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252A -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252A
KR20130068252A KR1020110135231A KR20110135231A KR20130068252A KR 20130068252 A KR20130068252 A KR 20130068252A KR 1020110135231 A KR1020110135231 A KR 1020110135231A KR 20110135231 A KR20110135231 A KR 20110135231A KR 20130068252 A KR20130068252 A KR 2013006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handoff
wireless
signal strength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화
유충국
이상정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1013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252A/ko
Publication of KR2013006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2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6Reselection control by user or terminal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높으면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CONTEXT-AWARE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일어나는 핸드오프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 기술은 용도, 커버리지, 속도, 이동성, 코스트 등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왔지만, 최근에는 비교적 느리고 비싸지만 커버리지가 넓고 이동성이 확보되는 CDMA 또는 WCDMA 기반의 셀룰러 이동통신 기술과 비교적 빠르고 저렴하지만 커버리지가 좁고 이동성은 거의 없는 802.11 기반의 무선 랜 기술으로 압축되고 있다. 이동통신 기술과 무선 랜 기술이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기 때문에, 최근의 무선 전화 단말기는 무선 랜 기능을 포함하는 추세이다.
한편 저렴하게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또는 이동통신망의 트래픽을 분산시키기 위해, 개인이나 통신서비스 업자들이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AP)들을 많이 설치하면서 이동통신망 셀과 무선 랜 커버리지가 중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이동하는 중에 잦은 핸드오프와 접속 단절을 겪게 된다. 이동통신망에서 셀과 셀 사이에서는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럽게 핸드오프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사실상 무작위로 설치되는 무선 랜 AP들 사이에서, 또는 무선 랜 AP와 이동통신망 셀 사이에서는 부자연스럽고 갑작스런 접속 단절이나 속도 저하가 발생하며 사용자를 불편하게 만든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상황을 기초로 하여, 접속 가능한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 중 유리한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및 그러한 무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네트워크인지 또는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좁은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및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프의 결정 여부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정지 여부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정지 여부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핸드오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정의 휴지기가 경과한 다음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요청되면, 일시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 또는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 중 하나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여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가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다르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정의 휴지기가 경과한 다음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요청되면, 일시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며, 제2 네트워크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움직임 센서; 및
사용자의 이동 여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에서 선택된 네트워크가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다르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는,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며, 제2 네트워크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움직임 센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및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및 그러한 무선 단말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직접 접속할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지 않고도 무선 단말기에서 현재 상황에서 좀더 유리한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하여 핸드오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및 그러한 무선 단말기에 따르면, 특정 조건의 상황에서만 무선 네트워크를 핸드오프할 것인지 판정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오버헤드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 간의 상황 인지적 무선 네트워크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상황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 간의 상황 인지적 무선 네트워크 핸드오프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 간의 상황 인지적 무선 네트워크 핸드오프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종 통신망 간의 상황 인지적 무선 네트워크 핸드오프가 수행되는 상황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심 대상 지역의 대부분의 영역이 하나 이상의 기지국(10)에 의해 커버되어 이동통신망이 제공된다고 가정할 때에, 특정 장소에 무선 랜 AP(20)가 설치되어 그 무선 랜 커버리지(21)가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11) 내에서 전부 또는 일부 중첩되는 전파 환경이 예시되어 있다.
무선 단말기(30)는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무선 광역 통신망(Wireless WAN) 또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에 동시에 또는 상보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멀티 모드 단말기이다.
특히, 무선 단말기(30)는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이동통신망과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무선 랜에 각각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30)는 기지국(10)이 제공하는 이동통신 커버리지(11) 내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무선 랜 AP(20)의 커버리지(21) 내에서는 무선 랜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기(30)는 이종 네트워크의 경계에서 소스망(source network)에서 타겟망(target network)로 끊김없는 로밍(seamless roaming)이 가능하도록 이종망 사이의 계층간 핸드오프 기능을 채택하고 있다.
종래에 계층간 핸드오프가 일어나는 시점은 보통 소스망의 신호 세기보다 타겟망의 신호 세기가 더 크거나, 소스망의 신호 세기가 정해진 이탈 문턱값보다 낮거나, 타겟망의 신호 세기가 정해진 전환 문턱값보다 높을 때이다.
이 경우에, 무선 단말기(30)가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은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도 함께 계속해서 측정하여야 하고, 이종 네트워크의 경계에서는 두 네트워크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핸드오프되면서 사실상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핑퐁 현상이 초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나 서비스 품질과 무관하게 접속할 네트워크가 핸드오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는, 무선 단말기(30)를 들고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지점 A에서 지점 B로 이동하면서 겪을 수 있는 시나리오 1과 지점 B에서 지점 C로 이동하면서 겪을 수 있는 시나리오 2가 예시되어 있다.
시나리오 1은 무선 단말기(30)가 무선 랜에서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되는 경우를 예시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지점 A에 설치된 제1 무선 랜 AP(20a)가 제공하는 제1 무선 랜 커버리지(21a) 내에 머물러 있다가 천천히 이동을 시작해서 제1 무선 랜 커버리지(21a)를 경계 위치(A1)에서 벗어나는 상황을 예시한다.
시나리오 1에서, 일단 무선 단말기(30)는 현재 제1 무선 랜 AP(20a)에 접속한 상태이고, 사용자가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1 무선 랜 AP(20a)의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한다.
경계 위치(A1)에서 제1 무선 랜 AP(20a)의 신호 세기는, 만약 무선 단말기(30)가 외부에서 제1 무선 랜 커버리지(21a)로 들어올 경우라면 제1 무선 랜 AP(20a)으로 핸드오프를 시도할 전환 문턱값에 해당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무선 단말기가 경계 위치(A1)의 외각으로 넘어가더라도 제1 무선 랜 AP(20a)의 신호 세기가 전환 문턱값보다 낮은 이탈 문턱값에 이르기 전까지는 제1 무선 랜 AP(20a)에 계속 접속을 유지하기 때문에 무선 서비스의 품질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나아가, 무선 단말기가 제1 무선 랜 AP(20a)를 대신할 다른 무선 랜 AP를 탐색하고 새로 탐색된 무선 랜 AP에 접속하거나 탐색된 무선 랜 AP가 없으면 그제서야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한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우에는 무선 단말기(30)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감지 및 유지되고 또한 제1 무선 랜 AP(20a)의 신호 세기가 전환 문턱값보다 낮아지면,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한다. 이때, 무선 단말기(30)는 다른 무선 랜 AP를 탐색하지 않고 곧바로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할 수도 있다.
이어서, 무선 단말기(30)는 사용자가 계속 이동함에 따라 지점 B에 이를 때까지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지점 B에 이르기 전에 도중에 멈추더라도 해당 위치에서는 무선 랜 신호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통신망 이용은 지속된다.
추가적으로,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된 후에도 사용자의 이동 상태가 소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무선 단말기(30)는 무선 랜 모듈에 대해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나리오 2는 무선 단말기(30)가 이동통신망에서 무선 랜으로 핸드오프되는 경우를 예시하며,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지점 B에서 머물러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다가 움직이기 시작해서 지점 C에 설치된 제2 무선 랜 AP(20c)가 제공하는 제2 무선 랜 커버리지(21c)를 경계 위치(C1)에서 진입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시나리오 2에서, 일단 무선 단말기(30)는 현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는 상태이고 무선 랜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사용자가 이동하다가 정지하는 것을 감지하면 주변에 무선 랜 AP가 있는지 탐색하기 위해 무선 랜 모듈을 작동시켜 무선 랜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한다. 무선 단말기(30)는 사용자가 다시 움직이면 무선 랜 신호 세기의 모니터링을 중단할 수 있다.
무선 단말기(30)가 제2 무선 랜 커버리지(21c)에 진입하기 전까지는 무선 랜 신호 세기는 전환 문턱값에 미치지 못하므로, 사용자가 정지하여 무선 랜 신호 세기의 모니터링이 수행되더라도 무선 랜으로 핸드오프되지 않는다.
무선 단말기(30)가 제2 무선 랜 커버리지(21c)에 진입한 후에 지점 C에서 사용자가 정지하고 그 정지 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하면, 무선 랜 신호 세기의 모니터링에 의해 비로소 제2 무선 랜 AP(20c)가 탐색된다. 무선 단말기(30)은 사용자의 정지 및 전환 문턱값보다 큰 무선 랜 신호 세기라는 조건에 의해 제2 무선 랜 AP(20c)에 접속을 개시하며, 이동통신망에서 무선 랜으로 핸드오프한다.
무선 단말기(30)는, 만약 사용자가 충분한 시간 이상 정지하지 않고 계속 이동한다면, 무선 랜 AP를 탐색하거나 또는 접속하지 않는다. 이는 커버리지가 통상적으로 수십 미터에 불과한 무선 랜에 접속하더라도 해당 무선 랜을 이동 중에 충분히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실질적으로 몇 초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익이 적고, 짧은 이용 시간이 지나고 이동통신망으로 복귀하는 데에 소요되는 오버헤드(overhead)가 크기 때문이다.
실시예에 따라, 이동을 개시하였는지 또는 정지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거나 무선 랜 신호의 세기가 전환 문턱값보다 높아졌는지 또는 낮아졌는지 여부를 판정할 때에, 소정의 유예 시간을 둠으로써, 변화된 상태가 그러한 유예 시간 동안 유지될 때에만 해당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단계(S21)에서, 사용자가 무선 단말기(30)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인지 판단한다.
만약 그러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라면, 단계(S22)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으면 단계(S27)로 진행한다.
단계(S22)에서, 무선 단말기(30)는 이용 중인 네트워크가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과 같이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네트워크인지 또는 예를 들어 무선 랜과 같이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좁은 제2 네트워크인지 판정한다.
만약 단계(S22)에서 이용 중인 네트워크가 제1 네트워크이면 단계(S23)로 진행하고, 제2 네트워크이면 단계(S24))로 진행한다.
단계(S23)에서 무선 단말기(30)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단계(S25) 또는 단계(S26)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기(30)는 사용자가 정지한 상태이고 또한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소정의 전환 문턱값보다 높은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며, 단계(S25)로 진행한다.
단계(S25)에서는 무선 단말기(30)는 다른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반면에 단계(S23)에서 만약 사용자가 이동 중인 상태이고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소정의 전환 문턱값보다 낮다면, 단계(S26)로 진행한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23)에서 사용자가 이동 중인지 여부를 먼저 판정하고 만약 이동 중이라면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이동 중이라면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에 상관없이 제1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이 유지될 수 있다.
단계(S26)에서는, 무선 단말기(30)는 현재 네트워크의 접속을 유지한다.
한편 단계(S24)에서, 무선 단말기(30)는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와, 부가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에 따라 단계(S25) 또는 단계(S26)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기(30)는 만약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소정의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며, 단계(S25)로 진행한다.
반면에 만약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소정의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단계(S26)로 진행한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24)에서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소정 전환 문턱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먼저 판정하고, 만약 낮으면 사용자의 이동 상태를 모니터링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약하면 사용자의 이동 상태와 상관없이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수행해야 한다.
한편, 앞서 단계(S21)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지 않는 상태라면, 굳이 이러한 네트워크의 핸드오프를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이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요청하는 순간 무선 단말기는 이전에 형성된 네트워크 연결을 다시 재개하려고 하는데, 만약 무선 단말기가 앞서 접속되어 있던 무선 랜 AP를 탐색하지 못하면 다른 AP를 탐색하기 때문에 응답이 늦어질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계(S21)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소정의 휴지기 동안에 실행되고 있지 않다가, 단계(S27)에서 새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재개되었을 때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 중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하나를 결정할 동안에, 일시적으로 제1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현재 이용 중인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단계(S23) 또는 단계(S24)로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S23) 또는 단계(S24)에서 무선 단말기(30)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에 기초하여 유리한 네트워크를 결정할 수 있고, 만약 결정된 네트워크가 현재 네트워크와 다르면 결정된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은, 사용자가 이동통신망을 이용하면서 무선 랜 커버리지에 진입한 후에 무선 랜 커버리지 내에 머무르면 무선 랜으로 핸드오프하지만, 머무르지 않고 계속 이동하면 이동통신망 접속을 계속 유지하며, 반대로 사용자가 무선 랜을 이용하면서 이동하여 무선 랜 커버리지에서 벗어나거나 또는 정지해 있더라도 무선 랜의 신호 세기가 약해지면 곧바로 이동통신망으로 핸드오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처한 상황에 따라 좀더 능동적으로 핸드오프하거나 또는 현재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30)는 제1 네트워크 모듈(31), 제2 네트워크 모듈(32), 움직임 센서(33), 핸드오프 결정부(34), 제어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모듈(31)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망과 같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이고, 이에 비해 제2 네트워크 모듈(32)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예를 들어 IEEE 802.11 무선 랜과 같은 제2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특히 제2 네트워크 모듈(32)은 제2 네트워크 무선 신호의 세기를, 예를 들어 SSID 신호, RSSI 신호나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움직임 센서(33)는 무선 단말기(3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움직임 데이터를 생성하는 센서이다. 움직임 센서(33)는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GPS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핸드오프 결정부(34)는 움직임 센서(33)로부터 제공된 움직임 데이터에 따라 판정한 사용자의 이동 여부 및 제2 네트워크 모듈(32)로부터 제공된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도 2에서 예시적으로 설명한 절차에 따라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에서 유리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선택된 네트워크가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다르면 핸드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필요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모듈(31), 제2 네트워크 모듈(32), 움직임 센서(33)를 켜거나 끌 수 있고, 핸드오프 결정부(34)의 핸드오프 결정 결과에 따라 제1 네트워크 모듈(31) 또는 제2 네트워크 모듈(32)을 동작시켜 핸드오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와 균등하거나 또는 등가적인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기지국 11 이동통신망 커버리지
20 무선 랜 AP 21 무선 랜 커버리지
30 무선 단말기 31 제1 네트워크 모듈
32 제2 네트워크 모듈 33 움직임 센서
34 핸드오프 결정부 35 제어부

Claims (15)

  1. 무선 단말기가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넓은 제1 네트워크인지 또는 커버리지가 상대적으로 좁은 제2 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인지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및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프의 결정 여부에 따라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4.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정지 여부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지 여부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핸드오프로 결정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정되면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접속을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가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이동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정의 휴지기가 경과한 다음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요청되면, 일시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10. 무선 단말기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 또는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 중 하나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여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가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다르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지 중인 것으로 판정되고 또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높으면 상기 제2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단말기가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전환 문턱값보다 낮으면 상기 제1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소정의 휴지기가 경과한 다음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이 요청되면, 일시적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 방법.
  14.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며, 제2 네트워크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움직임 센서; 및
    사용자의 이동 여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또는 이들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네트워크 중에서 선택된 네트워크가 현재 접속된 네트워크와 다르면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부를 포함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
  15.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제1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는 제1 네트워크 모듈;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좁은 제2 네트워크에 접속을 제공하며, 제2 네트워크 무선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는 제2 네트워크 모듈;
    사용자의 이동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움직임 센서; 및
    상기 제1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이동 상태 및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의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에 기초하여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무선 신호 세기 및 사용자의 이동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로 핸드오프 여부를 결정하는 핸드오프 결정부를 포함하는 이종 무선 네트워크 간의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
KR1020110135231A 2011-12-15 2011-12-15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30068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31A KR20130068252A (ko) 2011-12-15 2011-12-15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231A KR20130068252A (ko) 2011-12-15 2011-12-15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252A true KR20130068252A (ko) 2013-06-26

Family

ID=4886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231A KR20130068252A (ko) 2011-12-15 2011-12-15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2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4701A1 (en) * 2013-12-20 2015-06-25 Intel I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KR20160077951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하는 lte 셀과 무선랜간 이종 캐리어 집적 방법 및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4701A1 (en) * 2013-12-20 2015-06-25 Intel I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US9913191B2 (en) 2013-12-20 2018-03-06 Intel I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arly handover using uplink channel characteristics
KR20160077951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이동 속도를 기반으로 하는 lte 셀과 무선랜간 이종 캐리어 집적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7683B2 (en) Target access point recommendation
US9980188B2 (en) User mobility control for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US8812050B1 (en) Handoff management in a multi-layer wireless network
WO2018201399A1 (en) Radio link monitoring and cell search techniques for high movement speeds
US201800920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fficient vertical handoff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74152B2 (en) Cell selection system, cell sel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JP5006436B2 (ja) セルラ・システムにおけるチャネル監視を改善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2001657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203452A1 (en) Mobile assisted disparate radio access technology interfacing
WO2007102479A1 (ja) 携帯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601883B1 (ko) 접속 모드 drx 동안 고급 plmn 탐색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40011498A1 (en) Mobil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4104265A (ja) 移動端末装置、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08148136A (ja) 無線通信端末
KR101105848B1 (ko) 센서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스캐닝 방법
JP7171657B2 (ja) 無線端末
EP3243309B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oint tcp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devices for use therein
EP3053382A1 (en) A method for controlling 3gpp-wlan interworking and devices for use therein
US11166215B2 (en) Elevator scenario detection and operation for wireless devices
KR20130068252A (ko) 이종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상황 인지적 핸드오프를 수행하는 무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47537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의 속도에 따른 탐색 주기 관리 기법
JP2014187499A (ja) 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US20240064645A1 (en) Intelligent power sav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7130797A (ja)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Nguyen et al. AProposal TO ENHANCE CELLULAR AND WIFI INTERWORKING TOWARD AReliable HET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