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665B1 -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조기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조기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665B1
KR101783665B1 KR1020167013203A KR20167013203A KR101783665B1 KR 101783665 B1 KR101783665 B1 KR 101783665B1 KR 1020167013203 A KR1020167013203 A KR 1020167013203A KR 20167013203 A KR20167013203 A KR 20167013203A KR 101783665 B1 KR101783665 B1 KR 101783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arget cell
cell base
signal leve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5606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슈미드트
유지안 장
홍 헤
안나 루시아 핀헤이로
캔디 이유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075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5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04W36/30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due to low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5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private Base Stations, e.g. femto Base Stations, home Node 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조기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 및 방법의 실시예가 일반적으로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방법은 서빙 셀 기지국으로서 동작하는 향상된 노드 B(eNB)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결정은 사용자 장비(UE)에서 측정된 타겟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및 서빙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더하여 타겟 셀 기지국에서 측정된 UE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기초한다.

Description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조기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 및 방법{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본 출원은 2013년 12월 2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137,176호에 대해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통합된다.
실시예는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일부 실시예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LTE))을 위한 3GPP 표준(3GPP LTE) 중 하나에 따라 동작하는 E-UTRAN 네트워크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
활성/진행 통신 접속(예로서, 음성 또는 데이터 호)을 갖는 이동 장치(예로서, 셀 전화, UE)가 제1 셀의 커버리지 영역으로부터 멀어져 제2 셀의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갈 때, 통신 접속은 제2 셀(타겟 셀)로 전달되어, 전화가 제1 셀(소스 셀)의 커버리지를 벗어날 때의 링크 종료를 방지한다. 이러한 "접속의 전달"은 핸드오버(또는 핸드오프)로 지칭된다. 부하 균형화와 같이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다른 이유도 존재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UE는 통상적으로 그 자신의 서빙 셀은 물론 (동일 RAT의 또는 상이한 RAT의) 이웃 셀도 포함하는 다양한 셀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도록 이동 네트워크 동작(mobile network operation(MNO))에 의해 설정(configure)된다. MNO는 UE에서의 일부 보고 상세(예로서, 트리거 이벤트, 주파수 계층, 임계치, 주기성 등)도 설정할 수 있다. 게다가, UE는 그의 발견물을 기반구조에 보고한다. 최종 핸드오버 결정은 기반구조 측에 의해(예로서, 현재 UE를 서빙하고 있는 기지국에 의해) 행해진다.
일부 새로운 이용 예가 "소형 셀 향상" 및 "이중 접속"을 다루고 있는 3GPP의 RAN 작업 그룹(WG)에서 현재 논의중이다. 소형 셀의 개념은 용량 확장 및 커버리지 개선의 목적을 위한 매크로 계층 커버리지 내의 추가 저전력 노드의 배치에 관련된다. 용어 "이중 접속"은 UE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기지국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을 소비하는 동작을 지칭한다. "소형 셀 향상"과 관련하여, 제1 기지국은 기본 커버리지를 갖는 매크로 셀을 제공하는 매크로 eNB일 수 있는 반면, 제2 기지국은 추가 용량 또는 커버리지를 갖는 소형 셀을 제공하는 피코/펨토 eNB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의 한 가지 문제는 추가 배치된 소형 셀 노드의 저전력 특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행되는 핸드오버 결정이 최적이 아닐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특히 소형 셀 배치 시나리오에서 개선된 더 최적의 핸드오버 결정을 행하기 위한 기지국 및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필요성이 존재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도 2a는 전통적인 핸드오버 결정을 나타낸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결정을 나타낸다.
도 3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동작을 나타낸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동작을 나타낸다.
도 5-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핸드오버 트리거 명령의 생성을 나타낸다.
아래의 설명 및 도면은 특정 실시예를 충분히 예시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가 특정 실시예를 실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는 구조, 논리, 전기, 프로세스 및 기타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은 다른 실시예의 부분 및 특징 내에 포함되거나 그를 대체할 수 있다. 청구항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그러한 청구항의 모든 이용 가능한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를 나타낸다. 무선 네트워크(100)는 셀 내에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UE))(102)와 같은 이동 장치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기지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무선 네트워크(100)는 매크로 셀(114) 내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매크로 기지국(104), 및 피코 셀(116) 내에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피코 셀 기지국(106)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네트워크는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104)과 같은 서빙 기지국은 UE에 의해/UE에서 측정되는 타겟 셀 기지국(106)의 다운링크 신호(206) 및 서빙 셀 기지국(104)의 다운링크 신호(204)의 신호 레벨에 더하여 타겟 셀 기지국(106)에서의 UE(102)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도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서빙 셀 기지국(104)으로서 동작하는 향상된 노드 B(enhanced Node B(eNB))는 UE에서 측정되는 타겟 셀 기지국(106)의 다운링크 신호 및 서빙 셀 기지국(104)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더하여 타겟 셀 기지국(106)에서 측정되는 UE(102)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핸드오버 결정의 일부로서의, UE(102)에 의한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의 사용은 타겟 셀로의 더 이른 핸드오버 결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매크로 셀과 피코 셀 간의 부하 균형화를 위해 그리고 특히 매크로 셀로부터 피코 셀로의 트래픽의 오프로딩을 위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UE(102)는 양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측정할 수 있고, 타겟 기지국(106)은 UE로부터 업링크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스 셀(114)은 매크로 셀이고, 타겟 셀(116)은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이며, 소스 셀(114) 및 타겟 셀(116)의 서비스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은 매크로 셀보다 훨씬 작을 수 있고, 매크로 셀의 서비스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서비스 영역을 가질 수 있지만, 이것은 요건이 아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은 매크로 셀보다 낮은 전력의 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소스 셀(114)이 매크로 셀이고, 타겟 셀(116)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일 때,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은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소스 셀(114)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이고 타겟 셀(116)이 매크로 셀일 때, eNB(104)는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eNB(104)는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고, 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하여 UE(102)로부터의 업링크 전송에 대해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겟 셀 기지국(106)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트리거 이벤트는 이중 접속 업링크 측정 트리거 이벤트일 수 있지만, 실시예의 범위는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eNB(104)는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타겟 셀 기지국(106)에 의한 사용을 위해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예로서,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에 의해) UE(102)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는 사전 정의된 업링크 채널 자원(즉, 사전 결정된 자원 블록) 내에서 UE에 의해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eNB(104)는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하도록 UE에 지시하고, 타겟 셀 기지국에 대한 UE의 동기화 후에 UE에 의해 전송되는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로부터의 신호 레벨 측정을 보고하도록 타겟 셀 기지국을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102)가 이중 접속을 위해 설정될 때, UE는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될 때 서빙 셀 기지국과의 동기화된 접속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UE(102)는 이중 접속을 위해 설정되지 않고, UE는 타겟 셀 기지국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 측정을 위해 타겟 셀 기지국과 임시 동기화하기 위해 서빙 셀 기지국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102)는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하기 위해 타겟 셀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eNB(104)는 타겟 셀 기지국이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로부터의 신호 레벨 측정을 보고하도록 설정될 때 서빙 셀 기지국에 대한 측정 및 보고 의무로부터 UE(102)를 임시로 해제할 수 있다.
도 2a는 전통적인 핸드오버 결정을 나타낸다. 도 2b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결정을 나타낸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배치된 소형 셀 노드의 저전력 특성으로 인해, 업링크/다운링크 전력 불균형이 발생한다. 도 2a 및 2b에서, UE(102)는 좌에서(즉, 매크로 셀 커버리지로부터) 우로(즉, 소형 셀 커버리지 내로) 이동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a는 BDL의 위치(즉, 저전력 소형 셀(116)의 다운링크 신호 강도가 매크로 셀(114)의 다운링크 신호 강도보다 커지는 위치)의 결정을 나타낸다.
도 2b는 매크로 셀(204) 및 소형 셀(206) 양자에서의 UE의 업링크 전송(202)의 신호 강도를 나타낸다. 위치 BUL은 소형 셀(116)이 매크로 셀(114)보다 강한 업링크 신호를 검출하기 시작하는 위치이다. BDL과 BUL 간의 거리 d는 매크로 셀로부터 소형 셀로의 "조기 핸드오버"의 목적을 위해 핸드오버 결정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에서 BDL 대신에(또는 그에 더하여) BUL에 대한 지식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에 따르면, 타겟 셀(예로서, 매크로 셀)에서 측정되는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기 위한 방법이 핸드오버 결정을 수행하는 데 이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UE의 업링크 신호에 대해 타겟 셀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이 소스 셀 및/또는 (설정되는 경우) 이웃 셀에서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해 UE에 의해 수행되는 측정 대신에(또는 그에 더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관련된 기지국 간의 정보의 교환이 소스 셀(예로서, 매크로 셀) 내의 UE에 대한 이러한 새로운 기능 및 새로운 설정 옵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UE는 소스 셀(여기서는 매크로 셀) 내에 계속 위치하면서 타겟 셀(예로서, 소형 셀)이 UL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전력 소형 셀 배치 시나리오에서 발생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력 불균형은 조기 핸드오버 결정에 이용된다. 제1 기지국(예로서, 매크로 셀)은 특정 UE의 업링크 신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도록 제2 기지국(예로서, 소형 셀)을 설정할 수 있다. 제1 기지국(예로서, 매크로 셀)은 제2 기지국(예로서, 소형 셀)에 의한 용이한 검출을 위해 소정의 사전 정의된 (예로서, 셀 고유, UE 고유 또는 시나리오 고유) 업링크 무선 자원(또는 사전 정의된 신호)을 사용하도록 해당 UE를 설정할 수도 있다. 부하 균형화의 목적을 위한 매크로 셀로부터 소형 셀로의 조기 핸드오버가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104)은 매크로 셀(즉, 셀(114))인 셀 1을 제공하고 있다. 제2 기지국(106)은 저전력 소형 셀(즉, 셀(116))인 셀 2를 제공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지국은 향상된 노드 B(eNB)일 수 있다. 다른 용어, 예로서 제1 기지국/셀 1, 마스터 eNB/셀, 주요 eNB/셀, 앵커 eNB/셀, MeNB도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형 eNB/셀은 제2 기지국/셀 2, 슬레이브 eNB/셀, 보조 eNB/셀, 지원 eNB/셀 또는 SeNB를 지칭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셀 1을 떠나지 않고서(즉, 셀 1에 대한 접속을 잃지 않고서) 셀 2에 대한 UE(102)의 임시 동기화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셀 2에서의 정상 동작이 방해되지 않는데, 이는 셀 2를 자신의 서빙 셀로서 이용하고 있을 수 있는 많은 다른 UE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셀 1 및 셀 2의 커버리지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된다. 제1 기지국은 아래의 정보에 기초하여 셀 2에서의 UL 측정의 설정을 트리거할 수 있다.
그룹 A: UE에 의해 검출된 트리거 이벤트: UE에 의해 수집된 RRM 측정, UE에 의해 검출된 RF 지문, 또는 예를 들어 GNSS 기술에 의해 수행된 위치 결정.
그룹 B: 제1 기지국에 의해 검출된 트리거 이벤트: UE에 의해 보고된 RRM 측정, UE에 의해 보고된 RF 지문, 또는 UE 지원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는 네트워크 기반 포지셔닝 동작.
이상적으로, 타이밍 진행 세팅(timing advance settings)이 조정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절차와 관련된 양 기지국까지의 물리적 거리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위치 BUL에 가까울 때 대략 동일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기지국은 셀 2에서의 UE의 UL 신호(들)(그의 반복 패턴)를 검출할 만큼 충분히 큰 검출 윈도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전통적인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동작을 나타낸다. 도 3은 RRC_CONNECTED 상태에서의 UE의 전통적인 동작을 나타낸다. UE(102)는 셀 1(114)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즉, UE(102)는 그의 서빙 기지국에 의해(즉, 제1 기지국에 의해) 설정되는 바와 같이 RRM 측정을 수행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동작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예로서, 아마도 UE로부터 수신된 보고에 기초하여 제1 기지국에 의해 검출되는) 이중 접속 UL 측정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할 때, 제1 기지국은 아래의 절차 단계 중 하나 이상을 개시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파트 1: 매크로 기지국은 특정 UE의 업링크 신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도록 소형 셀 기지국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기지국(eNB1)과 제2 기지국(eNB2) 사이의 X2 시그널링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리고 도 4의 "셀 2 측정 설정"(422)에서 지시되는 바와 같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NB1은 셀 2에서의 임시 UL 측정 기회에 대해 그리고 셀 2 내의 주어진 UE에 대한 UL 측정 기회가 시간상 제한된다는 것을 eNB2에 알릴 수 있다. eNB1은 업링크 신호(들)의 어떤 카테고리(예로서, 셀 고유, UE 고유, 시나리오 고유 또는 클러스터 고유)를 모니터링할지에 대해 eNB2를 설정할 수 있다.
클러스터 고유 업링크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경우, 하나의 클러스터는 하나의 소형 셀 또는 서로 근접 위치하는 여러 소형 셀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크로 eNB는 (클러스터 내의 다수의 셀에 대해 공통인 SRS 설정과 같은) 특정 업링크 무선 자원을 모니터링하도록 소형 셀 eNB의 클러스터에 통지할 수 있다.
eNB1은 예를 들어 UL 기준 신호를 유포하거나 RACH 시도를 행하기 위해 UE가 얼마나 오랫동안 셀 2 내에 "나타나는지"를 eNB2에 알릴 수 있다. eNB1은 특정 UE로부터 업링크 기준 신호를 검출하도록 eNB2에 지시할 수 있다. UL 기준 신호는 적어도 사운딩 기준 신호(SRS) 및 복조 기준 신호(DRS)를 포함할 수 있다. eNB1은 해당 UE의 식별에 대해 eNB2에 알릴 수 있다. eNB1은 셀 2에서의 측정 설정의 식별자에 대해서도 eNB2에 알릴 수 있다.
eNB1이 UE(102)로부터 UE가 셀 2를 검출하였다는 것을 알리는 측정 보고를 수신할 때(이것은 UE가 훨씬 더 일찍(예로서, UE가 셀을 검출하자마자) 보고하게 하는 새로운 이벤트 트리거이어야 함), eNB1은 관련 측정을 수행하도록 eNB2를 설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는 셀 2에서 RACH 액세스를 수행하려고 시도할 수 있다(이것은 UE가 아직 셀 2와 동기화되지 않은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셀 2에서 이것을 위한 특수한(예로서, 예약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이용하여 이러한 랜덤 액세스 프로세스의 특수한 특성에 대해 eNB2에 알리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은 이전에 eNB1로부터 수신되었을 수 있다. 그러한 특수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eNB2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eNB2는 랜덤 액세스 절차가 완료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셀 2에서의 UE의 UL 신호 강도의 측정만이 수집될 필요가 있다.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셀 2와 동기화되는 경우에 일부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고, eNB2가 복조 기준 신호를 평가하게 하도록 설정되거나, (일부 사운딩 기준 신호(SRS) 외에는) 어떤 것도 전송하지 않고, eNB2가 제한된 양의 시간 동안 이를 평가하게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4의 eNB2로부터 eNB1로의 보고("셀 2 측정 보고")는 다음 정보: eNB2에 의해 측정된 UE의 UL 수신 품질, UE의 식별, 전술한 바와 같은 측정 설정의 식별자, 타임스탬프, 물리 자원 ID(예로서, SRS)(이들의 조합)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L 수신 품질은 UL 기준 신호 수신 전력(UL RSRP)을 지칭하지만, 실시예의 범위는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eNB1은 UE(102)를 셀 1에서의 그의 측정 및 보고 의무로부터 임시로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NB1은 이웃 셀 2에서 UL 측정을 수행하는 목적을 위해 셀 1에서 임시 "접속 갭"을 정의할 수 있다. (예로서, UE가 셀 1에서의 그의 측정 및 보고 의무로부터 임시 해제되는 시간 간격이 기존 갭에 맞는 경우) 셀 1에서 이를 위해 기존 측정 갭이 재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이러한 특정 목적에 맞춤화된 새로운 측정 갭이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셀 1에서의 이러한 특수의 타입의 갭의 활성화를 위해, UE의 UL 신호(들)의 설정에 따라, 여러 옵션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UE(102)는 단지 하나의 짧은 UL 전송 또는 UL 신호의 주기적 패턴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갭(들)(예로서, 6 ms보다 짧은 기간을 갖지만, UE가 SRS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경우, 6 ms 사이클 전부가 필요하지는 않을 수 않음)이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자율 갭이 (그러나 UL 목적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파트 2: 잠재적 타겟 셀에서의 업링크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UE에서 특수 업링크 신호가 설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NB1과 UE(102) 사이의 시그널링은 향상될 수 있고, 도 4에 "UE 측정 설정"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NB1은 "eNB2에 대한 동기화" 명령을 UE로 전송할 수 있다. 이것은 RRM 측정 설정의 일부일 수 있거나, ("이중 접속 UL 측정 트리거 이벤트"가 검출될 때) 이벤트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UE가 eNB2가 검출된 것으로 보고하자마자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은 UE에 의해 사용될 업링크 신호(들)(그의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셀 고유, UE 고유, 시나리오 고유 또는 클러스터 고유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eNB2에 대한 동기화 명령은 예를 들어 UL 기준 신호를 유포하거나 RACH 시도를 수행하기 위해 셀 2 내에 UE가 얼마나 오래 "나타나는지"를 설명하는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명령은 UL 활동의 타입, 복조 기준 신호, 사운딩 기준 신호와 같은 UL 기준 신호 또는 RACH 시도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은 셀 2에서 사용될 사전 정의된 UL 자원의 할당도 포함할 수 있다.
UE(102)가 이중 송수신기 능력을 갖는 경우, 양 eNB에 대한 병렬 접속이 유지될 수 있지만, UE가 단일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경우, eNB2에 대한 임시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UE가 eNB1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3에서, 이동하는 UE는 그의 서빙 셀과 동기화하여, 다운링크 신호를 측정하여 그의 서빙 셀에 보고할 수 있다. 도 4에서, '가능한' 타겟 셀(116)은 '외부' UE(다른 셀에 의해 서비스되는 UE)와 동기화되고, UE의 업링크 신호에 대해 측정을 수행하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빙 셀에 보고한다.
도 5-8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핸드오버 트리거 명령의 생성을 나타낸다. 최종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eNB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2의 측정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NB1은 셀 1에서 수집된 UE의 정상 RRM 측정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하여 eNB2의 UL 측정(UE가 이웃 셀 2를 임시 방문하는 동안 eNB2에 의해 수집된 UL 측정)에 기초하여 그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 엔티티의 일부가 eNB2 내에 존재하고 다른 부분이 eNB1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분산 접근법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합 유닛이 eNB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더 집중적인 접근법을 나타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의 2개의 "비교 유닛" 기능 엔티티 및/또는 2개의 "결정 유닛" 기능 엔티티가 결합될 수 있다. 도 5의 2개의 "결정 유닛" 기능 엔티티가 결합될 때, "통합 유닛"은 필요하지 않다. 결합된 "비교" 기능 엔티티 또는 결합된 "결정" 기능 엔티티를 eNB2 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X2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시지 교환을 제한하기 위해, 결합된 기능 엔티티 양자를 (즉, "비교" 및 "결정"을 위해) eNB1 내에 배치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도 5 및 6에서, 무선 자원 측정(RRM) 보고가 셀 1 내의 UE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UL 측정 보고가 eNB2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도 5에서, 결정 유닛 번호 1은 제1 H0 트리거를 제공할 수 있고, 결정 유닛 번호 2는 제2 H0 트리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이한 eNB에 의해 취해진 측정이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서로 비교될 수 있다. 셀 1에서 UE에 의해 수집된 RRM 측정은 무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다. 예로서, UL 측정 보고 A는 eNB A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UL 측정 보고 B는 eNB B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다.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eNB로부터 경시적으로 취해질 수 있는 UL 측정이 핸드오버 결정을 수행하는 목적을 위해 서로 비교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 적절한 핸드오버 평가를 행하는 프로세스는 (도 7에 따라) 상이한 eNB에 의해 취해진 UL 측정을 (도 8에 따라) 경시적으로 취해진 UL 측정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UL 측정 보고 A는 제1 시간에 eNB A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UL 측정 보고 B는 제2 시간에 eNB A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기타 등등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eNodeB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상호접속된다. 더구나, eNodeB는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진화된 패킷 코어: Evolved Packet Core)에 접속된다. 3GPP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S1 인터페이스는 EPC와 eNodeB 사이의 다대다 관계를 지원하는데, 즉 이론적으로 상이한 운영자가 동일 eNodeB를 동시에 운영할 수 있다(이것은 "네트워크 공유"로도 알려져 있다). UE가 스위칭 온될 때, UE는 먼저 검출된 주파수 각각에 동기화하고, 그가 이들 중 임의의 주파수에 액세스하는 것이 허가되는지를 검사해야 한다(즉, 주어진 주파수가 그가 접속하기를 원하는 올바른 MNO로부터의 주파수인지를 검사해야 한다). 이를 위해, UE는 초기 동기화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UE가 주어진 주파수에 동기화되면, UE는 MIB(마스터 정보 블록: master information block)로 시작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의 시스템 정보 방송을 판독하여 이것이 올바른 PMLN인지를 검사한다. 유포된 PMLN-ID가 올바른 경우(그리고 일부 다른 기준이 충족되는 경우), UE는 SIB1 및 SIB2의 판독을 진행한다.
다음 단계는 네트워크가 소정 UE가 액세스를 획득하려고 시도하고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되는 랜덤 액세스 절차로서 알려져 있다. 이 스테이지에서, UE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그의 의도를 기반구조 측에 알리기 위한 어떠한 자원 또는 채널도 아직 할당받지 못했으며, 따라서 UE의 제1 요청은 공유 자원 상에서 전송된다.
UL 방향으로 요청을 또한 전송하는 많은 다른 UE가 동일 셀 내에 존재할 때, 요청 간의 충돌의 위험성이 존재한다. 그러한 랜덤 액세스 절차는 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로 지칭된다. 네트워크는 UE에게 소정의 고유 식별을 이용하여 그의 요청이 다른 UE로부터의 요청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통지할 수 있다. 제2 시나리오는 비경합 기반 랜덤 액세스 절차로서 지칭된다. UE는 랜덤 액세스 절차의 제1 메시지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 "RACH 프리앰블"로 지칭되는 특정 패턴 또는 시그니처를 전송할 수 있다. 프리앰블 값은 상이한 UE로부터 오는 요청의 구별을 돕는다. 2개의 UE가 (우연히) 동일한 RACH 프리앰블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충돌이 존재할 수 있다.
LTE에서, eNB는 종종 특정 UE에 대해 그리고 특정 시간에 전체 이용 가능 시스템 대역폭의 일부만을 할당한다. 따라서, 전체 대역폭 중 어느 섹션이 다른 영역에 비해 더 양호한 채널 품질을 갖는지를 아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 경우, 네트워크는 UE 각각에 대해 최상인 특정 주파수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사운딩 기준 신호(SRS)가 전체 이용 가능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되어, eNodeB가 주파수 영역의 각각의 서브섹션에 대한 업링크 경로의 채널 품질을 아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슬롯의 최종 심벌에서 UL 방향으로 UE에 의해 SRS가 전송된다. 두 가지 종류의 SRS: 셀 고유 SRS 및 UE 고유 SRS가 존재한다. SRS 전송의 반복 패턴은 네트워크 기반구조에 의해 세팅되는 설정에 의존하지만, UE는 이것을 최대 2 서브프레임마다 그리고 최소 32 프레임(320 서브프레임)마다 전송할 수 있다. 다른 UE에 의해 전송되는 SRS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UE는 홉핑 모드에서 상이한 홉핑 스케줄로 SRS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SRS 설정은 예를 들어 SIB-2, RRC 접속 셋업 메시지, RRC 접속 재설정 메시지와 같은 한 쌍의 RRC 메시지에 의해 UE로 통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102)는 개인 휴대 단말기(PDA), 무선 통신 능력을 갖는 랩탑 또는 휴대용 컴퓨터, 웹 태블릿, 무선 전화, 스마트폰, 무선 헤드셋, 페이저, 인스턴트 메시징 장치, 디지털 카메라, 액세스 포인트, 텔레비전, 의료 장치(예로서, 심박수 모니터, 혈압 모니터 등), 또는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 및/또는 송신할 수 있는 다른 장치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장치의 일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102)는 키보드, 디스플레이,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 다수의 안테나,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스피커 및 다른 이동 장치 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LCD 스크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UE(102) 및 eNB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다. 안테나는 예를 들어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패치 안테나, 루프 안테나,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 또는 RF 신호의 전송에 적합한 다른 타입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향성 또는 전방향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 이상의 안테나 대신에, 다수의 개구를 갖는 단일 안테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개구는 개별 안테나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실시예에서, 안테나는 발생할 수 있는 공간 다이버시티 및 상이한 채널 특성을 이용하도록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5-8은 여러 개별 기능 요소를 도시하지만, 기능 요소 중 하나 이상은 결합될 수 있으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를 포함하는 처리 요소와 같은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 요소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요소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DSP,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무선 주파수 집적 회로(RFIC), 및 적어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하드웨어 및 논리 회로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능 요소는 하나 이상의 처리 요소 상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를 지칭할 수 있다.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하나 또는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되는 명령어로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및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는 기계(예로서, 컴퓨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비일시적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광학 저장 매체, 플래시 메모리 장치, 및 다른 저장 장치 및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되는 명령어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요약서는 독자가 기술적 개시 내용의 특성 및 요지를 확인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요약서를 요구하는 37 C.F.R. 섹션 1.72(b)을 준수하도록 제공된다. 요약서는 이것이 청구항의 범위 또는 의미를 한정 또는 해석하는 데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이해하면서 제출된다. 따라서, 아래의 청구항은 상세한 설명에 통합되고, 각각의 청구항은 개별 실시예로서 그 자신에 의거한다.

Claims (20)

  1. 서빙 셀 기지국으로서 동작하는 eNB(enhanced node B)에 의해 수행되는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는 사전 정의된 업링크 채널 자원 내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됨 -와,
    상기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하도록 상기 UE에게 지시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 대한 상기 UE의 동기화 후에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로부터의 상기 신호 레벨 측정을 보고하도록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서 측정된 상기 UE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UE에서 측정된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및 서빙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UE에서 측정된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및 상기 서빙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더하여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서의 상기 UE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서빙 셀은 매크로 셀이고, 타겟 셀은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이고,
    상기 서빙 셀 및 상기 타겟 셀의 서비스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서빙 셀이 매크로 셀이고 타겟 셀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은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서빙 셀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이고 상기 타겟 셀이 매크로 셀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을 사용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UE로부터의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해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을 설정(configure)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이중(dual) 접속 업링크 측정 트리거 이벤트인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이중 접속을 위해 설정될 때, 상기 UE는 상기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될 경우에 상기 서빙 셀 기지국과의 동기화된 접속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는 상기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하기 위해 상기 타겟 셀 기지국과의 랜덤 액세스 채널(RACH)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이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업링크 신호로부터의 상기 신호 레벨 측정을 보고하도록 설정될 때 상기 서빙 셀 기지국에 대한 측정 및 보고 의무로부터 상기 UE를 임시로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서빙 셀 기지국으로서 동작하는 eNB(enhanced node B)로서,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설정하는 처리 회로-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는 사전 정의된 업링크 채널 자원 내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됨 -와,
    상기 UE로 하여금 상기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하게 하는 명령어를 생성하는 처리 회로와,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 대한 상기 UE의 동기화 후에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로부터의 상기 신호 레벨 측정을 보고하도록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을 설정하는 처리 회로와,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서 측정된 상기 UE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처리 회로와,
    상기 UE에서 측정된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및 서빙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처리 회로와,
    상기 UE에서 측정된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및 상기 서빙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더하여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서의 상기 UE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수행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eNB.
  12. 제11항에 있어서,
    서빙 셀은 매크로 셀이고, 타겟 셀은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이고,
    상기 서빙 셀 및 상기 타겟 셀의 서비스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복되는
    eNB.
  13. 제11항에 있어서,
    서빙 셀이 매크로 셀이고 타겟 셀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은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서빙 셀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이고 상기 타겟 셀이 매크로 셀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을 사용하지 않는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eNB.
  14. 제11항에 있어서,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UE로부터의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해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을 설정하는 처리 회로를 더 포함하는
    eNB.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이벤트는 이중 접속 업링크 측정 트리거 이벤트인
    eNB.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이중 접속을 위해 설정될 때, 상기 UE는 상기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될 경우에 상기 서빙 셀 기지국과의 동기화된 접속을 유지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eNB.
  19. 서빙 셀 기지국으로서 동작하는 eNB(enhanced node B)에서의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명령어를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동작들은,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타겟 셀 기지국에 의해 사용될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사용자 장비(UE)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는 사전 정의된 업링크 채널 자원 내에서 상기 UE에 의해 전송됨 -과,
    상기 타겟 셀 기지국과 동기화하도록 상기 UE에 지시하는 동작과,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 대한 상기 UE의 동기화 후에 상기 UE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사전 정의된 업링크 신호로부터의 상기 신호 레벨 측정을 보고하도록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을 설정하는 동작과,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서 측정된 상기 UE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UE에서 측정된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및 서빙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대한 표시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UE에서 측정된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 및 상기 서빙 셀 기지국의 다운링크 신호의 신호 레벨에 더하여 상기 타겟 셀 기지국에서의 상기 UE의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에 기초하여 핸드오버 결정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서빙 셀이 매크로 셀이고 타겟 셀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은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상기 동작들은,
    상기 서빙 셀이 피코 셀 또는 펨토 셀이고 상기 타겟 셀이 매크로 셀일 때, 상기 업링크 전송의 신호 레벨을 사용하지 않는 동작과,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동작과,
    상기 트리거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UE로부터의 상기 업링크 전송에 대해 신호 레벨 측정을 수행하도록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타겟 셀 기지국을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67013203A 2013-12-20 2014-12-04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조기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 및 방법 KR101783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37,176 US9913191B2 (en) 2013-12-20 2013-12-20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US14/137,176 2013-12-20
PCT/US2014/068639 WO2015094701A1 (en) 2013-12-20 2014-12-04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5606A KR20160075606A (ko) 2016-06-29
KR101783665B1 true KR101783665B1 (ko) 2017-10-10

Family

ID=5340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203A KR101783665B1 (ko) 2013-12-20 2014-12-04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조기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13191B2 (ko)
EP (1) EP3085157B1 (ko)
JP (1) JP2017504250A (ko)
KR (1) KR101783665B1 (ko)
CN (1) CN105745966B (ko)
ES (1) ES2687242T3 (ko)
HU (1) HUE039673T2 (ko)
WO (1) WO20150947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191B2 (en) 2013-12-20 2018-03-06 Intel I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1597A1 (en) 2012-08-24 2014-02-27 Oceus Networks Inc. Mobile cellular networks
WO2014031689A1 (en) 2012-08-24 2014-02-27 Oceus Networks Inc. Mobile cellular networks
WO2014179235A1 (en) 2013-04-29 2014-11-06 Oceus Networks Inc. Mobile cellular network backhaul
US9930626B2 (en) * 2014-05-09 2018-03-27 Futurewei Technologies, Inc. Device, network,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with dynamic adaptation
EP3062555B1 (en) * 2014-07-11 2019-07-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Cell handover method and base station
CN105874856B (zh) * 2014-12-05 2019-10-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tdd上下行不同配置的定位方法和装置
US10616865B2 (en) * 2015-08-14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report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RRM) measurements for a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band
US10349301B2 (en) * 2015-09-18 2019-07-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s and methods therein for enabling events triggered by a wireless device to be repor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681557B2 (en) * 2015-10-23 2020-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ell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0798627B2 (en) * 2016-02-09 2020-10-06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centric mobility (UECM) in radio resource control (RRC) dedicated mode
US10420154B2 (en) * 2016-02-10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Providing a system information block request and response
CN107155200B (zh) * 2016-03-03 2020-07-28 华为技术有限公司 应用于超级小区的通信方法和装置
CN107205246B (zh) 2016-03-18 2020-07-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超级小区间切换的方法和装置
US10873891B2 (en) 2016-07-06 2020-12-22 Oceus Networks, Llc Secure network rollover
US9924427B2 (en) 2016-07-07 2018-03-20 Oceus Networks Inc. Network backhaul access
US9686238B1 (en) 2016-07-07 2017-06-20 Oceus Networks Inc. Secure network enrollment
WO2018030872A1 (ko) * 2016-08-12 2018-02-15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빙 셀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U2724131C1 (ru) * 2016-11-04 2020-06-22 Гуандун Оппо Мобайл Теле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Корп., Лтд. Способ обмена информацией о формировании луча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EP3577948A4 (en) * 2017-01-31 2020-09-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INTERCELLULAR TRANSFER PROCEDUR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172078B2 (en) 2017-03-31 2019-01-01 Oceus Networks Inc. Targeted user equipment-base station communication link
US11096107B2 (en) 2017-04-11 2021-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triggered cell handover control
CN109391983B (zh) * 2017-08-10 2021-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测量间隔参数配置、测量参考信号的方法及设备
CA3082743A1 (en) * 2017-11-16 2019-05-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asurement gap configuration in dual connectivity
US11246031B2 (en) 2018-08-15 2022-02-08 Oceus Networks, Llc Disguising UE communications in a cellular network
US11991572B2 (en) 2018-10-05 2024-05-21 Mediatek Inc. User equipment (UE)-triggered handover with early preparation in mobile networks
US11632271B1 (en) 2022-02-24 2023-04-18 T-Mobile Usa, Inc. Location-based channel esti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307A1 (ja) * 2010-10-01 2012-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と方法並びに無線端末、無線局、及び運用管理サー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3081B1 (fi) * 1996-02-23 1999-04-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Kanavanvaihto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CN1157969C (zh) * 2002-12-13 2004-07-1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中的切换方法
KR20060032466A (ko) 2004-10-12 2006-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를 위한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
KR100975715B1 (ko) * 2005-06-27 2010-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결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
US20070258406A1 (en) 2006-05-02 2007-11-08 Alvarion Ltd. Method for hando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891489B2 (en) 2007-03-19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Handover mechanism that exploits uplink channel quality of a target cell
KR20100114345A (ko) 2009-04-15 2010-10-25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핸드오버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US9661545B2 (en) 2010-07-26 2017-05-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device to mitigate uplink interference in femtocell deployments
US8917700B2 (en) 2010-09-17 2014-12-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networks
US8902830B2 (en) * 2010-12-28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Energy-saving base station and method
CN102625388B (zh) * 2011-01-28 2014-09-03 华为技术有限公司 切换方法、基站和系统
KR101745639B1 (ko) 2011-04-01 2017-06-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핸드오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S2619641T3 (es) * 2011-06-21 2017-06-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s y aparatos para realizar mediciones en una red inalámbrica
KR20130029275A (ko) 2011-09-14 2013-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KR20130068252A (ko) 2011-12-15 2013-06-26 한국과학기술원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US9130688B2 (en) * 2012-05-11 2015-09-08 Intel Corpor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handover enhancement using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RSRQ)
US9332474B2 (en) * 2012-05-17 2016-05-0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ignaling support for multi sector deployment in cellular communications
EP3668181A1 (en) * 2012-08-02 2020-06-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ode and method for handing over a sub-set of bearers to enable multiple connectivity of a terminal towards several base stations
US9913191B2 (en) 2013-12-20 2018-03-06 Intel I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307A1 (ja) * 2010-10-01 2012-04-0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と方法並びに無線端末、無線局、及び運用管理サー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13191B2 (en) 2013-12-20 2018-03-06 Intel I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87242T3 (es) 2018-10-24
EP3085157B1 (en) 2018-07-11
WO2015094701A1 (en) 2015-06-25
KR20160075606A (ko) 2016-06-29
JP2017504250A (ja) 2017-02-02
EP3085157A4 (en) 2017-07-26
EP3085157A1 (en) 2016-10-26
HUE039673T2 (hu) 2019-01-28
US9913191B2 (en) 2018-03-06
US20150181492A1 (en) 2015-06-25
CN105745966B (zh) 2019-06-18
CN105745966A (zh)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665B1 (ko) 업링크 채널 특성을 이용하는 조기 핸드오버를 위한 기지국 및 방법
JP7310868B2 (ja) ユーザ機器、基地局及び方法
KR101819407B1 (ko) Lte 네트워크에서 근접성 서비스 및 d2d 발견을 위한 시그널링
CN106060769B (zh) 用于邻近服务的方法以及被配置用于邻近服务的用户设备中使用的装置
US8634868B2 (en) Uplink selection using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radiocommunication systems
EP317034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 equipment synchronization
JP2019220987A (ja) 無線端末及び無線局
US9913179B2 (en) Method and system to trigger UE handov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EP2814279A1 (en) Pci confusion detec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140256328A1 (en)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that facilitate handover decisions and related measurements
JP2016524372A (ja) デュアル・コネクティビティ
CN108353330A (zh) 来自不同无线电网络节点的波束之间的移动性过程
US1025771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and resource sharing
CN110291751A (zh) 用于在无线通信网络中关联载波的方法和装置
CN110100471A (zh) 无线电网络节点以及在其中执行的用于处理无线通信网络中的通信的方法
EP3552427B1 (en) A first network node, a second network node, and methods therein for handover
CN113412598B (zh) 干扰管理
EP3001732B1 (en) Cell discovery method and device
CN108293218B (zh) 信息传输方法、基站及通信系统
WO2021223055A1 (en) Self-adaption in wireless network
JP5893205B2 (ja) ポータブル・ロング・ターム・エボリューション・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間干渉に関わるセル間干渉検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