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320B1 -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320B1
KR101784320B1 KR1020110019969A KR20110019969A KR101784320B1 KR 101784320 B1 KR101784320 B1 KR 101784320B1 KR 1020110019969 A KR1020110019969 A KR 1020110019969A KR 20110019969 A KR20110019969 A KR 20110019969A KR 101784320 B1 KR101784320 B1 KR 101784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unit
consumable
pow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794A (ko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EP11181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431812B1/en
Priority to JP2011201193A priority patent/JP2012063770A/ja
Priority to CN201110273001.XA priority patent/CN102402153B/zh
Priority to US13/233,205 priority patent/US9086679B2/en
Publication of KR2012002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23Cartridges having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되면 전원부를 제어하여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고 메모리에 액세스하며, 메모리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sumable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ource thereof}
본 발명은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체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컴퓨터 보급이 활성화됨에 따라, 컴퓨터 주변기기의 보급율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컴퓨터 주변기기의 대표적인 예로써,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복사기,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를 들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들은 용지상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해서 잉크나 토너를 사용한다. 잉크나 토너는 화상형성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어,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이 경우, 잉크나 토너를 저장하는 유닛 자체를 새로이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사용과정에서 교체할 수 있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들을 소모품 유닛 또는 교체 가능 유닛이라 한다.
소모품 유닛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나 토너가 고갈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유닛 이외에,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면 특성이 변경되어 좋은 인쇄 품질을 기대할 수 없는 이유로 교체되는 유닛들도 있다. 즉, 컬러 별 현상기 이외에도 중간 전사 벨트 등과 같은 부품들도 소모품 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대전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등이 사용되는데, 각 유닛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롤러, 벨트 등은 한계수명 이상 사용되면 마모되거나 변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품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깨끗한 화상으로 인쇄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각 구성유닛, 즉, 소모품 유닛들을 적절한 교체시기마다 교체하여 주어야 한다.
소모품 유닛의 적절한 관리를 위하여, 최근에는 소모품 유닛 자체에 메모리를 부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와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구현하고 있다.
즉,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매수, 출력 도트 수, 사용 기한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 정보들을 소모품 유닛 자체의 메모리에 기록하여, 소모품 유닛의 교체 시기 등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소모품 유닛에 부착된 메모리부는 통상적으로 CRUM 메모리(Customer Replaceable Unit Monitoring memory)라 칭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 다른 명칭으로 칭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를 장착한 소모품 유닛은 화상형성장치와 접점(contact)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각종 컨트롤러는 소모품 유닛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또는 쓰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 자체의 전원이 턴-오프되지 않는 이상, 소모품 유닛에는 항상 전원이 제공된다.
하지만, 소모품 유닛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또는 쓰기를 수행하는 동작은 전원이 공급되는 시간에 비해서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수행되므로, 전원 공급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모품 유닛은 그 특성 상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모품 유닛이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어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탈착 시도가 있게 되면, 화상형성장치나 소모품 유닛에 무리를 주게 되어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모품 유닛에 대한 전원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 상기 소모품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메모리 제어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소모품 유닛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폐 가능한 커버, 상기 커버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커버가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커버가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I/O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모품 유닛은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하나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면 상기 다른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에 대응되는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 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제공 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소모품 유닛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라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커버가 폐쇄된 상태라면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면 상기 다른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에 대응되는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는, 본 화상형성장치는,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 상기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며, 상기 메모리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작업을 수행하는 I/O 제어부,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I/O 제어부 및 상기 전원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메모리 제어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 하에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소모품 유닛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전원이 공급되어 액세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개방 상태이면 탈착 가능 상태로 판단하고, 폐쇄 상태이면 탈착 불가능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모품 유닛은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소모품 유닛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탈착 가능 상태인 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상기 판단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는 이벤트, 화상 형성 잡 실행이 종료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모품 유닛은 복수 개이며, 상기 I/O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액세스 할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I/O 신호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 전체에 대한 I/O 신호 클럭 출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 전체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모품 유닛은 복수 개이며, 상기 전원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I/O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액세스 할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I/O 신호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에 대한 I/O 신호 클럭 출력 구간 동안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소모품 유닛은 상기 메모리와 함께 CPU를 구비하는 CRUM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CRUM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고, 기 설정된 제1 딜레이타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CRUM 유닛으로 클럭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CRUM 유닛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기 설정된 제2 딜레이타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CRUM 유닛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은,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계,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 단계, 상기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원 차단 단계는, 상기 소모품 유닛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전원이 공급되어 액세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가능한 상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모품 유닛은 복수 개이며, 상기 전원 공급 단계, 상기 작업 수행 단계, 상기 전원 차단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소모품 유닛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는 이벤트, 화상 형성 잡 실행이 종료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소모품 유닛은 상기 메모리와 함께 CPU를 구비하는 CRUM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수행 단계는, 상기 CRUM 유닛에 전원이 공급된 이후에 기 설정된 제1 딜레이타임이 경과하면 상기 CRUM 유닛으로 클럭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 차단 단계는, 상기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기 설정된 제2 딜레이타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CRUM 유닛에 대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소모품 유닛에 대한 전원을 효율적이면서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제품 고장 가능성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 가능한 제어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메모리 액세스 및 전원 공급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전원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메모리 및 CPU를 포함하는 소모품 유닛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사이의 인증 및 암호화 데이터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 및 도 12는 소모품 유닛의 파워-온 및 파워-오프를 위한 신호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는 소모품 유닛(100), 전원부(210), 제어부(220)를 포함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팩시밀리, 복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소모품 유닛(100)은 자체적으로 메모리(110)를 구비한 유닛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10)에는 소모품 유닛(100)이나 메모리(110) 자체에 대한 다양한 정보 또는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모품 유닛(100)에서 사용되는 각종 프로그램, 고유 정보, 소모품 유닛(110)의 사용에 따른 소모품 정보 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각종 프로그램에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암호화 프로그램 등도 포함될 수 있으며, 고유 정보에는, 소모품 유닛(100) 제조사에 대한 정보, 제조일시에 대한 정보, 일련 번호, 모델 명, 전자 서명 정보, 암호화 키, 암호화 키 인덱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소모품 정보에는 현재까지 몇 매 인쇄하였는지, 인쇄 가능한 잔여 매수가 얼마인지, 토너 잔량이 얼마인지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메모리(110)에는 다음 표와 같은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General Information
OS Version
SPL-C Version
Engine Version
USB Serial Number
Set Model
Service Start Date
CLP300_V1.30.12.35 02-22-2007
5.24 06-28-2006
6.01.00(55)
BH45BAIP914466B.
DOM
2007-09-29
Option
RAM Size
EEPROM Size
USB Connected (High)
32 Mbytes
4096 bytes
Consumables Life
Total Page Count
Fuser Life
Transfer Roller Life
Tray1 Roller Life
Total Image Count
Imaging Unit/Deve Roller Life
Transfer Belt Life
Toner Image Count
774/93 Pages(Color/mono)
1636 Pages
864 Pages
867 Pages
3251 Images
61 Images/19 Pages
3251 Images
14/9/14/19 Images(C/M/Y/K)
Toner Information
Toner Remains Percent
Toner Average Coverage
99%/91%/92%/100% (C/M/Y/K)
5%/53%/31%/3% (C/M/Y/K)
Consumables Information
Cyan Toner
Magenta Toner
Yellow Toner
Black Toner
Imaging unit
SAMSUNG(DOM)
SAMSUNG(DOM)
SAMSUNG(DOM)
SAMSUNG(DOM)
SAMSUNG(DOM)
Color Menu
Custom Color Manual Adjust(CMYK : 0,0,0,0)
Setup Menu
Power Save
Auto Continue
Altitude Adj.
20 Minutes
On
Plain
상술한 표에서와 같이, 메모리(110)에는 소모품 유닛에 대한 개략적인 정보 뿐만 아니라, 소모품의 수명, 정보, 셋업 메뉴 등에 대한 정보까지 저장될 수 있다.
그 밖에, 소모품 유닛(100)에는 메모리(110)를 관리하고, 메모리(11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또는 기타 장치의 컨트롤러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CPU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모품 유닛(100)은 화상형성을 위한 잡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여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닛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대전유닛, 노광 유닛, 현상 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각종 롤러, 벨트, OPC 드럼 등에 메모리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그 밖에 다양한 유닛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부(210)는 소모품 유닛(100)에 연결되어, 메모리(11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 경우, 전원부(210)는 소모품 유닛(100) 자체의 동작을 위한 전원과 별개로, 메모리(110) 자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소모품 유닛(100)의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10)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 오는 데이터 읽기 작업이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10)에 대한 액세스 시간은 화상형성잡을 수행하는 시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최소한 메모리(110)에 액세스하는 시간 동안 정도에, 메모리(110)가 구동되도록 전원부(210)를 제어한다. 즉, 전원부(21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액세스 시작 타이밍 이전에 메모리(1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액세스 종료 타이밍 이후에 메모리(1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불필요한 시간 동안 소모품 유닛(100)의 메모리(110)에 제공되던 전압을 차단하게 되므로,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제어부(220)는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메모리(110)에 액세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0)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이벤트(일 예로,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 화상형성장치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되는 이벤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는 이벤트, 화상 형성 잡 실행이 종료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메모리(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킨 후, 액세스할 수 있다. 이 후에, 메모리(110)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어 더 이상 액세스할 필요가 없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소모품 유닛(100)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될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탈착 가능한 상태라면, 전원 공급을 중단하거나,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무리한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220)는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면, 소모품 유닛(100)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한다. 탈착 가능한 상태란 다양한 상황이 될 수 있으나, 일 예로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그 밖에, 탈착 가능한 상태란 급지함이 개방된 상태가 될 수도 있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케이스 자체가 분리되거나 파손된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탈착 가능한 상태라고 확인되면, 제어부(220)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220)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해당 소모품 유닛(100)을 분리하고자 하는 시도를 방지할 수 있다. 에러 메시지에는 다양한 형태의 메시지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상태에서 해당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가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 해당 소모품 유닛을 일정 시간 동안 분리할 수 없거나 분리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알리는 메시지, 커버를 닫을 것을 권고하는 메시지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에러 메시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서 시각적 메시지로 출력될 수도 있지만, 스피커를 통해 음성 메시지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는 경고음과 같은 음향 메시지 형태로 출력될 수도 있다.
한편, 복수의 소모품 유닛(100)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어부(220)는 복수의 소모품 유닛(100) 각각에 대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첫 번째 유닛에 대하여 확인하였을 때는 탈착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이후에 커버가 열려서 두 번째 유닛에 대하여 확인 시에는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된 경우, 메모리(110)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하고,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속 소모품 유닛(100)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탈착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다시 탈착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고 확인되면 그 유닛부터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메모리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이와 반대의 경우도 물론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전원 공급 중단과 에러 메시지 출력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이들 중 하나의 처리만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제어부(220)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제어부(220)는 전원 제어부(221), I/O 제어부(222), 메모리 제어부(223), 메인 제어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221)는 소모품 유닛(100)에 마련된 메모리(110)들에 전원을 제공하도록 전원부(210)를 제어한다.
I/O 제어부(222)는 소모품 유닛(100)에 마련된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 각종 작업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또는 데이터 쓰기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제어부(223)는 메모리(110) 액세스에 필요한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제어부(223)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중에 소모품 유닛(100)에 마련된 메모리(110)에 액세스하여야 하는 상황, 즉, 상술한 여러 이벤트 중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에 따라, 해당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가 개시되어 종료될 때까지 해당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제어부(221)를 제어한다. 그리고, 해당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적절한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I/O 제어부(222)를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224)는 화상형성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제어부(224)는 호스트 PC 또는 각종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나, 화상형성장치 자체에 마련된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 코맨드가 입력되면, 인쇄 코맨드에 따라 인쇄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쇄할 데이터를 변환하여 비트맵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비트맵 이미지를 용지 상에 인쇄하도록 각종 소모품 유닛들을 제어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224)는 화상형성잡이 종료되면 그 사실을 메모리 제어부(223)에 통지한다. 또한, 메인 제어부(224)는 상술한 다양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발생하였으면 그 사실을 메모리 제어부(223)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메모리 제어부(223)가 적절한 시점에 각 소모품 유닛에 마련된 메모리, 즉, CRUM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제어부(220)가 4개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보드 상에 집적된 제어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반드시 4개의 개별적인 칩 형태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화상형성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10)는 자체 메모리(110-1, 110-2, ..., 110-n)를 각각 구비한 복수의 소모품 유닛(100-1, 100-2, ..., 100-n), 전원부(210), 제어부(220), 커버(230), 판단부(240),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전원 제어부(221), I/O 제어부(222), 메모리 제어부(223)를 포함한다. 도 2와 비교하면, 제어부(220) 구성 중에서 메인 제어부(224)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메인 제어부(224)는 제어부(220)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는, 도 2에서의 메인 제어부(224) 기능 및 메모리 제어부(223) 기능 모두는 도 3의 메모리 제어부(223)가 수행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부(210)는 각 소모품 유닛(100-1, 100-2, ..., 100-n)에 마련된 메모리(110-1, 110-2, ..., 110-n)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판단부(240)는 커버(23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커버(230)의 개폐 면 상에는 전기적인 접점(contacts) 또는 전극(eletrode)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3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따라, 접점 또는 전극와 연결된 노드의 전압이 달라질 수 있다. 판단부(240)는 그 노드의 전압값을 센싱하여, 개방 상태인지 아니면 폐쇄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240)는 판단 결과를 메모리 제어부(223)로 제공한다. 메모리 제어부(223)는 판단부(240)의 판단 결과 및 각종 이벤트의 발생 여부 등에 따라서 전원 제어부(221) 및 I/O 제어부(22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메모리 제어부(223)는 각 소모품 유닛(100-1, 100-2, ..., 100-n)에 마련된 메모리(110-1, 110-2, ..., 110-n)에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하면, 각 메모리(110-1, 110-2, ..., 110-n)를 턴-온시키도록 전원 제어부(221)를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221)는 전원부(210)에 대하여 구동 타이밍 조정 클럭을 출력하여, 각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 및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순차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구체적은 클럭 파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I/O 제어부(222)는 턴-온된 메모리(110-1, 110-2, ..., 110-n)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작업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각 메모리(110-1, 110-2, ..., 110-n)에 저장된 소모품 정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메모리 제어부(223)는 메모리(110-1, 110-2, ..., 110-n)들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판단부(240)로부터 커버(230)의 개방 상태 여부를 통지받는다. 이에 따라, 커버(230)가 개방된 상태, 즉, 소모품 유닛(100-1, 100-2, ..., 100-n)이 탈착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메모리 제어부(223)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출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적 메시지, 음성 메시지, 음향 메시지 등의 다양한 형태로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으며, 그 에러 메시지의 내용 역시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또는, 메모리 제어부(223)는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커버(230)가 개방되면, 그 즉시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전원 제어부(2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메모리 제어부(223)는 현재 액세스 중인 메모리에 대한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만 전원 공급을 유지하고, 현재 메모리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면 다음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 이전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전원 제어부(221)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에러 메시지 출력 작업과, 전원 공급 중단 작업은 함께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메모리 제어부(223)는 각 소모품 유닛(100-1, 100-2, ..., 100-n)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매 처리 시마다 커버 개폐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전원 공급 중단 및 에러 메시지 출력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상의 모노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메모리, 즉, CRUM 이 장착된 소모품 유닛이 1개만 있을 수 있으나, 멀티 컬러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는 메모리가 장착된 소모품 유닛이 9개 정도 있을 수도 있다.
메모리 제어부(223)는 이 중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있는 메모리 액세스가 완료되면, 다음 소모품 유닛에 있는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하기 전에 다시 커버 등을 검사하여 해당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해당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라면, 메모리 제어부(223)는 해당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액세스, 읽기, 쓰기 등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다음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이 때, 다시 커버가 닫히거나 하여 소모품 유닛이 탈착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면, 해당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액세스, 읽기, 쓰기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액세스, 읽기, 쓰기 등의 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소모품 유닛에 대해서는, 마지막 소모품 유닛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이후에 다시 재검사한 후, 처리될 수 있다. 또는, 탈착 가능한 상태가 해소되었을 때(즉, 커버가 닫혔을 때)에, 그 소모품 유닛들에 대한 처리가 재개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다음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까지 처리가 유보될 수도 있다.
한편, 처리 재개 시에는 해당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에서 탈착 불가능한 상태로 복귀하였기 때문에, 해당 소모품 유닛에 대한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메모리제어부(223)는 액세스하지 못한 메모리에 대하여 액세스를 수행하게 되었을 때에는 해당 메모리의 ID 등을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 후에, 확인에 성공하였을 때에만,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모든 메모리들에 대한 액세스가 종료되면, 메모리 제어부(223)는 전체 메모리들(110-1, 110-2, ..., 110-n)에 대한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전원 제어부(221)를 제어한다.
한편, 도 3에서는 하나의 커버(230)만을 도시하였으나, 커버의 개수 및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 즉,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다양한 유형의 커버 중 하나가 개방된 경우에도, 전원 공급 중단 및 메시지 출력 등과 같은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는, 각 소모품 유닛(100-1, 100-2, ..., 100-n) 별로 대응되는 커버가 존재하는 경우, 현재 액세스할 메모리가 장착된 소모품 유닛을 탈착할 수 있는 커버가 개방된 상태가 아니면, 굳이 현재 액세스할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중단하지 않고, 메모리 액세스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판단부(240)의 판단 결과 및 그 판단 시점에 따라서, 메모리 제어부(223)는 다양한 방식으로 메모리 액세스 및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신호 파형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Y, M, C, K 현상기가 소모품 유닛(100)으로 사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 4에서와 같이, I/O 제어부(222)는 각 현상기에 대한 액세스 구간 동안 하이 값을 가지는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연동하여, 전원 제어부(221)는 최초 현상기, 즉, Y 현상기에 대한 액세스 개시 시점 이전부터, 마지막 현상기, 즉, K 현상기에 대한 액세스 종료 시점 이후의 구간 동안 하이 값을 가지는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부(210)는 전원 제어부(221)의 구동 펄스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현상기에 대한 액세스 개시 시점 이전부터, K 현상기에 대한 액세스 종료 시점 이후의 구간 동안 전원(power)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I/O 제어부(222)는 그 구간 동안 각 현상기들에 순차적으로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도 3에서는 전원부(210)가 하나만 도시되었으나, 전원부(210)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각 메모리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전원부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복수의 전원부를 구비한 경우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도 5에 따르면, I/O 제어부(222)는 각 현상기에 대한 액세스 구간 동안 하이 값을 가지는 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각 현상기에 마련된 메모리들에 연결된 복수의 전원부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원부에 대응되는 메모리의 액세스 구간을 포함하는 시간 동안, 각 메모리에 전원(CRUM_Y power, CRUM_M power, CRUM_C power, CRUM_k power)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자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소모품 유닛이 많아지게 되면, 하나의 I/O 제어부(222)로 메모리 액세스를 하기 힘든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I/O 제어부(222) 역시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4개의 OPC, 4개의 현상기가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 즉, CRUM 유닛으로 구현된 경우에, 2 개의 I/O 제어부가 마련된 상태에서의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도 6에 따르면, 첫번째 I/O 신호 파형, 즉, OPC DATA R/W는 각 OPC에 구비된 메모리들에 대한 액세스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하이 값을 가지는 펄스 형태로 구현된다. 두번째 I/O 신호 파형, 즉, Toner DATA R/W는 각 현상기에 구비된 메모리들에 대한 액세스 구간 동안 순차적으로 하이 값을 가지는 펄스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 제어부는 전체 OPC 들에 대한 액세스가 개시된 시점부터 완료되는 시점까지 각 OPC의 메모리 액세스를 위한 전원을 공급한 후 차단하고, 다음 현상기들에 대한 액세스가 개시된 시점부터 완료되는 시점까지 각 현상기의 메모리 액세스를 위한 전원을 공급한 후 차단하도록 전원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 및 전원부 역시 각각 두 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은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한 메모리 액세스 중에 커버가 오픈된 상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파형을 나타낸다.
도 7에 따르면, 첫번째 현상기, 즉, Y 현상기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메모리 액세스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커버가 개방되면, Y 현상기에 대한 메모리 액세스가 종료될 때까지는 전원 공급을 유지한 후, 메모리 액세스가 종료된 이후에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그리고 나서, 다음 M 현상기에 대한 메모리 액세스 타이밍 이전에 다시 커버가 개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M 현상기에 대한 메모리 액세스를 스킵하고, 다음 C, K 현상기의 액세스 타이밍 이전에 다시 커버 개방 여부를 판단하여, 메모리 액세스 여부를 결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된 소모품 유닛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하여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한다(S810). 이러한 이벤트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이벤트(일 예로,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등), 화상형성장치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되는 이벤트,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는 이벤트, 화상 형성 잡 실행이 종료되는 이벤트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서는 소모품 유닛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한다(S820). 이에 따라, 각 메모리는 턴-온되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와의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구비된 제어부는 해당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나 쓰기와 같은 적절한 작업을 수행한다(S830).
그리고 나서, 작업이 종료되면(S840), 해당 메모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850). 이와 같이, 메모리에 대한 전원 공급은 메모리 액세스가 이루어지는 동안에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전체 메모리들에 대한 액세스 및 작업이 완료된 이후에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메모리 액세스를 수행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S910),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공급한다(S920). 이벤트의 종류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30). 판단 결과, 탈착 불가능한 상태라면, 해당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작업을 수행한다(S940).
이에 따라, 해당 메모리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다음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50). 판단 결과,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면, 해당 메모리에 대하여 다시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930). 이와 같이, 탈착 가능 여부 판단, 메모리 액세스 등의 작업은 전체 메모리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탈착 가능한 상태의 소모품 유닛이라고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한다(S960). 도 9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에러 메시지 출력 이후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원 공급 중단은 즉각적으로 또는 현재 액세스 중인 메모리에 대한 작업이 완료된 시점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에러 메시지 출력 없이 전원 공급 중단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없다고 판단된 경우(S950),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는 메모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970).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원 사용을 방지하면서, 전원이 계속 공급되고 있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소모품 유닛이 교체되거나 분리되는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공 방법을 도시한 것이며, 각 단계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즉, 이벤트 발생 이후에 전원을 공급하기 이전에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먼저 확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탈착 가능한 상태라고 판단되면 이벤트 발생 사실에도 불구하고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전원부가 각 메모리마다 구비된 경우라면, 해당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가 종료될 때마다 그 메모리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메모리라고 기재하였으나, 소모품 유닛에 구비된 메모리는 CRUM, 메모리 칩, CRUM 유닛 등과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칭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들만을 도시하였을 뿐이며, 이에 도시되지 않은 구성 역시 본 화상형성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형성잡을 수행하는 다양한 엔진 구성, 저장부, 비디오 컨트롤러, 사용자 인터페이스 패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화상형성장치로만 구현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각자의 메모리를 구비하며, 교체 가능한 유닛을 이용하는 다양한 유형의 단말 장치에서, 각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자체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서, 소모품 유닛은 단순 메모리만을 포함하는 유닛일 수도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CPU를 포함하는 유닛일 수도 있다. 즉, 소모품 유닛은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CPU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 및 CPU를 모두 포함하는 유닛은, CRUM 유닛(Customer Replaceble Unit Monitoring unit)으로 명명할 수도 있으며, 좀 더 세분하면 nCRUM 유닛(New or Next Customer Replaceble Unit Monitoring unit)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명칭에 제한되지 않으며 메모리 및 CPU를 포함하는 다양한 명칭의 소모품 유닛이라면 본 소모품 유닛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에는 인쇄된 페이지수나 도트수, 소모품 잔량 등과 같이 소모품의 사용에 따른 상태 정보와, 소모품 유닛이나 화상형성장치의 제조회사정보, 제품 정보, 시리얼 넘버, 전자 서명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고유 정보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와 별개로 소모품 유닛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마련된 O/S를 포함할 수도 있다.
CPU는 이러한 O/S의 구동에 따라 소모품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의 초기화와 별도로, 소모품 유닛 자체의 초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PU는 초기화가 완료되거나 초기화 중에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와의 사이에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인증이 완료되고 나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와의 사이에서 암호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코맨드 및 데이터는 임의의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 암호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10은 메모리 및 CPU를 포함하는 소모품 유닛과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사이의 인증 및 암호화 데이터 통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200)는 임의의 값 R1을 생성하여 소모품 유닛(100)으로 전송한다(S1010). 여기서 R1은 랜덤하게 생성하는 값일 수 있고, 또는, 임의로 설정된 하나의 고정 값일 수도 있다. 소모품 유닛(100)은 R1이 수신되면, 자체적으로 임의의 값 R2를 생성한 후, 수신된 R1 및 R2를 이용하여 세션 키를 생성하고(S1015), 생성된 세션 키를 이용하여 MAC를 생성한다(S1020). 여기서의 MAC은 MAC1이라 한다. 한편, R2 역시 R1과 마찬가지로 랜덤하게 생성하는 값일 수 있고, 임의로 설정되는 하나의 고정 값일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소모품 유닛(100)은 생성된 MAC과 R2를 본체(200)로 전송한다(S1025). 이 경우, 전자 서명 정보나 제품 정보 등과 같이 고유하게 보유하는 고유 정보들이 있다면, 소모품 유닛(100)은 이러한 고유 정보들도 함께 전송하여 줄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정보들이 전송되는 경우, 본체(100)는 본체 자체에 기 저장된 정보들과 수신된 고유 정보를 비교하여, 고유 정보를 검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 후에, 본체(200)는 수신된 R2와 자신이 기 생성한 R1을 조합하여 세션키를 생성하고(S1030), 생성된 세션 키를 이용하여 MAC를 생성한다(S1035). 여기서의 MAC은 설명의 편의상 MAC2라 한다.
본체(200)는 생성된 MAC2와 수신된 MAC1을 비교하여 MAC1을 검증한다(S1040). MAC 검증 결과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다. 인증이 완료되면, 이후에서는 암호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형성장치의 본체(200)와 소모품 유닛(100)이 동일한 키와 동일한 암호 알고리즘, 즉, 암호화 알고리즘을 가질 것이 전제된다. 여기서 키란, 상술한 세션 키가 사용될 수 있다.
즉, MAC 검증이 완료되면, 화상형성장치(200)는 통신메시지를 생성한다. 이 경우,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키와 암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MAC을 생성한다(S1045). 설명의 편의상 여기서의 MAC은 MAC3이라 한다.
그리고 나서, 본체(200)는 MAC3을 포함하는 통신 메시지를 소모품 유닛(100)으로 전송한다(S1050). 이러한 통신 메시지에는 코맨드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즉, 코맨드와 데이터가 함께 암호화 알고리즘에 의해 암호화되어 전송된다.
소모품 유닛(100)은 전송받은 통신 메시지에서 데이터 부분을 추출하고, 상술한 키와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MAC을 생성한다(S1055). 여기서의 MAC은 MAC4라 한다.
그리고 나서, 유닛(200)은 전송받은 통신 메시지에서 MAC3을 추출하고, 자체적으로 계산한 MAC4와 비교하여, 검증한다(S1060).
비교결과 두 값이 일치하면 적법한 통신 메시지로 간주하여, 그 메시지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S1065). 반면, 불일치하면 부적법한 통신 메시지로 간주하여 폐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모품 유닛(100)이 메모리 및 CPU를 포함하는 CRUM 유닛인 경우에도, 제어부(22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만 소모품 유닛(1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소모품 유닛(100) 내의 CPU가 데이터를 자체 메모리에 안정적으로 기록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딜레이 타임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0)는 소모품 유닛(100)을 파워-온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소모품 유닛(100)으로 전원을 공급하여 파워 온시킨다. 소모품 유닛(100)의 CPU는 전원이 공급되면, 초기화를 수행한다.
초기화는, 소모품 유닛(100)에서 이용되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초기 구동, 초기화 이후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와의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비밀 정보 계산, 통신 채널 셋업, 메모리값 초기화, 자체 교환시기 확인, 소모품 유닛(100) 내부 레지스터 값 세팅, 내외부 클럭 신호 세팅 등의 다양한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레지스터 값 세팅이란, 이전에 사용자가 설정하여 둔 각종 기능 상태에 대응되게 소모품 유닛(100)이 동작하도록 내부의 기능 레지스터 값들을 세팅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또한, 내외부 클럭 신호 세팅이란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메인 컨트롤러, 즉, 제어부(220)로부터 제공되는 외부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소모품 유닛(100) 내부의 CPU가 사용하는 내부 클럭 신호에 맞도록 조정하여 주는 작업을 의미한다.
그 밖에, 자체 교환 시기 확인이란 이때까지 사용되었던 토너나 잉크의 잔량을 파악하여, 최종 고갈될 시기를 예측하여 제어부(220) 측으로 통지하여 주기 위한 작업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초기화 과정에서 토너 잔량이 이미 고갈된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초기화가 완료된 이후에 소모품 유닛(100)이 제어부(220)로 작업 불능 상태임을 자체적으로 알리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소모품 유닛(100) 자체적으로 O/S를 구비함에 따라, 소모품 유닛(100)의 종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초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초기화는 소모품 유닛(100) 자체에 대한 것이므로, 화상형성장치 본체(200)의 제어부(220)에서 수행되는 초기화와는 별도로 진행된다.
제어부(220)는 전원 공급 이후에 초기화가 완료될 때까지의 소정 시간, 즉, 딜레이 타임 동안 아무런 동작도 취하지 않고 대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딜레이 타임이 경과되면 각종 코맨드 및 데이터, 클럭 신호 등을 소모품 유닛(1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셋 및 인증이 이루어진 이후, 데이터 기입 또는 수정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인증 수행 시에는 소모품 유닛 내의 CPU가 모든 기능에 대해 준비가 될 때까지 일정 시간 동안 재시도를 하면서 대기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소모품 유닛(100)으로부터 Ack 신호가 수신되면, 기입할 데이터 등을 전송하여 소모품 유닛(100)과 암호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소모품 유닛(100)과 화상형성장치 본체(200)는 I2C와 같은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도 있고, 실시 예에 따라서는,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1은 소모품 유닛(100)의 파워를 온시킬 때의 전원 공급 타이밍, 클럭,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a)는 전원 그래프, (b)는 클럭 신호 그래프, (c)는 데이터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1의 (a)와 같이, 소모품 유닛 내의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하여 t1 시점에 전원이 공급되면, 기 설정된 딜레이 타임(예를 들어 20ms 정도) 이후인 t2 시점이 되어야 클럭 신호(b) 및 데이터(c)가 전송된다. 이 경우, 도 11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신호 전송 시점(t2)과 데이터 전송 시점(t3) 사이에 2㎲ 이상의 딜레이 타임이 주어질 수 있다. 한편, I2C 인터페이스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클럭 신호와 데이터는 별개의 라인을 통해 전송되므로 도 11과 같이 2㎲ 이상의 딜레이 타임이 주어지지 않고 거의 같은 시점에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1에서 20ms나 2㎲와 같은 딜레이 타임은 일 예에 불과하며, CPU의 성능이나 메모리 용량 등에 따라서 이러한 딜레이 타임은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소모품 유닛(100)에 대한 액세스가 완료되어 파워를 오프시킬 때는 클럭 신호 및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소정의 딜레이 타임이 경과된 이후에 전원을 차단한다. 즉, 소모품 유닛(100) 내의 CPU가 메모리에 데이터를 기입하거나 변경하는 중에 파워가 갑자기 오프되면 소모품 유닛 내의 CRUM 칩 또는 메모리가 파손되거나, 잘못된 데이터가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CPU가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기입하거나 변경하는 등의 업데이트 처리를 수행한 후 O/S를 정상적으로 종료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 즉, 딜레이 타임 동안 대기한 이후에 전원을 차단한다.
도 12는 소모품 유닛(100)의 파워를 오프 시킬 때의 전원 공급 타이밍, 클럭 신호,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에서 (a)는 전원 그래프, (b)는 클럭 신호 그래프, (c)는 데이터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12에 따르면, 메모리 액세스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거나 커버 개방 등의 사유로 후속 소모품 유닛들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여야 하는 상황이 생기게 되면, 클럭 신호(b) 및 데이터(c) 전송을 중단하고, 소정의 딜레이 타임이 경과된 t3'시점에 전원(a)을 차단한다. 도 12에 따르면, 딜레이 타임은 대략 10ms 이상으로 설정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에는 더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2에 따르면, 클럭 신호 중단 시점(t1')과 데이터 중단 시점(t2') 사이에는 대략 2㎲정도의 딜레이 타임이 존재하지만, 이 역시 반드시 이와 같이 설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서는, 클럭 신호와 데이터는 거의 동시에 전송 중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는 딜레이 타임이 고정된 값으로 주어지는 것처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고정될 필요는 없다.
이상과 같이, 메모리 및 CPU가 함께 포함되는 CRUM 유닛의 경우에도,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 및 차단하여 부품 파손, 데이터 기록 에러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원 제공 방법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구비된 CPU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전원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소모품 유닛 210 : 전원부
220 : 제어부 230 : 커버
240 : 판단부 250 : 출력부
211 : 전원 제어부 222 : I/O 제어부
223 : 메모리 제어부 224 : 메인 제어부

Claims (22)

  1.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
    상기 소모품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소모품 유닛을 화상형성장치의 본체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상기 본체에 마련된, 개폐 가능한 커버; 및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커버가 개방 상태로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는 중에 상기 커버가 폐쇄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소모품 유닛은 복수 개이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하나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면 상기 다른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에 대응되는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사용 정보가 기록되는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소모품 유닛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탈착하기 위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라면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커버가 폐쇄된 상태라면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면 상기 다른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에 대응되는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원 제공 방법.
  4.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
    상기 메모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며, 상기 메모리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상기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모품 유닛은 복수 개이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하나에 내장된 메모리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면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면 상기 다른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에 대응되는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상기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중에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 하에서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메모리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지 않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고,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전원이 공급되어 액세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5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마련된 커버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개방 상태이면 탈착 가능 상태로 판단하고, 폐쇄 상태이면 탈착 불가능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 개의 소모품 유닛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탈착 가능 상태인 지 여부를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는 이벤트, 화상 형성 잡 실행이 종료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액세스 할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I/O 신호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 전체에 대한 I/O 신호 클럭 출력이 완료될 때까지,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 전체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복수 개로 마련되어,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액세스 할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I/O 신호 클럭을 출력하고,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에 대한 I/O 신호 클럭 출력 구간 동안 상기 액세스할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복수 개의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은 상기 메모리와 함께 CPU를 구비하는 CRUM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CRUM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고, 기 설정된 제1 딜레이타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CRUM 유닛으로 클럭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CRUM 유닛에 대한 처리가 종료되면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기 설정된 제2 딜레이타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CRUM 유닛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메모리를 구비한 소모품 유닛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야 할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계;
    상기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데이터 읽기 및 쓰기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 수행 단계;
    상기 소모품 유닛이 복수 개인 경우, 액세스할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면 상기 다른 메모리가 내장된 소모품 유닛에 대응되는 커버의 개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메모리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메모리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단계;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원 공급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원 차단 단계는,
    상기 소모품 유닛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상기 소모품 유닛 중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하여 상기 전원이 공급되어 액세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이 탈착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하나의 소모품 유닛에 대한 처리가 종료된 이후에 상기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상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단계, 상기 작업 수행 단계, 상기 전원 차단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소모품 유닛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턴-오프 상태에서 턴-온 되는 이벤트,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부착된 커버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되는 이벤트, 화상 형성 잡 실행이 종료되는 이벤트 중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모품 유닛은 상기 메모리와 함께 CPU를 구비하는 CRUM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수행 단계는, 상기 CRUM 유닛에 전원이 공급된 이후에 기 설정된 제1 딜레이타임이 경과하면 상기 CRUM 유닛으로 클럭 신호 및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전원 차단 단계는, 상기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클럭 신호 및 상기 데이터 전송을 중단하고 기 설정된 제2 딜레이타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CRUM 유닛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방법.

KR1020110019969A 2010-09-15 2011-03-07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KR101784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181308.5A EP2431812B1 (en) 2010-09-15 2011-09-14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sumable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hereof
JP2011201193A JP2012063770A (ja) 2010-09-15 2011-09-14 消耗品ユニット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電源供給方法
CN201110273001.XA CN102402153B (zh) 2010-09-15 2011-09-15 包括可消耗单元的成像装置及其控制电力供应的方法
US13/233,205 US9086679B2 (en) 2010-09-15 2011-09-15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sumable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02 2010-09-15
KR20100090402 2010-09-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94A KR20120028794A (ko) 2012-03-23
KR101784320B1 true KR101784320B1 (ko) 2017-11-06

Family

ID=4613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969A KR101784320B1 (ko) 2010-09-15 2011-03-07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117A (ko) 2013-11-01 201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탑재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WO2015065081A1 (en) * 2013-11-01 2015-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rum unit mountable and dis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9658644B2 (en) 2014-10-06 2017-05-23 S-Printing Solution Co., Ltd. CRUM unit mountable in consumable unit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9219A (ja) * 2000-01-26 2001-08-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装置ユニット
JP2002196629A (ja) * 2000-12-26 2002-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184715A (ja) * 2004-12-28 2006-07-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128755A (ja) * 2007-11-27 2009-06-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0143112A (ja) * 2008-12-19 2010-07-01 Toshiba Tec Corp 電気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9219A (ja) * 2000-01-26 2001-08-0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装置ユニット
JP2002196629A (ja) * 2000-12-26 2002-07-1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184715A (ja) * 2004-12-28 2006-07-13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128755A (ja) * 2007-11-27 2009-06-1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0143112A (ja) * 2008-12-19 2010-07-01 Toshiba Tec Corp 電気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94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181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consumable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supply thereof
KR101780734B1 (ko)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KR101018387B1 (ko) 메모리부와 cpu를 구비한 교체가능유닛과 이를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881729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o control a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US9336471B2 (en) CRUM chip,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of CRUM chip
JP3945468B2 (ja)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印刷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530053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유닛에 장탈착 가능한 crum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
US20050078165A1 (en) Printing device, printing method, print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JP5699435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784320B1 (ko) 소모품 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US8305598B2 (en) Image-forming apparatus
US2010014630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019540B2 (en) Changing speed of network connection depending upon sleep state of network controller
JP2017058436A (ja) 画像形成装置、消耗品の管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2004737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1866823B1 (ko)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JPH0811398A (ja) 画像出力装置
KR20130028608A (ko) Crum 칩과 화상형성장치 및 그 통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