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404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404B1
KR101784404B1 KR1020150129875A KR20150129875A KR101784404B1 KR 101784404 B1 KR101784404 B1 KR 101784404B1 KR 1020150129875 A KR1020150129875 A KR 1020150129875A KR 20150129875 A KR20150129875 A KR 20150129875A KR 101784404 B1 KR101784404 B1 KR 101784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or
controller
outdoor unit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082A (ko
Inventor
송준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9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4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1/008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08Mechanical actuation by opening, e.g. of door, of window, of drawer, of shutter, of curtain, of blin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F24F2011/009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 유닛 내에 설치되는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의 오픈 상태를 감지하는데 있어서 밝기를 감지할 뿐 아니라, 제어패턴에 따라 표시부를 제어하여 실외기 제어기 내부의 밝기를 감지함으로써 낮과 밤에 관계없이 도어의 개폐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도어의 오픈 여부에 따라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해 실외기 제어기의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며, 공기조화기의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의 손상 및 효율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conditioner and the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의 유닛 내부에 구비되는 실외기 제어기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의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실내기의 열교환기로 공급되고, 실내기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냉매배관을 통해 실외기의 압축기로 유입된다. 그에 따라 실내기는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을 통해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가 옥외에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주변 환경이나 기상변화에 따라 실외기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사용자는 이를 쉽게 알 수가 없고, 이상이 발생된 것을 발견한 경우에는 이미 실외기가 손상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실외기가 직접적인 물리적인 손상은 발생하지 않으나 실외기 운전 효율을 감소시키는 요인들에 대해서는 별도의 경고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이상을 인식할 수 없고, 사용자가 직접 실외기에 접근하는 경우에만 확인 할 수 있어 발견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이상은 직접적인 손상을 발생시키지는 않더라도 쉽게 발견하지 어렵고 공기조화기 운전에 있어서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조화기 유닛 내에 설치되는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공기조화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 제어기는,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실외기 제어기의 내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도어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에 대한 도어감지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일정시간 소등한 후, 상기 도어감지부로부터 1차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1차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가 소정 제어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도어감지부를 통해 입력되는 2차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최종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에 대한 개폐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도어감지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 제어기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일정시간 소등하는 단계; 도어감지부가 밝기를 감지하여 1차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1차 감지신호의 밝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1차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가 닫힌상태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소정 제어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도어감지부가 밝기를 재감지하여 2차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2차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최종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경우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은, 공기조화기 유닛, 특히 실외기 내의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의 오픈 여부에 따라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외부 환경에 의해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실외기의 열교환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관리가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의 손상 및 효율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상태를 감지하는데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실내기의 구성 및 설치 거리에 대한 예가 도시된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와 실외기(10)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와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통신하며, 입력된 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하고, 공기조화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리모컨(30)을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 및 실외기(10)에 연결되어 그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10)는 연결되는 실내기의 수에 따라 적어도 하나 구비되어, 열교환을 위한 냉매를 실내기로 공급한다. 실내기(20)는 실외기(10)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21 내지 24)가 연결되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한다.
리모컨(30)(31 내지 34)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실내기(21 내지 24)와 연결되어, 실내기(20)로 운전 설정 데이터를 전송한다. 리모컨(30)은 실내기의 모드, 온도, 풍량 등의 운전설정뿐 아니라 운전스케줄을 입력하여 실내기로 전송함으로써 실내기가 설정에 따라 운전되도록 한다. 또한, 리모컨(30)은 실내기로부터 실내기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기는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되는 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하여 실내기가 소정 설정에 따라 운전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및 실내기뿐 아니라, 환기유닛, 공기청정유닛, 가습유닛, 제습유닛, 히터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나 그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공기조화기는 설치형태에 따라 천장형, 스탠드형, 벽걸이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고, 실내기 및 실외기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음을 명시한다. 이때 공기조화기는 설치 장소에 따라, 또는 요구되는 냉난방능력의 정도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의 수가 가변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20)와 실외기(10)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실외기(10)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실내기(20)로 공급되고, 다시 실내기로부터 실외기(10)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공기조화기는 냉매배관을 통해 순환되는 냉매를 압축하고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냉온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실내기(20)와 실외기(10)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방식에 따라 상호 통신한다. 이때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유닛이 통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며, 냉매배관을 통한 통신 또한 가능하다.
실외기(10)는 연결된 실내기(20)의 요구 또는 원격제어기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동작되며,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한다.
실외기(10)는 유입되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압의 기체 냉매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축기(미도시),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와 액체냉매를 분리하여 기화되지 않은 액체냉매가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오일을 회수하는 오일분리기(미도시), 외기와의 열교환에 의하여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되도록 하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 실외 열교환기의 열교환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실외 열교환기로 공기를 유입하고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실외기팬(미도시), 실외기의 운전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사방밸브(미도시), 난방 운전시 과냉도와 과열도에 따라 제어되는 실외용 전자 팽창밸브(미도시),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다른 유닛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실외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기상 냉매가 흡입되고 흡입된 기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응축되게 하는 응축기로 작용하고,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액상 냉매가 흡입되고 흡입된 액상 냉매가 실외 공기에 의해 증발되게 하는 증발기로 작용한다.
실외기팬은 실외기(10)의 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실외기팬 모터와, 실외기팬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실외 팬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시 액상 냉매가 흡입되고 흡입된 액상 냉매가 냉방 운전을 요청한 실내기(20)가 설치된 실내 공기에 의해 증발되면서 실내 공기가 냉각되게 하는 증발기로 작용된다. 또한,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시 기상 냉매가 흡입되고 흡입된 기상 냉매가 난방 운전을 요청한 실내기(20)가 설치된 실내 공기에 의해 응축되면서 실내 공기 온도가 상승되게 하는 응축기로 작용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10)는 내부에 압축기와 열교환기가 구비되고,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실외기팬(3)이 구비된다.
실외기(10)의 케이스에는 복수의 홀이 형성되어 실외기팬(3) 동작 시, 홀을 통해 실외기 내부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실외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내부의 공기는 실외기팬(3)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실외기(10)의 형태나 크기는 연결되는 부하의 용량에 따라 상이하며, 그에 따라 압축기의 수와 실외기팬(3)의 수 또한 가변된다.
실외기(10)에는 실내기(20) 또는 원격제어기와 통신하고, 압축기를 구동하여 실외기팬(3)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어회로는 실외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외기 제어기(1) 내에 구비되고, 실외기 제어기(1)는 외부로부터 제어회로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이때 실외기 제어기(1)는 실외기(10)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외부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기가 도시된 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제어기(1)는 케이스(18), 도어(19), 제어회로가 실장되는 기판으로 구성된다.
기판에는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표시부(161)가 구비되고,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이때 센서는 빛을 감지하는 포토센서(121)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제어구성이 간략하게 도시된 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제어기(1)는 입력부(150), 표시부(160), 데이터부(130), 연결부(140), 도어감지부(120) 그리고 동작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소정의 버튼 또는 스위치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150)는 전원입력, 시작명령, 시운전명령, 주소할당명령 등의 데이터를 제어부(110)로 인가한다.
표시부(160)는 실외기 제어기(1)의 동작상태를 출력한다. 표시부(160)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비하여 동작상태를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출력한다. 이때 표시부(160)는 LED표시부(161)를 포함한다.
이때 LED표시부(161)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패턴에 따라 점등되거나 점멸제어 된다.
실외기 제어기(1)는 표시부 이외에도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 또는 점등 되거나 점멸제어되는 램프(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동작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램프가 소정 패턴에 따라 점등되거나, 점멸제어 될 수 있다.
데이터부(130)에는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 실외기 제어기(1)의 신호분석 및 판단을 위한 기준데이터, 도어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130)에는 실외기 동작 중 발생하거나 감지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면, 압축기 및 실외기팬 제어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연결부(140)는 실외기(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압축기와 연결되고, 또한, 압축기로 동작전원을 인가하도록 그 동작을 제어하는 압축기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140)는 실외기팬(3)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구동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이때 압축기구동부와 팬구동부는 각각 실외기(10) 내부에 구비되기는 하나 실외기 제어기(1)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부(140)를 통해 연결된다. 연결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 및 그에 따른 데이터를 압축기구동부 또는 팬구동부로 전송하여 압축기와 실외기팬이 동작하도록 한다.
또한 연결부(140)는 실내기(20)와 통신선으로 연결되어 실내기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데이터부(130)에 저장하고, 제어부(110)의 제어명령 또는 실내기의 요청에 따른 데이터를 실내기로 전송한다. 이때 연결부(140)는 실내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감지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특히 포토센서(121)를 구비하여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 상태를 감지한다.
포토센서(121)는 입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소정 신호를 출력한다.
도어감지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주기적으로 포토센서(121)를 통해 도어의 오픈상태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제어부(110)의 입력부(150) 및 표시부(160)에 의한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고, 데이터부(130)에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연결부(140)는 통해 실외기 내부의 통신 및 실내기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운전설정 또는 실내기의 요구에 따라 실외기(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실외기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대응하여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판단하고 운전을 설정을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주기적으로 도어감지부(120)를 통해 도어의 개폐상태를 1차 감지하고, 도어감지부(12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표시부(160)를 제어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상태를 최종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가 열려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따른 경고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연결부(140)를 통해 실내기 또는 원격제어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실내기 또는 원격제어기를 통해 경고가 출력되도록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 제어기(1)는 도어(19)가 닫혀있는 경우, 포토센서(121)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또는 LED표시부(161)의 빛(L1)을 감지한다.
한편,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19)가 열린 상태인 경우, 포토센서(121)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 빛(L3)을 감지한다. LED표시부(161)의 빛(L2)은 포토센서(121)에 의해 감지되지 않는다.
제어부(110)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지하는데, 도어감지를 시작하는 경우 LED표시부(161)가 소등(OFF)되도록 한다.
도어(19)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실외기 제어기(1) 내부는 어두운 상태이고 LED표시부(161) 또한 소등된 상태이므로 포토센서(121)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미량의 빛만을 감지하게 된다. 포토센서(121)는 1차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한편, 도어(19)가 열린 상태에서 포토센서(121)는 외부빛을 감지하여 1차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1차 감지결과에 따른 포토센서(121)의 1차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실외기 제어기(1)의 내부의 조도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1차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실외기 제어기(1)의 내부가 밝다고 판단되면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1차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실외기 제어기(1)의 내부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되면, LED표시부(161)를 제어한다. 제어부(110)는 LED표시부(161)가 소정 패턴으로 점등되거나 일정 주기로 점멸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LED표시부(161)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제어패턴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고, 또는 일정 주기로 점멸동작한다.
LED표시부(161)로부터 조사되는 빛(L1)은 내부에서 반사되어 포토센서(121)에 의해 2차 감지된다. 그에 따라 포토센서(121)는 2차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2차 감지신호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2차 감지신호의 밝기의 주기가 LED표시부(161)의 제어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10)는 포토센서(121)의 2차 감지신호의 밝기의 주기가 제어패턴과 동일한 경우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가 닫힌상태로 판단한다.
한편, 제어부(110)는 포토센서(121)의 2차 감지신호가 제어패턴과 상이한 경우에는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를 열린상태로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1차 감지신호에서 실외기 제어기(1)의 내부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도어의 개폐여부를 즉시 판단하지 않고 LED표시부(161)를 제어하여 2차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분석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여부를 최종 판단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110)는 어두움 밤에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19)가 열려있는 경우와 실제 닫힌상태인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경고를 생성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출력하고, 또한 연결부(140)를 통해 실내기 또는 원격제어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상태를 감지하는데 따른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는 소정 주기로 도어감지부(120)를 제어하여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 상태를 판단한다.
도어감지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도어감지를 시작한다(S310). 이때 제어부(110)는 표시부(160), 특히 LED표시부(161)가 소등(OFF)되도록 제어하고, 그에 따라 LED표시부(161)는 소등된다(S320).
도어감지부(120)의 포토센서(121)는 실외기 제어기(1)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1차 감지신호를 제어부(11)로 입력한다(S330).
이때, 도어(19)가 닫혀있는 경우, 포토센서(121)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LED표시부(161)의 빛(L1)을 감지하는데, LED표시부(161)는 소등된 상태이므로 빛을 감지하지 못한다. 한편, 도어(19)가 열린 상태인 경우, 포토센서(121)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외부빛(L3)을 감지한다.
제어부(110)는 포토센서(121)의 1차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실외기 제어기(1)의 내부의 조도(밝기)를 기준값과 비교한다(S340).
제어부(110)는 측정된 밝기가 기준값 이상이면, 실외기 제어기(1)의 내부가 밝다고 판단하여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390).
한편, 제어부(110)는 측정된 밝기가 기준값 미만이면, 실외기 제어기(1)의 내부가 어두운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LED표시부(161)를 점등시키고(ON), LED표시부(161)가 소정 제어패턴으로 점등되거나 일정 주기로 점멸되도록 제어한다(S350). 그에 따라 LED표시부(161)는 제어부(110)의 제어명령에 따라 소정 제어패턴에 따라 점등되거나 소등되고, 또는 일정 주기로 점멸동작한다.
포토센서(121)는 실외기 제어기(1) 내부의 밝기를 감지하여 2차 감지신호를 제어부(110)로 입력한다. 실외기 제어기(1)가 닫힌 상태인 경우 포토센서(121)는 LED표시부(161)의 빛을 감지하고, 열린상태인 경우에는 LED표시부(161)의 빛은 감지하지 못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되는 2차 감지신호를 기 설정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LED표시부(161)의 제어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370).
제어부(110)는 포토센서(121)의 2차 감지신호에 따른 밝기의 주기가 제어패턴과 동일한 경우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가 닫힌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380).
한편, 제어부(110)는 포토센서(121)의 2차 감지신호의 밝기의 주기가 제어패턴과 상이한 경우에는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를 열린상태로 판단한다(S390).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10)는 경고를 생성하여 표시부(160)를 통해 출력하고, 또한 연결부(140)를 통해 실내기 또는 원격제어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400).
따라서 제어부(110)는 도어의 오픈상태를 판단함에 있어서 어두움 밤에 실외기 제어기(1)의 도어(19)가 열려있는 경우와 실제 닫힌상태인 경우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 오픈 상태를 감지하되, 제어패턴에 따라 표시부를 제어하여 밝기를 감지함으로써 낮과 밤에 관계없이 도어의 개폐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실시예에 따라서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 실외기 제어기 3: 실외기팬
10: 실외기 20: 실내기
30: 리모컨
110: 제어부 120: 도어감지부
121: 포토센서 150: 연결부
160: 표시부 161: LED표시부

Claims (15)

  1. 실외기 및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기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실외기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기 제어기는,
    개폐 가능한 도어;
    상기 실외기 제어기의 내부의 밝기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실외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도어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에 대한 도어감지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일정시간 소등한 후, 상기 도어감지부로부터 1차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1차 판단하고, 상기 표시부가 소정 제어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한 후, 상기 도어감지부를 통해 입력되는 2차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패턴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최종 판단하고,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감지부는 도어감지 시작 시,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밝기를 감지하여 상기 1차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고,
    상기 1차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한 후, 상기 표시부가 제어되면, 밝기를 재감지하여 상기 2차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포토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주기로 상기 도어감지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감지신호의 밝기가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1차 감지신호의 밝기가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표시부가 소정 제어패턴에 따라 점등되거나 점멸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감지신호의 밝기의 주기가 상기 제어패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2차 감지신호의 밝기의 주기가 상기 제어패턴과 상이한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제어기는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어 상기 실내기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데이터를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경고신호를 상기 실내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실외기 제어기의 도어에 대한 개폐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도어감지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실외기 제어기에 구비되는 표시부를 일정시간 소등하는 단계;
    도어감지부가 밝기를 감지하여 1차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1차 감지신호의 밝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1차 판단하는 단계;
    상기 도어가 닫힌상태인 경우, 상기 표시부가 소정 제어패턴에 따라 점등 또는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도어감지부가 밝기를 재감지하여 2차 감지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2차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패턴과 비교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최종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경우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감지신호의 밝기가 상기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감지신호의 밝기가 상기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도어가 닫힌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삭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감지신호의 밝기의 주기가 상기 제어패턴에 대응되는 경우 상기 도어가 닫힌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감지신호의 밝기의 주기가 상기 제어패턴과 상이한 경우 상기 도어가 열린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출력 시,
    실내기로 경고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실내기를 통해 경고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50129875A 2015-09-14 2015-09-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84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875A KR101784404B1 (ko) 2015-09-14 2015-09-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875A KR101784404B1 (ko) 2015-09-14 2015-09-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082A KR20170032082A (ko) 2017-03-22
KR101784404B1 true KR101784404B1 (ko) 2017-10-11

Family

ID=5849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875A KR101784404B1 (ko) 2015-09-14 2015-09-14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4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041Y1 (ko) 2005-02-04 2005-05-11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JP2011144993A (ja) 2010-01-14 2011-07-28 Panasonic Corp 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041Y1 (ko) 2005-02-04 2005-05-11 주식회사 현대콘트롤전기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
JP2011144993A (ja) 2010-01-14 2011-07-28 Panasonic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082A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0648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137477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159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방법
KR2016011445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36378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226224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0645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89362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1537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1000166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4123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4006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7336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583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58747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8440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1019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083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6071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69404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278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0858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7957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155558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1032474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