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784B1 - 일체형 펌프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펌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784B1
KR101785784B1 KR1020150097950A KR20150097950A KR101785784B1 KR 101785784 B1 KR101785784 B1 KR 101785784B1 KR 1020150097950 A KR1020150097950 A KR 1020150097950A KR 20150097950 A KR20150097950 A KR 20150097950A KR 101785784 B1 KR101785784 B1 KR 10178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ischarge port
display
pump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782A (ko
Inventor
정유철
Original Assignee
정유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철 filed Critical 정유철
Priority to KR1020150097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78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86Mechanical details of the pump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06Cooling the drive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tails Of Reciprocating Pump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112)와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13)가 각각 마련된 케이스(110); 일측에 마련된 흡입구(121)가 상기 공급구(112)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간부(111) 내에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펌핑구동하며 공급된 유체를 가압하여 타측에 마련된 토출구(122)로 토출하는 압력펌프(12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토출구(122)와 배출구(113)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토출구(122)에서 토출된 유체를 배출구(113)측으로 이송하는 이송관(130); 상기 이송관(13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공간부(111) 내에 장착되며 일정압력이 저장되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력을 유지시키는 압력탱크(140); 및 조작버튼(151)과 디스플레이(152)가 배치된 전면패널(15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펌프(12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일체형 펌프장치{INTEGRATED TYPE PUMP APPARATUS}
본 발명은 일체형 펌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펌프, 압력탱크, 압력스위치, 연결관로 및 제어모듈이 케이스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콤펙트한 구조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공정을 간소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일체형 펌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장치는 수원과 수용가 사이에 연결된 관로상에 설치되어 수원측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일정압으로 가압하여 수용가측으로 토출하는 장치로서, 연결관로를 통해 흡입관과 토출관 사이에 연통되게 설치되어 펌핑구동하며 압력을 제공하는 압력펌프와, 상기 토출관측에 설치되어 토출압력을 유지시키는 압력탱크 및, 인버터회로가 내장되어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펌프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으로 구성되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펌프장치를 설치장소에 설치하기 위해 파이프를 적정길이로 재단 및 절곡한 연결관로를 이용하여 압력펌프를 흡입관과 토출관에 연통시키고 동시에 연결관로상에 압력탱크 및 압력스위치를 장착하였으며, 제어모듈을 압력펌프의 상부나 설치장소의 벽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구동모터 및 압력스위치를 신호케이블로 각각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각각의 유닛으로 구성된 압력펌프, 압력탱크, 압력스위치 및 제어모듈을 준비한 상태에서 설치현장에서 이를 조립하여 설치가 완료될 수 있었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져 설치공간의 제약이 있었으며 설치시간 및 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펌프장치의 주요 구성품이 현장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 오결합 및 오작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펌프장치가 설치되는 설비실은 지하실에 위치하고 있어 어둡고 먼지가 많으며 설비실의 내부에는 펌프장치이외에도 냉난방설비나 상하수도 설비 등의 다른 시설물들이 많기 때문에 작업여건이 불비하여 원활한 조립공정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여건에 있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에는 펌프장치의 각종 설정 및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이 장착되며, 이 표시창에 표시되는 각종 데이터를 통해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제어모듈의 경우 표시창이 작아 펌프장치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1m 이내로 근접해야만 표시창에 표시되는 수치나 문자를 식별가능한 불편함이 있었으며, 각 수치나 문자의 내용을 매뉴얼에서 찾아 매칭시킴으로써 현재 동작중인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1016호(2015.06.17), 부스터 펌프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펌프, 압력탱크, 압력스위치, 연결관로 및 제어모듈 등의 주요구성품들이 케이스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콤펙트한 구조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공장에서 완제품 형태로 각 주요구성품간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가져와 토출관과 흡입관에 관로연결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어 설치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일체형 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력펌프에 장착된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회전하는 형상의 표시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펌프장치의 동작상태나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일체형 펌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112)와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13)가 각각 마련된 케이스(110); 일측에 마련된 흡입구(121)가 상기 공급구(112)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간부(111) 내에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펌핑구동하며 공급된 유체를 가압하여 타측에 마련된 토출구(122)로 토출하는 압력펌프(12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토출구(122)와 배출구(113)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토출구(122)에서 토출된 유체를 배출구(113)측으로 이송하는 이송관(130); 상기 이송관(13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공간부(111) 내에 장착되며 일정압력이 저장되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력을 유지시키는 압력탱크(140); 및 조작버튼(151)이 배치된 전면패널(15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110)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펌프(12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상기 압력펌프(120)에 구비된 구동모터(123)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이져 상기 이송관(130) 내부의 유체가 갖는 저온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23)를 냉각시키는 모터냉각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터냉각부(160)는,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123)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일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62)이 형성된 제1방열플레이트(161) 및, 일측에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타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64)이 형성된 제2방열플레이트(163)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열플레이트(161)와 제2방열플레이트(163)는 이송관(130)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각 반구홈(162,164)이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상호 밀착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터냉각부(160)는, 각 반구홈(162,164)과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메꾸면서 완충작용하는 제1열전완충부재(1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제어모듈(150)의 배면과 밀착되게 장착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0) 내부의 유체가 갖는 저온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모듈(150)을 냉각시키는 모듈냉각부(170);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듈냉각부(170)는, 일측이 상기 제어모듈(150)의 배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일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72)이 형성된 제3방열플레이트(171) 및, 일측에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타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74)이 형성된 제4방열플레이트(173)를 포함하며, 상기 제3방열플레이트(171)와 제4방열플레이트(173)는 이송관(130)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각 반구홈(172,174)이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상호 밀착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모듈냉각부(170)는, 상기 제어모듈(150)과 제3방열플레이트(171) 사이에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메꾸면서 완충작용하는 제2열전완충부재(1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고리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원주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단위점멸부(155)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회전하는 형상의 표시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하고, 상기 회전감지부(180)의 회전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각 단위점멸부(155)의 순차점멸 주기를 감소시키고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순차점멸 주기를 증가시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변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의 회전속도가 증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150)은, 전방면에 배치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펌프장치의 설정상태 또는 구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조작버튼(151)이 배치된 전면패널(153) 및, 각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에 따라 펌프장치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154)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152)는, 상기 전면패널(153)의 둘레를 감싸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모듈(150)의 전방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가 요구하는 구동상태로 펌프장치가 운전되는지를 감시하여 고장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고장감지부(1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고장감지부(190)로부터 고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고장이 발생하면 정상운전시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와 구분되는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52)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장감지부(190)는, 고장감지상태에 따라 리셋(Reset)으로 복구가능한 경고장군과 A/S를 요하는 중고장군으로 구분하여 고장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모듈(150)은, 경고장 발생시와 중고장 발생시를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감지부(180)는, 상기 압력펌프(120)의 운전시 발생되는 구동소음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인 음향감지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이며,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음향감지신호를 기준으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기저장되고 상기 회전감지부(18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감지신호와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압력펌프(120)의 외부면 일측에 배치되고, 하부가 개구된 챔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이크로폰을 덮는 형태로 압력펌프(120)에 장착되어 주변소음이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주변소음차단부(18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압력펌프(120), 압력탱크(140), 압력스위치(131), 이송관(130) 및 제어모듈(150) 등의 주요구성품들이 케이스(110)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콤펙트한 구조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면서 공장에서 완제품 형태로 각 주요구성품간의 사전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송한 후, 케이스(110)의 공급구(112)와 배출구(113)를 토출관과 흡입관에 관로연결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어 설치공정이 간소화되고 설치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셋째,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토출구(122)와 배출구(113) 사이에는 토출된 유체를 배출구(113)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130)이 연장배치되고, 상기 이송관(130)과 압력펌프(120)의 구동모터(123) 사이에는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모터냉각부(160)가 두 부재 사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이송관(130)의 상대적 저온을 이용하여 구동모터(123)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연속적인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123)가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더욱 콤펙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넷째, 제어모듈(15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23)의 제어를 위해 고속으로 스위칭동작하는 인버터회로가 내장되어 발열되되,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제어모듈(150)과 이송관(130) 사이에는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모듈냉각부(170)가 두 부재 사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이송관(130)의 상대적 저온을 이용하여 발열된 제어모듈(150)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어모듈(150)의 크기를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압력펌프(120)에 장착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형상의 표시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표시이미지의 점등색상이나 회전여부를 통해 구동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이미지가 회전하는 속도를 통해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인지함으로써 압력펌프(120)의 동작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섯째, 상기 표시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52)는 제어모듈(150)의 케이스에 장착되되, 조작버튼(151) 및 표시창(154)이 배치된 전면패널(153)의 둘레를 감싸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전방면에 배치되면서, 제어모듈(150)의 제한된 케이스(110) 크기 내에서 최대로 큰 크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출력되는 표시이미지의 시인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곱째, 고장감지부(190)를 통해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가 요구하는 구동상태로 펌프장치가 운전되는지를 감시하여 고장발생여부를 판단하며, 제어모듈(150)은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정상운전시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와 구분되는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2)를 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펌프장치의 고장발생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고장감지부(190)는 고장감지상태에 따라 리셋(Reset)으로 복구가 가능한 경고군과, 전문가에 의한 A/S를 요하는 중고장군으로 구분하여 고장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이에 따라 경고장 발생시와 중고장 발생시를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52)에 표시함으로써 전면패널(153)의 표시창(154)을 직접 들여다보지 않아도 관리자가 고장내용의 중경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아홉째, 상기 회전감지부(180)는 압력펌프(120)의 운전시 발생되는 구동소음을 입력받아 음향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이고, 상기 제어모듈(150)에는 상기 음향감지신호를 기준으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상기 구동소음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나 엔코더를 구동모터(123)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구동모터(123)의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며 시스템 구축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과 별도로 상기 마이크로폰의 음향감지신호에 따라 회전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준비하고 이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디스플레이(152)를 신호연결하여 표시제어하도록 구축된 경우, 압력펌프(120)의 구동파라미터로부터 독립되므로 표시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기제조된 펌프장치에도 별도의 신호연결없이 독립적으로 장착하여 자체적인 회전속도 산출 및 표시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하다.
열번째, 상기 마이크로폰은 압력펌프(120)의 외부면 일측에 배치되고, 주변소음차단부(181)는 하부가 개구된 챔버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크로폰을 덮는 형태로 압력펌프(120)에 장착되어 주변소음이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에 의한 회전속도의 산출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펌프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펌프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냉각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냉각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펌프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점등색상 또는 점등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변소음차단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펌프장치(100)는, 압력펌프(120), 압력탱크(140), 압력스위치(131), 이송관(130) 및 제어모듈(150)이 케이스(110)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콤펙트한 구조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설치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펌프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 압력펌프(120), 이송관(130), 압력탱크(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110)는 일체형 펌프장치(100)의 외형을 이루는 커버부재로서,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112)와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13)가 각각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구(112)에는 수원에 연결된 흡입관(미도시)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113)에는 수용가에 연결된 토출관(미도시)이 연통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급구(112)와 구동모터(123)의 흡입구(121)는 하나의 관로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구(113)는 이송관(130)과 일체로 형성되어 이송관(13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케이스(110)는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방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전면에는 개폐문(116)이 장착되어 내부의 각 구성품에 대한 설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일측에는 록킹부(114)가 장착되어 폐쇄된 상태를 고정시키거나 잠금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문(116)에는 전방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제어모듈(150)의 전면패널(153) 및 압력스위치(131)의 전면부가 외부로 표시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위치에는 통공(117,118)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압력펌프(120)는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23) 및 유체가 가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124)로 구성되며, 상기 챔버(124)의 내부에는 구동모터(12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미도시) 또는 실린더가 장착되어 회전에 따른 펌핑동작으로 유체를 가압하여 토출할 수 있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압력펌프(120)는 구동모터(123)와 챔버(124)가 일렬로 배치되면서 일방향으로 긴 형상을 갖는데, 이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압력펌프(120)는 후술되는 모터냉각부(160)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공간부(111) 내에 직립배치되며, 챔버(124)에 연결되는 이송관(130)이 구동모터(123)를 거쳐 상부에 배치된 압력탱크(140)를 향할 수 있도록 챔버(124)가 하부위치에 배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관(130)은 압력펌프(120)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배출구(113)로 이송하는 관로로서,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토출구(122)와 배출구(113)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토출구(122)에서 토출된 유체를 배출구(113)측으로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130)은 모터냉각부(160) 및 모듈냉각부(170)를 통해 구동모터(123) 및 제어모듈(15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상에서 상기 압력스위치(131)는 상기 이송관(130)의 하부 위치 즉 구동모터(123)의 챔버(124)의 토출측에 장착되어 토출압력을 측정하도록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관(130) 상에서 상기 압력탱크(140)를 통과한 유체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출구(113) 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탱크(140)는 이송관(13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공간부(111) 내에 장착되며 일정압력이 저장되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력을 유지시킨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압력펌프(12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조작버튼(151)과 디스플레이(152)가 배치된 전면패널(15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스(110)에 장착되며, 상기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압력펌프(120)를 구동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압력펌프(120), 압력탱크(140), 압력스위치(131), 이송관(130) 및 제어모듈(150) 등의 주요구성품들이 케이스(110)에 일체로 장착되면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콤펙트한 구조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면서 공장에서 완제품 형태로 각 주요구성품간의 사전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이송한 후, 케이스(110)의 공급구(112)와 배출구(113)를 토출관과 흡입관에 관로연결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완료되어 설치공정이 간소화되고 설치시간 및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펌프(120)에 장착된 구동모터(123)는 구동시간이 길어질수록 마찰력 및 인가되는 구동전압에 의해 가열되어 고열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펌프장치(100)는 구동모터(123)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모터냉각부(16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냉각부(160)는 일측이 상기 압력펌프(120)에 구비된 구동모터(123)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은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0) 내부의 유체가 갖는 저온을 이용하여 구동모터(123)를 냉각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냉각부(160)는 일측이 구동모터(123)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일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62)이 형성된 제1방열플레이트(161) 및, 일측에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타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64)이 형성된 제2방열플레이트(16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방열플레이트(161)와 제2방열플레이트(163)는 이송관(130)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각 반구홈(162,164)이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상기 밀착되게 체결된다.
또한, 각 방열플레이트(161,163)와 이송관(130)은 금속가공되면서 반구홈(162,164)의 내주면이나 이송관(130)의 외주면이 평탄하지 않고 일정부분에 이격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냉각부(160)는 각 반구홈(162,164)과 이송관(13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어 이격공간을 메꾸면서 완충작용하는 제1열전완충부재(165)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전완충부재(165)로는 열전도테잎이나 열전도구리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밖에 열전도성과 완충작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부재이면 상기 제1열전완충부재(165)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열전완충부재(165)의 구성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을 메꾸면서 열전달면적을 넓혀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구동모터(123)의 회전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하여 이송관(130)을 통해 제어모듈(150)이나 압력스위치(131), 압력탱크(1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토출구(122)와 배출구(113) 사이에는 토출된 유체를 배출구(113)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130)이 연장배치되고, 상기 이송관(130)과 압력펌프(120)의 구동모터(123) 사이에는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모터냉각부(160)가 두 부재 사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이송관(130)의 상대적 저온을 이용하여 구동모터(123)를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연속적인 구동에 의해 구동모터(123)가 과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더욱 콤펙트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150)은 구동모터(123)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 고속으로 스위칭동작하는 인버터회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부(157)가 구비되며 이러한 인버터회로는 동작에 따라 고열을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펌프장치(100)는 제어모듈(150)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모듈냉각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냉각부(170)는 일측이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은 제어모듈(150)의 배면과 밀착되게 장착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0) 내부의 유체가 갖는 저온을 이용하여 제어모듈(150)을 냉각시킨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부(157)는 제어모듈(150) 내에서 상기 모듈냉각부(170)와 대향하며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장착되어 열전달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냉각부(170)는 일측이 상기 제어모듈(150)의 배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일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72)이 형성된 제3방열플레이트(171) 및, 일측에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 타측과 치합되는 반구홈(174)이 형성된 제4방열플레이트(17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3방열플레이트(171)와 제4방열플레이트(173)는 이송관(130)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되어 각 반구홈(172,174)이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삽입되면서 상호 밀착되게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과 제3방열플레이트(171) 사이에는 상술한 제1열전완충부재(165)와 마찬가지로 이격공간을 메꾸면서 완충작용하는 제2열전완충부재(17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 내에서 제어모듈(150)과 이송관(130) 사이에는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모듈냉각부(170)가 두 부재 사이에 밀착되게 장착되어, 이송관(130)의 상대적 저온을 이용하여 발열된 제어모듈(150)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어모듈(150)의 크기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펌프장치(100)는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감지부(180)는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수단으로서, 구동모터(123) 내에서 회전자와 대향배치되어 회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구동모터(123)의 회전데이터를 감지하는 홀센서나 엔코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회전감지신호는 제어모듈(150)과 연결된 신호라인을 통해 전송되어 디스플레이(152)의 표시이미지를 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데이터로 이용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152)는 고리형상 또는 원형상을 가지며 원주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단위점멸부(155)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회전하는 형상의 표시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하며, 상기 제어모듈(150)은 회전감지부(180)의 회전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각 단위점멸부(155)의 순차점멸 주기를 감소시키고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순차점멸 주기를 증가시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변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의 회전속도가 증감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52)는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에 비례하여 회전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으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상 또는 원형상을 가지며 원주를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점단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회전하는 형상의 표시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한다.
여기서, 각 단위점멸부(155)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형태로 표시이미지를 표출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①)의 단위점멸부(155)가 우선 단독적으로 점등되어 일정시간(예를 들면 0.05초) 유지된 후 소등되는 순간에 두번째(②)의 단위점멸부(155)가 단독적으로 점등되고 마찬가지로 소등되는 순간에 세번째(③)의 단위점멸부(155)가 단독적으로 점등되는 순차점멸 방식으로 발광구동하며 마치 점등된 불빛이 디스플레이(152)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는 것과 같은 표시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각 단위점멸부(155)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156) 상에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장착되고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측으로는 각 단위점멸부(155)의 불빛을 분산시키기 위한 투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50)은 디스플레이(152)의 표시이미지 출력을 중앙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상기 회전감지부(180)의 회전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각 단위점멸부(155)의 순차점멸 주기(상기 점등 유지시간(0.05초))를 증가시키고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순차점멸 주기를 증가시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변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의 회전속도가 증감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조작버튼(151)의 조작이나 압력스위치나 유량감지센서 등의 측정값에 의해 압력펌프(120)가 구동하면서 유체의 배출량이 증가하여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제어모듈(150)이 회전감지신호를 기초로 하여 이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의 회전속도가 함께 빨라지도록 제어하며, 유체 배출량이 감소하여 회전속도가 느려지게 되면 상기 표시이미지의 회전속도가 함께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력펌프(120), 회전감지부(180), 디스플레이(152)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구성 및 기능에 의해, 압력펌프(120)에 장착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산출하고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회전속도로 회전하는 형상의 표시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표시이미지의 점등색상이나 회전여부를 통해 구동여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이미지가 회전하는 속도를 통해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인지함으로써 압력펌프(120)의 동작상태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50)의 전면패널(153)에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펌프장치(100)의 설정상태 또는 구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조작버튼(151) 및 각 설정값 및 구동상태를 문자나 수치로 표시하는 표시창(154)이 배치된 전면패널(153) 및, 상기 케이스(141)의 내부에 회로구성되어 각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에 따라 펌프장치(100)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157)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152)는 전면패널(153)의 둘레를 감싸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전면패널(153)의 전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장치(100)는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 또는 설정된 프로그래밍된 사항에 따라 요구하는 구동상태로 일체형 펌프장치(100)가 운전되는지를 감시하여 고장발생여부를 판단하는 고장감지부(190, 도 8 참고)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모듈(150)은 고장감지부(190)로부터 고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고장이 발생하면 정상운전시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와 구분되는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모듈(150)은 정상운전시 각 단위점멸부(155)를 청색으로 회전되게 점등제어한 경우, 고장발생시에는 황색 또는 적색으로 회전되게 점등제어하거나 회전되지 않고 전체 단위점멸부(155)를 동시에 깜빡거리도록 점멸제어함으로써 정상동작시와 고장발생시를 확연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어모듈(150)은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정상운전시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와 구분되는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152)를 제어함으로써 관리자가 펌프장치의 고장발생 여부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이에 따라 경고장 발생시와 중고장 발생시를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52)에 표시함으로써 전면패널(153)의 표시창(154)을 직접 들여다보지 않아도 관리자가 고장내용의 중경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장감지부(190)는 고장감지상태에 따라 리셋(Reset)으로 복구가 가능한 경고장군과 A/S를 요하는 중고장군으로 구분하여 고장감지신호를 출력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50)은 경고장 발생시와 중고장 발생시를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경고장군으로는 과전류 검출, 과부하 운전 검출 등과 같이 일시적인 구동에러 상태이며, 중고장군으로는 상기 경고장군의 증상이 설정횟수를 초과하여 반복적으로 발생되거나 회로단선 구동모터(123) 정지, 유체 유동 불가와 같이 강제 구동시킬 시에 일체형 펌프장치(100)가 크게 훼손되거나 복구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는 정도의 고장사항을 예로 들수 있다.
예를 들어, 정상구동시에는 도 9의 (a)와 같이 제1색(예, 청색)으로 회전되게 각 단위점멸부(155)를 구동제어하고 도 9의 (b)와 같이 경고장발생시에는 제2색(예, 황색)으로 표시되게 제어하며, 도 9의 (c)와 같이 중고장발생시에는 제3색(예, 적색)로 표시되게 제어함으로써, 중고장발생시에는 전원을 차단후 다시 복구시켜 제어모듈(150)의 리셋프로그램에 의해 초기설정상태로 복구시킬 수 있으며, 경고장발생시에는 즉각적으로 정비업체에 연락하여 전문가에 의한 A/S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감지부(180)은 상술한 홀센서나 엔코더를 이용하여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감지할 수 있으나, 이 밖에 상기 압력펌프(120)의 운전시 발생되는 구동소음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인 음향감지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음향감지신호를 기준으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회전감지부(18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감지신호와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현재 출력되는 음향감지신호에 따른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감지부(180)는 압력펌프(120)의 운전시 발생되는 구동소음을 입력받아 음향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이고 상기 제어모듈(150)에는 상기 기준데이터가 기저장되어, 상기 구동소음의 변화에 따라 비례적으로 변화하는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수를 감지하기 위한 홀센서나 엔코더를 구동모터(123)의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구동모터(123)의 자유로운 설계가 가능하며 시스템 구축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50)과 별도로 상기 마이크로폰의 음향감지신호에 따라 회전속도를 산출하기 위한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준비하고 이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디스플레이(152)를 신호연결하여 표시제어하도록 구축된 경우, 압력펌프(120)의 구동파라미터로부터 독립되므로 표시기능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기제조된 펌프장치에도 별도의 신호연결없이 독립적으로 장착하여 자체적인 회전속도 산출 및 표시이미지의 출력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 3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압력펌프(120)는 외부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펌프장치(100)는 하부가 개구된 챔버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마이크로폰을 덮는 형태로 압력펌프(120)에 장착되어 주변소음이 마이크로폰에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주변소음차단부(181)를 더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주변소음차단부(181)의 내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이외에 구동에 따른 진동이 주변소음차단부(181)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스폰지, 고무 및 실리콘 등과 같이 진동 및 억제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방진부재(182)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폰은 압력펌프(120)의 외주면에 장착될 경우 구동에 따른 내부 진동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방진부재(182)의 내부 또는 표면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변소음이 상기 마이크로폰에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으므로 노이즈에 의한 회전속도의 산출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일체형 펌프장치 110...케이스
120...압력펌프 130...이송관
140...압력탱크 150...제어모듈
160...모터냉각부 170...모듈냉각부
180...회전감지부 181...주변소음차단부
190...고장감지부

Claims (4)

  1.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되며 외부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구(112)와 공급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113)가 각각 마련된 케이스(110); 일측에 마련된 흡입구(121)가 상기 공급구(112)와 연통되도록 상기 공간부(111) 내에 장착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펌핑구동하며 공급된 유체를 가압하여 타측에 마련된 토출구(122)로 토출하는 압력펌프(120); 상기 공간부(111) 내에서 상기 토출구(122)와 배출구(113) 사이에 연장배치되어 토출구(122)에서 토출된 유체를 배출구(113)측으로 이송하는 이송관(130); 상기 이송관(130)의 일측에 연통되도록 공간부(111) 내에 장착되며 일정압력이 저장되어 상기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압력을 유지시키는 압력탱크(14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펌프장치의 설정상태 또는 구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조작버튼(151) 및 각 설정값 및 구동상태를 문자나 수치로 표시하는 표시창(154)이 배치된 전면패널(153)과, 각 조작버튼(151) 및 표시창(154)을 둘러싸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전면패널(153)에 장착되며 원주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복수의 단위점멸부(155)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고리 형태를 따라 회전하는 형상의 표시이미지를 외부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2) 및, 상기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에 따라 펌프장치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회로부(154)를 포함하는 제어모듈(150); 상기 압력펌프(120)에 구비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되 상기 압력펌프(120)의 외부에 근접 배치되어 압력펌프(120)의 운전시 발생되는 구동소음을 입력받아 전기적 신호인 음향감지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폰으로 이루어진 회전감지부(180); 하부가 개구된 챔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감지부(180)를 덮는 형태로 압력펌프(120)의 외부면에 장착되어 주변소음이 회전감지부(180)에 입력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주변소음차단부(181); 및 상기 조작버튼(151)의 입력신호가 요구하는 구동상태로 펌프장치가 운전되는지를 감시하여 고장발생여부를 판단하되 고장감지상태에 따라 리셋(Reset)으로 복구가능한 경고장군과 A/S를 요하는 중고장군으로 구분하여 고장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고장감지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음향감지신호를 기준으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기저장되며 상기 회전감지부(180)로부터 출력되는 음향감지신호와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를 간접적으로 산출하고, 상기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각 단위점멸부(155)의 순차점멸 주기를 감소시키고 회전속도가 감소하면 상기 순차점멸 주기를 증가시켜 구동모터(123)의 회전속도변화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의 회전속도가 증감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장감지부(190)로부터 고장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고장발생이 판단되면 정상운전시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는 표시이미지와 구분되는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52)를 제어하되 상기 고장감지신호에 따라 경고장 발생시와 중고장 발생시를 점등상태 또는 점등색상으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152)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고장감지부(190)는 상기 경고장군의 증상이 설정횟수를 초과하여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중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중고장 고장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주변소음차단부(181)의 내주면에는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 주변소음차단부(181)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방진부재(182)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감지부(180)는 주변소음차단부(181) 내에서 상기 방진부재(182)의 표면 또는 내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압력펌프(120)에 구비된 구동모터(123)의 외부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이송관(130)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장착되며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130) 내부의 유체가 갖는 저온을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123)를 냉각시키는 모터냉각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펌프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50097950A 2015-07-09 2015-07-09 일체형 펌프장치 KR10178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50A KR101785784B1 (ko) 2015-07-09 2015-07-09 일체형 펌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950A KR101785784B1 (ko) 2015-07-09 2015-07-09 일체형 펌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82A KR20170006782A (ko) 2017-01-18
KR101785784B1 true KR101785784B1 (ko) 2017-10-17

Family

ID=5799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50A KR101785784B1 (ko) 2015-07-09 2015-07-09 일체형 펌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7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71Y1 (ko) * 2001-10-17 2002-01-24 김명섭 게임자판기
JP2007321733A (ja) * 2006-06-05 2007-12-13 Kawamoto Pump Mfg Co Ltd 給水ポンプ用の配管ユニット
JP2008101556A (ja) * 2006-10-20 2008-05-01 Hitachi Appliances Inc ポンプ
KR100829917B1 (ko) * 2007-07-26 2008-05-16 (주)신우기전사 수중 모터 펌프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10024931A (ja) * 2008-07-18 2010-02-04 Hitachi Appliances Inc ポンプ装置
JP2012246865A (ja) * 2011-05-30 2012-12-13 Ebara Corp ポンプ設備
JP2013015380A (ja) * 2011-07-01 2013-01-24 Phoenix:Kk 電力消費状態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016B1 (ko) 2013-12-05 2015-06-23 주식회사 전진 부스터 펌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1771Y1 (ko) * 2001-10-17 2002-01-24 김명섭 게임자판기
JP2007321733A (ja) * 2006-06-05 2007-12-13 Kawamoto Pump Mfg Co Ltd 給水ポンプ用の配管ユニット
JP2008101556A (ja) * 2006-10-20 2008-05-01 Hitachi Appliances Inc ポンプ
KR100829917B1 (ko) * 2007-07-26 2008-05-16 (주)신우기전사 수중 모터 펌프 시스템 및 그것의 동작 방법
JP2010024931A (ja) * 2008-07-18 2010-02-04 Hitachi Appliances Inc ポンプ装置
JP2012246865A (ja) * 2011-05-30 2012-12-13 Ebara Corp ポンプ設備
JP2013015380A (ja) * 2011-07-01 2013-01-24 Phoenix:Kk 電力消費状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782A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05888B (zh) 室内机
US20230384806A1 (en) Flui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20170280884A1 (en) Electric air pump
US20120235514A1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child presence using active mems sensors
WO2018136857A1 (en) Vehicle roof fan
WO2011047371A1 (en) Controller system and adapted for spa
US8085141B2 (en) Self-diagnostic switch
KR20110110319A (ko) 전동 구동 유닛을 펌프 유닛에 결합시키기 위한 장치
KR101785784B1 (ko) 일체형 펌프장치
ITPD20120409A1 (it) Apparecchiatura di controllo della portata di liquido di un'elettropompa e della temperatura dell'elettronica di controllo e comando di un dispositivo di pompaggio portante l'elettropompa
KR100879544B1 (ko) 의료용 냉장 쇼케이스의 냉각 제어시스템 제어방법
KR101766959B1 (ko) 동작상태 표시기능이 구비된 펌프장치
JP2014211143A (ja) 空気調和機
JP4048221B2 (ja) 付設ユニット及び商品盗難監視装置
KR20160040040A (ko)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접속반
JP2018204835A (ja) 冷却貯蔵庫
KR100850610B1 (ko) 냉장고의 오작동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EP4189247A1 (en) Control interface of a pump
JP2012202647A (ja) 冷蔵庫
JP4532597B2 (ja) 火災警報機
KR101762697B1 (ko) 모터펌프용 모니터링 장치
KR20000021925A (ko) 냉장고의 경보시스템
TWI691994B (zh) 磁浮筒式偵控開關器
JPH04340197A (ja) 故障予知、警報システム
JP2005107077A (ja) データプロジェクタ用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