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628B1 -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628B1
KR101785628B1 KR1020160096231A KR20160096231A KR101785628B1 KR 101785628 B1 KR101785628 B1 KR 101785628B1 KR 1020160096231 A KR1020160096231 A KR 1020160096231A KR 20160096231 A KR20160096231 A KR 20160096231A KR 101785628 B1 KR101785628 B1 KR 10178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cost
bim
cost
constru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교진
박형진
박상헌
채홍윤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6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6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06F17/5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사례와 상기 사례에 따른 비용을 속성으로 가지는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공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공사비를 추정하고,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공사비처리모듈과, 할당된 예산에 따라 상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는 BIM객체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n apparatus for selecting a BIM object according to allocating a construction cost, a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BIM 객체 선정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추정된 전체 공사비를 각 실 및 각 작업 부위에 할당하고, 할당된 공사비에 따라 작업 부위에 적합한 BIM 객체를 선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건설 도면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담은 지식의 집성체라고 할 수 있다. 도면에 포함된 지식의 효율적 활용은 중요 지침 제공, 재작업 빈도 감소, 품질 개선 등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지식의 관리는 프로젝트 참여자의 경험 축적, 신기술 도입 등을 촉진하여 기업의 혁신에도 기여한다. 때문에 이러한 도면 내 지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1998년 이후 건설교통부(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주도적으로 건설 표준화 장기계획에 의거하여 건설도면의 표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점차적으로 쌓여가는 표준화된 건설 도면 내 지식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관리체계 또한 필수적이다. 현재 건설 프로젝트 각 단계 및 분야 별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며 각각의 목적에 맞는 BIM 객체 구축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공사비 산정, 공정관리, 유지관리 등 각각의 분야 별로 선행되어 구축 된 대다수의 BIM 객체들은 시각적 형상정보 구현을 목표로 구축되어 분야 별 관리 목적의 속성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는 부적합한 형태로 구축되어졌다. 이와 같이 속성정보들이 누락되어 구축 된 BIM 객체들은 실제 공사비 산정 시 활용도가 매우 낮으며, 사용자에 의한 속성정보의 수동입력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속성정보를 자동으로 처리, 관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93577호 2011년 08월 18일 공개 (명칭: 세부 공간 또는 부위 정보를 포함하는 건설사업관리용 기성공사비 정보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부위에 할당된 공사비 예산에 적합한 BIM 객체를 선정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례와 상기 사례에 따른 비용을 속성으로 가지는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공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공사비를 추정하고,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공사비처리모듈과, 할당된 예산에 따라 상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는 BIM객체선정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공사비처리모듈은 랭킹이 산정된 복수의 BIM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BIM 객체의 비용을 공사비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사비처리모듈은 회귀 모형에 따라 상기 공사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사비처리모듈은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로부터 실별 공사비의 비중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상기 산출된 비중을 이용하여 각 실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며, 산출된 각 실별 공사비에서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의 평균금액비율에 따라 각 작업 부위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IM객체선정모듈은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속성인 사례 및 비용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비용 및 사례에서 이상해와 비이상해를 찾고, 어느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이 다른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 보다 이상해와 상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비이상해와의 상관도가 낮을수록 해당 BIM 객체에 높은 랭킹이 부여되도록 복수의 BIM 객체 각각에 랭킹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사례와 상기 사례에 따른 비용을 속성으로 가지는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공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공사비를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단계와, 할당된 예산에 따라 상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랭킹이 산정된 복수의 BIM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BIM 객체의 비용을 공사비로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공사비를 추정하는 단계는 회귀 모형에 따라 상기 공사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단계는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로부터 실별 공사비의 비중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상기 산출된 비중을 이용하여 각 실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각 실별 공사비에서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의 평균금액비율에 따라 각 작업 부위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랭킹을 산정하는 단계는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속성인 사례 및 비용을 표준화하는 단계와, 상기 표준화된 비용 및 사례에서 이상해와 비이상해를 찾는 단계와,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이 다른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 보다 이상해와 상관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비이상해와의 상관도가 낮을수록 해당 BIM 객체에 높은 랭킹이 부여되도록 상기 복수의 BIM 객체 각각에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술한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회귀 모형을 통해 전체 공사비를 추정하고,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따른 예산을 할당하고, 할당된 예산에 적합한 BIM 객체를 랭킹을 통해 추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할당된 예산에 적합한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에 따른 공사비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실의 작업 부위 별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해 할당된 예산에 적합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건축 도면 중 마감상세도는 특정 공간이나 부위에 대해 평면도나 입면도, 단면도 등의 기본 도면에서 표현할 수 없는 상세한 내용을 작성한 도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BIM 객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마감상세도를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은 단지 마감상세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마감상세도 외에 다른 건축 도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은 건축 도면을 의미한다. 건축 도면은 어느 하나의 도면이 복수의 하위 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최상위 도면인 제1 도면(10)이 도시되었다. 제1 도면(10)은 하위 도면으로 복수의 제2 도면(20)을 가진다. 도 2에 복수의 제2 도면(20) 중 어느 하나가 도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 도면(20) 각각은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제3 도면(혹은 단위 도면: 30)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축 도면은 어느 하나의 도면이 복수의 하위 도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위 도면은 상위 도면의 세부적인 내용이 도시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기본 도면은 하위 도면으로 마감상세도를 가지며, 마감상세도는 상위 도면인 기본 도면의 특정 공간이나 부위에 대해 평면도나 입면도, 단면도 등의 기본 도면에서 표현할 수 없는 상세한 내용을 작성한 도면이다. 특히, 동일 레벨의 도면은 서로 직교하는(orthogonal) 사각형 내에 도시되는 형식을 가진다. 즉, 동일 레벨의 도면은 모두 동일한 면적 및 비율을 가지지만 서로 겹쳐지지 않는 사각형 내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레벨인 복수의 제2 도면(20)은 모두 동일한 면적 및 비율을 가지지만 서로 겹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동일 레벨인 복수의 제3 도면(30) 또한 모두 동일한 면적 및 비율을 가지지만 서로 겹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일 레벨의 도면은 서로 직교하는 사각형 내에 존재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위 도면은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대상의 단위가 될 수 있다. 단위 도면은 구체적으로 마감상세도를 예시할 수 있다. 도 3에 어느 하나의 제2 도면(20)이 도시되었고,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제2 도면(20)은 복수의 제3 도면(단위 도면: 30)을 가질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단위 도면 별로 추출해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단위 도면(30)을 다른 단위 도면과 구분하여야 한다.
도 4에 도 3의 제2 도면(20) 중 어느 하나의 단위 도면(30)을 도시하였다. 단위 도면(30)은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은 라인(60)을 통해 구분되며, 목차 영역(40)은 아래쪽에 위치하고, 목차 영역(40) 위쪽에 도면 영역(50)이 배치된다.
목차 영역(40)은 해당 단위 도면이 어떤 실에 대한 도면인지를 나타내는 기호와 문자를 통해 표시하는 영역이다. 목차 영역(40)에는 텍스트로 그 도면의 고유의 도면 번호(41)와 그 도면이 도시하는 실명(43)이 기재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번호(41)로 "C2"가 기재되어 있고, 실명(43)으로 "정화조"가 기재되어 있다. 도면 영역(50)은 실제 설계도가 도식화되는 영역이다. 도면 영역(50)은 해당 실의 구조 및 배치를 점, 선, 면 등으로 도식화한 설계도를 포함하며, 그 설계도의 각 부에 텍스트로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가 기재된다. 특히,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는 동일한 작업 부위 별로 기재되며, 이러한 작업 부위는 레이어의 속성 정보를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작업 부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는 그 작업 부위에 따라 작업의 종류와 재료(자재)가 기재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는 "콘크리트 면손보기/슬래브, 보", "타르에폭시 방수", "침투성 방수", "콘크리트 면손보기" 및 "타르에폭시 방수"를 포함한다.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가 작업 부위에 따른 작업의 종류 및 재료(자재)가 기재되기 때문에,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가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는 경우,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는 작업 부위, 공법, 자재를 검색어 혹은 검색 조건으로 입력하여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를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위 도면(30)에서 필요한 정보를 그 정보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기 위하여, 단위 도면(30)을 목차 영역(40) 및 도면 영역(50)으로 구분한다. 그런 다음, 본 발명은 목차 영역(40)에서 도면 번호(41) 및 실명(43)을 추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영역(50)에서 작업 부위와,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를 추출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객체구성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연결 혹은 주변 장치와의 연결 등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즉, 인터페이스부(110)는 BIM객체구성장치(100)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10)는 모뎀, 인터페이스 카드, 유무선 랜카드, USB 포트, 시리얼 포트, 패러럴 포트, 데이터 버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BIM객체구성장치(100)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특히, BIM객체구성장치(100) 외부로부터 원본 도면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원본 도면은 제1 도면(10)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수신된 원본 도면은 제어부(150)에 전달될 것이다.
입력부(120)는 BIM객체구성장치(100)의 각 종 기능,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50)에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문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의 기능은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1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130)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1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130)는 제어부(150)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을 비롯한 각 종 도면, 단위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정보 및 그 정보를 포함하는 도면 객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BIM객체구성장치(100)의 메뉴,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2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BIM객체구성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BIM객체구성장치(100)의 동작에 따라 구성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BIM객체구성장치(100)의 부팅(booting) 및 운영(operation)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공사비를 추정하고, 공사비를 각 실 및 각 작업 부위에 할당하는 애플리케이션, 할당된 공사비에 적합한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고, 랭킹에 따른 BIM 객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복수의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를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해당 속성정보들을 포함하는 BIM 객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BIM객체구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BIM객체구성장치(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블록화모듈(151), 정보처리모듈(153) 및 BIM객체구성모듈(155), 공사비처리모듈(157) 및 BIM객체선정모듈(15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록화모듈(151), 정보처리모듈(153) 및 BIM객체구성모듈(155), 공사비처리모듈(157) 및 BIM객체선정모듈(159)은 하드웨어로 구현된 것과 같이 설명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록화모듈(151), 정보처리모듈(153) 및 BIM객체구성모듈(155), 공사비처리모듈(157) 및 BIM객체선정모듈(159)은 저장부(140)에 저장되었다가, 제어부(15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블록화모듈(151)은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하위 도면은 복수의 단위 도면(30)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화모듈(151)은 복수의 단위 도면(30) 각각을 구분하여 추출할 수 있다. 블록화모듈(151)은 구분하여 추출된 복수의 단위 도면(30) 각각에 대해 고유의 식별자(ID)를 부여할 수 있다. 정보처리모듈(153)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도면(30)을 목차 영역(40) 및 도면 영역(50)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모듈(153)은 목차 영역(40) 및 도면 영역(50) 각각으로부터 각 종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이러한 정보는 도면 번호(41), 실명(43), 작업 부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정보처리모듈(153)은 추출된 도면 번호(41), 실명(43), 작업 부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를 이용하여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구축된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BIM객체구성모듈(155)은 입력부(120)를 통해 검색어 및 검색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검색어 및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된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한다. 그런 다음, BIM객체구성모듈(155)은 검색된 정보를 속성으로 하는 BIM 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공사비처리모듈(157)은 전체 공사비를 추정하고, 각 실 및 각 작업 부위에 공사비 예산을 할당할 수 있다. 공사비처리모듈(157)은 실제 사용될 BIM 객체가 선정되면, 선정된 BIM 객체에 따른 공사비를 산정한다. BIM객체선정모듈(159)은 공사비의 예산에 따라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BIM 객체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랭킹을 부여하고, 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술한 블록화모듈(151), 정보처리모듈(153) 및 BIM객체구성모듈(155), 공사비처리모듈(157) 및 BIM객체선정모듈(159)을 포함하는 제어부(1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객체구성장치(100)의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BIM객체구성장치(100)는 S10 단계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 도면(30)을 구분하여 추출한다. 그런 다음, BIM객체구성장치(100)는 S20 단계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추출된 복수의 단위 도면(30)으로부터 도면 번호(41), 실명(43), 작업 부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를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검색어 혹은 검색 조건이 입력되면, BIM객체구성장치(100)는 S30 단계에서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어 혹은 검색 조건에 상응하는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 등이 추출되며, 추출된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가 속성으로 포함되는 BIM 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도면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7 및 도 8은 도 6의 S10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의 블록화모듈(151)은 S110 단계에서 단위 도면(30)의 기초가 되는 기초 도면(20)을 마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블록화모듈(151)은 최상위 도면(10)으로부터 복수의 기초 도면(20)을 추출할 수 있다. 블록화모듈(15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최상위 도면(10)을 로드하고, 로드된 최상위 도면(10)으로부터 기초 도면(20)을 추출할 수 있다. 기초 도면(20)이 마련되면, 블록화모듈(151)은 S120 단계에서 기초 도면(20)에 포함된 모든 레이어를 추출하고, 그 속성 정보로부터 기초 도면(20)에 포함된 모든 사각형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든 레이어는 속성 정보로 레이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명칭(Name)과 레이어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레이어가 어떤 값, 예컨대, 텍스트, 숫자 등인 경우, 레이어는 속성 정보로 해당 값을 나타내는 값(Valu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초 도면(20)에 포함된 레이어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No. End X End Y Start X Start Y Name
1 1598.50 3176.59 5588.50 3176.59 Line
2 1633.50 461.59 5163.50 461.59 Line
3 1633.50 461.59 5163.50 461.59 Line
4 1633.50 3061.59 5163.50 3061.59 Line
5 4592.22 1998.60 5028.10 1998.60 Line
6 4592.22 1997.60 5028.10 1997.60 Line
7 3862.22 1313.79 4280.10 1313.79 Line
8 3897.22 694.64 4315.10 694.64 Line
9 1784.13 2089.20 2202.01 2089.20 Line
10 2501.89 2089.20 2919.77 2089.20 Line
... ... ... ... ... ...
보인 바와 같이, 추출된 레이어는 그 속성 정보로 그 레이어의 위치 정보(End X, End Y, Start X, Start Y) 및 그 레이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명칭(Name)을 가진다. 여기서, 레이어의 종류는 점, 선, 면 등이 될 수 있다. 레이어의 위치 정보 및 명칭을 통해 해당 레이어의 위치와 모양이 인식될 수 있다. 즉, 속성이 선(Line)이기 때문에, 선이 시작되는 좌표에 대한 위치 정보(Start X, Start Y) 및 선이 끝나는 좌표에 대한 위치 정보(End X, End Y)를 통해 해당 레이어가 모양 및 형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화모듈(151)은 4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을 식별할 수 있다.
모든 사각형을 식별한 후, 블록화모듈(151)은 S130 단계에서 사각형의 크기가 큰 순서대로 기준 사각형을 선택한다. 기준 사각형이 선택되면, 블록화모듈(151)은 S140 단계에서 기초 도면(20) 내에 기준 사각형과 직교하는(orthogonal) 사각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블록화모듈(151)은 기초 도면(20) 내에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 및 비율을 가지면서 기준 사각형과 겹치지 않는 사각형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블록화모듈(151)은 S140 단계의 판단 결과, 직교하는 사각형이 존재하면, S150 단계로 진행하고, 직교하는 사각형이 존재하지 않으면, S130 단계로 진행하여 이전에 선택된 기준 사각형 다음으로 크기가 큰 사각형을 기준 사각형을 선택하고, S140 단계를 반복한다.
S150 단계에서 블록화모듈(151)은 기준 사각형과, 그 기준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사각형을 상호 구분하여 단위 도면(30)으로 도출한다. 여기서, 단위 도면(30)으로 도출한다는 것은 복수의 단위 도면(30) 각각을 구분하여 개별 파일로 저장하거나, 복수의 단위 도면(30) 각각의 영역을 구별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각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초 도면(20)으로부터 복수의 단위 도면(30)을 구분하여 추출한 후, 각 단위 도면(30)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이러한 절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9는 도 6의 S20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BIM객체구성장치(100)는 복수의 단위 도면(30) 각각에 대해 도 9와 같은 절차를 수행한다. 즉, 도 9는 어느 하나의 단위 도면(30)에 대해 수행되는 절차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정보처리모듈(153)은 S210 단계에서 단위 도면(30)에 대해 고유의 식별자(ID)를 할당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단위 도면(30)은 다른 단위 도면과 식별자(ID)를 통해 구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처리모듈(153)은 S220 단계에서 단위 도면(30)을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으로 구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도면(30)은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이 존재하며,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은 단위 도면(30)의 좌우 양끝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라인(line: 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목차 영역(40)은 라인(60)의 아래쪽 영역이며, 도면 영역(50)은 라인(60)의 위쪽 영역이다. 따라서 정보처리모듈(153)은 단위 도면(30)으로부터 추출되는 레이어의 속성 정보 중 명칭(Name)에 라인(line)이 포함된 레이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레이어의 좌표 정보를 통해 단위 도면(30)의 좌우 양끝을 가로지르는 라인(60)을 식별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153)은 식별된 라인(60)을 기준으로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을 구분한다. 라인(60)을 기준으로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을 구분한다는 의미는 식별된 라인(60)의 좌표 정보를 기준으로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을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정보처리모듈(153)은 목차 영역(40)과 도면 영역(50) 각각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할 것이다. 우선, 정보처리모듈(153)은 S230 단계에서 단위 도면(30) 내의 레이어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목차 영역(40)에서 도면 번호(41) 및 실명(43)을 추출한다.
S230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보처리모듈(153)은 단위 도면(30) 내의 레이어의 좌표 정보와 라인(60)의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목차 영역(40) 내에 있는 레이어를 추출한다. 예컨대, 목차 영역(40) 내에 있는 레이어의 속성 정보는 다음의 표 2와 같다고 가정한다.
명칭(Name) 좌표 정보 값(Value) 비고
X Y
AA-TEXT-PCN 3110.19 8377.03 C2 부재 ID
AA-TEXT-PCN 3168.81 8379.58 정화조 실명
E1 3159.5 8409.09
이에 따라, 정보처리모듈(153)은 도면 번호(41) 및 실명(43)을 추출하기 위하여, 레이어 중 명칭(Name)에 "TEXT"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특정한다. 이러한 명칭(Name)의 표기 및 구성 순서는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설사업정보화(건설CALS)의 레이어 표기 및 구성순서 표준을 이용한다. 표 1에 따르면, 2개의 레이어 속성 정보 명칭이 "AA-TEXT-PCN"이며, 이들은 "TEXT"를 포함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153)은 명칭이 "AA-TEXT-PCN"인 2개의 레이어의 값(Value)으로부터 도면 번호(41) 및 실명(43)으로 추출한다. 이때, 정보처리모듈(153)은 도면 번호(41)를 추출하기 위하여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형식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번호(41)는 다양한 형식으로 기재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형식의 도면 번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존의 다양한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도면 번호가 어떤 형식으로 기재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도면 번호 기재 형식을 미리 조사하고, 미리 조사된 도면 번호 기재 형식을 포함하는 형식 테이블을 미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형식 테이블은 다음의 표 3과 같다.
대상 형식
... ...
도면 번호 "도면 번호" (숫자), "drawing no." (숫자), "dwg. no." 숫자, (알파벳)(숫자) ...
... ...
따라서 정보처리모듈(153)은 특정된 레이어의 값(Value)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형식 테이블의 도면 번호의 형식과 일치하는 경우, 해당 레이어의 값(Value)을 도면 번호(41)로 추출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처리모듈(153)은 실명(43)을 추출하기 위하여 용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용어 테이블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대표어 속성 정보
주차장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 - 기계식주차장, 지하주차장
침투성방수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침투성방수재 -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
침투성방수재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방수재 침투성방수 -
배수판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드레인보드 - PVC배수판, OK배수판, THIS배수판, ...
쇠흙손마감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공법 콘크리트 표면마무리 - 무근콘크리트 쇠흙손마감구배, 콘크리트 쇠흙손마감, ...
... ... ... ... ...
표 4에 보인 바와 같이, 용어 테이블은 대표어와 그 대표어의 유사어와 그 유사어의 상위어 및 하위어를 포함하며, 대표어, 유사어, 상위어 및 하위어의 정보 유형이 기록된다. 따라서 용어 테이블에서 정보 유형이 '실'인 정보처리모듈(153)은 특정된 레이어의 값(Value)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용어 테이블에서 정보 유형으로 '실'을 가지는 대표어, 유사어, 상위어 및 하위어 중 어느 하나이면, 레이어의 값(Value)을 실명(43)으로 추출한다.
다음으로, 정보처리모듈(153)은 S240 단계에서 단위 도면(30) 내의 레이어의 속성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 영역(50)에서 작업 부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를 추출한다. 이러한 S240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정보처리모듈(153)은 단위 도면(30) 내의 레이어의 좌표 정보와 라인(60)의 좌표 정보를 비교하여 도면 영역(50) 내에 있는 레이어를 추출한다. 예컨대, 도면 영역(50) 내에 있는 레이어의 속성 정보는 다음의 표 5와 같다고 가정한다.
명칭(Name) 좌표정보 값(Value) 비고
X Y
HAT2 3206.35 8806.17
FIN 3253.93 8882.26
AZ-LEAL 3406.62 8880.51
AA-CEILING-TEXT 3441.47 8806.9 콘크리트 면손보기/슬래브, 보 작업항목
AA-CEILING-TEXT 3441.47 8776.9 타르에폭시 방수 작업항목
AA-WALL-TEXT 3327.04 8564.94 침투성 방수 작업항목
AA-WALL-TEXT 3327.04 8534.94 콘크리트 면손보기 작업항목
AA-WALL-TEXT 3327.04 8504.94 타르에폭시 방수 작업항목
표 5와 같은 추출된 레이어 및 그 속성 정보에 따라, 정보처리모듈(153)은 레이어 중 명칭(Name)에 "TEXT"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특정한다. 예컨대, 표 5에 따르면, 정보처리모듈(153)은 명칭에 "TEXT"를 포함하는 5개의 레이어가 존재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153)은 특정된 레이어의 명칭에 작업하는 부위를 나타내는 단어(예컨대, "CEILING", "FLOOR", "WALL" 등)가 존재하면, 해당 단어를 작업 부위로 추출한다. 이러한 레이어의 명칭(Name)의 표기 및 구성 순서는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설사업정보화(건설CALS)의 레이어 표기 및 구성순서 표준을 이용하며, 이러한 레이어의 명칭(Name)의 표기 및 구성 순서는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다. 따라서 정보처리모듈(153)은 저장부에 저장된 명칭(Name)의 표기 및 구성 순서에 따라 작업 부위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처리모듈(153)은 실명(43)을 추출하기 위한 방법과 동일하게 작업 부위를 추출하는 경우에도, 작업 부위의 대표어, 유사어, 상위어 및 하위어를 포함하는 용어 테이블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정보처리모듈(153)은 동일한 작업 부위를 가지는 레이어들로 재분류한다. 표 5에 따르면, 명칭에 작업 부위 "천정(CEILING)"을 포함하는 2개의 레이어와 명칭에 작업 부위 "벽(WALL)"을 포함하는 3개의 레이어로 분류된다. 이어서, 정보처리모듈(153)은 좌표 정보를 통해 각 분류 내에서 레이어들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이에 따라, 표 5에 따르면, 레이어 "AA-CEILING-TEXT", "AA-CEILING-TEXT", "AA-WALL-TEXT", "AA-WALL-TEXT" 및 "AA-WALL-TEXT" 순으로 정렬된다. 정보처리모듈(153)은 작업 부위 및 좌표의 오름차순에 따라 정렬된 레이어의 값(Value)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로 추출한다. 표 5에 따르면, 정보처리모듈(153)은 작업 부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로 "CEILING - 콘크리트 면손보기/슬래브, 보", "CEILING - 타르에폭시 방수", "WALL - 침투성 방수", "WALL - 콘크리트 면손보기" 및 "WALL- 타르에폭시 방수"를 추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 번호(41) 및 실명(43)과, 작업 부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가 추출되면, 정보처리모듈(153)은 S250 단계에서 앞서 할당한 식별자에 매핑하여 도면 번호(41) 및 실명(43)과, 작업 부위,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51)를 저장하여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10 내지 도 12는 도 6의 S30 단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BIM 객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를 검색할 수 있고, 이러한 검색은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분류체계에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부(120) 혹은 표시부(130)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분류 체계에 따라 제공되는 분류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BIM 객체 구성모듈(155)은 S310 단계에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그 검색어 및 선택된 분류의 항목에 상응하는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를 검색한다.
그런 다음, BIM객체구성모듈(155)은 S320 단계에서 검색된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를 BIM 객체의 속성으로 입력하여 BIM 객체를 구성한다. 예컨대,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는 DeckType, Deck슬라브, RC기둥 등의 작업 부위에 따라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를 분류하는 분류 체계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중 사용자가 "바닥마감"을 선택한 경우, BIM객체구성모듈(155)은 저장부(140)에 저장된 건축도면기반 설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바닥 마감과 관련된 작업항목 및 재료 정보를 모두 추출하여 도 12에 보인 바와 같이,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 항목이 해당 BIM 객체의 속성이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부위 별로 BIM 객체가 구성된 상태에서, 구성된 BIM 객체에 대해 추가의 속성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추가의 속성은 비용 및 사례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용 및 사례는 실제 공사가 완료된 후 산정된 값이다. 사례는 해당 BIM 객체에 따른 작업 부위의 시공된 사례의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공사가 완료될 때마다 누적되는 값이다. 비용은 해당 BIM 객체에 따라 작업 부위에 대해 소요된 비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비용은 단위면적당 평균단가이다. 따라서 공사가 완료될 때마다 실제 소요된 비용이 기존의 비용과 같이 합산되고 사례의 수에 따라 평균값이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비용 속성에 입력한다. 이러한 BIM 객체 및 그 속성은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그 밖에 추가적으로 저장부(140)는 완료된 공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저장한다. 사례 식별자, 사례명, 대지위치, 층수, 건축면적, 용적률, 건폐율, 조적공사 단위면적당 단가, 방수공사 단위면적당 단가, 타일공사 단위면적당 단가, 석공사 단위면적당 단가, 미장공사 단위면적당 단가, 도장공사 단위면적당 단가, 수장공사 단위면적당 단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공사비를 추정하고, 각 실 및 각 작업 부위에 예산을 할당한 후, BIM 객체의 속성에 따라 할당된 예산에 적합한 BIM 객체를 선정하고, 선정된 BIM 객체에 따라 공사비를 최종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에 따른 공사비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객체에 따른 공사비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수행하고자 하는 공사의 설계를 완료한 후, 공사비 산정을 위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공사에 대한 사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의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410 단계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사례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여기서, 사례 정보는 해당 공사에 대한 사례명, 대지위치, 층수, 건축면적, 용적률, 건폐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는 설계된 건축물의 각 실의 명칭 및 면적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의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420 단계에서 입력부(120)를 통해 각 실의 명칭 및 면적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50)의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430 단계에서 공사비를 추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정되는 공사비는 전체 공사비이다. 먼저, 공사비처리모듈(157)은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이러한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회귀 모형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1
수학식 1의 회기 모형에서 St는 전체 공사비를 나타낸다. 또한, x1은 대지위치, x2는 층수, x3은 건축면적, x4는 용적률, 그리고 x5는 건폐율을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2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3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4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5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6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7
각각은 가중치이다.
공사비 추정을 위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먼저, 수학식 1과 같은 회귀 모형으로부터 회귀식을 도출한다. 회기식을 도출하는 것은 가중치를 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8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09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0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1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2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3
를 구하기 위해 회귀 모형에 훈련 데이터를 입력한다. 훈련 데이터는 기존의 공사가 완료된 사례들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공사비처리모듈(157)은 기존의 공사가 완료된 사례로부터 훈련 데이터인 대지위치, 층수, 건축면적, 용적률, 건폐율 및 전체 공사비를 추출하여, 수학식 1의 회귀 모형의 x1, x2, x3, x4, x5 및 Sc에 입력하여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사비처리모듈(157)은 복수의 사례로부터 훈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회귀 모형에 입력하여 복수의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공사비처리모듈(157)은 복수의 방적식의 해로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4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5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6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7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8
Figure 112016073589519-pat00019
을 구할 수 있다.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0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1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2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3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4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5
가 도출되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가중치에 따라 회기식을 완성한다. 예컨대,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6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7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8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29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0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1
각각이 0.31, 0.218, 0.433, 0.292, 0.345 및 0.320이라면, 회기식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2
이와 같이, 회기식이 도출되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앞서 S410 단계에서 입력된 사례 정보 중 해당하는 값을 회기식의 변수 x1, x2, x3, x4, x5에 입력하여, 전체 공사비(St)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전체 공사비(St)를 산출하는 실예시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각 실의 공사비 및 각 공종의 단위면적당 단가(공사비)가 산출될 수 있다. 먼저, 공사비처리모듈(157)은 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공종 각각에 대해 단위 면적당 소요되는 단가를 추정한다. 이와 같이, 추정되는 공사비를 '공종별 단위면적당 단가'라고 칭하기로 한다. 여기서, 공종은 조적공사, 방수공사, 타일공사, 석공사, 미장공사, 도장공사, 수장공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을 위해 사용되는 회귀 모형은 다음의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3
수학식 3의 회기 모형에서 Sc는 공종별 단위면적당 단가를 나타낸다. Sc는 예컨대, 조적공사, 방수공사, 타일공사, 석공사, 미장공사, 도장공사 및 수장공사 각각에 대한 단위면적당 단가가 될 수 있다. 또한, x1은 대지위치, x2는 층수, x3은 건축면적, x4는 용적률, 그리고 x5는 건폐율을 나타낸다. 또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4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5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6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7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8
Figure 112016073589519-pat00039
각각은 가중치이다.
공사비 추정을 위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수학식 3과 같은 회귀 모형으로부터 각 공종에 상응하는 회귀식을 도출할 수 있다. 회기식을 도출하는 것은 가중치를 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0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1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2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3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4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5
를 구하기 위해 회귀 모형에 훈련 데이터를 입력한다. 훈련 데이터는 기존의 공사가 완료된 사례들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공사비처리모듈(157)은 기존의 공사가 완료된 사례로부터 훈련 데이터인 대지위치, 층수, 건축면적, 용적률, 건폐율 및 공종별 단위면적당 단가를 추출하여, 수학식 1의 회귀 모형의 x1, x2, x3, x4, x5 및 Sc에 입력하여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공사비처리모듈(157)은 복수의 사례로부터 훈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회귀 모형에 입력하여 복수의 방정식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공사비처리모듈(157)은 복수의 방적식의 해로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6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7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8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49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0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1
를 구할 수 있다.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2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3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4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5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6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7
가 도출되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가중치에 따라 각 공종 별 회기식을 완성한다. 예컨대, 방수공사에 대한 가중치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8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59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0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1
,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2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3
각각이 0.31, 0.218, 0.433, 0.292, 0.345 및 0.320이라면, 방수공사에 대한 회기식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4
예를 든, 방수공사 외에도 다른 공종별 공사비에 대한 회기식을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공종별 회기식이 도출되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앞서 S410 단계에서 입력된 사례 정보 중 해당하는 값을 회기식의 변수 x1, x2, x3, x4, x5에 입력하여, 공종별 단위면적당 단가(Sc)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공사비처리모듈(157)은 각 실의 면적 및 각 실에 적용되는 공종을 고려하여 각 실의 추정 공사비를 산출한다.
면적 실별 공종 공종별 단위면적당 단가 추정 공사비
... ... ... ... ...
화장실 25㎡ 방수공사 60,000 1,500,000 3,000,000
타일공사 60,000 1,500,000
... ... ... ... ...
표 6에 보인 바와 같이, 화장실의 면적은 25㎡이고, 화장실에 적용되는 공종은 방수공사와 타일공사라고 가정한다. 또한, 앞서 회귀식을 통해 산출된 방수공사 및 타일공사의 공종별 단위면적당 단가(Sc)는 양자 모두 6만원이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공사비처리모듈(157)은 화장실의 면적이 25㎡이기 때문에 화장실의 방수공사 및 타일공사 각각의 공사비를 150만원으로 산출하고, 화장실의 추정 공사비로 300만원을 산출할 수 있다.
공사비처리모듈(157)은 화장실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모든 실에 대해 추정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실에 대한 추정 공사비가 산출되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모든 실에 대한 추정 공사비를 합산하여 추정된 전체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 혹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체 공사비가 추정된 후, 제어부(150)의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440 단계에서 추정된 공사비를 기초로 각 실의 작업 부위 별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한다.
예산이 할당되면, 제어부(150)의 BIM객체선정모듈(159)은 S450 단계에서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해 할당된 예산에 적합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한다. 제어부(150)의 BIM객체선정모듈(159)은 S460 단계에서 앞서 산정된 랭킹 순서에 따라 BIM 객체를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랭킹을 참고하여 복수의 BIM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의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470 단계에서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해 선택된 BIM 객체에 따라 최종 공사비를 산정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은 공사비 산정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실의 작업 부위 별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14는 S440 단계에 대응한다.
다음의 표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별 공사비에 따른 비중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면적
(A)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
(B)
실별 공사비
(C)=(A)×(B)
비중(%)
(D)=(C)/(F)
추정 공사비
(E)
사무실 55㎡ 10만원 550만원 55% 8,250,000
화장실 25㎡ 8만원 200만원 20% 3,000,000
엘리베이터홀 62.5㎡ 4만원 250만원 25% 3,750,000
총합 (F) 1,000만원 1,500만원
표 7에 보인 바와 같이, 3개의 실, 사무실, 화장실, 엘리베이터홀이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제어부(150)의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510 단계에서 각 실의 면적(A)과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B)를 통해 실별 공사비(C)를 산출한다.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B)는 기존의 복수의 사례에서 추출된 실별 단위면적당 단가의 평균값이다. 이러한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B)는 저장부(140)에 미리 저장된 것이다.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520 단계에서 전체 공사비(F)에 대한 실별 공사비(C)의 비중을 통해 각 실의 전체 공사비에서 소요되는 비중(D)을 산출한다.
그런 다음,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530 단계에서 추정 공사비를 앞서 산출된 비중(D)에 따라 각 실에 배분하여 실별 공사비를 산출한다. 예컨대, 앞서 S430 단계에서 추정된 공사비가 1,500만원이라고 가정한다. 이때, 표 7에 보인 바와 같이, 사무실의 비중(D)이 55%이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사무실의 공사비를 825만원으로 산출한다. 마찬가지로, 화장실과 엘리베이터홀의 비중이 각각 20%, 25%이므로 각각 300만원 및 375만원을 산출할 수 있다.
각 실별 공사비(예산)이 산출되면, 공사비처리모듈(157)은 S540 단계에서 각 실의 작업 부위별 평균금액비율을 통해 각 실의 작업 부위별 공사비 예산을 산출한다. 다음의 표 8은 작업 부위 별 공사비 예산을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 부위 면적 (A) 평균금액비율 (G) 최적할당금액
(H)=(E)×(G)
작업 부위 단위면적당 단가
(I)=(H)/(A)
사무실_바닥 55㎡ 0.3 2,475,000 45,000
사무실_벽 35㎡ 0.21 1,732,500 49,500
사무실_천장 55㎡ 0.49 4,042,500 73,500
사무실 총합 (E) 8,250,000 -
예컨대, 표 8에 보인 바와 같이, 사무실의 작업 부위는 바닥, 벽 및 천장을 포함하며, 평균금액비율은 각각 0.3, 0.21 그리고 0.49이다. 이에 따라, 앞서 구한 사무실의 공사비 예산이 825만원이기 때문에 평균금액비율에 따라 바닥, 벽 및 천장 각각에 2,475,000원, 1,732,500원 및 4,042,500원이 할당된다. 그리고 각 작업 부위의 면적(A)에 따라 작업 부위 단위면적당 단가는 45,000원, 49,500원 및 73,500원이 할당된다.
다음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작업 부위 별로 할당된 예산을 기초로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해 할당된 예산에 적합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해 할당된 예산에 적합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 15는 S450 단계에 대응한다. 도 15에서는 하나의 작업 부위, 즉, 벽에 관하여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작업 부위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그 랭킹을 산정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다음의 표 9와 같이 사무실의 작업 부위 중 하나인 벽에 사용 가능한 BIM 객체는 7개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BIM 객체 속성: 비용 속성: 사례
W-01 1,300 12
W-02 1,280 6
W-03 800 2
W-04 900 5
W-05 1,500 2
W-06 1,150 3
W-07 700 1
표 9에 보인 바와 같이, 7개의 벽에 대한 BIM 객체인 BIM 객체 W-01 내지 W-07이 있고, 각각의 BIM 객체는 그 속성으로 비용과 사례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작업 비용은 해당 BIM 객체를 시공했을 때 소요된 공사비(작업 부위 단위면적당 단가)의 평균값이다. 또한, 사례는 해당 BIM 객체를 시공한 사례의 수를 나타낸다.
먼저, 제어부(150)의 BIM객체선정모듈(159)은 S610 단계에서 저장부(140)의 복수의 BIM 객체로부터 해당하는 작업 부위, 즉, 벽에 대한 BIM 객체를 추출한다. 예컨대, 표 8에 보인 바와 같이, W-01 내지 W-07을 도출한다.
그런 다음, IM객체선정모듈(159)은 S620 단계에서 도출된 BIM 객체의 작업비용 및 작업사례를 표준화한다. 다음의 표 10은 작업비용 및 작업사례를 표준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BIM 객체 속성: 비용 속성: 사례 비용
표준화1
비용
표준화2
비용
표준화3
사례
표준화
W-01 1,300 12 300 0.40 0.1198 0.3871
W-02 1,280 6 280 0.44 0.1317 0.1935
W-03 800 2 200 0.60 0.1796 0.0645
W-04 900 5 100 0.80 0.2395 0.1613
W-05 1,500 2 500 0.00 0.0000 0.0645
W-06 1,150 3 150 0.70 0.2096 0.0968
W-07 700 1 300 0.40 0.1198 0.0323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용을 표준화하는 것(비용 표준화)은 비용이 높거나 낮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 예산에 적정한 비용, 즉, 앞서 도출된 작업 부위 단위면적당 단가에 근접할수록 높은 점수를 받도록 이루어진다. 예컨대, 사무실 벽 공사비의 최적 비용(작업 부위 단위면적당 단가(I))가 1,000원이라고 가정한다(표 8에서는 사무실 벽 작업 부위 단위면적당 단가가 49.500원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1,000원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IM객체선정모듈(159)은 1,000원에 가장 근접한 비용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도록 표준화한다. 특히, IM객체선정모듈(159)은 표 10에 보인 바와 같이, 3차에 걸친 표준화를 통해 비용 표준화를 수행한다.
먼저, IM객체선정모듈(159)은 다음의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각 객체의 비용을 1차로 표준화를 수행한다. BIM 객체 W-01 내지 W-07의 비용에 대해 1차 표준화를 수행한 결과는 표 10에 보인 바와 같다(비용 표준화 1).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5
여기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6
은 1차 표준화된 비용이며,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7
은 BIM 객체의 비용이고,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8
는 최적 비용, 즉, 할당된 예산을 의미한다. 예컨대, 가정한 바에 따르면, 최적 비용은 작업 부위 단위면적당 단가인 1,000원이 될 수 있다. 표 9에 따르면, IM객체선정모듈(159)은 수학식 3과 같이, BIM 객체의 비용에서 최적 비용을 차이의 절대값을 도출하여 1차 표준화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IM객체선정모듈(159)은 다음의 수학식 4를 이용하여 1차 표준화된 값에 대해 2차로 표준화를 수행한다. 즉, IM객체선정모듈(159)은 최적 비용과 금액 차이가 적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도록 하기 위해 다음의 수학식 6을 적용한다. BIM 객체 W-01 내지 W-07의 비용에 대해 2차 표준화를 수행한 결과는 표 10에 보인 바와 같다(비용 표준화 2).
Figure 112016073589519-pat00069
여기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0
는 2차 표준화된 비용이며,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1
는 1차 표준화된 비용 중 가장 큰 BIM 객체의 비용이다. 예컨대, 표 9에서 1차 표준화된 비용 중 가장 큰 BIM 객체의 비용은 500이다. 예컨대, IM객체선정모듈(159)은 수학식 6에 따라 BIM 객체 W-01에 대해 2차 표준화에 따른 비용으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2
를 도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IM객체선정모듈(159)은 2차 표준화된 값을 1에 대해 정규화되도록(0부터 1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다음의 수학식 7과 같이 3차로 표준화를 수행한다. BIM 객체 W-01 내지 W-07의 비용에 대해 3차 표준화를 수행한 결과는 표 10에 보인 바와 같다(비용 표준화 3).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3
여기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4
은 3차 표준화된 비용이며,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5
은 2차 표준화된 비용들의 합을 의미한다. 예컨대, IM객체선정모듈(159)은 BIM 객체 W-01에 대해 수학식 7에 따라 3차 표준화 비용으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6
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IM객체선정모듈(159)은 조합 사례에 대해 다음의 수학식 8을 통해 사례 표준화를 수행한다. 사례 표준화의 경우, 사례가 많을수록 높은 점수가 부여되도록 표준화를 수행한다.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7
여기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8
은 표준화된 사례이며,
Figure 112016073589519-pat00079
는 사례 속성의 값(사례의 수)이며,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0
은 사례 속성들의 값들의 합(사례 수들의 합)을 의미한다. 예컨대, IM객체선정모듈(159)은 BIM 객체 W-01에 대해 수학식 8에 따라 표준화된 사례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1
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BIM 객체 W-01 내지 W-07의 사례에 대해 표준화를 수행한 결과는 표 10에 보인 바와 같다(사례 표준화).
전술한 바와 같이, 비용 및 사례에 대한 표준화를 수행한 후, IM객체선정모듈(159)은 S630 단계에서 표준화가 수행된 비용 및 사례의 값에 가중치를 부여한다. 예컨대, 비용의 가중치를 61.83으로 미리 설정하고, 사례의 가중치를 68.92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BIM 객체 W-01 내지 W-07의 비용 및 사례의 표준화된 값에 가중치를 부여한 결과는 다음의 표 11과 같다.
BIM 객체 속성: 비용 속성: 사례
W-01 0.0719 0.3097
W-02 0.0790 0.1548
W-03 0.1078 0.0516
W-04 0.1437 0.1290
W-05 0.0000 0.0516
W-06 0.1257 0.0774
W-07 0.0719 0.0258
다음으로, IM객체선정모듈(159)은 S640 단계에서 비용과 사례를 각기 분리하여 이상해(Ideal point)와 비이상해(Negative ideal point)를 선정한다. 여기서, 이상해는 BIM 객체의 비용 및 사례 각각 가장 큰 값이며, 비이상해는 BIM 객체의 비용 및 사례 각각 가장 작은 값이된다. 다른 말로, 이상해는 해당 BIM 객체 중 예산에 가장 적합한 값을 의미하며, 비이상해는 해당 BIM 객체 중 예산에 가장 부적합한 값을 의미한다. BIM 객체 W-01 내지 W-07의 비용 및 사례 각각의 이상해와 비이상해는 다음의 표 12 및 표 13과 같다.
BIM 객체 속성: 비용 이상해/비이상해
W-01 0.0719
W-02 0.0790
W-03 0.1078
W-04 0.1437 이상해(Ideal)
W-05 0.0000 비이상해(Negative)
W-06 0.1257
W-07 0.0719
BIM 객체 속성: 사례 이상해/비이상해
W-01 0.3097 이상해(Ideal)
W-02 0.1548
W-03 0.0516
W-04 0.1290
W-05 0.0516
W-06 0.0774
W-07 0.0258 비이상해(Negative)
표 12에 보인 바와 같이, 비용에서는 BIM 객체 W-04(900원)가 0.1437로 이상해(Ideal point)로 선정되었고 BIM 객체 W-05(1,500원)가 0으로 비이상해(negative ideal point)로 선정되었다. 또한, 표 13에 보인 바와 같이, 사례에서는 BIM 객체 W-01(사례 12개)이 0.3097로 이상해(Ideal point)로 선정되었고 BIM 객체 W-07(사례 1개)이 0.0258로 비이상해(negative ideal point)로 선정되었다.
다음으로, IM객체선정모듈(159)은 S650 단계에서 BIM 객체와 비교했을 때, 이상해와의 상관도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그리고 비이상해와의 상관도가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BIM 객체에 높은 랭킹을 부여한다.
예컨대, IM객체선정모듈(159)은 BIM 객체와 이상해 및 비이상해와의 상관도를 다음의 수학식 9 및 수학식 10을 통해 도출한다.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2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3
수학식 9 및 수학식 10에서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4
는 BIM 객체와 이상해와의 상관도를 나타내며,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5
는 BIM 객체와 비이상해와의 상관을 나타낸다.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6
는 각 속성(비용 및 사례)에서 BIM 객체의 값과 이상해와의 유클리드 거리의 합을 나타내며,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7
는 속성(비용 및 사례)별 비이상해와의 유클리드 거리의 합을 나타낸다. 그런 다음, BIM 객체와 이상해와의 상관도(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8
)에서 BIM 객체와 이상해와의 상관도(
Figure 112016073589519-pat00089
)를 차감한 점수가 높을 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한다. 이에 따라, BIM 객체 W-04가 가장 높은 랭킹이 부여된다. 표 9를 참조하면, BIM 객체 W-04가 비용이 900원으로 최적 비용인 1,000원에 가장 근접하고, 사례수도 5개로 상대적으로 많은 편에 속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할당된 예산과 가장 근접할수록 그리고 사례의 수가 많을수록 해당 작업 부위에 대한 BIM 객체에 대해 높은 랭킹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랭킹에 따라 사용자는 적합한 BIM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BIM객체구성장치 110: 인터페이스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151: 블록화모듈 153: 정보처리모듈
155: BIM객체구성모듈 157: 공사비처리모듈
159: BIM객체선정모듈

Claims (11)

  1.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례와 상기 사례에 따른 비용을 속성으로 가지는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부;
    공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공사비를 추정하고,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공사비처리모듈; 및
    할당된 예산에 따라 상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되,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속성인 사례 및 비용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비용 및 사례에서 이상해와 비이상해를 찾고, 어느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이 다른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 보다 이상해와 상관도가 높을 수록, 그리고, 비이상해와의 상관도가 낮을수록 해당 BIM 객체에 높은 랭킹이 부여되도록 상기 복수의 BIM 객체 각각에 랭킹을 부여하는 BIM객체선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비처리모듈은
    랭킹이 산정된 복수의 BIM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BIM 객체의 비용을 공사비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비처리모듈은
    회귀 모형에 따라 상기 공사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비처리모듈은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로부터 실별 공사비의 비중을 산출하고, 상기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상기 산출된 비중을 이용하여 각 실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며, 산출된 각 실별 공사비에서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의 평균금액비율에 따라 각 작업 부위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5. 삭제
  6.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사례와 상기 사례에 따른 비용을 속성으로 가지는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공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에 따라 공사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단계; 및
    할당된 예산에 따라 상기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랭킹을 산정하되,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에 대한 복수의 BIM 객체의 속성인 사례 및 비용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비용 및 사례에서 이상해와 비이상해를 찾고, 어느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이 다른 BIM 객체의 사례 및 비용 보다 이상해와 상관도가 높을 수록, 그리고, 비이상해와의 상관도가 낮을수록 해당 BIM 객체에 높은 랭킹이 부여되도록 상기 복수의 BIM 객체 각각에 랭킹을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랭킹이 산정된 복수의 BIM 객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BIM 객체의 비용을 공사비로 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비를 추정하는 단계는
    회귀 모형에 따라 상기 공사비를 추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비의 예산을 할당하는 단계는
    실별 단위면적당 평균단가로부터 실별 공사비의 비중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공사비로부터 상기 산출된 비중을 이용하여 각 실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각 실별 공사비에서 각 실의 각 작업 부위의 평균금액비율에 따라 각 작업 부위의 공사비 예산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
  10. 삭제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096231A 2016-07-28 2016-07-28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8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231A KR101785628B1 (ko) 2016-07-28 2016-07-28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231A KR101785628B1 (ko) 2016-07-28 2016-07-28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628B1 true KR101785628B1 (ko) 2017-10-16

Family

ID=60295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231A KR101785628B1 (ko) 2016-07-28 2016-07-28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6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7718A (zh) * 2017-11-27 2018-05-01 广州电力设计院 基于bim模型的变电站设备维护方法和系统
CN110442977A (zh) * 2019-08-08 2019-11-12 广州华建工智慧科技有限公司 基于建筑施工工序网络推荐的移动端bim模型智能缓存方法
KR102185581B1 (ko) * 2020-04-08 2020-1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공사의 미세먼지 저감 공정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7718A (zh) * 2017-11-27 2018-05-01 广州电力设计院 基于bim模型的变电站设备维护方法和系统
CN110442977A (zh) * 2019-08-08 2019-11-12 广州华建工智慧科技有限公司 基于建筑施工工序网络推荐的移动端bim模型智能缓存方法
CN110442977B (zh) * 2019-08-08 2023-09-29 广州华建工智慧科技有限公司 基于建筑施工工序网络推荐的移动端bim模型智能缓存方法
KR102185581B1 (ko) * 2020-04-08 2020-12-0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공사의 미세먼지 저감 공정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034B1 (ko) 건축 도면 기반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객체 구성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85628B1 (ko)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0372838B2 (en) Automated prefabricated wall frame assembly
JP6608403B2 (ja) 建築設備図面作成支援システム
US20070174027A1 (en) Synchronized architectural and structural CAD models
JP6084780B2 (ja) 自動cad設計システム、自動cad設計方法および自動cad設計プログラム
US10733333B2 (en) Building data consolidation methods and systems
AU2018230525A1 (en) Smart plans
US11899626B2 (en) Layer mapping
US20210271783A1 (en) Design and construction assistance device, design and construction assistance system, design and construction assistance method, and program
US10685148B2 (en) Design-model management using an architectural criterion
JP2008083112A (ja) ネットワークデータ生成装置、ネットワーク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携帯端末及びデータ構造
US201803051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ndering of Walking Path Maps for Elevator Car Assignment Display
KR101660415B1 (ko)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67729B1 (ko) 건축물의 동 평면 생성 방법
US2020032726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edicting architectural materials within a space
KR102028861B1 (ko) 건물 에너지 성능 예측 시뮬레이션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114296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generating building layouts
JP2014153191A (ja) 建物の地震による応答値計算システム及び建物の地震による被害調査表作成方法
KR101642392B1 (ko)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951368B1 (ko) 건축물 설계연동 비용예측 방법 및 이를 저장한 컴퓨터가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JP2754119B2 (ja) 家屋におけるコンセント位置の自動設定装置
KR20200002472A (ko) 건축물 작업분류 시스템
CN113374465B (zh) 覆盖型岩溶垂直分带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ng et al. Automated portfolio-based strategic asset management based on deep neural image classif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