 로드의 대단부를 수직형 머시닝 센터의 작업대상에 고정하는 제 1클램프와, 제 2고정볼트에 의해 인접한 2개의 커넥팅 로드의 소단부를 상기 작업대상에 고정하는 제 2클램프와, 제 3고정볼트에 의해 상기 커넥팅 로드의 소단부를 상기 작업대상에 고정하는 제 3클램프로 이루어진 고정지그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361309호(명칭: 커넥팅 로드의 쇼트피닝용 지그)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단부와 소단부, 아이단부로 이루어진 컨넥팅 로드를 쇼트피닝 처리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컨넥팅 로드를 고정하는 지그에 있어서, 상기 컨넥팅 로드의 대단부가 삽입되게 하여 컨넥팅 로드가 세워진 상태에서 피로 강도가 요구되는 아이단부에 집중 쇼트피닝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및 수직 지지부재에 수평한 수평 지지부재에 대수개의 지지대가 수직으로 세워진 지그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56551호(명칭: 단조 분할강 커넥팅로드의 분할공정 지그 및 파단 분할 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커넥팅로드의 대단부의 내경에 내장되며 내부에는 쐐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쐐기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갖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분할체로 이루어진 맨드럴과, 상기 맨드럴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맨드럴의 각 분할체에 원주 방향의 가압력을 가하기 위한 경사면을 갖는 쐐기로 구성된 단조 분할강 커넥팅로드의 분할공정 지그에 있어서, 상기 쐐기의 경사면은 로드측으로는 경사각이 5∼9°이고 캡측으로는 제로이며, 상기 맨드럴과 커넥팅로드의 대단부의 직경차는 0.1mm이고, 커넥팅로드의 소단부의 후부쪽으로 편심된 맨드럴의 외경과 소단부의 내경 사이의 간극은 전측과 후측이 각각 2mm와 0.2mm로 형성된 지그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8-0103209호(명칭: 커넥팅 로드 스플리트 가공장치)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을 이루는 지그 베이스상에 위치되어 커넥팅 로드를 위치시키면서, 대단부가 로드와 캡으로 분리되어 발생한 부스러기 입자를 밑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측면 공간부를 형성한 로드 안착 판이 구비되고, 상기 로드 안착 판에 놓여지는 커넥팅 로드를 양쪽 폭에서 잡아 고정하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다수의 커넥팅 로드 포지셔너가 구비되어진 지그 유니트와; 상기 지그 베이스의 저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승하강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부위를 지그베이스의 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단으로 이루어진 지그 리프터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15070호(명칭: 커넥팅 로드의 보링 홀 가공기)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보링 홀 가공기에 적용되는 클램핑부의 좌측에 구비된 클램핑장치 하부에 전·후진하되 제1홈과 제2홈이 형성된 중심지그가 구비되고, 그 중심지그의 좌·우측에 제3홈이 형성된 좌측지그와 제4홈이 형성된 우측지그가 일정간격으로 떨어져서 구비되며, 그 좌측지그와 중심지그, 우측지그간에 형성된 간격 하부에 커넥팅로드의 하부 보링 홀과 대응하는 제9실린더가 구비되고, 그 제9실린더 하부에 전·후진하되 제5홈이 형성된 압착지그뭉치가 각각 구비되어 설치된 지그부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외팔보 형태를 가지는 커넥팅 로드를 성형하여 가공할 때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단부 부위에서 외측의 부위가 일측 방향으로 편위되는 가공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 가공되는 세레이션의 접촉도가 저하되어 불량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208825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191613호 3,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361309호 4,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456551호 5,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8-0103209호 6,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015070호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그들은, 변형오차를 가지는 커넥팅 로드의 로드와 캡에 세레이션 가공을 수행하고자 지그에 로드와 캡을 동시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로드의 변형오차를 상쇄하고 평편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세레이션 가공을 하기 때문에, 세레이션 가공 후에, 로드가 원래의 변형오차를 가지는 형상으로 복귀함에 따라,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서 접촉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접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변형오차를 가지는 로드의 고정시 변형오차를 보정하여 가공함에 따라, 가공 후, 자체 탄성에 의해 원형상으로 복귀함에 따라, 가공된 세레이션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하여, 캡에 형성된 세레이션에 대한 접촉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팅 로드를 구성하는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 세레이션(serration: 톱니)가공을 수행할 때, 커넥팅 로드의 성형변형에 따른 오차를 적용하여 가공하도록 되어, 로드와 캡의 접촉도를 증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는,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커넥팅 로드를 구성하는 로드의 소단부를 고정하는 소단부고정수단과, 상기 로드에 형성된 대단부 부위와 상기 로드의 대단부 부위와 결합하여 대단부를 구성하는 캡을 고정하는 대단부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한 대단부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의 대단부 부위에 대하여 양측단과 중간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들과; 상기 로드의 대단부 부위의 상부에 적층되는 캡의 상부에서, 상기 캡과 로드의 대단부 부위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지지부재들 중에서 상기 대단부의 변형부위를 지지하는 변형부 지지부재는, 상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는, 커넥팅 로드를 구성하는 로드와 캡의 접촉면에 세레이션(serration: 톱니)가공을 수행할 때, 커넥팅 로드의 성형변형에 따른 오차를 가지는 로드의 대단부 부위를 고정할 때, 변형부 지지부재를 통해 대단부의 변형오차를 유지하면서 확고히 고정하여, 변형오차를 가진 상태에서 세레이션 가공을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로드와 캡의 접촉도를 증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통상적인 커넥팅 로드의 변형오차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보인 개략 평면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보인 개략 측면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구성하는 외팔보 지지부재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는, 특히, 외팔보 형태를 가지는 커넥팅 로드(10)에서 로드(11)와 캡(12)이 접촉면에 세레이션을 가공할 때, 상기 로드(11)와 상기 캡(12)의 접촉면이 수직상 일치하도록 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로드(11)와 상기 캡(12)의 접촉면에 세레이션 가공을 동시에 수행할 때, 가공되는 세레이션이 정확하게 일치하여 접촉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때, 상기 로드(11)에서 대단부 부위가 일측 방향으로 편위되는 가공오차가 발생된 상태를 보정하면서 고정하여 세레이션 가공 후에, 접촉면의 접촉도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는,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에 구비되며 커넥팅 로드(10)를 구성하는 로드(11)의 소단부를 고정하는 소단부고정수단(3)과, 상기 로드(11)에 형성된 대단부 부위와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와 결합하여 대단부를 구성하는 캡(12)을 고정하는 대단부고정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를 통해 미도시된 가공장치의 가공공간에 고정하여 배치하고, 상기 소단부고정수단(3)에 상기 로드(11)의 소단부를 고정한 후, 상기 대단부고정수단(4)에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와 캡(12)을 동시에 수직상으로 적층하여 고정하고, 상기 로드(11)와 캡(12)의 접촉면을 동시에 가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공되는 세레이션의 형상이 일치하게 되어 접촉도가 증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에서, 상기한 대단부고정수단(4)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에 대하여 양측단과 중간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41)들과;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의 상부에 적층되는 캡(3)의 상부에서, 상기 캡(3)과 로드(11)의 대단부 부위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지지부재(41)들을 통해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의 저면을 지지하게 되고,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의 상부에 상기 캡(12)을 적층시켜 접촉면이 수직상으로 일치하게 배치 한 후, 상기 고정부재(42)를 통해 상기 캡(12)과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 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확고히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가공장치의 미 도시된 가공툴을 통해 상기 접촉면들에 세레이션 가공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에서 지지부재(41)들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면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되면서 고정되도록 볼트가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봉' 형상의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에서, 상기한 지지부재(41)들 중에서 상기 대단부의 변형부위를 지지하는 변형부 지지부재(5)는, 상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상하로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변형부 지지부재(5)를 통해 대단부의 변형오차가 형성된 단부에 대하여 상하 위치를 조절하여 로드(11)의 변형오차를 유지하면서 확고히 고정하여, 변형오차를 가진 상태에서 세레이션 가공을 진행하도록 됨에 따라, 가공되는 세레이션이 가공 후에도 변형되지 않고 유지되어, 접촉도를 증대시켜 제품의 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변형부 지지부재(5)는,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51)는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로드의 변형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평편한 면'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가지는 지지돌부가 형성된 지지체부(52)를 가지고, 상기 지지체부(52)에는, 외부에서 렌치도구를 통해 포집하여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외주면이 육각면으로 이루어진 포집부(53)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포집부(53)를 렌치 등과 같은 고정도구를 통해 고정한 후, 회전시켜, 상기 나사부(51)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서 나사 회전하면서 상기 지지체부(52)의 상면이 승하강하는 것을 조절하여, 상기 변형부위의 수직상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에 따라, 지그(1)의 외부에서 상기 변형부위의 높이를 조절하여 커넥팅 로드910)의 성형변형에 따른 오차를 가지는 로드(11)의 대단부 부위를 고정할 때, 변형부 지지부재(5)를 통해 변형오차를 유지하면서 확고히 고정하여, 변형오차를 가진 상태에서 세레이션 가공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2)에는, 상기 변형부 지지부재(5)의 나사부(51)가 삽입수용되는 수용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1)에는, 상기 나사부(51)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6)가 고정되어 상기 나사부(51)와 나사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별도의 탭가공을 하지 않고도, 상기 변형부 지지부재(5)를 나사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나사부(51)와 나사결합하는 부위가 손상되더라도 신속하게 교체하여 수리할 수 있어, 적업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의 베이스플레이트(2)를 미도시된 가공장치의 강공공간에 배치하여 고정하고, 상기 소단부고정수단(3)에 로드(11)의 소단부를 고정한 후, 상기 대단부고정수단(4)에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와 캡(12)을 수직상으로 적층하여 고정 한 후, 가공툴을 통해 세레이션 가공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2)를 통해 상기 캡(12)과 로드(11)의 변형부위가 가압되어, 변형부위가 역변형되어 평편하게 변형된다.
이때, 상기 변형부 지지부재(5)의 포집부(53)를 렌치로 잡고 회전시켜, 역변형된 변형부위를 원 형상으로 복귀시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확고하게 가압하여 고정한 후, 가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11)의 변형오차를 유지하면서 확고히 고정하여, 변형오차를 가진 상태에서 세레이션 가공을 진행할 수 있음에 따라, 로드(11)와 캡(12)의 접촉도를 증대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부재(42)를 통해 상기 로드(11)의 변형부위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변형부위의 높이를 표시하고, 상기 고정부재(42)에 의해 상기 변형부위가 역변형되어, 표시된 변형부위의 높이에서 벗어나면, 상기 변형부 지지부재(5)를 회전시켜 상기 변형부위를 승강시킴으로써 높이를 조절하여, 최초에 표시된 변형부위의 높이로 맞추면, 로드(11)의 변형오차를 유지하면서 확고히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에서, 상기한 소단부고정수단(3)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로드(11)의 소단부가 끼움결합하는 끼움돌부를 가지는 끼움부재(31)와, 상기 끼움부재(31)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승강되는 탄성가압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끼움부재(31)에 소단부가 끼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가압부재(32)가 상기 소단부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확고히 고정하여 무단을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 탄성가압부재(3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상으로 고정된 '봉' 형상의 지주봉(33)과, 상기 지주봉(33)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고정되는 가압체(34)와, 상기 가압체(34)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가압체(34)를 소단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가압탄성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에서 상기한 고정부재(4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상으로 고정된 '봉' 형상의 지지봉(43)과, 상기 지지봉(43)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캡(12)의 양단의 상부에 지지되는 가압대(44)와, 상기 가압대(44)를 상기 캡(12)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체(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체(45)는, 상기 지지봉(43)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봉부와, 상기 나사봉부에 나사결합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가압너트를 상기 나사봉부상에서 나사결합하여 상기 가압체(45)를 상기 캡(12) 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캡(12)과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를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로드(11)와 캡(12)의 사이에는 격자(7)가 게재하여, 상기 격자(7)에 의해 상기 로드(11)와 상기 캡(12)이 직접적으로 면접촉하지 않고, 수평도를 유지하면서 적층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지그(1)는, 상기한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상으로 고정된 '봉' 형상의 가이드봉(81)과, 상기 가이드봉(81)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캡(12)의 중간 부위의 상면을 지지하면서 가압하는 보조체(82)와, 상기 보조체(82)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보조체(82)를 상기 캡(12)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보조탄성체(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가압수단(8)을 더 가진다.
즉, 상기 보조가압수단(8)을 통해, 상기 캡(12)의 중간부위를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캡(12)의 양단과 중간 부위를 각각 지지하면서 가압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지그 10 : 커넥팅 로드
11 : 로드 12 : 캡
2 : 베이스플레이트 21 : 수용홈
3 : 소단부고정수단 31 : 끼움부재
32 : 탄성가압부재 33 : 지주봉
34 : 가압체 35 : 가압탄성체
4 : 대단부고정수단 41 : 지지부재
42 : 고정부재 43 : 지지봉
44 : 가압대 45 : 가압체
5 : 변형부 지지부재 51 : 나사부
52 : 지지체부 53 : 포집부
6 : 너트 7 : 격자
8 : 보조가압수단 81 : 가이드봉
82 : 보조체 83 : 보조탄성체

Claims (1)

  1. '판' 상의 베이스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부에 구비되며 커넥팅 로드(10)를 구성하는 로드(11)의 소단부를 고정하는 소단부고정수단(3)과; 상기 로드(11)에 형성된 대단부 부위와,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와 결합하여 대단부를 구성하는 캡(12)을 고정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에 대하여 양측단과 중간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41)들과, 상기 로드(11)의 대단부 부위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캡(12)의 상부에서 상기 캡(12)과 로드(11)의 대단부 부위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재(42)를 가지는는 대단부고정수단(4);를 포함하는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1)들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상면에서 상부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돌출되면서 고정되도록 볼트가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관통공을 가지는 '봉' 형상의 금속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부재(41)들 중에서 상기 대단부의 변형부위를 지지하는 변형부 지지부재(5)는,
    하단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나사결합하는 나사부(51)는 가지며, 상단에는 상기 로드의 변형부위의 저면을 지지하는 '평편한 면'으로 이루어진 상면을 가지는 지지돌부가 형성된 지지체부(52)를 가지고;
    상기 지지체부(52)에는,
    외부에서 렌치도구를 통해 포집하여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외주면이 육각면으로 이루어진 포집부(53)가 형성되어 상단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서 상하로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되며;
    상기 소단부고정수단(3)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로드(11)의 소단부가 끼움결합하는 끼움돌부를 가지는 끼움부재(31)와, 상기 끼움부재(31)측 방향으로 가압되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승강되는 탄성가압부재(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가압부재(3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상으로 고정된 '봉' 형상의 지주봉(33)과, 상기 지주봉(33)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고정되는 가압체(34)와, 상기 가압체(34)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가압체(34)를 소단부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가압탄성체(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42)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상으로 고정된 '봉' 형상의 지지봉(43)과, 상기 지지봉(43)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캡(12)의 양단의 상부에 지지되는 가압대(44)와, 상기 가압대(44)를 상기 캡(12)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체(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체(45)는,
    상기 지지봉(43)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봉부와, 상기 나사봉부에 나사결합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로드(11)와 캡(12)의 사이에는,
    격자(7)가 게재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에 수직상으로 고정된 '봉' 형상의 가이드봉(81)과, 상기 가이드봉(81)에 안내되면서 승강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캡(12)의 중간 부위의 상면을 지지하면서 가압하는 보조체(82)와, 상기 보조체(82)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보조체(82)를 상기 캡(12)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보조탄성체(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가압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KR1020160122200A 2016-09-23 2016-09-23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KR10178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00A KR101788035B1 (ko) 2016-09-23 2016-09-23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200A KR101788035B1 (ko) 2016-09-23 2016-09-23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035B1 true KR101788035B1 (ko) 2017-10-19

Family

ID=6029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200A KR101788035B1 (ko) 2016-09-23 2016-09-23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0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7126A (zh) * 2017-11-10 2018-01-26 禹州市伟朔机械制造厂 一种下定位锁紧装置
CN114043278A (zh) * 2021-11-29 2022-02-15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连杆斜油孔的加工用辅助装置和加工方法
CN114888546A (zh) * 2022-07-15 2022-08-12 常州远东连杆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连杆衬套压装定位机构
CN116786868A (zh) * 2023-08-28 2023-09-22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连杆r头外圆面钻孔工装
CN117773618A (zh) * 2024-01-24 2024-03-29 山东鲁联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连杆机械加工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117B1 (ko) * 2015-11-30 2016-03-09 주식회사 대송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117B1 (ko) * 2015-11-30 2016-03-09 주식회사 대송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7126A (zh) * 2017-11-10 2018-01-26 禹州市伟朔机械制造厂 一种下定位锁紧装置
CN114043278A (zh) * 2021-11-29 2022-02-15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连杆斜油孔的加工用辅助装置和加工方法
CN114043278B (zh) * 2021-11-29 2023-08-11 上海中船三井造船柴油机有限公司 一种连杆斜油孔的加工用辅助装置和加工方法
CN114888546A (zh) * 2022-07-15 2022-08-12 常州远东连杆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连杆衬套压装定位机构
CN116786868A (zh) * 2023-08-28 2023-09-22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连杆r头外圆面钻孔工装
CN116786868B (zh) * 2023-08-28 2023-11-07 合肥合锻智能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连杆r头外圆面钻孔工装
CN117773618A (zh) * 2024-01-24 2024-03-29 山东鲁联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连杆机械加工设备
CN117773618B (zh) * 2024-01-24 2024-05-28 山东鲁联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发动机连杆机械加工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035B1 (ko)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KR101602118B1 (ko)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KR101602117B1 (ko)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US8047515B2 (en) Jig and method for processing cylinder block
CN107962222B (zh) 一种锥形薄壁零件的铣加工变形控制装置及方法
US200502684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turbine components for manufacture
US84848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connecting rods
JP4591393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製造方法、及びシリンダブロック
US10690048B2 (en) Bolt fastening method for lower link
CN114932242B (zh) 飞机部件接头孔精加工定位防颤工装及精加工工艺
JP2006218567A (ja) ワーク位置決め装置
KR101602119B1 (ko) 커넥팅 로드 가공방법
KR101602116B1 (ko) 커넥팅 로드 가공용 지그
CN211163035U (zh) 齿轮轴铣槽用夹具
KR100669942B1 (ko) 커넥팅 로드 분할 장치
CN107442875B (zh) 一种连杆裂解槽加工简易装夹装置
US7540201B1 (en) Crosshead design for universal testing machine
US4096998A (en) Fuel injector
US20050116004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ving a machine component having a bearing eye
CN210649519U (zh) 一种基于偏心燃烧室活塞的可调节式工装夹具
CN217070956U (zh) 一种钢活塞毛坯切割夹具
CN211053175U (zh) 用来加工共轨管接头的夹具
CN110722381A (zh) 用来加工共轨管接头的夹具
KR102630326B1 (ko) 복수개의 바디블럭을 상대이동시킬 수 있는 선박엔진 가공을 위한 지그장치
CN218903802U (zh) 一种用于工件切割的加工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