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384B1 -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384B1
KR101785384B1 KR1020150077990A KR20150077990A KR101785384B1 KR 101785384 B1 KR101785384 B1 KR 101785384B1 KR 1020150077990 A KR1020150077990 A KR 1020150077990A KR 20150077990 A KR20150077990 A KR 20150077990A KR 101785384 B1 KR101785384 B1 KR 10178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itter
sheet
resin
coating composition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082A (ko
Inventor
황규성
Original Assignee
황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성 filed Critical 황규성
Priority to KR1020150077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384B1/ko
Priority to PCT/KR2016/002421 priority patent/WO2016195215A1/ko
Priority to US15/141,181 priority patent/US20160355687A1/en
Publication of KR2016014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9D1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D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22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 C08K7/24Expanded, porous or hollow particl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COATING COMPOSITION FOR GLITTER SHEET, PRINTABLE GLITTER SHEE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리터 쉬트는 반짝거리는 장식성이 가미된 쉬트의 한 종류로서, 글리터를 포함하는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쉬트를 의미한다. 글리터(glitter)는 작고, 납작하고, 반사성을 갖는 입자를 통칭하는 것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빛을 반사하여 물체의 표면에 반짝거리는 외관(sparkle surface) 및 빛이 일렁이는 외관(shimmer surface)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글리터 쉬트는 주로 화려한 장식성이 요구되면서 동시에 종이와 같은 쉬트의 특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터 쉬트는 포장, 공예, 장식용품의 제작, 벽지, 글리터 천, 광고 미디어 등 다양한 방면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글리터 쉬트는 지지체에 핫멜트 접착제를 먼저 도포한 후, 핫멜트 접착제층의 표면에 글리터 파우더를 뿌리고 가열하여 고착화 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글리터 쉬트는 글리터 입자에 의해 평활도가 매우 거칠어지고, 글리터 파우더가 탈락되기 쉬워 인쇄기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는 왁스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통상의 인쇄용 잉크(수성 또는 유성 잉크)와의 접착성이 매우 좋지 못하다. 때문에, 글리터 쉬트에 통상의 인쇄용 잉크로 인쇄하여 활자, 패턴, 도안 등을 구현하는 경우 잉크가 번지거나 지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실질적으로 인쇄가 불가능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의 인쇄용 잉크가 아닌 경화형 잉크를 사용하여 글리터 쉬트에 인쇄를 하고 있다. 이러한 경화형 잉크는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UV 경화형) 잉크 또는 라텍스 잉크 등이 있다. 그러나, 경화형 잉크는 중합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잉크의 단가가 매우 비싸고, 경화할 수 있는 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비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경화형 잉크는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지며, 생산 중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어 실시자에게 이롭지 않다. 다시 말해, 종래의 글리터 쉬트는 보편화된 인쇄 방법으로는 인쇄되기 어렵고, 고가의 특수 인쇄 설비를 필요로 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단한 공정을 통해서도 낮은 원가로 고품질의 글리터 시트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통상의 인쇄용 잉크(수성 또는 유성 잉크)를 사용하면서도, 별도의 경화 장치 포함하지 않는 잉크젯 인쇄기, 오프셋 인쇄기, 레이저 인쇄기, 그라비어 인쇄기, 플렉소 인쇄기, 복사기 등에서도 사용하는 경우에서도 고품질의 인쇄물을 수득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글리터 쉬트 코팅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2012-0049479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글리터 쉬트에 고품질의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성 또는 유성잉크 인쇄성, 표면평활성(마찰계수), 광택성, 접착력, 인쇄해상도 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화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 잉크젯 인쇄기, 오프셋 인쇄기, 레이저 인쇄기, 그라비어 인쇄기, 플렉소 인쇄기, 복사기를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도, 인쇄 품질이 우수한 글리터 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소화된 공정만으로도 글리터 쉬트에 우수한 글리터 접착성, 표면평활성 및 잉크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및 우레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 를 함유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글리터 파우더 1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다공성 입자 1 중량% 내지 30 중량% 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입자는 실리카 입자, 칼슘실리케이트 입자, 탄산칼슘 입자, 황산칼슘 입자, 알루미나 입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입자, 카올린 입자, 탈크 입자, 마이카 입자, 돌로마이트 입자, 석고 입자, 클레이 입자, 산화티탄 입자, 다공성 폴리머 입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제1바인더 수지 3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 이상인 제2바인더 수지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혼합물이고,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유성잉크 인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 전분, 젤라틴 및 셀룰로스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의 친수성 수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제1바인더 수지 45 중량% 내지 95 중량%(또는 50 중량% 내지 95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 이상인 제2바인더 수지 5 중량%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이며,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수성잉크 인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접착 보조제, 양이온고색제, 가교제, 분산제, 증점제, 습윤제, 방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소포제, 윤활제, 유평제, 내수화제, 내광제, 방점제(anti blocking agent), 색소, 증백제(optical brightening agent), 염료, 안료, 색소,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쉬트 지지체 및 상기 쉬트 지지체 상에 형성된 글리터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터 코팅층은 전술한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쇄용 글리터 쉬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쇄용 글리터 쉬트는 상기 글리터 코팅층 상에 추가로 형성된 최외각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각 코팅층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용 글리터 쉬트는 정적 마찰계수가 0.2 내지 0.8 이고, 동적 마찰계수가 0.1 내지 0.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코팅 조성물을 쉬트 지지체 상에 롤코팅 방법으로 도포한 후 건조하여 글리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글리터 쉬트에 고품질의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고, 유성잉크 인쇄성, 수성잉크 인쇄성, 표면평활성, 접착력이 우수한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쉬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성 잉크가 인쇄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성 잉크가 인쇄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들은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제1구현예의 코팅 조성물
본 발명의 제1구현예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이하, 「코팅 조성물」이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글리터 쉬트는 잉크와의 친화성이 향상되어 높은 품질로 인쇄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 쉬트의 코팅층 형성 공정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구현예의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우수한 「잉크 인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잉크 인쇄성」은 글리터 쉬트의 표면과 수성잉크 또는 유성잉크와의 접착력 및 밀착력이 우수하여 수성잉크 또는 유성잉크로의 인쇄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코팅 조성물이 잉크 인쇄성을 갖는다」는 것은 코팅 조성물이 글리터 쉬트에 우수한 잉크 인쇄성을 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인쇄가 가능함은 인쇄를 목적으로 하는 도안, 활자, 무늬, 패턴 등(이하, 통칭하여「화상」이라 한다)이 번지지 않고, 식별가능하게, 고해상도로 인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쇄성의 향상」은 속건성의 향상, 잉크 흡수성의 향상, 인쇄 품질의 향상, 해상도의 향상, 화상의 선명도 향상 또는 잉크 번짐의 저하 등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구현예의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특히 우수한 「유성 잉크 인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유성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 인쇄, 오프셋 인쇄, 레이저 인쇄,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복사 인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도 고품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글리터 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는 고가의 경화형 잉크를 유성잉크로 대체할 수 있어 인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경화장치 없이 기존의 인쇄기(예를 들면, 잉크젯 인쇄기, 오프셋 인쇄기, 레이저 인쇄기, 그라비어 인쇄기, 플렉소 인쇄기, 복사기 등)를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우수한 화상 품질을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층의 폭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글리터를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는 쉬트 지지체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글리터가 코팅층을 통해 쉬트 지지체에 고정된 형태의 글리터 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취급 시 글리터가 쉬트 지지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반짝이는 외관이 지속적으로 구현된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따라 색소를 추가로 포함하여 글리터 쉬트에 색감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아크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및 우레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쉬트 지지체 및 글리터 양자 모두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동시에 글리터용 쉬트에 높은 수준의 유성잉크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또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을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는 코팅층의 강인성 및 가소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쉬트 지지체와 코팅층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는 유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을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아크릴레이트 3원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비닐클로라이드 3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쉬트 지지체와 코팅층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코팅 조성물의 속건성 및 흐름성을 향상시켜, 코팅 조성물의 취급성 및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속건성이 향상되는 경우, 유성잉크 인쇄성 및 인쇄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는 유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수지는 비변성의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비변성의 아크릴 수지는 글리터 쉬트의 유연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쉬트 지지체, 특히 종이 재질의 쉬트 지지체로의 침투성이 우수하여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아크릴 수지는 폴리아크릴 100%로 이루어진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티렌-아크릴 수지는 스티렌 모노머 및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스티렌-아크릴 수지는 글리터 쉬트의 유연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코팅층과 쉬트 지지체와의 접착력 및 코팅층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코팅 조성물의 도포 작업성, 초기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트릴 고무(NR)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니트릴 고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비변성의 니트릴 고무를 사용할 경우, 글리터 쉬트는 유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고무(AR)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아크릴 고무, 또는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아크릴 고무(AR) 및 상기 니크릴 고무(N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모노머 및 아크릴 고무(A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비변성의 아크릴 고무를 사용할 경우, 글리터 쉬트는 유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레탄 수지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변성 또는 비변성의 폴리우레탄은 글리터 쉬트의 내한성, 내수성, 탄성, 변형 추종성, 글리터와의 접착력,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레탄 수지는 코팅 조성물이 코팅층으로 형성된 후 적정범위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전술한 예시의 수지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 또는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전술한 예시의 수지 중 무정형 또는 결정화도가 50% 이하, 예를 들면, 40% 이하, 30% 이하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건조 후 형성된 코팅층의 투명도가 더욱 향상되어 글리터 쉬트의 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수지 에멀젼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수지 에멀젼은 통상의 종이 코팅 분야에 사용되는 수지 에멀젼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글리터 바인더 수지를 에멀젼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초기 접착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로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아크릴 고무, 니트릴 고무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지는 라텍스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수지 라텍스는 통상의 수지 라텍스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글리터 바인더 수지를 라텍스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초기 접착성 및 점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멀젼 상태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전술한 예시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 에멀젼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 에멀젼을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예시들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를 분산매에 유화 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산매는 예를 들면, 물, 친수성 용매,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액 등 일 수 있으며, 에멀젼 중 수지 함량은 예를 들면 5% 내지 70%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 에멀젼을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예시들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원료(예를 들면, 모노머)를 유화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에멀젼 중 제조된 수지의 함량은 예를 들면 5% 내지 70%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의 고정성과 글리터 쉬트의 표면의 내오염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동종계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이종계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는 양자 모두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일 수 있으나(동종계 수지),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1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이고 제2바인더 수지는 폴리우레탄수지일 수 있으며(이종계 수지), 양자의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달리하는 경우 글리터, 글리터 바인더 수지 및 쉬트 지지체 간의 접착력의 균형이 향상되는 동시에 글리터 쉬트의 건조 후 표면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글리터 바인더 수지를 1종 이상 포함하고, 상기 제2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인 글리터 바인더 수지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글리터의 고정성(글리터가 쉬트 지지체 및 코팅층 내에 고정되는 정도)과 글리터 쉬트의 표면 안정성을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글리터 쉬트의 표면」은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코팅 조성물이 쉬트 지지체 상에 도포 및 건조되어 형성된 코팅층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글리터 쉬트의 표면」은 코팅 조성물이 글리터 쉬트에 적용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글리터 쉬트의 표면 안정성」 은 코팅층이 형성된 이후 바인더의 접착력(코팅 조성물이 도포 및 건조된 이후)에 의해 오염물질이 부착되거나, 코팅층 일부가 취급 과정에서 접촉하는 설비 또는 다른 물체 등에 부착되지 않는 정도를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전체 글리터 바인더 수지 중 제1바인더 수지 3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제2바인더 수지 30 중량% 내지 7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코팅층의 글리터 고정성, 표면 안정성, 유성잉크 인쇄성 및 내오염성을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의 중량비는 1:1 내지 2:1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유성잉크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바인더 수지는 25℃ 점도가 1,000 mPa·S 내지 10,000 mPa·S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25℃ 점도는 1,000 mPa·S 내지 6,000 mPa·S, 1,500 mPa·S 내지 5,500 mPa·S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 쉬트와 유성 잉크와의 친화성을 더욱 향상하여, 글리터 쉬트의 유성 인쇄성 및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에서 코팅 조성물의 도포성 및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2바인더 수지는 25℃ 점도가 500 mPa·S 내지 6,000 mPa·S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25℃ 점도는 500 mPa·S 내지 5,800 mPa·S, 1,000 mPa·S 내지 4,000 mPa·S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 쉬트와 유성 잉크와의 친화성을 더욱 향상하여, 글리터 쉬트의 유성 인쇄성 및 인쇄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에서 코팅 조성물의 도포성 및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전체 점도(2종 이상의 바인더 수지를 포함한 경우, 혼합된 이후의 점도)는 1,000 mPa·S 내지 8,000 mPa·S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 입자를 쉬트 지지체에 고정하는 효과가 더욱 우수하면서도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전체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중 20 중량% 내지 6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 조성물은 점도가 적절하여 취급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코팅층의 글리터 고정 효과 및 오염물질 부착 방지효과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함량은 전체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중 20 중량% 내지 5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20 중량% 내지 4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의 글리터 고정 효과 및 오염물질 부착 방지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범위 함량 범위에서, 글리터가 코팅 조성물 내에 적절하게 분산되어 반짝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글리터 파우더는 글리터 쉬트의 외관을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글리터 파우더는 각각의 글리터 입자가 입사광을 서로 다르게 반사함으로써, 반짝거리는 외관을 구현한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파우더는 글리터 입자가 기재인 투명 고분자 필름층; 및 금속 증착층, 컬러 인쇄층, 홀로그램 필름층 및 레인보우 필름층 중 1종 이상의 층;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글리터를 사용하는 경우, 글리터 쉬트의 외관 품질이 더욱 향상되고, 다채로운 느낌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터 파우더는 기재 필름 상에, 금속 진공 증착층, 홀로그램 필름층, 메탈 파우더 피복층, 컬러 인쇄층, 레인보우 필름층 폴리머 코팅층, 알루미늄 증착층, 이산화티탄 피복층 등을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리터 파우더는 반짝이는 외관 및 빛이 일렁이는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 고분자 필름층은 글리터의 형상을 유지하는 기재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고분자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필름,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기타의 투명 고분자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의 투명 고분자 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투명 고분자 필름은, 본 발명 실시예들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와의 접착력이 더욱 우수하고, 투명성이 우수하여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투명 고분자 필름층은 두께가 20 ㎛ 내지 50 ㎛ 인 투명한 기재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의 취급성이 우수하며, 코팅 조성물과의 접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 증착층은 빛을 강하게 반사하여 반짝임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금속 증착층의 금속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알루미늄, 금, 은, 동 등일 수 있다. 상기 예시적인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얇은 두께의 증착층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우수한 반짝임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증착층은 예를 들면, 투명 고분자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 컬러 인쇄층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홀로그램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 레인보우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 등에 증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컬러 인쇄층은 글리터에 색상을 부여한다. 컬러 인쇄층의 색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컬러 인쇄층은 예를 들면, 투명 고분자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 금속 증착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홀로그램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 레인보우 필름층의 일면 또는 양면 등에 인쇄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홀로그램 필름층은 빛의 반사율 또는 간섭 정도를 조절하여 입체감을 구현할 수 있는 층을 의미한다. 이러한 홀로그램 필름층을 통해, 글리터는 미려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인보우 필름층은 입사광을 굴절률 또는 파장이 다른 색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층을 의미한다. 이러한 레인보우 필름층을 통해, 글리터는 무지개 색상, 오로라 색상 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터의 절단형태는 편상일 수 있다. 편상은 예를 들면, 원형편상, 별형편상, 실선형편상, 하트형편상, 4각편상, 6각편상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글리터를 편상으로 제조하는 경우, 글리터 페이퍼의 평활성 및 잉크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리터의 두께는 12 ㎛ 내지 15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 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글리터는 두께 20 ㎛ 내지 50 ㎛의 투명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알루미늄 증착층을 형성하고, 고분자 필름의 이면 및/또는 증착층의 상부면에 유성 칼라 인쇄법으로 칼라 인쇄층을 형성한 필름 적층체를 편상으로 절단하여 제조한 입자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글리터는 두께 20 ㎛ 내지 50 ㎛의 투명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레인보우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예를 들면, 원형편상, 6각편상 등으로 필름 적층체를 절단하여 제조한 입자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의 글리터는 두께 20 ㎛ 내지 50 ㎛의 투명 고분자 필름의 일면에 레인보우 필름을 라미네이트하고, 고분자 필름의 이면 및/또는 레인보우 필름의 상부면에 유성 칼라 인쇄법으로 칼라 인쇄층을 형성한 필름 적층체를 예를 들면, 원형편상, 6각편상 등으로 절단하여 제조한 입자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글리터는 입자의 평균 입경이 0.05 mm 내지 10 mm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의 고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글리터 입자의 평균 면적은 목적하는 글리터 쉬트의 외관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글리터는 입자의 평균 면적이 0.002 mm2 내지 160 mm2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의 고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글리터 입자의 평균 면적은 목적하는 글리터 쉬트의 외관에 따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파우더의 함량은 전체 코팅 조성물 중 2 중량% 내지 60 중량%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터 파우더의 함량은 3 중량% 내지 50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4 중량% 내지 50 중량%, 10 중량% 내지 50 중량%, 15 중량% 내지 5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 입자가 전체 코팅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공정 중 글리터 입자의 탈락률도 더욱 낮출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입자는 기공을 이용하여 글리터 쉬트의 잉크 흡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공성 입자는 코팅층의 형성 후 코팅층에 고정된 상태로 잉크를 흡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를 빠르게 흡수하여, 번짐을 방지하고 잉크를 글리터 쉬트 표면에 고정시키는 앵커역할을 수행하여 인쇄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입자는 잉크의 용제가 휘발될 때까지 색소를 입자 표면에 고정(immobilize)하여 색소의 유실을 방지한다. 이를 통해, 인쇄 지점의 색밀도를 높일 수 있어 인쇄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입자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바인더 수지가 글리터 입자를 충분히 뒤덮을 수 있어, 글리터 파우더를 고정하는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반면,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코팅층의 잉크 인쇄성(또는 인쇄 적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에서 인쇄 적성이란, 예를 들면, 인쇄 시의 해상도, 잉크 건조속도, 잉크 블리딩 정도 등을 의미한다.
또한, 다공성 입자는 글리터 파우더 입자들 간의 빈 공간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층이 더욱 치밀하게 형성될 수 있어 글리터 쉬트의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실리카 입자, 칼슘 실리케이트 입자, 탄산칼슘 입자, 황산칼슘 입자, 알루미나 입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입자, 카올린 입자, 탈크 입자, 마이카 입자, 돌로마이트 입자, 석고, 클레이 입자, 산화티탄 입자, 다공성 폴리머 입자 중 하나 이상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공성 입자는 잉크흡착성이 우수하면서도, 동시에 코팅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표면 평활성 및 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입자는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다공성 입자 또는 글리터 입자의 침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입자는 전술한 예시적인 다공성 입자들의 유도체, 변성체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입자는 입자의 표면에 기공이 형성된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겔 타입, 침강형(precipitated) 타입, 흄드(fumed) 타입, 드라이 타입, 그라운드 타입, 소성(clacined) 타입, 수화형(hydrous) 타입 중 가능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판상의 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도 조절 및 침강 방지의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글리터 쉬트 표면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건식실리카(fumed silica)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공성 입자의 기공을 확보하기에 더욱 유리하여 잉크 흡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잉크흡수성 및 속건성 향상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글리터 쉬트 표면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평균입경이 0.1 ㎛ 내지 80.0 ㎛, 구체적으로 0.1 ㎛ 내지 70.0 ㎛, 더욱 구체적으로 1.0 ㎛ 내지 60.0 ㎛, 예를 들면, 2.5 ㎛ 내지 4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잉크가 닿는 위치에서 바로 스며들도록 하여 인쇄된 도안, 무늬, 활자 등의 테두리를 더욱 매끈하고 또렷하게 구현할 수 있어 인쇄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표면 평활성 및 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잉크흡수성 및 속건성 향상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글리터 쉬트의 잉크 인쇄성 및 표면의 평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평균입경이 0.1 ㎛ 내지 3.0 ㎛인 그라운드 타입 탄산칼슘 및 평균입경이 3.5 ㎛ 내지 15.0 ㎛인 침강형 타입 탄산칼슘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잉크 인쇄성 및 표면의 평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 잉크에 대한 인쇄성이 더욱 향상되어, 잉크 펜 등에 의한 필기성이 향상 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평균입경이 0.1 ㎛ 내지 3.0 ㎛인 그라운드 타입 탄산칼슘 70 중량%, 평균입경이 3.5 ㎛ 내지 15.0 ㎛인 침강형 타입 탄산칼슘 20중량% 및 겔타입의 실리카 10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잉크 인쇄성 및 표면의 평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 잉크에 대한 인쇄성이 더욱 향상되어, 잉크 펜 등에 의한 필기성이 더욱 향상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비표면적이 2 m2/g 내지 600 m2/g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다공성 입자의 잉크 흡착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표면 평활성 및 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입자는 표면이 양이온성, 친수성 또는 소수성 표면처리제로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잉크입자의 친화성이 더욱 향상되어 인쇄성 및 속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공성 입자의 함량은 전체 코팅 조성물 중 1 중량%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5 중량% 내지 25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5 중량% 내지 2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코팅층의 잉크 흡수성 및 속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접착보조제, 양이온고색제, 가교제, 분산제, 증점제, 습윤제, 방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소포제, 윤활제, 유평제, 내수화제, 내광제, 방점제(anti blocking agent), 색소, 증백제(optical brightening agent), 염료, 안료, 색소,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보조제는 암모늄 화합물, 지르코늄 카보네이트 화합물, 산화 아연 등을 포함하는 가교 결합제; 및 실란 커플링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들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글리터 및 다공성 입자의 고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잉크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이온고색제는 중합성 양이온 첨가제, 고분자 전해질(polyelectrolyte) 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합성 양이온 첨가제는 이민계 화합물, 이미드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양이온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프로모터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폴리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poly-DADMAC), 아연-암모늄 카보네이트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잉크의 색소 입자와의 친화성이 더욱 우수하여 잉크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이 인쇄된 부위의 잉크 밀도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 후에 시간 변화에 따라 잉크의 색소 입자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의 색소는 음이온성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양이온 고색제를 포함함으로서, 색소와 글리터 코팅층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잉크의 색소를 다공성 입자의 표면에 앵커링 시키고, 용제는 다공성 입자의 기공으로 빠르게 흡수되도록 할 있어, 속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산제는 일반적인 현탁화제,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셀룰로오스(MCC),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계 분산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소듐바이카보네이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습윤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글리세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증점제, 방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소포제, 윤활제, 유평제, 내수화제, 내광제, 방점제(anti blocking agent), 증백제(optical brightening agent), pH 조절제 등은 코팅 조성물의 상용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첨가제의 함량은 전체 코팅 조성물 중 0.1 중량% 내지 1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접착력과 코팅 후 표면 안정성의 균형을 높이는 동시에, 첨가제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색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색소는 색감을 부여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안료,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색소는 형광염료, 형광안료, 축광 안료, 수성안료, 수성염료, 펄 안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펄 안료는 예를 들면, 펄 마이카 안료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마이카 입자는 전술한 다공성 입자로 사용될 수 있는 마이카 입자와는 별개의 것으로, 단지 펄 안료의 색감을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일 구체예에서는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 동량의 안료를 사용하였을 경우 보다 글리터 코팅층의 광택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색소의 함량은 전체 코팅 조성물 중 0.1 중량% 내지 50 중량%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 코팅층의 광택도를 더욱 향상시키면서, 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구현예의 코팅 조성물
본 발명의 제2구현예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고, 수성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을 추가로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이하, 「코팅 조성물」이라 한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코팅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글리터 쉬트는 수성 잉크와의 친화성이 향상되어 높은 품질로 인쇄가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에 제조 시 발생하는 유기 휘발성 화합물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 쉬트의 코팅층 형성 공정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어, 제조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구현예의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수성잉크 인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수성잉크 인쇄성」은 글리터 쉬트의 표면과 수성잉크와의 접착력 및 밀착력이 우수하여 수성잉크로의 인쇄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코팅 조성물이 수성잉크 인쇄성을 갖는다」는 것은 코팅 조성물이 글리터 쉬트에 우수한 수성잉크 인쇄성을 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인쇄가 가능함은 인쇄를 목적으로 하는 도안, 활자, 무늬, 패턴 등(이하, 통칭하여「화상」이라 한다)이 번지지 않고, 식별가능하게, 고해상도로 인쇄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쇄성의 향상」은 속건성의 향상, 잉크 흡수성의 향상, 인쇄 품질의 향상, 해상도의 향상, 화상의 선명도 향상 또는 잉크 번짐의 저하 등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구현예의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특히 우수한 「수성잉크 인쇄성」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수성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 인쇄, 레이저 인쇄,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복사 인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인쇄하는 경우에도 고품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글리터 쉬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는 고가의 경화형 잉크를 수성잉크로 대체할 수 있어 인쇄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경화장치 없이 기존의 인쇄기(예를 들면, 잉크젯 인쇄기, 레이저 인쇄기, 그라비어 인쇄기, 플렉소 인쇄기, 복사기 등)를 이용하는 경우에서도 우수한 화상 품질을 구현할 수 있어, 소비자층의 폭을 더욱 증대할 수 있다.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글리터를 코팅 조성물이 도포되는 쉬트 지지체에 접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글리터 쉬트에 수성잉크 인쇄성을 부여한다. 이를 통해, 글리터 쉬트에 반짝이는 외관을 높은 내구성으로 부여하는 동시에, 높은 수준의 수성잉크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 따라 색소를 추가로 포함하여 글리터 쉬트에 색감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아크릴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및 우레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쉬트 지지체 및 글리터 양자 모두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동시에 글리터용 쉬트에 높은 수준의 유성잉크 및 수성잉크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종이 재질의 지지체 및 글리터 양자 모두와의 접착력이 우수하고, 글리터용 쉬트에 높은 수준의 인쇄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또는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을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는 코팅층의 강인성 및 가소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쉬트 지지체와 코팅층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로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의 변성 작용기와 수성잉크의 친화성이 더욱 우수하여, 글리터 쉬트의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을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변성의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아크릴레이트 3원 공중합체 또는 변성의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비닐클로라이드 3원 공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쉬트 지지체와 코팅층의 접착력 및 글리터 쉬트의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 또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일 수 있다.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는 코팅 조성물의 속건성 및 흐름성을 향상시켜, 코팅 조성물의 취급성 및 작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속건성이 향상되는 경우, 유성잉크 인쇄성 및 인쇄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로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폴리비닐아세테이트의 변성 작용기와 수성잉크의 친화성이 더욱 우수하여, 글리터 쉬트의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수지는 변성의 아크릴 수지일 수 있다. 변성의 아크릴 수지는 변성 작용기와 수성잉크의 친화성이 더욱 우수하여, 글리터 쉬트는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쉬트 지지체로의 침투성이 우수하여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아크릴 수지는 폴리아크릴 100%로 이루어진 수지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티렌-아크릴 수지는 스티렌 모노머 및 아크릴 모노머를 중합단위로 포함하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스티렌-아크릴 수지는 글리터 쉬트의 유연성 및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쉬트 지지체와의 접착력 및 코팅층의 평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일 수 있다. 스티렌-부타디엔 고무는 코팅 조성물의 도포 작업성, 초기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니트릴 고무(NR)는 변성 니트릴 고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변성의 니트릴 고무를 사용할 경우, 글리터 쉬트는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고무(AR)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아크릴 고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크릴 고무와 공중합된 형태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아크릴 고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아크릴 고무(AR) 및 상기 니크릴 고무(N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모노머 및 아크릴 고무(AR)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변성의 아크릴 고무를 사용할 경우, 글리터 쉬트는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레탄 수지는 변성 또는 비변성의 폴리우레탄일 수 있다. 변성 또는 비변성의 폴리우레탄은 코팅층의 내한, 내수성, 탄성, 변형 추종성, 글리터와의 접착력, 내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우레탄 수지는 코팅 조성물이 코팅층으로 형성된 후 적정범위의 강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에 대한 설명에서 변성 수지(예를 들면,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변성 (메타)아크릴 등)는 친수성 작용기가 치환된 수지를 의미한다. 이 때, 친수성 작용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레이트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변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쉬트 지지체와의 친화력이 더욱 향상되어 쉬트 지지체에 침투되는 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수성잉크 인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글리터 쉬트는 코팅층과 쉬트 지지체의 밀착력 및 접착력, 뿐만 아니라,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변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잉크친화성 및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로는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로 치환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쉬트 지지체와 코팅층 및 글리터와 코팅층의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변성 수지의 사용량 및 변성 수지에 친수성 작용기가 치환된 정도는 전체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질들의 함량, 종류, 상용성, 접착성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전술한 예시의 수지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 또는 공중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수지 에멀젼의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수지 에멀젼은 통상의 종이 코팅 분야에 사용되는 수지 에멀젼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글리터 바인더 수지를 에멀젼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의 초기 접착성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멀젼 상태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시판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직접 제조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전술한 예시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 에멀젼 중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 에멀젼을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예시들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를 분산매에 유화 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산매는 예를 들면, 물, 친수성 용매 등 일 수 있으며, 에멀젼 중 수지 함량은 예를 들면 5% 내지 50%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 에멀젼을 직접 제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예시들의 글리터 바인더 수지의 원료(예를 들면, 모노머)를 유화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에멀젼 중 제조된 수지의 함량은 예를 들면 5% 내지 50%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수지 에멀젼을 얻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로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및 폴리우레탄이 혼합된 수지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를 코팅층에 고정시키는 효과 및 코팅층과 쉬트 지지체의 접착시키는 효과가 더욱 우수한 동시에 코팅층의 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로는 변성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및 아크릴 수지가 혼합된 수지 에멀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를 코팅층에 고정시키는 효과 및 코팅층과 쉬트 지지체를 접착시키는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의 고정성과 글리터 쉬트의 표면의 내오염성을 우수한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동종계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고, 또는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른 이종계 수지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는 양자 모두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일 수 있으나(동종계 수지),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1바인더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이고 제2바인더 수지는 폴리우레탄수지일 수 있으며(이종계 수지), 양자의 유리전이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를 달리하는 경우 글리터, 글리터 바인더 수지 및 쉬트 지지체 간의 접착력의 균형이 향상되는 동시에 글리터 쉬트의 건조 후 표면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제1바인더 수지 70 중량% 내지 95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 이상인 제2바인더 수지 5 중량% 내지 30 중량%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코팅층의 글리터 고정성, 표면 안정성, 수성잉크 인쇄성 및 내오염성을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바인더 수지 및 제2바인더 수지의 중량비는 3:1 내지 5:1, 예를 들면, 4:1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수성잉크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성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은 글리터 쉬트와 잉크, 특히 수성 잉크와의 친화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는 잉크를 바인딩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잉크의 흡수력이 높아져, 인쇄 시 고품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성 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 전분, 젤라틴 및 셀룰로스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의 친수성 수지를 포함하는 용액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는 고품질의 수성잉크 인쇄성을 구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면, 가수분해된 폴리비닐알코올(hydrolyzed PVA)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86% 이상, 90% 이상 또는 98% 이상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는 100% 가수분해된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성잉크와의 친화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91% 내지 96.5% 가수분해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86% 내지 89% 가수분해된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성잉크 인쇄성이 더욱 높아지고,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의 건조 후 내수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코팅층의 계면특성을 조절하여, 인쇄 시 잉크와의 접촉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잉크 인쇄성 및 속건성이 향상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셀룰로스계 수지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 에틸셀룰로스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셀룰로스계 수지는 쉬트 지지체, 특히 종이 재질의 쉬트 지지체와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성 수지는 변성 수지(예를 들면,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가 사용될 수 있다. 변성 수지에 대한 정의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변성 수지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 작용기와 수성 잉크의 접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코팅 조성물은 높은 수준의 수성잉크 인쇄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성 수지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친수성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성 잉크 인쇄성 및 속건성이 향상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친수성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피롤리돈은 중량비는 8: 2 내지 9:1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 잉크젯용 수성 잉크에 대한 친화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어, 높은 수준의 수성잉크 인쇄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친수성 수지는 용매에 용해되어 용액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성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과 쉬트 지지체의 접착력 및 코팅층과 수성 잉크와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성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는 코팅 조성물과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각 용액에 포함되는 수지의 용해성이 뛰어난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친수성 수지를 함유하는 용액의 용매는 물, 친수성 용매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용액에 포함되는 수지의 용해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팅 조성물과 쉬트 지지체의 접착력을 적절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예시의 용매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은 상기 친수성 수지를 1% 내지 100%, 1% 내지 20%, 1% 내지 10%의 농도로 포함하는 수용액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 조성물은 코팅성이 더욱 향상 될 뿐만 아니라, 점도 조절이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친수성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 g/mol 내지 17,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구체적으로 3,000 g/mol 내지 17,000 g/mol, 더욱 구체적으로 5,000 g/mol 내지 17,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은 종이 재질의 지지체와 코팅층의 접착력을 더욱 높이는 동시에 글리터를 고정시키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의 함량은 전체 코팅 조성물 중 1 중량% 내지 30 중량%, 구체적으로 1 중량% 내지 중량 25 %, 더욱 구체적으로 1 중량% 내지 중량 2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글리터 쉬트의 수성잉크 인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제2구현예의 코팅 조성물에 적용되는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는 제1구체예의 코팅 조성물에 대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2구체예의 코팅 조성물에 추가로 적용될 수 있는 첨가제에 대한 설명도, 전술한 첨가제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구현예(제1구현예, 제2구현예 등)들의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의 합계를 40중량% 내지 75중량% 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형분의 함량이 높아 건조열량이 감소하며, 공정 시 소모되는 에너지 및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생산속도가 높아져 생산성이 증가하며 생산 원가가 저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구현예들의 코팅 조성물은 각 구성 성분을 교반기에 투입한 후 교반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교반 반응은 교반기에서 100~1,000rpm의 속도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교반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파우더가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다른 성분들에 의해 충분히 습윤될 수 있고, 글리터 입자가 바인더 수지로 균일하게 덮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층의 평활성이 향상되며, 기포가 생성이 더욱 저감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는, 코팅 조성물의 교반 시 증점제를 첨가하여 코팅 조성물 내에 글리터 파우더가 분산되는 양상을 조절하면서 동시에 점도를 조절하여 유동성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인쇄용 글리터 쉬트>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전술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v층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에 고품질의 인쇄가 가능한 글리터 쉬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글리터 쉬트는 쉬트 지지체 및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글리터 바인더 수지,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또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 수성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 글리터 파우더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쉬트 지지체는 종이, 플라스틱 미디어(media), 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쉬트 지지체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무게가 30g/m2 내지 300g/m2 인 종이 지지체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무게가 60g/m2 내지 250g/m2인 종이 쉬트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 글리터 쉬트는 포장지, 커팅 공예지, 접기 공예지, 카드, 엽서, 벽지, 오너먼트 제조용지 광고용 미디어(media) 등으로 적용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무게가 100g/m2 내지 150g/m2 인 천 지지체를 사용하는 경우, 글리터 쉬트는 글리터 천 등으로 적용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쉬트 지지체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두께가 100 ㎛ 내지 250㎛ 인 플라스틱 미디어(media)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두께가 120 ㎛ 내지 200㎛ 인 플라스틱 미디어(media)를 사용하는 경우, 광고용 미디어(media) 등으로 적용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쉬트 지지체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두께가 50g/m2 내지 500g/m2 인 글리터 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글리터 천은 50g/m2 내지 500g/m2 인 종이 또는 필름과 합지하여, 라미네이트된 상태로 벽지, 공예지 등으로 적용할 수 있다.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쉬트 코팅방법 중 적절한 것을 채용하여 적용할 수 있다.
종래의 글리터 쉬트는 핫멜트 접착제를 쉬트의 일면에 코팅하여 핫멜트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층의 상부에 글리터 파우더를 뿌린 후 접착제층을 냉각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은 접착되지 않은 나머지 글리터 파우더를 진공 흡입하여 제거하는 단계가 추가로 필요하여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는 글리터 고착성(고정성)이 부족하여 글리터 입자가 쉽게 탈락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글리터 쉬트는 글리터 파우더가 쉽게 탈락하여 용도가 제한될 수 있어 사용성이 감소된다. 예를 들면 포장재 등으로 사용되는 경우, 포장에 필요한 점착 테이프에 의해 글리터 입자가 탈락되어 포장성이 떨어 질 수 있으며, 글리터 종이백, 글리터 재질의 박스 등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도 접합 부분이 글리터의 탈락과 함께 떨어져 접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글리터 쉬트에 사용되는 글리터 입자의 크기(50㎛~10,000㎛, 100㎛~3,000㎛)에 의해 종래의 글리터 쉬트에는 90㎛~2,500㎛ 정도의 폭 및 깊이를 갖는 비평활성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평활성 표면은 거칠기의 정도가 높아 유성잉크 또는 수성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 인쇄, 오프셋 인쇄, 레이저 인쇄,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복사 인쇄 등의 방법으로 인쇄하기 어렵다.
일 실시예의 코팅층 형성 방법은, 쉬트 지지체 상에 코팅층을 1회 공정으로 코팅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핫멜트 접착제(본 발명 바인더에 대응) 도포 단계 및 글리터 파우더 살포 단계의 2단계 공정으로 이루어 지는 종래의 제조 방법에 비하여, 단일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공정 편이성 및 제조 비용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쉬트 지지체 상에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코팅층 형성 방법은 예를 들면, 시트 코팅, 롤 코팅, 롤투롤 코팅, 시트투롤코팅, 슬로다이 코팅, 코마코팅 등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팅층은 시트 코팅 또는 롤 코팅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코팅층은 권취롤 등이 포함된 장치 내에서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코팅 조성물을 롤코팅한 후 건조 챔버 등을 이용하여 건조하는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온도는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전체 바인더 수지의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건조 온도는 유리전이온도 또는 최저 도막(또는 필름)형성 온도(minimum film formation temperature)에 따라 조절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전이온도와 최저 도막(또는 필름)형성 온도의 중간온도, 또는 유리전이온도를 상회하는 온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팅층이 형성된 이후 거울 엠보싱 롤러를 이용해 엠보싱하는 과정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글리터 쉬트의 평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엠보싱을 인라인 공정 또는 오프라인 공정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건조 온도는 예를 들면, 50℃ 내지 255℃ 또는 100℃ 내지 220℃일 수 있다. 건조시간은 예를 들면 0.5 분 내지 10분, 0.5 분 내지 3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롤코터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롤코팅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도포량은 고형분을 기준으로 20~100g/m2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엠보싱은 코팅층의 두께가 50% 내지 80%가 되도록 압력을 조절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엠보싱은 인라인 공정 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오프라인 공정을 통해 별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인라인 공정 내에서 엠보싱이 수행되는 경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을 더욱 절감할 수 있다. 오프라인 공정으로 엠보싱이 수행되는 경우, 엠보싱 처리의 편이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글리터 쉬트 제조 방법은 본 발명 제1구현예 또는 제2구현예의 코팅 조성물을 롤상태로 쉬트 지지체(피착제)에 코팅하는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솔벤트의 증발을 위해 열가열 건조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 온도는 코팅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 및 최저 도막(또는 필름)형성 온도(minimum film formation temperature) 이상으로 가열하는 방법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비중이 높은 글리터 입자가 솔벤트의 증발 과정 중 바인더 내부로 가라 앉아 글리터 입자의 고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평활성을 놓일 수 있다.
또한, 열가열 건조 후 냉각과정에서 코팅층이 완전 냉각되어 rewind 하기 전에, 열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mirror emboss 롤러로 엠보싱하여 글리터 쉬트의 표면평활도 및 광택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의 인쇄성이 더욱 향상 될 뿐 만 아니라, 바인더와 글리터의 접착력 및 밀착력을 더욱 향상시켜 글리터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쉬트는 코팅층의 평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리터 쉬트는 인쇄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글리터 쉬트의 평활도가 우수한 경우, 인쇄 품질과 함께 작업성, 권취성 등의 취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표면평활성은 예를 들면,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마찰계수가 낮을수록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구체적으로, 글리터 쉬트의 평활성은 글리터 코팅층 또는 최외각 코팅층의 정적 마찰계수를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글리터 쉬트는 정적 마찰계수가 구체적으로, 0.8 이하 또는 0.2 내지 0.8, 더욱 구체적으로 0.7 이하 또는 0.2 내지 0.7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글리터 쉬트는 동적 마찰계수가 구체적으로, 0.5 이하 또는 0.1 내지 0.5, 더욱 구체적으로 0.4 이하 또는 0.1 내지 0.4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내에서, 글리터 쉬트는 표면평활성이 더욱 우수하여, 인쇄성이 더욱 향상될 뿐 만아니라, 인쇄기의 고장을 방지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글리터 쉬트는 코팅층의 상부에 최외각층을 추가로 형성(2차 코팅)할 수 있다. 최외각층은 전술한 코팅 조성물에서 글리터 파우더를 제외한 최외각층 조성물로 형성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외각층 조성물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한다. 최외각층 조성물에 포함되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 및 다공성 입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코팅 조성물에서 사용된 동일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구체적으로, 최외각층은 전술한 코팅 조성물과 같이, 구현예에 따라 성분을 달리하여 유성잉크 인쇄성 또는 수성잉크 인쇄성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최외각층 코팅 조성물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50 중량% 내지 90중량% 및 다공성 입자 10 중량% 내지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최외각층 코팅 조성물은 유성잉크 인쇄성을 갖고, 이에 포함되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제1바인더 수지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 이상인 제2바인더 수지 10 중량% 내지 90 중량%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최외각층 코팅 조성물은 수성잉크 인쇄성을 갖고, 이에 포함되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제1바인더 수지 30 중량% 내지 50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 이상인 제2바인더 수지 10 중량% 내지 30 중량%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친수성 수지를 30% 내지 50%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최외각층 코팅 조성물은 접착 보조제, 양이온 고색제, 가교제, 분산제, 증점제, 습윤제, 방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소포제, 윤활제, 유평제, 내수화제, 내광제, 방점제(anti blocking agent), 색소, 증백제(optical brightening agent), 염료, 안료, 색소,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글리터 쉬트는 전술한 코팅층 상에 수성잉크 인쇄층 또는 유성잉크 인쇄층이 형성되는 인쇄용 글리터 쉬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글리터 쉬트는 인쇄 시 인쇄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인쇄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수성 잉크 또는 유성 잉크를 사용하는 잉크젯 인쇄, 오프셋 인쇄, 레이저 인쇄,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복사 인쇄 등일 수 있다.
또한, 라텍스 인쇄 또는 UV인쇄와 같은 경화형 인쇄도 물론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 단가 절감의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글리터 쉬트는 이미 높은 수준으로 보급되어 있는 잉크젯 인쇄기, 오프셋 인쇄기, 레이저 인쇄기, 그라비어 인쇄기, 플렉소 인쇄기, 복사 인쇄기, 가정용 인쇄기 등으로도 충분히 높은 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들에 따른 저렴한 비용으로 고품질의 인쇄물을 얻을 수 있는 글리터 쉬트를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인쇄분야에 적용이 유리하며, 소비자의 폭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유성 잉크가 인쇄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10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는 쉬트 지지체(10) 상에 형성된 코팅층(21)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21)은 다공성 입자(20a), 글리터(2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21)의 상부에는 유성 잉크층(31a, 31b)이 인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21)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다공성 입자(20a) 및 글리터(20b) 파우더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입자(20a) 및 글리터(20b)는 일부가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팅층(21)의 일부는 쉬트 지지체(10)의 내부에 침투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유성 잉크층(31a, 31b)은 일부가 코팅층의 내부 또는 다공성 입자(20a)의 기공 내부에 침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된 유성 잉크층(31a, 31b)은 빠르게 흡수 및 건조되며, 코팅층과의 밀착성도 우수하여, 글리터 쉬트의 인쇄품질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유성 잉크층(31a, 31b)은 잉크젯 인쇄, 오프셋 인쇄, 레이저 인쇄,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복사 인쇄 방식으로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성 잉크가 인쇄된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200)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의 글리터 쉬트는 쉬트 지지체(10) 상에 형성된 코팅층(22)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다공성 입자(20a), 글리터(20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22)의 상부에는 수성 잉크층(32a, 32b)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22)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수성 잉크 친화성 수지 용액, 다공성 입자(20a) 및 글리터(20b) 파우더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입자(20a) 및 글리터(20b)는 일부가 코팅층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코팅층(22)의 일부는 쉬트 지지체(10)의 내부에 침투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수성 잉크층(32a, 32b)은 일부가 코팅층의 내부 또는 다공성 입자(20a)의 기공 내부에 침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된 수성 잉크층(32a, 32b)은 빠르게 흡수 및 건조되며, 코팅층과의 밀착성도 우수하여, 글리터 쉬트의 인쇄품질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상기 수성 잉크층(32a, 32b)은 잉크젯 인쇄, 오프셋 인쇄, 레이저 인쇄, 그라비어 인쇄, 플렉소 인쇄, 복사 인쇄 방식으로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실시예 1 : 유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글리터 쉬트의 제조(유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1)
유리전이온도가 14℃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11, 고형분함량 55%, 점도 1,500~2,500 mPa·S) 30g, 유리전이온도가 -15℃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04, 고형분함량 55%, 점도 2,000~3,000 mPa·S) 8g, 글리터 파우더(Gelite glitter powder TS330) 42g, 그라운드형 탄산칼슘(D95, Keji.Co. Ltd., 평균입경:1.0~2.0㎛) 17g, 디에틸렌글리콜 2g, 수성 음이온 분산제(ZetaSperse 3600 Dispersant, Air Products and Chemicals, 25℃점도:500mPa.s, 52% 유효성분수성용액) 0.5g 및 비이온 습윤 분산제(DisperBYK-192, BYK USA Inc, 점도: ca.280mPa.s) 0.5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롤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건조중량 65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105℃의 건조 챔버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유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수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글리터 쉬트의 제조(수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1)
유리전이온도가 14℃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11, 고형분함량 55%, 점도 1,500~2,500 mPa·S) 15g, 유리전이온도가 -15℃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04, 고형분함량 55%, 점도 2,000~3,000 mPa·S) 15g, 폴리비닐알코올 용액(88% 가수분해, 18% 용액) 7g, 글리터 파우더(Gelite glitter powder TS330) 42g, 그라운드형 탄산칼슘(D95, Keji.Co. Ltd., 평균입경:1.0~2.0㎛) 17g, 디에틸렌글리콜 2g, 양이온 고색제(polyDADMAC 30%) 1g, 수성 음이온 분산제(ZetaSperse 3600 Dispersant, Air Products and Chemicals, 25℃점도:500mPa.s, 52% 유효성분수성용액) 0.5g 및 비이온 습윤 분산제(DisperBYK-192, BYK USA Inc, 점도: ca.280mPa.s) 0.5g 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롤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건조중량 65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105℃의 건조 챔버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수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유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글리터 쉬트의 제조(유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2)
탄산칼슘 대신 실리카(Tianyinano, TYZ-507E, 평균입경 6~8㎛) 3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롤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건조중량 65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 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105℃의 건조 챔버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유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유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글리터 쉬트의 제조(유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3)
유리전이온도가 14℃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11, 고형분함량 55%, 점도 1,500~2,500 mPa·S) 30g, 유리전이온도가 -15℃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04, 고형분함량 55%, 점도 2,000~3,000 mPa·S) 8g, 글리터 파우더(Gelite glitter powder TS330) 42g, 그라운드형 탄산칼슘(D95, Keji.Co. Ltd., 평균입경:1.0~2.0㎛) 10g , 침강형 탄산칼슘(CAH-6150,Guangdong Qiangda Chemical. Co. Ltd., 평균입경:4.0~6.5㎛, 침강체적, 2.5~2.6ml/g, pH 9~10, 흡유율 55ml/100g) 5g, 겔 실리카 2g, 디에틸렌글리콜 2g, 수성 음이온 분산제(ZetaSperse 3600 Dispersant, Air Products and Chemicals, 25℃점도:500mPa.s, 52% 유효성분수성용액) 0.5g 및 비이온 습윤 분산제(DisperBYK-192, BYK USA Inc, 점도: ca.280mPa.s) 0.5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롤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120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105℃의 건조 챔버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유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수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글리터 쉬트의 제조(수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2)
유리전이온도가 14℃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11, 고형분함량 55%, 점도 1,500~2,500 mPa·S) 15g, 유리전이온도가 -15℃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04, 고형분함량 55%, 점도 2,000~3,000 mPa·S) 15g, 글리터 파우더(Gelite glitter powder TS330) 42g, 폴리비닐알코올 용액(88% 가수분해, 18% 용액) 2 g, PVP 용액(K-30, 30% 용액) 5g, 그라운드형 탄산칼슘(D95, Keji.Co. Ltd., 평균입경:1.0~2.0㎛) 10g, 침강형 탄산칼슘(CAH-6150,Guangdong Qiangda Chemical. Co. Ltd., 평균입경:4.0~6.5㎛, 침강체적, 2.5~2.6ml/g, pH 9~10, 흡유율 55ml/100g) 5g, 겔실리카 2g, 디에틸렌글리콜 2g, 양이온 고색제(polyDADMAC 30%) 1g, 수성 음이온 분산제(ZetaSperse 3600 Dispersant, Air Products and Chemicals, 25℃점도:500mPa.s, 52% 유효성분수성용액) 0.5g 및 비이온 습윤 분산제(DisperBYK-192, BYK USA Inc, 점도: ca.280mPa.s) 0.5g을 반응기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롤코팅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120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105℃의 건조 챔버에서 1분간 건조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유성잉크 인쇄용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유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최외각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의 제조
그라운드형 탄산칼슘(D95, Keji.Co. Ltd., 평균입경:1.0~2.0㎛) 20g , 침강형 탄산칼슘(CAH-6150,Guangdong Qiangda Chemical. Co. Ltd., 평균입경:4.0~6.5㎛, 침강체적 2.5~2.6ml/g, pH 9~10, 흡유율 55ml/100g) 20g 및 실리카겔(TYZ-507B, TianYi nano-materials tech. Co. Ltd., 평균입경 7㎛, 흡유율 324ml/100g이상, Ph 5.5, 비표면적: 280 m2/g 이상) 20g, 디에틸렌글리콜 4g 및 유리전이온도가 14℃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11, 고형분함량 55%, 점도 1,500~2,500 mPa·S) 20g, 유리전이온도가 -15℃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04, 고형분함량 55%, 점도 2,000~3,000 mPa·S) 9g, 음이온 분산제(ZetaSperse 3600) 1g, 비이온 습윤분산제(BYK-192) 1g 을 혼합하여 최외각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글리터 쉬트의 코팅층 상부에, 최외각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글리터 코팅층의 상부에 추가로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건조중량 8g/m2). 이후 상기 최외각층을 엠보싱 처리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최외각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인쇄용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수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최외각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의 제조
그라운드형 탄산칼슘(D95, Keji.Co. Ltd., 평균입경:1.0~2.0㎛) 20g , 침강형 탄산칼슘(CAH-6150,Guangdong Qiangda Chemical. Co. Ltd., 평균입경:4.0~6.5㎛, 침강체적, 2.5~2.6ml/g, pH 9~10, 흡유율 55ml/100g) 20g, 실리카겔 20g 및 유리전이온도가 14℃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11, 고형분함량 55%, 점도 1,500~2,500 mPa·S) 20g,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5g 및 양이온성 고색제(polyDADMAC 30%) 1.5g, 유리전이온도가 -15℃인 폴리에틸렌비닐아테세이트 에멀젼(DA-104, 고형분함량 55%, 점도 2,000~3,000 mPa·S) 3g, 음이온 분산제(ZetaSperse 3600) 1g, 비이온 습윤분산제(BYK-192) 1g 을 혼합하여 최외각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글리터 쉬트의 코팅층 상부에, 최외각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글리터 코팅층의 상부에 추가로 도포한 후 건조하였다(건조중량 8g/m2). 이후 상기 최외각층을 엠보싱 처리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최외각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인쇄용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 1
글리터 바인더 수지 대신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41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10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 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핫멜팅 한 후 글리터 파우더를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2 g/m2의 양으로 도포하여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글리터 바인더 수지 대신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5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10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 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핫멜팅 한 후 글리터 파우더를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2 g/m2의 양으로 도포하여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23 중량%, 안료 76 중량% 및 양이온 고색제 1 중량%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50 g/m2 쉬트 지지체의 일면에 상기에서 제조한 코팅 조성물을 10 g/m2의 도포량으로 도포 하였다. 이후 코팅된 쉬트 지지체를 핫멜팅 한 후 글리터 파우더를 코팅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42 g/m2의 양으로 도포하여 글리터 쉬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글리터 쉬트에 대하여, 하기의 평가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평가방법>
1) 잉크흡수력 평가
다목적 샘플 인쇄기를 사용하여 잉크 흡수력 정도를 측정하였다. 잉크 흡수 테스트에서 표준 인쇄잉크로 글리터 쉬트상에 인쇄한 직후 인쇄물을 일반천으로 문질러 잉크가 묻어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우수: 천에 잉크가 묻어나지 않음
불량: 천에 잉크가 묻어남
2) 인쇄 품질 평가
다목적 샘플 인쇄기를 사용하여 표준 수성잉크 및 표준 유성잉크로 글리터 쉬트상에 인쇄하였다. 인쇄된 도안의 경계부를 확대하여 사진으로 촬영한 뒤 육안으로 품질을 평가하였다.
매우우수: 잉크가 인쇄 직후 바로 흡수되어 도안의 경계부가 매끄럽고, 번짐이 없으며, 화상의 해상도가 우수함
우수: 도안의 경계부가 매끄럽고 잉크번짐이 발생하지 않음
양호: 도안의 경계부가 조밀하지 못하나 잉크번짐이 발생하지 않음
불량: 잉크의 번짐이 발생하여 도안의 경계부가 명확하지 않음
3) 접착력 평가
글리터 쉬트를 가로 0.5m, 세로 0.5m의 크기의 시편으로 재단하였다. 시편에 가로 10 줄, 세로 10 줄의 선을 동일한 간격으로 그은 후, 선이 그어진 지점을 각각 50회 접었다 펼친 후 쉬트 지지체로부터 탈락된 글리터 및 코팅층 조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우수: 떨어지는 글리터 및 코팅층의 양이 5g/m2 이하
불량: 떨어지는 글리터 및 코팅층의 양이 5g/m2 초과
4) 마찰계수 평가
실시예 4 내지 5 및 비교예 1의 글리터 쉬트 시편을 각각 5개씩 준비하고, ASTM D1894-2014에 따라 시편의 정적 마찰계수(Static Coefficients of Friction) 및 동적 마찰 계수(Kinetic Coefficients of Friction)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측정기는 YQ0016/i-COFTEK330를 사용하였으며, 23℃, 50%RH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표시하였다.
잉크흡수력 인쇄 품질:
유성잉크 인쇄성
인쇄 품질:
수성잉크 인쇄성
접착력
실시예 1 우수 우수 양호 우수
실시예 2 우수 양호 우수 우수
실시예 3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4 우수 매우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5 우수 우수 매우우수 우수
실시예 6 우수 매우우수 우수 우수
실시예 7 우수 우수 매우우수 우수
비교예 1 불량 불량 불량 불량
비교예 2 불량 불량 양호 불량
비교예 3 불량 불량 불량 불량
시편 두께
(㎛)
정적 마찰계수 동적 마찰계수
실시예 4 354 0.489 0.329
실시예 5 351.4 0.539 0.336
실시예 6 441.4 0.478 0.336
비교예 1 379 0.756 0.486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쉬트 지지체
21, 22: 코팅층 20a: 다공성 입자 20b: 글리터
31a, 31b: 유성 잉크층 32a, 32b: 수성 잉크층

Claims (10)

  1. 비닐아세테이트-에틸렌 수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니트릴 고무, 아크릴 고무 및 폴리우레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글리터 바인더 수지 20 중량% 내지 60 중량%; 글리터 파우더 10 중량% 내지 60 중량%; 및 다공성 입자 1 중량% 내지 30 중량%; 를 함유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입자는 실리카 입자, 칼슘실리케이트 입자, 탄산칼슘 입자, 황산칼슘 입자, 알루미나 입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입자, 카올린 입자, 탈크 입자, 마이카 입자, 돌로마이트 입자, 석고 입자, 클레이 입자, 산화티탄 입자, 다공성 폴리머 입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제1바인더 수지 3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 이상인 제2바인더 수지 30 중량% 내지 70 중량%의 혼합물이고,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유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알코올-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성 아크릴계 수지, 전분, 젤라틴 및 셀룰로스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의 친수성 수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글리터 바인더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0℃ 내지 70℃인 제1바인더 수지 50 중량% 내지 95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 내지 -50℃ 이상인 제2바인더 수지 5 중량% 내지 50 중량%의 혼합물이며,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수성잉크 인쇄성을 갖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은 접착 보조제, 양이온고색제, 가교제, 분산제, 증점제, 습윤제, 방부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희석제, 소포제, 윤활제, 유평제, 내수화제, 내광제, 방점제(anti blocking agent), 증백제(optical brightening agent), 염료, 안료, 색소, pH 조절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7. 쉬트 지지체 및 상기 쉬트 지지체 상에 형성된 글리터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글리터 코팅층은 제1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쇄용 글리터 쉬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 글리터 쉬트는 상기 글리터 코팅층 상에 추가로 형성된 최외각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최외각 코팅층은 글리터 바인더 수지 및 다공성 입자를 포함하는 인쇄용 글리터 쉬트.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 글리터 쉬트는 정적 마찰계수가 0.2 내지 0.8 이고, 동적 마찰계수가 0.1 내지 0.5 인 인쇄용 글리터 쉬트.
  10. 제1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을 쉬트 지지체 상에 롤코팅 방법으로 도포한 후 건조하여 글리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글리터 쉬트 제조방법.
KR1020150077990A 2015-06-02 2015-06-02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5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90A KR101785384B1 (ko) 2015-06-02 2015-06-02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16/002421 WO2016195215A1 (ko) 2015-06-02 2016-03-10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141,181 US20160355687A1 (en) 2015-06-02 2016-04-28 Coating composition for glitter sheet, printable glitter shee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90A KR101785384B1 (ko) 2015-06-02 2015-06-02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82A KR20160142082A (ko) 2016-12-12
KR101785384B1 true KR101785384B1 (ko) 2017-10-16

Family

ID=5744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90A KR101785384B1 (ko) 2015-06-02 2015-06-02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355687A1 (ko)
KR (1) KR101785384B1 (ko)
WO (1) WO20161952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21062A1 (en) * 2016-05-09 2017-11-09 Andover Healthcare Resources, Inc. Glitter-containing cohesive product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1224511B2 (en) 2017-04-18 2022-01-18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Heart valve sealing devices and delivery devices therefor
US10858784B2 (en) 2018-01-11 2020-12-08 Westrock Mwv, Llc Coatings using clays with low packing density
US10562332B2 (en) * 2018-02-06 2020-02-18 Harmony Paper Company Printable Medium Including Glitter
KR102207543B1 (ko) * 2019-06-28 2021-01-27 존스미디어 주식회사 초내수성 코팅소재
JP6950792B1 (ja) * 2020-07-22 2021-10-1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光輝性印刷層を有する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260904B (zh) * 2021-04-30 2023-09-29 维达力科技股份有限公司 闪钻加硬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IT202200010124A1 (it) * 2022-05-16 2023-11-16 Gruppo Cordenons Spa Materiale cartaceo in foglio con aspetto superficiale luccicante e rifletten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2531A1 (en) * 1992-03-27 1993-09-29 Kansai Paint Co., Ltd. Method of forming coating films
US20020052439A1 (en) * 2000-08-08 2002-05-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 receptive compositions and articles for image transfer
US7531032B2 (en) * 2005-08-30 2009-05-12 Mattel, Inc. Acrylic based paint for polymeric surfaces
KR101223613B1 (ko) * 2009-10-16 2013-01-17 황규성 수성발포용액, 이를 이용하는 기재시트 발포코팅방법 및 그로 인해 제조되는 발포코팅 시트제품
US8668965B2 (en) * 2010-10-22 2014-03-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ed article with metallic appea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5215A1 (ko) 2016-12-08
US20160355687A1 (en) 2016-12-08
KR20160142082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384B1 (ko) 글리터 쉬트용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인쇄가능한 글리터 쉬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8136802B (zh) 用水基油墨在不透水衬底上印刷
CN107848317A (zh) 具有不透水衬底的多层结构
DE60132058T2 (de) Aufzeichnungsmaterial und Aufzeichnungsverfahren
JP200824699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CN103119219A (zh) 印刷用涂料纸和形成印刷图像的方法
CN109863032B (zh) 耐溶剂的光泽可印刷基材及其制造和使用方法
JP592493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画像用の保護シート
DE60206305T2 (de) Farbstoffempfangsmaterial und Aufzeichnungsverfahren
KR100625273B1 (ko) 잉크젯 프린터 기록용 매체
WO2003035406A1 (en) Transfer printing process and transfer printing sheet
CN105517809B (zh) 可印刷记录介质
JP2018171859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
JP3204878B2 (ja) 圧着記録用紙および折り畳み圧着記録用紙の製造方法
KR20010101451A (ko) 수성 잉크용 염료 정착제 및 잉크젯 기록매체
JPH04234473A (ja) 粘着シート
JP329972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媒体
JP385225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602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
JP2017177795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及び粘着シートラベル
JP2001260523A (ja) 顔料インク用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JP3378810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媒体
JP2000219857A (ja) 感圧接着シート
JP200317065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物
WO2024038005A1 (en) Primer composition for inkjet printing of non- or low-absorptive substrates with aqueous pigmented 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