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501B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501B1
KR101786501B1 KR1020160167084A KR20160167084A KR101786501B1 KR 101786501 B1 KR101786501 B1 KR 101786501B1 KR 1020160167084 A KR1020160167084 A KR 1020160167084A KR 20160167084 A KR20160167084 A KR 20160167084A KR 101786501 B1 KR101786501 B1 KR 101786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ayer
coating
primer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이영욱
임소현
김기오
공민호
권해원
손성환
Original Assignee
지씨피코리아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비티에이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씨피코리아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식회사 비티에이 코리아 filed Critical 지씨피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7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4833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 C08G18/4837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 C08G18/485Polyethers containing oxyethylene units and other oxyalkylene units containing mixed oxyethylene-oxypropylene or oxyethylene-higher oxyalkylene en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의 방수처리를 함에 있어 차도막 도포와 시트 시공의 이중복합 구조를 제공하여 방수시트를 간단히 부착함과 아울러, 시트 파손에 따른 지수의 이동으로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공면에 자동표면처리 속경화 프라이머를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프라미어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통해 상기 시공 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속경화형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 도포단계와; 상기한 도막방수 도포단계를 통해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층이 형성되면, 상기 도막 방수층의 상부에 자착식 시트를 적층하여 시트층을 형성하는 시트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으로서, 상기 도막방수재는 물과 반응하면 두께가 50% 내지 100%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파손에 따른 물의 이동을 막아주도록 부풀어 올라 팽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Double waterproof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의 방수처리를 함에 있어 차도막 도포와 시트 시공의 이중복합 구조를 제공하여 방수시트를 간단히 부착함과 아울러, 시트 파손에 따른 지수의 이동으로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기술의 발전 및 토목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건물의 방수 기술도 종래의 시트(sheet) 방수, 구체 방수, 도막 방수, 아스팔트 방수, 금속판 방수, 개량 아스팔트 시트 방수 등 여러 종류의 방수 공법과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공법에 따라서 각각의 특징과 시방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시공 후의 효과의 차이점, 재시공 시의 인건비 문제, 시공 편의성, 자외선에 의한 노화 및 변질 문제, 흡수성 및 발수성 문제, 피착제와의 접착성 문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시공상의 편의성 및 경제성이 건물 보수업계, 방수업계에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방수 시공시 사용되는 재료로는 시트 방수재, 도막 방수재 및 매스틱 방수재가 있으나, 시트 방수재의 경우에는 시공시 가열 토치를 사용하여 가열 융착식으로 시공하기 때문에 시공이 매우 까다롭고 시공 시간이 매우 길며, 시공시 화상의 위험이 있고, 시공 후 하자가 발생 될 경우 누수 된 물이 시트와 피착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이동하여 파손 부분과 함께 다른 곳에서도 누수가 일어나므로 하자 지점을 찾을 수가 없어 방수층 전체를 재시공해 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트 방수 공법은 시트의 제조시 다양한 적층 구조를 통해서 필요한 물성을 구현하기가 쉽고, 시공이 편리한 점이 있으나, 복잡한 부위의 시공이 어렵고, 부분 보수가 어려우며, 시트간 이음매에서의 완전 수밀성을 이루기 어렵고, 시트간의 이음매의 밀봉 작업이 수작업으로 일일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재료의 시트와 이를 이용한 공법 등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도막 방수 공법은 소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공법이 존재하나,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은 시공할 바닥 등을 정리하고, 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바닥에 충분히 침투시켜 건조한 뒤, 바닥면에 액상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여 건조 및 경화시켜 일정 두께의 폴리우레탄 도막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방수를 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은 신축성이 우수하여 하지 균열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의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곳이나 복잡한 부위에 시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이음매 없는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수가 비교적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면 등의 하지면에 밀착되는 밀착 공법이므로 하지의 균열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이 어렵고 균열발생시 시공된 폴리우레탄 도막이 손상되고, 연속적으로 들뜨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현상에서 액상으로 도포되어 흐름성이 좋기 때문에 바닥면의 굴곡으로 인해 도막 두께가 불균일해질 수 있고, 도막의 두께를 충분히 형성하여야 하나 현장 시공상 용이하지가 않은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시트 방수 공법과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시트 방수 공법과 폴리우레탄 방수 공법을 함께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 방법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04677호(명칭: 자착식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자착식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방법에 있어서, 바탕기재를 고압세척, 하지 정리하는 단계; 상기 바탕기재상에 동질 재료의 이음부가 서로 자착되는 적어도 1 이상의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대접하게 배치하여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친환경 무기질 도막 방수재를 상기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층 내부에 깊이방향으로 함침시켜 상기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층을 보강하도록 도막 방수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71254호(명칭: 자착식 단열방수시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탕기재의 바탕정리를 하는 단계; 상기 바탕기재상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소정 위치에 부틸고무(IIR)를 주폴리머로 하여 보강재 충진재 노화방지재를 함유한 자착식 비가황 합성고무층으로 된 보강시트를 시공하는 단계; 자착식 단열방수시트를 바탕기재 전면에 시공하여 1차 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자착식단열방수시트 위에 탄성단열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이음매 없이 일체화된 2차 도막방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수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81533호(명칭: 복합시트를 이용한 옥상 구조물의 단열-방수 시공방법)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모체의 바닥면을 고르게 처리하는 바탕정리 단계, 상기 바탕정리된 콘크리트 모체의 바닥면 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구멍을 갖는 천공된 부직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부직포 위에 고점도 폴리우레탄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폴리우레탄 위에 복합 시트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합 시트들 및 간격 위 전체를 폴리우레탄으로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우레탄 위에 자외선 차단을 위해 탑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열-방수 시공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804677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971254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815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바닥의 방수처리를 함에 있어 차도막 도포와 시트 시공의 이중복합 구조를 제공하여 방수시트를 간단히 부착함과 아울러, 시트 파손에 따른 지수의 이동으로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수시트가 파손될 경우 물이 이동하여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도막층의 부위가 팽창하여 막아주는 보호역할을 하는 도막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시공, 속경화, 자착을 통한 공정의 단순화와 빠른 시공에 의해 시공을 구현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함은 물론, 이음매 및 외부공기와의 접촉부위에서의 탈유고화와 누유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시공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시공면에 자동표면처리 속경화 프라이머를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프라미어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통해 상기 시공 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속경화형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 도포단계와; 상기한 도막방수 도포단계를 통해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방수층이 형성되면, 상기 도막 방수층의 상부에 자착식 시트를 적층하여 시트층을 형성하는 시트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으로서, 상기 도막방수재는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물과 반응하면 두께가 50% 내지 100%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파손에 따른 물의 이동을 막아주도록 부풀어 올라 팽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재는 물과 반응하는 두께의 팽창 정도가 1.5mm 내지 2mm 정도이며, 그 최대 팽창에 따른 두께는 4mm를 넘지 않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재는, 가소제류(DOP)와, 소포제류와, 토너류와, 경탄과, 중탄과, NCO-프리폴리머 (A)와, 친수성을 갖는 NCO-프리폴리머 (B)와, 잠재성 경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NCO-프리폴리머 (A)는 배합비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PP-2000)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PP-300)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GP-3000)과,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TDI-80)과, 인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량(NCO%)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NCO-프리폴리머 (A)의 폴리머는,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 옥사이드(polybutyleneoxide) 디올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트리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tolue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등이 가능하며,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물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친수성을 갖는 NCO-프리폴리머 (B)는, 에틸렌옥사이드(EO)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공중합체와, 프로필렌옥사이드(GP-3000)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80)와, 인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량(NCO%)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EO)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공중합체는, 친수성을 부여하는 폴리올로서 에틸렌옥사이드(EO)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로서 EO:PO의 몰비가 100:0에서 30:70까지 구성된 폴리올로 구성되고, 작용기로 2개 이상이며, 분자량은 500 - 10,000까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옥사이드(GP-3000)는 폴리올로서,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 옥사이드(polybutyleneoxide) 디올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트리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tolue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등이 가능하며,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물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복합 방수 시공방법은, 스프레이를 이용한 기계식 작업과 빠른 양생을 통해 1일 시공을 구현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란트를 통해 주요 구성들의 외부에 대한 밀폐를 통해 탈유고화와 누유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막과 시트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물이 지속적으로 이동함에 따른 물을 만난 도막 방수재의 팽창으로 물의 이동을 완벽하게 차단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이 적용된 평면에 대한 시공방법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이 적용된 것으로 앵커 등과 같은 고정물이 위치된 면에 대한 시공방법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보인 개략도로서,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은 시공면(1)에 자동표면처리 속경화 프라이머를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프라미어층(2)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00)를 가진다.
표면처리의 경우 일반적인 경우 우레탄 프라이머 표면이 열화 되었거나 표면에 균열 및 핀홀이 많을 경우 에폭시 프라이머를 사용한다.
즉, 시공면(1)에 미 도시된 스프레이를 통해 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상기 프라이머층(2)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초속경 폴리에폭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대략 10분의 양생 시간을 통해 양생 되어 시공시간을 단축하게 된다.
아울러, 온도에 상관없이 시공되어, 고온처리가 불필요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낮은 점도를 가짐에 따라 핀홀과 표면의 공극을 메워주는 동시에 표면을 강화시켜 시공면(1)에 대한 면처리를 별도의 작업 없이 자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단축 시공을 구현함으로써, 경제적인 이익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시공면의 레이턴스 및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에 부착을 높이기 위해서 프라이머를 시공하는바, 이를 통해서는, 핀홀이나 패임 부분을 메워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예에 의한 복합 방수 시공방법은 적용되는 초속경 폴리에폭시의 점도가 낮고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패임 부분이나 핀홀 등을 메워져서 유리면 같은 표면을 만들어 줄 수 있다.
상기에서 초속경 폴리에폭시는, 주제와 주제와 동일 비율로 혼합된 경화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주제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솔벤트가 혼합되며, 경화제는 아민과 에폭시레진과 점도조절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주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50~80중량부와 솔벤트 20~50중량부가 혼합되고, 경화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아민 38~55중량부와 에폭시레진 2~5중량부와 점도조절제 40~60중량부가 혼합되며, 주제와 경화제가 각각 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아민은 3,5 Diethyltoluene-2,4/2,6-diamine 30~40중량부와 4,4bis[2-chloroaniline] 5~10중량부와 4,4'-methylene Bis[N-(1-methylpropyl)benzenamine 3~5중량부를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폭시레진은 '4,4'-(1-methylethylidene)bisphenol polymer with (chloromethyl)oxirane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아민과의 화학반응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화학반응 속도보다 수십 배 내지 수백 배 빠른 경화속도를 구현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면에 분사되어 도포될 경우, 대략 1시간에서 2시간 이내에 콘크리트 바닥으로부터 약 1~2mm의 두께를 갖는 코팅층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S100)를 통해 상기 시공면(1)에 프라이머층(2)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2)의 상면에 속경화형 도막방수재를 미 도시된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도막 방수층(3)을 형성하는 도막방수 도포단계(S200)를 더 가진다.
즉, 상기 프라이머층(2)의 상면에 스프레이를 통해 도막방수재를 도포하여 상기 도막 방수층(3)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방수재는, 물과 반응하면 두께가 50% 내지 100%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파손에 따른 물의 이동을 막아주도록 부풀어 올라 팽창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막방수재는 물과 반응하는 두께의 팽창 정도가 1.5mm 내지 2mm 정도이며, 그 최대 팽창에 따른 두께는 4mm를 넘지 않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막방수재는, 가소제류(DOP)와, 소포제류와, 토너류와, 경탄과,중탄과, NCO-프리폴리머 (A)와, 친수성을 갖는 NCO-프리폴리머 (B)와, 잠재성 경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NCO-프리폴리머 (A)는 배합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PP-2000)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PP-300)과,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GP-3000)와, 톨루엔 이소시아네이트(TDI-80)와. 인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량(NCO%)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PP-2000)는 분자량 2,000이고,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올(PP-300)의 분자량은 3,000이며,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GP-3000)의 분자량은 3,000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산은 합성시 급작반응 방지를 위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NCO-프리폴리머 (A)의 폴리머는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 옥사이드(polybutyleneoxide) 디올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트리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tolue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등이 가능하며,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물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을 갖는 NCO-프리폴리머 (B)는, 에틸렌옥사이드(EO)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공중합체와, 프로필렌옥사이드(GP-3000)와,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80)와, 인산과, 이소시아네이트 함량(NCO%)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에틸렌옥사이드(EO)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공중합체는, 친수성을 부여하는 폴리올로서 에틸렌옥사이드(EO)와 프로필렌옥사이드(PO)의 블록 또는 랜덤 공중합체로서 EO:PO의 몰비가 100:0에서 30:70까지 구성된 폴리올로 구성되고, 작용기로 2개 이상이며, 분자량은 500 - 10,000까지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프로필렌옥사이드(GP-3000)는 중합체로서 작용기로 2개 이상이며, 분자량은 3,000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산은 합성시 급작반응 방지를 위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로필렌옥사이드(GP-3000)는 폴리올로서,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 옥사이드(polybutyleneoxide) 디올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트리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2,4-톨루엔(toluene) 디이소시아네이트(di-isocyanate),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DI),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MDI: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헥사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Hexa Methylene Di-isocyanate),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IPDI: Isophorone Di-isocyanate) 등이 가능하며, 단독 혹은 이들의 혼합물들을 조합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잠제성 경화제는 알디민 타입(aldemine type)으로서 헵스켐 SP-30A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알디민 타입(aldimine type)의 경우 1차의 디 또는 트리 아민에 알데히드를 반응시켜 폴리알디민을 만든 것으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는 밀폐된 공간에서는 폴리알디민 결합으로 유지가 되다가 노출시켜 공기중의 수분과 만나 폴리알디민의 결합이 깨져 디 또는 트리 아민으로 다시 환원되어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게 된다. SP-30A의 경우 트리 아민을 적용한 알디민 타입의 잠재성 경화제이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을 구성하는 도막 방수층이 적용되는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을 통해, 종래 폴리우레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양생 시간이 단축 복합시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도막 방수층은 시트가 파손될 경우 물이 이동하여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두 번째의 보호층으로서, 시트의 파손으로 물이 도막층 위로 이동할 경우, 물을 만난 도막 방수층의 부위가 50%에서 100%정도 팽창하여 물의 이동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팽창이 과도해서 도막 방수층의 들뜸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며, 주차장 상부의 경우 토압 및 콘크리트의 압력으로 인해 팽창이 발생해도 크게 문제가 없다. 무엇보다도 1.5mm에서 2mm의 도막이 최대 팽창해도 4mm 두께인데 시트의 신장율이 충분히 커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상기 도막방수 도포단계(S200)를 통해 상기 프라이머층(2)의 상부에 도막 방수층(3)이 형성되면, 상기 도막 방수층(3)의 상부에 자착식 시트를 적층 하여 시트층(4)을 형성하는 시트층 형성단계(S300)를 가진다.
즉, 작업자가 상기 자착식 시트를 수작업을 통해 상기 도막 방수층(3)의 상부에 적층하여 시트층(4)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에서 자착식 시트는, 양방향 폴리에틸렌 필름과 고무화 아스팔트가 결합된 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미국 그레이스(Grace) 사의 비투씬(Bituthene) 등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은, 상기 프라이머층(2)과 상기 도막 방수층(3) 및 상기 시트층(4)에서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부위에는, 실란트(sealant)(5)를 통해 외부에 대하여 밀폐처리하도록 된 실란트 끝단처리단계(S400)를 더 가진다.
즉, 상기 실란트(5)를 통해 주요 구성들의 외부에 대한 밀폐를 통해 탈유고화와 누유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시공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에서 실란트(5)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이소시아네이트(isosyanate)화합물 30~70 중량% 및 폴리머 폴리올(polymer polyol) 30~70 중량%로 조성된 주재료와 폴리머 폴리올, 쇄연장제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조성의 경화제를 포함하되; 상기 경화제는 폴리머 폴리올 10~50 중량%, 쇄연장제 1~5중량% 및 충전제 40~80중량%를 포함하는 조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머 폴리올은, 폴리에테르(polyether) 폴리올,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올, 폴리부타디엔(polybuthadiene) 디올(diol),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polytetra methylene ether)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디올,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트리올(triol), 폴리부틸렌 옥사이드(polybutyleneoxide) 디올 및 폴리부틸렌 옥사이드 트리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쇄연장제는 지방족 디올(diol) 또는 디아민(diam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전제는 탄산칼슘, 무정형 이산화규소, 벤토나이트 및 디메틸디옥타데실(dimethyl dioctadecyl) 암모늄염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분체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실란트(5)는, 부정형의 구조가 적용되어 상기 프라이머층(2)과 상기 도막 방수층(3) 및 상기 시트층(4)의 끝단부에서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부위에 실링하여 외부에 대한 밀폐를 구현하게 될 수 있으며, 가스켓(gasket) 형상의 구조가 적용되어, 평면상에서 앵커 등과 같은 고정물 및 배수관 등과 같은 관통면과의 접촉부위에 배치되어 외부에 대한 밀폐를 구현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실란트(5)는 Solvent Fee, DOP Free의 실란트로서 VOC 함우량 및 환경호르몬의 함유량이 극히 낮아 아스팔트에 장기간 직접적으로 누출되어도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은, 상기한 시트층 형성단계(S300)를 통해 형성된 시트층(4)의 상부로 방수보호층(6)을 도포하고, 상기 방수보호층(6)의 상부로 콘크리트 누름층(7)을 형성하는 마무리단계(S500)를 더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은 기계시공, 속경화, 자착을 통한 공정의 단순화 및 빠른 양생을 구현하는 프라이머와, 도막 방수층과, 자착식 시트를 통해 단축 시공을 구현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실란트를 통해 외부에 대한 밀폐를 구현하여 탈유고화와 누유현상을 방지하여 시공품질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도막 방수층의 팽창을 통해서 시트 파손에 따른 지수의 이동으로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시공면 2 : 프라이머층
3 : 도막방수층 4 : 시트층
5 : 실란트 6 : 방수보호층
7 : 콘크리트 누름층

Claims (10)

  1. 시공면에 자동표면처리 속경화 프라이머를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프라미어층을 형성하는 프라이머 도포단계(S100)와;
    상기 프라이머 도포단계를 통해 상기 시공 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면,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면에 속경화형 도막방수재를 스프레이를 통해 도포하여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는 도막방수 도포단계(S200)와;
    상기한 도막방수 도포단계를 통해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도막 방수층이 형성되면, 상기 도막 방수층의 상부에 자착식 시트를 적층하여 시트층을 형성하는 시트층 형성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으로서,
    상기 도막방수재는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물과 반응하면 두께가 50% 내지 100%로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시트 파손에 따른 물의 이동을 막아주도록 부풀어 올라 팽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방수재는 물과 반응하는 두께의 팽창 정도가 1.5mm 내지 2mm 정도이며, 그 최대 팽창에 따른 두께는 4mm를 넘지 않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67084A 2016-12-08 2016-12-08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KR101786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84A KR101786501B1 (ko) 2016-12-08 2016-12-08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084A KR101786501B1 (ko) 2016-12-08 2016-12-08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501B1 true KR101786501B1 (ko) 2017-10-19

Family

ID=60298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084A KR101786501B1 (ko) 2016-12-08 2016-12-08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5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039A (ja) 2001-06-29 2003-01-15 Sanyo Chem Ind Ltd 水膨張性シーリング材
KR101603874B1 (ko) 2015-08-24 2016-03-15 주식회사 로드씰 자기 팽창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누수 차단형 자착식 시트 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8620B1 (ko) 2015-10-02 2016-07-12 삼성물산 주식회사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1699210B1 (ko) 2016-10-17 2017-01-23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3039A (ja) 2001-06-29 2003-01-15 Sanyo Chem Ind Ltd 水膨張性シーリング材
KR101603874B1 (ko) 2015-08-24 2016-03-15 주식회사 로드씰 자기 팽창형 컴파운드 조성물을 이용한 누수 차단형 자착식 시트 방수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38620B1 (ko) 2015-10-02 2016-07-12 삼성물산 주식회사 복합 방수 시공방법
KR101699210B1 (ko) 2016-10-17 2017-01-23 (주)오래건설 타일을 이용한 수처리시설물에 대한 방수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620B1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JP6150867B2 (ja) 防水構造および防水工法
KR101886041B1 (ko) 우레탄복합시트와 폴리우레아가 일체화된 복합방수공법
AU2014269390B2 (en) Asphalt-urethane composition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101573298B1 (ko) 폴리우레아 바탕조정제 및 그를 이용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241940B1 (ko)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 방법, 지방족 에폭시 변성 타르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천공복합 시트를 이용한 전면밀착식 복합 방수 시공 방법 및 그 구조
KR102008963B1 (ko) 방수성과 고내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1816209B1 (ko) 경질금속시트와 폴리우레아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조립식 복합방수구조
KR102443457B1 (ko) 건축물 내구성 강화를 위한 차열 폴리우레아 방수 공법
CA2835080A1 (en) Reactive roofing adhesive
KR101422442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 방수 공법
KR20060085447A (ko) 복합 방수층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6108815A (ja) 防水構造および防水工法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KR100935712B1 (ko) Tpu 필름을 활용한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50035B1 (ko) 폴리우레탄실런트를 이용한 아스팔트시트의 방수층 및 방수방법
KR10178650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과 시트의 이중복합공법
KR101978686B1 (ko) 폴리하이브리드 방수 공법
KR101284615B1 (ko)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복합 방수 시공 방법
KR102398019B1 (ko) 고점착 유연 특성을 갖는 우레탄 도막방수재와 이를 포함하는 이중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CN108868187B (zh) 一种电梯井渗漏水修缮系统的施工方法
KR20180080738A (ko) 복합 방수 시공방법
JP2001049202A (ja) 接着被膜構造体の製造方法および接着被膜構造体
KR20140029651A (ko) 방수용 폴리우레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