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517B1 -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9517B1 KR102369517B1 KR1020210039109A KR20210039109A KR102369517B1 KR 102369517 B1 KR102369517 B1 KR 102369517B1 KR 1020210039109 A KR1020210039109 A KR 1020210039109A KR 20210039109 A KR20210039109 A KR 20210039109A KR 102369517 B1 KR102369517 B1 KR 102369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subject
- examination
- sinusitis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3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nose, i.e. nasoscopes, e.g. testing of patency of Eustachian tu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20—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doscop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는, 내측에 검사공간이 형성되며, 둘레가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 둘레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가 상기 검사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에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용 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외면의 상기 촬영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염 검사를 위한 검사용 카메라가 장착되는 마운트부 및 상기 커버부 내면 측으로 돌출되어 검사 대상자의 구강 내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검사 대상자의 구강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검사용 카메라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고,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덮은 상태로 구강 내 상부로 빛을 조사함에 따라 검사용 카메라를 통해 명확한 검사용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비동이란 코 주위의 얼굴 뼈 속에 있는 빈 공간을 말한다. 이 공간들은 작은 구멍을 통해 코 속과 연결되어 있고, 이를 통해 부비동 내의 공기의 환기 및 분비물의 배설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부비동염(축농증)이란 자연공이 막혀서 부비동이 제대로 환기 및 배설되지 않아 이차적으로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고, 농성 분비물이 고이면서 염증이 심해지는 상태를 말한다. 질병의 기간이 4주 미만일 경우에는 급성 부비동염, 3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에는 만성 부비동염으로 정의한다.
종래에는 부비동염의 발생 여부, 또는 부비동염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x-ray 촬영을 진행하거나, 또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06587호에서 기재하고 있는 형태의 투사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다만, x-ray 촬영의 경우 환자에게 고가의 의료비용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방사선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했으며, 기존의 투사장치는 검사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크고 무거워 이동이 거의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점유하는 공간이 넓기 때문에 공간 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사용성을 향상시켜 효율적이고 정확한 검사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는, 내측에 검사공간이 형성되며, 둘레가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 둘레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가 상기 검사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에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용 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외면의 상기 촬영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염 검사를 위한 검사용 카메라가 장착되는 마운트부 및 상기 커버부 내면 측으로 돌출되어 검사 대상자의 구강 내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검사 대상자의 구강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마운트부의 둘레에는 상기 검사용 카메라에 구비되는 체결링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 둘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커버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닫힌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측으로 길게 돌출된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발광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어도 상기 광 조사모듈에 대응되는 영역이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교체용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 내면 측에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촬영용 홀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는 홀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는,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검사용 카메라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부와, 검사 대상자의 구강 내에서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커버부를 통해 외부의 광해 요소를 차단한 상태에서 부비동 영역의 선명한 검사용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매우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사용성 및 이동성이 매우 우수하며, 간편한 방법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 있어 검사 대상자가 느끼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검사를 위한 의료비용 역시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를 통해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에 있어서, 발광유닛에 교체용 커버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부비동염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자의 모습을 나타낸 검사용 이미지; 및
도 6은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모두에 부비동염이 발생한 검사 대상자의 모습을 나타낸 검사용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를 통해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에 있어서, 발광유닛에 교체용 커버를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부비동염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자의 모습을 나타낸 검사용 이미지; 및
도 6은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모두에 부비동염이 발생한 검사 대상자의 모습을 나타낸 검사용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100)를 통해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명의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100)는 커버부(110), 마운트부(130) 및 발광유닛(150)을 포함한다.
커버부(110)는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측에 검사공간(111)이 형성되며, 둘레가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 둘레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커버부(110)는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가 검사공간(111)에 수용된 상태로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감쌀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부(110) 둘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쿠션부(120)가 구비되어, 검사 대상자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쿠션부(120)는 커버부(110)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닫힌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는 본 실시예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버부(110)에는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에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용 홀이 형성되어, 커버부(110)의 외측 및 내측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커버부(110) 내면 측에 구비되며, 내측에 촬영용 홀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는 홀 형성부(140)를 더 포함한다.
마운트부(130)는 커버부(110) 외면 측에 구비되며, 특히 촬영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그리고 마운트부(130)는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염 검사를 위한 검사용 카메라(200)가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검사용 카메라(200)는 본체부(210)와, 본체부(210)의 전방에 구비되어 마운트부(130)와 상호 체결되는 체결링(220)과, 본체(210)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230)을 포함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하였다.
이때 마운트부(130)의 둘레레는 체결링(220)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링(220)과 마운트부(130)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링(220)과 마운트부(130)의 내측에는 촬영용 홀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어, 본체부(210)에 구비된 이미지센서는 커버부(110)의 검사공간(111)에 위치된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10) 부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발광유닛(150)은 커버부(110)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어 검사 대상자의 구강(20) 내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검사 대상자의 구강(20)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발광유닛(150)은 커버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좌우 방향으로 한 쌍이 나란히 구비된 형태를 가진다. 이는 검사 대상자의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각각에 빛을 직접적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발광유닛(150)은 커버부(110)의 내면 측으로 길게 돌출된 연장부재(151)와, 연장부재(151)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모듈(152)을 포함한다.
이때 광 조사모듈(152)은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을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되며, 이를 위해 연장부재(151)는 커버부(110)에 대해 틸팅 가능하게 형성되어 커버부(110)의 내면과 이루는 각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또한 연장부재(151)는 커버부(110)에 대해 로테이팅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광 조사모듈(152)의 좌우 방향 회전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유닛(15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발광유닛(15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어도 광 조사모듈(152)에 대응되는 영역이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교체용 커버(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발광유닛(150)이 검사 대상자의 구강(20) 내측으로 인입되므로, 검사 대상자의 타액에 의해 발광유닛(15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교체용 커버(160)는 연질의 재질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발광유닛(150)을 소정의 압력으로 감싸 발광유닛(15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교체용 커버(160)는 전체적으로 광 투과성을 가지는 재질을 가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와 달리 교체용 커버(160)는 광 조사모듈(152)에 대응되는 부분만이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검사용 카메라(200)를 장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커버부(110)와, 검사 대상자의 구강 내에서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150)을 포함함에 따라, 커버부(110)를 통해 외부의 광해 요소를 차단한 상태에서 부비동(10) 영역의 선명한 검사용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부비동염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자의 모습을 나타낸 검사용 이미지이며, 도 6은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모두에 부비동염이 발생한 검사 대상자의 모습을 나타낸 검사용 이미지이다.
도 5 및 도 6에 각각 나타난 바와 같이 부비동염이 발생하지 않은 검사 대상자의 경우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부분이 모두 발광유닛(150)에서 조사된 빛으로 인해 백색으로 나타나게 되나,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모두에 부비동염이 발생한 검사 대상자는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부분에 퇴적된 분비물에 인해 발광유닛(150)에서 조사된 빛이 차단되어 좌측 부비동 및 우측 부비동 부분이 흑색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부비동
20: 구강
100: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110: 커버부
111: 검사공간
120: 쿠션부
130: 마운트부
140: 홀 형성부
150: 발광유닛
151: 연장부재
152: 광 조사모듈
160: 교체용 커버
200: 검사용 카메라
210: 본체부
220: 체결링
230: 케이블
20: 구강
100: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110: 커버부
111: 검사공간
120: 쿠션부
130: 마운트부
140: 홀 형성부
150: 발광유닛
151: 연장부재
152: 광 조사모듈
160: 교체용 커버
200: 검사용 카메라
210: 본체부
220: 체결링
230: 케이블
Claims (7)
- 내측에 검사공간이 형성되며, 둘레가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 둘레에 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가 상기 검사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검사 대상자의 안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되,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에 대응되는 위치에 촬영용 홀이 형성된 커버부;
상기 커버부 외면의 상기 촬영용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검사 대상자의 부비동염 검사를 위한 검사용 카메라가 장착되는 마운트부; 및
상기 커버부 내면 측으로 돌출되어 검사 대상자의 구강 내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검사 대상자의 구강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부의 둘레에는 상기 검사용 카메라에 구비되는 체결링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 둘레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구비되는 쿠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쿠션부는 상기 커버부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닫힌 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광유닛은,
상기 커버부의 내면 측으로 길게 돌출된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끝단에 구비되며, 상측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어도 상기 광 조사모듈에 대응되는 영역이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형성된 교체용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 내면 측에 구비되며, 내측에 상기 촬영용 홀이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는 홀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109A KR102369517B1 (ko) | 2021-03-25 | 2021-03-25 |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109A KR102369517B1 (ko) | 2021-03-25 | 2021-03-25 |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9517B1 true KR102369517B1 (ko) | 2022-03-03 |
Family
ID=8081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9109A KR102369517B1 (ko) | 2021-03-25 | 2021-03-25 |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951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6587A (ko) | 2000-07-13 | 2002-01-23 | 박정례 | 축농증 진단용 투사 장치 |
KR20070018951A (ko) * | 2004-04-14 | 2007-02-14 | 엘이디 메디칼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크. | 구강 스코프 및 주변 광 관리 시스템(alms)을 포함하는질병 탐지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108313A (ko) * | 2016-03-17 | 2017-09-27 | 주식회사 설텍 |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21
- 2021-03-25 KR KR1020210039109A patent/KR1023695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6587A (ko) | 2000-07-13 | 2002-01-23 | 박정례 | 축농증 진단용 투사 장치 |
KR20070018951A (ko) * | 2004-04-14 | 2007-02-14 | 엘이디 메디칼 다이아그노스틱스, 인크. | 구강 스코프 및 주변 광 관리 시스템(alms)을 포함하는질병 탐지 시스템 및 방법 |
KR20170108313A (ko) * | 2016-03-17 | 2017-09-27 | 주식회사 설텍 | 설진용 의료장치 및 그 제어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011428B1 (en) | Endoscope | |
KR102281196B1 (ko) | 부비동 관찰을 위하여 근적외선 광원을 이용하는 마우스피스 | |
CN105919546A (zh) | 具有受控照明功能的耳镜 | |
WO2012153990A2 (ko) | 엑스선 촬영장치 | |
US20100254518A1 (en) | Digital Radiography Sensors | |
KR102369517B1 (ko) | 부비동염 검사용 안면 커버장치 | |
JPS6242610B2 (ko) | ||
US9743826B2 (en) | Endoscopic insertion section tip and endoscope | |
JPH0544824Y2 (ko) | ||
KR101701921B1 (ko) | 구강 촬영장치 | |
US7460754B2 (en) | Medical inspection device | |
KR102503032B1 (ko) |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 |
US10687775B2 (en) | Cephalometric X-ray image acquisition device capable of acquiring three-dimensional facial optical image and cephalometric X-ray image | |
CN213551885U (zh) | 一种用于牙片机的凸透镜可见光标指示器 | |
CN111991024B (zh) | 一种用于牙片机的凸透镜可见光标指示器及工作方法 | |
Conticello et al. | Endoscopy of the eustachian tube: use of the fiberscope and the telescope | |
JPS5969052A (ja) | 内視鏡用撮影装置 | |
KR20090120909A (ko) | 구강외 촬영방식 엑스레이 구강촬영장치 | |
JP2018183339A (ja) | 蛍光観察ユニット、観察器具、遮光部材 | |
KR20240106651A (ko) | 구강 카메라용 위생 및 최적의 fov를 위한 커버 | |
KR102223047B1 (ko) | 동물 방사선 사진 촬영 보정장치 및 방법 | |
JPS6340972Y2 (ko) | ||
JP2684666B2 (ja) | 立体x線像による歯科用診断装置 | |
JPS6351691B2 (ko) | ||
SU1752345A1 (ru) | Способ телерентгенографии костей череп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