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8371A -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Baby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8371A
KR20170058371A KR1020177007363A KR20177007363A KR20170058371A KR 20170058371 A KR20170058371 A KR 20170058371A KR 1020177007363 A KR1020177007363 A KR 1020177007363A KR 20177007363 A KR20177007363 A KR 20177007363A KR 20170058371 A KR20170058371 A KR 20170058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operating
switching
operating member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7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슈이치로 우사
나오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58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83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위치와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60)가 유모차 본체(11)에 설치되어 있다. 핸들(50)에 동작 가능게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2)에 동작 가능하게 전환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다. 전환 부재(65)의 동작은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전달된다. 조작 부재(55)는 핸들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또한,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를 가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A state holding member 60 movable between a position where the folding operation is regulated and a position where the folding operation is enabled is provided in the baby carriage body 11. [ An operable operating member 55 is provided on the handle 50. A switching member 65 is provided so as to be operable in the main body frame 12.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65 is transmitted to the wheel holding unit 70. The operating member 55 can be pressed and moved by operating the handle, and the switching member can be press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Description

유모차{BABY CARRIAGE}BABY CARRIAGE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함과 함께, 핸들이 전방으로 기운 위치와 후방으로 기운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by stroller which is foldable and capable of swinging between a forwardly inclined position and a backwardly inclined position.

종래, 핸들이,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1 위치(배면 밀기 위치)와, 수직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2 위치(대면 밀기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유모차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유모차의 조작성을 고려하면, 전각 및 후각 모두에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회전체와,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를 가진 소위 캐스터로서의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이 사용되며, 또한, 진행 방향의 전방측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에 있어서의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 다리에 설치된 회전체의 고정체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JP2008-254693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핸들의 위치에 따라서 자동으로,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stroller is known which is capable of swinging between a first position (back pushing position) in which the handle is inclined rearward than the vertical axis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second position (facing pushing position) . Considering the operability of this type of baby carriage, there is a need for a stroller which rotatably holds the wheels at both the full angle and the rear angle, and a fixture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or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wheel A wheel holding unit as a so-called caster is used,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in the wheel holding unit provided on the front side leg in the traveling direction is made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is regulated. In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JP2008-254693A, there is provided a switching mechanism that can automatically rotate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handle, and switch the state of the rotating body to the non-rotatable state.

JP2008-254693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전환 기구는, 후각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미끄럼 이동 부재와, 핸들에 설치된 전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JP2008-254693A에 개시된 유모차에서는, 핸들의 요동에 수반된 전환 부재의 회동 동작이 미끄럼 이동 부재의 미끄럼 이동 동작으로 변환된다. 이 미끄럼 이동 부재의 미끄럼 이동 동작을 차륜 보유 지지 유닛에 전달함으로써,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의 회전체가 고정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와 회전 불가능한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다.In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JP2008-254693A, the switching mechanism includes a sliding member which is slidably provided at a smoothing angle, and a switching member provided on the handle. In the baby carriage disclosed in JP2008-254693A,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accompanying the swinging of the handle is converted in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wheel holding unit so that the rotating body of the wheel holding unit can be automatically switched between the rotatable state and the nonrotatable state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body .

이러한 전환 기구는 매우 유용한 반면, 구성이 복잡하여, 유모차의 대형화, 그 결과로서 유모차의 중량화를 야기해 버린다.While this switching mechanism is very useful,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leading to a large size of the stroller, and consequently to a weighting of the stroller.

게다가, 최근의 유모차는, 통상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서는, 일반적으로, 유모차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핸들 및 그 근방에 설치된다. 즉, 유모차를 전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구가,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환 기구를 구성하는 부재의 설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전환 기구의 설계 자유도에도 제약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a recent baby carriage is normally configured to be foldable. In the foldable baby carriage, generally, a mechanism for keeping the baby carriage in a deployed state is provided at the handle and its vicinity. That is, the mechanism for keeping the baby carriage in the deployed state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member constituting the switching mechanis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fficient installation space for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switching mechanism. In addition, there is also a restriction on the design freedom of the switching mechanism.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핸들이 요동 가능하고 또한 유모차 본체가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의 요동에 따라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의 상태를 자동으로 전환하는 기구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the mechanis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tate of the wheel hold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in a baby stroller in which the handle can swing and the baby stroller body can be folded .

본 발명의 유모차는,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전각 및 후각를 갖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갖는 절첩 가능한 유모차 본체와,A foldable baby carriage body having a main body frame having an entire angle and a smile angle, a handle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이며, 차륜과, 상기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비회전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을 구비하고,And a wheel hold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legs, the wheel holding unit comprising: a wheel; a rotating body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and a wheel hold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egs, A rotating body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about an axis, a non-rotating position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and a rotating position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And a wheel holding unit having a lock member movable between the two wheel holding units,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A state holding member capable of moving between a regulating position wher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is regulated and a releasing position wher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is possible is provided on the body frame,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조작 부재가,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An operating member oper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handle,

상기 핸들의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고,A switching mechanism is provided for moving the lock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Wherein the switching mechanism includes a switching member operatively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a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to the locking member,

상기 조작 부재는,Wherein: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상태 유지 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고,By operating the handle, the state holding member is pressed and moved,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를 가압하여 동작시킨다.The switching member is press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 프레임은,Wherein,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아아암레스트와,An arcuate limb rotatably connected to the full angle and the smell angle,

상기 아아암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를 갖고,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arm rest,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링크에 지지되고,Wherein the state retaining member is supported on the first link,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지지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The switching member may be supported at the smell angle.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본체 프레임은,Wherein,

상기 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와,A secon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full angle,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를 추가로 갖고,Further comprising a third link rotatably connected to said horn angle,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3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Wherein the second link is rotat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and the third link,

상기 제3 링크는,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The third link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movable between an operating position and a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Is pressed toward the non-operation position,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를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The operating member may abut downward on the switching member to operate the switching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movable between an operating position and a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Is pressed toward the non-operation position,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조작 부재에 가압되며,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해도 된다.The state holding member may be pressed by the operating member moving from the non-operation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and move from the regulation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Wherein the handle is pivo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engageable with the state retaining member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engages with the switching member,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전환 부재로부터 이격하도록 해도 된다.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witching member.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Wherein the handle is pivo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engageable with the state retaining member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engages with the switching member,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movable between an operating position and a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Is pressed toward the non-operation position,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며,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도록 해도 된다.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a contact surface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ate holding member downward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a contact surface which contacts the switching member downwardly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조작 기부와,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상기 접촉면을 포함하는 조작 돌출부를 갖도록 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ng member may include an operating base portion that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and a projection port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base portion is provided, The operation protrus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접촉면은 곡선형으로 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surface may be curved when obser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면을 포함하고 있도록 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surface may include a movement path of the operating member along with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And the distance from the swing axis line may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접촉 가능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se where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is configured such that at a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that is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swing axis, You can.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상태 위치 부재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ate position member is a portion of the handl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

본 발명의 유모차에 있어서,In the baby carria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전환 기부와, 상기 후각 중 상기 전환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환 돌출부를 갖고,Wherein the switching member has a switchable portion that is slidable relative to the smell and a switchable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switchgear portion where the switchgear portion is provided,

상기 전환 돌출부는,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받침면을 포함하고,Wherein the switching projec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the switching projection is extended from the front side in the movement path of the operating member following the swing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a support surface facing the rear side, the distance from the swing axis being gradually increased,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받침면에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The operating member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switching member following the swing of the handle to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이 요동 가능하며 또한 유모차 본체가 절첩 가능한 유모차에 있어서, 핸들의 요동에 따라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기구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size and weight of a mechanism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state of the wheel holding unit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in the baby carriage which is capable of swinging the handle and folding the baby carriag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핸들이 제2 위치(대면 가압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절첩 상태에 있는 유모차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유모차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측면도.
도 5는 유모차의 주요부 부분 사시도.
도 6은 유모차의 주요부 부분 사시도.
도 7은 유모차의 주요부 부분 사시도.
도 8은 한쪽의 차륜을 제거한 상태에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baby carriag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roller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the face-to-face pressing posi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baby carriage in a folded state;
Fig. 4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main part of the baby carriag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baby carriag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baby carriage.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baby carriag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wheel holding unit with one wheel remov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8;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유모차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중, 도 1 내지 도 3에는, 유모차의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다리(14, 16)를 가진 절첩 가능한 유모차 본체(11)와, 다리(14, 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을 갖고 있다. 유모차 본체(11)는, 전각(14) 및 후각(16)을 갖는 본체 프레임(12)과,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본체 프레임(12)에 접속된 핸들(50)을 갖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모차 본체(11)에는, 쿠션성의 좌석재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영유아는 이 좌석재 위에 착좌한다.1 to 9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is shown. 1 to 3, the baby carriag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oldable baby carriage body 11 having legs 14 and 16, And a support unit (70). The baby carriage body 11 has a main body frame 12 having an front angle 14 and a rear angle 16 and a handle 50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2 so as to be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2 have. Although not shown, a cushioning seat material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baby carriage body 11. Infants and young children sit on this sea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모차(10)는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예를 들어, JP2006-117012A), 절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0)에 있어서는, 핸들(50)을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요동시킴으로써, 조작자(보호자)가 영유아의 배면측으로부터 핸들(5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영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 및, 조작자가 영유아에 대면하는 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여 유모차(10)를 조종하고,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의 전방이 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주행시키는 것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by carriage 10 is configured to be foldable as widely popularized (for example, JP2006-117012A). In the baby carriag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50 is swung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2 so that the operator (guardian) grasps the handle 50 from the back side of the infant & And controls the baby carriage 10 by gripping the handle 50 at a position on the front side where the operator faces the baby, And the stroller 10 can be driven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stroller 10 is forward of the moving direction.

여기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대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용어는, 특별히 지시가 없을 경우, 전개 상태에 있는 유모차 및 그 구성 요소에 승차하는 영유아를 기준으로 한 「전」, 「후」, 「상」, 「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의미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이란,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과 우측 상방을 연결하는 방향이며,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우 방향에 상당한다. 그리고, 특별히 지시가 없는 한, 「전」이란, 승차한 영유아가 향하는 측이며, 도 1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 하방측 및 도 2에 있어서의 지면의 좌측이 전방측이 된다. 한편, 「상하 방향」이란 전후 방향에 직교함과 함께 접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접지면이 수평면일 경우, 「상하 방향」이란 수직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가로 방향」이란 폭 방향이며,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 모두에 직교하는 방향이다.Herei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s "before", "after", "upper", "lower", "longitudinal direction" and "up and down direction" Quot ;, " back ", " upper ", " lower ", " forward & backward ", and " up & down ", respectively, based on the baby carriage in the state and the infant riding on the component. More specifically, the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refers to a direction connecting the left lower side and the upper right side of the paper in Fig. 1 and corresponds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paper in Fig. The term " before " means the side toward the infant on board, unless otherwise indicated, and the left lower side of the paper in Fig. 1 and the left side of the paper in Fig. 2 are the front side. On the other hand, "vertic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plane. Therefore, when the ground plane is a horizontal plane, the term " vertical direction " refers to a vertical direction. The " transverse direction " is the width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s orthogonal to both the "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

먼저, 유모차의 전체 구성으로서, 유모차 본체(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유모차(10)는, 전체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른 가로 방향 중심면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 본체(11)는 본체 프레임(12) 및 핸들(50)을 갖고 있다. 이 중 본체 프레임(12)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전각(14)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후각(16)과,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아아암레스트(19)와, 각각 좌우에 배치된 한 쌍의 제1 링크(20)를 갖고 있다.First, the baby carriage body 11 will be described as an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As shown in Fig. 1, the baby carriage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gener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body 11 has the main body frame 12 and the handle 50. 1, the body frame 12 includes a pair of front angles 14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 pair of rear axes 16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 pair of arm rests 19, and a pair of first links 20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각(14)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아암레스트(19)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후각(16)의 상단 부분은,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19)의 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 링크(20)의 상방 부분이, 대응하는 측(좌측 또는 우측)에 배치된 아암레스트(19)의 후방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링크(20)는 주 링크재(21)와, 주 링크재(21)의 상단부에 고정된 상방 접속재(22)를 갖고 있다. 주 링크재(21)는, 예를 들어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방 접속재(22)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제1 링크(20)는 상방 접속재(22)에 있어서, 아암레스트(19)의 후단부 부분에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1 and 2,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full angle 14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rear arm 19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side) have. Likewise, the upper portion of the smell 16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armrest 19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ink 20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armrest 19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ide (left or right side). 2,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link 20 has a main link material 21 and an upper connection member 22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link material 21. As shown in Fig. The main link material 21 is made of, for example, a metal pipe. The upper connection member 22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olding. The first link 20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rmrest 19 in the upper connection member 22. [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전각(14)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2 링크(25)와, 후각(16)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3 링크(30)를 갖고 있다.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0) 및 제3 링크(30)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 제3 링크(30)는 제1 링크(20) 및 제2 링크(25) 중 적어도 한쪽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된다.1 and 2, the main body frame 12 includes a second link 25 which is pivotal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front angle 14, a second link 25 which is rotatably (pivotable) And a third link 30 connected thereto. The second link 25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20 and the third link 30. The third link 30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25.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2 링크(25)를 이루는 부재로서, 프레임재(26)와, 프레임재(26)에 고정된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재(26)는, 예를 들어 굽힘 가공한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재(26)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부(26a)와, 한 쌍의 측부(26a) 사이를 전방에서 연결하는 연결부(26b)를 가지며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전방 접속재(27)는, 일단부 부분을 전각(14)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타단부 부분을 측부(26a)의 전방 부분에 고정하고 있다. 후방 접속재(28)는 측부(26a)의 후단부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우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6)의 측부(26a)와, 이 우측의 측부(26a)에 고정된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에 의해, 우측의 제2 링크(25)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좌측에 위치하는 프레임재(26)의 측부(26a)와, 이 좌측의 측부(26a)에 고정된 좌측 전방 접속재(27) 및 후방 접속재(28)에 의해, 좌측의 제2 링크(25)가 형성되어 있다.1, as a member constituting the second link 25, a frame member 26, a front connecting member 27 fixed to the frame member 26, and a rear connecting member 28 ). The frame member 26 is made of, for example, a bended metal pipe. The front connecting member 27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28 are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olding. The frame member 26 has a pair of side portions 26a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26b connecting the pair of side portions 26a from the front, and has a U-shape. One end portion of the front connection member 27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angle 14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fixed to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portion 26a. The rear connection member 28 is fix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side portion 26a. In this example, the side portion 26a of the frame member 26 located on the right side and the front connecting member 27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28 fixed to the right side portion 26a, (Not shown). Likewise, the left side front connecting member 27 and the rear side connecting member 28 fixed to the left side portion 26a and the side portion 26a of the frame member 26 located at the left side, the left second link 25 Is formed.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3 링크(30)는 후각(16)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주축재(31)와, 주축재(31)의 상단 부분에 고정된 단부 부재(32)를 갖고 있다. 주축재(31)는, 예를 들어 금속제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단부 부재(32)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진다. 주축재(31)는, 하단 부분에 있어서 후각(16)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단부 부재(32)는 제1 링크(20) 및 제2 링크(25)에 접속되어 있다.1, the third link 30 includes a main shaft 31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side 16, an e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shaft 31, And a member (32). The main shaft 31 is made of, for example, a metal pipe. The end member 32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olding. The main shaft 3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mell 16 at the lower end. The end member (32)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20) and the second link (25).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된 예에 있어서, 제1 링크(20), 제2 링크(25) 및 제3 링크(30)는, 동일한 축 부재(34)를 사용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축 부재(34)는, 제1 링크(20)의 주링크재(21), 제3 링크(30)의 단부 부재(32), 및 제2 링크(25)를 이루는 후방 접속재(28)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링크(20), 제2 링크(25) 및 제3 링크(30)는, 축 부재(34)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4 and 5,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link 20, the second link 25, and the third link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the same shaft member 34, And is rotatably connected. The shaft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main link member 21 of the first link 20, the end member 32 of the third link 30 and the rear connecting member 28 constituting the second link 25 It is penetrating. With this configuration, the first link 20, the second link 25, and the third link 30 are rotatable about the same axis defined by the shaft member 34 .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과, 베이스 프레임(41)과 상방 프레임(42)을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43)을 추가로 갖고 있다. 프레임재(26) 및 베이스 프레임(41)에는, 베이스 포재(도시하지 않음)가 장설된다. 베이스 포재는, 프레임재(26), 베이스 프레임(41), 상방 프레임(42) 및 연결 프레임(43)과 함께, 쿠션성의 좌석재(도시하지 않음)를 지지한다.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은, 모두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프레임(41)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축 부재(34)에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41)은 프레임재(26)나 기타 구성 요소에 대하여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42)은 그 양단부에 있어서, 아암레스트(19)의 후단부 부분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방 프레임(42)의 아암레스트(19)에 대한 회동 축선은, 제1 링크(20)의 아암레스트(19)에 대한 회동 축선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의 사이에는, 가로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의 연결 프레임(43)이 설치되어 있다. 연결 프레임(43)은 그 양단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41) 및 상방 프레임(4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1 and 2, the main body frame 12 includes a base frame 41 and an upper frame 42, a base frame 41 and an upper frame 42, And a connecting frame 43 connecting the connecting frame 43 and the connecting frame 43 to each other. The frame member 26 and the base frame 41 are provided with a base member (not shown). The base material supports the cushioning seat material (not shown) together with the frame material 26, the base frame 41, the upper frame 42 and the connecting frame 43. The base frame 41 and the upper frame 42 are all formed in a U-shape. The base frame 41 is passed through the shaft member 34 at both ends thereof. The base frame 41 is rotatable (oscillatable) with respect to the frame member 26 and other components. The upper frame 42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rear end portion of the armrest 19 at both ends thereof. The pivotal axis of the upper frame 42 with respect to the armrest 19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pivotal axis of the first link 20 with respect to the armrest 19. Between the base frame 41 and the upper frame 42, a pair of connection frames 43 are provid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connecting frame 4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se frame 41 and the upper frame 42 at both ends thereof.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 요소로서, 한 쌍의 전각(14) 사이를 연결하는 전방 연결재(15)와, 한 쌍의 후각(16) 사이를 연결하는 후방 연결재(17)를 갖고 있다. 전방 연결재(15)는 풋레스트로서 기능한다. 또한, 한 쌍의 후방 접속재(28) 사이에는, 중앙 연결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 연결재(15), 후방 연결재(17) 및 중앙 연결재(29)에 의해, 유모차(10)의 가로 방향으로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레스트(19) 사이에 가요성을 가진 가드 부재(38)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frame 12 is a component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main body frame 12 includes a front connecting member 15 connecting between a pair of full angles 14, And has a rear connecting member 17 for connecting. The front linkage 15 functions as a footrest. Further, a center connection member 29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rear connection members 28. [ It is possible to suppress deform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the front connecting member 15, the rear connecting member 17 and the central connecting member 29. [ Further, a guard member 38 having flexibility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armrests 19 in a detachable manner.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핸들(50)이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핸들(50)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축부(50a)와, 한 쌍의 축부(50a)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50b)를 포함하고 있다. 핸들(50)은, 전체적으로 대략 U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핸들(50)은 U자의 양단부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요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핸들(50)은 축 부재(34)를 사용하여, 본체 프레임(12)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링크(20), 제2 링크(25), 제3 링크(30), 베이스 프레임(41) 및 핸들(50)은 축 부재(34)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동일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handle 50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2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1, the handle 50 includes a pair of shaft portions 50a extend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 intermediate portion 50b connecting between the pair of shaft portions 50a, . The handle 50 has a generally U-shaped shape as a whole. The handle 50 is rotatably (swingably) connected to the body frame 12 at both ends of the U-shape. As shown in Fig. 5, the handle 5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12 using the shaft member 34.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first link 20, the second link 25, the third link 30, the base frame 41, and the handle 50 are arranged around the same axis defined by the shaft member 34 So that they can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이 유모차 본체(11)에 있어서, 핸들(50)은 측면에서 볼 때 수직축보다도 후방으로 경사지는 제1 위치(배면 가압 위치)와, 수직축보다도 전방으로 경사지는 제2 위치(대면 가압 위치)의 사이를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핸들(50)은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핸들(50)은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50)의 축부(50a)에는,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는 축부(5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축부(50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본체 프레임(12)에는,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와 걸림 결합 가능한 제1 위치 보유 지지 부재(35)(도 2 참조) 및 제2 위치 보유 지지 부재(36)(도 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와 제1 위치 보유 지지 부재(35)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핸들(5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 보유 지지 걸림 결합 부재(51)와 제2 위치 보유 지지 부재(36)가 걸림 결합함으로써, 핸들(50)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위치에 보유 지지된다.In the baby carriage body 11, the handle 50 is disposed between a first position (a backward pressing position) that is inclined rearwar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a second position (a frontal pressing position) that is inclined forward from the vertical axis As shown in Fig. In Fig. 1,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n Fig. 2, the handle 50 is disposed in the second position. On the shaft portion 50a of the handle 50, a holding engagement member 51 is provided. The retaining engagement member 51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portion 50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portion 50a. 2) and the second position retaining member 36 (see Fig. 1), which are engageable with the retaining engaging member 51, are formed in the main body frame 12, Respectively. By engaging the retaining engagement member 51 and the first position retaining member 35, the handle 50 is held in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By engaging the retaining engaging member 51 and the second position retaining member 36, the handle 50 is held in the second position, as shown in Fig.

이어서, 유모차 본체(11)의 다리(14, 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각(14) 및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모두 소위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대응하는 다리(14, 16)에 고정된 고정체(71)와, 고정체(71)에 지지된 회전체(74)와, 차축(77)을 개재하여 회전체(74)에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된 차륜(78)을 갖고 있다. 차륜(78)은 차축(77)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회전 축선 A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Next,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on the legs 14, 16 of the baby carriage body 11 will be described. In this embodiment, all of the wheel holding units 70 provided in the front angle 14 and the rear angle 16 are configured as so-called casters. 8 and 9, each of the wheel holding units 70 includes a fixed body 71 fixed to the corresponding legs 14, 16, a rotating body (not shown) supported by the fixed body 71 74 and a wheel 78 rotatably held by the rotating body 74 via an axle 77. [ The wheel 78 is rotatable about an axis of rotation Ar defined by the axle 77.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차륜(78)이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단, 도 8에서는, 편측의 차륜(78)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1, a pair of wheels 78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ody 71 and the rotating body 74, respectively. 8, the illustration of the wheel 78 on one side is omitted.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체(7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기 시작한 캐스터 축 부재(72)를 갖고 있다. 회전체(74)는, 캐스터 축 부재(72)에 의해 관통된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갖고 있다. 이 결과, 회전체(74)는, 캐스터 축 부재(72)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캐스터 축선 Ac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체(7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 축선이 되는 캐스터 축선 Ac는, 차륜(78)의 회전체(74)에 대한 회전 축선이 되는 회전 축선 Ar과 비평행으로 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캐스터 축선 Ac는 상하 방향과 평행해지고, 회전 축선 Ar은 가로 방향과 평행해진다.As shown in Fig. 8, the fixture 71 has a castor shaft member 72 which starts to exten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ng body 74 has a through hole (not shown) penetrated by the castor shaft member 72. As a result, the rotating body 74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71 about the caster axis Ac formed by the caster shaft member 72 as a center. The caster axis Ac that serve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body 74 of the fixed body 71 is not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Ar as the rotation axis of the wheel 78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74. Typically, the caster axis Ac become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rotation axis Ar becomes parallel to the horizontal direction.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상대 회전을 규제하는 부재로서의 로크 부재(79)를 추가로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크 부재(79)는 고정체(71)에 지지되어 있다. 로크 부재(79)는 고정체(71)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체(71)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고 가늘게 연장되며, 또한 회전체(74)를 향하여 개구된 수용 홈(73)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부재(79)는, 수용 홈(73) 내에 배치되며, 고정체(7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 결과, 로크 부재(79)는,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비회전 위치와,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wheel holding unit 70 further has a lock member 79 as a member for restricting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xed body 71 and the rotating body 74. As shown in Fig. In this embodiment, the lock member 79 is supported by the fixing member 71. [ The lock member 79 is operable with respect to the fixture 71. The fixing member 71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73 which is elongated and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which is opened toward the rotating body 74. The lock member 79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groove 73 and relativel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71. As a result, the lock member 79 is provided at the non-rotational position for restrict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74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71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74 relative to the fixed body 71 It is possible to move between the rotational positions.

도 9에서는, 비회전 위치에 배치된 로크 부재(79)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배치되면, 당해 로크 부재(79)는, 고정체(7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다. 회전체(74)에는, 고정체(71)로부터 돌출된 로크 부재(79)를 받치기 위한 받침 오목부(75)가 형성되어 있다. 즉,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 로크 부재(79)의 선단이 받침 오목부(75) 내에 삽입되고,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캐스터 축선 Ac를 중심으로 한 상대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에 있을 경우, 로크 부재(79)의 전체가 고정체(71)의 내부에 위치하고, 고정체(71) 및 회전체(74)의 캐스터 축선 Ac를 중심으로 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In Fig. 9, the lock member 79 disposed at the non-rotational position is shown. As shown in Fig. 9, when the lock member 79 is disposed at the non-rotation position, the lock member 79 protrudes downward from the fixture 71. As shown in Fig. The rotating body 74 is formed with a receiving concave portion 75 for receiving a locking member 79 protruding from the fixing member 71. That is, when the lock member 79 is in the non-rotating position, the tip end of the lock member 79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concave portion 75, and the caster axis Ac of the fixture 71 and the revolver 74 is centered Relative rotation is regul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ck member 79 is in the rotational position, the entire lock member 79 is positioned inside the fixed member 71 and the center of the fixed member 71 and the rotating member 74 A relative rotation is possible.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체(71)의 수용 홈(73)에는, 가압 부재(80)가 수용되어 있다. 가압 부재(80)는,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가압 부재(80)는,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 측으로부터 비회전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또한, 로크 부재(79)는, 후술하는 전달 수단(85)의 리드와이어(86)에 접속되어 있다. 로크 부재(79)의 고정체(71)에 대한 상대 위치는, 전달 수단(85)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다.9, a pressing member 8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73 of the fixing member 71. As shown in Fig. The pressing member 80 is made of, for example, a compression spring. The pressing member 80 presses the lock member 79 from the rotational position side toward the non-rotational position. The lock member 79 is connected to the lead wire 86 of the transmitting means 85 described later.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ock member 79 with respect to the holding body 71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transmitting means 85. [

또한, 한 쌍의 전각(14)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동일 또는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전각(16)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동일 또는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각(14)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 및 후각(16)에 설치되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은, 다리에 대한 설치 부위가 상이할 뿐이며, 그 밖에는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대표로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을 도시하고 있다.Further, the wheel holding units 70 provided on the pair of full angles 14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or symmetrical. Likewise, the wheel holding units 70 provided in the pair of full-width angles 16 can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or symmetrical.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at the front angle 14 and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at the rear angle 16 differ only in the installation sites for the legs, have. Fig. 8 and Fig. 9 show a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on the full angle 14 as a representative.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에서는, 핸들(50)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도 1의 상태), 조작자(보호자)는 영유아의 배면측이 되는 유모차(10)의 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고, 영유아가 진행 방향의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유모차(10)를 밀고 나가게 할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한편, 핸들(50)이 제2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 조작자는, 영유아에 대면하는 유모차(10)의 전각측의 위치에서 핸들(50)을 파지하고, 유모차(10)를 밀고 나갈 수 있다. 이때, 유모차(10)의 후각측이, 진행 방향 전방이 된다. 이러한 유모차(10)에서는, 진행 방향의 전방측 다리(14, 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있어서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진행 방향의 후방측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에 있어서 회전체(74)의 고정체(71)에 대한 회전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baby carriag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handle 50 is held at the first position (the state shown in Fig. 1), the operator (guardian) is positioned at the rear side of the baby carriage 10 It is possible to grasp the handle 50 at the position and push the stroller 10 out so that the infant is directed forward in the traveling direction. At this time, the full angle side of the baby carriage 10 becomes the forwar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ndle 50 is held at the second position, the operator grasps the handle 50 at the position on the front side of the baby carriage 10 facing the baby, and pushes the baby carriage 10 have. At this time, the rear side of the baby carriage 10 i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is baby carriage 10, the rotation body 74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71 in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on the front side legs 14, 16 in the travel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74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71 is restricted in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on the rear leg of the vehicle.

즉, 핸들(50)이 제1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50)이 제2 위치에 보유 지지되어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로크 부재(79)를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handle 50 is held at the first position, the lock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at the front angle 14 is disposed at the rotational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 member 79 of the installed wheel holding unit 70 is disposed at the non-rotating position. When the handle 50 is held in the second position, the lock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mounted on the front angle 14 is disposed in the non-rotational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k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at the rear side is disposed at the rotational position. In the baby carriage 1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switching mechanism 100 for moving the locking member 79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relative to the main body frame 12 is provided.

이어서,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에서 절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유모차(10)는, 각 구성 부재를 상대 회동시킴으로써 절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위치에 배치된 핸들(50)을 일단 후측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그 후, 하방으로 눌러 내림으로써, 제3 링크(30)를 후각(16)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수반하여, 아암레스트(19) 및 제2 링크(25)는 제1 링크(20)에 대하여 도 2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핸들(50)과 전각(14)이 대략 평행하게 배치됨과 함께, 핸들(50)의 배치 위치를 내릴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있다. 도 3의 절첩된 상태에서는, 유모차(10)의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른 치수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절첩 조작과 반대의 수순을 밟으면 된다.Next, the operation when the baby carriage 1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folded in the unfolded state will be described. The baby carriage 1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folded by relatively rotating each constituent member. Specifically, the handle 50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is once pulled up to the rear side and then downwardly pressed so that the third link 30 is rotated clockwise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rear angle 16 . With this operation, the armrest 19 and the second link 25 rotat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20. By this operation, the handle 50 and the full angle 14 can be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position of the handle 50 can be lowered from the side view. As described above, the baby carriage 10 can be folded as shown in Fig. In the folded state of Fig. 3, the dimensions alo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nfold the stroller 10 from the folded state, the procedure opposite to the folding operation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유모차(10)에서는, 도 4 내지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 상태로부터 절첩 상태로의 유모차(10)의 동작을 규제하는 상태 유지 부재(60)가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있다. 상태 유지 부재(60)는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태 유지 부재(60)는 제1 링크(20)의 주 링크재(21)에 지지되어 있다. 규제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상태 유지 부재(60)의 이동은, 주 링크재(2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이동으로 되어 있다.4 to 7,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for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the extended state to the folded state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frame 12, Respectively. The state holding member 60 is movable between a regulating position wher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is regulated and a releasing position wher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is possib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is supported on the main link member 21 of the first link 20. [ The movement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between the regulating position and the releasing position is a movem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link material 21. [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는, 주 링크재(21)에 장착된 본체부(61)와, 본체부(61)로부터 돌출된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 및 받침판(63)을 갖고 있다.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는 본체부(61)로부터 가로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제3 링크(30)의 단부 부재(32)에는,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와 걸림 결합 가능한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가 제1 링크(20)에 대하여 하방으로 미끄럼 이동했을 경우,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가 제3 링크(30)의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 내에 수용된다.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태 유지 부재(60)를 지지하는 제1 링크(20)와, 상태 유지 부재(60)와 걸림 결합한 제3 링크(30)는 상대 회동할 수 없다. 따라서,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와, 제3 링크(30)의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가 걸림 결합되어 있을 경우, 유모차(10)는 전개된 상태가 유지되어, 유모차(10)를 절첩할 수 없다. 즉, 도 5에 도시된 상태 유지 부재(60)의 위치가,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위치이다.6,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61 attached to the main link member 21, a regulating engagement engaging protrusion 62 protruding from the main body portion 61, And has a support plate 63. The restricting engaging projection 62 protrudes laterally inward from the main body portion 61. On the other hand, the end member 32 of the third link 30 is formed with a locking engagement concave portion 33 engageable with the locking engagement protrusion 62. 5, when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slid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20, the restricting engagement protrusions 62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are engaged with the third links 30 (Not shown). 5, the first link 20 supporting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and the third link 30 engaged with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can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erefore, when the restricting engaging projection 62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and the restricting engaging concave portion 33 of the third link 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troller 10 is in a deployed state So that the baby carriage 10 can not be folded.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shown in Fig. 5 is the regulating position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가 제1 링크(20)에 대하여 상방으로 미끄럼 이동하면,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는 제3 링크(30)의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로부터 빠져 나간다. 그리고, 규제 걸림 결합 돌기(62)와 규제 걸림 결합 오목부(33)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제1 링크(20) 및 제3 링크(30)는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고, 유모차(10)를 접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상태 유지 부재(60)의 위치가, 상태 유지 부재(60)의 규제 위치이다.6, when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slides upward with respect to the first link 20, the restricting engaging protrusion 62 is engaged with the restricting engaging concave of the third link 30 (33). ≪ / RTI > The first link 20 and the third link 30 are relatively rotatable when the engagement between the restricting engagement projections 62 and the restricting engagement recesses 33 is released, The folding becomes possible. That is, the position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shown in Fig. 6 is the regulating position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태 유지 부재(60)의 본체부(61)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 부재에 의해, 해제 위치(도 6 참조)로부터 규제 위치(도 5 참조)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이러한 가압력을 사용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외력을 가하고 있지 않는 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보다 확실하게 규제되게 된다. 즉, 오동작에 의해, 의도치 않게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이 개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Preferably, the main body portion 61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is urged from the releasing position (see Fig. 6) to the regulating position (see Fig. 5) by a pressing member not shown. By using such a pressing forc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gulated more positively unless an external force is positively applied. That i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from being started unintentionally due to a malfunction.

상태 유지 부재(60)의 설치에 수반하여, 상태 유지 부재(6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축부(50a)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부재(55)는 도 5에 도시된 비조작 위치와 도 6에 도시된 조작 위치의 사이를, 핸들(50) 중의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의 축부(50a)에 수용된 가압 부재(59)(도 5 참조)에 의해,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비조작 위치로 가압되고 있다. 즉, 조작 부재(55)는 외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경우, 가압 부재(59)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일례로서, 조작 부재(55)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전달구(부재)에 의해, 핸들(50)의 중간부(50b)에 설치된 원격 조작 장치(52)(도 1 참조)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원격 조작 장치(52)를 조작함으로써, 조작 부재(55)를 조작 위치로부터 비조작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An operation member 55 for operating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is provided on the shaft portion 50a of the handle 50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 The operating member 55 is movable between the unoperated position shown in Fig. 5 and the operating position shown in Fig. 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handle 50 where the operating member 55 is provided . The operating member 55 is urg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side to the non-operating position by the pressing member 59 (see Fig. 5) accommodated in the shaft portion 50a of the handle 50. [ That is, when the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the operating member 55, the operating member 55 is positioned at the non-operation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by the pressing force from the pressing member 59. As one example, the operating member 55 is connected to a remote control device 52 (see Fig. 1) provided on the intermediate portion 50b of the handle 50 by an unillustrated operation transmitting member (member). By opera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52, the operating member 55 can be mov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non-operating position.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55)는 핸들(50)에 지지된 조작 기부(56)와, 조작 기부(56)로부터 돌출된 조작 돌출부(57)를 갖고 있다. 조작 기부(56)는 핸들(50)의 축부(50a)에 장착되어 있다. 조작 기부(56)는 핸들(50)의 축부(50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당해 축부(50a)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돌출부(57)는 핸들(50) 중 조작 기부(5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50a)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을 향해서, 조작 기부(56)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태 유지 부재(60)의 받침판(63)은 본체부(61)로부터 폭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그리고, 조작 부재(55)가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하면, 조작 돌출부(57)는 상태 유지 부재(60)의 받침판(63)에 하방에서 맞닿고, 상태 유지 부재(6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를 비조작 위치로부터 조작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6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상술한 유모차(10)의 절첩 동작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5, the operation member 55 has an operation base portion 56 supported by the handle 50 and an operation projection portion 57 projected from the operation base portion 56. As shown in Fig. The manipulation base portion 56 is mounted on the shaft portion 50a of the handle 50. The operating base 56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50a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50a of the handle 50. [ The operation protrusions 57 exte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50a of the handle 50 where the manipulating base 56 is provided, more specifically, inward in the width direction, (56). 6, the support plate 63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extends outward from the body portion 61 in the width direction. When the operation member 55 moves from the non-operation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the operation projection 57 abuts against the support plate 63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downward, To the release position. 5 and 6, by moving the operating member 55 from the non-operating position to the operating position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tate holding member 60 From the regulated position to the released position. Thus, it is possible to start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described above.

이어서, 전환 기구(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환 기구(100)는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를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도 5, 도 7,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기구(100)는 본체 프레임(12)에 설치된 전환 부재(65)와, 전환 부재(65)의 동작을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85)을 포함하고 있다. 전환 부재(65)는 본체 프레임(12)에 대하여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환 부재(65)는 후각(16)에 지지되어 있다. 전환 부재(65)는 도 5에 도시된 제1 전환 위치와 도 7에 도시된 제2 전환 위치의 사이를, 후각(16) 중 전환 부재(6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Next, the switching mechanism 100 will be described. The switching mechanism 100 is a mechanism for moving the locking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relative to the body frame 12. [ 5, 7, 8 and 9, the switching mechanism 100 includes a switching member 65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12 and a switching member 65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65 to the lock member And a transmission means 85. The switching member 65 is oper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frame 12. The switching member 65 is supported at the olfactory angle 16. The switching member 65 moves between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shown in Fig. 5 and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shown in Fig. 7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switching member 65 is installed It is possible.

한편, 전달 수단(85)은 전환 부재(65)와 로크 부재(79)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 수단(85)은 리드와이어(86)와, 리드와이어(86)가 삽입 관통하고 있는 통형 부재(87)를 갖고 있다. 리드와이어(86)는 로크 부재(79)와 전환 부재(65)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전달 수단(85)은 일단부를 로크 부재(79)의 근방에 고정하고, 타단부를 전환 부재(65)의 근방에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환 부재(65)가 제1 전환 위치와 제2 전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면, 리드와이어(86)가 통형 부재(87) 내를 이동하고, 로크 부재(79)가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means 85 is provided between the switching member 65 and the lock member 79. 9, the transmitting means 85 has a lead wire 86 and a cylindrical member 87 through which the lead wire 86 is inserted. The lead wire 86 is provided on each of the lock member 79 and the switching member 65. The transmission means 85 fixes one end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lock member 79 and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switching member 65. [ Therefore, when the switching member 65 moves between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and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the lead wire 86 moves in the tubular member 87, and the locking member 79 moves to the non- .

특히 도시된 예에서는, 전각(14)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와, 전환 부재(65)의 사이에, 전각측의 전달 수단(85)이 설치되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와, 전환 부재(65)의 사이에, 후각측의 전달 수단(85)이 설치되어 있다. 전각측의 전달 수단(8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 내부 및 전각(14) 내부를 통과하고, 전환 부재(65)로부터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각측의 전달 수단(8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 내부를 통과하고, 전환 부재(65)로부터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까지 연장되어 있다. 전환 부재(65)가 도 5의 제1 전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끌어 올려지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가압 부재(8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위치로부터 비회전 위치로 밀려 나간다. 한편, 전환 부재(65)가 도 7의 제2 전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전각(14)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가압 부재(80)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 위치로부터 비회전 위치로 밀려 나가고, 또한, 후각(16)에 설치된 로크 부재(79)가 비회전 위치로부터 회전 위치로 끌어 올려진다.Particularly,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transfer means 85 on the full-angle side is provided between the lock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on the full angle 14 and the switching member 65, A transmitting means 85 for a smoothing side is provided between the locking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in the smell 16 and the switching member 65. The transmitting means 85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id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smell 16 and inside of the front angle 14 and extends from the switching member 65 to the wheel holding unit 70 as shown in Fig. The transmitting means 85 on the smell side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mell 16 and extends from the switching member 65 to the wheel holding unit 70 as shown in Fig. When the switching member 65 is located at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in Fig. 5, the locking member 79 provided on the front angle 14 is pulled up from the non-rotation position to the rotation position, The member 79 is push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80 from the rotational position to the non-rotational position.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ing member 65 is located at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in Fig. 7, the locking member 79 provided on the front angle 14 is pushed by the urg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80 from the rotational position to the non- , And the lock member 79 provided on the smell 16 is pulled up from the non-rotating position to the rotating position.

전환 기구(100)의 전환 부재(65)는, 핸들(50)의 요동 위치에 따라, 제1 전환 위치와 제2 전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핸들(50)에 장착된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가압하여 동작시킨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는 전환 부재(6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단,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65)를 동작시킨다.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가 전환 부재(65)로부터 이격되고, 전환 부재(65)를 제1 전환 위치에 배치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2 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경우, 전환 부재(65)의 전환 돌출부(67)에 하방에서 맞닿고, 전환 부재(65)를 제2 전환 위치에 배치한다.The switching member 65 of the switching mechanism 100 is disposed at either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or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 position of the handle 50. [ Specifically, the operating member 55 mounted on the handle 50 presses and operates the switching member 65 as the handle 50 swings. 5, when the handle 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55 is spaced apart from the switching member 65. As shown in Fig. However, the operating member 5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witching member 65 downwardly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thereby operating the switching member 65 in question. 5,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55 is separated from the switching member 65, and the switching member 65 is moved to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 7,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second position, it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ing projection 65 of the switching member 65 downward, Position.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 내에 설치된 가압 부재(69)에 의해, 전환 부재(65)는, 제2 전환 위치의 측으로부터 제1 전환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가압 부재(69)의 가압력은,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 내에 설치된 가압 부재(80)의 가압력보다도 크다. 따라서, 조작 부재(55)에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전환 부재(65)는 제1 전환 위치에 안정되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요동 위치에 따른, 전환 부재(65)의 위치 제어를 안정되게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5, the switching member 65 is urge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toward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by the pressing member 69 provided in the smell 16.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69 is larger than the pressing force of the pressing member 80 provided in the wheel holding unit 70. [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55 is not in contact with the operating member 55, the switching member 65 is stably positioned at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ly realize the position control of the switching member 65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position of the handle 50. [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부재(65)는 후각(16)에 지지된 전환 기부(66)와, 전환 기부(66)로부터 돌출된 전환 돌출부(67)를 갖고 있다. 전환 기부(66)는, 후각(16)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당해 후각(16)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후각(1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전환 돌출부(67)는 후각(16) 중 전환 기부(6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을 향해서, 전환 기부(66)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50)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에 이동하면, 조작 부재(55)의 조작 돌출부(57)는 전환 부재(65)의 전환 돌출부(67)에 하방에서 맞닿고, 전환 부재(65)를 제1 전환 위치로부터 제2 전환 위치를 향하여 가압한다.5, the switching member 65 has a switching base portion 66 supported by the smell 16 and a switching projection portion 67 protruding from the switching base portion 66. As shown in Fig. The divergent portion 66 is mounted on the olfactory 16 so as to be slidable relative to the olfactory 16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lfactory 16. The diverting projection 67 is provided at the divergent portion 66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where the divergent portion 66 is provid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when the handle 50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operating projection 55 of the operating member 55 is moved downward to the switching projection 67 of the switching member 65 And presses the switching member 65 from the first switching position toward the second switching position.

즉, 조작 부재(55)의 조작 돌출부(57)는 핸들(5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접촉하게 되는 접촉면(58)을 갖고 있다. 반대로, 전환 부재(65)는 조작 부재(55)의 접촉면(58)과 접촉하게 되는 받침면(69)을 갖고 있다. 도 4에는,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의 관찰에 있어서의 접촉면(58)(점선) 및 받침면(69)이 도시되어 있다.The operating projection 55 of the operating member 55 has a contact surface 58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witching member 65 downwardly as the handle 50 swing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 Conversely, the switching member 65 has the supporting surface 69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surface 58 of the operating member 55. [ 4 shows a contact surface 58 (dotted line) and a receiving surface 69 in observa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As of the handle 50. As shown in Fig.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한 도 5로부터도 이해할 수 있듯이, 접촉면(58)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작 부재(55)에 의해, 전환 부재(65)를 후각(16)에 대하여 매끄럽고 또한 안정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에서 보다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58)은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핸들(5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조작 부재(55)의 이동 경로 tr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요동 축선 As로부터의 거리 da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곡면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후각(16)에 대하여 조금씩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에서 보다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and as can be understood from Fig. 5, the contact surface 58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refore, the switching member 65 can be smoothly and stably operated with respect to the smell 16 by the operating member 55 which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Thereby, according to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the lock member 79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between the rotational position and the non-rotational position. 4, when the contact surface 58 is obser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As of the handle 50, the contact surface 58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winging movement of the handle 5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cludes a curved surface which gradually increases in length da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the movement path tr of one operating member 55 and the distance da from the swing axis A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rate the switching member 65 little by little with respect to the rear angle 16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As a result, the lock member 79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between the rotational position and the non-rotational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relative to the main body frame 12. [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돌출부(67)의 받침면(68)은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핸들(50)의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조작 부재(55)의 이동 경로 tr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요동 축선 As로부터의 거리 db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곡면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후각(16)에 대하여 조금씩 원활하게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본체 프레임(12)에 대한 요동에 따라, 로크 부재(79)를 회전 위치와 비회전 위치 사이에서 보다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4, the abutting surface 68 of the switching projection 67 is bent in a direction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handle 50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handle 50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As of the handle 50. [ And includes a curved surfac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distance db from the swing axis As toward the rear side from the front side in the moving path tr of the operating member 55 accompanying the swinging of the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operate the switching member 65 little by little with respect to the rear angle 16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As a result, the lock member 79 can be more reliably operated between the rotational position and the non-rotational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relative to the main body frame 12. [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각(16)에는, 후각(16)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긴 유도 구멍(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유도 구멍(16a)에는, 전환 축 부재(65a)가 삽입되어 있다. 전환 축 부재(65a)는 긴 유도 구멍(16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전환 축 부재(65a)는 전환 부재(65)의 전환 기부(66)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전환 부재(65)와 함께 후각(16)에 대하여 동작한다. 상술한 전달 수단(85)의 리드와이어(86)는 전환 축 부재(65)의 전환 축 부재(65a) 또는 전환 축 부재(65a)와 고정되어 후각(16) 내를 전환 축 부재(65)와 함께 이동 가능한 연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5, a long guide hole 16a extending linear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mell 16 is formed on the smell 16. A switching shaft member 65a is inserted into the long guide hole 16a. The switching shaft member 65a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guide hole 16a. The switching shaft member 65a is held by the switching base portion 66 of the switching member 65 and operates with the switching member 65 against the smell 16. The lead wire 86 of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eans 85 is fixed to the switching shaft member 65a or the switching shaft member 65a of the switching shaft member 65 so that the inside of the rear opening 16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shaft member 65 Or may be connected to an interlocking member (not shown) that can be moved together.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태 유지 부재(60)에 하방에서 접촉하고, 상태 유지 부재(60)를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조작 부재(55)는 그 접촉면(58) 중 핸들 요동 축선 As로부터의 거리 da(도 5 참조)가 가장 길어지는 정상부(58a)에 있어서, 상태 유지 부재(60)의 받침판(63)에 접한다. 이러한 접촉면(58)은 대형화를 방지하여 콤팩트하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조작 부재(55)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유모차(10)의 간이화 및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5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55 contacts the state holding member 60 downward, and releases the state holding member 60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Pos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55 has a top portion (see Fig. 5) of the contact surface 58 with the longest distance da (see Fig. 5) 58a, the abutment plate 63 of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is abutted. Such a contact surface 58 can be designed to be compact by preventing its size from becoming larg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operating member 55, and to simplify and lighten the baby carriage 10.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면(58)의 정상부(58a)는 핸들(50)의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핸들(50) 중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르고 있다. 환언하면, 접촉면(58)의 정상부(58a)는 요동 축선 As와 평행한 방향으로부터의 관찰에 있어서, 핸들(50) 중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 또는, 이 직교하는 방향에 접한다. 이러한 조작 부재(55)에 의하면, 상태 유지 부재(60)와 조작 부재(55)의 안정된 접촉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환 부재(65)의 조작에도 이용되는 조작 부재(55)를 사용하여, 상태 유지 부재(60)를 안정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할 경우에는, 이 조작 부재(55)를 사용하여, 상태 유지 부재(60)를 보다 안정되게 조작할 수 있다.4, when the top portion 58a of the contact surface 58 is observ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As of the handle 50, the operation member 55 of the handle 50 is installed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in which the portion is formed. The top portion 58a of the contact surface 58 is parallel to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handle 50 on which the operating member 55 is provided in the observation from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As Or, it touches the orthogonal direction. With this operating member 55, a stable contact state of the state holding member 60 and the operating member 55 can be ensured. This makes it possible to stably operate the state maintaining member 60 by using the operating member 55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65. [ Particular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operating member 55 sl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50, the operating member 55 can be used to stably operate the state maintaining member 60 .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가 핸들(50)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태 유지 부재(60)를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를 가압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핸들(50)의 요동 시에,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조작 부재(55)에 의해, 전환 부재(65)를 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조작 부재(55)는 조작됨으로써 핸들(50)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태 유지 부재(60)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조작 부재(55)는 유모차(10)의 전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기구의 일부분으로서도 기능한다. 이러한 조작 부재(55)를 사용함으로써, 전환 부재(65)를 동작시키기 위한 부재를 조작 부재(55)와는 별도로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유모차(10)의 부품 개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개수가 저감되므로,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모차(10)의 구성을 대폭으로 간략화 및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며, 동시에, 유모차(10)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member 55 can be pressed against the handle 50 to move the state holding member 60, and at the same time as the handle 50 is pivoted,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by pressurizing the valve 65.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witching member 65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operating member 55 that moves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when the handle 50 is swinging. The operating member 55 may be operated to operate the handle 50 and move the state holding member 60. That is, the operating member 55 also functions as a part of a mechanism for maintaining the unfolded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 By using such an operating member 55, the number of parts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a case in which a member for operating the switching member 65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perating member 55. [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it is also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for parts.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greatly simplified and miniatur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light weight of the baby carriage 10 can be realiz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는 조작 위치와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핸들(50) 중의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게다가, 조작 부재(55)는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65)를 동작시킨다. 즉, 조작 부재(55)는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됨과 함께, 전환 부재(65)를 하방으로부터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의 제2 위치로의 요동 시에는, 가압된 위치에 있는 조작 부재(55)가 가압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전환 부재(65)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가능 범위의 하한으로 유지된 조작 부재(55)가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전환 부재(65)에 하방에서 접촉하고, 전환 부재(65)를 상방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전환 부재(65)의 안정된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ng member 55 is moved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handle 50 where the operating member 55 is provided And is also urg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ward the non-operating position. In addition, the operating member 55 abuts on the switching member 65 downwardly in response to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thereby operating the switching member 65 in question. That is, the operating member 55 is pressed toward the lower operating position and presses the switching member 65 downward. Thus, when the handle 50 is pivot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55 at the pressed position presses the switching member 65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ing direction. Therefore, the operating member 55 held at the lower limit of the movable rang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witching member 65 downwardly as the handle 50 pivots and the switching member 65 can be operated upward do. In this case, stabl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65 can be realiz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는 조작 위치와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핸들(50) 중 조작 부재(55)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다. 게다가, 상태 유지 부재(60)는 조작 위치로부터 비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조작 부재(55)에 가압되며, 규제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한다. 즉, 조작 부재(55)는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 됨과 함께, 상태 유지 부재(60)를 하방으로부터 가압하게 된다. 이에 의해,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 위치를 향하여 조작되는 조작 부재(55)에 의해, 상태 유지 부재(60)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태 유지 부재(60)가 의도치 않게 동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모차(10)를 전개한 상태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ng member 55 is moved between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handle 50 where the operating member 55 is provided And is also urged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ward the non-operating position. In addition, the state retaining member 60 is pressed against the operating member 55 that moves from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non-operating position, and moves from the regulating position to the releasing position. That is, the operating member 55 is pressed toward the non-operation position located below and presses the state holding member 60 from below. Thereby, when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state holding member 60 is operated by the operating member 55 that is operated toward the operating position against the pressing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state-holding member 60 from operating unintentionally. Thereby, the baby carriage 1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deployed state.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핸들(50)은 조작 부재가 상태 유지 부재(60)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조작 부재(55)가 전환 부재(65)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다. 게다가, 핸들(50)이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조작 부재(55)는 전환 부재(65)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핸들(50)이 제1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유모차(10)를 절첩 상태로부터 전개했을 때, 전환 부재(65)와 조작 부재(55)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된다. 이로 인해, 유모차를 전개할 때, 전환 부재(65)와 조작 부재(55) 사이에 의복 등이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50 has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can engage with the state holding member 60 and a second position in which the operating member 55 engages with the switching member 65 It is possible to swing between positions. In addition, when the handle 50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55 is spaced from the switching member 65. [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witching member 65 and the operating member 55 when the baby carriage 10 is opened from the folded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50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garment or the like from being caught between the switching member 65 and the operating member 55 when the baby carriage is deployed.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 부재(55)는 핸들(50)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조작 기부(56)와, 핸들(50) 중의 조작 기부(56)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폭 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접촉면(58)을 포함하는 조작 돌출부(57)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핸들(50)의 요동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55)와 전환 부재(65)의 접촉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erating member 55 includes an operating base portion 56 which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50, and an operating base portion 56 which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handle 50 where the operating base portion 56 is provided And an operating projection 57 projecting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width direction) and including a contact surface 58.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contact between the operating member 55 and the switching member 65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50. [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변경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hange will be described.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각(14) 및 후각(16)의 양쪽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가 전환 기구(100)에 의해, 핸들(50)의 요동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느 한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로크 부재(79)만이, 전환 기구(100)에 의해, 핸들의 요동 위치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동작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다른 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은, 캐스터로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The lock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gle 14 and the rear angle 16 is shifted to the swing position of the handle 50 by the switching mechanism 100 in the above- Thus, although the example of automatic operation is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is. Only the lock member 79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provided on either leg may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switching mechanism 100 in accordance with the swing position of the handle. At this time, the wheel hold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leg may not be constituted as a caster.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유모차(10) 및 유모차 본체(11)의 전체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baby carriage 10 and the baby carriage body 11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차륜 보유 지지 유닛(70)의 구성은, 단순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특개 2008-254693호 공보에 개시된 캐스터의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wheel holding unit 70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is merely an example. For example, the configuration of a caster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54693 may be adopted.

또한, 이상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대한 몇 가지 변형예를 설명해 왔지만, 당연히 복수의 변형예를 적절히 조합하여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a few modified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of course possible to apply a plurality of modified examples appropriately in combination.

Claims (12)

전각 및 후각를 갖는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접속된 핸들을 갖는 절첩 가능한 유모차 본체와,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 중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된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이며, 차륜과, 상기 차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체와, 상기 적어도 한쪽의 다리에 설치되며 또한 상기 차륜의 회전 축선과 비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규제하는 비회전 위치와 상기 회전체의 상기 고정체에 대한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로크 부재를 갖는 차륜 보유 지지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규제되게 되는 규제 위치와, 상기 유모차 본체의 절첩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한 상태 유지 부재가,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 가능한 조작 부재가, 상기 핸들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본체 프레임에 대한 요동에 따라서 상기 로크 부재를 이동시키는 전환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전환 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 부재와, 상기 전환 부재의 동작을 상기 로크 부재에 전달하는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에 대하여 동작함으로써, 상기 상태 유지 부재를 가압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를 가압하여 동작시키는, 유모차.
A foldable baby carriage body having a main body frame having an entire angle and a smile angle, a handle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frame,
And a wheel hold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front and rear legs, the wheel holding unit comprising: a wheel; a rotating body rotatably supporting the wheel; and a wheel holding unit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legs, A rotating body rotatably supporting the rotating body about an axis, a non-rotating position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and a rotating position for rotating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body And a wheel holding unit having a lock member movable between the two wheel holding units,
A state holding member capable of moving between a regulating position wher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is regulated and a releasing position where fold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body is possible is provided on the body frame,
An operating member oper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is provided on the handle,
A switching mechanism is provided for moving the lock member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with respect to the main frame,
Wherein the switching mechanism includes a switching member operatively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a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to the locking member,
Wherein:
By operating the handle, the state holding member is pressed and moved,
And the switching member is pressed and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은,
상기 전각 및 상기 후각과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아암레스트와,
상기 아암레스트와 회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1 링크를 갖고,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제1 링크에 지지되고,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지지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rmrest rotatably connected to the full angle and the smell angle,
And a first link rotatably connected to the armrest,
Wherein the state retaining member is supported on the first link,
Wherein the switching member is supported at the smell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맞닿아서 당해 전환 부재를 동작시키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movable between an operating position and a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Is pressed toward the non-operation position,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witching member downwardly in association with the swinging motion of the handle to operate the switch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상태 유지 부재는, 상기 비조작 위치로부터 상기 조작 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조작 부재에 가압되며, 상기 규제 위치로부터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movable between an operating position and a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Is pressed toward the non-operation position,
Wherein the state maintaining member is pressed by the operating member moving from the non-operation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and moves from the regulation position to the releas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전환 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is pivo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engageable with the state retaining member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engages with the switching member,
And the operat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switching member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상태 유지 부재와 걸림 결합 가능하게 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전환 부재와 걸림 결합하는 제2 위치 사이를 요동 가능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조작 위치와 상기 조작 위치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비조작 위치 사이를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기 조작 위치의 측으로부터 상기 비조작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고 있으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 가능한 접촉면이며, 상기 핸들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전환 부재에 하방에서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is pivotable between a first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is engageable with the state retaining member and a second position at which the operating member engages with the switching member,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movable between an operating position and a non-operating position located below the operating posi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member is provided, Is pressed toward the non-operation position,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a contact surface whic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ate holding member downward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first position and a contact surface which contacts the switching member downwardly when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second position,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조작 기부와,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상기 접촉면을 포함하는 조작 돌출부를 갖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ncludes an operating base portion that is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handle and an operation protruding port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ng base portion is provided,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접촉면은 곡선형으로 되어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act surface is curved when view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면을 포함하고 있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tact surface is located at a position where the contact surface is moved from the front side to the rear side in the movement path of the operating member accompanied by the swinging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And a distance from the swing axis is gradually increas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이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가장 길어지는 부분에 있어서, 상기 상태 유지 부재에 접촉 가능한,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handle is disposed at the first position, the operating member is capable of contacting the state holding member at a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that is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swing axi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중 상기 상태 위치 부재에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 중의 상기 조작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portion of the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tate position member is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portion of the handle where the operation member is provided when view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부재는, 상기 후각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한 전환 기부와, 상기 후각 중 상기 전환 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전환 돌출부를 갖고,
상기 전환 돌출부는, 상기 핸들의 요동 축선과 평행한 방향에서 관찰한 경우에, 상기 핸들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한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며, 상기 요동 축선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로 길어져 가는 받침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핸들의 상기 제2 위치로의 요동에 수반하여, 상기 전환 부재의 상기 받침면에 접촉되는,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witching member has a switchable portion that is slidable relative to the smell and a switchable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tion of the switchgear portion where the switchgear portion is provided,
Wherein the switching projection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viewed from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wing axis of the handle, the switching projection is extended from the front side in the movement path of the operating member following the swing of the handl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a support surface facing the rear side, the distance from the swing axis being gradually increased,
Wherein the operat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supporting surface of the switching member following the swing of the handle to the second position.
KR1020177007363A 2014-09-22 2015-09-02 Baby carriage KR2017005837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93088A JP6378991B2 (en) 2014-09-22 2014-09-22 baby carriage
JPJP-P-2014-193088 2014-09-22
PCT/JP2015/074989 WO2016047406A1 (en) 2014-09-22 2015-09-02 Baby carri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8371A true KR20170058371A (en) 2017-05-26

Family

ID=55580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7363A KR20170058371A (en) 2014-09-22 2015-09-02 Baby carriag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378991B2 (en)
KR (1) KR20170058371A (en)
CN (1) CN106687356B (en)
TW (1) TWI649226B (en)
WO (1) WO201604740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7918B2 (en) * 2016-08-31 2020-08-26 ピジョン株式会社 stroller
JP2018070123A (en) * 2016-11-04 2018-05-10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TWI594910B (en) * 2017-03-23 2017-08-11 Shui-Sheng Bao Wheel lock structure prevents accidental slipping of the cart
JP6915935B2 (en) * 2019-04-26 2021-08-11 コンビ株式会社 baby carriage
JP7233398B2 (en) 2019-06-13 2023-03-06 ワンダーランド スイツァーランド アーゲー Conveyor with wheels
PL3833592T3 (en) * 2019-08-12 2024-02-19 Wonderland Switzerland Ag Unlock device and stroller
WO2021124507A1 (en) 2019-12-19 2021-06-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7753A (en) * 1992-05-29 1993-03-30 Liu Kun Hei Folding baby buggy frame assembly
US5988670A (en) * 1995-02-15 1999-11-23 Jiangsu Goodbaby Group, Inc. Child carrier
CN200977936Y (en) * 2006-10-26 2007-11-21 蔚冠五金制品(深圳)有限公司 Modified baby carriage structure
TWI547403B (en) * 2006-11-15 2016-09-01 康貝股份有限公司 Baby carriage
JP4994925B2 (en) * 2007-04-09 2012-08-08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JP5436911B2 (en) * 2009-03-31 2014-03-05 コンビ株式会社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87356B (en) 2019-05-28
TW201615462A (en) 2016-05-01
CN106687356A (en) 2017-05-17
WO2016047406A1 (en) 2016-03-31
JP6378991B2 (en) 2018-08-22
JP2016064688A (en) 2016-04-28
TWI649226B (en) 2019-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8371A (en) Baby carriage
CN102390422B (en) Stroller
US8448976B2 (en) Stroller
KR100852409B1 (en) Baby carriage
KR101750774B1 (en) Baby carriage
JP5889551B2 (en) baby carriage
JP4812948B2 (en) stroller
KR101786779B1 (en) Foldable stroller
US8215661B2 (en) Stroller
AU2013248806A1 (en) Collapsible stroller having reversible seat
JP5755344B2 (en) Folding baby carriage
KR20180050207A (en) Stroller
CN111356624A (en) Device for transporting a child and child seat
JP6957051B2 (en) baby carriage
JP6400913B2 (en) stroller
KR101973459B1 (en) Brake mechanism for baby carriage, wheel holding mechanism for baby carriage, and baby carriage
JP6910665B1 (en) Childcare equipment and guards
JP2015145145A (en) Baby carri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