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692B1 -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 Google Patents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692B1
KR101787692B1 KR1020110096973A KR20110096973A KR101787692B1 KR 101787692 B1 KR101787692 B1 KR 101787692B1 KR 1020110096973 A KR1020110096973 A KR 1020110096973A KR 20110096973 A KR20110096973 A KR 20110096973A KR 101787692 B1 KR101787692 B1 KR 101787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dock
super
water film
ship
lau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3105A (ko
Inventor
하상규
서봉수
강경원
배진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6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3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63B1/08Shape of af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8Graving d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4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sideways movement of vess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의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선 조립이 완료된 선박과 부분 완료된 선박을 동시에 진수시키기 위한 일련의 부분 진수의 공정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기일을 단축함과 더불어 드라이 도크의 회전율을 향상시켜 건조에 드는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의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다수의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함께 건조하기 위한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12,12')의 진수 시점에서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를 물막이 부재(16)의 설치를 통해 수밀하는 단계, 상기 수밀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 해수를 채워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하는 단계, 상기 진수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10)를 개방하고 조립이 완료된 전선(12,12')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출한 다음, 새롭게 조립될 건조 대상물을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송하고, 상기 물막이 부재(16)를 제거한 다음 건조 작업을 속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Method for partial launching vessel in dry dock}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일의 드라이 도크 내에서 여러 종류의 선박들을 동시에 건조하는 과정에서 건조가 완료된 전선과 건조 중인 부분 선체를 동시에 진수시켜 건조가 완료된 선박을 드라이 도크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일련의 부분 진수의 공정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기일을 단축하고 도크 회전율의 향상에 따른 제반 건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건조는 조선소 내의 육상 작업장이나 드라이 도크, 또는 플로팅 도크 등에서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 드라이 도크에서 이루어지는 건조 작업은 완성된 선체의 진수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단일의 드라이 도크 내에서 다수의 선박을 동시에 건조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드라이 도크(10)는 그 내부에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다수로 수용한 상태에서 각각의 선체에 대한 개별적인 건조 작업과 함께 부분 진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전선(12,12')은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일체의 선형을 이루고 건조되는 선박을 의미하는 것이고, 상기 슈퍼 블록(14,14')은 큰 부피로 인해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일체로 건조되지 못하고 선체중 일부분을 따로 분리하여 별도로 건조하는 대형의 블록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부분 진수라는 의미는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슈퍼 블록(14,14')과 전선(12,12')을 함께 건조함에 있어, 상기 전선(12,12')의 건조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건조가 종료되지 않더라도 건조가 완료된 전선(12,12')과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함을 뜻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퍼 블록(14,14')의 입장에서 볼 때 상기와 같은 전선(12,12')을 이루기 위해서는 슈퍼 블록(14,14') 끼리의 조립이 선행되어야 완성된 형태의 선체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할 경우를 특별히 부분 진수라고 지칭하고,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선(12,12')만을 건조한 다음 외부로 이동시키는 통상적인 진수와는 구분되는 것을 의미한다.
부연하자면, 본 발명에 있어, 진수는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선(12,12')만을 건조함에 있어 전선(12,12')의 건조를 마친 다음 이를 진수하는 것을 의미하고, 부분 진수는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함께 건조함에 있어 어느 하나의 선종에 대한 건조가 종료된 다음에 이를 도크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루어지는 진수의 또 다른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단일의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다수의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함께 건조할 경우, 각각의 건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선종에 따라 차이는 물론, 최초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동되어온 시점의 차이 등에 따라 상이할 수 밖에 없고, 이러한 사안은 진수의 시점에도 큰 차이를 초래하게 된다. 즉, 단일의 도크에 대한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각각의 선체에 대한 건조 공정을 함께 맞추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안에 해당하므로 결국 부분 진수의 방법을 적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슈퍼 블록(14,14')의 건조 시점 보다 전선(12,12')의 건조가 선행되어 완료되는 경우, 건조가 완료된 전선(12,12')과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시키기 위한 일련의 부분 진수의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때 건조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의 슈퍼 블록(14,14')은 반드시 모든 개방 부위(14a)에 대해 수밀 공사를 실시하여 진수시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채워지는 해수의 블록내 진입을 차단시켜야 한다.
일례로, 도 3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선박의 슈퍼 블록(14,14')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는 물막이 부재(16)라는 별도의 블록 구조물에 의해 수밀되어 외부로부터 해수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즉, 컨테이너 선박에 있어 개방 부위(14a)는 각종 배관부재가 지나가는 통로로서 선저의 중앙 하부에 위치하는 덕트 킬(DUCT KILL)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개방 부위(14a)는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부분 진수시에는 반드시 개방 부위(14a)의 입구를 물막이 부재(16)로 수밀시켜야 한다. 특히 수밀 공사는 개방 부위(14a)의 입구와 물막이 부재(16)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개방 부위(14a)와 물막이 부재(16) 사이의 접촉부위 전 둘레를 완전 용접으로 결합시켜야 한다. 도 4는 종래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 입구에서 내부 공간을 수밀하도록 물막이 부재(16)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3의 A-A선 단면도에 해당한다.
그런데, 종래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를 수밀하기 위한 물막이 부재(16)는 플레이트 형태의 부재나 또는 블록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개방 부위(14a)의 전체 부위를 수밀하기 위해서는 필요 이상으로 대형화될 수 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설치에 많은 시수가 소요된다.
또한, 종래 물막이 부재(16)는 부분 진수의 시점이 도래할 때마다 지정된 전문 작업장에서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특히 부분 진수후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건조 작업을 속개(續開)할 때에는 반드시 제거되어야 하므로 일회성 사용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마다 제작 작업장을 지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항상 진수가 임박한 시점에서 탑재부서에서 설계부서로 제작이 요청되고, 설계부서에는 긴급히 자재를 수급하여 도면 작업을 하는 방식으로 전반적인 업무가 진행되어 각 공정별 많은 혼선이 유발된다.
무엇보다는 상기 물막이 부재(16)는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대한 위치나 크기 등의 형상적 스펙에 따라 범용화 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개방 부위(14a)와 물막이 부재(16)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완전 용접은 부분 진수후 건조 작업의 속개시 물막이 부재(16)를 개방 부위(14a)로부터 제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고, 제거후에는 재차 사용하지 못하고 폐기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즉,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동일한 호선을 다수의 수량으로 건조할 경우에는 동일한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대해 물막이 부재(16)에 의한 수밀 공사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물막이 부재(16)의 일회성 사용이나, 설치를 위한 제작은 물론 제거에 각각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는 것은 선박 건조에 있어 치명적인 문제로 귀결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단일의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선 조립이 완료된 선박과 부분 완료된 선박을 동시에 진수시키기 위한 일련의 부분 진수의 공정을 새롭게 제안함으로써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기일을 단축함과 더불어 드라이 도크의 회전율을 향상시켜 건조에 드는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단일의 드라이 도크 내에서 다수의 전선과 슈퍼 블록을 함께 건조하기 위한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의 진수 시점에서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를 물막이 부재의 설치를 통해 수밀하는 단계;
상기 수밀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 해수를 채워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선과 슈퍼 블록을 동시에 진수하는 단계;
상기 진수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를 개방하고 조립이 완료된 전선을 드라이 도크의 외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출한 다음, 새롭게 조립될 건조 대상물을 상기 드라이 도크 내부로 이송하고, 상기 물막이 부재를 제거한 다음 건조 작업을 속개(續開)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물막이 부재는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부합하도록 형성되는 메인 플레이트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의 각 가장자리 부위에서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와 결합되는 더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물막이 부재는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 선박의 진수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시점에서 선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대한 수밀을 위해 상기 물막이 부재의 제작과 그 설치 단계는,
상기 전선의 조립이 완료되는 진수 시점 이전에 상기 슈퍼 블록에 대한 수밀 공사를 위한 제반 정보를 마련하는 종합 설계 단계;
상기 종합 설계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 내에서 상기 전선과 상기 슈퍼 블록을 동시에 진수하기 위한 제반 사안을 처리하는 구조 상세설계 단계;
상기 구조 상세설계 단계의 이후에, 상기 전선과 상기 슈퍼 블록을 동시에 진수하기 위해 생산과 관련된 사안을 처리하는 구조 생산설계 단계; 및
상기 구조 생산설계 단계의 이후에, 전문 작업장에서 수밀 공사를 위한 물막이 부재를 제작한 다음, 상기 드라이 도크 내로 이송하여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설치하는 현장 조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물막이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더블 플레이트의 전 부위를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의 개방 부위(14a)의 전 둘레에 대해 외부에서 완전 용접하여 수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물막이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와 상기 물막이 부재의 메인 플레이트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더블 플레이트를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로부터 상기 물막이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물막이 부재의 더블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일의 드라이 도크 내에서 전선과 부분 선체에 해당하는 슈퍼 블록을 함께 건조함에 있어 슈퍼 블록의 건조 보다 전선의 건조가 선행되어 완료될 경우, 건조가 완료된 전선과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을 동시에 진수시키기 위한 일련의 부분 진수의 공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도크 회전율의 획기적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부분 진수의 공정에서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에 대해 새롭게 제안된 수밀 공법을 적용함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대한 수밀 공사는 물론 부분 진수의 완료 후 수밀 부위의 제거를 통한 건조 작업의 속개(續開)시 수반되는 일련의 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기일을 크게 단축시킴과 더불어 드라이 도크의 회전율을 높여 선박 건조에 드는 제반 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를 구현하게 된다.
도 1은 단일의 드라이 도크 내에서 다수의 전선과 슈퍼 블록이 함께 건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에 있어 슈퍼 블록의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과 도 2에 각각 도시된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대한 수밀을 위한 물막음 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물막이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슈퍼 블록의 개방 부위에 물막이 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4의 대응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으로서, 여러 종류의 선박들을 단일의 드라이 도크에서 함께 건조하고, 건조가 완료된 선박과 건조 중인 선박이나 블록을 동시에 진수시켜 건조가 완료된 선박을 드라이 도크의 외부로 옮기고 다시 새로운 건조 대상물인 선박이나 블록을 드라이 도크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드라이 도크 운용 방법, 및 부분 진수를 위한 수밀 공사에 있어 물막음 작업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해 종래 기술로서 제시한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함께 도 5의 도시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 도크(10)는 내부에 다수의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수용하고 각각의 선체에 대한 개별적인 건조 작업과 함께 부분 진수에 의한 완성된 선체의 외부 이동 및 새로운 작업 선체의 내부 진입까지도 이루어진다.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슈퍼 블록(14,14')의 조립 보다 전선(12,12')의 조립이 먼저 완료되면, 상기 전선(12,12')의 진수 시점에서 조립이 미처 완료되지 않은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는 물막이 부재(16)의 설치를 통해 수밀되는 이른 바 수밀 공사가 선행된다. 이어, 상기 드라이 도크(10)의 내부에는 해수가 채워지고, 채워진 해수에 의해 상기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은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동시에 부양된다. 이어, 상기 드라이 도크(10)의 수문을 개방하고 조립이 종료되어 건조가 완료된 전선(12,12')을 드라이 도크(10)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어,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 채워진 해수를 다시 외부로 배출한 다음, 진수되어 외부로 이동한 전선(12,12')을 대신하여 새롭게 조립될 예정인 전선(12,12')이나 슈퍼 블록(14,14')을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송하고, 수밀 공사를 위해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설치된 물막이 부재(16)를 제거한 다음 건조 작업을 속개(續開)한다.
한편, 수밀 공사에 적용되는 상기 물막이 부재(16)는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가 가지는 형상적 스펙에 부합하여 완벽한 수밀을 이룰 수 있게 하는 메인 플레이트(16a)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16a)의 각 가장자리 부위에서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를 향해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 전체를 외부에서 감싸는 더블 플레이트(16b)를 구비한다. 즉, 상기 물막이 부재(16)에 있어 더블 플레이트(16b)는 상기 개방 부위(14a)의 입구측 부재의 전 둘레부위에 외부에서 밀착시킨 상태에서 완전 용접에 의해 수밀화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물막이 부재(16)는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선박의 부분 진수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시점에서 선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대한 수밀을 위해 상기 물막이 부재(16)를 제작하고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전선(12,12')의 조립이 완료되는 부분 진수의 시점 이전(대략 10주 전)에 상기 슈퍼 블록(14,14')에 대한 수밀 공사를 위해 물막이 부재(16)의 설치 위치와 물막이 부재(16)의 크기 등 스펙에 대한 제반 정보를 마련하는 종합 설계 과정과, 상기 종합 설계 과정의 이후(부분 진수 이전 대략 10주에서 7.5주까지)에,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상기 전선(12,12')과 상기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하기 위해 진수 계획표의 접수와 도면 출도의 일정을 등록하는 등의 제반 사안을 처리하는 구조 상세설계 과정, 상기 구조 상세설계 과정의 이후(부분 진수 이전 대략 7.5주에서 5주까지)에, 상기 전선(12,12')과 상기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하기 위해 도면의 출도 일정을 등록하고 관련 부서에 도면과 생산 정보를 제공하는 일련의 생산과 관련된 사안을 처리하는 구조 생산설계 과정, 및 상기 구조 생산설계 과정의 이후(부분 진수 이전 대략 2주 전)에, 전문 작업장에서 수밀 공사를 위한 물막이 부재(16)를 제작한 다음,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로 이송하여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설치하는 현장 조립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물막이 부재(16)를 설치하는 과정은 선 제작된 상기 물막이 부재(16)의 더블 플레이트(16b) 전 부위를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대해 외부에서 밀착시켜 완전 용접함으로써 상기 개방 부위(14a)의 내부를 완벽하게 수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물막이 부재(16)를 설치하는 과정은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와 상기 물막이 부재(16)의 메인 플레이트(16a)를 대략 50mm 정도의 간격(X)을 두고 상호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더블 플레이트(16b)를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부분 진수의 종료후,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로부터 상기 물막이 부재(16)를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물막이 부재(16)의 절단을 통해 이루어지는 데, 특히 상기 더블 플레이트(16b)에 대한 신속한 절단 작업을 통해 구현된다. 즉,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와 상기 물막이 부재(16)의 메인 플레이트(16a) 사이에서 간격(X)을 형성하는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더블 플레이트(16b)의 부위를 절단함으로써 보다 신속한 물막이 부재(16)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일의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함께 건조함에 있어, 슈퍼 블록(14,14')의 건조 보다 전선(12,12')의 건조가 선행될 경우, 건조가 종료되지 않은 슈퍼 블록(14,14')에 대한 물막이 부재(16)를 이용한 완벽한 수밀을 통해 건조가 완료된 전선(12,12')과 미건조 상태의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시키기 위한 일련의 부분적인 진수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도크 회전율의 획기적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부분 진수의 시점에 맞춰 슈퍼 블록(14,14')에 대한 수밀 공사를 위한 물막이 부재(16)를 체계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부분 진수를 위한 공정율 향상은 물론 제반 업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대한 수밀을 위해 적용되는 물막이 부재(16)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크기의 시리즈 호선이 많을 경우, 더블 플레이트(16b)의 이용을 통해 대략 5~6회 정도의 재사용이 가능하고, 특히 부분 진수후 건조 작업의 속개시 더블 플레이트(16b)에 대한 절단을 통해 개방 부위(14a)로부터 물막이 부재(16)의 빠른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건조에 소요되는 기일을 크게 단축시킴으로써 한층 더 향상된 경제적 효과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드라이 도크 12,12'-전선
14,14'-슈퍼 블록 16-물막이 부재
16a-메인 플레이트 16b-더블 플레이트

Claims (6)

  1. 단일의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다수의 전선(12,12’)과 슈퍼블록(14,14’)을 함께 건조하기 위한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으로서,
    상기 전선(12,12’)의 진수 시점에서 미건조 상태의 슈퍼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를 물막이 부재(16)의 설치를 통해 수밀하는 수밀 단계;
    상기 수밀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 해수를 채워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전선(12,12’)과 슈퍼 블록(14,14’)을 동시에 진수하는 진수 단계;
    상기 진수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10)를 개방하고 조립이 완료된 전선(12,12’)을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동 단계; 및
    상기 이동 단계의 이후에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 채워진 해수를 외부로 배출한 다음, 새롭게 조립될 건조 대상물을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부로 이송하고, 상기 물막이 부재(16)를 제거한 다음 건조 작업을 속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드라이 도크(10) 내에서 선박의 진수가 이루어지기 이전의 시점에서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부합되도록 하는 메인 플레이트(16a)를 구비한 물막이 부재(16)가 선 제작되는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 부재(16)는,
    상기 메인 플레이트(16a)의 각 가장자리 부위에서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와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와 상기 물막이 부재(16)의 메인 플레이트(16a)를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슈퍼 블록(14,14’)의 개방 부위(14a)에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더블 플레이트(16b)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96973A 2011-09-26 2011-09-26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KR101787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973A KR101787692B1 (ko) 2011-09-26 2011-09-26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973A KR101787692B1 (ko) 2011-09-26 2011-09-26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105A KR20130033105A (ko) 2013-04-03
KR101787692B1 true KR101787692B1 (ko) 2017-11-16

Family

ID=48435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973A KR101787692B1 (ko) 2011-09-26 2011-09-26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306B1 (ko) 2015-03-06 2016-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차단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3105A (ko) 201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692B1 (ko) 드라이 도크 내 선박의 부분 진수 방법
KR101665488B1 (ko) 극지용 선박의 선체 호퍼블록 제조방법, 선체 호퍼블록 조립구조, 및 선체 호퍼블록 조립구조를 구비하는 극지용 선박
CN209795778U (zh) 一种含有活动型坞门的船坞
KR100952461B1 (ko) 마리나 시설용 해상 통로 및 이에 적용되는 폰툰 어셈블리
CN102927374B (zh) 船模甲板引线口水密封处理装置
US3951088A (en) Building equipment for ships' hulls
KR100693286B1 (ko) 선박 및 플로팅 도크 건조를 위한 수중 연결용 물막이 구조및 방법
US3955523A (en) Method of continuously building ships
CN211447005U (zh) 一种海洋钢桩
KR101894347B1 (ko) 씨체스트
KR101220032B1 (ko) 텐덤공법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 적용 파셜워터공법
CN109305290A (zh) 一种船舶放泄孔内螺纹的保护方法及其装置
KR20120121618A (ko) 도크에서의 부분진수선박 건조공법
KR101491665B1 (ko) 선박용 물막이 장치
KR101880242B1 (ko) 코퍼댐
KR101168307B1 (ko) 배출수 비산방지 커버 및 그것을 구비한 갑판의 배수구조체
KR20140016479A (ko) 가변형 건조 도크 및 이러한 건조 도크에 의한 선박 블록의 탑재방법
KR100624189B1 (ko) 우레탄 실란트를 이용한 텐덤블럭 바닥부 엑세스홀의수밀공법
KR20120064230A (ko) 선박의 선미부 다점 탑재 건조공법
FI128875B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NECTING PIPES IN WATERS
KR101283688B1 (ko) 선박의 덕트 키일 클로징 플레이트
KR20170033205A (ko) 회전 격벽을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및 이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건조 공법
JPH11263284A (ja) 船底作業用足場装置
US2379259A (en) Art of shipbuilding
KR100736135B1 (ko) 선박건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