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539B1 -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 Google Patents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539B1
KR101785539B1 KR1020150078206A KR20150078206A KR101785539B1 KR 101785539 B1 KR101785539 B1 KR 101785539B1 KR 1020150078206 A KR1020150078206 A KR 1020150078206A KR 20150078206 A KR20150078206 A KR 20150078206A KR 101785539 B1 KR101785539 B1 KR 10178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tent
circumferential surface
dru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481A (ko
Inventor
박준규
유현승
서준혁
송석범
김한기
금창헌
조재화
진규현
정명호
배인호
임경섭
나재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Priority to KR102015007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53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389The prosthesis being coated or cover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 A61F2310/0097Coating or prosthesis-covering structure made of pharmaceutical products, e.g. antibio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과 상기 스텐트의 내주면의 일부가 미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제1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지그부 및 상기 제1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타측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지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JIG FOR PRODUCING STENTER}
본원은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물코팅 스텐트는 좁아진 혈관을 확장 시키거나 확장된 혈관이 다시 좁아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원통형태로 제작되며, 레이저커팅, 열처리, 전해연마 과정을 거쳐 기본 플랫폼을 형성한다.
약물코팅 스텐트는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 방식을 통해 스텐트의 표면에 재협착을 방지하는 약물과 함께 약물 담지체로 사용되는 고분자가 혼합된 용액을 가지고 약물 코팅 공정을 거쳐 제작될 수 있다.
종래의 약물코팅 스텐트 지그는 스텐트의 한쪽 끝만 고정하여 회전하는 코팅 방식을 사용하였고, 이에 따라 분사되는 코팅 용액에 의해 내/외측 모두 코팅이 되었다.
이러한 약물코팅 스텐트는 내/외측에 모두 약물이 코팅이 됨에 따라, 코팅에 사용되는 고분자가 혈류에 노출이 되어 혈관의 막힘, 혈전증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으로 스텐트를 코팅하는 지그는 스텐트와 접착면에서 발생하는 코팅 용액의 뭉침현상으로 인해 균일하게 코팅이 되지 않으며, 더불어 원자재의 손실과 작업시간을 많이 필요로 하였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2-014030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그부가 스텐트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스텐트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스텐트의 내측면에 약물이 코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지그부에 스텐트와 지그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는 나사산을 패턴화하여, 스텐트와 지그부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코팅용액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더불어 코팅의 균일성을 향상시키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지그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스텐트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스텐트의 편심을 방지하고, 더불어 스텐트와 지그의 평행을 유지시킬 수 있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약물 코팅시 코팅층의 균일성이 확보되도록 제작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에 비해 작업시간을 감소시키며,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은, 지그부의 좌우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스텐트에 삽입되는 지그부의 길이가 조절이 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스텐트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과 상기 스텐트의 내주면의 일부가 미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제1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지그부 및 상기 제1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타측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지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미접촉 상태인 상기 내주면의 일부의 크기는 접촉 상태의 상기 내주면의 다른 일부의 크기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주면의 일부의 크기는 상기 내주면의 다른 일부의 크기보다 2배 내지 10배 중 어느 하나의 배수만큼 큰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홈은, 수나사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수나사산은, 삼각나사산, 사각나사산, 사다리꼴 나사산, 톱니 나사산, 둥근나사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3지그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제1지그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1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1지그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지그부의 직경과 상기 제3지그부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 제작용 지그는, 상기 제2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그부가 고정되지 않은 제2지그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그부, 상기 제2지그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지그부가 스텐트의 내경으로 삽입되어 스텐트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스텐트의 내측면에 약물이 코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지그부에 스텐트와 지그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는 나사산을 패턴화하여, 스텐트와 지그부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코팅용액의 뭉침 현상을 방지하고, 더불어 코팅의 균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지그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스텐트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스텐트의 편심을 방지하고, 더불어 스텐트와 지그의 평행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약물 코팅시 코팅층의 균일성이 확보되도록 제작됨에 따라, 생산성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에 비해 작업시간을 감소시키며, 원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은, 지그부의 좌우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스텐트에 삽입되는 지그부의 길이가 조절이 됨으로써,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스텐트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의 일부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는 약물코팅 스텐트의 외측 코팅을 위한 지그에 적용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인 약물코팅 지그는 스텐트의 한쪽 끝만 고정하여 회전하는 코팅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분사되는 코팅 용액에 의해 내/외측 모두 코팅이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는 스텐트를 코팅시, 스텐트 내경으로 지그부가 삽입되어 스텐트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내측 코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원의 일실시예에 따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는 제1지그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그부(10)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스텐트와의 접촉면을 최소화하기 위한 복수의 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홈(11)은 나사산 모양의 홈을 절삭하여 패턴화한 것으로 일정한 간격 또는 임의의 간격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지그부(10)는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과 상기 스텐트의 내주면의 일부가 미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는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미접촉 상태인 내주면의 일부의 크기는 접촉 상태인 내주면의 다른 일부의 크기보다 큰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주면의 일부의 크기는 상기 내주면의 다른 일부의 크기보다 2배 내지 10배 중 어느 하나의 배수만큼 큰 것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외주면의 일부의 크기는 상기 외주면의 다른 일부의 크기보다 3배만큼 큰 것일 수 있다.
미접촉 상태가 되는 일부와 접촉 상태가 되는 다른 일부는 모두 상기 스텐트에 또는 상기 스텐트의 내주면에 포함된 소정 영역일 수 있다. 이 때, 소정 영역의 일 예는 제1지그부(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스텐트 또는 상기 스텐트의 내주면의 일측단과, 제1지그부(10)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상기 스텐트 또는 상기 스텐트의 내주면의 타측단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소정 영역은 제1지그부(10)와 제2지그부(20)의 경계로부터 제1지그부(10)와 제3지그부(30)의 경계까지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소정 영역은 제1지그부(10)와 제2지그부(20)의 경계와 제1지그부(10)와 제3지그부(30)의 경계까지의 영역 중 제2지그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80%의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홈(11)은 수나사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나나산은 삼각나사산, 사각나사산, 사다리꼴 나사산, 톱니 나사산, 둥근나사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홈(11)이 제1지그부(10)에 형성됨에 따라, 제1지그부(10)와 스텐트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됨으로써, 약물코팅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는 제2지그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그부(20)는 제1지그부(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지그부(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지그부(20)는, 제1지그부(10)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1경사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경사부(21)는 제1지그부(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점점 벌어지는 플레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는 제3지그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지그부(30)는 제1지그부(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지그부(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타측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3지그부(30)는 제1지그부(10)의 복수의 홈(1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3지그부(30)는 제1지그부(10)를 따라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제2지그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되거나, 제2지그부(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2지그부(20)의 직경과 제3지그부(30)의 직경은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에 결합된 스텐트는 동일한 굵기로 확장될 수 있고, 따라서 스텐트에 코팅용액이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제3지그부(30)는 제1지그부(10)의 중심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제2경사부(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경사부(31)는 제1지그부(10)의 외주면으로부터 타측을 향해 점점 벌어지는 플레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지그부(20) 및 제3지그부(30)에 상술한 제1경사부(21)와 제2경사부(31)가 대칭을 이루며 각각 형성됨에 따라, 회전시 발생할 수 있는 스텐트의 편심을 방지하고, 스텐트와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가 평행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지그부(30)의 내주면에는 제1지그부(10)의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관련하여 제1지그부(10)의 수나사산(11)과 제3지그부(30)의 암나사산(32)이 맞물려 제1지그부(10)를 따라 제3지그부(30)가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스텐트에 삽입되는 제1 내지 제3지그부(10,20,30) 중 제2지그부(2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스텐트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제1경사부(21) 및 제2경사부(3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1경사부(21)와 제2경사부(31)의 외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됨에 따라 스텐트와의 접촉면적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지그부(10), 제2지그부(20) 및 제3지그부(30)는 스텐트의 내경을 통과하여 스텐트 내부를 폐쇄함으로써, 코팅용액이 스텐트의 내부로 도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는 연결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40)는 제2지그부(2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지그부(10)가 배치되지 않은 제2지그부(20)로부터 연장되어 제2지그부(20)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40)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를 회전시키는 장치에 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연결부(40)는 손잡이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의 연결부(40)는 도 1 내지 도 2에 두 개의 원통이 결합된 구조로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원통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관련하여 제1지그부(10), 제2지그부(20) 및 손잡이부(4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지그부(10), 제2지그부(20), 제3지그부(30) 및 손잡이부(40)를 포함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의 총길이는 9 내지 12cm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실제로 스텐트에 삽입되는 제1지그부(10), 제2지그부(20) 및 제3지그부(30)의 길이는 4 내지 6cm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는 내식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스테인리스 스틸(STS:Stainless Steel)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를 이용하여 코팅용액이 코팅된 스텐트와 종래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를 이용하여 코팅용액이 코팅된 스텐트를 비교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제1실험은 코팅용액을 초음파 스프레이 코팅방법을 이용하여 금속스텐트의 표면 위에 코팅하고, 진공 건조시켜 제조된 약물코팅 스텐트의 코팅 표면을 광학 현미경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이다. (코팅시 사용했던 장비, 코팅용액의 농도, 코팅 조건은 모두 동일하다.)
1 2
a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1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2
b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3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4
그림1의 a, b는 종래의 약물코팅 지그를 이용하여 코팅용액이 코팅된 스텐트의 내/외측면의 모습이고, 그림2의 a,b는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를 이용하여 코팅용액이 코팅된 스텐트의 내/외측면의 모습이다.
위에서 보이는 사진과 같이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에 따라 스텐트의 코팅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0)를 사용하였을 때, 스텐트 사이에 고분자의 뭉침형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2실험은 약물 코팅시 스텐트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코팅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붉은색을 띄는 색소와 형광물질을 각각 첨가하여 광학 현미경과 형광 현미경으로 스텐트의 표면을 관찰한 것이다.
3 4
c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5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6
d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7
Figure 112015053341129-pat00008
그림3의 c,d는 광학 현미경으로 본 스텐트의 내/외측 모습이고, 그림4의 c,d는 형광 현미경으로 본 스텐트의 내/외측 모습이다.
광학 현미경으로 본 사진을 보면 내측 면에는 붉은색이 관찰되지 않고, 외측면에만 붉은색이 보이는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내측 면에는 약물코팅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광 현미경으로 본 사진 또한, 녹색계열의 형광물질이 스텐트의 외측면에서만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10)는 스텐트의 외측면에만 약물코팅이 가능하게 설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겹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10: 제1지그부
20: 제2지그부
30: 제3지그부

Claims (12)

  1. 스텐트의 외측면에 약물을 코팅하기 위한 지그에 있어서,
    일정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과 상기 스텐트의 내주면의 일부가 미접촉 상태가 되도록 하는 수나사산에 의해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제1지그부;
    상기 제1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일측 외주면에 고정되는 제2지그부; 및
    상기 제1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지그부의 타측 외주면에, 상기 복수의 홈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지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3지그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되,
    상기 미접촉 상태인 상기 내주면의 일부의 크기는 접촉 상태인 상기 내주면의 다른 일부의 크기보다 3배 내지 10배 중 어느 하나의 배수만큼 큰 것이되,
    상기 제 3 지그부는 상기 제 1 지그부의 상기 홈을 따라 좌우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 2 지그부와 이웃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 2 지그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나사산은,
    삼각나사산, 사각나사산, 사다리꼴 나사산, 톱니 나사산, 둥근나사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는,
    상기 제1지그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1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지그부는,
    상기 제1지그부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2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그부의 직경과 상기 제3지그부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제작용 지그는,
    상기 제2지그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지그부가 고정되지 않은 제2지그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그부, 상기 제2지그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경사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KR1020150078206A 2015-06-02 2015-06-02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KR10178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206A KR101785539B1 (ko) 2015-06-02 2015-06-02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206A KR101785539B1 (ko) 2015-06-02 2015-06-02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81A KR20160142481A (ko) 2016-12-13
KR101785539B1 true KR101785539B1 (ko) 2017-10-18

Family

ID=57575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206A KR101785539B1 (ko) 2015-06-02 2015-06-02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686B1 (ko) * 2017-01-17 2018-12-0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KR102468067B1 (ko) * 2020-11-17 2022-11-21 오스템카디오텍 주식회사 스텐트용 지그
KR102341725B1 (ko) * 2021-03-03 2021-12-23 주식회사 세운메디칼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KR102301200B1 (ko) * 2021-03-03 2021-09-13 주식회사 세운메디칼 멤브레인의 점착성이 개선된 스텐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34B1 (ko) 2012-11-20 2014-01-03 주식회사 노아닉스 스텐트 코팅장치
JP2014521459A (ja) * 2011-08-01 2014-08-28 アボット カーディオ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ステント設計構造およびそのコーティング
JP2014226271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カネカ マンドレ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1459A (ja) * 2011-08-01 2014-08-28 アボット カーディオ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ステント設計構造およびそのコーティング
KR101347034B1 (ko) 2012-11-20 2014-01-03 주식회사 노아닉스 스텐트 코팅장치
JP2014226271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カネカ マンドレ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481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539B1 (ko)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US20160091778A1 (en) Camera filter frame and camera filter unit
US8210003B2 (en) Knitting needle and crochet hook assembly
DE112009001826B4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n epitaktischen Wafer und die dabei zum Halten des Wafer verwendete Haltevorrichtung
EP3292842B1 (en) Intravascular stent
DE102015115914A1 (de) Waferanordnung und Verfahren für die Bearbeitung eines Wafers
EP2262018A3 (de) Thermoelektrisch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thermoelektrischen Vorrichtung
US20200066514A1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arts comprising sic deposition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E2743911B2 (ko)
CN106489035A (zh) 滚动轴承的保持架和制造该保持架的方法
EP3178109B1 (de) Substratträger
EP1906461A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optoelektronischen Bauelements und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CN103744134A (zh) 遮光阵列透镜及其制造方法
EP3418039B1 (en) Preparation method and preparation apparatus of carbon fiber sheet molding compound
DE202015102131U1 (de) Nadelloses Anschlussmodul
CN109913802A (zh) 蒸镀掩模、带框架的蒸镀掩模、及它们的制造方法
CN1267662C (zh) 滚珠丝杠的滚轧模具
EP3097901A3 (de) Behälter zum lagern und/oder applizieren einer pharmazeutischen substanz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1102897A1 (de) Kolbenring
KR101374073B1 (ko) 스텐트 코팅장치
DE102016123016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ydrophilen optischen Beschichtung, hydrophile optische Beschichtung und optisches Element mit der hydrophilen optischen Beschichtung
TWI664647B (zh) 絕緣電線與其製造方法
KR102610216B1 (ko) 압입 공정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지립 컨디셔너 제조방법
CN100418414C (zh) 钓竿
DE10201600811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anschlusses und Schlauchanschlu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