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392B1 -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392B1
KR101642392B1 KR1020150070372A KR20150070372A KR101642392B1 KR 101642392 B1 KR101642392 B1 KR 101642392B1 KR 1020150070372 A KR1020150070372 A KR 1020150070372A KR 20150070372 A KR20150070372 A KR 20150070372A KR 101642392 B1 KR101642392 B1 KR 10164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d
text
information
drawings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교진
박형진
박상헌
정진현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0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
    • G06F17/277
    • G06F17/3027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30Polynomial surface descri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Architectur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기 상위 도면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하는 블록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managing drawings and divided drawings,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도면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순차로 구분하여 블록화한 후, 단위 도면 내의 각 종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하여,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을 관리할 수 있는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건설도면은 프로젝트가 진행되면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를 담은 지식의 집성체라고 할 수 있다. 도면에 포함된 지식의 효율적 활용은 중요 지침 제공, 재작업 빈도 감소, 품질 개선 등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지식의 관리는 프로젝트 참여자의 경험 축적, 신기술 도입 등을 촉진하여 기업의 혁신에도 기여한다. 때문에 이러한 도면 내 지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1998년 이후 건설교통부(현재 국토교통부)에서 주도적으로 건설 표준화 장기계획에 의거하여 건설도면의 표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점차적으로 쌓여가는 표준화된 건설도면의 지식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관리체계 또한 필수적이다. 현재 활용되는 대다수의 도면관리시스템은 도면의 등록 과정에서 실무자가 수동으로 정보를 입력해야하는 사항이 많아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이 투입된다. 또한, 도면이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활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 관리하기 어렵다.
미국등록특허 제7058623호 2006년 06월 06일 등록 (명칭: COMPUTER AUTOMATED SYSTEM FOR MANAGEMENT OF ENGINEERING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은 도면과 관련된 정보를 보다 세부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기 상위 도면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하는 블록화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화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에서 순차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사각형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존재하면,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하위 도면을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 혹은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 모듈은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 및 하위 도면 간의 위계 관계를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대표어 및 상기 대표어에 대한 유사어를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유사어 혹은 상기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대표어, 상기 대표어의 유사어, 상기 대표어의 상위 개념인 상위어, 상기 대표어의 하위 개념인 하위어 및 상기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을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는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이 도면 파일로 저장되며,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도면 정보가 상기 도면 파일에 링크되어 저장된 저장부와,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와, 검색어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도면 정보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에 매핑된 도면 파일을 도면 리스트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정보검색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검색모듈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상기 도면 파일 및 상기 도면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블록화모듈이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여, 상기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기 상위 도면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도면에서 순차로 크기가 큰 순서대로 사각형을 검색하고,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존재하면,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 각각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 혹은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 후,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 후,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여 추출된 텍스트를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의 유사어 혹은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의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며,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정보처리모듈이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의 도면 파일 및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도면 정보를 상기 도면 파일에 매핑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정보검색모듈이 검색어를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정보검색모듈이 상기 도면 정보 중 입력된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를 가지는 도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후, 상기 정보검색모듈이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도면의 도면 파일 및 상기 도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면을 분할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순차로 분할하여, 분할된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하고, 각 도면 파일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도면 정보로 저장하기 때문에, 도면과 관련된 정보를 보다 세부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도면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원본 도면의 하위 도면인 도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도면 시트의 하위 도면인 단위 도면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마감상세도는 특정 공간이나 부위에 대해 평면도나 입면도, 단면도 등의 기본 도면에서 표현할 수 없는 상세한 내용을 작성한 도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마감상세도를 대표적인 예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관리 대상인 도면은 단지 마감상세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마감상세도 외에 다른 도면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원본 도면을 가능한 여러 단계에 걸쳐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록화는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구분 짓는 절차이다. 대표적인 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감상세도인 원본 도면을 하위 도면인 복수의 도면 시트로 블록화하고, 각각의 도면 시트는 그 하위의 복수의 단위 도면으로 블록화 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도면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본 도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원본 도면의 하위 도면인 도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도면 시트의 하위 도면인 단위 도면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원본 도면(100)은 마감상세도의 전형적인 예이며, 이러한 원본 도면(100)은 그 하위에 도면목록표(110) 및 복수의 도면 시트(200)를 포함한다. 예컨대, 하나의 원본 도면(100)은 3 내지 5개의 도면 시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본 도면(100)을 하위 도면인 복수의 도면 시트(200)로 블록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하나의 도면 시트(200)는 복수의 단위 도면(300)을 포함하는 영역(210)과 표제란(220)을 포함한다. 예컨대, 하나의 도면 시트(200)는 15 내지 20개의 단위 도면(300)을 포함한다. 또한, 표제란(220)은 도면 시트(200)의 우측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제란(220)에는 도면 시트(200)를 다른 도면 시트(200)와 구분하기 위한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이 기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도면 시트(200)를 하위 도면인 복수의 단위 도면(300)으로 블록화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위 도면(300)은 도면 번호가 기재된 영역(310), 도면명이 기재된 영역(320) 및 단위 도면이 포함된 영역(33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단위 도면(300)의 도면 번호가 기재된 영역(310), 도면명이 기재된 영역(320) 및 단위 도면이 포함된 영역(330)은 별도의 레이어를 통해 구역이 나뉘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인 바와 같이, 마감상세도는 일반적인 도면과는 달리 하나의 도면 시트(200) 내에 복수개의 단위 도면(300)을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일명, 도면명, 표제란 텍스트 정보를 통한 검색 방식으로는 원본 도면의 파일명, 도면명, 도면 번호 혹은 도면 시트의 도면명, 도면 번호만이 도출되기 때문에, 그 보다 하위의 도면인 단위 도면의 검색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세부적인 검색을 위해서는 원본 도면으로부터 하위 도면으로의 블록화를 수행하여,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세분화가 되도록 블록화를 수행한다. 그리고 최소 단위까지 세분화된 도면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 내의 텍스트와 레이어를 포함하는 모든 객체와 그 객체들의 속성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객체에서 텍스트와 레이어의 구분은 Name으로 지정되어 있는 속성을 이용한다. 추출된 객체 중 Name 속성의 값이 Text로 지정되어 있는 객체들은 텍스트로 이용되며, Name 속성의 값이 Line으로 지정되어 있는 객체들은 레이어로 이용된다.
다음의 표 1은 추출된 객체 중 텍스트를 나타낸다. 특히, 텍스트 중 도면 번호를 나타낸다.
No. Value Position X Position Y Height Name
1 F3A 1660.44 1759.53 20.00 Text
2 F6A 1660.44 1092.03 20.00 Text
3 F1 1669.59 2427.03 20.00 Text
4 F9 1669.59 479.53 20.00 Text
5 F1A 2373.44 2427.03 20.00 Text
6 F9A 2373.44 479.53 20.00 Text
7 F3B 2374.47 1759.53 20.00 Text
8 F7 2375.39 1092.57 20.00 Text
9 F7A 3077.37 1092.03 20.00 Text
10 F10 3087.93 479.53 20.00 Text
11 F2 3095.59 2427.03 20.00 Text
12 F4 3095.59 1759.53 20.00 Text
13 F10A 3791.77 479.53 20.00 Text
14 F2A 3799.44 2427.03 20.00 Text
15 F8 3800.61 1092.03 20.00 Text
16 F5 3808.59 1759.53 20.00 Text
17 F8A 4503.37 1093.11 20.00 Text
18 F11 4513.93 479.53 20.00 Text
19 F3 4521.59 2427.03 20.00 Text
20 F6 4521.59 1759.53 20.00 Text
예컨대, 도 3의 도면 번호가 기술되는 영역(310)의 도면 번호 'F11'은 표 1의 번호(No.) 18의 텍스트 값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추출된 전체 객체 중에서 일부는 레이어이며, 그 레이어 중 도면의 테두리를 나타내는 일부만을 사용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면을 다른 도면과 구분하는 테두리인 레이어만을 활용한다. 즉, 각각의 단위 도면(300)의 영역을 구분하는 레이어(예컨대, 도면 부호 300이 지시하는 점선), 표제란을 다른 영역과 구분하는 레이어(예컨대, 도면 부호 220이 지시하는 점선) 등을 활용한다. 해당 레이어는 X축과 Y축 시작값, X축과 Y축 끝값의 좌표값을 활용하여 X축과 Y축에 평행한지 여부와 단위 도면(300)의 도면 번호(310) 텍스트와의 좌표계 상 거리를 통해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추출된 레이어는 다음의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No. End X End Y Start X Start Y Name
1 1598.50 3176.59 5588.50 3176.59 Line
2 1633.50 461.59 5163.50 461.59 Line
3 1633.50 461.59 5163.50 461.59 Line
4 1633.50 3061.59 5163.50 3061.59 Line
5 4592.22 1998.60 5028.10 1998.60 Line
6 4592.22 1997.60 5028.10 1997.60 Line
7 3862.22 1313.79 4280.10 1313.79 Line
8 3897.22 694.64 4315.10 694.64 Line
9 1784.13 2089.20 2202.01 2089.20 Line
10 2501.89 2089.20 2919.77 2089.20 Line
?? ?? ?? ?? ?? ??
도 2의 도면 번호 20은 도면 시트의 가장 위에 위치한 레이어이며, 이는 표 2의 번호(No.) 1의 레이어의 좌표값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 장치(400)는 인터페이스부(410), 입력부(420), 표시부(430), 저장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410)는 네트워크 연결 혹은 주변 장치와의 연결 등을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즉, 인터페이스부(410)는 도면 관리 장치(400) 외부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410)는 모뎀, 인터페이스 카드, 유무선 랜카드, USB 포트, 시리얼 포트, 패러럴 포트, 데이터 버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인터페이스부(410)는 다양한 데이터 송수신 수단으로 도면 관리 장치(400)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10)는 특히, 도면 관리 장치(400)) 외부로부터 원본 도면(100)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수신된 원본 도면(100)은 제어부(450)에 전달될 것이다.
입력부(42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각 종 기능, 동작 등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을 입력받고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50)에 전달한다. 입력부(420)는 키보드, 마우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입력부(420)는 전원 on/off를 위한 전원 키, 문자 키, 숫자 키, 방향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420)의 기능은 표시부(4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경우, 표시부(43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시부(430)만으로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 입력부(4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부(430)는 제어부(450)로부터 화면 표시를 위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별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3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메뉴,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4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420)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신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43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부(44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 종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도면 관리 장치(400)의 동작에 따라 발생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저장부(44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도면 관리 장치(400)의 부팅(booting) 및 운영(operation)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를 위한 방법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영역은 도면 관리를 위한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4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도면 관리 장치(4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도면 관리 장치(4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450)는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은 하드웨어로 구현된 것과 같이 설명될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은 저장부(440)에 저장되었다가, 제어부(450)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블록화모듈(451)은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한다. 정보처리모듈(453)은 블록화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개별 도면 파일로 저장하고, 각 하위 도면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정보를 도면 정보로 해당 하위 도면에 매핑시켜 저장한다. 정보검색모듈(455)은 정보처리모듈(453)이 저장한 도면 파일 및 도면 정보를 입력되는 검색어에 따라 제공한다. 이러한 블록화모듈(451), 정보처리모듈(453) 및 정보검색모듈(455)을 포함하는 제어부(450)의 동작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450)의 블록화모듈(451)은 S110 단계에서 원본 도면을 로드(load)한다. 이러한 원본 도면은 인터페이스부(410)를 통해 입력된 것이거나,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것이 될 수 있다. 원본 도면은 적어도 그 원본 도면인 상위 도면과 상위 도면에 포함되는 복수의 하위 도면을 포함한다.
그러면, 제어부(450)의 블록화모듈(451)은 S120 단계에서 원본 도면에 대한 블록화를 수행하며, S150 단계에서 추가로 블록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블록화가 가능하면, S120 단계를 반복하여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한다. 이러한 블록화는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구분 짓는 절차이다. 즉, 블록화는 블록화모듈(451)이 상위 도면으로부터 복수의 레이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레이어로부터 상위 도면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구분하는 레이어를 도출하고, 도출된 레이어에 따라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구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례로, 상위 도면이 마감상세도의 원본 도면이면, 하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도면 시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위 도면이 마감상세도의 도면 시트이면, 하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단위 도면이 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S150 단계의 블록화가 가능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마감상세도의 원본 도면이 복수의 도면 시트를 포함하며, 각 도면 시트가 복수의 단위 도면을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원본 도면을 복수의 도면 시트로 블록화한 후, 각 도면 시트를 복수의 단위 도면으로 블록화 할 수 있다. 만약, 원본 도면을 복수의 도면 시트로 블록화한 후라면, 추가로 각 도면 시트를 복수의 단위 도면으로 블록화 할 수 있기 때문에, 블록화모듈(451)은 블록화된 하위 도면이 추가로 블록화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만약, 각 도면 시트를 복수의 단위 도면으로 블록화한 후라면, 단위 도면의 하위 도면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블록화모듈(451)은 블록화된 하위 도면이 추가로 블록화가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어느 원본 도면은 복수의 도면 시트만이 존재하며, 각 도면 시트는 하위에 단위 도면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1회 블록화를 수행 한 후라면, 추가로 블록화가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은 도면을 세분화하여 세분화된 정보를 추출하고, 세분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용이하고, 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를 수행할 때마다, 블록화모듈(451)은 S130 단계에서 블록화된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구분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450)의 정보처리모듈(453)은 S140 단계에서 블록화된 하위 도면 각각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이때, 추출된 정보는 해당하는 하위 도면에 매핑되어 저장된다. 예컨대, 이러한 정보는 텍스트,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정보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화모듈(451)은 S150 단계에서 블록화된 하위 도면이 추가로 블록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 블록화가 가능하면, S120 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설명된 S120 단계 내지 S150 단계를 반복한다. 반면, S150 단계의 판단 결과, 추가 블록화가 가능하지 않으면, 블록화를 종료하고, S160 단계로 진행한다.
S160 단계에서 블록화모듈(451)은 블록화된 도면들 간의 위계 관계를 링크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S160 단계에 대한 전형적인 예를 도 6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도면 L100이 존재하며, 도면 L100은 하위에 2개의 도면 L110 및 L120을 포함한다. 또한, 도면 L110은 하위에 3개의 도면 L111, L112 및 L113을 포함한다. 그리고 도면 L120은 하위에 3개의 도면 L121, L122 및 L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 L122만을 살펴보면, 도면 L122는 상위에 도면 L120이 있으며, 그 상위에 도면 L100이 존재한다. 당연하게도, 도면 L122에 대한 정보와, 도면 L122의 상위에 있는 도면 L120에 대한 정보와, 그 상위에 도면 L100에 대한 정보는 상호 연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블록화모듈(451)은 도 6에 보인 바와 같은 블록화된 도면들 간의 위계 관계를 링크하여 저장부(440)에 저장함으로써, 상호 연관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전술한 S120 단계의 도면 블록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7 및 도 8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원본 도면(100)이고, 하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원본 도면(100)에 포함된 제1 도면 시트(210), 제2 도면 시트(220), 제3 도면 시트(230) 및 도면목록표(240)라고 가정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블록화모듈(451)은 S210 단계에서 상위 도면인 원본 도면(100) 내에서 레이어 중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사각형 중 가장 크기가 큰 사각형을 검색한다. 예컨대, 하위 도면 중 제1 도면 시트(210)가 폴리라인으로 작성되었다고 가정하면, (가)와 같이, 폴리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으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블록화모듈(451)은 S220 단계에서 상위 도면인 원본 도면(100) 내에서 레이어 중 라인(Line)으로 작성된 사각형 중 가장 큰 사각형을 검색한다. 이때, 제2 도면시트(120)가 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이라고 가정하면, (나)와 같이, 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은 그 사각형의 4변을 이루는 가장 긴 길이의 라인을 순차로 찾는 절차(a, b, c, d)를 통해 검색될 수 있다. 즉, X의 시작값과 끝값이 같은 X축에 평행한 가장 긴 레이어를 찾고(a), 해당 레이어와 수직으로 만나는 가장 긴 레이어를 찾고(b),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두 개의 레이어를 더 찾아(c, d) 원본 도면(100) 내에서 가장 큰 사각형을 검색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블록화모듈(451)은 S230 단계에서 폴리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한다. 선택된 사각형을 기준 사각형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제1 도면 시트(210), 제2 도면시트(220), 제3 도면 시트(230) 및 도면목록표(24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것이다.
그런 다음, 블록화모듈(451)은 기준 사각형과 직교(orthogonal)하는 모든 사각형을 도출한다. 이를 위하여, 블록화모듈(451)은 S240 단계에서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이때,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이 존재하면, S250 단계로 진행하여,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도출한다. 반면,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사각형이 존재하지 않으면, S260 단계에서 블록화모듈(451)은 기준 사각형과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도출한다. 이에 따라, 기준 사각형과 동일하지 않지만, 동일한 크기를 가지거나, 동일한 비율(사각형의 가로 세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사각형(레이어) 각각은 복수의 하위 도면, 즉, 도면 시트(200)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이에 따라, 기준 사각형이 제1 도면 시트(210)를 이루는 사각형이라고 가정하면, 전술한 S240 단계, S250 단계 및 S260 단계에 따라 제2 도면 시트(220), 제3 도면 시트(230) 및 도면목록표(240)가 검색될 것이다. 그러면, 블록화모듈(451)은 S270 단계에서 기준 사각형 및 앞서(S240, S250 및 S260 단계) 도출된 모든 사각형을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한다. 즉, 제1 도면 시트(210), 제2 도면 시트(220), 제3 도면 시트(230) 및 도면목록표(240)를 블록화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S120 단계의 도면 블록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면 블록화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설명되는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도면 시트(200)이며, 하위 도면은 마감상세도의 도면 시트(200)에 포함된 단위 도면(300)들이라고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블록화모듈(451)은 S310 단계에서 상위 도면인 도면 시트(200)에 포함된 레이어 중 가장 큰 사각형을 검색한다. 그런 다음, 블록화모듈(451)은 S320 단계에서 도면 시트(200)에 포함된 레이어 중 가장 큰 사각형과 직교하는(orthogonal) 레이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즉, 도면 시트(200)에 포함된 레이어 중 가장 큰 사각형이 아니면서 크기 혹은 비율(사각형의 가로 세로 비율)이 동일한 사각형(레이어)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S320 단계의 검색 결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존재하지 않으면, S33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사각형(앞서 S320 단계에서 검색된 가장 큰 사각형)을 기준에서 제외시키고, S330 단계로 회귀하여, 다음으로 가장 큰 사각형을 검색한다.
도 10의 (다)에 도면 시트(200)에서 검색될 수 있는 사각형만을 따로 도시하였다. 가장 처음 검색되는 가장 큰 사각형은 모든 단위 도면을 포함하는 사각형(81)일 수 있다. 그리고 그 다음 큰 사각형은 표제란(220)의 테두리(83)가 될 수 있다. 단위 도면(300)의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형이라면 도면부호 85, 87과 같이 상호간에 직교(orthogonal)하는 사각형이 존재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S310 내지 S330 단계를 반복하여 단위 도면의 테두리를 이루는 사각형을 검색한다.
S320 단계의 검색 결과,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존재하면, 블록화모듈(451)은 S340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사각형을 도출한다. 이러한 사각형(레이어) 각각은 복수의 하위 도면, 즉, 단위 도면(300)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며, 이에 따라, 모든 단위 도면(300)이 도출될 수 있다. 그러면, 블록화모듈(451)은 S350 단계에서 앞서(S340 단계) 도출된 모든 사각형을 하위 도면인 단위 도면으로 블록화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위 도면을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 할 때마다 블록화된 도면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한다(S140 참조). 이때, 추출되는 정보는 텍스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프로젝트명, 도면명, 도면번호, 및 도면에 포함된 내용 등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례로, 도면 시트의 도면 번호 및 도면명의 경우, 표제란(220) 혹은 도면목록표(240)에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위 도면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번호가 기술되는 영역(310)과 도면명이 기술되는 영역(320)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역으로부터 도면 번호, 도면명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로 이루어진 정보를 추출할 때, 텍스트의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 표 1을 참조하면, 단위 도면(300)의 도면 번호는 마감상세도에서 단위 도면(300) 각각을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되는 것으로, 해당 단위 도면이 도시하는 부위와 실에 따라 구분하여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단위 도면(300)의 도면 번호는 기본적으로 부위 정보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과 일련번호인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부위 정보를 나타내는 영문 알파벳은 F(Floor, 바닥), W(Wall, 벽), B(Baseboard, 걸레받이), C(Ceiling, 천장)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련번호인 숫자는 특별한 규칙 없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정보처리모듈(453)은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추출한 텍스트 중 영문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과 같은 패턴을 가지는 텍스트를 도면 번호로 도출하고, 그 텍스트의 위치(Position X, Position Y, Height)와 도면의 위치와의 매핑을 통해 해당 텍스트를 해당 도면의 도면 번호로 결정한다. 여기서, 도면의 위치는 표 2에 보인바와 같은 레이어의 위치(End X, End Y, Start X, Start Y)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를 추출할 때,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유사어 테이블은 대표어 및 대표어에 대한 유사어를 포함한다. 다음의 표 3은 표제란(220)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어 테이블이다.
대표어 유사어
프로젝트명 설계명, 사업명, 사업명칭, 공사명, project, project title
도면명 도면명, title, drawing title, name of drawing
도면번호 도면번호, drawing no., dwg. no.
정보처리모듈(453)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대표어 혹은 유사어이면, 추출된 텍스트를 대표어로 인식한다. 그리고 추출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해당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이때, 텍스트의 위치(Position X, Position Y, Height)와 도면의 위치와의 매핑을 통해 해당 텍스트를 해당 도면의 도면 번호로 결정한다. 여기서, 도면의 위치는 표 2에 보인바와 같은 레이어의 위치(End X, End Y, Start X, Start Y)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처리모듈(453)은 표제란(220)에서 프로젝트명을 추출할 때, 텍스트가 '프로젝트명', '설계명', '사업명', '사업명칭', '공사명', 'project', 혹은 'project title'인 경우, 표 3과 같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해당 텍스트를 모두 '프로젝트명'으로 인식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453)은 해당 프로젝트명의 바로 옆 텍스트를 실제 프로젝트명으로 도출한다. 예컨대, 표제란(220)에 '공사명 ?? XXX 아파트 리모델링'과 같은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사명 인접한(바로 옆에 위치한) 텍스트인 'XXX 아파트 리모델링'을 프로젝트명으로 도출할 수 있다.
도면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정보처리모듈(453)은 표 3과 같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텍스트가 '도면명', 'title', 'drawing title', 또는 'name of drawing'인 경우, 해당 텍스트를 모두 대표어인 도면명으로 인식한다. 그리고 정보처리모듈(453)은 해당 도면명의 바로 옆 텍스트를 실제 도면명으로 도출한다. 예컨대, 표제란(220)에 'drawing title: 실내재료마감상세도'과 같은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사명 바로 옆에 위치한 텍스트인 '실내재료마감상세도'를 도면명으로 도출할 수 있다.
도면 번호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정보처리모듈(453)은 표 3과 같은 유사어 테이블을 참조하여, 텍스트가 '도면 번호', 'drawing no.', 혹은 'dwg. no.'인 경우, 해당 텍스트를 모두 대표어인 도면 번호로 인식한다. 그리고 정보처리모듈(453)은 해당 도면 번호의 바로 옆 텍스트를 실제 도면 번호로 도출한다. 예컨대, 표제란(220)에 'dwg. no.: A02-101'과 같은 텍스트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공사명 바로 옆에 위치한 텍스트인 'A02-101'을 도면 번호로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텍스트를 추출할 때, 저장부(440)에 미리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유사어 테이블은 대표어, 대표어의 유사어, 대표어의 상위 개념인 상위어, 대표어의 하위 개념인 하위어 및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을 포함한다. 다음의 표 4는 도면 내용으로부터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어 테이블이다.
대표어 속성정보
주차장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 - 기계식주차장, 지하주차장
침투성방수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침투성방수재 -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
침투성방수재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방수재 침투성방수 -
배수판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자재 드레인보드 - PVC배수판, OK배수판, THIS배수판, ...
쇠흙손마감 정보 유형 상위어 하위어 유사어
공법 콘크리트 표면마무리 - 무근콘크리트 쇠흙손마감구배, 콘크리트 쇠흙손마감, ...
... ... ... ... ...
정보처리모듈(453)은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대표어 또는 유사어이면, 추출된 텍스트를 대표어로 인식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453)은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유사어 테이블의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일례로, 추출된 텍스트가 유사어인 'OK배수판"이면, 표 4에 따라 대표어 '배수판'으로 인식하고,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자재'가 '배수판'임을 저장한다. 다른 예로, 텍스트가 유사어 '쇠흙손마감구배'이면, 표 4에 따라 대표어 '쇠흙손마감'으로 인식하고,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공법'이 '쇠흙손마감'임을 저장한다.
한편, 정보처리모듈(453)은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위어 또는 하위어이면, 상위어 또는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 예컨대, 대표어 혹은 유사어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추출된 텍스트를 대표어로 인식한다. 그런 다음, 정보처리모듈(453)은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부(440)에 저장한다. 일례로, 추출된 텍스트가 '침투성방수재'의 하위어인 '침투성방수'이면, 표 4에 따라 도면의 다른 영역에 대표어 '침투성방수', 유사어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이때, 대표어 '침투성방수', 유사어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가 존재하면, 해당 텍스트를 '침투성방수재'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자재'가 '침투성방수재'임을 저장한다. 만약, 대표어 '침투성방수', 유사어 '침투방수', '침투성방수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텍스트를 '침투성방수'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그 대표어의 정보 유형인 '자재'가 '침투성방수'임을 저장한다. 이러한 도면 정보를 저장할 때, 텍스트의 위치(Position X, Position Y, Height)와 도면의 위치와의 매핑을 통해 해당 텍스트를 해당 도면의 도면 번호로 결정한다. 여기서, 도면의 위치는 표 2에 보인바와 같은 레이어의 위치(End X, End Y, Start X, Start Y)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검색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여기서, 원본 도면에 대한 도면 블록화가 이루어지고, 블록화된 도면과 그 블록화된 도면에 대한 정보를 모두 저장한 상태라고 가정한다.
정보검색모듈(455)은 도면 검색을 위한 화면인터페이스를 표시부(430)를 통해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대화 상자(dialogue box: 1101)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대화 상자(1101)에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어를 입력하면, 정보검색모듈(455)은 입력부(42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저장부(440)에 저장된 검색어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저장부(44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430)를 통해 검색 결과를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정보검색모듈(455)은 검색어에 상응하는 도면 정보와 이에 매핑되는 도면 파일을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가 '창고'일 때, 도 11에 보인 바와 같이, 해당 텍스트와 관련된 정보를 가지는 모든 도면에 대한 검색 결과를 리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가 세부 사항을 확인하고 싶은 경우, 도 11과 같은 검색 결과 화면에서 하나의 항목(1102)을 선택하는 경우, 정보검색모듈(455)은 입력부(420)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저장부(440)에 저장된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도면 파일 및 그 도면 파일에 대한 도면 정보를 저장부(440)로부터 로드하여 표시부(4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가 도 12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항목(1102)에 대응하는 도면 파일(1201)과 도면 정보(1202)가 표시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화 과정에서 하위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저장하기 때문에, 원본 도면과 같이 전체를 포함된 도면 파일이 아니라, 개별 하위 도면을 검색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 관리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와이어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건설 도면의 경우 작업자의 편의를 위하여 한 파일 내에 여러 개의 도면 시트를 구성하여 한꺼번에 작성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도면 납품 시 하나의 파일에는 하나의 도면만이 포함되게 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개별 단위 도면의 특징을 나타낼 수 없는 정보는 도면 관리의 관점에서의 의미가 적을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는 마감상세도와 같이 복수의 단위 도면이 같은 도면 시트 내에 존재하지만 전혀 다른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단위 도면은 개별적으로 도면 번호와 도면명을 갖지만 종래의 기술은 전체 도면 단위로 관리하기 때문에 이 정보를 검색에 이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소 관리 단위로의 도면 블록화는 도면을 작은 단위 도면으로 블록화 할 수 있고, 단위 도면 내에 존재하는 도면을 명확하게 설명해 줄 수 있는 텍스트와 전체 도면 관련 정보를 연관, 활용하여하여 검색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도면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도면 파일 200: 도면 시트
300: 단위 도면 400: 도면 관리 장치
410: 인터페이스부 420: 입력부
430: 표시부 440: 저장부
450: 제어부 451: 블록화모듈
453: 정보처리모듈 455: 정보검색모듈

Claims (26)

  1.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위 도면에서 크기가 큰 순서에 따라 사각형을 순차로 검색하여,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상기 검색된 사각형을 기준 사각형으로 하여 상기 기준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레이어를 상기 상위 도면의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블록화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 혹은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 모듈은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상위 도면 및 하위 도면 간의 위계 관계를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대표어 및 상기 대표어에 대한 유사어를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유사어 혹은 상기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대표어, 상기 대표어의 유사어, 상기 대표어의 상위 개념인 상위어, 상기 대표어의 하위 개념인 하위어 및 상기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을 포함하는 유사어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정보처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은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저장하고,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상기 하위 도면의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
    화면 표시를 위한 표시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에 일치하는 도면 정보를 가지는 모든 하위 도면을 도면 리스트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정보검색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검색모듈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상기 도면 파일 및 상기 도면 정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16.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블록화모듈이 상위 도면에서 크기가 큰 순서에 따라 사각형을 순차로 검색하여, 검색된 사각형과 직교하는 레이어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상기 검색된 사각형을 기준 사각형으로 하여 상기 기준 사각형과 직교하는 모든 레이어를 상기 상위 도면의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 도면 내에서 폴리라인(Poly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과, 라인(Line)으로 작성된 가장 큰 사각형 중 더 큰 사각형을 선택하고, 선택된 사각형과 동일한 크기 혹은 동일한 비율을 가지는 모든 사각형을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으로 블록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화가 가능한 최소 단위까지 블록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 후,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를 수행하는 단계 후,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중 어느 하나의 도면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여 추출된 텍스트를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의 유사어 혹은 대표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와 가장 인접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기 저장된 유사어 테이블의 상위어 또는 하위어이면, 상기 상위어 또는 상기 하위어에 대응하는 다른 텍스트가 추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대표어로 인식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가 상기 대표어 또는 상기 유사어이면,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로 인식하며,
    상기 대표어로 인식된 텍스트를 상기 대표어가 속한 정보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 유형에 해당하는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상위 도면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을 도면 파일로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하위 도면 각각으로부터 추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를 상기 하위 도면의 도면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정보검색모듈이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정보검색모듈이 상기 검색어에 일치하는 도면 정보를 가지는 모든 하위 도면을 도면 리스트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도면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후,
    상기 정보검색모듈이 상기 도면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항목에 해당하는 도면의 도면 파일 및 상기 도면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6. 제16항,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70372A 2015-05-20 2015-05-20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4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72A KR101642392B1 (ko) 2015-05-20 2015-05-20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372A KR101642392B1 (ko) 2015-05-20 2015-05-20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392B1 true KR101642392B1 (ko) 2016-08-10

Family

ID=5671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372A KR101642392B1 (ko) 2015-05-20 2015-05-20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3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28B1 (ko) * 2022-09-19 2022-12-08 (주)아이콘 건축 도면 상호 연결 및 정보 검색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6159A (ja) * 2004-02-27 2005-10-06 Denso Corp 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方法
US7058623B2 (en) 2000-02-15 2006-06-06 Vhsoft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Computer automated system for management of engineering drawings
JP2010049562A (ja) * 2008-08-22 2010-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図面情報管理装置、図面情報管理システム、図面情報管理方法及び図面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10250518A (ja) * 2009-04-15 2010-11-04 Daikin Ind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8623B2 (en) 2000-02-15 2006-06-06 Vhsoft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Computer automated system for management of engineering drawings
JP2005276159A (ja) * 2004-02-27 2005-10-06 Denso Corp 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回路図面表示データ生成方法
JP2010049562A (ja) * 2008-08-22 2010-03-0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図面情報管理装置、図面情報管理システム、図面情報管理方法及び図面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10250518A (ja) * 2009-04-15 2010-11-04 Daikin Ind Ltd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용량 건설문서 지식기반 자동분할관리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3(1), 2013년 04월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028B1 (ko) * 2022-09-19 2022-12-08 (주)아이콘 건축 도면 상호 연결 및 정보 검색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034B1 (ko) 건축 도면 기반 공사비 산정을 위한 bim 객체 구성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10560511B2 (en) Adaptive tile framework
KR101872564B1 (ko) 무경계 표 검출 엔진
US20200081979A1 (en) Semantic Classification of Entities in a Building Information Model Based on Geometry and Neighborhood
KR101363808B1 (ko) 문서 콘텐츠의 순서화
JP5013793B2 (ja) 2次元cadデータ処理装置、2次元cadデータ処理方法、2次元cad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9760543B2 (en) Graphical tile-based layout
JP6608403B2 (ja) 建築設備図面作成支援システム
CN105575253A (zh) 一种室内地图生成方法及装置
TWI536248B (zh) 桌面圖示的分類顯示方法與系統
Musialski et al. Interactive coherence‐based façade modeling
US20140172731A1 (en) Floor plan creation and worker assignment
CN110662710A (zh) 用于生成和配置电梯目的地调度亭的内容的系统和方法
KR101660415B1 (ko) 연관된 복수의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549792B1 (ko) 문서 자동 작성 장치 및 방법
Zhou et al. Easy generation of personal Chinese handwritten fonts
US9658991B2 (en) Reordering text from unstructured sources to intended reading flow
US11721052B2 (en) Floorplan image tiles
US20210019954A1 (en) Semantic interior mapology: a tool box for indoor scene description from architectural floor plans
US20140298161A1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input boxes in a web page
US20160132215A1 (en) Alternative People Charting for Organizational Charts
US10067926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for identifying table captions for an electronic fillable form
KR101642392B1 (ko) 도면 및 분할된 도면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85628B1 (ko) 공사비 할당에 따른 bim 객체 선정을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40061813A1 (en) Synchronizing Design Mod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