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597B1 -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25597B1 KR102325597B1 KR1020200017827A KR20200017827A KR102325597B1 KR 102325597 B1 KR102325597 B1 KR 102325597B1 KR 1020200017827 A KR1020200017827 A KR 1020200017827A KR 20200017827 A KR20200017827 A KR 20200017827A KR 102325597 B1 KR102325597 B1 KR 1023255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eibomian gland
- portable
- housing
- photograph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examining the tear fil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gastrointestinal, the endocrine or the exocrine systems
- A61B5/4261—Evaluating exocrine secretion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docri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기존의 장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마이봄샘 이미지를 용이하게 촬영하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이 검사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검사자는 하우징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각종 거치부에 하우징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마이봄샘을 간편하게 관찰 및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기존의 장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마이봄샘 이미지를 용이하게 촬영하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눈꺼풀의 안쪽 피부 속에는 눈물막을 위한 지방층을 배출하는 마이봄샘과 수분을 포함하는 눈물을 배출하는 눈물샘이 있다. 마이봄샘은 눈물막의 지방층(lipid layer)을 형성하는 지질을 분비하는데 이 지방층은 눈물의 과도한 증발을 막는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이봄샘에 이상이 생기는 마이봄샘 기능이상(Meibomian gland dysfunction)은 마이봄샘의 만성적이고, 전반적인 이상으로 일반적으로 마이봄샘의 개구부의 폐쇄와 분비물의 질적, 양적 변화를 동반하게 된다. 마이봄샘 기능이상은 눈물막의 지방층에 이상을 불러와 눈물막의 불안정성을 증가시켜 증발성 안구 건조증을 일으키는 주 원인이 된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마이봄샘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마이봄샘의 이상을 발견하는 것은 안구건조증의 원인을 찾는 데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 마이봄샘 촬영기기는 주로 대형 병원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별도 촬영기능을 구비한 독립된 고가의 장치가 요구되어, 소형 병원에서는 이러한 고가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과 등의 진료실에서 세극등 현미경으로 환자의 눈을 진찰하는 과정에서, 마이봄샘을 직접 관찰 및 촬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기존의 장비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도록 하여 마이봄샘 이미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광학공간부와 제 2 광학공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광학공간부의 개방된 전측을 폐쇄하도록 위치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되며 피시험자의 눈 방향으로 적외선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갖는 광원부재; 상기 제 1 광학공간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 1 렌즈모듈; 상기 제 1 렌즈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광학공간부의 전측에 위치되는 제 2 렌즈모듈; 및 상기 제 2 광학공간부의 후측에 위치되며 피검사자의 눈에서 반사되는 광의 마이봄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의 일측에는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외부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연결단자가 장착되되,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제 2 광학공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와, 검사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가 발로 밟는 압력에 의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풋스위치와, 상기 풋스위치가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풋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버는, 피검사자의 눈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원주를 따라 피검사자의 눈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광원부 중 상기 커버의 상하 또는 좌우에 위치되는 광원부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조도값을 측정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조도센서가 측정한 조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광원부가 발광되는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모듈은, 편광필름과 롱패스필터(Long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2 렌즈모듈은, 상기 제 2 광학공간부의 전측에 위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접안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의 후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결상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렌즈의 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외부의 거치부에 형성되는 거치돌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은 검사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검사자는 하우징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에 거치홈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각종 거치부에 하우징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마이봄샘을 간편하게 관찰 및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촬영부가 촬영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풋스위치를 구비하므로, 검사자가 손이 아닌 발로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되어, 검사자는 도구를 이용하여 더욱 용이하게 피검자사의 눈꺼풀을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손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발을 이용하여 촬영부가 촬영하도록 하는 입력신호를 용이하게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극등현미경에 하우징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므로, 검사자의 진료실에서 세극등현미경을 이용하여 피검사자를 진료하는 도중 마이봄샘을 직접 관찰 및 촬영할 수 있어, 진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제 2 렌즈모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제어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가 피검사자의 눈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가 조사하는 광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가 거치되는 각종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제 2 렌즈모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제어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가 피검사자의 눈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가 조사하는 광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가 거치되는 각종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제 2 렌즈모듈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100)는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마이봄샘을 관찰 및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10), 광원부재(120), 제 1 렌즈모듈(130), 제 2 렌즈모듈(140), 촬영부(150), 연결단자(160) 및 제어수단(17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예를 들면 길이방향을 따라 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빈 공간의 제 1 광학공간부(112)와 제 2 광학공간부(114)가 구비된다. 제 1 광학공간부(112)와 제 2 광학공간부(1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호 연통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크기는 검사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어, 검사자는 하우징(110)을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각종 거치부에 하우징(110)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어, 검사자는 피검사자의 마이봄샘을 간편하게 관찰 및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외부의 거치부(300, 410, 510: 도 8, 도 9, 도 10 도시)에 형성되는 거치돌부(미도시)에 끼움 결합되도록 오목하게 거치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각종 거치부(300, 410, 510)는 후술하기로 한다.
광원부재(120)는 제 1 광학공간부(112)의 개방된 전측을 폐쇄하도록 위치되는 커버(122)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커버(122)의 외측에 위치되며 피시험자의 눈 방향으로 적외선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124)를 포함한다. 커버(122)는, 피검사자의 눈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원부(124)로 전원을 전달하도록 인쇄회로기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124)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커버(122)의 원주를 따라 피검사자의 눈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광원부(124)는 대략 900nm 내지 1000nm 대역의 적외선 광원을 조사하는 IR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124)는 피검사자의 눈 방향으로 적외선 광원을 조사하여 피검사자의 마이봄샘 촬영을 진행하도록 한다. 이때, 복수 개의 광원부(124) 중 커버(122)의 상하 또는 좌우에 위치되는 한 쌍의 광원부(124)가 피검사자의 눈 방향으로 발광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경우에 따라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광원부(124)가 선택적으로 발광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 개의 발광부가 모두 발광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 1 렌즈모듈(130)은 제 1 광학공간부(112)의 후측에 배치되는 편광필름(132)과 롱패스필터(Long pass filter)(134)를 포함한다. 편광필름(132)은 빛의 반사, 산란 등 편광 되는 빛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롱패스필터(134)는 편광필름(132)의 후방에 위치되어 특정 파장 이상의 긴 파장, 예를 들면 적외선 파장만 투과시키는 필터 역할을 한다. 롱패스필터(134)는 예를 들면 R72(720nm 이상 통과) 또는 R82(820nm 이상 통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롱패스필터(134)는 적외선 광원 이외의 다른 광원에 의한 이미지를 차단하도록 한다.
제 2 렌즈모듈(140)은 제 1 렌즈모듈(130)과 마주보는 제 2 광학공간부(114)의 전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이미지 상을 원하는 조건의 상으로 전달하는 복수 개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렌즈모듈(140)은, 제 2 광학공간부(114)의 전측에 위치되는 대물렌즈(142)와, 대물렌즈(142)의 후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접안렌즈(144)와, 접안렌즈(144)의 후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결상렌즈(146)를 포함하고, 접안렌즈(144)의 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대물렌즈(142)는 예를 들면 광 경로를 늘려주거나, 광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초점을 조절해주는 역할을 한다. 접안렌즈(144)는 대물렌즈(142)가 만든 이미지 상을 더 키워서 보기 편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결상렌즈(146)는 접안렌즈(144)를 통과한 이미지 상이 결상된다. 그리고 촬영부(150)는 결상렌즈(146)에 맺히는 상을 촬영한다. 한편, 접안렌즈(144)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하면 결상렌즈(146)에 결상되는 이미지 상의 포커스가 조정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노브 단자(미도시)를 적절하게 회전시켜서 접안렌즈(144)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하도록 하여, 대물렌즈(142)와 접안렌즈(144)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포커스 위치를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노브 단자를 이용하여 접안렌즈(144)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는 디지털 카메라의 망원렌즈 등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피검사자와 제 1 렌즈모듈(130) 간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포커스를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촬영부(150)는 제 2 광학공간부(114)의 후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피검사자의 눈에서 반사되는 광의 마이봄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로 구성된다. 이러한 촬영부(150)는 근적외선 또는 적외선 광원을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모듈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는 후술하는 제어부(176)로 전달되고, 제어부(176)는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연결단자(160)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부(210)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마이봄샘 이미지를 추적 및 관찰할 수 있다.
연결단자(160)는 촬영부(150)의 일측에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외부의 디스플레이부(210)로 전송하도록 장착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예를 들면, USB 단자, LAN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단자(160)의 단부는 제 2 광학공간부(114)를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부(210)는 외부의 컴퓨터(200)에 연결되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즉, 연결선(172b)을 통하여 연결단자(160)와 컴퓨터(200)를 연결하면, 촬영부(150)가 촬영한 마이봄샘 이미지가 연결단자(160) 및 연결선(172b)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부(210)로 전달되는 것이다. 또한, 블루투스, NFC, WiFi 등의 통상의 무선통신모듈(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촬영부(150)가 촬영한 마이봄샘 이미지를 검사자의 스마트폰 등으로 전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제어수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조정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어수단(170)은 저장부(171), 입력부(172), 밝기조정부(173), 포커스조정부(174), 조도센서(175) 및 제어부(176)를 포함한다.
저장부(171)는 제어부(176)의 제어에 의하여 촬영부(150)가 촬영한 미이봄샘 이미지가 이미지 파일로 저장된다.
입력부(172)는 검사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외부에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검사자의 발과 근접하도록 위치되는 풋스위치(172a)와, 풋스위치(172a)와 제어부(176)를 연결시키는 연결선(172b)을 포함한다. 풋스위치(172a)는 검사자의 발 주변에 위치되되 검사자가 발로 밟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검사자가 발로 밟는 압력에 의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한다. 연결선(172b)은 연결단자(160)에 연결되어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되는 제어부(176)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연결선(172b)은 풋스위치(172a)가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제어부(176)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마이봄샘은 눈꺼풀의 눈꺼풀판 내에 위치하는 샘으로, 마이봄샘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눈꺼풀을 뒤집어야 잘 볼 수 있다. 마이봄샘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결국 검사자가 손으로 잡은 도구를 이용하여 눈꺼풀을 뒤지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검사자가 손이 아닌 발로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검사자는 도구를 이용하여 더욱 용이하게 피검자사의 눈꺼풀을 용이하게 뒤집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손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발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용이하게 제어부(176)로 전송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밝기조정부(173)는 하우징(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광원부(124)의 발광되는 개수 또는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사실의 조도가 필요 이상으로 낮거나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이미지가 어두운 경우, 검사자가 밝기조정부(173)를 오른쪽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광원부(124)의 발광되는 개수가 많아지거나 또는 광원부(124)의 밝기가 밝아지도록 하여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이미지의 선명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포커스조정부(174)는 노브단자와 연결되어 노브단자를 수동으로 회전시켜서 포커싱을 맞추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검사자가 포커스조정부(174)를 회전시킴에 따라 접안렌즈(14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포커싱이 수동으로 맞추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이미지가 더욱 선명해지게 된다.
조도센서(175)는 하우징(110)의 전측에 설치되어 하우징(110) 외부 즉, 피검사자의 눈 주변의 조도값을 측정한다. 조도센서(175)가 측정한 조도값은 제어부(176)로 전달한다.
제어부(176)는 조도센서(175)가 측정한 조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의 차이에 따라 광원부(124)가 발광되는 밝기를 제어한다. 즉, 피검사자의 눈 주변의 밝기에 따라 광원부(124)가 발광되는 밝기를 조절하여, 촬영부(150)가 최상의 마이봄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6)는 입력부(172)로부터 입력신호를 전달받으면 촬영부(150)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가 저장부(171)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가 피검사자의 눈 방향으로 광원을 조사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의 광원부가 조사하는 광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눈 주변에 하우징(110)의 광원부(124)를 위치시킨다. 그 후 검사자는 손으로 도구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구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눈꺼풀을 뒤집어서 피검사자의 마이봄샘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전원을 온 시키면 커버(122)의 상하 또는 좌우에 위치되는 발광부가 발광된다. 발광부가 발광되는 개수 및 위치는 밝기조정부(173)를 이용하여 별도로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발광부는 눈에서 반사된 후 편광필름(132)과 롱패스필터(134)를 지나 제 2 렌즈모듈(140)로 전달되고, 제 2 렌즈모듈(140)에서는 이미지의 포커싱이 맞추어지도록 접안렌즈(144)의 위치가 조정된다. 그 후, 촬영부(150)는 제 2 렌즈모듈(140)의 결상렌즈(146)에 결상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한 마이봄샘 이미지는 제어부(176)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176)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10)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부(210)에서 마이봄샘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외부로 출력된다.
그 후, 검사자는 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발을 이용하여 풋스위치(172a)를 밟아, 입력신호를 제어부(176)로 입력하고, 입력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176)는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된 마이봄샘 이미지를 저장부(171)에 저장하여, 검사자가 원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흔들림 없이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만일, 하우징(110)에 입력부(172)가 위치된다면, 하우징(110)에 위치된 입력부(172)를 터치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10)이 흔들릴 수 있고, 이는 흔들린 마이봄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입력부(172)가 하우징(110)과 별도로 떨어져 있으므로, 검사자가 발을 이용하여 입력신호를 제어부(176)로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어, 흔들리지 않은 선명한 마이봄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마이봄샘 이미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으므로, 언제 어디서나 마이봄샘과 관련된 질환을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가 거치되는 각종 거치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거치부(300)는 검사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거치부(300)의 상단에는 거치돌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거치홈(116)이 거치돌부에 견고하게 삽입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거치부(4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 하단부가 X축, Y축 ,Z축 조정이 가능한 통상의 스테이지 스탠드(400)에 연결된다. 그리고 거치부(410)의 상단부에 거치돌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거치홈(116)이 거치돌부에 견고하게 삽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거치부(51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 하단부가 전안부 관찰 장비인 통상의 세극등현미경(Slit lamp microscope)(500)에 부착된다. 그리고 거치부(510)의 상단부에 거치돌부(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거치홈(116)이 거치돌부에 견고하게 삽입된다.
이처럼 세극등현미경(500)에 본 발명의 하우징(110)이 거치되도록 구성되므로, 검사자의 진료실에서 세극등현미경(500)을 이용하여 피검사자를 진료하는 도중 마이봄샘을 직접 관찰 및 촬영할 수 있어, 진료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110: 하우징 112: 제 1 광학공간부
114: 제 2 광학공간부 116: 거치홈
120: 광원부재 122: 커버
124: 광원부 130: 제 1 렌즈모듈
132: 편광필름 134: 롱패스필터
140: 제 2 렌즈모듈 142: 대물렌즈
144: 접안렌즈 146: 결상렌즈
150: 촬영부 160: 연결단자
170: 제어수단 171: 저장부
172: 입력부 172a: 풋스위치
172b: 연결선 173: 밝기조정부
174: 포커스조정부 175: 조도센서
176: 제어부 200: 컴퓨터
210: 디스플레이부 300: 거치부
400: 스텐드 지그 410: 거치부
500: 세극등 현미경 510: 거치부
110: 하우징 112: 제 1 광학공간부
114: 제 2 광학공간부 116: 거치홈
120: 광원부재 122: 커버
124: 광원부 130: 제 1 렌즈모듈
132: 편광필름 134: 롱패스필터
140: 제 2 렌즈모듈 142: 대물렌즈
144: 접안렌즈 146: 결상렌즈
150: 촬영부 160: 연결단자
170: 제어수단 171: 저장부
172: 입력부 172a: 풋스위치
172b: 연결선 173: 밝기조정부
174: 포커스조정부 175: 조도센서
176: 제어부 200: 컴퓨터
210: 디스플레이부 300: 거치부
400: 스텐드 지그 410: 거치부
500: 세극등 현미경 510: 거치부
Claims (10)
- 길이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광학공간부와 제 2 광학공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제 1 광학공간부의 개방된 전측을 폐쇄하도록 위치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 위치되며 피시험자의 눈 방향으로 적외선 광원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갖는 광원부재;
상기 제 1 광학공간부의 후측에 위치되는 제 1 렌즈모듈;
상기 제 1 렌즈모듈과 마주보는 상기 제 2 광학공간부의 전측에 위치되는 제 2 렌즈모듈;
상기 제 2 광학공간부의 후측에 위치되며 피검사자의 눈에서 반사되는 광의 마이봄샘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및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상기 마이봄샘 이미지가 선명해지도록 포커싱을 맞추는 포커스 조정부를 갖는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렌즈모듈은, 상기 제 2 광학공간부의 전측에 위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접안렌즈와, 상기 접안렌즈의 후측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결상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접안렌즈의 위치는 전후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되는 노브 단자를 회전시켜 상기 접안렌즈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하여,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접안렌즈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결상렌즈에 결상되는 이미지 상의 포커스가 조정되고,
상기 포커스 조정부는 상기 노브 단자와 연결되어 상기 노브 단자를 수동으로 회전시켜서 포커싱을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의 일측에는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외부의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연결단자가 장착되되, 상기 연결단자는 상기 제 2 광학공간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저장부와, 검사자의 조작에 의하여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촬영부가 촬영하는 마이봄샘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검사자가 발로 밟는 압력에 의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풋스위치와, 상기 풋스위치가 생성하는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도록 상기 풋스위치와 상기 제어부를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피검사자의 눈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광원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의 원주를 따라 피검사자의 눈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광원부 중 상기 커버의 상하 또는 좌우에 위치되는 광원부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의 조도값을 측정하는 조도센서; 및
상기 조도센서가 측정한 조도값과 기 설정된 기준 조도값과의 차이에 따라 상기 광원부가 발광되는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모듈은, 편광필름과 롱패스필터(Long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외부의 거치부에 형성되는 거치돌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거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7827A KR102325597B1 (ko) | 2020-02-13 | 2020-02-13 |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7827A KR102325597B1 (ko) | 2020-02-13 | 2020-02-13 |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3276A KR20210103276A (ko) | 2021-08-23 |
KR102325597B1 true KR102325597B1 (ko) | 2021-11-15 |
Family
ID=77499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7827A KR102325597B1 (ko) | 2020-02-13 | 2020-02-13 |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2559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0158B1 (ko) * | 2022-01-21 | 2024-04-25 |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 콘택트렌즈 피팅 상태 검사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1515A (ja) * | 2003-03-04 | 2004-09-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虹彩撮像装置 |
JP2014171489A (ja) * | 2013-03-06 | 2014-09-22 | Kowa Company Ltd | 眼底画像取得装置 |
KR101755630B1 (ko) * | 2016-07-22 | 2017-07-07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외선 마이봄샘 촬영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70A (ja) * | 1994-06-24 | 1996-01-09 | Topcon Corp | 眼科装置 |
KR20180012495A (ko) * | 2016-07-27 | 2018-02-06 | 주식회사 유엠아이옵틱스 | 휴대용 안저 카메라 |
KR101776226B1 (ko) | 2017-01-31 | 2017-09-11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 안구건조증 진단 치료 장치 및 그 방법 |
-
2020
- 2020-02-13 KR KR1020200017827A patent/KR10232559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261515A (ja) * | 2003-03-04 | 2004-09-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虹彩撮像装置 |
JP2014171489A (ja) * | 2013-03-06 | 2014-09-22 | Kowa Company Ltd | 眼底画像取得装置 |
KR101755630B1 (ko) * | 2016-07-22 | 2017-07-07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적외선 마이봄샘 촬영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3276A (ko) | 2021-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29532B2 (en) | Retinal cellscope apparatus | |
US948039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ing an eye | |
JP5651119B2 (ja) | 眼の画像化装置及び方法 | |
US7364297B2 (en) | Digital documenting ophthalmoscope | |
US9655517B2 (en) | Portable eye imaging apparatus | |
US20030208125A1 (en) | Fundus Camera | |
US9770168B2 (en) | Device for imaging an eye | |
CN109381158A (zh) | 适配器、包含适配器的眼底照相系统及其使用方法 | |
JP5860617B2 (ja) | 細隙灯顕微鏡装置 | |
JP6278509B2 (ja) | 眼科装置 | |
JP2003047595A (ja) | 眼科撮影装置 | |
KR102325597B1 (ko) | 휴대가 가능한 마이봄샘 촬영 장치 | |
JP6784550B2 (ja) | 眼科装置及び被検眼表示方法 | |
EP3644829B1 (en) | Ophthalmological apparatus | |
US10368742B2 (en) | Ophthalmic system | |
JP2002058646A (ja) | 眼撮影装置 | |
KR20200069166A (ko) | 스마트폰 부착형 안저 카메라 | |
JP2021069714A (ja) | 眼底撮像装置および眼疾検査装置 | |
JP2004121436A (ja) | 眼底カメラ | |
AU2003203548A1 (en) | Improved Fundus Camera | |
JPS63143029A (ja) | 眼科機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