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779B1 - Foldable stroller - Google Patents

Foldable s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779B1
KR101786779B1 KR1020127019897A KR20127019897A KR101786779B1 KR 101786779 B1 KR101786779 B1 KR 101786779B1 KR 1020127019897 A KR1020127019897 A KR 1020127019897A KR 20127019897 A KR20127019897 A KR 20127019897A KR 101786779 B1 KR101786779 B1 KR 10178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by
baby car
sliding membe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9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21393A (en
Inventor
겐지 후나쿠라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30691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7867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3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7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62B9/203Handle bars; Handles movable from front end to rear en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베이비 카(10)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본체(20)와, 요동 가능한 핸들(50)과, 상기 핸들 상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60)와, 베이비 카 본체(20)의 암레스트(26)로부터 돌출한 돌출 부재(8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 부재(60)는, 핸들의 요동을 규제하는 걸어 맞춤 위치와 핸들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슬라이딩 가능하다. 돌출 부재는, 전개 시에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경로 밖에 위치해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고, 접이 시에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 경로 내에 위치해서 슬라이딩 부재의 슬라이딩을 규제한다.A baby ca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ldable baby carriage body 20, a swingable handle 50, a sliding member 60 provided on the handle, 26) projecting from the projecting member (80). The sliding member 60 is slidable between an engagement position for regulating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and a release position for enabling the swing motion of the handle. The protruding member is located outside the sliding path of the sliding member at the time of deployment to enable sliding of the sliding member, and is positioned in the sliding path of the sliding member at the time of folding to regulate the sliding of the sliding member.

Description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FOLDABLE STROLLER}Foldable baby car {FOLDABLE STROLLER}

본 발명은 핸들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한 접이식 베이비 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이 시에 있어서의 의도하지 않은 핸들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는 베이비 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able baby car in which a handle can swing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car that can prevent unintended swinging of a handle at the time of folding.

종래,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아를 승차시키는 베이비 카가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요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JP2005―096590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측면 시(視)에 있어서 수직 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 1 위치(대면 밀기 위치)와, 수직 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 2 위치(배면 밀기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한 핸들을 구비한 베이비 카도 널리 이용할 수 있게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핸들이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 조작자(보호자)는 유아의 배면 측으로부터 핸들을 파지하고,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베이비 카를 밀고 나갈 수 있다. 한편, 핸들이 제 1 위치에 있는 경우, 조작자는 유아에 대면하는 전각(前脚) 측의 위치로부터 핸들을 파지하고, 유아의 모습을 관찰하면서, 후각(後脚) 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베이비 카를 밀고 나갈 수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a baby car is known in which an infant is directed forward in a traveling direction to ride an infant. In addition, as disclosed in JP2005-096590A, for example, a first position (a face-to-face pushing position) inclined frontward relative to a vertical axis at a side view (viewing position) It is also possible to widely use a baby carriage having a handle capable of swinging between two positions (a backward-pushed position). In such a baby car, when the handle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operator (guardian) can grip the handle from the back side of the infant and push the baby car forward with the infant facing the forwar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or grasps the handle from the position on the front side facing the infant so that the side of the rear leg is in front of the advancing direction while observing the state of the infant You can push your baby car out.

또한, 요즘 사용되고 있는 베이비 카의 대부분은 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JP2005―096590A에 개시된 베이비 카와 같이, 많은 베이비 카는 측면 시에 있어서 전각과 핸들이 접근하도록 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어진 베이비 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 addition, most of the baby cars currently used are foldable. Like a baby car disclosed in JP2005-096590A, many baby cars are configured to be foldable so that the full angle and the handle can approach each other at the side. This makes it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folded baby car in the front-rear direction.

JP2005―096590A에 개시된 베이비 카에서는, 핸들에 설치된 슬라이딩 가능한 걸기 후크가 베이비 카 본체에 설치된 걸기 돌기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핸들이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걸기 후크는 베이비 카 전후 방향으로 접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핸들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걸기 후크를 오동작시킨 경우, 핸들이 전후 방향으로 접어진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 본체로부터 자유롭게 요동할 수 있게 된다.In the baby car disclosed in JP2005-096590A, the handle is fixed to the first position or the second position by engaging with the hook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baby car body, with the slidable hooking hook provided on the handle. This hooking hook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even in the folded st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aby car. Therefore, when the hooking hook is erroneously operated, the handle can swing freely from the baby car body folded back and forth.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JP2005-096590A에서는, 핸들의 베이비 카 본체에 대한 피벗 부착 위치에 회동 규제부를 설치하여, 핸들의 요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JP2005―096590A의 단락 001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 있어서 요동하려고 하는 핸들에 맞닿아서 핸들의 요동을 규제하기 위해, 특별한 부재를 베이비 카 본체에 설치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존재하는 부재의 형태를 크게 하거나 하는 것이 시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의 시도가 행해져 왔지만,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 본체에 대한 핸들의 요동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In order to deal with such a problem, in JP2005-096590A,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at a pivot attachmen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aby's car body of the handle so as to limit the swing range of the handle. Further, as disclosed in paragraph 0011 of JP2005-096590A, a special member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of the baby car in order to regulate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in contact with the handle to be swung in the folded state, It is attempted to increase the shape of the member. Although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in this manner, it is highly desirable to be a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handle from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folded baby carriage body.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 본체에 대한 핸들의 요동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베이비 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 which can more reliably prevent the handle from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folded baby carriage body.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베이비 카는,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전각 및 후각을 갖고, 전개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본체와,A baby carriage main body having a frame member, an armres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and a front angle and a rear angle rotatably connected to the armrest,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접속된 핸들과,A handle connected to the baby car body so as to be swing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상기 핸들 상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서, 상기 핸들의 상기 제 2 위치로부터의 요동을 규제하는 걸어 맞춤 위치와, 상기 걸어 맞춤부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핸들의 상기 제 2 위치로부터의 요동이 가능한 해제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sliding member provided on the handle, wherein the sliding member is engaged with an engagement portion provided on the baby car body to regulate the swinging of the handle from the second position, A sliding member capable of sliding relative to the handle between a release position where the handle can swing from the second position,

상기 암레스트로부터 돌출한 돌출 부재를 구비하고, And a projecting member projecting from the armrest,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밖에 배치되어, 당해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Wherein the protruding member is disposed outside a movement path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when the baby car body is in the deployed state, To move,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안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을 규제한다.The baby carriage body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baby carriage body is in the folded state when the baby carriage body is in the collapsed state, And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is regulated.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암레스트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암레스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각 및 후각이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에 있어서의 상기 암레스트 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member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on which the front angle and the rear angle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with the pivot center of the armrest and the frame member therebetween And may be provided at the position on the armrest side on the opposite side.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걸어 맞춤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향하는 판상(板狀)부와, 상기 판상부에 접속된 리브부를 가져도 된다.Further, in the baby ca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memb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aby car body is folded with the handle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 car body is in the folded state A plate portion opposed to the sliding member located at the engagement position, and a rib portion connected to the plate uppe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향한 이동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향한 이동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뻗도록 해도 된다. Further, in the baby ca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like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aby car body is folded with the handle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 car body is in the folded state Extend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from the engaging position to the releasing position, and the rib portion is folded so that the baby car body is folded when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may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when the car body is in the folded state.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걸어 맞추는 상기 걸어 맞춤부는, 상기 베이비 카 본체의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비 카 본체의 접이 동작 중, 상기 핸들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상기 암레스트가 회동하도록 해도 된다.Further, in the baby ca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sliding member on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o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armrest may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rame member whil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frame member is kept constant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er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는, 상기 후각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후각 및 상기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을 더 갖고, 상기 핸들은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연결 브래킷의 회동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Further, in the baby ca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by car body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odor sensor and the frame member, the connecting bracket connecting the odor sensor and the frame member, The handle may be pivotable on the baby car body about the same axis as the pivot axis of the frame member and the connection bracket.

또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의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걸어 맞출 수 있는 추가 걸어 맞춤부가,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더 설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기 핸들 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추가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의 요동이 규제됨과 함께, 상기 베이비 카 본체의 접이 동작도 규제되어도 된다.Further, in the baby ca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ditional engaging portion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slid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s further provided to the baby car body, The swinging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position is restricted by engagement of the sliding member on the handl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with the additional engaging portion and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 body may be restricted.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 부재가, 접이 시에 슬라이딩 부재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의 오동작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 상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와 베이비 카 본체에 설치된 돌출 부재의 구조적인 걸어 맞춤에 의해, 접혀진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 본체에 대해 핸들이 요동하게 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ding member prevents the malfunction of the sliding member by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sliding member at the time of folding. Therefore, by structurally engaging the sliding member provided on the handle and the projecting member provided on the baby car bod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handle from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folded baby carriag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핸들이 제 2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핸들이 제 1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전후 방향으로 접은 상태의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폭 방향으로 더욱 접은 상태의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핸들이 제 2 위치에 배치된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의 암레스트 및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부분을 폭 방향 외방으로부터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돌출 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베이비 카의 암레스트 및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부분을 폭 방향 외방으로부터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baby c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by car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back pushing position); Fig.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aby car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face-to-face pushing position); Fig.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baby car folded back and forth; Fig.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baby car folded further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tate of Fig. 4; Fig.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rtion including the armrest and the frame member of the baby car in a deployed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Fig.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portion including the armrest and the frame member of the baby car from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for explaining the action of the projecting member. Fig.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by car in a folded state;

도 1~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베이비 카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도 5에는 베이비 카의 전체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는, 프레임 부재(26)와, 프레임 부재(2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레스트(28)와, 암레스트(28)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전각(22) 및 후각(24)을 갖는 베이비 카 본체(20)와, 베이비 카 본체(20)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핸들(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의 전각(22)의 하단에는 전륜(前輪)(2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베이비 카 본체(20)의 후각(24)의 하단에는 후륜(後輪)(2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1 to 8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baby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5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 1 to 5, a baby ca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rame member 26, an armrest 28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26, A baby carriage body 20 having an front angle 22 and a rear angle 24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28 and a handle 50 pivotably connected to the baby carriage body 20. [ A front wheel 23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lower end of the full angle 22 of the baby car body 20. A rear wheel 24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wheel 24 of the baby car body 20, (25) is rotatably supported.

한편,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베이비 카(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2005-096590호 공보), 접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베이비 카(10)에 있어서는, 핸들(50)을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유아의 배면 측으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여 베이비 카(10)를 조종해서,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베이비 카(10)를 주행시키는 것 및 조작자가 유아에 대면하는 전각 측의 위치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여 베이비 카(10)를 조종해서, 베이비 카(10)의 후각 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해서 베이비 카(10)를 주행시키는 것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by car 10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as widely popularized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096590). In the baby car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50 is swung relative to the baby car body 20 so that the operator (guardian) grasps the handle 50 from the back side of the baby, 10 of the baby car 10 is driven so that the infant is directed to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aby car 10 is driven and the handle 50 is gripped from the position of the full angle side where the operator faces the infant, And the baby car 10 is driven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baby car 10 i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traveling direction.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베이비 카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에 승차하는 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비 카(10)의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와 우상을 연결하는 방향이며,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의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전」이란 승차한 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하 측 및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베이비 카(10)의 전측이 된다. 한편, 베이비 카(10)의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인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가로 방향」이란 폭 방향이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어느 쪽에도 직교하는 방향이다.Herei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before", "after", "upper", "lower",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up and down directions" Quot ;, " forward ", " upper ", " lower ", " forward / backward direction ", and " up / down direction " based on the infant riding on the car 10. More specifically, the " back-and-forth direction " of the baby car 10 is a direction connecting the lower left and upper right of the paper in Fig. 1 and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paper in Figs. 1 " and the left side of the paper in Figs. 2 and 3 indicate the front side of the baby car 10, and " front side " do. On the other hand, the " vertical direction " of the baby car 10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plane. Therefore, when the ground plane is a horizontal plane, " vertical direction "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The " transverse direction " is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i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우선, 베이비 카의 전체 구성부터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에 따른 가로 방향 중심 면을 중심으로 해서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 본체(20)는,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22)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24)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암레스트(28)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부재(26)를 갖고 있다.First,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 the baby car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 whole. 1 to 3, a baby car body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full angles 22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a pair of rear right angles 24 disposed on left and right sides, A pair of armrests 28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a pair of frame members 26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전각(22)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24)의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26)의 상단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암레스트(28)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full angle 22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armrest 28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side). Likewise, the upper part of the smell 24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front part of the armrest 28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sid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rame member 26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armrest 28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side).

베이비 카 본체(20)는, 좌 전각(22)과 좌 프레임 부재(26)를 연결하는 좌측방 연결 부재(32), 및 우 전각(22)과 우 프레임 부재(26)를 연결하는 우측방 연결 부재(32)를 더 갖고 있다. 각 측방 연결 부재(32)는 그 전방 부분이 전각(22)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그 후방 부분이 프레임 부재(26)의 하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는, 좌 후각(24)과 좌 프레임 부재(26)를 연결하는 좌 연결 브래킷(34), 및 우 후각(24)과 우 프레임 부재(26)를 연결하는 우 연결 브래킷(34)을 더 갖고 있다. 각 연결 브래킷(34)은, 그 일부분에 있어서 후각(24)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26)의 하방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The baby car body 20 includes a left side connecting member 32 for connecting the left front angle 22 and the left frame member 26 and a right side connecting member 32 for connecting the right front angle 22 and the right frame member 26, And further has a member (32). Each of the side connecting members 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 front angle 22 and its rear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26. [ The baby car body 20 includes a left connecting bracket 34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frame 24 and the left frame member 26 and a right connecting frame 34 for connecting the right and left frame 24 and the right frame member 26, And further includes a bracket 34. Each of the connection brackets 34 is rotatably (pivotably) connect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olfactory angle 24 in a part thereof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rame member 26 in the other portions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는, 가로 방향으로 뻗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22) 사이를 연결하는 풋레스트(전측 연결 바)(38)와, 한 쌍의 측방 연결 부재(32)를 연결하는 상측 연결 바(36)와, 한 쌍의 후각(24) 사이를 연결하는 후측 연결 바(40)를 갖고 있다. 상측 연결 바(36), 풋레스트(38) 및 후측 연결 바(40)는 각각 폭 방향을 따라 이간된 한 쌍의 힌지(36a, 36b, 38a, 38b, 40a, 40b)를 갖고 있다(도 1 및 도 5 참조). 또한, 한 쌍의 암레스트(28) 사이에 굴곡 가능한 가드 부재(42)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The baby ca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onent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ncludes a footrest (front connecting bar) 38 connecting the pair of full angles 22, An upper connecting bar 36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32 and a rear connecting bar 40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the rear horns 24. The upper connecting bar 36, the footrest 38 and the rear connecting bar 40 each have a pair of hinges 36a, 36b, 38a, 38b, 40a, 40b sp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Fig. 5). A guard member 42 capable of bending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armrests 28 in a detachable manner.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핸들(50)이 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핸들(50)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뻗는 대략 직선 형상의 한 쌍의 직선부(연장부)(51)와, 한 쌍의 직선부(51)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52)를 포함하고, 전체로서 대략 U자 형상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50)은 U자의 양단 부분을 대응하는 측의 연결 브래킷(34)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한편, 핸들(50)의 연결 브래킷(34)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O1)은 연결 브래킷(34)과 프레임 부재(26)의 회동 축선(O1) 및 프레임 부재(26)와 측방 연결 부재(32)의 회동 축선(O1)과 일치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요동하고, 핸들(50)의 직선부(51)는 암레스트(28)의 측방을 암레스트(28)를 따라 이동하도록 된다. 한편, 핸들(50)의 중간부(52)에는 폭 방향으로 이간해서 배치된 한 쌍의 힌지(50a, 50b)가 설치되어 있어 굴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The handle 50 is swingably connected to the baby car body 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1, the hand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generally straight straight portions (extended portions) 51 extending substantially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pair of straight portions 51 extending between the pair of straight portions 51 And has an approximately U-shaped configuration as a whole. The handle 50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racket 34 on the corresponding side at both end portions of the U-shape.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axis (oscillating center) O1 of the handle 5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racket 34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axis O1 of the connection bracket 34 and the frame member 26, And coincides with the rotation axis line O1 of the member 32. [ 2 and 3, the handle 50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by's car body 20, and the straight portion 51 of the handle 50 is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 armrest 28 And moves along the armrest 28. On the other hand, a pair of hinges 50a and 50b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middle portion 52 of the handle 50, and is capable of bending.

암레스트(28)의 측방을 이동 가능한 핸들(50)의 한 쌍의 직선부(51) 상에는, 직선부(5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6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슬라이딩 부재(60)는 핸들(50)의 대응하는 직선부(51) 상에 있어서, 직선부(51)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시 생략)에 의해 하방(U자의 단부쪽)을 향해 가압되어 있다. A sliding member 60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portion 51 is provided on a pair of straight line portions 51 of the handle 50 movable on the side of the armrest 28. [ Each sliding member 60 is pressed downward (on the end side of the U-shape) by a spring (not shown) provided in the straight portion 51 on the corresponding straight portion 51 of the handle 50.

한편,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 본체(20)에는 한 쌍의 슬라이딩 부재(60)와 각각 걸어 맞춰서 핸들(50)의 회동을 규제하는 한 쌍의 제 1 걸어 맞춤부(제 1 걸어 맞춤 돌기)(30a) 및 한 쌍의 제 2 걸어 맞춤부(제 2 걸어 맞춤 돌기)(30b)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걸어 맞춤부(30a)는 암레스트(28)에 설치되어 암레스트(28)로부터 폭 방향 외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제 2 걸어 맞춤부(30b)는 프레임 부재(26)에 설치되어 프레임 부재(26)로부터 폭 방향 외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60)는 폭 방향 내방으로 개구해서 걸어 맞춤부(30a, 30b)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61)를 갖고 있다. 이 수용부(61)는 하방을 향해서도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핸들(50)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부재(60)를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방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부재(60)와 걸어 맞춤 부재(30a, 30b)의 걸어 맞춤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슬라이딩 부재(60)를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수용부(61)에 의해 걸어 맞춤 부재(30a, 30b)를 상방으로부터 덮음으로써, 슬라이딩 부재(60)와 걸어 맞춤 부재(30a, 30b)를 걸어 맞출 수 있다.2 and 3, the baby carrier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engaging portions (second engaging portions) 50 for engaging with the pair of sliding members 60 and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50 1 engaging projections) 30a and a pair of second engaging portions (second engaging projections) 30b.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a is provided on the armrest 28 and protrudes from the armrest 28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0b is provided on the frame member 26 and protrudes from the frame member 26 toward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7, the sliding member 60 has a receiving portion 61 which is open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and can receive the engaging portions 30a and 30b. The accommodating portion 61 is also opened downward. Therefore, the sliding member 60 and the engaging members 30a and 30b (not shown) can be slid upward by oppos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spring (not shown) while the handle 50 is arrang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 Can be released. Conversely, by sliding the sliding member 60 downward and covering the engaging members 30a and 30b from above by the accommodating portion 61, the sliding member 60 and the engaging members 30a and 30b are engaged You can fit it.

전방에 설치된 제 1 걸어 맞춤 돌기(30a)와 슬라이딩 부재(60)가 걸어 맞춰 서로 걸어짐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 1 위치(대면 밀기 위치)에 고정된다. 핸들(50)이 제 1 위치에 고정된 경우, 핸들(50)은 측면시에 있어서 수직 축을 따르도록 해서 회동 축선(요동 중심)(O1) 상에 도립한 위치(도 3에 있어서의 일점쇄선의 위치)로부터 베이비 카(10)의 전방으로 쓰러진 상태(전각 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후각(24)과 대략 평행하게 뻗는다. 그리고, 조작자는 유아에 대면하는 베이비 카(10)의 전각 측의 위치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고, 유아의 모습을 보면서 베이비 카(10)를 밀고 나갈 수 있다. 이때, 베이비 카(10)의 후각 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30a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sliding member 60 engage with each other to engag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andle 50 is fixed at the first position (face-to-face pushing position), as shown in Fig. In the case where the handle 50 is fixed at the first position, the handle 5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n the pivotal axis O1 (along the vertical axis) (Inclined to the fore-angled side) from the front of the baby car 10 and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olfactory 24. The operator can grip the handle 50 from the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aby car 10 facing the baby and push the baby car 10 while watching the baby. At this time, the rear side of the baby car 10 becomes the forward direction.

한편, 후방에 설치된 걸어 맞춤 돌기(30b)와 슬라이딩 부재(60)가 걸어 맞춰 서로 걸어짐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 2 위치(배면 밀기 위치)에 고정된다. 핸들(50)이 제 2 위치에 고정된 경우, 핸들(50)은 측면 시에 있어서 수직 축을 따르도록 해서 회동 축선(요동 중심)(01) 상에 도립한 위치(도 2에 있어서의 일점쇄선의 위치)로부터 베이비 카(10)의 후방으로 쓰러진 상태(후각 측으로 경사진 상태)가 되어, 프레임 부재(26)와 대략 평행하게 뻗는다. 그리고, 조작자는 유아의 배면 측이 되는 베이비 카(10)의 후각 측의 위치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고, 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해서 베이비 카(10)를 밀고 나갈 수 있다. 이때, 베이비 카(10)의 전각 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 the handle 50 is fixed to the second position (back pushing position) by engaging the engaging projections 30b provided on the rear side with the sliding member 60 by engaging them. In the case where the handle 50 is fix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handle 5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on the pivot axis (pivot center) 01 (along the vertical axis) (Inclined to the smell side) from the back side of the baby car 10, and extend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frame member 26. [ The operator can grip the handle 50 from the position on the rear side of the baby car 10 which is the back side of the infant and push the baby car 10 with the infant facing forward in the advanc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front side of the baby car 10 is in the forward direction.

또한, 도 6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핸들(50)에는 그 직선부(51)로부터 폭 방향 내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규제 돌기(5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베이비 카 본체(20)에는, 이 규제 돌기(53)와 접촉하여, 핸들(50)의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한 요동 가능한 범위를 구획하는 규제 부재(31a, 3lb)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 부재(31a)는 제 1 걸어 맞춤부(30a)의 근방에 배치되어, 핸들(50)이 제 2 위치의 측으로부터 제 1 위치를 넘어서 더욱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한편, 제 2 규제 부재(31b)는 제 2 걸어 맞춤부(30b)의 근방에 배치되어, 핸들(50)이 제 1 위치의 측으로부터 제 2 위치를 넘어서 더욱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요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이 때문에,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에 있어서 핸들(50)은 도 3에 나타낸 제 1 위치와 도 2에 나타낸 제 2 위치 사이의 범위에만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6, the handle 50 is provided with a regulating protrusion 53 projecting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straight portion 51 thereof. On the other hand, the baby car body 20 is provided with regulating members 31a and 31b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regulating protrusions 53 and define a range in which the handle 50 can swing with respect to the baby car body 20 . 6, the first regulating member 31a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0a, and the handle 50 is moved beyond the first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side, 20).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regulating member 31b is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0b so that the handle 50 is pivoted from the first position side beyond the second position to the baby car body 20 further To the extent possible. Therefore, the handle 50 of the baby car 10 in the unfolded state is located only in the range between the first position shown in Fig. 3 and the second position shown in Fig.

또한, 핸들(50)은 그 직선부(5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55)와 그 중간부(52) 상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55)를 원격 조작 가능한 원격 조작 장치(57)를 갖고 있다. 이 조작 부재(55)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하방(핸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U자의 단부 쪽)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57)를 조작함으로써,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여, 조작 부재(55)를 끌어올릴 수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10)에 있어서 핸들(5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면, 핸들(50) 상의 조작 부재(55)는 프레임 부재(26)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록 해제 부재(27)에 하방으로부터 맞닿게 된다. 프레임 부재(26)에는, 프레임 부재(26)를 후각(24)에 대해 고정하여,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걸기 기구(도시 생략)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록 해제 부재(27)는 상방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프레임 부재(26)를 후각(24)에 대해서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걸기 기구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handle 50 includes an operating member 55 slidably provided on the straight portion 51 and a remote operating device 57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portion 52 and capable of remotely operating the operating member 55. [ . The operating member 55 is urged downward (toward the end of the U-shaped member formed by the handle) by a spring (not shown).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57, the operating member 55 can be pulled up against the pressure by a spring (not shown). The operation member 55 on the handle 50 is slidable on the frame member 26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in the baby car 10 in the unfolded state, To the unlocking member (27)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 frame member 26 is fixed to the rear horn 24 so that a fastening mechanism (not shown) for keeping the baby car 10 (the baby car body 20) in an unfolded state is built therein . The lock releasing member 27 is configured to slide upward to release the engaging mechanism (not shown) for fixing the frame member 26 to the rear angle 24.

부가하여, 베이비 카(10)는 베이비 카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배부(背部) 프레임(70)을 더 갖고 있다. 배부 프레임(70)은 베이비 카 본체(20)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한 쌍의 측부(71)와, 한 쌍의 측부(7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72)를 갖고 있다. 측부(71)와 연결부(72)의 접속 개소에는 힌지(7Oa ,70b)가 형성되어 있다. 측부(71)의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은, 핸들(50)의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한 회동 축선(요동 중심), 브래킷(34)과 프레임 부재(26)의 회동 축선, 및 프레임 부재(26)와 측방 연결 부재(32)의 회동 축선과 일치하고 있다.In addition, the baby car 10 further includes a back frame 70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by car body 20. [0054] The folding frame 70 has a pair of side portions 71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by car body 20 and a connecting portion 72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ide portions 71. Hinges 70a and 70b are formed at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side portion 71 and the connecting portion 72. [ The pivotal axis (pivotal center) of the side portion 71 with respect to the babycar body 20 is a pivot axis of the handle 50 relative to the babycar body 20, And the pivotal axis of the frame member 26 and the side connecting member 32 coincide with each other.

또한, 도 2 및 도 3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10)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 판상재와 판상재를 덮는 포재(布材)로 이루어진 시트(90)를 더 갖고 있다. 시트(90)의 좌부(座部)(91)는 상측 연결 바(36) 및 측방 연결 부재(32)에 의해 지지되고, 시트(80)의 배부(92)는 프레임 부재(26) 및 배부 프레임(7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시트는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그 외의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2 and 3, the baby car 10 further includes a sheet 90 having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and a sheet 90 made of a covering material covering the sheet material. The seat portion 91 of the seat 90 is supported by the upper connecting bar 36 and the side connecting member 32 and the seat portion 92 of the seat 80 is supported by the frame member 26 and the distributing frame 32. [ (Not shown). On the other hand, the sheet is indicated by chain double-dashed lines in Figs. 2 and 3, and is omitted in the other drawings.

이상과 같은 전체 구성을 갖는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는, 이하와 같이 해서 각 구성 부재를 서로 회동시킴으로써 접을 수 있다.The baby car 10 (baby car main body 20) having the above-described overall configuration can be folded by pivoting the respective constituent members as follows.

핸들(50)이 제 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선 핸들(50)을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요동시켜, 핸들(50)을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핸들(50)이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핸들(50) 상의 슬라이딩 부재(60)가 베이비 카 본체(20)의 제 1 걸어 맞춤 부재(30a)와 걸어 맞추고 있는 경우, 핸들(50)에 의해 베이비 카 본체(20)의 접이 동작이 규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핸들(50)이 제 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핸들(50) 상의 슬라이딩 부재(60)를 끌어올림으로써, 슬라이딩 부재(60)와 제 1 걸어 맞춤부(30a)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핸들(50)을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요동시켜서, 핸들(50)을 제 2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2 위치에 배치된 핸들(50) 상의 슬라이딩 부재(60)와 베이비 카 본체(20)의 프레임 부재(26) 상의 제 2 걸어 맞춤부(30b)의 걸어 맞춤에 의해, 핸들(50)을 베이비 카 본체(20)에 고정한다. 이때, 그 하단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26)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50)은 슬라이딩 부재(60)와 제 2 걸어 맞춤부(30b)의 걸어 맞춤에 의해서도 프레임 부재(26)에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하의 접이 동작 중 측면 시에 있어서(측방으로부터 관찰한 경우), 핸들(50)의 하방 부분은 프레임 부재(26)와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된다.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first the handle 50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by car body 20, and the handle 5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sliding member 60 on the handle 50 is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member 30a of the baby car body 20, This is becaus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 body 20 is restricted. Therefore,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liding member 60 on the handle 50 is pulled up so that the engagement between the sliding member 60 and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30a Release. In this state, the handle 50 is pivoted relative to the baby car body 20, and the handle 50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engagement of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30b on the frame member 26 of the baby car body 20 with the sliding member 60 on the handle 50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llows the handle 50 to be rotated, Is fixed to the baby car body (20). At this time, the handle 50 swingably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26 at the low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frame member 26 by the engagement of the sliding member 6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0b .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50 performs the same operation as that of the frame member 26 at the side of the following folding opera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다음으로, 원격 조작 장치(57)를 조작함으로써, 프레임 부재(26)의 후각(24)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는, 원격 조작 장치(57)에 의해 조작 부재(55)를 동작시키고, 동시에 조작 부재(55)를 통해서 프레임 부재(26) 상의 록 해제 부재(27)를 동작시키고, 프레임 부재(26)의 후각(24)에 대한 고정을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위치에 배치된 핸들(50)을 일단 후상방으로 끌어올리고, 그 뒤 하방으로 밀어 내린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6)는 핸들(50)과 함께 동작한다. 이에 따라, 연결 브래킷(34)이 후각(24)에 대해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조작에 따라, 암레스트(28) 및 측방 연결 부재(32)는 프레임 부재(26)에 대해 도 2에 있어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시에 있어서(측방으로부터 관찰한 경우에 있어서) 핸들(50)이 전각(22)과 대략 평행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전각(22)에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의 치수가 소형화된다.Next, the remote control device 57 is operated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frame member 26 to the rear horn 24. Concretely, the operation member 55 is operat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57 and the lock release member 27 on the frame member 26 is operated through the operation member 55 at the same time, (24). In this state, the handle 50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is pulled upward one time and then downwardly thereafter. At this time, the frame member 26 operates together with the handle 50 as described above. Thus, the connection bracket 34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smell 24. According to this operation, the armrest 28 and the side connecting member 32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frame member 26. Fig. By this operation, the handle 50 is moved so as to approach the front full angle 22 while maintaining the substantially parallel relationship with the front full angle 22 at the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size of the baby car 10 (baby car body 20) is reduced.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이 해서,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를 전후 방향으로 접으면, 핸들(50)과 전각(22)이 대략 평행하게 유지된 채, 핸들(50)의 배치 위치가 내려가게 된다. 이 결과,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뿐만 아니라,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도 소형화할 수 있다.4, when the baby car 10 (the baby car body 20) is fol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50 and the full angle 22 are kept substantially parallel, The position of the handle 50 is lowered. As a result, not only the dim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by car 10 (baby car body 20) but also the siz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by car 10 (baby car body 20) have.

한편, 도시한 베이비 카에 있어서는, 상측 연결 바(36), 풋 레스트(38) 및 후측 연결 바(40)는 각각 폭 방향을 따라 이간된 한 쌍의 힌지(36a, 36b, 38a, 38b, 40a, 40b)를 갖고 있다(도 1 및 도 5 참조). 마찬가지로, 핸들(50)도 폭 방향을 따라 이간된 한 쌍의 힌지(50a, 50b)를 갖고 있다. 또한, 배부 프레임(70)도 폭 방향을 따라 이간된 한 쌍의 힌지(70a, 70b)를 갖고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베이비 카(10)를 접은 경우, 이들 부재(36, 38, 40, 50, 70)의 한쪽의 힌지(36a, 38a, 40a, 50a, 70a)가 대략 제 1 축(La) 상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힌지(36b, 38b, 40b, 50b, 70b)가 대략 제 2 축(Lb)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결과, 제 1 축(La) 및 제 2 축(La)을 각각 중심으로 해서,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를 접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폭 방향의 치수도 소형화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illustrated baby carriage, the upper connecting bar 36, the footrest 38, and the rear connecting bar 40 are each provided with a pair of hinges 36a, 36b, 38a, 38b, 40a , 40b (see Figs. 1 and 5). Likewise, the handle 50 also has a pair of hinges 50a, 50b sp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lso, the distributing frame 70 has a pair of hinges 70a and 70b spac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5, when the baby car 10 is folded back and forth, one of the hinges 36a, 38a, 40a, 50a, 70a of these members 36, 38, 40, And the other of the hinges 36b, 38b, 40b, 50b, and 70b is located on the second axis Lb. As a result, the baby car 10 (baby car body 20) can be folded about the first axis La and the second axis La respectively, and accordingly the size in the width direction can be reduced have.

한편,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를 접은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접이 조작과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nfold the baby car 10 (baby car main body 20) from the folded state, the operation opposite to the fold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그런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 본체(20)를 전후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 있어서, 가령 오동작 등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가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13)로 이동하면, 슬라이딩 부재(60)와 제 2 걸어 맞춤부(30b)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핸들(50)은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요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비 카 본체(2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핸들(50)의 규제 돌기(53)와 접촉할 수 있는 제 1 규제 부재(31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비 카 본체(20)를 전후 방향으로 접은 상태에 있어서, 이미 핸들 요동 시에 있어서의 제 1 규제 돌기(53)의 이동 궤적(T1)으로부터 크게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가령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 본체에 대해서 핸들(50)이 요동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면, 핸들(50)은 도 4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규제 돌기(53)를 넘어 전각 측으로 완전히 쓰러지는 위치까지 요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베이비 카 본체(20)가 전개되면, 핸들(50)을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까지 되돌릴 수 없게 된다. 4, when the sliding member 60 is moved from the engaging position to the releasing position 13 by a malfunction or the like in a state in which the baby car body 20 is folded back and forth, 60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30b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handle 50 can swing with respect to the baby carrier main body 20. Particularly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4, the first regulating member 31a, which can contact the regulating protrusion 53 of the handle 50 in the extended state of the baby car body 20, The main body 20 is located at a position which is greatly deviated from the movement locus T1 of the first restricting projection 53 at the time of swinging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main body 20 is folded back and forth. Therefore, if the handle 50 is allowed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folded baby carriage body, the handle 50 is moved completely beyond the first restricting projection 53 to the full angle side as shown by the two- You can rock to the collapsing position. When the baby's car body 20 is deployed in this state, the handle 50 can not be returned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도 6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28)로부터 폭 방향 외방으로 돌출한 돌출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 부재(8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60)의 걸어 맞춤 위치(도 7에 있어서의 실선의 위치)와 해제 위치(도 7에 있어서의 이점쇄선의 위치) 사이의 슬라이딩 경로 밖에 배치되어, 당해 슬라이딩 부재(60)의 걸어 맞춤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한편으로, 돌출 부재(80)는, 핸들(5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슬라이딩 부재(60)의 걸어 맞춤 위치와 해제 위치의 사이의 슬라이딩 경로 안에 배치되어, 슬라이딩 부재(60)의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 및 배치되어 있다. 즉, 돌출 부재(80)는 슬라이딩 부재(60)의 오동작 시에 핸들(50) 및 그 부속품 등에 맞닿음으로써 핸들(50)의 요동을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접이 시에 슬라이딩 부재(60)의 동작을 규제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60)의 오동작 자체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0)과 다른 부재(예를 들면, 제 1 규제 부재(31a))의 접촉이 아니라, 핸들(50) 상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60)와 베이비 카 본체(20)에 설치된 돌출 부재(80)의 구조적인 걸어 맞춤에 의해, 접힌 상태에 있는 베이비 카 본체(20)에 대해 핸들(50)이 요동하게 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규제 부재(31a) 및 제 2 규제 돌기(31b)는 핸들(50) 자체에 접촉할 필요는 없고, 제 1 규제 부재(31a) 및 제 2 규제 돌기(31b)는 베이비 카(10)(베이비 카 본체(20))의 전개 시에, 핸들(50)로부터 폭 방향 내방으로 돌출하는 규제 돌기(53)에만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따라서, 제 1 규제 부재(31a) 및 제 2 규제 돌기(31b)의 베이비 카 본체(20)로부터의 폭 방향 외방으로의 돌출량을 크게 확보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베이비 카(10)의 전체적인 미관을 손상시키는 것 및 핸들(50)의 요동 동작 시에 핸들(50)(규제 돌기(53))과 제 1 규제 부재(31a) 사이에 의류 등이 끼는 것을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a projecting member 80 projecting outwar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armrest 28 is provided to prevent such a problem. 6 and 7,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 car body 20 is in the unfolded state, the protruding member 80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member 60 Is disposed outside the sliding path between the engaging position (position of the solid line in Fig. 7) and the releasing position (position of the alternate long and short dash line in Fig. 7), and between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releasing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60 So as to enable the movement of the wafer W.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s car body 20 is in the folded state, the protruding member 80 is positioned between the engaging position and the releasing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60 And is arranged and arranged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60 from the engaged position to the released position. That is, the protruding member 80 does not regulate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by abutting against the handle 50 and its accessories at the time of malfunction of the sliding member 60, Thereby preventing the sliding member 60 from malfunctioning itself. Therefore, the sliding member 60 provided on the handle 50 and the protruding member 60 provided on the baby car body 20 are not in contact with the handle 50 and other members (for example, the first regulating member 31a)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handle 50 from swinging with respect to the folded baby carriage body 20 by the structural engagement of the handle 80. [ The first regulating member 31a and the second regulating protrusion 31b do not ne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andle 50. The first regulating member 31a and the second regulating protrusion 31b are not in contact with the handle 50, (The baby car body 20), it is sufficient that the baby carriage can contact only the restricting projection 53 projecting inward from the handle 50 in the width direction.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larg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first regulating member 31a and the second regulating protrusion 31b in the width direction outward from the baby car body 20, so that the overall beauty of the baby car 10 And it is possible to very effectively suppress the attachment of the clothes or the like between the handle 50 (the regulating protrusion 53) and the first regulating member 31a during the swinging operation of the handle 50. [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 부재(80)는, 암레스트(28)와 프레임 부재(26)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암레스트(28)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전각(22) 및 후각(24)이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에 있어서의 암레스트(28) 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암레스트(28)는 그 일단(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후단)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26)에 접속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부재(26)와의 접속점(회동 중심)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26)와의 접속점(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전각(22) 및 후각(24)이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에 돌출 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6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암레스트(28)는, 암레스트(28)와 프레임 부재(26)의 회동 축선(회동 중심)(O2)을 넘어서, 전각(22) 및 후각(24)이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9)를 갖고 있으며, 이 연장부(29)에 돌출 부재가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핸들(5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가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에,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 경로로부터 크게 벗어난 위치에 돌출 부재(80)를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개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60)의 조작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0)과 고정된 프레임 부재(26)에 대한 암레스트(50)의 접이 동작 시에 있어서의 회동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당해 슬라이딩 부재(60)와 대면하는 위치에 돌출 부재(80)를 자동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otruding member 80 is arranged so that the entire angle 22 and the obliqueness ang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28) between the armrest 28 and the frame member 26, 2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armrests 28 are connected. That is, the armrest 28 is not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26 at one end (rear end in the deployed state) but extends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oint (pivot center) with the frame member 26, A protruding member 80 is provid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front angle 22 and the rear angle 24 are connected with a connecting point (pivotal center) with the frame member 26 interposed therebetween. 6, the armrest 28 is disposed so as to extend beyond the rotation axis (rotation center) O2 of the armrest 28 and the frame member 26, 24 are extended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y are connected. A protrud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extended portion 29.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 car body 20 is in the deployed state, the protruding member 80 is positioned at a position greatly deviated from the sliding path of the sliding member 60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and easily operate the sliding member 60 in the deployed state. 7, by the rotation of the armrest 50 with respect to the handle 50 and the fixed frame member 26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the sliding member 60 is mov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6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rrange the protruding member 80 at a position facing the first protruding portion 60.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 6에 잘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돌출 부재(80)는 핸들(5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걸어 맞춤 위치에 위치하는 슬라이딩 부재(60)에 대향하는 판상부(81)와, 판상부(81)에 접속되어 판상부(81)를 보강하는 리브부(82)를 갖고 있다. 이러한 돌출 부재(80)는 판상부(81)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60)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음과 함께, 리브부(82)에 의해 충분한 강성이 부여됨으로써, 판상부(81)가 보다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되어, 슬라이딩 부재(60)가 돌출 부재(80)를 타고 넘어서 오동작하는 것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6,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 car body 20 is in the folded state, And a rib portion 82 connected to the plate upper portion 81 and reinforcing the plate upper portion 81. The rib portion 82 is provided with a rib portion 82 which is connected to the plate upper portion 81, This protruding member 80 can fully exhibit the function of regulat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60 by the plate upper portion 81 and is provided with sufficient rigidity by the rib portion 82, The sliding member 60 can be more reliably prevented from erroneously moving over the protruding member 80. As a result,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판상부(81)는 핸들(5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리브부(82)는 핸들(50)이 제 2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베이비 카 본체(20)가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부재(60)의 슬라이딩 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러한 돌출 부재(80)에 의하면, 슬라이딩 부재(60)가 돌출 부재(80)를 타고 넘어서 오동작하는 것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ate upper portion 81 is provided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60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 car body 20 is in the folded state And the rib portion 82 extend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sliding member 60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baby car body 20 is in the folded state, It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projecting member 80,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prevent the sliding member 60 from erroneously moving over the projecting member 80.

한편, 상기한 실시형태에 관해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례에 관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hange will be described.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베이비 카(10)의 전체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베이비 카(10)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접을 수 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접을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For example,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 10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For example, the baby car 10 may be fold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s shown in Fig. 4, but it may be configured not to fold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Claims (7)

프레임 부재와, 상기 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전각(前脚) 및 후각(後脚)을 갖고, 전개 상태로부터 접힌 상태로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본체와,
대면 밀기 위치인 제 1 위치와 배면 밀기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접속된 핸들과,
상기 핸들 상에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로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설치된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춰서 상기 핸들의 상기 제 2 위치로부터의 요동을 규제하는 걸어 맞춤 위치와, 상기 걸어 맞춤부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어 상기 핸들의 상기 제 2 위치로부터의 요동을 가능하게 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암레스트로부터 돌출한 돌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전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밖에 배치되어, 당해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 경로 안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까지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A baby car body (1) comprising a frame member, an armres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and a front leg and a rear leg rotatably connected to the armrest, Wow,
A handle connected to the baby car body so as to be swing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in a face-to-face pushing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in a back pushing position,
The sliding member provided on the handle is engaged with the engagement portion provided on the baby car body to release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position for regulating the swinging of the handle from the second position and the engagement portion, A sliding member slidable between the handle and the releasing position enabling swinging from the second position;
And a projecting member projecting from the armrest,
Wherein the protruding member is disposed outside a movement path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when the baby car body is in the deployed state, To move,
The baby carriage body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baby carriage body is in the folded state when the baby carriage body is in the collapsed state, Wherein the sliding member is arranged in the movement path to regulate the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암레스트와 상기 프레임 부재의 회동 중심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암레스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각 및 후각이 접속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 측에 있어서의 상기 암레스트 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ding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on the armrest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to which the front angle and the rear angle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mrest with the pivot center of the armrest and the frame member therebetween Wherein the foldable baby carriage is a foldable baby carri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걸어 맞춤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에 대향하는 판상부와, 상기 판상부에 접속된 리브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by carriage body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baby carriage body is in the folded state when the baby carriage body is in the folded state, And a rib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향한 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리브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가 접혀져서 당해 베이비 카 본체가 상기 접힌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상기 걸어 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향한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The method of claim 3,
The baby carriage body is folded in a state that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baby carriage body is folded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to the release posi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Wherein the rib portion is folded from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sliding member to the release position when the baby car body is folded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And a direction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aby carri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 2 위치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걸어 맞추는 상기 걸어 맞춤부는, 상기 베이비 카 본체의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베이비 카 본체의 접이 동작 중, 상기 핸들의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한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 대해 상기 암레스트가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sliding member on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on the second position is disposed on the frame member of the baby car body,
Wherein the armrest rotates with respect to the frame member whil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andle to the frame member is kept constant during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er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는, 상기 후각 및 상기 프레임 부재의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후각 및 상기 프레임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을 더 갖고,
상기 핸들은, 상기 프레임 부재와 상기 연결 브래킷의 회동 축선과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by car body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bracket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f the odor sensor and the frame member to connect the odor sensor and the frame member,
Wherein the handle is pivotable on the babycar body about an axis which is the same as the axis of rotation of the frame member and the connecting bracke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와 걸어 맞출 수 있는 추가 걸어 맞춤부가 상기 베이비 카 본체에 더 설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에 배치된 상기 핸들 상의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추가 걸어 맞춤부와 걸어 맞춤함으로써, 상기 핸들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의 요동이 규제됨과 함께, 상기 베이비 카 본체의 접이 동작도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가능한 베이비 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urther engaging portion engageable with the slid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liding member on the handle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s engaged with the additional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swinging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position is restricted and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 body is also restricted Features a foldable baby car.
KR1020127019897A 2010-01-22 2011-01-20 Foldable stroller KR10178677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2439A JP5410312B2 (en) 2010-01-22 2010-01-22 Folding stroller
JPJP-P-2010-012439 2010-01-22
PCT/JP2011/050978 WO2011090117A1 (en) 2010-01-22 2011-01-20 Foldable s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393A KR20120121393A (en) 2012-11-05
KR101786779B1 true KR101786779B1 (en) 2017-10-18

Family

ID=4430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9897A KR101786779B1 (en) 2010-01-22 2011-01-20 Foldable stroll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410312B2 (en)
KR (1) KR101786779B1 (en)
CN (1) CN102781759B (en)
HK (1) HK1176589A1 (en)
TW (1) TWI540067B (en)
WO (1) WO201109011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35333B1 (en) * 2012-09-19 2014-11-17 Stokke As Stroller
TWI642578B (en) * 2013-04-04 2018-12-01 康貝股份有限公司 Baby carriage
JP6169426B2 (en) * 2013-07-04 2017-07-26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and seat support unit
JP6214953B2 (en) * 2013-07-24 2017-10-18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CN104554409A (en) * 2013-10-25 2015-04-29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Frame misuse-preventing mechanism and baby carriage with same
JP6494979B2 (en) * 2014-11-04 2019-04-03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CN104340254B (en) * 2014-11-07 2017-08-08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It is a kind of can twice-folded children trolley
CN105752145B (en) * 2015-01-06 2018-05-04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child carrier
JP2018070123A (en) * 2016-11-04 2018-05-10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CN106515833A (en) 2016-12-06 2017-03-22 江苏小小恐龙儿童用品集团有限公司 Folding frame for baby stroller
JP2021123169A (en) * 2020-02-03 2021-08-30 ニューウェルブランズ・ジャパン合同会社 baby carriage
JP6957051B2 (en) * 2020-02-20 2021-11-02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CN114056416A (en) * 2020-07-29 2022-02-18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Auxiliary structure for locking driv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88A (en)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Baby carriag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3972B2 (en) * 2003-01-10 2009-07-29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JP4757594B2 (en) * 2005-09-30 2011-08-24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JP4855035B2 (en) * 2005-09-30 2012-01-18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JP2008149750A (en) * 2006-12-14 2008-07-03 Graco Childrens Prod Inc Folding type baby carriage
JP4994926B2 (en)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JP5028166B2 (en) * 2007-07-03 2012-09-19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baby carriage
CN201161603Y (en) * 2007-12-31 2008-12-10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Babies' go-cart with direction-changeable pulling hand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4688A (en) 2007-04-09 2008-10-23 Combi Corp Baby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48449A (en) 2011-08-04
HK1176589A1 (en) 2013-08-02
JP5410312B2 (en) 2014-02-05
CN102781759B (en) 2015-02-25
KR20120121393A (en) 2012-11-05
TWI540067B (en) 2016-07-01
WO2011090117A1 (en) 2011-07-28
CN102781759A (en) 2012-11-14
TW201141737A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779B1 (en) Foldable stroller
KR101790543B1 (en) Foldable baby carriage
KR101750774B1 (en) Baby carriage
JP4812948B2 (en) stroller
JP5963394B2 (en) Folding baby carriage
KR101910437B1 (en) Stroller
JP2008254693A (en) Baby carriage
JP2005329844A (en) Article storage basket, and folding stroller having the same
KR20150023262A (en) Baby stroller and seat unit
KR20170058371A (en) Baby carriage
JP5020655B2 (en) stroller
WO2018051807A1 (en) Stroller
CN112203921B (en) Baby carriage
JP6771990B2 (en) Push cart
CN111356624A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child and child seat
JP6923929B2 (en) baby carriage
JP2009090777A (en) Mounting vehicle for bicycle
JP6923930B2 (en) baby carriage
JP6957028B2 (en) baby carriage
JP2003118584A (en) Locking mechanism for foldable baby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