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049B1 - 수목용 약액 공급기 - Google Patents

수목용 약액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049B1
KR101787049B1 KR1020160129337A KR20160129337A KR101787049B1 KR 101787049 B1 KR101787049 B1 KR 101787049B1 KR 1020160129337 A KR1020160129337 A KR 1020160129337A KR 20160129337 A KR20160129337 A KR 20160129337A KR 101787049 B1 KR101787049 B1 KR 101787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main body
storage part
reservoir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남수
Original Assignee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그리젠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9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0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용 약액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와, 희석용 용액이 저장되는 용액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를 분할하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를 통하게 하거나 폐쇄시키는 분리부재; 상기 용액저장부와 통하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수목에 삽입되는 주입바늘이 타단에 형성된 약액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약제희석액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것이 아니고, 희석용 용액(물, 증류수)과 약제를 별도로 포장하여 유통 및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희석용 용액인 물이나 증류수와 약제를 즉석에서 혼합하여 수목에 주입할 수 있어 수목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목용 약액 공급기{Chemical Liquid Supply for Trees}
본 발명은 수목용 약액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에 수분이나 약제 등을 주사방식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목용 약액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공해와 각종 병충해로 인하여 수목이 병들기 쉽고, 토양의 오염으로 인해 수목의 성장을 저해하는 각종 오염물질이 토양 내에 함유됨에 따라 수목이 쉽게 쇠약해지고 고사하게 된다.
수목의 병충해와 수목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 알맞은 치료제나 영양제와 같은 약액을 수목에 적절하게 주입하여야 한다.
수목에 약액을 주입하는 방법으로는 수목의 잎에 약액을 살포하는 엽면살포방법, 약액을 물에 희석하여 토양에 바로 살포하는 관주, 및 수목을 천공하여 약액을 천공을 통해 주입하는 수간방제방법 등이 있다.
토양에 약액을 바로 살포하는 방법은 약액을 수목에 살포하는 작업을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 수행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약액통으로부터 일정량의 약액을 토양에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약액 주입기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1380594호에는 '수목 물공급용 물주머니'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하나의 물주머니에서 다수의 수목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련된다.
한편 종래의 링겔용 나무주사기는 약액성분이 혼합된 혼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유통 중 장기보관 중에 약제성분의 경시변화가 발생하여 약효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경시변화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액제조과정에서 환경 및 나무에 유해한 부자재성분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위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특정한 성분(액상으로 제조 가능하고 경시변화가 적은 성분)만이 링겔 나무주사용으로 판매되어졌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약제희석액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것이 아니고, 희석용 용액(물, 증류수)과 약제를 별도로 포장하여 유통 및 보관하는 수목용 약액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는,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와, 희석용 용액이 저장되는 용액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를 분할하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를 통하게 하거나 폐쇄시키는 분리부재; 상기 용액저장부와 통하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수목에 삽입되는 주입바늘이 타단에 형성된 약액호스;를 포함하는 수목용 약액 공급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배출구와 인접하여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부재는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의 경계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지퍼인 것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분리부재에 대응하는 탭이 형성되고, 상기 탭을 잡아당겨 분리부재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약제희석액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것이 아니고, 희석용 용액(물, 증류수)과 약제를 별도로 포장하여 유통 및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희석용 용액인 물이나 증류수와 약제를 즉석에서 혼합하여 수목에 주입할 수 있어 수목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목용 약액 공급기는,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22)와, 희석용 용액이 저장되는 용액저장부(24)가 형성된 본체(2); 약제저장부(22)와 용액저장부(24)를 분할하도록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되며, 약제저장부(22)와 용액저장부(24)를 통하게 하거나 폐쇄시키는 분리부재(4); 용액저장부(24)와 통하도록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6); 배출구(6)에 일단이 연결되며, 수목에 삽입되는 주입바늘(82)이 타단에 형성된 약액호스(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2)는 2장의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켜 외곽부분을 씰링처리함으로써 내부에 약제와 용액이 저장될 수 있으며, 중간을 가로방향으로 분할하여 상부에는 약제저장부(22)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용액저장부(24)가 형성된다.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체(2)의 일측에는 배출구(6)와 인접하여 공기흡입구(7)가 형성된다.
공기흡입구(7)는 본체(2)에 통하도록 삽입되고 외면이 기밀 접합된 파이프(72)와, 파이프(72)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마개(74)로 구성된다.
상기 마개(74)를 나사식으로 돌려서 외부 공기가 본체(2) 내에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구(6)를 통해 혼합액이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이 제공될 수 있다.
약제저장부(22)와 용액저장부(24)를 분할하는 부위에 분리부재(4)가 형성된다.
분리부재(4)는 최초에는 약제저장부(22)와 용액저장부(24)를 분할시키되 서로 통하지 못하도록 폐쇄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후 사용 단계에서 분리부재(4)를 개방시켜 약제가 용액에 혼입되어 혼합액이 조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부재(4)는 본체(2)의 일측에 형성되며 약제저장부(22)와 용액저장부(24)의 경계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지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는 지퍼는 요(凹)부(42)와 철(凸)부(44)를 포함하고, 요부(42)에 철부(44)가 억지끼움되어 폐쇄되도록 한 것이다(도 3 참조).
본체(2)의 외면, 즉 양면에는 분리부재(4)에 대응하는 탭(3)이 각기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양측의 탭(3)을 잡아당겨서 분리부재(4)인 지퍼의 요부(42)와 철부(44)가 벌어지면서 개방시키게 된다.
배출구(6)는 용액저장부(24)와 통하도록 본체(2)의 하부에 형성된다.
배출구(6)는 본체(2)에 통하도록 삽입되고 외면이 기밀 접합된 파이프(62)와, 파이프(62)의 선단에 나사결합된 커넥터(64)로 구성된다.
커넥터(64)에 약액호스(8)의 일단이 결합된 후 조여져서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약액호스(8)는 배출구(6)의 커넥터(64)에 일단이 연결되며, 수목에 삽입되는 주입바늘(82)이 타단에 형성되고, 중간에는 약액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밸브(6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탭(3)을 양측으로 잡아당겨서 분리부재(4)가 개방되도록 하면 약제저장부(22)의 약제가 용액저장부(24)로 유입되어 혼합된다.
이후 주입바늘(82)을 수목에 꽂은 후 밸브(66)를 열어 적정량의 약액이 투입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본체 3 : 탭
4 : 분리부재 6 : 배출구
7 : 공기흡입구 8 : 약액호스
22 : 약제저장부 24 : 용액저장부
42 : 요부 44 : 철부
66 : 밸브 72 : 파이프
74 : 마개

Claims (4)

  1. 약제를 저장하는 약제저장부와, 희석용 용액이 저장되는 용액저장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를 분할하도록 본체에 형성되며,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를 통하게 하거나 폐쇄시키는 분리부재;
    상기 용액저장부와 통하도록 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배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며, 수목에 삽입되는 주입바늘이 타단에 형성된 약액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외면이 본체에 접합되는 파이프와, 파이프에 결합된 커넥터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에 약액호스가 결합되며,
    상기 분리부재는,
    약제저장부와 용액저장부의 경계에 형성되어 개폐되는 지퍼이고, 본체의 일면에 형성되는 요(凹)부와, 그에 대응되는 본체의 타 면에 형성되는 철(凸)부를 포함하며, 상기 요부에 철부가 억지끼움되어 폐쇄되도록 구성되며, 억지끼움을 해소시켜 분리부재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약액 공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배출구와 인접하여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는,
    본체에 통하도록 삽입되고 외면이 기밀 접합된 파이프와, 파이프에 결합 되는 마개로 구성되며,
    상기 마개를 통해 외부 공기가 본체 내에 유입되어, 약제저장부의 약제와 용액저장부의 용액이 혼합되어 배출구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약액 공급기.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면에는 분리부재에 대응하는 탭이 형성되고, 상기 탭을 잡아당겨 분리부재를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약액 공급기.
KR1020160129337A 2016-10-06 2016-10-06 수목용 약액 공급기 KR101787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337A KR101787049B1 (ko) 2016-10-06 2016-10-06 수목용 약액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337A KR101787049B1 (ko) 2016-10-06 2016-10-06 수목용 약액 공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049B1 true KR101787049B1 (ko) 2017-10-17

Family

ID=6029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337A KR101787049B1 (ko) 2016-10-06 2016-10-06 수목용 약액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0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077A (ja) * 2003-12-18 2005-07-07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複室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7077A (ja) * 2003-12-18 2005-07-07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医療用複室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1622B1 (de) Konnektor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enthaltende Verpackungen und Verpackung für medizinische Flüssigkeiten
US5509433A (en) Control of fluid flow
JP5788399B2 (ja) インターバイアル移送システム
SE512489C2 (sv) Aseptisk anslutningsanordning
DE102008048988A1 (de) Vorrichtung zum Anschluss einer Spritze an ein Behältnis oder eine Schlauchleitung
US7029465B2 (en) Filter ampoule system
KR20080093971A (ko) 연속적인 밀봉의 일 방향 밸브 어셈블리 및 그 내부에서의이용을 위한 유체 전달 시스템 제조물
KR20110101193A (ko)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용 밀폐 캡 및 약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
JP2013503018A (ja) 脆弱部分を有する投与装置および投与方法
CN108348685A (zh) 预填充有可复溶试剂的一次性输送装置
KR100849863B1 (ko) 주름통을 이용한 밀폐형 압력식 수간주입기
KR101787049B1 (ko) 수목용 약액 공급기
KR101675989B1 (ko) 점안액 용기 및 이의 조립방법
JPH03212383A (ja) 二先端投薬及び計量装置
US6648851B2 (en) Applicator having partial insertion cannula
CN204369544U (zh) 一种灌装头
CN105997343A (zh) 耳道粉末药物上药装置
CN209650975U (zh) 一种行道树治理药剂插瓶
CN210114722U (zh) 一种单剂量或小剂量鼻喷装置
CN202554467U (zh) 输液软袋隔膜式接口
CN207836261U (zh) 一种果树病虫害防治输液装置
TW201639444A (zh) 密閉型壓力式樹幹注入器
CN214677316U (zh) 一种农机用便携式水箱
CN218680306U (zh) 植株给药装置
KR200448893Y1 (ko) 액상 식물 영양제의 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