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725B1 -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 Google Patents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725B1
KR102341725B1 KR1020210028385A KR20210028385A KR102341725B1 KR 102341725 B1 KR102341725 B1 KR 102341725B1 KR 1020210028385 A KR1020210028385 A KR 1020210028385A KR 20210028385 A KR20210028385 A KR 20210028385A KR 102341725 B1 KR102341725 B1 KR 102341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stent
block
coating
surface rough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희
문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운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운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운메디칼
Priority to KR102021002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725B1/ko
Priority to JP2023550651A priority patent/JP2024507267A/ja
Priority to EP21929282.8A priority patent/EP4302729A1/en
Priority to CN202180093502.1A priority patent/CN117202874A/zh
Priority to PCT/KR2021/004176 priority patent/WO202218642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725B1/ko
Priority to US18/241,184 priority patent/US2023040473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05B13/0228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the movement of the objects being rot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05C13/02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fo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77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 A61F2002/0081Special surfaces of prostheses, e.g. for improving ingrowth directly machined on the prosthetic surface, e.g. holes,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25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rough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1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 A61F2250/0039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different values of a given property or geometrical feature, e.g. mechanical property or material property, at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ame prosthesis differing in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rosthes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지그샤프트부;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블록부; 상기 제1블록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가변적으로 배치되는 제2블록부; 및 상기 지그샤프트부, 상기 제1블록부 및 상기 제2블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면 거칠기가 형성되는 표면영역;을 포함하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VARIABLE COATING JIG FOR STENT HAVING SURFACE ROUGHNESS AND STENT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스텐트용 코팅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팅액을 도포하여 스텐트에 얇은 막인 멤브레인을 형성할 때 사용되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는 인체의 장기나 혈관의 협착, 담도의 협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구이다. 스텐트는 스텐트가 삽입되는 부위를 강제적으로 확장시켜 장기의 전달물질 (체액, 혈액 등의 유체, 기체 및 음식물 또는 효소 등)의 원활한 흐름을 갖게 한다. 한편, 이런 스텐트에는 스텐트 외부에서 종양 및 암세포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얇은 피막 즉, 멤브레인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텐트의 멤브레인은 코팅지그를 이용한 코팅공정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스텐트는 인체의 사용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코팅지그 역시 다수 개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는 매우 높은 공정 비용과, 설치 공간을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멤브레인은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점착성(stickiness)을 갖고 있었다. 한편, 스텐트는 카테터 등 삽입 기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술할 때, 병변 부위에 전개된다. 따라서, 스텐트는 삽입 기구에 미리 넣어 둔 상태로 보관을 한다. 이 때, 스텐트에는 외력이 작용하며, 스텐트의 직경은 최소화된다. 그 결과, 스텐트는 길게 늘어나게 되고, 멤브레인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장시간 보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의 내측면은 그 재질적 특성,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삽입 기구에서 전개될 때, 부분적으로 서로 달라붙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 스텐트는 생산 과정에서 생체 적합성이 검증된 고가의 실리콘 파우더나 오일 등을 사용하여 멤브레인에 처리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였다. 그러나, 이는 점착성으로 인한 기존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지 못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5686호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Jig for Manufacturing Stent and Stent Manufactured by the Sam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5539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jig for producing stent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0156호 스텐트 지그(jig for stent manufac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4291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MAKING JIG FOR SELF-EXPANIDING STEN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텐트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종래 코팅공정에 소요되던 매우 높은 공정 비용을 줄이고, 코팅지그에 의해 점유되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또한, 종래 스텐트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별도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멤브레인부의 점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코팅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고가의 실리콘 파우더나 오일 등을 도포하는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기존 스텐트의 생산 공정을 개선할 수 있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코팅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텐트의 생산 비용을 줄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카테터 등에 스텐트가 장시간 보관된 경우에도, 시술할 때 원래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복원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지그샤프트부;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일단에 고정 결합되는 제1블록부; 상기 제1블록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가변적으로 배치되는 제2블록부; 및 상기 지그샤프트부, 상기 제1블록부 및 상기 제2블록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면 거칠기가 형성되는 표면영역;을 포함하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를 제공한다.
상기 제2블록부는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어느 일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1블록부와 상기 제2블록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연속적으로 변경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그샤프트부, 상기 제1블록부 및 상기 제2블록부에는 코팅액이 도포되는 코팅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영역 이외의 비코팅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2블록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블록부는,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양단이 연통되는 회전체부; 및 상기 관통홀과 동심으로 상기 회전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링형 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부에 수용 배치되어 상기 제2블록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영역은 무질서하게 형성되는 불규칙성 음각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거칠기는 수십 내지 수백 μm 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거칠기는 샌드블라스팅공정 또는 에칭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를 이용한 코팅공정을 통해 멤브레인부가 형성되는 스텐트를 제공한다.
상기 멤브레인부의 내측면에는 미세조면이 형성되어, 상기 멤브레인부 사이의 점착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텐트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이를 통해, 종래 코팅공정에 소요되던 매우 높은 공정 비용을 줄이고, 코팅지그에 의해 점유되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코팅지그는 스텐트를 제작하는 종래 과정에서 별도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멤브레인부의 점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코팅지그는 기존 스텐트의 생산 공정을 개선하여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는 카테터 등에 스텐트가 장시간 보관된 경우에도, 시술할 때 원래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1블록부와 제2블록부에 대한 다양한 조합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제2블록부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표현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코팅지그에 의해 멤브레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코팅지그에 의해 형성된 멤브레인부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사진.
본 개시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블록부와 제2블록부에 대한 다양한 조합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제2블록부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J)는 지그샤프트부(10), 제1블록부(20), 제2블록부(30), 표면영역(40), 스토퍼부(50) 등을 포함한다.
먼저, 스텐트(S)는 1) 와이어가 그물망처럼 지그재그 형태로 직조되어 메쉬 구조가 형성되는 바디부(100)와, 2) 메쉬 구조에 의해 와이어 사이에 존재하는 빈 공간 즉, 통공에 얇은 막 형태로 형성되는 멤브레인부(200)를 포함한다. 바디부(100)는 중공의 원통 형상인 원통관부(110)과 원통관부(110)의 어느 일단 또는 양단에 형성되는 확관부(120)를 포함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지그(J)는 바디부(100)에 멤브레인부(200)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미세조면(300)이 함께 형성되도록 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지그샤프트부(10)는 단면이 일정한 반경(r1)을 갖는 원형이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 형상의 피회동 요소이다. 지그샤프트부(10)는 코팅지그(J) 외부에 배치되는 회전구동장치(D)에 결합되어, 축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지그샤프트부(10)의 일단에는 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a결합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제1a결합부(12)에 대응하여, 제1블록부(20)의 선단에는 암나사산 홈 형태의 제1b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그샤프트부(10)의 타단에는 지그샤프트부(10)가 회전구동장치(D)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홈 형태의 제2결합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제1블록부(20)는 지그샤프트부(10)의 일단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블록부(20)는 지그샤프트부(1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블록부(20)의 위치는 고정된다. 이와 달리, 제2블록부(30)는 제1블록부(20)와 대향 배치되며, 지그샤프트부(1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가변적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블록부(20)와 제2블록부(30)는 플랜지 형상(F1) 및 플레어 형상(F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선택 가능한 제1블록부(20)와 제2블록부(30)의 조합은 총 4가지가 된다. 이와 달리, 제1블록부(20)와 제2블록부(30)는 다양한 회전체 형상 중 어느 하나로 설계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 형상(F1)은 일정한 반경(r2)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의미한다. 이 때, r2는 r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어 형상(F2)은 원뿔대 형상을 의미한다. 플레어 형상(F2)에서, 아랫면 반경(r3)과 윗면 반경(r4)은 r1보다 각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2블록부(30)는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홀(34)이 형성되어 양단이 연통되는 회전체부(32)와, 관통홀(34)과 동심으로 회전체부(32)의 하단에 형성되는 링형 홈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지그샤프트부(10)의 외주면과 관통홀(34)에 의해 제2블록부(30)에 형성되는 내주면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 제2블록부(30)는 지그샤프트부(10)의 타단에서 관통홀(34)을 통해 지그샤프트부(10)에 끼워지면, 지그샤프트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블록부(30)는 지그샤프트부(10)의 어느 일 위치에 고정되며, 제1블록부(20)와 제2블록부(30) 사이의 이격 거리(L)는 연속적으로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것처럼, 제2블록부(30)는 제1블록부(20)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된다. 제1블록부(20) 및/또는 제2블록부(30)가 플레어 형상(F2)인 경우, 제1블록부(20) 및/또는 제2블록부(30)는 윗면이 먼저 지그샤프트부(10)의 어느 일단에 끼워지는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지그(J)는 제2블록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스토퍼부(50)의 배치 위치는 어느 일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지그(J)에서 지그샤프트부(10), 제1블록부(20) 및 제2블록부(30)에는 코팅액(C)이 도포되는 코팅영역(C1)이 형성된다. 코팅액(C)은 바디부(100)에 멤브레인부(200)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액상 재료이다. 코팅영역(C1)은 바디부(100)가 코팅지그(J)에 장착될 때, 코팅지그(J) 중 바디부(100)가 접촉되는 접촉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영역(C1)은 제1블록부(20)의 측면에서, 측면의 전부 또는 측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영역(C1)은 제2블록부(30)의 측면에서, 측면의 전부 또는 측면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영역(C1)은 지그샤프트부(10)의 측면에서, 특히 제1블록부(20)와 제2블록부(30) 사이에 배치되는 지그샤프트부(10)의 외주면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코팅지그(J)에는 코팅영역(C1) 이외의 비코팅영역(C2)이 형성될 수 있다. 비코팅영역(C2)은 코팅공정에서 코팅액(C)이 도포되지 않는 영역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50)는 코팅영역(C1) 이외의 비코팅영역(C2)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토퍼부(50)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50)는 비코팅영역(C2) 중 특히, 제2블록부(30)의 홈부(36)에 수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스토퍼부(50)는 오링(O-ring)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스토퍼부(50)는 지그샤프트부(10)와 홈부(36)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압입되어, 제2블록부(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J)는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 스텐트(S)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코팅공정에 소요되던 매우 높은 공정 비용을 줄이고, 코팅지그(J)에 의해 점유되던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지그(J)는 지그샤프트부(10), 제1블록부(20) 및 제2블록부(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표면 거칠기가 형성되는 표면영역(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영역(40)은 무질서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불규칙성 음각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음각홈은 그 형상, 모양이 일정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영역(40)은 반복적이며, 규칙적 특성을 갖는 어느 일 형태의 패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한다.
한편, 표면영역(40)은 코팅지그(J)의 겉면, 즉 코팅지그(J)의 외측면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영역(40)은 지그샤프트부(10)에 제1블록부(20)와 제2블록부(30)가 각각 조립,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표면영역(40)은 지그샤프트부(10), 제1블록부(20) 및 제2블록부(30)가 분리되어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상태에서, 그 외측면 전부에 형성될 수 있다.
표면영역(40)의 표면 거칠기(조도)는 수치를 통해 그 정도를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지그(J)에서 표면 거칠기는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μm) 크기 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지그(J)에서 표면 거칠기는 예를 들어, 30 내지 300 μm 크기 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표면 거칠기는 코팅액(C)의 성분, 점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코팅지그(J)에서 멤브레인부(200)를 형성하는 코팅공정이 종료된 이후, 스텐트(S)는 코팅지그(J)에서 수거될 수 있다. 이 때, 표면영역(40)의 표면 거칠기가 300 μm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지그(J)에서 스텐트(S)를 분리하는 수거 공정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는, 멤브레인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미세조면(300)으로 인해, 스텐트(S)가 코팅지그(J)의 표면에서 쉽게 분리 이탈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표면영역(40)의 표면 거칠기가 30 μm 크기 미만인 경우, 멤브레인부(200)의 내측면 사이에는 점착(stickiness) 현상으로 인한 종래 문제점이 나타나게 된다.
코팅지그(J)(또는, 코팅지그의 표면)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코팅지그(J)(또는, 코팅지그의 표면)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그샤프트부(10), 제1블록부(20) 및 제2블록부(30)는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코팅지그(J)가 폴리머 재질인 경우, 코팅지그(J)(또는, 분리된 상태에 있는 지그샤프트부, 제1블록부 및 제2블록부)에는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공정 또는 연마제블라스팅(Abrasive blasting)공정에 의해 표면 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래, 샌드블라스팅공정은 다양한 재질의 미세 입자를 압축공기로 분사하여 표면을 깨끗하게 처리하는 공정이다. 그런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샌드블라스팅공정은 코팅지그(J)에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된다.
샌드블라스팅공정은 코팅지그(J)의 재질, 두께 등에 따라 분사제, 분사압력, 분사시간 등의 조건을 달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제는 예를 들어, HA (Hydroxy Apatite) 또는 Zirconia 및 Glass Bid 등 일 수 있다. 이런, 샌드블라스팅공정은 표면 거칠기의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어도 1회 이상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코팅지그(J)가 금속 재질인 경우, 코팅지그(J)(또는, 분리된 상태에 있는 지그샤프트부, 제1블록부 및 제2블록부)에는 에칭공정에 의해 표면 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코팅지그(J)는 여러 단계로 이루어지는 에칭공정을 거치면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이런 에칭공정은 복수의 전처리 및 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칭공정은 산성 용액으로 에칭하는 에시드에칭(acid etching)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칭액은 에칭조에 준비될 수 있다. 그 다음, 코팅지그(J)는 미리 설정되는 온도 및 시간 조건에서 에칭조에 침지되어, 그 표면이 에칭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에칭액은 예를 들어, 분무 방식으로 코팅지그(J)의 표면을 향해 분무될 수 있다.
그 결과, 코팅지그(J)에는 표면영역(40) 이내에 30 내지 300 μm 크기 이내의 균일한 범위를 갖는 표면 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다. 그 밖에, 표면 거칠기를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 화학적 표면 가공법이 사용될 수 있다. 기계적 표면 가공법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널링공정일 수 있다.
지그샤프트부(10)의 타단이 회전구동장치(D)에 결합되면, 코팅지그(J)는 지그샤프트부(10)를 기준으로 축 회동될 수 있다. 한편, 회전구동장치(D)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동모터(M)를 포함하여 구동력을 제공한다. 바디부(100)가 코팅지그(J)에 마운팅되면, 코팅지그(J)가 축 회동되면서 바디부(100)에 폴리머 재질의 재료가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코팅지그에 의해 멤브레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회전구동장치(D)는 미리 설정되는 회전 속도, 회전 주기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코팅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먼저 코팅지그(J)에는 바디부(100)가 장착된다. 그리고, 코팅지그(J)가 회전하면, 폴리머 재질의 코팅액(C)이 바디부(100)에 도포된다. 이런, 코팅액(C)은 호퍼 등의 수용부에 보관, 저장될 수 있다. 코팅액(C)은 노즐을 통해 액상으로 분사되거나 또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코팅액(C)은 코팅지그(J)의 축 회동에 따른 원심력으로, 바디부(100)에 전체적으로 스프레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코팅액(C)은 바디부(100)에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S)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J)를 이용한 코팅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코팅공정에서, 코팅액(C)은 미리 설정되는 온도 분위기에 노출된다. 그리고, 코팅액(C)은 일정 시간 경과하면 경화된다. 그 결과, 바디부(100)에는 멤브레인부(200)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공정은 코팅지그(J)의 스피닝(spinning) 동작을 포함한다.
코팅공정에서, 멤브레인부(200)의 내측면에는 미세조면(300)이 형성되어 멤브레인부(200) 사이의 점착성을 감소시킨다. 미세조면(300)은 멤브레인부(200)가 경화되는 공정에서 형성된다. 즉, 미세조면(300)은 1) 코팅액(C)이 먼저 에어로졸(Aerosol State)이나 액체상(liqid state)의 형태로 코팅지그(J)에 도포되면, 2) 그 다음, 코팅지그(J)가 미리 설정되는 회전 속도 등으로 스피닝되는 동작에서, 3) 코팅지그(J)에 도포된 코팅액(C)이 고체상(solid state)인 멤브레인부(200)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코팅지그(J)는 스텐트(S)를 제작하는 종래 과정에서 별도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 멤브레인부(200)의 점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코팅지그에 의해 형성된 멤브레인부의 내측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멤브레인부(200)가 형성되는 스텐트(S)는 바디부(100), 멤브레인부(200) 및 미세조면(300)을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멤브레인부(200)는 변형에 강하고,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 형상으로 쉽게 복원할 수 있는 고탄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멤브레인부(200)는 표면이 매끄러워 마찰계수가 극히 낮은 재질적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미세조면(300)은 표면영역(40)에 대응하여 멤브레인부(200)의 내측면 전부 또는 적어도 어느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면(300)은 멤브레인부(200)의 외측면에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멤브레인부(200)의 내주면에는 미세조면(300)이 형성된 제1영역과 미세조면(300)이 형성되지 않은 제2영역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조면(300)은 무질서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불규칙성 양각돌기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세조면(300)은 복수의 불규칙성 요철, 복수의 불규칙성 엠보싱, 복수의 불규칙성 문양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면(300)은 반복적이며, 규칙적 특성을 갖는 어느 일 형태의 패턴(pattern)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제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면(300)의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는 수십 내지 수백 마이크로미터(μm) 크기 이내의 범위를 갖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면(300)의 표면 거칠기는 30 내지 300 μm 크기 이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조면(300)은 멤브레인부(200)의 내측면 점착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런, 미세조면(300)은 스텐트(S)가 삽입 기구에 보관될 때, 멤브레인부(200) 내측면 사이의 면 접촉을 감소시킨다. 그 결과, 미세조면(300)은 바디부(100)의 내측 공간에 접촉면적이 증가되어 점착성이 증가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텐트(S)는 멤브레인부(200)의 점착성 감소 현상을 통해 카테터 등에 스텐트(S)가 장시간 보관된 경우에도, 원래 형상으로 효과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지그샤프트부 20: 제1블록부
30: 제2블록부 40: 표면영역
50: 스토퍼부

12: 제1a결합부 14: 제2결합부
32: 회전체부 34: 관통홀
36: 홈부
J: 코팅지그 L: 이격 거리
C: 코팅액 D: 회전구동장치
C1: 코팅영역 C2: 비코팅영역
F1: 플랜지 형상 F2: 플레어 형상
S: 스텐트
100: 바디부 110: 원통관부
120: 확관부 200: 멤브레인부
300: 미세조면

Claims (10)

  1. 일단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지그샤프트부;
    상기 수나사산에 대응하여 암나사산 홈을 통해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일단에 나사 결합되는 제1블록부;
    상기 제1블록부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가변적으로 배치되는 제2블록부; 및
    상기 지그샤프트부, 상기 제1블록부 및 상기 제2블록부의 외측면에 표면 거칠기가 형성되는 표면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영역은 반복적이며 규칙적 특성을 갖는 어느 일 형태의 패턴이 아닌, 무질서하게 형성되는 불규칙성 음각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표면 거칠기는 30 μm 내지 300 μm 이내의 범위이며,
    코팅지그에 스텐트의 바디부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팅지그에 도포된 코팅액이 고체상인 멤브레인부로 형성되면, 상기 멤브레인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표면영역에 대응하여 무질서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불규칙성 양각돌기에 의한 미세조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부는, 회전축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양단이 연통되는 회전체부; 및 상기 관통홀과 동심으로 상기 회전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는 링형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외주면과 상기 관통홀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이 존재하고,
    상기 홈부에 수용 배치되어 상기 제2블록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지그샤프트부와 상기 홈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압입되어 상기 제2블록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블록부는 상기 지그샤프트부의 어느 일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제1블록부와 상기 제2블록부 사이의 이격 거리는 연속적으로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샤프트부, 상기 제1블록부 및 상기 제2블록부에는 코팅액이 도포되는 코팅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코팅영역 이외의 비코팅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거칠기는 샌드블라스팅공정 또는 에칭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28385A 2021-03-03 2021-03-03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KR102341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85A KR102341725B1 (ko) 2021-03-03 2021-03-03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JP2023550651A JP2024507267A (ja) 2021-03-03 2021-04-05 表面粗さを有するステント用可変型コーティング治具および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るステント
EP21929282.8A EP4302729A1 (en) 2021-03-03 2021-04-05 Variable coating jig for stent having surface roughness, and stent produced by means of same
CN202180093502.1A CN117202874A (zh) 2021-03-03 2021-04-05 具有表面粗糙度的支架用可变形涂布治具以及由该涂布治具制造的支架
PCT/KR2021/004176 WO2022186420A1 (ko) 2021-03-03 2021-04-05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US18/241,184 US20230404733A1 (en) 2021-03-03 2023-08-31 Variable coating jig for stents, having surface roughness, and stent manufactu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85A KR102341725B1 (ko) 2021-03-03 2021-03-03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725B1 true KR102341725B1 (ko) 2021-12-23

Family

ID=7917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385A KR102341725B1 (ko) 2021-03-03 2021-03-03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04733A1 (ko)
EP (1) EP4302729A1 (ko)
JP (1) JP2024507267A (ko)
KR (1) KR102341725B1 (ko)
CN (1) CN117202874A (ko)
WO (1) WO202218642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4545A1 (en) * 2003-09-29 2005-04-07 Medtronic Vascular, Inc. Stent with improved drug loading capacity
KR20130029863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덴티스 고친수성 임플란트 제조방법
JP2014521459A (ja) * 2011-08-01 2014-08-28 アボット カーディオ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ステント設計構造およびそのコーティング
JP2014226271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カネカ マンドレル
KR20160142481A (ko) *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3220A1 (en) * 2014-04-02 2015-10-0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Covered endoscopic stents with adhesion elements
KR101666944B1 (ko) * 2015-05-06 2016-10-17 주식회사 노아닉스 약물용출풍선 카테터의 코팅장치 및 코팅방법
KR101964635B1 (ko) * 2017-07-25 2019-04-02 주식회사 엠아이텍 이탈 방지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4545A1 (en) * 2003-09-29 2005-04-07 Medtronic Vascular, Inc. Stent with improved drug loading capacity
JP2014521459A (ja) * 2011-08-01 2014-08-28 アボット カーディオヴァスキュラー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ステント設計構造およびそのコーティング
KR20130029863A (ko) * 2011-09-16 2013-03-26 주식회사 덴티스 고친수성 임플란트 제조방법
JP2014226271A (ja) * 2013-05-21 2014-12-08 株式会社カネカ マンドレル
KR20160142481A (ko) * 2015-06-02 2016-12-13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4291호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하여 신체의 협착부위를 확장시키기위한 확장기구 제조장치(MAKING JIG FOR SELF-EXPANIDING STEN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60156호 스텐트 지그(jig for stent manufac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5539호 약물코팅 스텐트 제작용 지그(jig for producing stent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5686호 스텐트 제조용 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스텐트(Jig for Manufacturing Stent and Stent Manufactured by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2729A1 (en) 2024-01-10
US20230404733A1 (en) 2023-12-21
WO2022186420A1 (ko) 2022-09-09
CN117202874A (zh) 2023-12-08
JP2024507267A (ja) 202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13180A1 (en) Medical devices and instruments with non-coated superhydrophobic or superoleophobic surfaces
US8002823B2 (en) Endoprosthesis coating
US6673154B1 (en) Stent mounting device to coat a stent
JP2005538790A (ja) 粗表面を有する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
CA1227904A (en) Synthetic vascular graf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uch grafts
US20210007867A1 (e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of their fabrication
EP2682155B1 (en) Drug eluting balloons with ability for double treatment
EP1468660B1 (en) Stent delivery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US20110045164A1 (en) Patterned mold for medical device
US8881675B2 (en) Stent holding fixtures
US9730819B2 (en) Biodegradable endoprostheses and methods of their fabrication
KR102341725B1 (ko) 표면 거칠기를 갖는 스텐트용 가변형 코팅지그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
KR102301200B1 (ko) 멤브레인의 점착성이 개선된 스텐트
KR101964635B1 (ko) 이탈 방지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EP26942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nt
WO2016104017A1 (ja) ステント、およびステントの製造方法
JP2009034127A (ja) 被覆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27112A (ja) ステ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ステ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