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529B1 -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5529B1 KR101785529B1 KR1020160032010A KR20160032010A KR101785529B1 KR 101785529 B1 KR101785529 B1 KR 101785529B1 KR 1020160032010 A KR1020160032010 A KR 1020160032010A KR 20160032010 A KR20160032010 A KR 20160032010A KR 101785529 B1 KR101785529 B1 KR 101785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examinee
- tongue
- image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2—Determining colour for diagnostic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52—Evaluating soft tissue within the mouth, e.g. gums or tong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설진용 의료장치는: 피검진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외부의 빛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폐된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안면안착부와, 안면안착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의 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를 통하여 전달된 영상을 설진용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진 진단에 최적화된 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의 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피검진자의 병증을 진단하는 설진은 수천 년 이상 전해져 내려온 한의학의 진단 방법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에서도 그 효능을 인정받고 있다.
종래에는 설진을 위해서 검진자가 육안으로 피검진자의 혀를 세심히 관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진단 과정을 위해 피검진자가 오랜 시간 입을 벌리고 혀를 내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피검진자와 검진자가 서로 불편한 점이 있었으며, 검진자가 과거 피검진자의 혀 상태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직접 카메라로 촬영하여 설진 진단에 이용하는 종래 방법은, 촬영된 혀 영상이 실제 육안으로 보는 혀의 영상과 달리 촬영 당시 조명이나 흔들림 및 거리와 같은 주변환경과, 카메라성능에 따라 가지각색의 색감으로 표현된다. 그리고 밝기, 포커스 등이 맞지 않을 뿐 아니라 검진자가 적지 않은 시간을 들여 직접 촬영된 혀 영상을 각각의 피검진자의 진단기록에 맞춰 저장해야 하는 관리업무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33807호(2015.04.02 공개, 발명의 명칭: 설진기 재현성 측정 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진 진단에 최적화된 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는: 피검진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외부의 빛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폐된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안면안착부와, 안면안착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의 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카메라부를 통하여 전달된 영상을 설진용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 및 제어부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안면안착부는, 카메라부가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가 얼굴을 안착시키는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로부터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공간형성부와, 내측공간형성부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피검진자의 얼굴에 접촉되어 피검진자의 얼굴을 지지하는 테두리안착부 및 테두리안착부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피검진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내측공간형성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의 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조명부와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모듈제어부를 제어하여 피검진자의 혀를 설정된 조도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부는, 피검진자의 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메인조명부 및 안면안착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메인조명부와 함께 피검진자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서브조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모듈제어부를 통해 카메라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며, 메인조명부와 서브조명부의 전원공급과 조도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안면안착부의 내측에 복수로 설치되며 피검진자의 혀로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조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조도센서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메인조명부와 서브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부는, 제어부의 유선 또는 무선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제어부로 전달하며, 제어부는 영상표시부를 통해 촬영된 혀 영상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영상은 제어부를 통해 영상표시부로 실시간 표시되며, 검진자는 피검진자의 혀 내민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의 제어방법은: 환자접수부를 통해 피검진자의 기본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안면안착부에 피검진자의 얼굴이 안착되어 촬영이 가능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카메라부와 조명부가 동작되어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혀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이미지 가공부가 촬영된 혀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에 의해 보정된 혀 영상을 자체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저장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카메라부의 제어방법은, 카메라부의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되어 카메라부가 촬영모드로 진입되는 단계와, 제어부와 카메라부가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와, 제어부가 카메라부에 라이브뷰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라이브뷰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며 카메라부를 촬영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혀 이미지에서 혀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잘라서 추출하는 단계와, 부분 이미지의 RGB(red green blue) 색채 정보 및 RGB 밝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부분 이미지의 RGB 색채 정보 및 RGB 밝기 정보를 기반으로 색채 조정값 및 밝기 조정값을 결정하여 확인하는 단계 및 색채 조정값 및 밝기 조정값을 기반으로 부분 이미지의 색채 및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어부가 안면안착부의 내측에 설치된 조도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피검진자의 혀에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제어부는 조명부의 조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도센서는 안면안착부의 내측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로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제어부는 조명부를 구성하는 메인조명부와 서브조명부의 조도를 각각 조절하여 피검진자의 혀에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설정된 범위 내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외부의 빛이 차단된 안면안착부의 내측에서 카메라부와 조명부가 동작되며, 검진자는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한 후 촬영할 수 있으므로 피검진자와 검진자에게 매우 편리한 혀 영상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명부와 서브조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대기상태에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상태에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가공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의 RGB에 대한 기준수치와 보정수치를 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명부와 서브조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대기상태에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상태에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가공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의 RGB에 대한 기준수치와 보정수치를 표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안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명부와 서브조명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명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1)는, 하우징부(10)와 연결단말부(110)와 안면안착부(30)와 카메라부(40)와 조명부(50)와 제어부(100)와 조도센서(108)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2)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설진용 의료장치(1)의 몸체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하우징부(10)의 일측(도 1기준 좌측)에는 연결단말부(110)가 위치하며 타측(도 1기준 우측)에는 안면장착부가 위치한다. 연결단말부(110)는 하우징부(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안면장착부는 하우징부(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부(10)의 내측에는 제어부(100)를 포함한 다양한 전장장치가 설치된다.
연결단말부(110)는 하우징부(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영상표시부(20)와 입력부(22)와 환자접수부(24)를 포함한다.
영상표시부(20)는 제어부(100)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영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부(20)는 평면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되며, 하우징부(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므로 설치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다. 카메라부(40)에서 획득된 영상은 제어부(100)를 통해 영상표시부(20)로 실시간 표시되며, 검진자는 피검진자의 혀 내민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입력부(22)는 하우징부(10)의 연결단자를 통해 제어부(100)와 연결되며, 키보드와 마우스를 포함한다. 피검진자의 기본정보 및 진단정보는 입력부(22)를 통해 제어부(100)로 전달될 수 있다.
환자접수부(24)는 피검진자의 설진 진단을 위해 피검진자의 기본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접수부(24)는 영상표시부(20)의 측면에 부착된 카드리더기이다. 피검진자용 카드를 카드리더기인 환자접수부(24)에 읽히면, 자동으로 피검진자의 정보가 영상표시부(20)에 출력된다.
이로 인하여 피검진자가 혀 영상 촬영을 대기하면,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를 촬영하는 검진자는 환자접수부(24)를 통해 피검진자의 기본정보를 전달받거나, 입력부(22)를 통해 설진에 필요한 피검진자의 기본정보를 기록 후,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안면안착부(30)는 피검진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외부의 빛이 피검진자의 혀를 촬영하기 위한 내측공간형성부(34)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폐된 내측 공간을 구비한다. 안면안착부(30)는 피검진자가 얼굴을 대고 입을 벌려 혀 이미지를 촬영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면안착부(30)의 일측에는 카메라부(40)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개구되어 피검진자의 얼굴이 접하는 부분을 형성한다. 안면안착부(30)는 타측이 개구된 관 형상이며, 하우징부(10)와 함께 사출로 성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면안착부(30)는 피검사자가 혀를 내밀어 혀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피검사자가 안면을 들이밀어 턱을 고이고 이마를 기댄 상태에서, 편안하게 입을 벌려 혀를 내밀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안면안착부(30)는 턱지지부(32)와 내측공간형성부(34)와 테두리안착부(36)를 포함한다.
내측공간형성부(34)는 카메라부(40)가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가 얼굴을 안착시키는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로부터 차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내측공간형성부(34)는 안면안착부(30)의 몸체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내측공간형성부(34)의 일측에는 카메라부(40)가 위치하며 막혀있고, 내측공간형성부(34)의 타측은 하우징부(10)의 외측과 연통되며 개구된 형상을 갖는다.
테두리안착부(36)는 내측공간형성부(34)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피검진자의 얼굴에 접촉되어 피검진자의 얼굴을 지지한다. 테두리안착부(36)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을 갖는 재질로 성형되어 피검진자의 얼굴에 접할 때 피검진자의 얼굴을 부드럽게 지지할 수 있다. 테두리안착부(36)의 상측에는 피검진자의 콧대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부가 추가로 형성된다.
턱지지부(32)는 테두리안착부(36)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피검진자의 턱을 지지한다. 턱지지부(32)에는 피검진자의 턱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부를 형성한다.
피검진자가 안면안착부(30)에 얼굴을 안착시켜 혀를 촬영할 수 있는 준비를 완료하면,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를 촬영하는 검진자는 카메라부(40)에서 영상표시부(20)로 표시되는 실시간 영상인 라이브 뷰를 통해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가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한 검진자가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인공지능을 구비한 제어부(100)에 의해 판단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카메라부(40)는 안면안착부(30)의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의 혀를 촬영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영상기록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40)는, 제어부(100)의 유선 또는 무선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40)는 고화질(예를 들어, 2040만 화소 이상)의 이미지에 대한 촬영 기능을 갖추며, 혀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부(40)는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을 통하여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되며, 검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촬영하거나,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조명부(50)는, 내측공간형성부(34)의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의 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한다. 조명부(50)는 혀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광원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조명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50)는 피검사자가 안면안착부(30)에 얼굴을 들이밀고 혀를 내밀었을 때, 외부의 조명 간섭없이 조명부(50)가 제공하는 빛에 의해서 설정된 조도의 빛을 공급한다. 따라서 조명부(50)가 제공하는 일정한 조도를 갖는 촬영환경 아래에서 피검사자의 혀를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부(50)는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를 포함한다.
메인조명부(51)는 피검사자의 혀 부분을 비추도록 방향이 설정되며, 피검진자의 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한다. 메인조명부(51)는 도넛의 형태로 그 중심에는 카메라부(40)가 들어가는 구조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조명부(51)는 메인커버부(52)와 메인조명(54)과 기판부재(55)를 포함한다.
기판부재(55)는 링 형상의 판이며, 카메라부(40)의 외측에 고정된다. 기판부재(55)를 따라 메인조명(54)인 엘이디가 복수로 설치된다. 카메라부(40)의 외측에 링 형상으로 복수의 메인조명(54)이 설치되므로, 피검진자의 혀를 향하여 균일한 빛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커버부(5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메인조명(54)과 기판부재(55)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메인조명(54)에서 조사된 빛이 피검사자의 혀를 직사광선으로 비추지 않도록 빛을 산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메인커버부(52)의 외측에는 복수의 산란돌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메인커버부(52)의 외측과 내측 중 적어더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산란돌기는 사각뿔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요철 형상의 단면을 형성하며 빛의 산란을 유도할 수 있다.
서브조명부(60)는 안면안착부(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메인조명부(51)와 함께 피검진자를 향하여 빛을 조사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브조명부(60)는, 안면안착부(30)의 내측공간형성부(34)로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더 밝게 하도록 안면안착부(30)를 둘러 싼 안면안착부(30)의 내부를 조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서브조명부(60)는 메인조명부(51)가 피검사자의 혀를 직접적으로 비출 수 있는 빛의 직진성을 산란하며, 혀 영상 촬영시 조도를 보완하는 조명장치이다. 서브조명부(60)는 안면안착부(30)의 테두리안착부(36)와 인접한 내측공간형성부(34)의 내측벽을 따라 띠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서브조명부(60)는 내측공간형성부(34)의 측면에서 내측공간형성부(34)의 내부를 향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한다. 일 시시예에 따른 서브조명부(60)는 안내홈부(62)와 서브조명(64)과 서브커버부(66)를 포함한다.
안내홈부(62)는 내측공간형성부(34)의 내측벽면을 따라 360도 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서브조명(64)은 형광등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플렉시블한 재질의 관 속에 엘이디 조명을 복수로 설치할 수도 있다. 서브커버부(66)는 안내홈부(62)를 따라 설치되는 판 형상이며, 서브조명(64)에서 내측공간형성부(34)의 내측을 향해 조사되는 빛을 산란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재질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투명 형상의 서브커버부(66)가 서브조명(64)을 덮고 있으므로 빛의 산란을 유도하여 피검진자의 혀를 향한 조명으로 인한 그림자 발생을 방지하며, 균일한 조도를 갖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00)에 의해 조명부(50)의 전원이 온(on) 상태로 전환되며, 일정한 조도 환경(조도 11.0kLux~ 11.7kLux)에서 카메라부(40)가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카메라부(40)를 통하여 전달된 영상을 설진용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영상표시부(20)를 통해 촬영된 혀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모듈제어부(102)와 이미지 가공부(104)와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제어부(102)는 조명부(50)와 카메라부(40)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부(100)는 모듈제어부(102)를 제어하여 피검진자의 혀를 설정된 조도로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모듈제어부(102)를 통해 카메라부(4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며,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의 전원공급과 조도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촬영할 경우에도, 조도센서(108)를 통해 피검진자의 혀로 조사된 빛의 조도를 측정하여 항상 일정한 조도가 피검진자의 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모듈제어부(102)를 통해 카메라부(40)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며,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의 전원공급과 조도를 각각 제어하므로 피검진자의 혀에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설정된 범위 내에 있도록 제어한다. 모듈제어부(102)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기반으로 조명부(50)와 카메라부(40)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부(100)는 조도센서(108)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의 조도를 제어한다.
이미지 가공부(104)는 카메라부(40)에 의해 촬영된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를 보정하여 검진자가 설진하기 위한 최적의 이미지로 가공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가공부(104)는 설진 진단에 가장 적합하도록 혀 이미지의 크기, 색채, 밝기 등을 가공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이미지 가공부(104)로 전달된 혀 이미지는 검진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가 되도록 잘리고, RGB(red/green/blue) 색채와 RGB 색상 별 밝기값이 조정될 수 있다. 이렇게 가공된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와 진단에 필요한 기본 정보는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106)에 의해 빅 데이터 서버로 전달되어 빅 데이터 서버의 진단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106)는 이미지 가공부(104)에서 획득된 혀 이미지와 피검진자에 대한 접수 정보를 빅 데이터 서버로 전송한다.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106)는 촬영된 피검사자의 혀 영상 및 피검사자의 기본신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어부(100)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원격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한다.
조도센서(108)는 안면안착부(30)의 내측에 복수로 설치되며, 피검진자의 혀로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조도센서(108)는 서브조명부(60)와 안면안착부(30)의 테두리안착부(36)의 사이에 설치되며, 내측공간형성부(34)의 내측에서 상.하.좌.우에 각각 설치된다. 4개의 조도센서(108)가 달려있어 촬영조건에 적합한 일정한 조도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의 조도를 각각 조정하여, 혀 이미지 촬영에 적합한 최적의 조명을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2)는 환자접수부(24)로 피검진자 정보를 입력하고, 카메라부(40)에 의해 촬영된 혀 이미지를 빅 데이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입력 신호의 입력을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촬영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가 이미지 가공부(104)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1)의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진용 의료장치(1)의 제어방법은, 환자접수부(24)를 통해 피검진자의 기본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갖는다.(S10)
설진용 의료장치(1)는 환자 기본 정보의 입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피검사자가 혀 영상 촬영을 대기하면, 피검사자의 혀를 촬영하는 검진자는 환자접수부(24)를 통해 피검사자가 설진 진단에 필요한 기본정보를 기록 후, 피검사자가 혀 촬영에 응하도록 요청한다.
안면안착부(30)에 피검진자의 얼굴이 안착되어 촬영이 가능한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갖는다.(S20)
피검사자가 안면안착부(30)에 얼굴을 안착시켜 혀를 촬영할 수 있도록 준비가 되면, 피검사자를 촬영하는 검진자는 영상표시부(20)로 표시되는 라이브뷰를 통해 피검사자의 혀 영상이 정확히 촬영될 수 있는지 판단한다. 또는 검진자가 아닌 제어부(100)의 인공지능에 의해서도 피검사자의 혀 영상이 정확히 촬영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따. 이때, 카메라부(40)는 유. 무선의 방법을 통하여 제어부(100)에 의해 제어된다.
설진용 의료장치(1)에 피검진자의 기본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촬영이 가능한 상황인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촬영이 가능한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조명부(50)가 온 상태로 전환되는 단계를 갖는다.(S30)
그리고 카메라부(40)와 조명부(50)가 동작되어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갖는다.(S40)
검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2)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혀 영상을 촬영하게 되면, 조명부(50)를 온 상태로 전환 후, 카메라부(40)가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에 의해 조명부(50)의 전원이 온 되게 되면, 일정한 조도(조도 11.0kLux~ 11.7kLux )환경에서 카메라가 피검사자의 혀 영상을 획득하다.
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제어부(100)가 안면안착부(30)의 내측에 설치된 조도센서(108)의 측정값을 전달받으며, 피검진자의 혀에 조사되는 빛의 조도가 설정값을 벗어나면 제어부(100)는 조명부(50)의 조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도센서(108)는 안면안착부(30)의 내측 상하좌우 방향에 각각 설치되어 제어부(100)로 측정값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제어부(100)는 조명부(50)를 구성하는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의 조도를 각각 조절하여 피검진자의 혀에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설정된 범위 내로 조정한다.
제어부(100)는 4개의 조도센서(108) 값을 실시간 확인 가능하며, 4개 조도센서(108) 평균값이 일정 조도에 이르지 못하거나, 일정 조도 이상일 경우에는, 모듈제어부(102)를 이용하여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 밝기를 조절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에 각각 연결된 가변저항값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메인조명부(51)와 서브조명부(60)의 조도를 조정한다.
그리고 혀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갖는다.(S50)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 후, 혀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촬영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혀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촬영되지 않은 경우, 다시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촬영된 피검사자의 혀 영상은 검진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2)를 이용해 정상적으로 촬영이 되었다고 판단을 내리는 경우, 제어부(100)에 의해 카메라에서 이미지 가공부(104)로 전달된다.
혀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촬영된 경우, 설진용 의료장치(1)는 촬영된 혀 이미지를 오려낼 수 있다. 즉, 혀 이미지만을 분석하기 위해 설진용 의료장치(1)는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혀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혀 이미지만을 오려내는 혀 영상 오려내기 단계를 갖는다.(S60)
그리고 이미지 가공부(104)가 촬영된 혀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를 갖는다.(S70)
즉 설진용 의료장치(1)는 검진자의 보다 정확한 혀 진단을 위해 잘라내진 혀 이미지의 색상을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가공부(104)로 전달된 혀 영상은 검진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가 되도록 자르고, RGB 색채 와 RGB 색상별 밝기값이 조정된다. 검진자는 혀 이미지를 기반으로 피검진자에 대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106)에 의해 보정된 혀 영상을 자체 저장장치에 저장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저장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S80)
이렇게 가공된 피검사자의 혀 영상과 진단에 필요한 기본정보는 데이터저장 및 전송부에 의해 자체 저장장치에 저장되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저장소로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설진용 의료장치(1)는 직접적으로 또는 진단 보조 장치를 통해 혀 이미지, 피검진자의 접수 정보를 빅 데이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설진용 의료장치(1)는 진단 보조 장치로 접수된 신규 환자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검진자는 진단 보조 장치를 통해 신규 환자의 혀 이미지, 피검진자의 접수 정보를 빅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대기상태에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40) 이전에 카메라부(40)의 제어방법은, 카메라부(40)의 전원이 온 상태로 전환(S100)되어 카메라부(40)가 촬영모드로 진입되는 단계를 갖는다.(S110)
제어부(100)는 모듈제어부(102)를 제어하여 카메라부(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카메라부(40)의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 후, 카메라부(40)가 촬영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00)와 카메라부(40)가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을 통해 연결되는 단계를 갖는다.(S120)
제어부(100)와 카메라부(40) 간의 네트워크가 설정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의 방법을 통해 데이터 통신에 대한 연결을 요청하면 제어부(100)와 카메라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00)가 카메라부(40)에 라이브뷰 영상을 요청하는 단계를 갖는다.(S100)
제어부(100)는 카메라부(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한 실시간 전송을 요청하기 위해 라이브뷰를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00)가 라이브뷰 영상을 전달받아 영상표시부(20)를 통해 출력하며, 카메라부(40)를 촬영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갖는다.(S100)
제어부(100)는 카메라부(40)가 보내온 라이브뷰를 영상표시부(20)에 계속 표시하므로 검진자가 피검진자의 혀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될 수 있는지 여부를 가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검진자가 혀 영상을 촬영할 때까지 카메라부(40)가 동작을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상태에서 카메라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는 설진을 위한 카메라부(40)의 제어 동작이 개시된다. 특히, 라이브뷰의 재생 및 촬영의 대기 이후의 동작이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라이브뷰 재생 및 촬영대기의 단계(S200) 이후에, 라이브뷰를 기반으로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갖는다.(S210)
검진자가 영상표시부(20)에 표시되는 라이브뷰를 보면서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에 대한 정상 촬영이 가능하다는 판단이 서면, 검진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12)를 통해 카메라부(40)의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을 제어부(100)로 지시할 수 있다.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지시된 경우, 제어부(100)는 카메라부(4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40)가 피검사자의 혀 이미지를 촬영하여(S220) 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230)
검진자는 획득된 영상표시부(20)를 통해 출력되는 혀 이미지를 기반으로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을 종료할지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S240)
검진을 위해 충분한 혀 이미지가 촬영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기반으로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의 종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카메라부(40)를 제어하여 카메라부(40)에 의해 촬영된 피검사자의 혀 이미지를 영상표시부(20)를 통해 출력하고, 검진자는 영상표시부(20)에 출력된 촬영된 혀 이미지가 정상적일 때까지 반복하여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검진자는 영상표시부(20)에 의해 제공하는 사각형 테두리 형태 안에 피검사자의 혀 영상이 모두 들어갔을 경우, 혀 이미지가 적합한 혀 이미지라고 결정할 수 있다.
촬영이 종료되는 경우, 라이브 뷰의 재생 및 촬영의 대기 동작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S250)
촬영이 종료되지 않는 경우, 단계 S210부터 다시 수행되어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가공부(104)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에서는 설진을 위해 이미지 가공부(104)가 혀 이미지를 가공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이미지 가공부(104)로 전달된 혀 이미지를 검진자가 육안으로 보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가 되도록 가공하는 과정이 개시된다.
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S300) 이후에, 혀 영상을 보정하는 단계는, 혀 이미지에서 혀에 대응되는 부분 이미지를 잘라서 추출하는 단계를 갖는다.(S310)
이미지 가공부(104)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된 혀 이미지에서 혀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자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부(20)에 의해 제공되는 사각형 테두리 사이즈를 기반으로 획득된 혀 이미지에서 혀 이미지 외에 불필요한 외곽의 영상을 잘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잘라낸 혀 이미지의 가로 세로 크기를 3384픽셀(가로), 3388픽셀(세로)가 되도록 혀 이미지를 가공할 수 있다.
부분 이미지의 RGB(red green blue) 색채 정보 및 RGB 밝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갖는다. 즉, 혀 이미지에서 RGB의 색채 정보를 분리할 수 있다.(S320)
잘라낸 혀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R(레드), G(그린), B(블루) 색채 별로 값을 분리 후 분리한 색채별 영상을 메모리(예를 들어, RAM)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분리된 색채 값은 100을 기준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혀 이미지에서 RGB의 밝기 정보를 분리할 수 있다.(S330)
잘라낸 혀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R(레드), R(그린), B(블루) 계열 밝기로 분리한 후 분리된 밝기 별 영상을 메모리(예를 들어, RAM)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분리된 밝기 값은 100을 기준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부분 이미지의 RGB 색채 정보 및 RGB 밝기 정보를 기반으로 색채 조정값 및 밝기 조정값을 결정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갖는다.(S340)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혀 영상의 RGB에 대한 기준수치와 보정수치를 표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결정된 색채 및 밝기에 대한 조정 값일 수 있다.
이미지 가공부(104)는 제어부(100)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색채 조정 값 및 밝기 조정 값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도 범위 11.0kLux~11.7kLux 로 피검진자의 혀 이미지에 대한 촬영이 진행되는 경우, 설진 진단에 최적화된 영상으로 만들기 위한 RGB의 채도 및 밝기에 대한 조정 값이 개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채 조정값 및 밝기 조정값을 기반으로 부분 이미지의 색채 및 밝기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350)
혀 이미지를 색채 조정 값을 기반으로 조정한다. 부분 이미지의 RGB 색채 정보 및 RGB 밝기 정보를 기반으로 색채 조정값 및 밝기 조정값을 결정하여 확인하는 단계(S340)를 기반으로 설정된 색채 조정 값을 바탕으로 혀 이미지의 색체에 대한 조정이 수행될 수 있다.
혀 영상 RGB 색상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S360)를 갖는다. 부분 이미지의 RGB 색채 정보 및 RGB 밝기 정보를 기반으로 색채 조정값 및 밝기 조정값을 결정하여 확인하는 단계(S340)를 기반으로 설정된 밝기 조정 값을 바탕으로 혀 이미지의 밝기에 대한 조정이 수행된다.
그리고 보정된 혀 영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갖는다.(S3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빛이 차단된 안면안착부(30)의 내측에서 카메라부(40)와 조명부(50)가 동작되며, 검진자는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한 후 촬영할 수 있으므로 피검진자와 검진자에게 매우 편리한 혀 영상 촬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편안한 검사환경을 제공하므로 피검사자가 혀 영상 촬영에 있어 거부감이 없어지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검진자가 육안으로 보아 설진 진단을 내리기에 가장 최적화된 혀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촬영된 혀 영상이 검진자의 육안으로 보기에 설진 진단에 최적화된 색감과 밝기와 크기를 가질 수 있도록 하므로, 설진 연구를 위한 표준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으로 촬영된 혀 영상데이터와 피검사자의 기본 신상정보 데이터를 보낼 수 있으므로 원격의료 시장의 설진 진단분야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설진용 의료장치 10: 하우징부
20: 영상표시부 22: 입력부
24: 환자접수부 30: 안면안착부
32: 턱지지부 34: 내측공간형성부
36: 테두리안착부 40: 카메라부
50: 조명부 51: 메인조명부
52: 메인커버부 54: 메인조명
55: 기판부재 60: 서브조명부
62: 안내홈부 64: 서브조명
66: 서브커버부 100: 제어부
102: 모듈제어부 104: 이미지 가공부
106: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
108: 조도센서 110: 연결단말부
11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영상표시부 22: 입력부
24: 환자접수부 30: 안면안착부
32: 턱지지부 34: 내측공간형성부
36: 테두리안착부 40: 카메라부
50: 조명부 51: 메인조명부
52: 메인커버부 54: 메인조명
55: 기판부재 60: 서브조명부
62: 안내홈부 64: 서브조명
66: 서브커버부 100: 제어부
102: 모듈제어부 104: 이미지 가공부
106: 데이터 저장 및 전송부
108: 조도센서 110: 연결단말부
112: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3)
- 피검진자의 얼굴을 지지하며 외부의 빛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폐된 내측 공간을 구비하는 안면안착부;
상기 안면안착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의 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를 통하여 전달된 영상을 설진용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영상처리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표시부;
피검진자의 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안면안착부의 내측에 복수로 설치되며, 피검진자의 혀로 조사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안면안착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가 얼굴을 안착시키는 부분을 제외하고 외부로부터 차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공간형성부; 상기 내측공간형성부의 입구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피검진자의 얼굴에 접촉되어 피검진자의 얼굴을 지지하는 테두리안착부; 및 상기 테두리안착부의 하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피검진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내측공간형성부의 내측에 위치하며, 피검진자의 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메인조명부; 및 상기 안면안착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메인조명부와 함께 피검진자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서브조명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조명부는 메인커버부, 메인조명, 및 기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부재는 링 형상의 판이고, 상기 카메라부의 외측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부재를 따라 메인조명인 엘이디가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커버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조명과 상기 기판부재를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메인커버부의 외측에는 복수의 산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서브조명부는 안내홈부, 서브조명, 및 서브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내측공간형성부의 내측벽면을 따라 360도 띠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서브조명은 플렉시블한 재질의 관 속에 복수의 엘이디 조명이 설치된 것이며, 상기 서브커버부는 상기 안내홈부를 따라 설치되는 반투명의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용 의료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명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듈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제어부를 제어하여 피검진자의 혀를 설정된 조도로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용 의료장치.
- 삭제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듈제어부를 통해 상기 카메라부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며, 상기 메인조명부와 상기 서브조명부의 전원공급과 조도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용 의료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메인조명부와 상기 서브조명부의 조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용 의료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제어부의 유선 또는 무선 제어에 의해 동작되어 피검진자의 혀 영상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표시부를 통해 촬영된 혀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용 의료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에서 획득된 영상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영상표시부로 실시간 표시되며, 검진자는 피검진자의 혀 내민 상태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검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진용 의료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010A KR101785529B1 (ko) | 2016-03-17 | 2016-03-17 |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2010A KR101785529B1 (ko) | 2016-03-17 | 2016-03-17 |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8313A KR20170108313A (ko) | 2017-09-27 |
KR101785529B1 true KR101785529B1 (ko) | 2017-10-17 |
Family
ID=6003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2010A KR101785529B1 (ko) | 2016-03-17 | 2016-03-17 |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55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69517B1 (ko) * | 2021-03-25 | 2022-03-03 | 가자마 이엔티 (주) |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
CN114205506B (zh) * | 2021-12-16 | 2024-08-06 |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 一种面诊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1917B1 (ko) * | 2010-07-16 | 2011-03-18 |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 엘이디 광원을 구비하는 혀 영상 촬영장치 |
-
2016
- 2016-03-17 KR KR1020160032010A patent/KR10178552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1917B1 (ko) * | 2010-07-16 | 2011-03-18 |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 엘이디 광원을 구비하는 혀 영상 촬영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08313A (ko) | 2017-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76141B2 (en) | Fundus imaging system | |
US9325884B2 (en) | Cellscope apparatus and methods for imaging | |
US7962189B2 (en) | Non-invasive living body measuring device | |
US20180333092A1 (en) | Portable ocular response test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 |
EP3061385B1 (en) | Otoscope with controlled illumination | |
US20150351606A1 (en) |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 |
US20150351607A1 (en) | Method for identifying objects in a subject's ear | |
WO2008012813A1 (en) | A medical device for discreetly performing a routine vaginal examination | |
MX2011004021A (es) | Aparato y metodo para procesamiento de imagen del ojo. | |
US20170311872A1 (en) | Organ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organ image | |
KR101028999B1 (ko) | 설진 영상 촬영장치 및 방법 | |
JPWO2006064635A1 (ja) | 診断システム | |
JPWO2020036121A1 (ja) | 内視鏡システム | |
KR101785529B1 (ko) |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0971541B1 (ko) | 설 영상 촬영 시스템 | |
KR101341065B1 (ko) | 3파장 영상을 이용한 설진 영상 처리 방법 | |
KR101253302B1 (ko) | 유비쿼터스 헬스 케어용 원격 화상 세극등 촬영 장치 | |
CN114938942B (zh) | 基于远程遥控全自动裂隙灯平台的眼科功能检查装置 | |
FI114198B (fi) |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limen kuvaamiseksi | |
KR102325597B1 (ko) |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
KR101871451B1 (ko) | 결막 모세혈관 이미징 장치 및 방법 | |
US11501427B2 (en) |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imaging of a light-sensitive object, such as biological tissue | |
KR20220139043A (ko) | 회색 레퍼런스 패널을 이용한 장치간 영상 편차 보정방법 및, 이러한 기능을 갖는 안면 피부 진단장치 | |
JP2020110301A (ja) | 口腔内観察デバイス | |
KR20130037858A (ko) | 내시경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