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604B1 - 시약장 - Google Patents

시약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604B1
KR101786604B1 KR1020170041656A KR20170041656A KR101786604B1 KR 101786604 B1 KR101786604 B1 KR 101786604B1 KR 1020170041656 A KR1020170041656 A KR 1020170041656A KR 20170041656 A KR20170041656 A KR 20170041656A KR 101786604 B1 KR101786604 B1 KR 10178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agent
air
purify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요셉
Original Assignee
(주) 엘케이랩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케이랩코리아 filed Critical (주) 엘케이랩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4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0Enclosures; Chambers for storing hazardous materials in the laboratory, e.g. cupboards, wast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a central suction system, e.g. for collecting exhaust gases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3Fume cabinets or cupboards, e.g. for laborat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81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10Means to control humidity and/or other ga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약장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하향류를 이루도록 한 후 본체의 배면에 구비된 덕트를 통해 상승시켜 다시 본체 내부 상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경로로 강제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본체 내부에 설치하고, 시약으로부터 발생된 흄이 감지되었을때 본체의 내부 상단 공기를 빨아들여 순환경로와 독립된 별도의 정화경로로 순환시켜 정화시킨 후 다시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정화수단을 본체 상단에 설치 구성하여 본체의 내부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와 시약에서 발생 되는 흄을 정화하는 정화경로가 각각 독립되게 구비되도록 하기 때문에 순환수단의 순환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화수단은 시약으로부터 흄이 발생시에만 작동되므로, 흄을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약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약장 { A Reagent cabinet }
본 발명은 시약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하향류를 이루도록 한 후 본체의 배면에 구비된 덕트를 통해 상승시켜 다시 본체 내부 상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경로로 강제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본체 내부에 설치하고, 시약으로부터 발생된 흄이 감지되었을때 본체의 내부 상단 공기를 빨아들여 순환경로와 독립된 별도의 정화경로로 순환시켜 정화시킨 후 다시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정화수단을 본체 상단에 설치 구성하여 본체의 내부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와 시약에서 발생 되는 흄을 정화하는 정화경로가 각각 독립되게 구비되도록 하기 때문에 순환수단의 순환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화수단은 시약으로부터 흄이 발생시에만 작동되므로, 흄을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약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약장이란 연구실이나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시약이나 독극물 등과 같이 인체에 유해한 각종 화학 물질이나 생물학의 물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시약장을 이용하여 시약 내지 독극물 등을 보관하기 때문에 시약장의 내부 온도는 시약에 맞는 적정한 온도를 유지해야 함은 물론 시약 또는 독극물로 발생 되는 유해가스를 안전하게 정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시약 내지 독극물을 보관하는 시약장은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본체가 형성되고, 다수의 고정식 또는 슬라이딩 방식의 선반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본체의 전면에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가 설치된다.
그리고 보관중인 시약 또는 독극물에서 발생 되는 흄을 순환시켜 정화하는 필터부와 팬으로 이루어진 정화수단을 상기 본체에 설치 구성한다.
따라서, 정화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팬은 항상 작동되면서 본체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본체의 내부가 항상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팬에 의해 강제적으로 순환되는 본체의 내부 공기는 필터부로 인해 정화되기 때문에 시약 내지 독극물로부터 발생 되는 흄을 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팬과 필터부로 인해 본체의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순환되면서 정화되므로, 시약 내지 독극물로부터 발생 되는 흄으로부터 연구원 등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시약장의 문제점은, 팬에 의해 강제적으로 순환되는 본체의 내부 공기는 항상 필터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시약장의 내부전체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항상 팬을 강하게 구동시켜야만 하고, 이로인해 팬에 과부하가 걸리게되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본체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본체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은 강하게 회전되어야만 하며, 이로 인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본체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순환경로와 시약 또는 독극물로부터 발생 되는 흄이 순환되는 정화경로가 동일하게 본체의 내부에서 순환되기 때문에 본체의 내부에서 흄이 발생 되지 않더라고 항상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는 필터부를 항상 통과를 해야 하기 때문에 본체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에 과부하가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부를 통과하면서 본체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기 위해서는 순환팬을 강하게 회전시켜야 하므로, 순환팬을 회전시키는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 선행기술문헌 *
등록특허 10-1103031호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하향류를 이루도록 한 후 본체의 배면에 구비된 덕트를 통해 상승시켜 다시 본체 내부 상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순환경로로 강제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을 본체 내부에 설치하고, 시약으로부터 발생된 흄이 감지되었을때 본체의 내부 상단 공기를 빨아들여 순환경로와 독립된 별도의 정화경로로 순환시켜 정화시킨 후 다시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정화수단을 본체 상단에 설치 구성하여 본체의 내부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와 시약에서 발생 되는 흄을 정화하는 정화경로가 각각 독립되게 구비되도록 하기 때문에 순환수단의 순환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화수단은 시약으로부터 흄이 발생시에만 작동되므로, 흄을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시약장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시약 보관용 선반이 다수개 설치되는 본체가 구비된 시약 보관실을 포함하는 시약장에 있어서,
본체의 후면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유출홀 및 유입홀과,
유출홀과 유입홀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덕트와,
유출홀과 유입홀을 통해 본체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하향류를 이루면서 순환경로로 순환되도록 유입홀에 근접하게 덕트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으로 이루어진 순환수단을 시약 보관실의 내부에 형성하고,
시약으로부터 발생 되는 흄을 감지하는 센서를 본체 내부 상부에 장착하며,
센서로부터 유입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본체 내부 공기를 받아들어 순환경로와 독립된 별도의 정화경로로 순환되면서 정화되도록 본체의 상부 상부에 정화수단을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본체의 내부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와 시약에서 발생 되는 흄을 정화하는 정화경로가 각각 독립되게 구비되도록 하기 때문에 순환수단의 순환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화수단은 시약으로부터 흄이 발생시에만 작동되므로, 흄을 순환시키는 송풍팬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약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약장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약장에 설치되는 정화수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시약 보관용 선반(14)이 다수개 설치되는 본체(10)가 구비된 시약 보관실(1)을 포함하는 시약장에 있어서,
본체(10)의 후면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유출홀(11) 및 유입홀(12)과,
유출홀(11)과 유입홀(12)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되는 덕트(20)와,
유출홀(11)과 유입홀(12)을 통해 본체(10)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하향류를 이루면서 순환경로로 순환되도록 유입홀(12)에 근접하게 덕트(20)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30);으로 이루어진 순환수단을 시약 보관실(1)의 내부에 형성하고,
시약으로부터 발생 되는 흄을 감지하는 센서(50)를 본체(10) 내부 상부에 장착하며,
센서(50)로부터 유입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본체(10) 내부 공기를 받아들어 순환경로와 독립된 별도의 정화경로로 순환되면서 정화되도록 본체(10)의 상부 상부에 정화수단(40)을 설치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수단(40)은, 입구(73)와 출구(74)가 저면에 구비되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60)과;
하우징(6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90)와;
입구(73)를 통해 필터부(90)로 흄을 유입하고, 필터부(9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출구(74)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출되도록 하우징(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10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60)은, 시약 보관실(1)의 상부에 돌출되게 본체(10) 상부에 설치되며, 입구(73)가 구비된 제1 면(71)과, 다수의 출구(74)가 구비된 제2 면(72)이 저면에 구비된 하우징 몸체(70)와;
하우징 몸체(70) 내측 상부로부터 이격 되게 입구(73)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중간에는 필터부(90)와 상단에는 송풍팬(100)이 설치되는 안내부(80);로 구성하며,
출구(74)가 구비된 제2 면(72)은 본체(10)의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출구(74)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본체(10) 내부에서 퍼지면서 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약 보관실(1)의 상부에는 기계실(110)을 더 설치하고,
기계실(110) 내부에는 시약에서 발생 되는 흄을 냉각 정화하는 냉각장치부(120)를 설치하며,
냉각장치부(120)와 연결되게 덕트(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순환수단에 의해 순환되는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냉각하는 냉매관(130)을 더 설치 구성하여 본체(10) 내부에 보관되는 시약의 종류에 따라 시약 보관실(1)을 온장고 또는 냉장고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약을 보관하는 시약 보관실(1)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순환수단의 순환경로와, 시약에서 흄 발생으로 인해 작동되는 정화수단(40)의 정화경로를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시약 보관실(1)의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30) 및 송풍팬(100)이 과부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시약이 보관되는 시약 보관실(1)은 전면이 개구된 케이스(2)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도 1과 같이 본체(10)로 구성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 양측면에는 도 1과 같이 한 쌍의 선반 가이드부(13)가 마주보도록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시약을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선반(14)을 상기 선반 가이드부(13)에 결합한다.
그리고 선반(14)에 보관중인 시약을 안전하게 보관함과 동시에 시약에서 발생 되는 흄으로부터 연구원 등을 보호할 수 있는 개폐문(3)이 상기 시약 보관실(1)의 전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시약 보관실(1)을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2)의 내부에 본체(10)를 설치하고,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하향류를 이루면서 순환되도록 하는 순환수단을 도 2와 같이 케이스(2)와 본체(10) 사이로 설치하고, 본체(10)의 내부에 흄이 발생 시 순환경로와 독립적으로 흄을 순환시키는 정화수단(40)을 본체(10)의 내부 상부에 설치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체(10)의 내부에서 보관중인 시약에서 흄이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순환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순환팬(30)의 작동으로 인해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하향류를 이루면서 순환되므로, 순환팬(30)이 과부하로 파손되거나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의 내부에서 보관중인 시약에서 흄이 발생과 동시에 센서(50)가 감지하고, 상기 센서(50)에서 감지된 신호는 정화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송풍팬(100)을 작동시켜 본체(10)의 상부인 상향류를 이루면서 강제적으로 순환시켜 정화하기 때문에 송풍팬(100)이 항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부하로 인해 송풍팬(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순환경로를 통화 순환시키는 순환팬(30) 및 정화경로를 통해 흄을 순환시키는 송풍팬(100)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시에 작동하거나 또는 별도로 작동됨을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게 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순환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순환팬(30)을 작동한다.
상기 순환팬(30)의 작동으로 인해 본체(10)의 내부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출홀(11)을 통해 덕트(20)의 내부로 유입되고, 그 덕트(20)의 내부로 유입된 본체(10)의 내부 공기는 본체(10)의 상부 배면에 형성된 유입홀(12)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본체(10)의 내부의 상부와 중간과 하부가 최대한 동일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본체(10)에 설치되는 순환수단은 유출홀(11)을 통해 덕트(20) 내부로 유입되고, 덕트(20) 내부로 유입된 본체(10)의 내부 공기는 유입홀(12)을 통해 본체(10) 내부로 다시 유입되므로서, 본체(10) 내부의 공기는 하향류를 이루면서 본체 하부로 이동한 후 유출홀(11)을 통해 덕트(20)로 이동한 후 덕트(20) 내부에서 상승하며, 이후 덕트(20)의 상부에 연결되게 형성된 유입홀(12)을 통해 다시 본체 내부로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 순환수단에 의해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하향류를 이루면서 순환되는 도중에 본체(10)의 내부에서 보관중인 시약 또는 독극물에서 흄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된 센서(50)는 시약 또는 독극물에서 발생 되는 흄을 감지한다.
이때,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는 센서(50)는 유입홀(12)에 근접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복수개 설치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시약에서 발생 된 흄을 감지한 센서(50)는 정화수단(40)의 하우징(60)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100)으로 제어 신호를 보내어 송풍팬(100)을 작동한다.
상기 송풍팬(100)이 작동함에 따라 본체(10) 내부에서 발생 된 흄은 하우징 본체(70) 저면에 형성된 입구(73)를 통해 필터부(90)가 설치된 안내부(8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안내부(80) 내부로 유입된 흄은 필터부(90)를 통과하면서 정화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부(9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는 센서(50)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100)으로 인하여 하우징(60)의 양측으로 유도되고, 상기 하우징(60)의 양측으로 유도된 정화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 본체(70)의 저면에 형성된 출구(74)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상향식을 이루면서 순환되는 것이다.
이때, 출구(74)는 입구(73)가 구비된 제1 면(71)의 양측에 구비된 제2 면(72)에 형성되는 것이며, 그 제2 면(72)을 본체(10)의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상기 출구(7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본체(10) 내부에서 최대한으로 퍼지면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필터부(90)로 인하여 정화된 공기가 입구(73)를 통해 필터부(90)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제2 면(72)을 통해 정화된 공기는 본체(10)의 전,후면을 통해 유출되고, 그 유출된 정화된 공기를 순환수단을 통해 본체(10) 내부에서 순환되는 것이다.
즉,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수단과, 본체(10)의 내부에서 발생 되는 흄을 정화시키는 정화수단(40)은 각각 별도로 독립된 순환경로와 정화경로를 이루면서 순환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약 보관실(1)에 보관 중이 시약 또는 독극물에서 흄이 발생시에만 정화수단(40)의 송풍팬(100)이 회전되면서 흄을 상향류로 순환시켜 정화시키고, 본체(1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기가 하향류를 이루면서 순환시키기 때문에 순환수단과 정화수단(40)을 구성하고 있는 순환팬(30)과 송풍팬(100)이 과 부하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10)의 상부에는 기계실(110)을 형성하고, 기계실(110)의 내부에는 흄이 발생 된 공기를 냉각할 수 있는 냉각장치부(120)를 설치하며, 냉각장치부(120)와 연결되게 덕트(20)의 내부에는 냉매관(30)을 설치한다.
상기 덕트(20) 내부에 냉매관(30)을 설치하므로, 흄이 발생 되지 않은 상태에서 냉각장치부(120)를 이용하여 시약 보관실(1)의 내부 온도가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온장고 또는 냉장고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냉각장치부(120)는 공지의 기술로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체(10)에 설치되는 순환팬(30), 센서(50, 송풍팬(100), 냉각장치부(120)는 시약 보관실(1)의 전면 또는 측면(도면 미 도시)에 설치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됨을 밝히는 바이다.
1: 시약 보관실, 2: 케이스,
3: 개폐문, 10: 본체,
11: 유출홀, 12: 유입홀,
20: 덕트, 30: 순환팬,
40: 정화수단, 50: 센서,
60: 하우징, 70: 하우징 몸체,
71: 제1 면, 72; 제2 면,
73: 입구, 74; 출구,
80: 안내부, 90: 필터부,
100: 송풍팬, 110: 기계실,
120: 냉각장치부, 130: 냉매관,

Claims (4)

  1. 시약 보관용 선반(14)이 다수개 설치되는 본체(10)가 구비된 시약 보관실(1)을 포함하는 시약장에 있어서,
    본체(10)의 후면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유출홀(11) 및 유입홀(12)과,
    유출홀(11)과 유입홀(12)을 연결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되는 덕트(20)와,
    유출홀(11)과 유입홀(12)을 통해 본체(10) 내부 공기가 강제적으로 하향류를 이루면서 순환경로로 순환되도록 유입홀(12)에 근접하게 덕트(20) 내부에 설치되는 순환팬(30);으로 이루어진 순환수단을 시약 보관실(1)의 내부에 형성하고,
    시약으로부터 발생 되는 흄을 감지하는 센서(50)를 본체(10) 내부 상부에 장착하며,
    센서(50)로부터 유입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작동되면서 상기 본체(10) 내부 공기를 받아들어 순환경로와 독립된 별도의 정화경로로 순환되면서 정화되도록 본체(10)의 상부 상부에 정화수단(40)을 설치 구성하며,
    상기 정화수단(40)은, 입구(73)와 출구(74)가 저면에 구비되며,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하우징(60)과;
    하우징(60)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부(90)와,
    입구(73)를 통해 필터부(90)로 흄을 유입하고, 필터부(90)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출구(74)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출되도록 하우징(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100);으로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60)은, 시약 보관실(1)의 상부에 돌출되게 본체(10) 상부에 설치되며, 입구(73)가 구비된 제1 면(71)과, 다수의 출구(74)가 구비된 제2 면(72)이 저면에 구비된 하우징 몸체(70)와;
    하우징 몸체(70) 내측 상부로부터 이격 되게 입구(73)의 내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중간에는 필터부(90)와 상단에는 송풍팬(100)이 설치되는 안내부(80);로 구성하며,
    출구(74)가 구비된 제2 면(72)은 본체(10)의 상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출구(74)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유출되는 정화된 공기가 본체(10) 내부에서 퍼지면서 유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약장.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41656A 2017-03-31 2017-03-31 시약장 KR10178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656A KR101786604B1 (ko) 2017-03-31 2017-03-31 시약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656A KR101786604B1 (ko) 2017-03-31 2017-03-31 시약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604B1 true KR101786604B1 (ko) 2017-10-17

Family

ID=6029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656A KR101786604B1 (ko) 2017-03-31 2017-03-31 시약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345A (ja) 2005-03-28 2006-10-12 Max Co Ltd 浴室空調装置
KR101083260B1 (ko) * 2011-04-18 2011-11-15 (주)지오필테크 항온 시약장
KR101103031B1 (ko) 2010-07-13 2012-01-05 강연균 냉장 시약장
KR101720118B1 (ko) 2016-08-01 2017-03-2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시약장 상측에 유해가스 정화를 위해 이온클러스터와 하이브리드필터를 내장한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5345A (ja) 2005-03-28 2006-10-12 Max Co Ltd 浴室空調装置
KR101103031B1 (ko) 2010-07-13 2012-01-05 강연균 냉장 시약장
KR101083260B1 (ko) * 2011-04-18 2011-11-15 (주)지오필테크 항온 시약장
KR101720118B1 (ko) 2016-08-01 2017-03-27 주식회사씨애치씨랩 시약장 상측에 유해가스 정화를 위해 이온클러스터와 하이브리드필터를 내장한 일방향 공기 순환장치에 의한 필터형 클린 시약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1687B2 (ja) 試料冷却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オートサンプラ
US6612260B1 (en) Flex-air ventilated rack system
JP6228040B2 (ja) 排気の循環利用型安全キャビネット及び排気の循環利用型安全キャビネットを備えるクリーンルームの空気循環システム
EP3438552B1 (en) Oven
KR20210158778A (ko) 신발 관리 장치
JP2018036045A (ja) 外部温度を上昇させないで殺菌機能を含む除湿装置
KR200464937Y1 (ko) 수직형 에어 커튼 장치
KR101786604B1 (ko) 시약장
EP3825395B1 (en) Culture device
JP2010121830A (ja) エアシャワー装置
KR101132820B1 (ko) 냉각장치가 구비된 함체
JP3090059B2 (ja) 粉塵検知センサ付空気清浄機
KR102357162B1 (ko) 바이오 3차원 프린터용 챔버 환경 제어 장치
KR101596856B1 (ko)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시스템 창호
JP5250242B2 (ja) 安全キャビネット
KR20230105505A (ko) 옷걸이 장치
JP2010041978A (ja) 実験動物飼育用ラック装置
KR102485104B1 (ko) 자동 외기 흐름 제어형 안전 캐비닛
JP5959129B1 (ja) 減量・減容処理装置および減量・減容処理装置における気流形成機構
EP4023972B1 (en) Refrigerator
KR20090013982A (ko) 의류처리장치
JP4571535B2 (ja) 実験動物飼育用のラック装置
KR20230105769A (ko) 옷걸이 장치 및 옷걸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76642A (ko) 슬라이딩 개폐구조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도어
KR20210074761A (ko) 가습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