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225B1 -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225B1
KR101786225B1 KR1020150166366A KR20150166366A KR101786225B1 KR 101786225 B1 KR101786225 B1 KR 101786225B1 KR 1020150166366 A KR1020150166366 A KR 1020150166366A KR 20150166366 A KR20150166366 A KR 20150166366A KR 101786225 B1 KR101786225 B1 KR 101786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martphone
output device
beacon generator
firefigh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1398A (ko
Inventor
안용훈
Original Assignee
(주)아이엠티(Imt)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엠티(Imt) filed Critical (주)아이엠티(Imt)
Priority to KR1020150166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2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 및 구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발생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되는 다수의 소방관의 헬멧에 각각 부착되어 고유의 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 화재발생시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함과 아울러 활성화된 블루투스 신호를 스캔하여 스마트폰의 개수 및 고유정보가 입력되고,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가 스마트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RSSI 수치에 의해 스마트폰의 해당 위치를 연산하여 산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를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장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장치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방법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한 화재지역을 확인하고, 관제서버를 통해 확인된 화재용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제1단계; 다수의 소방관에 각각의 고유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가 부착된 헬멧과,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출력단말기가 인입된 방화복을 착용시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는 제2단계; 다수의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로 접근하면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와 스마트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RSSI 수치에 의해 관제서버가 스마트폰의 해당 위치를 연산하여 산출한 후 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형태로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출력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출력단말기로 출력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화재지역에 투입되는 소방관에 비콘발생기를 부착하여 스마트폰과 비콘발생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구조자와 소방관과의 위치를 산출하고, 출력장치로 하여금 스마트폰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어 구조대상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발견하게 됨으로서 효율적인 구조활동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Method of save a life and Rescuing device of save a life for fire using beacon}
본 발명은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재지역에 구조자의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스캔하여 위치 및 정보를 확인하고, 화재지역에 투입되는 소방관에 비콘발생기를 부착하여 스마트폰과 비콘발생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구조자와 소방관과의 위치를 산출하여 구조자를 구조하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상황이 발생할 경우 신고자의 제보 또는 관측에 의해 화재 상황이 접수되고, 현장의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소방차량이 출동하게 된다.
상기 소방차량은 사고현장까지 신속하게 이동하여 상황을 파악한 후 적절하게 대응하게 되며, 소방차량에 의해 이동된 소방관들은 화재지역에 투입하게 된다.
이때 화재지역은 항시 위급한 지역이므로 소방관의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위험인자가 분포하여 구조대상자뿐만 아니라 소방관의 안전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화재현장에서 필요시 추가적으로 장비나 소방차량을 관제센터에 요구할 수 있으며, 관제센터에서는 보다 효과적으로 구조자들을 구조하기 위해 재난 현장의 위치와 출동 과정에서의 교통 상황, 현장의 위치 등을 무선통신 시스템을 통해 음성으로 확인한 다음 필요한 지령을 내리고, 조치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무선통신시스템과 같은 경우, 화재현장의 뜨거운 열기와, 연기, 소음, 진동, 낙하, 건물붕괴, 급변하는 상황, 등에 의해 화재현장에 투입한 다음에는 외부와의 음성통신 자체가 어려워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에는 소방관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보다 효과적인 구조활동이 이루어지는 기술이 다수 개발된 바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상기 기술에 대한 개량을 제시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17597호(2003. 03. 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1660호(2010. 09. 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1137호(2009. 12. 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지역에 구조자의 스마트폰의 블루투스를 스캔하여 위치 및 정보를 확인하고, 화재지역에 투입되는 소방관에 비콘발생기를 부착하여 스마트폰과 비콘발생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구조자와 소방관과의 위치를 산출하게 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구조자를 발견하여 구조활동에 효과적인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되는 다수의 소방관의 헬멧에 각각 부착되어 고유의 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 화재발생시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함과 아울러 활성화된 블루투스 신호를 스캔하여 스마트폰의 개수 및 고유정보가 입력되고,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가 스마트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RSSI 수치에 의해 스마트폰의 해당 위치를 연산하여 산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관제서버를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장치;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방법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한 화재지역을 확인하고, 관제서버를 통해 확인된 화재용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제1단계; 다수의 소방관에 각각의 고유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가 부착된 헬멧과, 출력장치와 연동되는 출력단말기가 인입된 방화복을 착용시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는 제2단계; 다수의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여 스마트폰의 위치로 접근하면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와 스마트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RSSI 수치에 의해 관제서버가 스마트폰의 해당 위치를 연산하여 산출한 후 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형태로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출력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출력단말기로 출력되는 제4단계;가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지역에 투입되는 소방관에 비콘발생기를 부착하여 스마트폰과 비콘발생기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구조자와 소방관과의 위치를 산출하고, 출력장치로 하여금 스마트폰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어 구조대상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발견하게 됨으로서 효율적인 구조활동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장치를 통해 소방관이 소지하는 비콘발생기의 위치가 파악되어 비콘발생기의 이동이 없을 시에 소방관이 구조작업 중 위험상태임을 판단하여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소방관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출력단말기가 방화복에 인입되면서도 출력단말기가 인입된 방화복에 내열강화유리로 마감하여 고온 또는 저온에 파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소방관의 방화복에 인입된 출력단말기로 하여금 화재발생지역의 내부에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대상자가 소방관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되는 다수의 소방관의 헬멧에 각각 부착되어 고유의 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1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화재발생시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1)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함과 아울러 활성화된 블루투스 신호를 스캔하여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스마트폰(1)의 개수 및 고유정보가 입력되는 관제서버(2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관제서버(20)에는 관리구역 및 관리구역에 따른 별도의 통신 기지국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며, 관제서버(20)에 화재발생지역을 입력하면 관리구역에 따른 통신 기지국에 스마트폰(1)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20)는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10)가 스마트폰(1)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RSSI 수치에 의해 스마트폰(1)의 해당 위치를 연산하여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즉, 구조하고자 하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1)을 통해 다수의 소방관의 비콘발생기에 대한 신호가 감지되는 경우 스마트폰(1)의 위치에서 수신된 비콘 발생기의 RSSI 수치가 관제서버(20)로 전송하며, 이는 비콘발생기의 개수에 따라 다수의 RSSI 수치가 전송되어 이를 관제서버(20)가 삼각측량의 방식으로 연산하여 스마트폰(1)의 위치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제서버(20)를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1)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장치(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출력장치(30)로 하여금 스마트폰(1)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어 구조대상자의 위치를 용이하게 발견하게 됨으로서 효율적인 구조활동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다수의 소방관에 소지되어 출력장치(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연동되어 출력되는 출력단말기(4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출력단말기(40)를 통해 출력장치(30)에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바로 화재현장에 있는 소방관에게 전송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출력단말기(40)는 소방관의 방화복에 인입되며, 출력단말기(40)가 인입된 방화복 부위에 출력단말기(40)가 투시되면서도 고온 또는 저온에 파손되지 않도록 내열강화유리로 마감처리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소방관의 방화복에 인입된 출력단말기(40)로 하여금 화재발생지역의 내부에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대상자가 소방관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내열강화유리 내부로 별도의 조명기구를 설치하여 출력단말기(40)와 함께 화재발생지역의 내부에 조명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출력장치(30)는 출력장치(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파일이 저장되어 전송되는 마스터서버와, 상기 마스터서버로 전송된 파일을 다수의 출력단말기(40)로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슬레이브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출력장치(30)에서 저장되어 전송되는 파일이 마스터서버와 슬레이브를 통해 자동으로 분산되며, 분산된 파일이 최종적으로 출력단말기(40)에 전송되어 파일을 전송받고자하는 다수의 출력단말기(40)에 효율적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장치를 이용하여 화재용 구조방법은 여러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용 구조방법은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한 화재지역을 확인하고, 관제서버(20)를 통해 확인된 화재용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1)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제1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다수의 소방관에 각각의 고유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10)가 부착된 헬멧과, 출력장치(30)와 연동되는 출력단말기(40)가 인입된 방화복을 착용시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는 제2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다수의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여 스마트폰(1)의 위치로 접근하면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의 개수에 따라 비콘발생기(10)와 스마트폰(1)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다수의 RSSI 수치를 관제서버(20)로 전송하며, 이를 관제서버(20)가 삼각측량의 방식으로 연산하여 스마트폰(1)의 위치를 산출한 후 출력장치(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형태로 출력하는 제3단계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출력단말기(40)로 출력되는 제4단계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관제서버(20)는 화재발생지역의 건물도면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제1단계에서 건물도면이 수집되면 산출된 스마트폰(1)의 해당 위치와 건물도면을 취합하여 출력장치(30)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따라서 출력장치(30)에 건물도면에 비콘발생기(10)와 스마트폰(1)이 각각 표시되어 구조대상자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4단계는 출력장치(30)가 관제서버(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20 ~ 180초의 간격으로 캡쳐하여 그림파일 형식으로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그림파일을 출력단말기(40)로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출력단말기(40)로 새로운 그림파일이 출력될 때마다 출력단말기(40)신호음을 발생시켜 소방관으로 하여금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1)의 위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식별할 수 있으며, 비콘발생기(1)의 위치가 시간이 지나도 그대로인 경우에는 소방관이 위험상태임을 판단하여 즉각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소방관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1 :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 10 : 비콘발생기
20 : 관제서버 30 : 출력장치
40 : 출력단말기

Claims (7)

  1. 화재발생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되는 다수의 소방관의 헬멧에 각각 부착되어 고유의 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10); 화재발생시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1)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함과 아울러 활성화된 블루투스 신호를 스캔하여 스마트폰(1)의 개수 및 고유정보가 입력되고,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10)가 스마트폰(1)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RSSI 수치에 의해 스마트폰(1)의 해당 위치를 연산하여 산출하는 관제서버(20); 상기 관제서버(20)를 통해 산출되는 스마트폰(1)의 위치가 디스플레이되는 출력장치(30); 상기 다수의 소방관에 소지되어 출력장치(3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연동되어 출력되는 출력단말기(40)가 포함되고,
    상기 출력단말기(40)는 소방관의 방화복에 인입되며, 출력단말기(40)가 인입된 방화복 부위에 출력단말기(40)가 투시되면서도 고온에 파손되지 않도록 내열강화유리로 마감처리되고,
    상기 출력장치(30)는 출력장치(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파일이 저장되어 전송되는 마스터서버와, 상기 마스터서버로 전송된 파일을 다수의 출력단말기(40)로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슬레이브로 이루어지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방법에 있어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가 발생한 화재지역을 확인하고, 관제서버(20)를 통해 확인된 화재용 해당지역 통신 기지국에 화재발생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구조대상자의 스마트폰(1)에 대한 블루투스의 활성화를 요청하는 제1단계;
    다수의 소방관에 각각의 고유정보를 가지는 비콘발생기(10)가 부착된 헬멧과, 출력장치(30)와 연동되는 출력단말기(40)가 인입된 방화복을 착용시켜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는 제2단계;
    다수의 소방관이 화재발생지역에 투입하여 스마트폰(1)의 위치로 접근하면 다수의 소방관이 소지하고 있는 비콘발생기(10)와 스마트폰(1)의 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RSSI 수치에 의해 관제서버(20)가 스마트폰(1)의 해당 위치를 연산하여 산출한 후 출력장치(30)를 통해 디스플레이 형태로 출력하는 제3단계;
    상기 출력장치(3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이 출력단말기(40)로 출력되는 제4단계;
    가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계는 관제서버(20)는 화재발생지역의 건물도면을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단계는 제1단계에서 건물도면이 수집되면 산출된 스마트폰(1)의 해당 위치와 건물도면을 취합하여 출력장치(30)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출력장치(30)가 관제서버(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20 ~ 180초의 간격으로 캡쳐하여 그림파일 형식으로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저장된 그림파일을 출력단말기(40)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KR1020150166366A 2015-11-26 2015-11-26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KR101786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66A KR101786225B1 (ko) 2015-11-26 2015-11-26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66A KR101786225B1 (ko) 2015-11-26 2015-11-26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398A KR20170061398A (ko) 2017-06-05
KR101786225B1 true KR101786225B1 (ko) 2017-10-18

Family

ID=5922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66A KR101786225B1 (ko) 2015-11-26 2015-11-26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2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077B1 (ko) * 2022-03-14 2024-04-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 기반 실내 소방 훈련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30B1 (ko) * 2004-08-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UWB(Ultra-Wideband) 신호를 이용한 긴급구조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833977B1 (ko) * 2006-07-31 2008-05-30 주식회사 유비알에프 재난구조요원 위치/상황 추적/관리 시스템
KR101485449B1 (ko) * 2012-09-04 2015-01-23 이용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30B1 (ko) * 2004-08-30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UWB(Ultra-Wideband) 신호를 이용한 긴급구조 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833977B1 (ko) * 2006-07-31 2008-05-30 주식회사 유비알에프 재난구조요원 위치/상황 추적/관리 시스템
KR101485449B1 (ko) * 2012-09-04 2015-01-23 이용인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사용자 간의 협조에 의한 응급 상황 대응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398A (ko) 2017-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0497B2 (ja) 位置特定システム、その装置及び方法
US100281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guided emergency exit
KR101671981B1 (ko) 무선 통신을 이용한 협업 소방관의 위치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과, 협업 소방관의 위치 표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소방 헬멧
CN112530119A (zh) 森林火灾应急演练评估分析系统、方法及计算机设备
US20150330796A1 (en) System and method of voice based personalized interactive evacuation guidance
KR20190101356A (ko) 소방관 팀의 자동화된 감지
KR101245165B1 (ko) 범죄 예방 방범 시스템
KR20150136917A (ko) 재난구조로봇을 이용한 재난구조시스템
KR20150122415A (ko) 재난 현장 무선 통합 지휘 시스템
KR20150075224A (ko) 관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554731B1 (ko) 건설현장 통합 안전 관리를 위한 이동형 안전 박스
CN104602140A (zh) 应用于救援的移动终端及系统
KR20160050994A (ko) 재난현장 의사결정방법 및 장치
KR102237688B1 (ko) 현장인력의 안전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CN108460963B (zh) 远程消防监控平台
KR20160050992A (ko) 구조정보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17037516A (ja) トンネル内の避難誘導システムおよびトンネル内の非常用設備
KR101786225B1 (ko) 비콘발생기를 이용한 화재용 구조장치를 이용한 구조방법
KR20180067802A (ko) 재난 환경에서 구조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29549B1 (ko) 피난경로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 및 피난경로 제공 서버
JP2005115797A (ja) 火災報知設備
CN109979133A (zh) 逃生引导装置
US20170110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refighters imminent warning
KR101462639B1 (ko) 소방관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094609B1 (ko) 화재 발생으로 인한 요구조자의 구조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