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5686B1 -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 Google Patents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5686B1
KR101905686B1 KR1020170007966A KR20170007966A KR101905686B1 KR 101905686 B1 KR101905686 B1 KR 101905686B1 KR 1020170007966 A KR1020170007966 A KR 1020170007966A KR 20170007966 A KR20170007966 A KR 20170007966A KR 101905686 B1 KR101905686 B1 KR 101905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ent
shaft unit
shaft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400A (ko
Inventor
하동헌
이한철
윤원수
조동우
심진형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7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568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5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5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유닛 및 상기 축유닛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파트의 결합에 따라 성형될 스텐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폼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Jig for Manufacturing Stent and Stent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분리 및 결합 가능한 단위파트를 포함하는 폼유닛에 의해 다양한 형상의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혈관, 식도 등 일정한 내경을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는 기관에 침전물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 인공적으로 협착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스텐트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스텐트는 그물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공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협착 부위 내측에서 기관 내벽을 지지함에 따라 기관의 내경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텐트는 제조 특성 상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원기둥 형태의 스텐트는 중공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므로, 스텐트 제조 시 스텐트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해 중공에 삽입되던 중심바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스텐트가 삽입되는 신체 기관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원기둥 형태의 스텐트를 삽입할 경우 신체 기관과의 유격에 의해 압력이 특정 지점에 집중됨에 따라 피시술자가 이물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스텐트를 삽입하고자 하는 신체 기관과 최대한 유사한 형태로 스텐트를 제조할 필요가 있으나, 현실적으로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스텐트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7802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간단한 방법으로 다양한 형상의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텐트 제조용 지그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용 지그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유닛 및 상기 축유닛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파트의 결합에 따라 성형될 스텐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폼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유닛은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위파트는 상기 축유닛의 자성에 의해 상기 축유닛의 둘레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유닛은,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유닛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파트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축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점점 증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파트는, 기 설정된 3차원 상의 3축 방향에 따른 각 축의 최대 단면적을 형성하는 3개의 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축유닛의 단면적 범위 내에 인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유닛은 양측으로 분할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축유닛의 둘레에 서로 분리 가능한 단위파트를 결합하여, 스텐트 성형 이후 용이하게 축유닛과 단위파트를 제거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스텐트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간단한 방법으로 스텐트를 제조 가능하므로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수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다양한 형태의 스텐트를 제조함에 따라 피시술자의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에 있어서, 축유닛이 분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에 있어서, 단위파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에 있어서, 축유닛과 단위파트가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에 있어서, 단위파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용 지그(100)는 축유닛(110)과, 폼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축유닛(110)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유닛(110)은 봉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회전장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장치에 의해 단면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폼유닛(120)은 성형될 스텐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인 표면이 성형될 스텐트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폼유닛(120)은 상기 축유닛(110)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122)를 포함하며, 상기 폼유닛(120)은 상기 복수 개의 단위파트(122) 간 결합에 따라 성형될 스텐트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성형될 스텐트의 형상은 오뚜기 형태의 스텐트인 것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폼유닛(120)은 복수 개의 단위파트(122) 간의 결합에 따라 전체적으로 오뚜기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단위파트(122)는 상기 축유닛(110)에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축유닛(110)은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위파트(122)는 상기 축유닛(110)의 자성에 의해 상기 축유닛(110)의 둘레에 부착되는 형태를 가진다.
도 2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유닛(110)은 외부프레임(112)과, 상기 외부프레임(112)의 내측에 구비되는 코어(114)와, 상기 코어(114)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116)을 포함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축유닛(110)은 상기 외부프레임(112)의 내측에 코어(114) 및 코일(116)이 구비되는 전자석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코일(116)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자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단위파트(122)는 상기 축유닛(110)의 자성에 의해 상기 축유닛(110)의 외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축유닛(110)은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축유닛(110)은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유닛(110)은 복수의 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폼유닛(120)과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축유닛(110)의 분리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축유닛(110)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축유닛(110)을 상기 폼유닛(120)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폼유닛(120)의 내측에는 상기 폼유닛(120)이 점유하고 있던 관통홀(121)이 드러나게 된다. 상기 관통홀(121)은 스텐트를 성형한 이후 상기 폼유닛(120)을 구성하는 각 단위파트(122)를 분리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폼유닛(120)을 구성하는 단위파트(122) 중 임의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축유닛(110)과 나란히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축유닛(110)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지름(d1)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위파트(122)는 전체적으로 비정형을 이루고 있으며, 소정의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위파트(122)는, 기 설정된 3차원 상의 3축 방향, 즉 임의로 설정된 x축, y축, z축 방향 각각을 기준으로, 각 축의 최대 단면적을 형성하는 3개의 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축유닛의 단면적 범위 내에 인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위파트(122)는 3차원 입방체이므로 임의로 설정된 x축, y축, z축 각 방향을 따라 연속된 단면을 가지게 되며, 3개 축을 따른 각 방향 별로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이 나타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임의의 단위파트(122)의 경우, 임의로 설정한 3축을 기준으로, 도 4에 도시된 상기 단위파트(122)의 구도 상 x방향의 단면 중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xc)은 우측면이며, y방향의 단면 중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yc)은 후면이고, z방향의 단면 중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zc)은 하면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출된 상기 단위파트(122)의 각 축 방향의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3개의 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과 겹쳤을 때 상기 축유닛(110)의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적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는 이유는, 상기 축유닛(110)을 상기 폼유닛(1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노출된 관통홀(121, 도 3 참조) 측으로 개별 단위파트(122)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상기 단위파트(122)는, 임의의 3축 방향 각각의 최대 단면적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적 범위 내에 인입 가능하게 겹쳐질 경우, 상기 관통홀(121)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임으로 설정된 3축은 상기 단위파트(122)를 어느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도 설정 가능한 것이며, 특별히 정해진 구도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한 직선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한 단위파트(122)의 각 단면 중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이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적 범위 내에 인입 가능하다면, 상기 단위파트(122)는 상기 관통홀(121)을 통과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이 도시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유닛(110)과 상기 폼유닛(120)을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축유닛(110)을 별도의 회전장치에 안착시킨 상태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폼유닛(120) 역시 상기 축유닛(110)과 함께 회전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3D프린팅장치(10)를 통해 스텐트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물질을 상기 폼유닛(120)의 표면에 분사한다. 그리고 성형되는 스텐트(50)는 세로 방향의 경사 및 가로 방향의 위사를 포함하는 단위사(52)가 서로 교차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위사의 경우 상기 축유닛(110)을 회전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성형물질을 상기 폼유닛(1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분사하게 되며, 경사의 경우 상기 축유닛(110)의 회전을 멈춘 상태에서 성형물질을 상기 폼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유닛(110)의 회전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 정지 및 회전을 반복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의 과정을 거쳐 스텐트(50)의 형상을 형성한 후, 분사된 성형물질을 경화시키고, 스텐트(50)의 경화가 완료된 이후 도 6과 같이 축유닛(110)을 상기 폼유닛(120)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폼유닛(120)의 분리에 따라 상기 스텐트(50)의 양측에는 상기 폼유닛(120)의 관통홀(121, 도 3 참조)과 연통되는 통과홀(51)이 노출될 것이다.
이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텐트(50)의 통과홀(51)을 통해 상기 폼유닛(120)을 구성하고 있는 각 단위파트(122)를 상기 스텐트(50)의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이전 과정에서 상기 축유닛(110)의 분리로 인해 자성이 사라지게 되므로, 상기 각 단위파트(122)는 자연스럽게 서로 해리되어 상기 통과홀(51)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파트(122)는 임의의 방향을 따른 단면 중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이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적 범위 내에 인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텐트(50)의 통과홀(51)을 통해 배출하는 과정 역시 지장없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50)의 제조가 완성되며, 상기 스텐트(50)는 단면적이 불규칙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축유닛(110)의 둘레에 서로 분리 가능한 단위파트(122)를 결합하여, 스텐트 성형 이후 용이하게 축유닛(110)과 단위파트(122)를 제거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스텐트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축유닛(110)이 전자석 형태로 형성되며, 폼유닛(120)을 구성하는 각 단위파트(122)는 은 상기 축유닛(110)의 자성에 의해 상기 축유닛(110)의 둘레에 부착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폼유닛(120)은 2개의 레이어(L1, L2)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보다 직경이 큰 단면의 스텐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축유닛(110)이 전자석 형태로 형성되므로, 각 단위파트(122) 간에 별도의 결합 수단이 형성되지 않더라도 자성만으로 서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자성에 의한 결합 방식에 의해 복수의 레어어를 가지는 폼유닛(120)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에 있어서, 축유닛(110)과 단위파트(122)가 서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제조용 지그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축유닛(110)과 상기 단위파트(122)가 서로 물리적인 방법으로 결합되는 방식을 가진다. 즉 상기 축유닛(110)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파트(122)에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축유닛(110)과 상기 단위파트(122)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의 결합 방식은 그 제한이 없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축유닛(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111)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123)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삽입돌기(123)는 상기 단위파트(12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11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단위파트(122) 및 상기 축유닛(110)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11)은 상기 축유닛(110)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되는 개수의 단위파트(122)가 상기 축유닛(110)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홈(111)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점점 증가되도록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23) 역시 상기 가이드홈(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축유닛(110)과 상기 단위파트(122)의 결합 시 상기 단위파트(122)가 둘레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 역시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상기 단위파트(122)는 임의로 설정된 x축, y축, z축 방향 각각을 기준으로, 각 축의 최대 단면적을 형성하는 3개의 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적 범위 내에 인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임의의 단위파트(122)의 경우, 임의로 설정한 3축을 기준으로 도 12에 도시된 상기 단위파트(122)의 구도 상 x방향의 단면은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xc)은 어느 단면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y방향의 단면 중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yc)은 상기 삽입돌기(123)를 포함하는 상기 단위파트(122)의 중심에 위치된 단면이며, z방향의 단면 중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단면(zc)은 최상부에 위치된 상면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출된 상기 단위파트(122)의 각 축 방향의 최대 단면적을 가지는 3개의 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과 겹쳤을 때 상기 축유닛(110)의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축유닛(110)의 단면적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 역시 스텐트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유닛(110)을 외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단위파트(122)와의 결합을 해제하고, 상기 단위파트(122)를 스텐트의 통과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파트(122)가 하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것만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단위파트(122)가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실시예 역시 전술한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위파트(122)를 복수 개 적층하여 복수의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단위파트(122)의 삽입돌기(123)가 형성된 면의 반대 측 면에는 다른 단위파트(122)의 삽입돌기(123)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3D프린팅장치 50: 스텐트
51: 통과홀 52: 단위사
100: 스텐트 제조용 지그 110: 축유닛
111: 가이드홈 112: 외부프레임
114: 코어 116: 코일
120: 폼유닛 121: 관통홀
122: 단위부재 123: 삽입돌기

Claims (9)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회전축을 형성하는 축유닛; 및
    상기 축유닛의 둘레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 개의 단위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단위파트의 결합에 따라 성형될 스텐트의 외형을 형성하는 폼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축유닛은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위파트는 상기 축유닛의 자성에 의해 상기 축유닛의 둘레에 부착되는 스텐트 제조용 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유닛은,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 내측에 구비되는 코어; 및
    상기 코어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
    을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유닛에는 제1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단위파트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텐트 제조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축유닛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를 포함하는 스텐트 제조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깊이가 깊어질수록 폭이 점점 증가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스텐트 제조용 지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파트는,
    기 설정된 3차원 상의 3축 방향에 따른 각 축의 최대 단면적을 형성하는 3개의 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축유닛의 단면적 범위 내에 인입 가능하게 형성된 스텐트 제조용 지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유닛은 양측으로 분할 가능하게 형성된 스텐트 제조용 지그.
  9.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스텐트 제조용 지그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KR1020170007966A 2017-01-17 2017-01-17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KR101905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66A KR101905686B1 (ko) 2017-01-17 2017-01-17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66A KR101905686B1 (ko) 2017-01-17 2017-01-17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400A KR20180084400A (ko) 2018-07-25
KR101905686B1 true KR101905686B1 (ko) 2018-12-05

Family

ID=6305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966A KR101905686B1 (ko) 2017-01-17 2017-01-17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56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3219A1 (en) 2001-03-15 2002-09-19 Robert Barry Magnetic st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2725A (en) * 1992-09-14 1996-10-08 Meadox Medicals Inc. Radially self-expanding implantable intraluminal device
IL115756A0 (en) 1994-10-27 1996-01-19 Medinol Ltd Stent fabrication method
EP1786363B1 (en) * 2004-08-13 2010-04-14 Setagon, Inc. Methods for making medical devices having nanoporous layers
US8206635B2 (en) * 2008-06-20 2012-06-26 Amaranth Medical Pte. Stent fabrication via tubular casting processes
KR101187213B1 (ko) * 2010-04-20 2012-10-02 주식회사 엠아이텍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혈관 확장용 스텐트
KR101572934B1 (ko) * 2013-11-05 2015-11-30 주식회사 비씨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미끄럼 방지형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지그
KR101785539B1 (ko) * 2015-06-02 2017-10-1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33219A1 (en) 2001-03-15 2002-09-19 Robert Barry Magnetic s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400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352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objects using investment molding techniques
US9636853B2 (en) Molded bod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eat material for veh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071694B1 (en) Magnet assembly of an MRI system with concentric annular ferromagnetic laminations
CN104822319B (zh) 倾斜磁场线圈装置及磁共振成像装置
DE102015209795A1 (de) Bal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8877110B2 (en) Method of molding a single-piece hollow shell including perforations
KR101905686B1 (ko)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
GB2512176A (en) Stent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5119142A1 (ja) チューブ、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金型
DE10219767A1 (de) Neuartige Fertigungsweise des HF-Antennen-Trägerrohres (Körperspule) eines Magnet-Resonanz-Tomographiegerätes
JP6534188B2 (ja) チューブ、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金型
JPH04233138A (ja) 偏向ヨークコイル
KR102289323B1 (ko) 레이저 가공 폴리머 몰드를 이용한 초미세 3차원 마이크로 로봇 제작방법
JP6484788B2 (ja) 立体パズル
JP4233164B2 (ja) 転動体連結体
JP3869024B2 (ja) 射出成形マグネットロー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ITRM940054A1 (it) Corpo di struttura a treccia.
CN108431623B (zh) 具有紧密包装的绕组的磁场梯度线圈及其制造方法
JP2007237665A (ja) 樹脂成型体の製造方法
JPH081829A (ja) ローラの製造方法
CN220095255U (zh) 一种磁吸式导管抽芯装置
JP2023096522A (ja) 導波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3636257B2 (ja) ゴルフボールの射出成形用金型
JP2009213712A (ja) 球技用ボールの製造方法及び球技用ボール
JPH0664001A (ja) 樹脂マグネットロール用射出成形金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