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841B1 -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841B1
KR101787841B1 KR1020150165399A KR20150165399A KR101787841B1 KR 101787841 B1 KR101787841 B1 KR 101787841B1 KR 1020150165399 A KR1020150165399 A KR 1020150165399A KR 20150165399 A KR20150165399 A KR 20150165399A KR 101787841 B1 KR101787841 B1 KR 10178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module
underwater acoustic
strut
acoustic detection
under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790A (ko
Inventor
신지환
김원제
배호석
이동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16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8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14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18Sonar
    • B63B2708/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은 수상정(100)의 용골(121)을 승하강통로로 이용하여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수중으로 내려주거나 수상정(100)의 갑판으로 올려주는 스트럿 기둥(21), 수상정(100)의 갑판에 세워진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스트럿 기둥(21)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윈치(35), 수중음향탐지모듈(10)과 함께 승강되어 수상정(100)의 갑판위로 올라오는 스트럿 박스(47)를 포함함으로써 소형 선박에서 수중음향탐지모듈(10)의 정비와 운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Underwater Acoustic Signal Detecting Module System for Watercraft}
본 발명은 수중음향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상정에서 스트럿에 연결된 수중음향탐지모듈의 승하강을 위한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중음향탐지모듈은 원격지의 수중 음원에서 방출되는 소음 내지 음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수중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음원의 성격과 특징 및 음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활용된다.
특히, 선박에 장착된 수중음향탐지모듈은 어군 등의 탐지뿐만 아니라 탐지 가능 범위에 있는 다른 선박 등의 특징 및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군사적으로 적의 선박 내지 수중운동체등의 탐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수상정은 군사적으로 적용되는 주요한 군장비를 이루는 소형 선박이다.
이를 위해, 선박용 수중음향탐지모듈은 선체 부착형 또는 윈치 케이블로 운용되는 예인형 방식으로 장착된다.
국내등록특허10-0818187(2008년03월25일)
하지만, 예인형의 경우 수중음향탐지모듈을 진수 및 회수를 위한 장치를 소형 선박에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고, 특히 일정한 수심을 유지하여 운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선체 부착형 수중음향탐지모듈의 경우에는 크기와 무게 때문에 소형 수상정에서는 상당히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수중음향탐지모듈을 갑판에서 목표 수심에 내려가기 위한 하강과 수중에서 갑판까지 올라오기 위한 상승 동작이 스트럿 구조와 연계됨으로써 소형 선박에서 수중음향탐지모듈의 정비와 운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은 수중의 음향을 탐지하는 수중음향탐지모듈;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을 연결하고, 수상정의 용골을 승하강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수상정의 선체에 수직하게 세워진 스트럿 기둥; 상기 수상정의 갑판에 세워진 선상 가림막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럿 기둥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윈치; 상기 승하강통로에 구비되고, 상기 수상정의 갑판위로 올라오는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함께 승강되는 스트럿 박스;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승하강통로는 상기 용골에 뚫려진 개구홀이고, 상기 용골에는 상기 개구홀의 주위로 복수의 보강판이 덧대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트럿 기둥에는 외주면에 간격을 둔 복수의 포지셔너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포지셔너의 각각은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이 상기 수상정을 나와 수중으로 내려간 운용 상태, 상기 수상정의 선실 내부에 위치된 이동 상태, 상기 수상정의 갑판에 올라온 정비 상태의 확인에 이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상기 스트럿 기둥은 상기 스트럿 기둥의 한쪽 끝단부에서 고정 볼트로 결합된다.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상기 스트럿 기둥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럿 기둥에는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연결되는 전원 및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중공의 케이블 도관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동윈치는 상기 스트럿 기둥과 연결되는 후크 와이어를 감아주거나 풀어주고, 상기 후크 와이어는 상기 선상 가림막 프레임에 고정된 연결 브래킷과 결합된 풀리로 지지되며, 상기 연결 브래킷은 상기 풀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동윈치를 고정한다. 상기 풀리와 상기 전동윈치 및 상기 후크 와이어는 각각 2개를 한 쌍으로 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스트럿 박스는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트럿 기둥이 지나가는 슬릿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중음향탐지모듈을 갑판에서 수중갑판으로의 승하강 메커니즘에 있어 기존 예인형 방식보다 장비의 중량/공간 절감할 수 있으며, 원하는 운용심도의 조정(가변심도)이 편리하고 장비의 운용성 및 기동성이 우월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중음향탐지모듈이 스트럿 조립체에 의해 선체에 고정된 상태로 운용됨으로써 윈치 케이블로 운용되는 기존 예인형 방식과 달리 운용 중에도 수심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구동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보강유닛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의 운용 상태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의 이동 상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의 정비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은 수중음향탐지모듈(10), 스트럿 유닛(20), 스트럿 구동유닛(30), 스트럿 보강유닛(40)으로 구성되고, 수상정(100)의 중앙 선체(120)를 이용하여 수직하게 배열되며, 중앙 선체(120)에 세워진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을 거치대로 사용하여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스트럿 유닛(20)의 끝단부위에 결합되며, 비교적 소형 선박인 수상정(100)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수중음향탐지모듈과 동일하다.
일례로, 상기 스트럿 유닛(20)은 한쪽 끝단부위에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결합되고 반대쪽 끝단부위에 스트럿 구동유닛(30)이 결합된 수직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선체(120)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중앙 선체(120)를 관통한다.
일례로, 상기 스트럿 구동유닛(30)은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에 결합되고,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함으로써 수상정(100)을 빠져나간 스트럿 유닛(20)과 함께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물속으로 내려주거나 수상정(100)으로 올라온 스트럿 유닛(20)과 함께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선상으로 올려준다.
일례로, 상기 스트럿 보강유닛(40)은 수상정(100)의 중앙 선체(120)와 연계됨으로써 중앙 선체(120)의 강성을 보강하면서 스트럿 유닛(2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한다.
한편, 도 2는 수중음향탐지모듈(10)과 스트럿 유닛(2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의 상면에 돌출된 모듈 커넥터(11)를 구비하고, 상기 모듈 커넥터(11)의 한쪽부위로 케이블 단자(13)를 더 구비한다. 상기 모듈 커넥터(11)에는 스트럿 유닛(20)의 스트럿 커넥터(23)가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단자(13)에는 케이블 도관(25)으로 보호된 전원 및 통신 케이블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럿 유닛(20)은 중앙이 볼록한 유선형 단면을 갖는 긴 전장 길이로 이루어진 스트럿 기둥(21), 스트럿 기둥(21)의 한쪽 끝단부위를 이루어 수중음향탐지모듈(10)의 모듈 커넥터(11)와 연결되는 스트럿 커넥터(23), 스트럿 기둥(21)의 전장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을 이루면서 스트럿 커넥터(23)쪽에서 절곡된 중공의 케이블 도관(25), 스트럿 기둥(21)의 외주면에 전장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돌출된 제1,2,3 포지셔너(27-1,27-2,27-3)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스트럿 기둥(21)의 전장 길이는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수중에 들어가는 깊이에 맞춰 설정되고, 강성을 위해 케이블 도관(25)이외에 중공을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스트럿 커넥터(23)에는 다수의 볼트홀을 형성하여 고정 볼트(29)가 각각 체결되고, 상기 고정 볼트(29)는 모듈 커넥터(11)와 나사 체결됨으로써 수중음향탐지모듈(10)과 스트럿 유닛(20)이 서로 일체화된다. 상기 제1,2,3 포지셔너(27-1,27-2,27-3)중 제1 포지셔너(27-1)는 수상정(100)에서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완전히 빠져나와 수중 탐지를 할 수 있도록 스트럿 기둥(21)이 최대한 밑으로 내려간 운용위치를 알 수 있는 표시이고, 제2 포지셔너(27-2)는 수상정(100)의 내부에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위치시켜 수상정(100)의 이동시 수중음향탐지모듈(10)에 의한 저항이 없도록 스트럿 기둥(21)이 중간정도 밑으로 내려간 이동위치를 알 수 있는 표시이며, 제3 포지셔너(27-3)는 수상정(100)의 갑판에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위치시켜 정비할 수 있도록 스트럿 기둥(21)이 최대한 위로 올라간 정비위치를 알 수 있는 표시이다.
한편, 도 3은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을 이용하여 설치된 스트럿 구동유닛(3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럿 구동유닛(30)은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에 고정된 연결 브래킷(31), 연결 브래킷(31)에 결합되어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의 상부로 위치된 풀리(33), 풀리(33)와 인접된 위치에서 연결 브래킷(31)에 결합되어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의 상부로 위치된 전동윈치(35), 풀리(33)를 이용해 전동윈치(35)에 감겨지고 풀어지는 후크 와이어(37)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풀리(33)와 상기 전동윈치(35) 및 상기 후크 와이어(37)는 2개가 쌍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풀리(33)는 서로 마주보는 간격으로 배열된 좌,우측 풀리(33-1,33-2)로 구성되고, 상기 전동윈치(35)는 좌,우측 풀리(33-1,33-2)의 바깥쪽으로 위치된 좌,우측 전동윈치(35-1,35-2)로 구성되며, 상기 후크 와이어(37)는 좌,우측 풀리(33-1,33-2)의 각각을 이용해 좌,우측 전동윈치(35-1,35-2)의 각각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좌,우측 후크 와이어(37-1,37-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동윈치(35) 및 상기 좌,우측 전동윈치(35-1,35-2)는 일반적인 전동윈치와 동일하게 작용한다.
한편, 도 4는 수상정(100)을 이용하여 설치된 스트럿 보강유닛(40)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럿 보강유닛(40)은 수상정(100)의 선실 바닥에서 선체 보강판(123)과 엮어진 용골(121)에 가로 방향으로 뚫린 개구홀(41), 개구홀(41)용골(121)의 주위에 덧대어진 다수의 보강판(43-1,43-2,45), 개구홀(41)을 가리도록 용골(121)에 위치된 스트럿 박스(47)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개구홀(41)은 수중음향탐지모듈(10)의 전장 길이가 드나들 수 있는 직사각형으로 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43-1,43-2,45)은 개구홀(41)이 뚫려진 용골(121)의 좌,우에서 선실 바닥에 덧대어져 용골(121)을 지지하는 좌,우 후방 보강판(43-1,43-2), 좌,우 후방 보강판(43-1,43-2)에 간격을 두고 용골(121)의 좌,우중 한쪽에서 선실 바닥에 덧대어져 용골(121)을 지지하는 전방 보강판(45)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상기 좌,우 후방 보강판(43-1,43-2)과 상기 전방 보강판(45)은 선체 보강판(123)과 동일한 작용으로 한다. 상기 스트럿 박스(47)는 개구홀(41)을 가리도록 용골(121)에 덧대어지고 스트럿 유닛(20)의 스트럿 기둥(21)이 관통하는 슬릿(47-1)을 형성한다. 상기 슬릿(47-1)은 스트럿 기둥(21)과 동일하게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5내지 도 7은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이 수상정(100)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예를 나타낸다. 이하, 좌,우측 풀리(33-1,33-2)는 풀리(33), 좌,우측 전동윈치(35-1,35-2)는 전동윈치(35), 좌,우측 후크 와이어(37-1,37-2)는 후크 와이어(37)로 설명된다. 특히,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수상정(100)에서 내려가거나 수상정(100)으로 올라올 때 좌,우측 전동윈치(35-1,35-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나 설명의 편의상 전동윈치(35)의 정회전을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하강으로 하고, 전동윈치(35)의 역회전을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승강으로 설명한다. 또한, 후크 와이어(37)는 스트럿 기둥(21)의 임의 구조를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제1 포지셔너(27-1)를 매개로 스트럿 기둥(21)과 연결되는 상태로 설명된다.
도 5는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의 운용 상태로서, 이 경우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의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수상정(100)에서 최대한 내려와 수중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스트럿 구동유닛(30)이 동작하여 스트럿 유닛(20)을 하강시키고,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스트럿 유닛(20)으로 하강되어 수중으로 내려간다.
일례로, 전동윈치(35)의 후크 와이어(37)와 스트럿 기둥(21)의 제1 리프팅 보스(27-1)를 걸어준 상태에서 전동윈치(35)가 작동되면, 전동윈치(35)의 정회전으로 후크 와이어(37)가 풀어짐으로써 스트럿 기둥(21)은 스트럿 박스(47)의 슬릿(47-1)과 용골(121)의 개구홀(41)을 지나 밑으로 내려가고, 스트럿 기둥(21)에 구비된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수상정(100)을 나와 수중으로 내려간다. 이어, 제1 포지셔너(27-1)가 스트럿 박스(47)의 개구홀(41)로 들어 갔음을 확인 한 후 전동윈치(35)를 멈추면,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원하는 깊이에서 수중에 위치됨으로써 수중음향을 탐지 및 검출하는 운영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스트럿 기둥(21)은 제1 포지셔너(27-1)를 매개로 후크 와이어(37)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6은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의 이동 상태로서, 이 경우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의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수중을 벗어나도록 위로 올라와 수상정(100)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스트럿 구동유닛(30)이 동작하여 스트럿 유닛(20)을 승강시키고,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스트럿 유닛(20)으로 승강되어 물속에서 나와 수중 밖으로 올라온다.
일례로, 전동윈치(35)가 역회전되어 후크 와이어(37)를 감아주면, 후크 와이어(37)의 감김은 스트럿 기둥(21)을 위로 당겨줌으로써 스트럿 기둥(21)의 제2 포지셔너(27-2)는 용골(121)의 개구홀(41)과 스트럿 박스(47)의 슬릿(47-1)을 지나 위로 올라오고, 스트럿 기둥(21)에 구비된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물속에서 나와 수상정(100)의 선실 내부로 올라온다. 이어, 제2 포지셔너(27-2)가 스트럿 박스(47)의 개구홀(41)을 나왔음을 확인 한 후 전동윈치(35)를 멈추면, 수중음향탐지모듈(10)이 수상정(100)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물속에서 꺼내 수상정(100)이 이동되는 상태로 된다.
이 경우, 스트럿 기둥(21)은 제1 포지셔너(27-1)를 매개로 후크 와이어(37)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7은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의 정비 상태로서, 이 경우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1)의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수상정(100)의 갑판에 위치된다. 이를 위해, 스트럿 구동유닛(30)이 동작하여 스트럿 유닛(20)을 승강시키고,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스트럿 유닛(20)으로 승강되어 수상정(100)의 산실에서 나와 갑판으로 올라온다.
일례로, 전동윈치(35)가 계속 역회전되어 후크 와이어(37)를 계속 감아주면, 후크 와이어(37)의 계속 감김은 스트럿 기둥(21)을 더욱 위로 당겨줌으로써 스트럿 기둥(21)의 제3 포지셔너(27-3)는 용골(121)의 개구홀(41)과 스트럿 박스(47)의 슬릿(47-1)을 지나 위로 올라온다. 이어, 스트럿 기둥(21)과 함께 올라온 수중음향탐지모듈(10)은 스트럿 박스(47)의 내부로 들어가 스트럿 박스(47)를 위로 올려줌으로써 스트럿 박스(47)가 수상정(100)의 갑판으로 올라오고, 수상정(100)의 갑판에 스트럿 박스(47)가 올라온 상태에서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확인 한 후 전동윈치(35)를 멈춘다.
그러면, 스트럿 박스(47)를 걷어 내거나 들어 올린 후 수중음향탐지모듈(10)에 대한 정비나 점검을 갑판에서 수행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은 수상정(100)의 용골(121)을 승하강통로로 이용하여 수중음향탐지모듈(10)을 수중으로 내려주거나 수상정(100)의 갑판으로 올려주는 스트럿 기둥(21), 수상정(100)의 갑판에 세워진 선상 가림막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스트럿 기둥(21)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윈치(35), 수중음향탐지모듈(10)과 함께 승강되어 수상정(100)의 갑판위로 올라오는 스트럿 박스(47)를 포함함으로써 소형 선박에서 수중음향탐지모듈(10)의 정비와 운용이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1 :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10 : 수중음향탐지모듈 11 : 모듈 커넥터
13 : 케이블 단자
20 : 스트럿 유닛 21 : 스트럿 기둥
23 : 스트럿 커넥터 25 : 케이블 도관
27-1,27-2,27-3 : 제1,2,3 포지셔너
29 : 고정 볼트
30 : 스트럿 구동유닛 31 : 연결 브레킷
33 : 풀리 33-1,33-2 : 좌,우측 풀리
35 : 전동윈치 35-1,35-2 : 좌,우측 전동윈치
37 : 후크 와이어 37-1,37-2 : 좌,우측 후크 와이어
40 : 스트럿 보강유닛 41 : 개구홀
43-1,43-2 : 좌,우 후방 보강판
45 : 전방 보강판 47 : 스트럿 박스
47-1 : 슬릿
100 : 수상정 110 : 선상 가림막 프레임
120 : 중앙 선체 121 : 용골
123 : 선체 보강판

Claims (10)

  1. 수중의 음향을 탐지하는 수중음향탐지모듈;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을 연결하고, 수상정의 용골을 승하강통로로 이용하여 상기 수상정의 선체에 수직하게 세워진 스트럿 기둥;
    상기 수상정의 갑판에 세워진 선상 가림막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스트럿 기둥을 승하강시키는 전동 윈치;
    상기 승하강통로에 구비되고, 상기 수상정의 갑판위로 올라오는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함께 승강되는 스트럿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럿 박스는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스트럿 기둥이 지나가는 슬릿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통로는 상기 용골에 뚫려진 개구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골에는 상기 개구홀의 주위로 복수의 보강판이 덧대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기둥에는 외주면에 간격을 둔 복수의 포지셔너가 더 구비되고, 상기 포지셔너의 각각은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이 상기 수상정을 나와 수중으로 내려간 운용 상태, 상기 수상정의 선실 내부에 위치된 이동 상태, 상기 수상정의 갑판에 올라온 정비 상태의 확인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상기 스트럿 기둥은 상기 스트럿 기둥의 한쪽 끝단부에서 고정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상기 스트럿 기둥은 각각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 기둥에는 상기 수중음향탐지모듈과 연결되는 전원 및 통신 케이블을 삽입한 중공의 케이블 도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동윈치는 상기 스트럿 기둥과 연결되는 후크 와이어를 감아주거나 풀어주고, 상기 후크 와이어는 상기 선상 가림막 프레임에 고정된 연결 브래킷과 결합된 풀리로 지지되며, 상기 연결 브래킷은 상기 풀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전동윈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풀리와 상기 전동윈치 및 상기 후크 와이어는 각각 2개를 한 쌍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10. 삭제
KR1020150165399A 2015-11-25 2015-11-25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KR10178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99A KR101787841B1 (ko) 2015-11-25 2015-11-25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99A KR101787841B1 (ko) 2015-11-25 2015-11-25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90A KR20170060790A (ko) 2017-06-02
KR101787841B1 true KR101787841B1 (ko) 2017-10-19

Family

ID=5922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99A KR101787841B1 (ko) 2015-11-25 2015-11-25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914A (ko) 2022-08-12 2024-02-20 국방과학연구소 스트럿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7401104B (zh) * 2023-12-14 2024-03-01 中国科学院沈阳自动化研究所 一种用于大深度rov收放系统的摆动对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886A (ja) * 2003-11-28 2005-06-23 Penta Ocean Constr Co Ltd 水底設置用機器類の水中投下装置
KR101073943B1 (ko) * 2011-06-28 2011-10-17 (주)해양정보기술 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1886A (ja) * 2003-11-28 2005-06-23 Penta Ocean Constr Co Ltd 水底設置用機器類の水中投下装置
KR101073943B1 (ko) * 2011-06-28 2011-10-17 (주)해양정보기술 수직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멀티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790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0997B2 (en) System for measuring mechanical properties of sea floor sediments at full ocean depths
US11118365B2 (en) Lifesaving system and method for swimming pool
EP3055201B1 (en) System for subsea operations
CN110116794B (zh) 可供水质监测的mini水下机器人以及水样采集方法
KR101787841B1 (ko) 수상정용 수중음향탐지모듈 시스템
KR20150071694A (ko) 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색 방법
JP2019089422A (ja) 水中ドローンを用いた海底探査システム
CN113115733B (zh) 一种适用于海上风力发电的升降式养殖网箱
KR20130031451A (ko) 틸팅되는 시그널 포스트를 갖는 선박
US6941883B2 (en) Submerged underwater observation booth
US10793241B2 (en) Method and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with an autonomous base
KR20160142423A (ko) 갱웨이 지지용 개선된 페데스탈을 구비한 선박
KR20140032247A (ko) 수중 작업 시스템
CN104030129A (zh) 一种升降式水下观光装置
KR101316561B1 (ko) 풍력발전기 설치선의 해수공급장치
CN112572735B (zh) 一种重型水下机器人框架及其系统
Wenzhöfer et al. TRAMPER-An autonomous crawler for long-term benthic oxygen flux studies in remote deep sea ecosystems
EP3923709A1 (en) A submerged observation unit for a fish tank
JP2016068759A (ja) 水中機器の揚収用装置、水中機器の母船、及び水中機器の揚収方法
CN106477004B (zh) 一种太阳能水上定位自救系统
CN210027850U (zh) 海洋通讯遥控潜水器
CN212341599U (zh) 潜艇漂浮旋转潜望镜
CN214399392U (zh) 一种用于rov的脐带缆管理系统
RU2549250C1 (ru) Измер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мелкомасштабной турбулентности в приповерхностном слое моря
CN203946250U (zh) 一种新型船用观光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