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034B1 - 스텐트 코팅장치 - Google Patents

스텐트 코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034B1
KR101347034B1 KR1020120131443A KR20120131443A KR101347034B1 KR 101347034 B1 KR101347034 B1 KR 101347034B1 KR 1020120131443 A KR1020120131443 A KR 1020120131443A KR 20120131443 A KR20120131443 A KR 20120131443A KR 101347034 B1 KR101347034 B1 KR 101347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coating
holder
coating apparatus
mand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아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아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아닉스
Priority to KR1020120131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0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310/00Prostheses classified in A61F2/28 or A61F2/30 - A61F2/44 being constructed from or coated with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관이나 위장관 및 담도 등이 좁아지거나 막힌 경우에 해당 부위에 삽입하여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정상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의료기구인 스텐트의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침지에 의해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거나, 코팅액의 낭비가 심하고, 코팅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짐으로 인해 스텐트 자체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던 종래의 스텐트 코팅방법 및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는 일 없이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팅액의 분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은 방지하고,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번의 코팅작업으로 복수의 스텐트를 코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텐트 코팅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텐트 코팅장치{Coating apparatus for stents}
본 발명은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혈관이나 위장관 및 담도 등과 같이,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경우에 해당 부위에 삽입하여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정상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의료기구인 스텐트의 표면을 코팅하기 위한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는 일 없이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코팅액의 분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은 방지하는 동시에,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텐트란, 관상동맥의 치료목적으로 개발된 것으로서, 악성 혹은 양성 질환에 의해 혈관이나 위장관 및 담도 등에서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때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지 않고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부위에 삽입하여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정상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원통형의 의료용 재료이다.
더 상세하게는, 동맥경화증 등과 같은 관상동맥 협착성 질환은, 일반적으로 경피적 관상동맥확장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을 사용하여 치료하게 되며, 이러한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은, 1977년 그루언지그(Gruentzig)가 이른바 카테터라 불리는 풍선 형태의 기구를 삽입하여 처음 시술한 이후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시술되고 있다.
그러나 카테터를 이용한 종래의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은, 시술중 또는 시술 후에 급성폐색(acute closure) 및 재협착(restenosis)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ㄷ다.
따라서 이러한 재협착을 줄이기 위하여, 종래, 아데렉토미(atherectomy), 로타뷸레이션(rotabulation), TEC(transluminal extraction catheter), 엑시머 레이저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excimer laser coronary angioplasty) 및 스텐트(stent)의 삽입 등의 새로운 방법들이 연구된 바 있으나, 이들 방법 중 스텐트를 삽입하여 물리적으로 재협착된 부위를 넓히고 유지시키는 시술 이외에는 확실하게 재협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경피적 관상동맥 형성술(PTCA) 후의 확장부의 유지에 스텐트를 사용한 경우에도, 비록 PTCA뿐인 경우와 비교하여 재협착율이 낮기는 하나, 약 20 ~ 30%의 비율로 재협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식도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암의 증식에 따라 협착된 식도 부위를 물리적인 힘으로 넓혀 환자가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명을 연장시키고자 할 때 상기와 같이 스텐트를 삽입하는 시술이 시행되는데, 종래의 금속 스텐트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종양의 크기가 커지면 스텐트 금속망의 틈 사이로 암의 침윤이 지속되어 다시 식도 내강이 좁아지는 재협착 현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스텐트 삽입 후의 재협착이 발생하는 주된 원인은 내막비후이므로, 최근에는, 내막비후의 직접적 원인인 혈관 평활근 세포의 유주 및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약제를 스텐트에 코팅하고, 스텐트 유치 부위에서 약제를 방출시킴으로써 재협착을 예방하는 약제 방출 타입의 스텐트의 개발이 행하여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약제로서는, 탁솔(파클리탁셀), 마이토마이신C, 아드리아마이신, 게니스테인, 티르포스틴, 사이토카라신, 시로리무스(라파마이신) 등이 사용되며, 이러한 약제의 코팅은, 이들 약제와 생체 적합성 폴리머를 용매에 용해한 코팅액을 소정량의 약제가 스텐트의 표면에 존재하도록 스텐트의 일부 혹은 전체에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종래의 스텐트 코팅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코팅액에 스텐트를 침지시켰다가 끌어올린 후 건조, 고화시켜 스텐트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침지법과, 스텐트를 회전 및/또는 스프레이 노즐이 이동하면서 스텐트의 외주면 및/또는 내주면에 코팅액을 분사하고 건조, 고화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스프레이법 등이 있다.
여기서, 침지법은, 침지에 의해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스트러츠 사이의 피막)나 브리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러한 웨브나 브리지는 스텐트의 기계적 기능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는 데 더하여, 스텐트 장착 후에 웨브나 브리지의 일부가 파괴 혹은 박리되어 말초 혈관까지 흐르면 혈액 순환 장해를 발생시킬 우려도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스프레이법은, 분사된 코팅액이 스텐트에 부착되는 양보다 비산되는 양이 더 많아 코팅액의 낭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코팅액에 포함되는 약제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매우 고가이므로, 코팅액의 낭비는 스텐트 자체의 비용 상승으로 직결되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또한, 코팅액에 포함되는 약제는 독성을 가지는 약제가 많으므로, 스프레이에 의해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안전 관리를 엄중하게 행할 필요도 있어 설비 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종래의 스텐트 코팅장치들은, 한번에 하나의 스텐트만을 코팅하도록 구성되어 그만큼 코팅에 걸리는 작업시간이 더디고 번거로움으로 인해 스텐트 자체의 생산성을 높이는데에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 코팅방법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스텐트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데 더하여, 복수의 스텐트를 한번에 코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스텐트 코팅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는 일 없이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스텐트 코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팅액의 분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은 방지하는 동시에,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텐트 코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스텐트를 동시에 장착 및 코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코팅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은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텐트 코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스텐트를 동시에 장착 및 코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팅액의 분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코팅액이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텐트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 코팅될 스텐트가 장착되는 스텐트 장착부; 상기 스텐트 장착부에 인접하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텐트의 코팅작업이 이루어지는 코팅부; 상기 스텐트 장착부에 장착된 스텐트를 상기 코팅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코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팅부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코팅액 공급부;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의 동작과 코팅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및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부; 및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의 동작 및 코팅작업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컴퓨터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텐트 장착부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 및 내부의 공간에 장착되는 스텐트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스텐트 홀더는, 상기 스텐트 홀더에 결합되는 복수의 맨드릴; 및 각각의 상기 맨드릴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텐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코팅부는, 상기 스탠트 장착부와 인접하는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텐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텐트 홀더에 설치된 임의의 맨드릴을 상기 스텐트 삽입공을 통하여 상기 코팅부로 이동시키도록 신축가능한 이동 암을 통하여 상기 스텐트가 설치된 상기 맨드릴을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 및 코팅작업을 위해 상기 이동 암을 통하여 코팅위치에 위치된 맨드릴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맨드릴 구동모터; 및 임의의 맨드릴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스텐트 홀더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스텐트 홀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코팅부는, 상기 스텐트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스텐트 삽입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한 코팅장치는,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스텐트 홀더를 회전시킴으로써 코팅하고자 하는 스텐트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코팅장치는, 하나의 스텐트 홀더에 대한 코팅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덮개부를 열고 코팅이 완료된 스텐트 홀더를 꺼낸 다음, 다른 스텐트 홀더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스텐트 코팅장치를 이용하여 스텐트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여 스텐트 장착 후에 혈액 순환 장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던 종래의 스텐트 코팅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는 일 없이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스텐트 코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된 코팅액이 스텐트에 부착되는 양보다 비산되는 양이 더 많아 코팅액의 낭비가 심하고, 스프레이에 의해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관리에 대한 설비 비용이 요구되어 스텐트 자체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종래의 스텐트 코팅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코팅액의 분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은 방지하는 동시에,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텐트 코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번에 하나의 스텐트만을 코팅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시간이 더디고 생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던 종래의 스텐트 코팅장치들의 단점을 해결하여, 복수의 스텐트를 동시에 장착 및 코팅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코팅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스텐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텐트 코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에 설치되는 스텐트 장착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스텐트 장착부에 장착되는 스텐트 홀더에 코팅하고자 하는 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맨드릴에 스텐트를 결합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스텐트가 결합된 복수의 맨드릴이 스텐트 홀더에 결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스탠트 장착부와 인접하는 코팅부의 벽면에 스텐트 삽입공이 형성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스텐트가 장착된 맨드릴을 스텐트 삽입공을 통해 코팅부의 코팅 위치로 이동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스텐트가 장착된 맨드릴을 스텐트 삽입공을 통해 코팅부로 이동시킨 후, 분사노즐에서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여 스텐트 장착 후에 혈액 순환 장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던 종래의 스텐트 코팅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는 일 없이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된 코팅액이 스텐트에 부착되는 양보다 비산되는 양이 더 많아 코팅액의 낭비가 심하고, 스프레이에 의해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 관리에 대한 설비 비용이 요구되어 스텐트 자체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었던 종래의 스텐트 코팅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코팅액의 분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약제가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한번에 하나의 스텐트만을 코팅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시간이 더디고 생산성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던 종래의 스텐트 코팅장치들의 단점을 해결하여, 복수의 스텐트를 동시에 장착 및 코팅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코팅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스텐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텐트 코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10)는, 크게 나누어, 스텐트 코팅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11)와, 코팅될 스텐트가 장착되는 스텐트 장착부(12),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스텐트의 코팅작업이 이루어지는 코팅부(13), 스텐트 장착부(12)에 장착된 스텐트를 코팅부(13)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4), 코팅부(13)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코팅액 공급부(15),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10)의 동작과 코팅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및 조작스위치 등이 설치되는 전면 패널부(16) 및 상기 본체(11)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10)의 동작 및 코팅작업의 세부적인 내용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코팅부(12), 스텐트 장착부(13), 구동부(14), 코팅액 공급부(15), 전면 패널부(16)는 상기한 본체(11)에 설치되나, 상기한 제어부(17)는 본체(11) 외부에 설치되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어부(17)가 외부에 설치되는 컴퓨터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상기한 제어부(17)는, 본체(11)의 외부에 설치되는 별도의 하드웨어일 수도 있고, 또는, 몸체(11) 내에 내장되어 설치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10)에 설치되는 스텐트 장착부(12)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 장착부(12)는, 코팅부(13)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덮개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텐트 장착부(12)의 내부에는 코팅될 스텐트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공간 안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코팅될 스텐트가 결합된 스텐트 홀더(22)를 장착하여 코팅작업을 행하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스텐트 장착부(12)에 장착되는 스텐트 홀더(22)에 코팅하고자 하는 스텐트를 설치하기 위하여 맨드릴(31)에 스텐트(32)가 결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32)가 결합된 복수의 맨드릴(31)이 스텐트 홀더(22)에 결합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드릴(31)의 끝에 코팅될 스텐트(32)를 장착하고, 이어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32)가 장착된 복수의 맨드릴(31)을 스텐트 홀더(22)에 결합한 다음, 상기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 장착부(12)에 스텐트 홀더(22)를 위치시킨다.
그 후, 구동부(14)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스텐트 홀더(22)에 설치된 스텐트(32)를 코팅부(13)로 이동시켜 코팅작업을 행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스탠트 장착부(12)와 인접하는 코팅부(13)의 벽면에 스텐트 삽입공(51)이 형성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텐트 장착부(12)와 코팅부(13)가 접하는 벽면에는 복수의 스텐트 삽입공(51)이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스텐트 삽입공(51)을 통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에 의해 스텐트 홀더(22)에 설치된 스텐트(32)를 코팅부(13)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한 구동부(14)는, 스텐트 홀더(22)에 설치된 임의의 맨드릴(31)을 상기한 스텐트 삽입공(51)을 통하여 코팅부(13)로 이동시키도록, 스텐트(32)가 설치된 맨드릴(31)을 선택적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기능과 함께, 원하는 맨드릴(31)을 선택하기 위해 스텐트 홀더(22)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구동부(14)는, 스텐트 홀더(22)에 설치된 임의의 맨드릴(31)을 스텐트 삽입공(51)을 통하여 코팅부(13)로 이동시키도록, 예를 들면, 신축가능한 이동 암을 이용하여, 스텐트(32)가 설치된 맨드릴(31)을 선택적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동시에, 상기한 이동 암을 회전시킴으로써 코팅위치에 위치된 맨드릴(31)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맨드릴 구동모터 및 임의의 맨드릴(31)을 선택하기 위해 스텐트 홀더(32)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스텐트 홀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스텐트 삽입공(51)이 2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텐트 홀더에 장착되는 스텐트 및 스텐트 삽입공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스텐트(32)가 장착된 맨드릴(31)을 스텐트 삽입공(51)을 통해 코팅부(13)의 코팅 위치로 이동시킨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드릴(31)에 스텐트(32)를 결합하고 스텐트 홀더(22)에 장착한 후, 맨드릴(31)이 장착된 스텐트 홀더(22)를 스텐트 장착부(12)에 위치시킨 다음, 구동부(14)를 통하여 원하는 스텐트(32)가 장착된 맨드릴(31)을 스텐트 삽입공(51)을 통해 코팅부(13)로 이동시키면, 코팅부(13) 내에서 코팅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스텐트(32)가 장착된 맨드릴(31)을 스텐트 삽입공(51)을 통해 코팅부(13)로 이동시킨 후, 분사노즐(71)에서 코팅액을 분사하여 코팅작업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스텐트 삽입공(51)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분사노즐(71)을 통하여 스텐트(32)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함으로써, 복수의 스텐트(32)에 대하여 코팅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코팅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부(14)를 구동하여 스텐트 홀더(22)를 회전시킴으로써, 코팅이 완료된 스텐트를 하나하나마다 일일이 꺼내고 다시 장착할 필요 없이, 코팅하고자 하는 스텐트를 용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아울러, 스텐트 홀더(22)에 장착된 스텐트에 대한 코팅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스텐트 홀더(22)에 코팅하고자 하는 스텐트를 계속하여 결합해 두고, 하나의 스텐트 홀더에 대한 코팅작업이 완료되면 덮개부(21)를 열고 코팅이 완료된 스텐트 홀더를 꺼낸 다음 바로 다른 스텐트 홀더로 교체함으로써, 대량의 스텐트에 대한 코팅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컴퓨터나 전용의 제어장치로 구성되는 제어부(17)를 통하여 스텐트 홀더(22)의 구동 및 복수의 분사노즐(71)을 통한 코팅액의 분사가 정밀하게 제어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스텐트에 대한 코팅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복수의 스텐트에 대하여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는 일 없이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코팅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더하여, 스텐트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스텐트 코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코팅장치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스텐트 코팅장치 11. 본체
12. 스텐트 장착부 13. 코팅부
14. 구동부 15. 코팅액 공급부
16. 전면 패널부 17. 제어부
21. 덮개부 22. 스텐트 홀더
31. 맨드릴 32. 스텐트
51. 스텐트 삽입공 71. 분사노즐

Claims (10)

  1. 복수의 스텐트를 동시에 장착 및 코팅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텐트의 공간부에 웨브나 브리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균일한 두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동시에, 코팅액의 분사를 정확하게 제어하여 코팅액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코팅액이 환경 중에 비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스텐트 코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의 몸체를 형성하는 본체;
    코팅될 스텐트가 장착되는 스텐트 장착부;
    상기 스텐트 장착부에 인접하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텐트의 코팅작업이 이루어지는 코팅부;
    상기 스텐트 장착부에 장착된 스텐트를 상기 코팅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
    상기 코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코팅부에 코팅액을 공급하는 코팅액 공급부;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의 동작과 코팅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및 조작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면 패널부; 및
    상기 스텐트 코팅장치의 동작 및 코팅작업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텐트 장착부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덮개부; 및
    내부의 공간에 장착되는 스텐트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스텐트 홀더는,
    상기 스텐트 홀더에 결합되는 복수의 맨드릴; 및
    각각의 상기 맨드릴의 일단에 결합되는 스텐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컴퓨터 또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몸체 내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스탠트 장착부와 인접하는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스텐트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스텐트 홀더에 설치된 임의의 맨드릴을 상기 스텐트 삽입공을 통하여 상기 코팅부로 이동시키도록 신축가능한 이동 암을 통하여 상기 스텐트가 설치된 상기 맨드릴을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 및 코팅작업을 위해 상기 이동 암을 통하여 코팅위치에 위치된 맨드릴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맨드릴 구동모터; 및
    임의의 맨드릴을 선택하기 위해 상기 스텐트 홀더를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스텐트 홀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스텐트의 표면에 코팅액을 분사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스텐트 삽입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스텐트 홀더를 회전시킴으로써 코팅하고자 하는 스텐트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하나의 스텐트 홀더에 대한 코팅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덮개부를 열고 코팅이 완료된 스텐트 홀더를 꺼낸 다음, 다른 스텐트 홀더로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코팅장치.
  10. 삭제
KR1020120131443A 2012-11-20 2012-11-20 스텐트 코팅장치 KR10134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43A KR101347034B1 (ko) 2012-11-20 2012-11-20 스텐트 코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43A KR101347034B1 (ko) 2012-11-20 2012-11-20 스텐트 코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034B1 true KR101347034B1 (ko) 2014-01-03

Family

ID=5014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443A KR101347034B1 (ko) 2012-11-20 2012-11-20 스텐트 코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0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73B1 (ko) 2013-01-14 2014-03-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텐트 코팅장치
KR20160075239A (ko) 2014-12-19 2016-06-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정밀 스텐트 스핀코팅장치 및 방법
KR101785539B1 (ko) 2015-06-02 2017-10-1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1019B1 (en) 1988-07-29 1994-06-22 Wyman-Gordon Company Dual-alloy disk system
EP0850651B1 (en) 1996-12-20 2004-02-25 Schneider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drug-release coatings
KR20100014459A (ko) * 2007-03-20 2010-02-10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코팅 방법과 코팅 장치
KR20110037495A (ko) * 2009-10-07 2011-04-1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다축로봇을 이용한 비혈관계 나노 복합체 스텐트 코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31019B1 (en) 1988-07-29 1994-06-22 Wyman-Gordon Company Dual-alloy disk system
EP0850651B1 (en) 1996-12-20 2004-02-25 Schneider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drug-release coatings
KR20100014459A (ko) * 2007-03-20 2010-02-10 테루모 가부시키가이샤 코팅 방법과 코팅 장치
KR20110037495A (ko) * 2009-10-07 2011-04-13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다축로봇을 이용한 비혈관계 나노 복합체 스텐트 코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073B1 (ko) 2013-01-14 2014-03-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스텐트 코팅장치
KR20160075239A (ko) 2014-12-19 2016-06-29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정밀 스텐트 스핀코팅장치 및 방법
KR101785539B1 (ko) 2015-06-02 2017-10-1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81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coating a medical article
US9072622B2 (en) Coating method and coating apparatus
JP6114274B2 (ja) マグネシウム合金を含む吸収性ステント
US9084874B2 (en) Method and system to maintain a fixed distance during coating of a medical device
CN102448406B (zh) 支架
US8632837B2 (en) Direct fluid coating of drug eluting balloon
US20050228477A1 (en) Topographic coatings and coating methods for medical devices
KR101347034B1 (ko) 스텐트 코팅장치
US9393385B2 (en) Maintaining a fixed distance by providing an air cushion during coating of a medical device
US8940358B2 (en) Maintaining a fixed distance by laser or sonar assisted positioning during coating of a medical device
JP2009240490A (ja) コーティング装置とコーティング方法
KR101666944B1 (ko) 약물용출풍선 카테터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JP2007229123A (ja) ステント
US10561510B2 (en) Customizing the elution profile of a stent
KR101837681B1 (ko) 약물용출풍선용 코팅장치
KR101417749B1 (ko) 인공혈관 코팅시스템
EP3034048B1 (en) Stent production method
KR101440309B1 (ko) 노즐 선택형 스텐트 코팅시스템
KR20160050606A (ko) 초음파 스텐트 코팅 시스템
KR20160062532A (ko) 에어 분사노즐과 코팅액 분사노즐을 구비한 초음파 스텐트 코팅용 분사장치
Lee et al. Drug-eluting stent in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Modi et al. Stent Coating: Recent Advances in Pharmaceutical Co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