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415B1 -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415B1
KR101660415B1 KR1020150076491A KR20150076491A KR101660415B1 KR 101660415 B1 KR101660415 B1 KR 101660415B1 KR 1020150076491 A KR1020150076491 A KR 1020150076491A KR 20150076491 A KR20150076491 A KR 20150076491A KR 101660415 B1 KR101660415 B1 KR 10166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ings
information
text
word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6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교진
박형진
정진현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6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271
    • G06F17/5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12Applications of a database
    • Y10S707/917Tex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53Organization of data
    • Y10S707/954Relatio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31Database or file accessing
    • Y10S707/99933Query processing, i.e. searc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7/00Data processing: database and file management or data structures
    • Y10S707/99941Database schema or data structure
    • Y10S707/99942Manipulating data structure, e.g. compression, compaction, comp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관 기호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복수의 도면 각각으로부터 연관 기호 패턴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나타내는 연관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기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는 정보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와,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n apparatus for managing related a plurality of drawings, a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도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여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건설도면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담은 지식의 집성체라고 할 수 있다. 도면에 포함된 지식의 효율적 활용은 중요 지침 제공, 재작업 빈도 감소, 품질 개선 등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지식의 관리는 프로젝트 참여자의 경험 축적, 신기술 도입 등을 촉진하여 기업의 혁신에도 기여한다. 때문에 이러한 도면 내 지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1998년 이후 건설교통부(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주도적으로 건설 표준화 장기계획에 의거하여 건설도면의 표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점차적으로 쌓여가는 표준화된 건설도면의 지식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관리체계 또한 필수적이다. 현재 활용되는 대다수의 도면관리시스템은 도면의 등록 과정에서 실무자가 수동으로 정보를 입력해야하는 사항이 많아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된다. 또한, 도면이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활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 관리하기 어렵다.
미국등록특허 제7058623호 2006년 06월 06일 등록 (명칭: COMPUTER AUTOMATED SYSTEM FOR MANAGEMENT OF ENGINEERING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은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여 이를 통해 복수의 도면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연관 기호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복수의 도면 각각으로부터 연관 기호 패턴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나타내는 연관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기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는 정보처리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관 기호 패턴은 연관 기호임을 나타내는 레이어 및 레이어에서의 텍스트의 배치 및 텍스트의 내용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연관 기호 패턴에 따라 원형의 레이어를 검출하고,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하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을 검색하며,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상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에서 몇 번째 도면인지를 검출한다.
상기 복수의 도면은 상위 도면이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된 도면이며, 상기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기 상위 도면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하는 블록화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블록화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에서 순차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사각형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사각형이 존재하면,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사각형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한다.
상기 블록화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 모듈은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하되, 상기 링크를 더 저장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로부터 도면에 대한 정보인 도면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도면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는 대표어 및 상기 대표어에 대한 유사어를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유사어 혹은 상기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부는 대표어, 상기 대표어의 유사어, 상기 대표어의 상위 개념인 상위어, 상기 대표어의 하위 개념인 하위어 및 상기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을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복수의 도면 각각이 도면 파일로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서로 연관된 도면 간의 링크가 저장되고,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의 도면 정보가 상기 도면 파일에 링크되어 저장된 저장부와,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와, 검색어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도면 정보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에 링크된 도면 파일을 도면 리스트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도면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도면 및 상기 선택된 도면의 도면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되, 상기 선택된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에 대한 링크인 연관 도면 링크를 제공하는 정보검색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연관 도면 링크는 상기 연관 도면 링크에 해당하는 연관 도면의 도면 번호 혹은 연관 기호로 제공되며, 상기 정보검색모듈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연관 도면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연관 도면 링크와 연결된 연관 도면의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검색모듈은 상기 선택된 도면이 속한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와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수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로젝트 정보는 가중치를 가지는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상기 정보검색모듈은 상기 선택된 도면이 속한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와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의 각 항목을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한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합산하여 상기 유사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정보처리모듈이 복수의 도면 각각으로부터 연관 기호 패턴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나타내는 연관 기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추출된 연관 기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관 기호 패턴은 연관 기호임을 나타내는 레이어 및 레이어에서의 텍스트의 배치 및 텍스트의 내용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연관 기호 패턴에 따라 원형의 레이어를 검출하고,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하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을 검색하며,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상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에서 몇 번째 도면인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도면은 상위 도면이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된 도면이며, 상기 연관 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전, 블록화모듈이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여, 상기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기 상위 도면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도면에서 순차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사각형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존재하면,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 혹은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하되, 상기 링크를 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로부터 도면에 대한 정보인 도면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의 유사어 혹은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의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며,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정보처리모듈이 복수의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서로 연관된 도면 간의 링크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의 도면 정보를 상기 도면 파일과 링크로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검색어가 입력되면, 정보검색모듈이 상기 도면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에 링크된 도면 파일을 도면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도면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도면 및 상기 선택된 도면의 도면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선택된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에 대한 링크인 연관 도면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관 도면 링크는 상기 연관 도면 링크에 해당하는 연관 도면의 도면 번호 혹은 연관 기호로 제공되며, 상기 연관 도면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연관 도면 링크와 연결된 연관 도면의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면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도면이 속한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와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도출된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소정 수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젝트 정보는 가중치를 가지는 복수의 항목을 가지며, 상기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검색모듈은 상기 선택된 도면이 속한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와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의 각 항목을 비교하여 동일한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합산하여 상기 유사도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관 기호를 통해 상호 연관된 도면을 링크로 연결할 수 있고, 이러한 링크를 통해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보다 빠르게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도면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원본 도면의 하위 도면인 도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 시트의 하위 도면인 단위 도면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위 도면을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위 도면을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기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기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도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연관 기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도면 간을 연관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마감상세도는 특정 공간이나 부위에 대해 평면도나 입면도, 단면도 등의 기본 도면에서 표현할 수 없는 상세한 내용을 작성한 도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마감상세도를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관리 대상인 도면은 단지 마감상세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마감상세도 외에 다른 도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는 다양한 형식의 도면을 하나의 형식으로 정제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본 도면을 가능한 여러 단계에 걸쳐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록화는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구분 짓는 절차이다. 대표적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감상세도인 원본 도면을 하위 도면인 복수의 도면 시트로 블록화하고, 각각의 도면 시트는 그 하위의 복수의 단위 도면으로 블록화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화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원본 도면의 하위 도면인 도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도면 시트의 하위 도면인 단위 도면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원본 도면(100)은 마감상세도의 전형적인 예이며, 이러한 원본 도면(100)은 그 하위에 복수의 도면 시트(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도면 시트(200) 중 어느 하나는 도면목록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원본 도면(100)은 3 내지 5개의 도면 시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본 도면(100)을 하위 도면인 복수의 도면 시트(200)로 블록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도면 시트(200)는 복수의 단위 도면(300)을 포함하는 영역(210)과 표제란(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도면 시트(200)는 15 내지 20개의 단위 도면(3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제란(220)은 도면 시트(200)의 우측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제란(220)에는 도면 시트(200)를 다른 도면 시트(200)와 구분하기 위한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도면 시트(200)를 하위 도면인 복수의 단위 도면(300)으로 블록화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도면(300)은 도면 번호가 기재된 영역(310), 도면명이 기재된 영역(320) 및 도면이 도시된 영역(3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단위 도면(300)의 도면 번호가 기재된 영역(310), 도면명이 기재된 영역(320) 및 도면이 도시된 영역(330)은 별도의 레이어를 통해 구역이 나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인 바와 같이, 마감상세도는 일반적인 도면과는 달리 하나의 도면 시트(200) 내에 복수개의 단위 도면(300)을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일명, 도면명, 표제란 텍스트 정보를 통한 검색 방식으로는 원본 도면의 파일명, 도면명, 도면 번호 혹은 도면 시트의 도면명, 도면 번호만이 도출되기 때문에, 그 보다 하위의 도면인 단위 도면과 관련된 정보의 검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세부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원본 도면으로부터 하위 도면으로의 블록화를 수행하여,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세분화가 되도록 블록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최소 단위까지 세분화된 도면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해야 한다.
도면은 레이어 및 텍스트를 포함하며, 본 발명은 도면에서 레이어(점, 선, 면, 원 등) 속성을 가지는 객체인 레이어와 텍스트 속성을 가지는 객체인 텍스트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도면을 블록화하고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객체 중 레이어는 다음의 표 1과 같은 형식으로 추출될 수 있다.
No. End X End Y Start X Start Y Name
1 1598.50 3176.59 5588.50 3176.59 Line
2 1633.50 461.59 5163.50 461.59 Line
3 1633.50 461.59 5163.50 461.59 Line
4 1633.50 3061.59 5163.50 3061.59 Line
5 4592.22 1998.60 5028.10 1998.60 Line
6 4592.22 1997.60 5028.10 1997.60 Line
7 3862.22 1313.79 4280.10 1313.79 Line
8 3897.22 694.64 4315.10 694.64 Line
9 1784.13 2089.20 2202.01 2089.20 Line
10 2501.89 2089.20 2919.77 2089.20 Line
·
·
·
·
·
·
·
·
·
·
·
·
·
·
·
·
·
·
보인 바와 같이, 추출된 레이어는 그 레이어의 위치 정보(End X, End Y, Start X, Start Y)와 객체 중 레이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속성(Name)을 가진다. 여기서, 레이어의 종류는 점, 선, 면, 원 등이 될 수 있다. 레이어의 위치 정보 및 속성을 통해 해당 레이어의 위치와 모양이 인식될 수 있다. 즉, 속성이 선(Line)이기 때문에, 선이 시작되는 좌표에 대한 위치 정보(Start X, Start Y) 및 선이 끝나는 좌표에 대한 위치 정보(End X, End Y)를 통해 해당 레이어가 모양 및 형태를 인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의 도면 번호 20은 도면 시트의 가장 위에 위치한 레이어(선)이며, 이는 표 2의 번호(No.) 1의 레이어의 좌표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추출된 객체 중 텍스트는 다음의 표 2와 같은 형식이 될 수 있다.
No. Value Position X Position Y Height Name
1 F3A 1660.44 1759.53 20.00 Text
2 F6A 1660.44 1092.03 20.00 Text
3 F1 1669.59 2427.03 20.00 Text
4 F9 1669.59 479.53 20.00 Text
5 F1A 2373.44 2427.03 20.00 Text
6 F9A 2373.44 479.53 20.00 Text
7 F3B 2374.47 1759.53 20.00 Text
8 F7 2375.39 1092.57 20.00 Text
9 F7A 3077.37 1092.03 20.00 Text
10 F10 3087.93 479.53 20.00 Text
11 F2 3095.59 2427.03 20.00 Text
12 F4 3095.59 1759.53 20.00 Text
13 F10A 3791.77 479.53 20.00 Text
14 F2A 3799.44 2427.03 20.00 Text
15 F8 3800.61 1092.03 20.00 Text
16 F5 3808.59 1759.53 20.00 Text
17 F8A 4503.37 1093.11 20.00 Text
18 F11 4513.93 479.53 20.00 Text
19 F3 4521.59 2427.03 20.00 Text
20 F6 4521.59 1759.53 20.00 Text
보인 바와 같이, 추출된 텍스트는 그 텍스트의 위치 정보(Position X, Position Y, Height)와 객체의 종류가 텍스트임을 나타내는 속성(Name)과 텍스트의 내용인 값(Value)을 가진다. 객체가 텍스트인 경우, 속성(Name)을 통해 텍스트임이 인식되고, 위치 정보(Position X, Position Y, Height)를 통해 해당 텍스트가 도면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인식되며, 텍스트 값(Value)을 통해 해당 텍스트가 인식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도면 번호가 기술되는 영역(310)의 도면 번호 'F11'은 표 1의 번호(No.) 18의 텍스트 값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관리 장치는 하위 도면을 구분하는 레이어를 이용하여 복수의 하위 도면을 구분하고 블록화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도면 관리 장치는 하위 도면을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한다. 도면 관리 장치는 표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필요한 레이어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상위 도면을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위 도면을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위 도면은 원본 도면(100)이고, 하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원본 도면(100)에 포함된 4개의 도면 시트(200)가 될 수 있다. 블록화를 위해, 도면 관리 장치는 먼저 상위 도면인 원본 도면(100) 내에서 속성(Name)이 폴리라인(Polyline)인 사각형 중 사각형 중 가장 크기가 큰 사각형을 검색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도면 시트(200)가 폴리라인으로 작성되었다고 가정하면, (가)와 같이, 폴리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도면 관리 장치는 상위 도면인 원본 도면(100) 내에서 속성(Name)이 레이어 중 라인(Line)으로 작성된 사각형 중 가장 큰 사각형을 검색한다. 이때, 어느 하나의 도면시트(200)가 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이라고 가정하면, (나)와 같이, 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은 그 사각형의 4변을 이루는 가장 긴 길이의 라인을 순차로 찾는 절차(a, b, c, d)를 통해 검색될 수 있다. 즉, X의 시작값과 끝값이 같은 X축에 평행한 가장 긴 레이어를 찾고(a), 해당 레이어와 수직으로 만나는 가장 긴 레이어를 찾고(b),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두 개의 레이어를 더 찾아(c, d) 원본 도면(100) 내에서 가장 큰 사각형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면 관리 장치는 폴리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된 사각형을 기준 사각형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기준 사각형은 복수의 도면 시트(20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것이다. 이어서, 도면 관리 장치는 기준 사각형과 직교(orthogonal)하는 모든 사각형을 도출한다. 기준 사각형과 직교하는 사각형은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비율(사각형의 가로 세로 비율)을 가지는 사각형이 될 수 있다. 도출된 기준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사각형 각각은 복수의 하위 도면(도면 시트) 각각을 구분한다. 이에 따라, 도면 관리 장치는 기준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사각형을 통해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도면 블록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위 도면을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상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도면 시트(200)이며, 하위 도면은 도면 시트(200)에 포함된 복수의 단위 도면(300)이라고 가정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면 관리 장치는 상위 도면인 도면 시트(200)에 포함된 사각형 중 크기가 큰 순으로 사각형을 순차로 검색하고,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사각형)가 존재할 때, 해당 사각형을 기준 사각형으로 선택하고, 직교하는 모든 사각형을 하위 도면(단위 도면)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한다. 예컨대, 가장 처음 검색되는 가장 큰 사각형은 모든 단위 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51)일 수 있다. 그리고 그 다음 큰 사각형은 표제란(220)의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형(53)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사각형(51, 53)은 직교하는 사각형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세 번째 가장 큰 사각형은 단위 도면(300)의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형(55)이 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도면부호 57이 지시하는 사각형과 같이 상호간에 직교(orthogonal)하는 사각형이 존재할 것이다. 이에 따라, 도면 관리 장치는 복수의 단위 도면(300)을 구분하는 복수의 사각형을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사각형을 이용하여 상위 도면인 도면 시트(200)를 복수의 하위 도면인 복수의 단위 도면(300)으로 블록화 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하위 도면은 상호간에 연관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도면에 대해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서로 연관된 복수의 도면 상호간의 연관성을 도면에 기재된 연관 기호로부터 도출하고, 이를 상호간에 링크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호 연관된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기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2 종류의 연관 기호가 도시되었다. 연관 기호는 원 형상의 레이어와 그 레이어 내부의 텍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표 1 및 표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연관 기호로 사용되는 레이어를 도출하고, 그 내부의 텍스트를 도출한다. 이때, 미리 저장된 연관 기호 패턴을 이용하여 레이어 및 텍스트를 도출할 수 있다. 기호 (A)의 경우, 원의 상부에 텍스트 '3'이 배치되며, 원의 하부에 'A05-002'이 배치된다. 이러한 기호 (A)는 'A05-002'라는 도면번호를 가진 도면에서 세 번째 도면을 나타낸다. 기호 (A)의 경우, 원의 상부에 텍스트 '1'이 배치되며, 원의 하부의 좌우 각각에 'A05' 및 '04'이 배치된다. 이러한 기호 (B)는 "A5-04"라는 도면번호를 가진 도면에서 첫 번째 도면을 나타낸다. 'A05' 또는 'A5'는 도면의 분류를 나타낸다. 일례로, A00은 도면 개요, A01은 기본도면(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등), A02는 마감상세도 등과 같이 도면들을 분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A05-002'는 'A05'라는 도면 분류 내에서 두 번째 도면을 나타낸다. 즉, 한 도면 파일 내에 여러 개의 도면이 존재할 수 있으며, 기호 (A)는 'A05-002' 도면 파일에서 두 번째 작성된 도면을 나타낸다.
연관 기호는 레이어 및 텍스트를 포함하며, 즉, 연관 기호 패턴은 연관 기호임을 나타내는 레이어 형상 및 레이어의 형상에서의 텍스트의 배치 및 내용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를 정의한다. 일례로, 연관 기호 패턴은 원형의 레이어 및 원형의 레이어 상부에 기재된 텍스트의 의미 및 원형의 레이어 하부에 기재된 텍스트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관리 장치는 연관 기호 패턴을 미리 저장하고, 해당 패턴에 따라 연관 기호를 추출하며, 이에 따라, 연관 도면 간의 링크를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관 기호를 포함하는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도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면번호 'A2-05'를 가지는 '지상2층평면도'가 도시되었다. 도면 관리 장치는 도면번호 'A2-05'를 가지는 '지상2층평면도'로부터 미리 저장된 패턴에 따라 복수의 연관 기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관 기호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연관 기호(81, 82, 83)를 포함한다. 제1 연관 기호(81)는 원의 상부에 텍스트 '2'이 배치되며, 원의 하부에 'A4' 및 '06'이 배치된다. 즉, 제1 연관 기호(81)는 도면번호 'A4-06'의 두 번째 도면을 지시한다. 제2 연관 기호(82)는 원의 상부에 텍스트 '2'이 배치되며, 원의 하부에 'A5' 및 '04'가 배치된다. 즉, 제2 연관 기호(82)는 도면번호 'A5-04'의 두 번째 도면을 나타낸다. 그리고 제3 연관 기호(83)는 원의 상부에 텍스트 '1'이 배치되며, 원의 하부에 'A5' 및 '02'가 배치된다. 즉, 제3 연관 기호(83)는 도면번호 'A5-02'의 첫 번째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번호 'A4-06'을 가지는 도면 파일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예컨대, 제1 연관 기호(81)이 지시하는 도면번호 'A4-06'을 가지는 도면 파일에서 두 번째 도면은 도 9에 상부에 도시되며, 제4 연관 기호(91)의 상부에 도시된다. 이에 따라, 도면 관리 장치는 도 7과 도 9를 제1 연관 기호(81) 및 제4 연관 기호(91)를 통해 링크를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관 기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도면 간을 링크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연관 기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도면 간을 연관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관된 복수의 도면이 링크로 연결된다. 이러한 복수의 도면은 연관 기호에 따라 개략적인 도면에서 상세한 도면으로 연결되며, 일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400)는 인터페이스부(410), 입력부(420), 표시부(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10)는 네트워크 연결 혹은 주변 장치와의 연결 등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즉, 인터페이스부(410)는 도면 관리 장치(400)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410)는 모뎀, 인터페이스 카드, 유무선 랜카드, USB 포트, 시리얼 포트, 패러럴 포트, 데이터 버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410)는 다양한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도면 관리 장치(400)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10)는 특히, 도면 관리 장치(400)) 외부로부터 원본 도면(100)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된 원본 도면(100)은 제어부(450)에 전달될 것이다.
입력부(42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각 종 기능,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50)에 전달한다. 입력부(42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문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의 기능은 표시부(4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4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430)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4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430)는 제어부(450)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3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메뉴,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4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42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4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44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도면 관리 장치(4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4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도면 관리 장치(400)의 부팅(booting) 및 운영(operation)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도면 관리를 위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도면 관리 장치(4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은 하드웨어로 구현된 것과 같이 설명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은 저장부(440)에 저장되었다가, 제어부(45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블록화모듈(451)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한다. 정보처리모듈(453)은 블록화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하고, 개별 도면 파일로부터 연관 기호를 추출하여 복수의 개별 도면을 상호간에 링크로 연결한다. 또한, 정보처리모듈(453)은 각 개별 도면 파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개별 도면 파일에 대한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정보검색모듈(455)은 정보처리모듈(453)이 저장한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입력되는 검색어에 따라 제공한다. 이러한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을 포함하는 제어부(4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서 제어부(450)의 블록화모듈(451)은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블록화를 수행하였다고 가정한다. 특히, 블록화모듈(451)의 블록화에 따라 상위 도면이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되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가 이루어진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에 따라, 정보처리모듈(453)은 S110 단계에서 블록화된 복수의 도면으로부터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관 기호 패턴을 이용하여 연관 기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연관 기호 패턴은 레이어 및 텍스트를 포함한다. 즉, 연관 기호 패턴은 연관 기호임을 나타내는 레이어 및 레이어의 형상에서의 텍스트의 배치 및 내용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관 기호를 식별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연관 기호 패턴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처리모듈(453)은 S120 단계에서 연관 기호를 이용하여 상호 연관된 도면을 특정한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지상2층평면도'로부터 도출된 제1 연관 기호(81)는 도면번호 'A4-06'의 두 번째 도면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도면번호 'A4-06'를 가지는 도면 파일을 검색하고, 도면번호 'A4-06'를 가지는 도면 파일에서 연관 기호(91)을 통해 도면번호 'A4-06'의 두 번째 도면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상호 연관된 도면이 특정되면, 정보처리모듈(453)은 S130 단계에서 앞서 특정된 도면 간을 링크로 연결한다. 이때, 선택적으로 연관 기호에 하이퍼링크를 추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처리모듈(453)은 S140 단계에서 복수의 도면 각각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도면에 대한 정보인 도면 정보를 도출하고, S150 단계에서 복수의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부(440)에 저장하고, 개별 도면 파일로부터 추출된 도면 정보를 함께 저장부(440)에 저장하며, 도면 간의 링크를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추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면 각각은 블록화를 거쳐 개별 도면으로 구분되며, 각 개별 도면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보를 포함한다. 각 개별 도면은 상호 연관된 도면 간에 링크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링크에서 상위에 있는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하위에 있는 도면에 상속될 수 있다. 일례로, 최상위에 있는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프로젝트명은 가장 상위에 있는 도면의 도면 정보이며, 최상위에 있는 도면의 하위에 있는 모든 도면에 대한 도면 정보가 될 수 있다.
S140 단계에서 텍스트로 추출되는 도면 정보는 예컨대, 프로젝트명, 도면명, 도면번호, 및 도면에 포함된 내용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 정보처리모듈(453)은 도면 시트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경우, 복수의 도면 시트(200) 중 표제란에서, 혹은 도면목록표(24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위 도면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번호가 기술되는 영역(310)과 도면명이 기술되는 영역(320)이 존재할 수 있다. 정보처리모듈(453)은 이러한 영역(320)으로부터 도면 번호, 도면명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처리모듈(453)은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보를 추출할 때, 텍스트의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표 2를 참조하면, 단위 도면(300)의 도면 번호는 마감상세도에서 단위 도면(300) 각각을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되는 것으로, 해당 단위 도면이 도시하는 부위와 실에 따라 구분하여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단위 도면(300)의 도면 번호는 기본적으로 부위 정보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과 일련번호인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부위 정보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은 F(Floor, 바닥), W(Wall, 벽), B(Baseboard, 걸레받이), C(Ceiling, 천장)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련번호인 숫자는 특별한 규칙 없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모듈(453)은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추출한 텍스트 중 영문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과 같은 패턴을 가지는 텍스트를 도면 번호로 도출한다. 그리고 정보처리모듈(453)은 그 텍스트의 위치(Position X, Position Y, Height)를 통해 해당 텍스트를 해당 도면의 도면 번호로 결정한다. 여기서, 도면의 위치는 표 2에 보인바와 같은 레이어의 위치(End X, End Y, Start X, Start Y)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처리모듈(453)은 텍스트를 추출할 때,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유사어 테이블은 대표어 및 대표어에 대한 유사어를 포함한다. 다음의 표 3은 표제란(220)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어 테이블이다.
대표어 유사어
프로젝트명 설계명, 사업명, 사업명칭, 공사명, project, project title
도면명 도면명, title, drawing title, name of drawing
도면번호 도면번호, drawing no., dwg. no.
정보처리모듈(453)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대표어 혹은 유사어이면, 추출된 텍스트를 대표어로 인식한다. 그리고 추출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해당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이때, 텍스트의 위치(Position X, Position Y, Height)와 도면의 위치와의 매핑을 통해 해당 텍스트를 해당 도면의 도면 번호로 결정한다. 여기서, 도면의 위치는 표 1에 보인바와 같은 레이어의 위치(End X, End Y, Start X, Start Y)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처리모듈(453)은 표제란(220)에서 프로젝트명을 추출할 때, 텍스트가 '프로젝트명', '설계명', '사업명', '사업명칭', '공사명', 'project', 혹은 'project title'인 경우, 표 3과 같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텍스트를 모두 '프로젝트명'으로 인식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453)은 해당 프로젝트명의 바로 옆 텍스트를 실제 프로젝트명으로 도출한다. 예컨대, 표제란(220)에 '공사명 - XXX 아파트 리모델링'과 같은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사명 인접한(바로 옆에 위치한) 텍스트인 'XXX 아파트 리모델링'을 프로젝트명으로 도출할 수 있다. 도면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정보처리모듈(453)은 표 3과 같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텍스트가 '도면명', 'title', 'drawing title', 또는 'name of drawing'인 경우, 해당 텍스트를 모두 대표어인 도면명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정보처리모듈(453)은 해당 도면명의 바로 옆 텍스트를 실제 도면명으로 도출한다. 예컨대, 표제란(220)에 'drawing title: 실내재료마감상세도'과 같은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사명 바로 옆에 위치한 텍스트인 '실내재료마감상세도'를 도면명으로 도출할 수 있다. 도면 번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정보처리모듈(453)은 표 3과 같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텍스트가 '도면 번호', 'drawing no.', 혹은 'dwg. no.'인 경우, 해당 텍스트를 모두 대표어인 도면 번호로 인식한다. 그리고 정보처리모듈(453)은 해당 도면 번호의 바로 옆 텍스트를 실제 도면 번호로 도출한다. 예컨대, 표제란(220)에 'dwg. no.: A02-101'과 같은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사명 바로 옆에 위치한 텍스트인 'A02-101'을 도면 번호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를 추출할 때, 정보처리모듈(453)은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유사어 테이블은 대표어, 대표어의 유사어, 대표어의 상위 개념인 상위어, 대표어의 하위 개념인 하위어 및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을 포함한다. 다음의 표 4는 도면 내용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어 테이블이다.
대표어 속성정보
주차장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 - 기계식주차장, 지하주차장
침투성방수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침투성방수재 -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
침투성방수재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방수재 침투성방수 -
배수판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드레인보드 - PVC배수판, OK배수판, THIS배수판, ...
쇠흙손마감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공법 콘크리트 표면마무리 - 무근콘크리트 쇠흙손마감구배, 콘크리트 쇠흙손마감, ...
... ... ... ... ...
정보처리모듈(453)은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대표어 또는 유사어이면, 추출된 텍스트를 대표어로 인식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453)은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유사어 테이블의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일례로, 추출된 텍스트가 유사어인 'OK배수판"이면, 표 4에 따라 대표어 '배수판'으로 인식하고,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자재'가 '배수판'임을 저장한다. 다른 예로, 텍스트가 유사어 '쇠흙손마감구배'이면, 표 4에 따라 대표어 '쇠흙손마감'으로 인식하고,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공법'이 '쇠흙손마감'임을 저장한다.
한편, 정보처리모듈(453)은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위어 또는 하위어이면, 상위어 또는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 예컨대, 대표어 혹은 유사어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추출된 텍스트를 대표어로 인식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453)은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일례로, 추출된 텍스트가 '침투성방수재'의 하위어인 '침투성방수'이면, 표 4에 따라 도면의 다른 영역에 대표어 '침투성방수', 유사어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대표어 '침투성방수', 유사어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가 존재하면, 해당 텍스트를 '침투성방수재'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자재'가 '침투성방수재'임을 저장한다. 만약, 대표어 '침투성방수', 유사어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텍스트를 '침투성방수'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자재'가 '침투성방수'임을 저장한다. 이러한 도면 정보를 저장할 때, 텍스트의 위치(Position X, Position Y, Height)와 도면의 위치와의 매핑을 통해 해당 텍스트를 해당 도면의 도면 번호로 결정한다. 여기서, 도면의 위치는 표 2에 보인바와 같은 레이어의 위치(End X, End Y, Start X, Start Y)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여기서, 도 1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면으로 블록화되고, 복수의 도면 중 연관된 도면 간에 링크로 연결되며 복수의 도면 각각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여 복수의 도면 각각에 대한 정보인 도면 정보로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정보검색모듈(455)은 도면 검색을 위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표시부(430)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대화 상자(dialogue box: 1301)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화 상자(1301)에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정보검색모듈(455)은 입력부(42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저장부(440)에 저장된 검색어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저장부(44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430)를 통해 검색 결과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정보검색모듈(455)은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와 이에 매핑되는 도면 파일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가 '창고'일 때,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해당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가지는 모든 도면에 대한 검색 결과를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가 세부 사항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도 13과 같은 검색 결과 화면에서 하나의 항목(1302)을 선택하면, 정보검색모듈(455)은 입력부(42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해당 항목(1302)에 상응하는 도면 파일 및 그 도면 파일에 대한 도면 정보를 저장부(44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가 도 14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항목(1302)에 대응하는 도면 파일(1401)과 도면 정보(1402)가 표시된다.
이때, 도면 정보로 연관 기호를 통해 링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관 도면에 대한 링크인 연관 도면 링크가 제공된다. 연관 도면 링크는 도면 부호 1403와 같이 연관 도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필드에 도면 번호로 제공될 수도 있고, 도면 부호 1404과 같이 표시된 도면의 연관 기호로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부(420)를 통해 도면 번호로 이루어진 연관 도면 링크(1403)를 선택하면, 해당 연관 도면의 도면 파일 및 그 도면 파일에 대한 도면 정보를 저장부(44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부(420)를 통해 연관 기호로 이루어진 연관 도면 링크(1404)를 선택하면, 해당 연관 도면의 도면 파일 및 그 도면 파일에 대한 도면 정보를 저장부(44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연관 도면 링크를 통해 제공되는 연관 도면의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는 새로운 팝업창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정보로 유사 프로젝트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의 표 5 및 표 6은 프로젝트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대지 위치 건축용도 설계 단계 건물 규모 연면적 프로젝트 기간
서울 단독주택 기획설계 지하 없음 지상 없음 500m2 이하 1년 이하
경기, 인천 공동주택 계획설계 지하 1~3층 지상 1~5층 500m2~2000m2 1~3년
충청 제1종근린생활시설 기본설계 지하 3~5층 지상 5~20층 2000m2~5000m2 3~5년
강원 제2종근린생활시설 실시설계 지하 5층 초과 지상 20~50층 5000m2~10000m2 5년 초과
전라 문화 및 집회시설 설계감리 지상 50층 이상 10000m2 초과
... ... ... ... ... ... ...
기준 구분 항목
대지 위치 서울, 경기인천, 충청, 강원, 전라, 경상, 제주, 기타
건축용도 단독주택, 공동주택, 제1종근린생활시설, 제2종근린생활시설, 문화및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운동시설, 업무시설, 숙박시설, 위락시설, 공장, 창고시설, 위험물저장및처리시설, 자동차관련시설, 동물및식물관련시설, 분뇨및쓰레기처리시설, 교정및군사시설, 방송통신시설, 발전시설, 묘지관련시설, 관광휴게시설, 장례식장, 기타
건물규모 지하 지하 없음, 지하 1~3층, 지하 3~5층, 지하 5층 초과
지상 지상 없음, 지상 1~5층, 지상 5~20층, 지상 20~50층, 지상 50층 초과
연면적 500m이하, 500~2,000m, 2,000~5,000m, 5,000~10,000m, 10,000m초과
설계단계 기획설계, 계획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설계감리, 기타
프로젝트 기간 1년 이하, 1 ~ 3년, 3 ~ 5년, 5년 초과
표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인 프로젝트 정보가 저장부(440)에 저장된 자료 구조의 일예를 보이며, 표 6은 프로젝트 정보에서 각 항목의 예들을 보인다. 프로젝트 정보는 앞서 S140 단계에서 얻어진 정보 또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검색모듈(455)은 어느 하나의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를 검색하여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표 3 및 표 4에 보인 바와 같은 대지 위치, 건축용도, 건물규모, 연면적, 설계 단계, 프로젝트 기간 등의 복수의 항목 각각은 가중치를 가진다. 예컨대, 대지 위치는 가중치가 0.1이며, 건축용도는 가중치가 0.3이며, 설계 단계는 가중치가 0.2가 될 수 있다. 정보검색모듈(455)은 프로젝트 정보에서 항목별로 비교하여 항목이 일치하는 경우 1점을 부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0점을 부여한다. 이어서, 정보검색모듈(455)은 각 항목의 가중치에 따라 각 항목 점수를 합산하여 유사도를 도출한다. 예컨대, 어느 하나의 프로젝트에 대해 다른 하나의 프로젝트가 복수의 항목 중 대지 위치와 건축용도가 같고 나머지가 다른 경우, 유사도는 0.1 × 1 + 0.3 × 1 = 0.4이다. 정보검색모듈(455)은 전술한 방법을 통해 어느 하나의 프로젝트와 유사한 복수의 프로젝트의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가 높은 순으로 프로젝트를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검색모듈(455)은 전술한 유사 프로젝트 검색 결과를 앞서 도 14의 도면 정보(1402)를 표시하는 영역에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정보검색모듈(455)은 도면(1401)이 속한 프로젝트에 대해 저장부(440)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의 유사도를 도출한다. 이때, 정보검색모듈(455)은 도면(1401)이 속한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와 저장부(440)에 기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의 각 항목을 비교하여 동일한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합산하여 상기 유사도를 도출한다(예컨대, 0.1 × 1 + 0.3 × 1 = 0.4). 유사도가 도출되면, 정보검색모듈(455)은 유사도가 높은 순서로 소정 수의 복수의 프로젝트 정보를 도면 정보(1402)가 표시되는 영역에 추가로 표시하거나, 별도의 윈도우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검색모듈(455)은 전술한 유사 프로젝트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정보검색모듈(455)은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는 표시부(430)를 통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입력부(420)를 통해 프로젝트를 검색하기 위한 프로젝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정보검색모듈(455)은 저장부(440)에 저장된 복수의 프로젝트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도출하고, 유사도 순서로 복수의 프로젝트 정보를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도면 파일 200: 도면 시트
300: 단위 도면 400: 도면 관리 장치
410: 인터페이스부 420: 입력부
430: 표시부 440: 저장부
450: 제어부 451: 블록화모듈
453: 정보처리모듈 455: 정보검색모듈

Claims (32)

  1.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연관 기호 패턴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도면 각각으로부터 연관 기호 패턴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나타내는 연관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연관 기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되,
    상기 연관 기호 패턴에 따라 원형의 레이어를 검출하고,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하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을 검색하며,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상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에서 몇 번째 도면인지를 검출하여 상기 연관 도면을 특정하는 정보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기호 패턴은 연관 기호임을 나타내는 레이어 및 레이어에서의 텍스트의 배치 및 텍스트의 내용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면은 상위 도면이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된 도면이며,
    상기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기 상위 도면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하는 블록화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에서 순차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사각형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사각형이 존재하면,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사각형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 모듈은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하되, 상기 링크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로부터 도면에 대한 정보인 도면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도면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대표어 및 상기 대표어에 대한 유사어를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유사어 혹은 상기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대표어, 상기 대표어의 유사어, 상기 대표어의 상위 개념인 상위어, 상기 대표어의 하위 개념인 하위어 및 상기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을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저장부에 복수의 도면 각각의 도면 파일,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서로 연관된 도면 간의 링크 및 상기 도면 파일에 링크된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의 도면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
    검색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도면 정보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에 링크된 도면 파일을 도면 리스트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도면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도면 및 상기 선택된 도면의 도면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되, 상기 선택된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에 대한 링크인 연관 도면 링크를 제공하는 정보검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도면 링크는 상기 연관 도면 링크에 해당하는 연관 도면의 도면 번호 혹은 연관 기호로 제공되며,
    상기 정보검색모듈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연관 도면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연관 도면 링크와 연결된 연관 도면의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9.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정보처리모듈이 복수의 도면 각각으로부터 연관 기호 패턴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나타내는 연관 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추출된 연관 기호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을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연관 기호 패턴에 따라 원형의 레이어를 검출하고,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하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을 검색하며, 검출된 원형의 레이어의 상단에 기재된 텍스트를 통해 도면 파일에서 몇 번째 도면인지를 검출하여 상기 연관 도면을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기호 패턴은 연관 기호임을 나타내는 레이어 및 레이어에서의 텍스트의 배치 및 텍스트의 내용에 따른 텍스트의 의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1. 삭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면은 상위 도면이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된 도면이며,
    상기 연관 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전,
    블록화모듈이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여, 상기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기 상위 도면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도면에서 순차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사각형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존재하면,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 혹은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하되, 상기 링크를 더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 연결하는 단계 후,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추출된 텍스트로부터 도면에 대한 정보인 도면 정보를 도출하고, 도출된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대표어 및 상기 대표어에 대한 유사어를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유사어 혹은 상기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대표어, 상기 대표어의 유사어, 상기 대표어의 상위 개념인 상위어, 상기 대표어의 하위 개념인 하위어 및 상기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을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며,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30. 제19항에 있어서,
    정보처리모듈이 복수의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도면 중 서로 연관된 도면 간의 링크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도면 각각의 도면 정보를 상기 도면 파일과 링크로 연결하여 저장하는 단계;
    검색어가 입력되면, 정보검색모듈이 상기 도면 정보 중 상기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에 링크된 도면 파일을 도면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도면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선택된 도면 및 상기 선택된 도면의 도면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선택된 도면과 연관된 연관 도면에 대한 링크인 연관 도면 링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도면 링크는 상기 연관 도면 링크에 해당하는 연관 도면의 도면 번호 혹은 연관 기호로 제공되며,
    상기 연관 도면 링크를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연관 도면 링크와 연결된 연관 도면의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32. 제19항, 제20항, 제22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76491A 2015-05-29 2015-05-29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6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91A KR101660415B1 (ko) 2015-05-29 2015-05-29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6491A KR101660415B1 (ko) 2015-05-29 2015-05-29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415B1 true KR101660415B1 (ko) 2016-09-27

Family

ID=5710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491A KR101660415B1 (ko) 2015-05-29 2015-05-29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4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17A (ko) * 2017-03-20 2018-10-01 (주)광개토연구소 인공 지능 기술 기반의 머신 러닝을 사용하는 도면 부호를 포함하는 특허 도면 이미지에 도면 부호의 설명을 맵핑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79997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면 번호 인식을 통한 연결 도면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475028B1 (ko) * 2022-09-19 2022-12-08 (주)아이콘 건축 도면 상호 연결 및 정보 검색 시스템
WO2023121159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위치 정보 기반으로 설계 도면의 정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159A (ja) * 2004-02-27 2005-10-06 Denso Corp 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方法
JP2006221551A (ja) * 2005-02-14 2006-08-24 Ricoh Co Ltd 図面管理方法及び図面管理プログラム
KR20070090321A (ko) * 2006-03-02 2007-09-06 (주)윕스 문서 정보 추출 시스템과 그 추출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JP2010049562A (ja) * 2008-08-22 2010-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図面情報管理装置、図面情報管理システム、図面情報管理方法及び図面情報管理プログラム
KR101058623B1 (ko) 2008-02-27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159A (ja) * 2004-02-27 2005-10-06 Denso Corp 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方法
JP2006221551A (ja) * 2005-02-14 2006-08-24 Ricoh Co Ltd 図面管理方法及び図面管理プログラム
KR20070090321A (ko) * 2006-03-02 2007-09-06 (주)윕스 문서 정보 추출 시스템과 그 추출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KR101058623B1 (ko) 2008-02-27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0049562A (ja) * 2008-08-22 2010-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図面情報管理装置、図面情報管理システム、図面情報管理方法及び図面情報管理プログラ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6517A (ko) * 2017-03-20 2018-10-01 (주)광개토연구소 인공 지능 기술 기반의 머신 러닝을 사용하는 도면 부호를 포함하는 특허 도면 이미지에 도면 부호의 설명을 맵핑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85457B1 (ko) 2017-03-20 2022-04-13 (주)광개토연구소 인공 지능 기술 기반의 머신 러닝을 사용하는 도면 부호를 포함하는 특허 도면 이미지에 도면 부호의 설명을 맵핑 처리하는 방법
KR20190079997A (ko) * 2017-12-28 2019-07-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면 번호 인식을 통한 연결 도면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915B1 (ko) * 2017-12-28 2019-08-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면 번호 인식을 통한 연결 도면 연계 시스템 및 방법
WO2023121159A1 (ko) * 2021-12-23 2023-06-29 주식회사 팀워크 위치 정보 기반으로 설계 도면의 정보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475028B1 (ko) * 2022-09-19 2022-12-08 (주)아이콘 건축 도면 상호 연결 및 정보 검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034B1 (ko) 건축 도면 기반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객체 구성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60415B1 (ko)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6608403B2 (ja) 建築設備図面作成支援システム
EP354396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733333B2 (en) Building data consolidation methods and systems
US8015196B2 (en) Geographic feature name search system
CN114641753A (zh) 使用机器学习从楼层平面图图纸进行合成数据生成和建筑信息模型(bim)要素提取
JP5013793B2 (ja) 2次元cadデータ処理装置、2次元cadデータ処理方法、2次元cad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Barzegar et al. An IFC-based database schema for mapping BIM data into a 3D spatially enabled land administration database
CN109684428A (zh) 空间数据建设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0818082B2 (en) Method and system for parametrically creating an optimal three dimensional building structure
JP5926470B1 (ja) 電子ファイルの構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電子ファイル生成装置、電子ファイル生成方法、電子ファイル
Noardo et al. IFC models for semi-automating common planning checks for building permits
US20240061969A1 (en) Bim component creating method, digital design resource library application method and device
KR101768089B1 (ko) 목차를 이용한 문서 관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139265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wireless acquisition and presentation of local spatial information
KR101642392B1 (ko)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20156418A1 (en) Progress tracking with automatic symbol detection
McIlwaine et al. The new ecumenism: Exploration of a DDC/UDC view of religion
JP2007310503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Mustafa et al. Spatial analysis on Malay buildings for categorization of Malay historic bim library
Tikhonova et al. A tale of two cities-A comparative study of historical urban cores
US10672287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ssessments
KR20220067350A (ko)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CN101901269A (zh) 实时库外键引用显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