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724B1 -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724B1
KR101783724B1 KR1020150113836A KR20150113836A KR101783724B1 KR 101783724 B1 KR101783724 B1 KR 101783724B1 KR 1020150113836 A KR1020150113836 A KR 1020150113836A KR 20150113836 A KR20150113836 A KR 20150113836A KR 101783724 B1 KR101783724 B1 KR 10178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coffee
roasted
powd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0581A (ko
Inventor
이송진
윤미령
Original Assignee
담양군
윤미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담양군, 윤미령 filed Critical 담양군
Priority to KR102015011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7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2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sugar; Coating, e.g. for preserv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243Liquid, semi-liquid or non-dried semi-soli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Coffee gels; Liquid coffee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46Coffee flavour; Coffee oil; Flavouring of coffee or coffee extract
    • A23F5/465Flavouring with flavours other than natural coffee flavour or coffee 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는 칼슘 등 미네랄을 포함하고 카페인 함량이 낮으며 향미와 부드러움 등 기호도가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Bamboo Coffee and a Method Prepar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 원두를 갈아 뜨거운 물로 우려낸 향이 진한 음료를 의미한다. 전 세계적으로 음용 되는 기호식품의 하나인 커피는 강렬한 향과 이미지에 걸맞게 소비되는 양 또한 적지 않다.
세계인의 하루 커피 소비량은 25억 잔, 전 세계 인구의 약 70~80%가 음용하는 대중적인 음료이며, 생명 유지의 수단으로 마시는 물 다음으로 세상에서 제일 많이 마시는 제 2의 음료이다(Anderson & Smith 2002, Schilter et al 2002). 커피는 쓴맛, 떫은 맛, 신맛, 구수한 맛 등이 조화되어 만들어지는 기호 음료로서, 1875년 고종 임금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마신 것을 계기로, 이 땅에 들어온 지 불과 100년 만에 한국인의 대표적인 기호성 음료로 사랑을 받고 있다(Kim & Park 2006, Clarke & Macrae 1985, Sievetz & Desorsier 1976).
커피의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카페인, 클로로겐산, 나이아신, 칼륨, 트리고넬, 아미노산 등이 있고, 이 중 커피의 주성분인 카페인은 알칼로이드계 화합물의 하나로 냄새가 없고 쓴 맛을 내며 물에 잘 녹는다(Viani & Horman 1975, Macdonald & Macrae 1985, Steinhart & Luger 1995). 또한, 서양에서는 천식 치료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카페인의 자극이 기관지의 점액성 분비물을 마르게 하고 혈관을 수축시키기 때문이다(Grong et al 1986). 커피는 알코올 중독 치료와 간 기능 보호 역할도 하며, 다량의 카페인 섭취는 위산 분비를 촉진하고 식도를 연결하는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식도에 역류, 속쓰림을 악화시킬 수 있으며, 불면증, 신경과민, 불안, 골다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커피의 부정적인 영
향을 주기도 한다.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하며, 추출 방식은 크게 분쇄한 커피 원두와 물을 일정시간 동안 정치(定置)한 후 필터로 걸러내는 방식과 물을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여 흘려주는 드립여과(drip filtration)로 나뉜다.
최근 커피시장에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더치커피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 자바에서 커피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추출 방법이 드립여과법과 비슷하지만 드립여과법과 달리 뜨거운 물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상온 또는 그 이하의 물을 사용하여 오랜 시간 천천히 우리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커피들과 달리 더치커피는 낮은 온도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신맛이 적고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관심과 함께 소비가 증가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커피와 달리 원액상태로 저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품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한편 대나무는 죽여, 죽순, 죽엽, 죽근, 죽피 등의 부산물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죽엽은 동의보감에 성분이 차고 맛이 달며 독이 벗고 소갈과 해독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이뇨 작용을 촉진시키고 기침과 가래 해소, 열내림, 피멎이약, 중중, 고혈압 등 약리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구본흥. 1997. 사전식 동의보감. 한국사전연구사. 서울 p954-960;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4, 36(2):306-310)
민간에서는 김치 저장시 선도 유지를 위해 죽엽을 덮어 이용한 예가 있으며(Kim et al., J. Korean Soc. Food Nutr. 1996, 25(1):135-142), 최근 연구에서는 죽엽에 페놀성분, 아미노산, 당류, 미량의 유기산 등이 함유되어 있고 포도상구균, 녹농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김치 발효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며(Korean J Food Sci Technol., 1995, 27:1035-1038), 알콜성 간 손상과 고지혈증 예방 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이재만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2011년).
또한 죽엽은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K, Ca, Mg, Na, Fe, Mn, Zn, P 등의 미네랄을 함유한다고 보고되어 있기도 하다(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2001, 8(4):469-474).
죽엽의 미네랄 성분 및 함량(단위: mg%)
구분 K Ca Mg Na Fe Mn Zn P
맹종죽 255.2 1.6 25.3 10.9 0.16 6.1 0.3 65.5
솜대 236.3 1.0 23.0 7.9 0.21 4.6 0.4 43.0
왕대 216.4 0.5 35.0 7.1 0.15 14.7 0.2 80.1
죽순의 경우도 죽엽과 비슷하게 변비 예방, 침열 작용, 숙취 해소, 청혈 작용, 이뇨 작용, 스트레스, 불면증, 비만증,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유태종, 식품보감, 문운당, p315 (1998); 동의보감, 남산당 p1669 (1983)), 아래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의 Zn, Mn, Fe, Ge, Mg, Cu, Ca, Na, K, P 등의 미네랄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rean J. Food & Nutr. 1999, 12(6):575~581).
죽순의 미네랄 성분 및 함량(단위: mg/100g)
구분 Zn Mn Fe Ge Mg Cu Ca Na K P
맹종죽 0.57 0.17 1.54 0.77 8.63 0.08 13.69 2.67 403.42 15.20
솜대 0.11 0.33 1.98 0.61 11.73 0.15 6.97 2.68 359.54 13.51
왕대 0.88 0.29 0.49 0.57 12.96 0.12 9.92 0.10 363.40 9.29
한편 죽여(Bambusae caulis in Taeniam)는 동의보감에 구토 및 해열, 불면증, 거담 등의 증상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김상범,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010), 아래 [표 3]의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오재근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1995).
죽여의 미네랄 성분 및 함량
구분 K P Fe Ca Mg Na Zn Mn Cu
왕대 171.17 38.77 29.89 25.43 14.49 12.55 1.51 1.15 0.18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약리 효능을 가지고 다양한 미네랄을 가지는 죽엽, 죽순, 죽여 등의 대나무 부산물의 성분들이 침투된 소금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약리 효능을 가지고 다양한 미네랄을 가지는 죽엽, 죽순, 죽여 등의 대나무 부산물을 커피의 제조에 이용할 경우, 칼슘 등 미네랄이 포함되고 카페인 함량이 감소하여 향미, 부드러움 등 전체적인 기호도가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나무 커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대나무 커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목적은 이하에서 제시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아래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죽엽과 대나무 줄기 등 대나무 부산물을 커피 원두와 함께 로스팅(roasting, 굽기)하고 이를 분쇄하여 커피를 우려내거나, 또는 죽엽과 대나무 줄기 등 대나무 부산물 등의 분말을 로스팅한 커피 원두 분말과 혼합하여 커피를 우려내거나, 로스팅한 커피 원두 분말을 죽엽과 대나무 줄기 등 대나무 부산물의 물 추출액으로 우려낼 경우 그 우려낸 커피에서 대나무 부산물이 가지고 있는 칼슘 등의 미네랄이 검출되고 카페인 함량이 낮아지며, 향미, 부드러움 등 기호도가 향상된 커피가 얻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일 측면에서는 대나무 부산물이 활용된 대나무 커피로 파악될 수 있고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그 대나무 부산물이 활용된 대나무 커피의 제조 방법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는 구체적인 일 측면에 있어서는, (a) 로스팅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 70%(w/w) 내지 95%(w/w)와 (b)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또는 그 분말 30%(w/w) 내지 5%(w/w)의 혼합물로 파악할 수 있고, 구체적인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b) 로스팅한 커피 원두 분말 70%(w/w) 내지 95%(w/w)와 (c)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분말 30%(w/w) 내지 5%(w/w)의 혼합물을 대나무 부산물의 물 추출액으로 우려된 커피 추출액으로 파악할 수 있고, 구체적인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는 (a) 로스팅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과 (b)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또는 그 분말을 포함하는 대나무 커피 세트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로스팅한 커피 원두는 당업계에서 로스팅할 때의 일반적인 로스팅으로 조건으로 얻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230℃±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40분 로스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스팅한 대나무 부산물은 200℃±7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40분 로스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가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로스팅한 대나무 부산물의 혼합물로 구성될 경우 커피 원두와 대나무 부산물은 함께 로스팅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함께 로스팅하여 얻을 경우, 바람직하게는 커피 원두와 대나무 부산물을 혼합한 후 상기 로스팅 조건 중 어느 하나의 조건 즉 230℃±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30분의 로스팅 시간 또는 200℃±7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30분의 로스팅 시간을 적용하여 얻거나, 아래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2단계로 나누어 먼저 커피 원두를 로스팅하고 다음에 1차 로스팅한 이 커피 원두에 대나무 부산물을 혼합하고 2차로 로스팅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1차 로스팅은 상기와 같이 230℃±2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40분 로스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2차 로스팅은 200℃±70℃의 온도에서 5분 내지 40분 로스팅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피 음료의 제조시(즉 커피를 추출할 때) 대나무 부산물이 활용됨으로써 대나무 부산물에 포함된 칼슘 등 미네랄이 커피 음료에 함유되고 카페인 함량이 줄어들며 결과적으로 부드러움 등 기호도가 향상됨을 확인함으로써 완성된 발명이기 때문에 상기 로스팅 온도와 시간 등의 로스팅 조건은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 가능한 것이므로 어떠한 측면에서 있어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는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의 혼합물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로스팅한 커피 원두 분말과 로스팅하거나 로스팅 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분말의 혼합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의 혼합물로도 구성될 경우 이용자는 커피 추출 전(커피 음료 제조 전) 이를 분쇄·분말화하여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는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이 각각 포장된 세트 형태로도 구성된 것이거나 로스팅한 커피 원두 분말과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분말이 각각 포장된 세트 형태로도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이 각각 포장된 세트 형태로도 구성된 것일 경우 이용자는 커피 추출 전(커피 음료 제조 전) 이를 각각 분쇄하여 각 분쇄하여 얻은 분말을 적정 비율, 예컨대 커피 원두 분말 70%(w/w) 내지 95%(w/w), 대나무 부산물 분말 30%(w/w) 내지 5%(w/w)로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을 적정 비율, 여기서도 예컨대 커피 원두 70%(w/w) 내지 95%(w/w), 대나무 부산물 30%(w/w) 내지 5%(w/w)로 혼합하고 분쇄·분말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에 있어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은 70%(w/w) 내지 95%(w/w)의 범위로 포함되고 대나무 부산물 또는 그 분말은 30%(w/w) 내지 5%(w/w)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포함되거나 대나무 부산물 또는 그 분말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서 포함될 경우 커피의 본래의 맛이 너무 약해지거나 대나무 부산물을 이용하는 효과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는 또 다른 구체적인 측면에 있어서, 로스팅한 커피 원두 분말 70%(w/w) 내지 95%(w/w)와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분말 30%(w/w) 내지 5%(w/w)의 혼합물을 대나무 부산물의 물 추출액으로 우려된 커피 추출액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는 추출 시 열수, 상온 또는 그 이하의 온도를 가진 물을 이용할 수 있다. 추출 방식은 정치(定置) 추출 방식, 드립여과(drip filtration) 추출 방식 등 임의의 추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대나무 부산물"은 죽엽, 죽순, 죽여(竹茹), 죽피(죽순을 싸고 있는 껍질을 말함) 및 대나무 줄기 중 하나를 의미한다. 이러한 대나무 부산물은 왕대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대나무, 해장죽속(Arundinaria)에 속하는 대나무, 조릿대속(Sasa)에 속하는 대나무 또는 이대속(Pseudosasa)에 속하는 대나무로 부터 얻어질 수 있으며, 특히 맹종죽, 분죽, 왕대, 솜대 또는 조릿대에서 얻어질 수 있다. 대나무 부산물은 바람직하게는 죽엽, 대나무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대나무 부산물의 물 추출액"은 대나무 부산물의 세절물 또는 분말을 물에 침지시켜 그대로 방치하거나 교반하거나 가열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아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열수 추출액을 말한다. 이러한 추출은 더 이상 대나무 성분들이 추출되지 않을 때까지(즉 추출액의 탁도가 더 짙어지지 않을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나무 커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의 제조 방법은 (a) 로스팅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b)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또는 그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및 (c) 이들을 혼합하거나 세트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로스팅한 대나무 부산물을 준비할 경우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는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커피 원두와 대나무 부산물을 혼합하고 함께 로스팅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로스팅 조건과 관련해서는 전술한 바가 준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의 혼합은 그 비율이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 70%(w/w) 내지 95%(w/w), 대나무 부산물 또는 그 분말 30%(w/w) 내지 5%(w/w) 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은 대나무 커피 음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 음료의 제조 방법은 로스팅한 커피 원두 분말 70%(w/w) 내지 95%(w/w)와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 분말 30%(w/w) 내지 5%(w/w)의 혼합물을 준비하는 단계, 그 혼합물을 대나무 부산물의 물 추출액으로 우려내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나무 커피는 칼슘 등 미네랄을 포함하고 카페인 함량이 낮으며 향미와 부드러움 등 기호도가 향상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대나무 커피의 제조
<실시예 1> 대나무 커피의 제조예 1
죽엽 및 대나무 줄기의 혼합물을 세절하여 커피의 제조에 이용하였다.
커피의 제조는, 시중에서 구입한 커피 원두(콜롬비아산)를 230℃에서 약 10분간 로스팅한 후 그 로스팅한 커피 원두에 상기 대나무 부산물을 8:2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50℃의 온도에서 약 15분간 로스팅하여 이루어졌다.
로스팅한 후 추출 직전에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대나무 부산물의 혼합물을 커피 분쇄기로 분쇄하여 평균 입도 800㎛로 대나무 커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대나무 커피의 제조예 2
죽엽 및 대나무 줄기의 혼합물을 세절하고 평균 입도 800㎛로 분말화하여 커피의 제조에 이용하였다.
커피의 제조는, 시중에서 구입한 커피 원두(콜롬비아산)를 230℃에서 로스팅하여 이루어졌다.
로스팅한 후 추출 직전에, 로스팅한 커피 원두를 평균 입도 800㎛가 되도록 커피 분쇄기로 분쇄하고 그 커피 분말과 상기 대나무 부산물 분말을 8:2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대나무 커피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대나무 커피의 제조예 3
죽엽 및 대나무 줄기의 혼합물의 세절물과 분말을 상기 각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같이 준비하였다.
커피의 제조는, 시중에서 구입한 커피 원두(콜롬비아산)를 230℃에서 약 10분간 로스팅한 후 그 로스팅한 커피 원두에 상기 대나무 부산물을 8:1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150℃의 온도에서 약 15분간 로스팅하여 이루어졌다.
로스팅한 후 추출 직전에 로스팅한 커피 원두와 대나무 부산물의 혼합물을 커피 분쇄기로 평균 입도 800㎛로 분쇄하고 그 분말과 대나무 부산물 분말을 9: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대나무 커피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커피의 비교 제조예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커피를 제조하되, 대나무 부산물을 활용하지 않고 커피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시중에서 구입한 커피 원두(콜롬비아산)를 230℃에서 로스팅한 후 추출 직전에 로스팅한 커피 원두를 평균 입도 800㎛가 되도록 커피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성분 분석 실험 및 관능평가
<실험예 1> 성분 분석 실험
성분 분석에는 더치 커피 제조 기구를 이용하여 더치 커피의 추출 방식에 따라 얻어진 커피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커피 분말 2,160mL에 200mL의 추출 용매(정제수 또는 대나무 부산물 추출액임)을 부어 10분간 적시기를 거친 후 3mL/min의 유속으로 12시간 동안 2,160mL의 추출 용매를 흘려주고 약 30분간 휴지 기간을 두어 여분의 커피가 추출될 수 있도록 방치하였다. 이때 추출 용매는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주변온도인 20±2℃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대나무 부산물 추출액은 대나무 부산물(죽엽과 대나무 줄기의 세절물)에 10배의 물을 가하고 90℃ 내지 100℃의 온도에서 약 20분간 열탕 추출하여 얻어진 것을 4℃에서 냉장보관하다가 사용하였다.
상기 커피 추출액을 경기 성남시 소재 H 기관에 의뢰하여 카페인 함량과 미네랄의 대표적 성분으로서 칼슘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성분 분석 결과
구분 카페인 함량(mg/kg) 칼슘 함량(mg/100g)
실시예 1의 커피, 정제수 추출 392.82 1.67
실시예 2의 커피, 정제수 추출 407.27 1.68
실시예 3의 커피, 정제수 추출 398.43 1.74
실시예 1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381.43 2.08
실시예 2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382.42 2.07
실시예 3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376.15 2.12
비교예의 커피, 정제수 추출 458.27 불검출
비교예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424.36 1.48
상기 [표 4]의 결과는 대나무 부산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의 커피를 정제수로 추출한 경우에 비하여, 대나무 부산물이 포함되거나 대나무 부산물의 추출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카페인 함량이 뚜렷하게 낮고 또한 칼슘 함량도 증가함을 보여준다.
<실험예 2>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된 더치 커피에 대해서, 실험의 취지를 주지시킨 20명의 관능평가 요원을 상대로 맛, 향, 부드러움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 대해서 5점 척도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평균값으로 하여 아래의 [표 5]에 나타내었다.
관능평가 결과
구분 부드러움 종합적 기호도
실시예 1의 커피, 정제수 추출 4.13 4.08 4.28 4.12
실시예 2의 커피, 정제수 추출 4.17 3.98 4.26 4.18
실시예 3의 커피, 정제수 추출 4.16 3.92 4.21 4.25
실시예 1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4.25 4.18 4.32 4.35
실시예 2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4.14 4.26 4.38 4.28
실시예 3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4.23 4.27 4.36 4.31
비교예의 커피, 정제수 추출 3.47 3.23 3.45 3.42
비교예의 커피, 대나무 추출액 추출 3.98 4.12 4.07 3.98
상기 관능평가 결과도 대나무 부산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의 커피를 정제수로 추출한 경우에 비하여, 대나무 산물이 포함되거나 대나무 부산물의 추출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관능평가의 모든 항목에 있어서 뚜렷하게 우수하게 평가되었음을 보여준다.

Claims (10)

  1. (a) 로스팅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 70%(w/w) 내지 95%(w/w)와, (b)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의 세절물 또는 그 분말 30%(w/w) 내지 5%(w/w)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대나무 부산물은 죽엽, 대나무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혼합물을 사용하여 커피 음료를 추출하였을 때 상기 대나무 부산물의 세절물 또는 그 분말의 사용에 의해 그 커피 음료의 카페인 함량이 낮아지고 칼슘 함량이 높아지는 효과를 갖는,
    대나무 커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부산물은 죽엽과 대나무 줄기의 혼합물인,
    대나무 커피.
  3. (a) 로스팅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 70%(w/w) 내지 95%(w/w)와, (b)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의 세절물 또는 그 분말 30%(w/w) 내지 5%(w/w)의 혼합물을, 열수 또는 대나무 부산물의 열수 추출액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커피 음료로,
    상기 대나무 부산물은 죽엽, 대나무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며,
    상기 커피 음료는 상기 대나무 부산물의 세절물 또는 그 분말의 사용에 의해 카페인 함량이 낮아지고 칼슘 함량이 높아진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활용한 커피 음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부산물은 죽엽과 대나무 줄기의 혼합물인,
    대나무를 활용한 커피 음료.
  5. (a) 로스팅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b)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의 세절물 또는 그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c) 상기 로스팅한 커피 원두 또는 그 분말 70%(w/w) 내지 95%(w/w)와, 상기 로스팅하거나 로스팅하지 아니한 대나무 부산물의 세절물 또는 그 분말 30%(w/w) 내지 5%(w/w)를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애서 얻어진 혼합물을 열수 또는 대나무 부산물의 열수 추출액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나무 부산물은 죽엽, 대나무 줄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카페인 함량이 낮고 칼슘 함량이 높은 대나무 커피 음료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부산물은 죽엽과 대나무 줄기의 혼합물인,
    대나무 커피 음료의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13836A 2015-08-12 2015-08-12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8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836A KR101783724B1 (ko) 2015-08-12 2015-08-12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836A KR101783724B1 (ko) 2015-08-12 2015-08-12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581A KR20170020581A (ko) 2017-02-23
KR101783724B1 true KR101783724B1 (ko) 2017-10-12

Family

ID=5831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836A KR101783724B1 (ko) 2015-08-12 2015-08-12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722B1 (ko) 2019-04-18 2020-04-01 신묘임 휴게공간의 제공 및 견고한 설치가 유도되는 무타공 방식의 태양광모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4070A (ja) * 2011-06-09 2012-12-27 Yasuko Shimada タケノコのコーヒ風味の飲料及び抽出用粉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54070A (ja) * 2011-06-09 2012-12-27 Yasuko Shimada タケノコのコーヒ風味の飲料及び抽出用粉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581A (ko) 2017-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227B1 (ko) 가용성 타블렛차의 제조방법
JP6400278B2 (ja) 混合茶飲料
KR102136531B1 (ko) 메밀이 함유된 기능성 드립백 커피의 제조방법
KR101926591B1 (ko) 허브를 함유하는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783724B1 (ko) 대나무 커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4175B1 (ko) 기능성 발효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JP2003219847A (ja) 発芽玄米の抽出液を含有する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49927B1 (ko) 용암해수와 황칠을 이용한 액상 커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84308B1 (ko) 즉석 분말 인삼녹차 및 그 제조방법
EP0478859B1 (en) Process for improving the qualities of coffee beans
JP3691453B2 (ja) コーヒー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03909B1 (ko) 대두를 이용한 커피맛음료의 제조방법
KR101535214B1 (ko) 다시마, 고대미 및 현미를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142599B1 (ko) 저염 소금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생산된 저염 소금
KR100885130B1 (ko) 연자를 이용한 건강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231B1 (ko) 맨드라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3186A (ko) 복분자를 이용한 발효분말 제조방법
KR102614234B1 (ko) 침향을 함유한 커피차 조성물
KR20150112435A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커피원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5234B1 (ko) 장미를 이용한 커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9448B1 (ko) 황칠추출액과 양파추출액이 혼합된 혼합액 및 황칠과 양파가 함침된 구운 소금을 이용한 된장 제조방법
JP2020072665A (ja) 茶類エキスの製造方法
CN105028808A (zh) 一种绿豆保健茶
KR20170026709A (ko) 대나무 커피의 추출 장치 및 대나무 커피의 제조 방법
KR20180118012A (ko) 녹여 먹는 원두 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