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454B1 -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454B1
KR101786454B1 KR1020160069007A KR20160069007A KR101786454B1 KR 101786454 B1 KR101786454 B1 KR 101786454B1 KR 1020160069007 A KR1020160069007 A KR 1020160069007A KR 20160069007 A KR20160069007 A KR 20160069007A KR 101786454 B1 KR101786454 B1 KR 10178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ttery post
protrusion
elastic bod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석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티에이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에이치엔 filed Critical (주)티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60069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배터리 포스트(post)를 체결하는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배터리 포스트를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너트의 조임이 풀릴 위험이 없고, 배터리 포스트와 단자 사이의 체결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캡을 배터리 포스트 방향으로 가볍게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배터리 포스트와 단자가 체결되므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불필요하며,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체결 또는 분리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APPARATUS FOR LOCKING BATTERY POST}
본 발명은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배터리 포스트(post)를 체결하는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는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원인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는 엔진룸 내부에서 브래킷(bracket)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장 부품들과 각종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통상의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 포스트를 둘러싸고 있는 배터리 단자를 서로 접지시킨 다음, 양자를 관통하도록 볼트를 장착하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일체로서 고정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와 배터리 단자를 볼트와 너트만을 이용해 고정하게 되면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너트의 조임이 풀릴 수 있고, 조임이 풀리면서 배터리 포스트와 배터리 단자 간의 미세한 틈이 생기게 되어 이로 인하여 전기적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자동차 엔진룸 내부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하여 볼트와 너트를 조이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32046호(등록일자 2008. 05. 19)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 캡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배터리 포스트를 체결할 수 있는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 작업 없이도 배터리 단자를 배터리 포스트에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는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는 캡(cap); 및 상기 캡에 연결되는 경우에 배터리 포스트(battery post)를 조이는 제1, 2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이 있으면 수축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2 단부는, 상기 제1, 2 단부 각각의 일 측면에서 아랫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어 있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돌출된 끝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 상기 결합턱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2단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포스트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에 아랫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캡의 외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캡의 내측 면 둘레의 직경보다 길지 않은 직경을 가진 평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제1, 2단부 각각의 일 측면에 양단의 길이가 다른 U자형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측 면에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에서 이동하는 제1, 2걸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2걸쇠는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의 일단에서 다른 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제1, 2걸쇠가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체를 이용하여 이중으로 배터리 포스트를 체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너트의 조임이 풀릴 위험이 없고, 배터리 포스트와 단자 사이의 체결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캡을 배터리 포스트 방향으로 가볍게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배터리 포스트와 단자가 체결되므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불필요하며,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체결 또는 분리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에 실시되는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의 체결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의 다른 체결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에 실시되는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에 실시되는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10)는 차량용 배터리의 포스트(미도시)에 고정 설치되어 자동차의 전장품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데 활용되며, 접속단자(11), 볼트(12) 및 너트(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11)는 배터리 포스트(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 중앙에 소정의 공간(14)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간(14)으로 배터리 포스트(미도시)가 삽입되면, 볼트(12) 및 너트(13)를 통해 접속단자(11)를 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단자(11) 내측 중앙에 형성된 공간(14)으로 배터리 포스트(미도시)가 삽입되면, 접속단자(11)에서 상기 공간(14)의 일측 방향으로 형성된 결속부(15)의 마주보는 내측 면이 서로 접촉하도록 한 후에 상기 결속부(15)에 형성된 구멍으로 볼트(12)를 삽입한 후 그에 대응하는 너트(13)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을 통해서도 배터리 포스트와 접속단자를 체결할 수 있지만, 너트의 조임이 풀려서 배터리 포스트와 접속단자 간의 틈이 발생할 위험은 여전히 남아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가 제안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의 체결 원리를 나타내는데, 도 2에서 상기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다만, 캡(21)의 외부 형태는 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생략하였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20)는 캡(21) 및 배터리 단자(22)를 포함할 수 있다.
캡(21)은 후술하는 배터리 포스트(26) 및 배터리 단자(22)를 감싸는 형태로서 상기한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상기 캡(21)은 원통, 돔 등의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다만, 상기 캡(21)의 형태는 그것만으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배터리 포스트(26)와 배터리 단자(22)의 구조나 재질 혹은 자동차의 엔진룸 구조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캡(21)은 탄성체(23) 및 지지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3)와 지지판(2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배터리 단자(22)는 내측의 중앙에 배터리 포스트(26)가 삽입될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공간의 일측 방향으로 개구가 존재하고 있다.
배터리 단자(22)의 공간에 배터리 포스트(26)를 삽입한 후, 배터리 단자(22)를 상기 캡(21)에 연결하게 되면, 배터리 단자의 제1, 2단부(22a, 22b)는 상기 배터리 포스트(26)를 양 옆에서 조이게 된다.
구체적으로, 캡(21)은 상기 캡(21)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 단자(22)의 제1, 2단부(22a, 22b) 각각의 일 측면에서 아랫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어 있는 경사면(25), 상기 경사면(25)의 돌출된 부위의 맨 끝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29), 상기 결합턱(29) 바로 아래에 오목하게 형성된 결합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21)의 돌출부(27)는 상기 경사면(25)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면(25)을 따라 결합홈(30)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캡(21)에 아랫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캡(21)의 돌출부(27)는 상기 제1, 2단부(22a, 22b)의 경사면(25)에 접촉되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돌출부(27)가 상기 경사면(25)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캡(21)은 상기 캡(21)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상기 돌출부(17)가 상기 결합턱(29)까지 이동하게 되면, 상기 캡(21)은 최대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돌출부(17)는 상기 결합턱(29)을 지나서 상기 결합홈(30)에 끼워지게 되고, 이 때, 캡(21) 내부의 수축된 탄성체(23)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27)는 상기 결합홈(30)에 끼워진 채로 상기 결합턱(29)에 단단히 걸리게 된다.
한편, 상기 캡(21)이 점점 바깥쪽으로 벌어지다가, 상기 돌출부(27)가 상기 결합홈(30)에 끼워지면서 상기 캡(21)이 다시 복원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제1, 2걸쇠(32a, 32b)도 U자형 홈(31a, 31b)에 삽입되어 안착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돌출부(27)가 경사면(25)을 따라 결합홈(30)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캡(21)은 내부로 배터리 단자(22)를 수용하게 되며, 배터리 포스트(26)를 사이에 두고 벌어져 있던 배터리 단자(22)의 제1, 2단부(22a, 22b)는 바깥쪽에서부터 안쪽으로 움직이면서 배터리 포스트(26)를 양 옆에서 조이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캡에 배치된 탄성체 및 지지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캡(21)은 탄성체(23) 및 지지판(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23)는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변형되지만, 상기 힘이 제거되면 원래의 모양과 크기로 되돌아가는 장치를 의미한다.
탄성체(23)는 상기 캡(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 실시 예로서 금속 재질로 된 스프링(spring)이 될 수 있으나, 캡(21)의 구조 혹은 기타의 쓰임새에 따라 다양한 재질의 탄성체(23)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판(24)은 상기 탄성체(23)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지지판(24)은 탄성체(23)의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체(23)에 의하여 캡(21)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일 실시 예로서, 지지판(24)은 캡(21)의 내부에서 상기 캡(21)의 내측 면 둘레의 직경보다 길지 않은 직경을 가진 평판 모양이 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24)은 탄성체(23)에 부착되어 일체로 움직일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캡(21)의 내부에서 탄성체(23)를 지지하고 있는 장치라면, 모두 상기한 지지판(24)에 해당한다고 볼 것이며, 위 실시 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지지판(24)의 형태는 탄성체(23)와 배터리 단자(22)의 구조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캡(21)의 돌출부(27)는 혹여나 지지판(24)이 상기 캡(21)의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돌출부(27)가 상기 캡(21)의 내부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됨으로써 캡(21)이 배터리 단자(22)와 연결되기 전에라도 상기 지지판(24)이 캡(21)의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제1, 2단부(22a, 22b)에서 경사면(25)의 최 상부에 방지턱(28)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방지턱(28)은 상기 캡(21)이 제1, 2단부(22a, 22b)와 접촉하여 연결되는 과정에서 지지판(24)이 캡(21)의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방지턱(28)은, 지지판(24)이 캡(21)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경우에 지지판(24)이 한 쪽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20)에 있어서, 아랫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캡(21)을 눌러주게 되면, 캡(21)의 돌출부(27)는 제1, 2단부(22a, 22b)의 결합홈(30)에 끼워지게 되고, 캡(21)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23)가 수축함으로써, 결합턱(29)에 의하여 상기 캡(21)과 제1, 2단부(22a, 22b)의 연결은 단단히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제1, 2단부(22a, 22b)가 상기한 캡(21)과 접촉되어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1, 2단부(22a, 22b)는 배터리 포스트(26)를 양 옆에서 조이도록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캡으로 배터리 포스트를 감싸게 하고, 상기 캡을 가볍게 눌러주는 것만으로도 배터리 포스트와 단자가 체결되므로, 볼트와 너트의 체결작업이 불필요하며,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체결 또는 분리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20)에서의 추가적인 체결 방식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의 다른 체결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서 상기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를 일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를 나타내며, 캡(21)의 외부 형태는 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부(22a)에 형성된 U자형 홈(31a)과 그에 대응하는 제1 걸쇠(32a)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이하의 설명은 제2 단부(22b)에 형성된 U자형 홈(31b) 및 그에 대응하는 제2 걸쇠(32b)에도 해당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체결 장치(20)에 있어서, 배터리 단자(22)의 제1, 2단부(22a, 22b) 각각에는 하나의 U자형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2단부(22a, 22b)에 형성된 각각의 U자형 홈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형태와 기능은 동일하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U자형 홈(31a)은 제1 단부(22a)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U자형 홈(31a)은 상기 경사면(25)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U자형 홈(31a)은 알파벳 ‘U’형태로 제1 단부(22a)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 홈(31a)의 양 끝은 위로 향해 있고, 상기 U자형 홈(31a)에서 굽어진 부분을 기준으로 U자형 홈(31a)의 양 끝이 위로 뻗어 있는 길이는 서로 상이하다.
물론, 상기한 U자형 홈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후술하는 제1, 2 걸쇠의 움직임을 더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U자형 홈의 적어도 일부가 굽어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U자형 홈의 아래 부분이 직선으로 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체결 장치(20)에 있어서, 캡(21)에는 제1, 2걸쇠(32a, 3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걸쇠(32a, 32b)는 형태 및 기능이 동일하고 구조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제1 걸쇠(32a)는 상기 캡(21)의 내측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22a)의 U자형 홈(31a)에 삽입된다. 그리하여 상기 U자형 홈(31a)을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걸쇠(32a)는 상기 캡(21)의 맨 아래 끝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캡(21)에 외력이 있는 경우에 제1 걸쇠(32a)는 U자형 홈(31a)에 삽입된다.
즉, 상기 캡(21)에 아랫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제1 걸쇠(32a)는 U자형 홈(31a)에 삽입되어 상기 U자형 홈(31a)을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U자형 홈(31a)을 벗어나지 않고 U자형 홈(31a) 양 끝을 이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제1 걸쇠(32a)는 그 어떤 형태가 되더라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물론, 상기 제1 걸쇠(32a)는 U자형 홈(32a)을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단부(22a)보다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로 실시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 걸쇠(32a)가 U자형 홈(31a)에 삽입된 경우에 다시 캡(21)에 상기 배터리 단자(22)에 형성된 개구의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제1 걸쇠(32a)는 상기 U자형 홈(31a)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일단에서 길이가 짧은 다른 단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한 제1 걸쇠(32a)의 이동으로 인하여 캡(21)은 제1 단부(22a)에 대하여 더 밀착하여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아랫방향으로 작용된 외력으로 인하여 캡(21)의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23)가 수축되면서, 상기 탄성체(23)의 탄성으로 인하여 상기 캡(21)의 제1 걸쇠(32a)가 U자형 홈(31a)에 보다 더 단단하게 고정이 된다.
이상의 기술적 특징에 의하면, 배터리 단자의 결합홈 및 U자형 홈에 의한 이중의 배터리 포스트 체결 구조로 인하여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너트의 조임이 풀릴 위험이 없고, 배터리 포스트와 단자 사이의 체결 효과가 우수해진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 :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21 : 캡
22a, 22b : 제1, 2 단부
23 : 탄성체
24 : 지지판
25 : 경사면
26 : 배터리 포스트
27 : 돌출부
28 : 방지턱
29 : 결합턱
30 : 결합홈
31a, 31b : U자형 홈
32a, 32b : 제1,2 걸쇠

Claims (9)

  1. 캡(cap); 및
    상기 캡에 연결되는 경우에 배터리 포스트(battery post)를 조이는 제1, 2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 단자에 대한 연결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2 단부는,
    상기 제1, 2 단부 각각의 일 측면에서 아랫방향으로 갈수록 돌출되어 있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돌출된 끝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턱;
    상기 결합턱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기 전까지,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캡의 자체 탄성에 의하여 상기 캡의 측면 외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단부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경우에 상기 배터리 포스트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아랫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고,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결합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캡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상기 캡의 외부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캡의 내측 면 둘레의 직경보다 길지 않은 직경을 가진 평판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단부 각각의 일 측면에 양단의 길이가 다른 U자형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측 면에서 대칭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에 삽입되어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에서 이동하는 제1, 2걸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1, 2걸쇠는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의 일단에서 다른 단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제1, 2걸쇠가 상기 각각의 U자형 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포스트 결합 장치.
KR1020160069007A 2016-06-02 2016-06-02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KR101786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007A KR101786454B1 (ko) 2016-06-02 2016-06-02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007A KR101786454B1 (ko) 2016-06-02 2016-06-02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454B1 true KR101786454B1 (ko) 2017-10-18

Family

ID=60296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007A KR101786454B1 (ko) 2016-06-02 2016-06-02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4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388B1 (ko) * 2022-12-26 2023-06-05 박찬희 자동차 성능개선 보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101A (ja) 2001-09-18 2003-03-28 Fujikura Ltd バッテリターミナ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2101A (ja) 2001-09-18 2003-03-28 Fujikura Ltd バッテリターミナ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388B1 (ko) * 2022-12-26 2023-06-05 박찬희 자동차 성능개선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039B2 (en) Clamp
US8816210B2 (en) Grommet
KR101899121B1 (ko) 부싱단자용 절연커버
JP2010118264A (ja) 引下線用コネクタ
KR101786454B1 (ko) 배터리 포스트 체결 장치
KR101455866B1 (ko) 도어 커넥터
KR20190108157A (ko)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JP2023021397A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のアンカープレート及びアンカー装置
JP2004235135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6131495B2 (ja) ブースターケーブル保持構造
JP2017158276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US9741500B1 (en) Terminal connecting mechanism for molded case circuit breaker
JP2023112206A (ja) シートベルトウェビングのアンカープレート及びアンカー装置
KR101427224B1 (ko) 타이 클램프
US9893440B2 (en) Vertical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KR102270734B1 (ko) 버스바 및 러버캡 고정구조
KR101142202B1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장착 장치
JP6975023B2 (ja) グロメットおよびグロメット取付構造
KR102173220B1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101888134B1 (ko) 캡핑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 벨트 어셈블리
KR101172116B1 (ko) 텔레스코프 조향장치
JP2010033919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JP4545639B2 (ja) 端子カバー
JP6183007B2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