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465B1 -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 Google Patents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465B1
KR101783465B1 KR1020170024148A KR20170024148A KR101783465B1 KR 101783465 B1 KR101783465 B1 KR 101783465B1 KR 1020170024148 A KR1020170024148 A KR 1020170024148A KR 20170024148 A KR20170024148 A KR 20170024148A KR 101783465 B1 KR101783465 B1 KR 101783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eehive
rim
auxiliar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진
전정숙
Original Assignee
김광진
전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진, 전정숙 filed Critical 김광진
Priority to KR102017002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벌통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벽체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테두리 돌출부가 형성된 벌통 몸체; 상기 좌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 및 상기 전면 벽체 테두리 돌출부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전면 테두리 커버; 및 상기 좌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 및 상기 후면 벽체 테두리 돌출부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후면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및 후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에는 상기 좌측면 또는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보다 낮게 형성된 커버 결합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는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인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의 전면 커버의 상부 내측 및 상기 후면 테두리 커버의 후면 커버의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하강 형성되어 상기 커버 결합 단턱부와 맞물리는 계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의 외측면과 다수의 리브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 및 후면 테두리 커버의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의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의 측부가 상기 테두리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Beehive Comprising an Upper Edge Cover with Improved Engageability with Different Kind of Beehive}
본 발명은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갖는 벌통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벌통은 목재를 이용하여 만들곤 하였으나, 목재는 보온이나 단열 측면에서 취약하여 겨울나기에 어려움이 있고, 무게가 무거워 이동과 관리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수분에 의한 부식 등에도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소재의 벌통 개발이 이어졌고, 그 중 하나가 발포성 수지, 즉 발포 스티로폼,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스티렌 등의 소재를 이용한 발포성 수지 기반의 벌통이다.
이러한 발포성 수지로 만들어진 벌통은, 보온과 단열 측면에서 우수하고, 소재의 복원성이 뛰어나 외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내유성, 내약품성이 좋고 방청, 부식에도 강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벌통의 무게가 가벼워져 벌통의 운반과 관리가 한층 용이한 점 또한 장점이라고 할 것이다.
다만, 이러한 발포성 수지로 만들어진 벌통의 우수한 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목재로 만들어진 벌통 또한 널리 쓰이고 있으며, 벌통이 2층으로 쌓는 계상, 3층으로 쌓는 삼상 등의 적층 형태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발포성 수지 벌통과 목재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 또한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벌통의 단상과 계상의 통상적인 결합 구조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85239호의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결합 호환성과 관련하여, 우선 벌통의 두께를 살펴보면, 발포성 수지로 만들어진 벌통의 벽체 두께는 성형성 및 생산성과 완성된 벌통의 강도 등을 감안하여 통상적으로 27-45㎜ 정도로 비교적 두껍게 형성되는 반면(얇은 곳은 27㎜ 정도이고, 제일 두꺼운 곳은 45㎜에 이름), 목재 벌통의 벽체 두께는 16-18㎜ 정도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벽체 두께의 차이 때문에 단상과 계상, 계상과 삼상, 또는 계상과 뚜껑 사이의 결합부 호환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85239호(2005.05.25.) “통풍이 강화된 벌통”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벌통의 소재에 상관없이 적층 호환성이 보장되는 벌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스티로폼 등의 발포성 수지로 만들어진 벌통이 목재 벌통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벌통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은,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벽체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테두리 돌출부가 형성된 벌통 몸체; 상기 좌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 및 상기 전면 벽체 테두리 돌출부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전면 테두리 커버; 및 상기 좌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 및 상기 후면 벽체 테두리 돌출부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후면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및 후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에는 상기 좌측면 또는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보다 낮게 형성된 커버 결합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는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인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의 전면 커버의 상부 내측 및 상기 후면 테두리 커버의 후면 커버의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하강 형성되어 상기 커버 결합 단턱부와 맞물리는 계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의 외측면과 다수의 테두리 커버 리브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 및 후면 테두리 커버의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의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의 측부가 상기 테두리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의 외측 저면 중 일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날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구성된 날개안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은, 상기 후면 벽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꿀벌이 출입하는 보조 소문이 조립될 수 있는 보조 소문 개구부; 상기 후면 벽체 외측에서 상기 보조 소문 개구부에 결합되며, 꿀벌의 출입은 가능하되 말벌의 출입은 불가능한 크기의 다수의 통공부를 구비한 보조 소문틀; 상기 후면 벽체 내측에서 상기 보조 소문 개구부에 결합되는 보조 소문 마감부재; 상기 보조 소문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는 통과하되 꿀벌은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보조 환기망; 상기 보조 소문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소문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판; 및 상기 보조 소문틀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환기망 또는 마개판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상기 보조 소문틀에 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 소문틀이 상기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처마결합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판에는 상기 마개판이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처마결합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소문의 처마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결합관통공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은, 상기 벌통 몸체 상측에 결합되는 벌통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벌통 뚜껑은, 하측 내면의 좌우방향 중심부로부터 좌우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을 좌우측 단부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내면 굴곡부; 상기 내면 굴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면 굴곡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좌우측 및 전후측 단부측으로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내면 굴곡부의 좌우방향 중심부에 대응하는 상면의 좌우방향 중심부에서 전후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면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내면 굴곡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가로 리브; 상기 내면 굴곡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가로 리브와 교차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세로 리브; 상기 다수의 가로 리브 및 다수의 세로 리브가 상호 교차되어 형성된 다수의 격자로 이루어지는 중앙 격자 리브; 상기 중앙 격자 리브의 외측 모서리와 그에 인접한 상기 내면 굴곡부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4개의 대각선 리브; 및 상기 중앙 격자 리브의 외측 변과 그에 인접한 상기 내면 굴곡부의 내측 변을 연결하는 4개의 중앙선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벌통 뚜껑은, 하측 테두리를 따라서 하측 저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 테두리 돌출부; 및 상기 하부 테두리 돌출부에 끼워져 상기 내면 굴곡부 및 보강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 및 후면 테두리 커버에 그 외측에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벌통 뚜껑이 상기 벌통 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하부 테두리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에 의하면, 발포성 수지로 만들어진 벌통이 동일한 수지 벌통과의 결합성이 유지되는 동시에 목재 벌통과도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결합 호환성을 확보하면서도 상부 테두리 커버의 강성이 유지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벌통의 상부 테두리 커버가 상부 테두리 돌출부에 보다 강하게 결합되는 한편, 상부 테두리 커버가 벌들이 배출한 밀납에 의해 벌통 몸체에 고착화된 때에도 이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측면도로서, 이동망의 개방한 상태(A)와 폐쇄한 상태(B)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호스 터널과 나사식 마개 및 너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파단사시도(A) 및 부분파단단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수액급수장치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보조 환기망과 마개판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보조 환기망만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마개판이 처마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후면을 저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목재 벌통 계상과 종래 발포 수지제 벌통 단상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로서, 상부 테두리 커버 일측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상부 테두리 커버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상부 테두리 커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A)와 그 A-A’단면도(B)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상부 테두리 돌출부와 상부 테두리 커버의 단면도로서, 결합 상태(A)와 분리 상태(B)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뚜껑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뚜껑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뚜껑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측면도로서, 이동망의 개방한 상태(A)와 폐쇄한 상태(B)를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호스 터널과 나사식 마개 및 너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부분파단사시도(A) 및 부분파단단면도(B)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에 수액급수장치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단상 벌통 몸체(100)는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고,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벽체(110, 120, 130, 140)와 바닥부(150)로 이루어지며, 바닥부(150)의 네 모서리에는 각각 다리(160)가 구비된다.
단상 벌통 몸체(100)의 상단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테두리 돌출부(170)가 형성되고, 테두리 돌출부(170)에는 테두리 돌출부(170)의 상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상부 테두리 커버(500)가 결합된다. 계상 벌통 몸체(7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 테두리 돌출부(710)에는 하부 테두리 커버(720)가 결합되고, 이 하부 테두리 커버(720)가 상기 상부 테두리 커버(500)와 결합됨으로써 단상 벌통 몸체(100)와 계상 벌통 몸체(700)를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테두리 커버(500, 720)는 발포성 수지로 만들어진 벌통의 단상과 계상 몸체를 결합하거나 분해할 때 벌통 몸체, 특히 테두리 돌출부(17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상 벌통 몸체(100)의 전면 하부, 즉 도 1에서 이동망(220)과 처마부재(230)가 결합된 부분의 하부에는 벌들이 벌통에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인 소문(210)이 조립될 수 있는 소문 개구부(180)가 구비된다.
또한, 단상 벌통 몸체(100)의 전면 상부에는 양측으로 원통형 개구부(180)가 각각 구비된다. 원통형 개구부(180)는 후술하는 수액급수장치(600)의 급수호스(610)가 연결되어 수액급수장치(600) 내의 수액을 벌통 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610)의 연결과 해제에 따른 벌통 몸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통형 개구부(180)에 후술하는 호스 터널(245)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단상 벌통 몸체(100)의 상기 소문(210) 하부에 이동망(2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동망(220)은 그 하단부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소문(210)에 결합된다. 더욱이, 상기 이동망(220)은 상기 소문(2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망(220)은 꿀벌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 다수의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망(220)이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단상 벌통 몸체(100)의 전면 벽체(110)에 밀착되면(도 3(A) 참조), 이동망(220)을 통하여 공기는 통과되지만 꿀벌은 통과하지 못하므로, 이동망(220)은 환기창으로 사용되게 된다.
즉, 이동망(220)이 상측으로 회전되어 폐쇄되면, 소문(210)을 개방하더라도 벌들은 이동망(220)에 갇혀서 벌통 외부로 탈출하지는 못하게 되지만,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어 환기창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벌통의 이동을 위해 소문(210) 자체를 폐쇄하게 되면 주위 온도에 따라서는 벌통 내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게 될 염려가 있는데, 이동망(220)에 의해 원활한 환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벌통 내부에는 여유 공간이 많지 않아 벌통을 차량에 적재하여 장시간 이동시에 벌들이 스트레스를 받아 벌의 손실이 발생하는 일이 잦은데, 이동망(220)에 의해 벌들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장하여줌으로써, 벌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벌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반면, 이동망(220)이 하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단상 벌통 몸체(100)의 전방 지면에 내려지면(도 3(B) 참조), 상기 소문(210)을 이용하여 출입하는 꿀벌들이 이륙 또는 착륙을 위해 사용하는 착륙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망(220)을 착륙판으로 사용하는 것은 고정 양봉시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벌통의 이동시에는 이처럼 이동망(220)을 내려놓게 되면 벌의 이탈을 막기 위하여 소문(210)을 폐쇄하여야 하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벌통 내의 온도 상승을 가져온다. 또한, 이동망(220)을 내려놓게 되면 차량에 벌통을 적재할 때 이동망(220)의 면적만큼 더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차량에 벌통을 적재할 때 벌통끼리 밀착되도록 적재하지 못하므로 벌통이 흔들리거나 부딪혀 파손될 위험이 있고, 벌통이 차량에서 추락할 수도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단상 벌통 몸체(100)의 전면 벽체(110)에 구비된 상기 원통형 개구부(19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호스 터널(245)이 삽입될 수 있다. 호스 터널(245)은 양단부에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식 호스 터널(245)로 형성될 수 있다. 호스 터널(245)의 외측 나사산 부근에는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구비되고, 벌통의 전면 벽체(110)에서 호스 터널(245)이 삽입되는 원통형 개구부(190)의 외측 부분에는 상기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안착될 수 있는 호스 터널 안착부(249)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호스 터널 착좌부(247)는 사각형 형상의 겹와셔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호스 터널 안착부(249)는 상기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사각형 형상의 함몰부로 형성된다. 호스 터널 안착부(249)에 안착된 호스 터널 착좌부(247)에 의해 호스 터널(245)은 원통형 개구부(190) 내부로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적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호스 터널 착좌부(247)는 호스 터널(245)에 분리 불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호스 터널 착좌부(247)는 호스 터널(245)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또는 회전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호스 터널(245)에 회전불가능 및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호스 터널 안착부(249)에 삽입되는 것만으로 호스 터널(245)이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추후 후술하는 너트(250)나 나사식 마개(240)를 호스 터널(245)에 결합할 때 별도로 호스 터널(245)을 고정시킬 필요가 없다는 이점이 있다.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호스 터널(245)에 회전가능 및 분리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호스 터널(245)에 정확한 각도로 결합되지 않은 때에도 호스 터널(245)을 원통형 개구부(190)에 삽입할 때에 이를 조절가능하며, 따라서 상기 결합각도 불량으로 인한 벌통 전면 벽체(110)의 손상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스 터널 착좌부(247)의 내측에 마치 너트의 내부처럼 암나사를 형성하면, 호스 터널 착좌부(247)가 호스 터널(245)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도 호스 터널(245)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호스 터널(245)의 내측 단부에는 너트(250)가 나사결합되어 호스 터널(245)이 벌통 전면 벽체(110)의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호스 터널(245)은 후술하는 수액급수장치(600)의 급수호스(610)가 연결되어 수액급수장치(600) 내의 수액을 벌통 내로 공급할 때에는 개방되어 있지만, 수액공급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호스 터널(245)을 통한 벌들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호스 터널(245)에는 외측으로부터 핀 마개(243)가 삽입된다. 핀 마개(243)는 호스 터널(245)의 내경과 유사한 외경을 갖는 대략 원통형의 부재로서, 벌통 외측으로부터 호스 터널(245)에 삽입된 후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핀 마개(243)는 또한 호스 터널(245)의 내측에 유격없이 견고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 둘레면의 일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호스 터널(245)에 핀 마개(243)를 삽입하여 호스 터널(245)을 폐쇄한 후에는, 나사식 마개(240)를 호스 터널(245)의 외측 나사산에 나사결합함으로써 핀 마개(243)가 외부 충격 등의 이유로 호스 터널(245)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핀 마개(243)의 상기 플랜지부는 나사식 마개(24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결합 및 분리의 편의를 위하여 나사식 마개(240)에는 (-)자 또는 (+)자 형상의 드라이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식 마개(24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망(220) 및/또는 처마부재(230)를 벌통의 전면 벽체(110)에 고정시키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망(220)의 상단 양측에는 관통홀(225)이 구비된 이동망 고정결합부(22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망 고정결합부(223)는 상기 이동망(220)이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면 벽체(110)에 밀착된 때에 상기 관통홀(225)이 상기 원통형 개구부(19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망(220)이 상측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면 벽체(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식 마개(240)를 호스 터널(245)의 외측 나사산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이동망(220)이 상기 전면 벽체(110)에 고정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홀(225)은 상기 호스 터널(245)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나사식 마개(240)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처럼 이동망(220)이 고정된 상태에서 벌통을 이동시키거나 차량으로 운반하게 되면 운반중에 벌통에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더라도 이동망(22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벌들이 뜻하지 않게 유실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은 그 전면 벽체(110)에서 소문(210)의 위쪽에 결합되는 처마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마부재(230)는 전면 벽체(110)로부터 외측으로, 즉 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소문(210)에 햇빛이나 빗물이 닿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처마부재(230)는 상기 전면 벽체(11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235)이 구비된 처마 고정결합부(233)를 포함한다. 처마 고정결합부(233)는 상기 처마부재(230)에서 상기 전면 벽체(110)에 결합되는 쪽 단부 양측에 구비되고, 처마부재(230)가 전면 벽체(110)에 결합된 때에 상기 원통형 개구부(190)에 일치하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처마부재(230)는, 단독으로 또는 상기 이동망(220)과 함께, 상기 나사식 마개(240) 및 호스 터널(245)에 의하여 상기 전면 벽체(11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처마부재(23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결합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관통홀(235)은, 이동망 고정결합부(223)의 관통홀(225)과 마찬가지로, 상기 호스 터널(245)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나사식 마개(240)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통형 개구부(190)에는 도 5에 도시된 수액급수장치(600)가 연결될 수 있다. 수액급수장치(600)는 화밀이 없는 무밀기에 벌의 식량으로서 설탕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액급수장치(600)의 급수 호스(610)를 단상 벌통 몸체(100)의 원통형 개구부(190)에 구비된 호스 터널(245)을 통하여 단상 벌통 몸체(100)의 내부와 연결함으로써 벌통 내부에 설탕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단상 벌통 몸체(100) 외에 계상 벌통 몸체(700)와 뚜껑(800)이 함께 도시되어 있다. 뚜껑(800)의 좌우 양측면에는 뚜껑 환기구(810)가 형성되고, 뚜껑 환기구(810)에는 공기는 통과하되 벌들은 출입할 수 없도록 구성된 뚜껑 환기망(813)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은 후면 벽체(120)에 보조 소문(30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보조 환기망과 마개판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보조 환기망만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8은 마개판이 처마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후면을 저면측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보조 소문(300)은 보조 소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후면 벽체(120)에 형성된 보조 소문 개구부(185)에 결합 또는 설치된다.
보조 소문(300)은 보조 소문틀(310), 보조 소문 마감부재(320), 보조 환기망(330), 마개판(34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조 소문틀(310)은 상기 후면 벽체(120)의 외측에서 상기 보조 소문 개구부(185)에 결합되며, 꿀벌의 출입은 가능하되 말벌의 출입은 불가능한 크기의 다수의 통공부(313)를 구비한다. 꿀벌의 출입은 가능하되 말벌의 출입은 불가능한 통공부(313)의 크기는 대략 높이 8㎜ 정도가 될 것이다.
보조 소문 마감부재(320)는 상기 후면 벽체(120)의 내측에서 상기 보조 소문 개구부(185)에 결합되어, 보조 소문 개구부(185)의 내측을 마감한다. 이러한 보조 소문 마감부재(32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벌들이 보조 소문 개구부(185)에 침투하여 발포성 수지로 만들어진 벌통을 갉아서 외벽까지 천공시키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발포성 수지와 달리 내구성이 강한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보조 소문틀(310)과 보조 소문 마감부재(320)에 의해 보조 소문 개구부(185)를 마감함으로써 보조 소문 개구부(18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전면 벽체(110)의 원통형 개구부(190)를 나사식 마개(240)와 너트(250)로 폐쇄하는 것도 벌들이 원통형 개구부(190)에 침투하여 벌통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도 9는 보조 소문 마감부재(320)가 보다 명확히 도시될 수 있도록 아래쪽이 개방된 계상 벌통 형태의 벌통의 저면측에서 바라본 보조 소문 마감부재(320)와 보조 소문 관련 구성들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단지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도 9는 단상 벌통에 구비된 보조 소문 마감부재(320)를 도시하고자 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보조 환기망(330)은 상기 보조 소문틀(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는 통과하되 꿀벌은 통과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조 환기망(330)은 다수의 가는 세로형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마개판(340) 또한 상기 보조 소문틀(3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마개판(340)은 보조 환기망(330)과 달리 상기 보조 소문(300)을 완전히 폐쇄하거나 개방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환기망(330)과 마개판(340)은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예를 들어 보조 환기망(330)을 보조 소문틀(3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마개판(340)은 절반만 보조 소문틀(310)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조 환기망(330)이 절반만 개방된 효과를 낼 수 있다. 이처럼 보조 환기망(330)과 마개판(340)을 동시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벌통의 환기는 필요하지만 환기 속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통의 전면 벽체(110)에 형성된 소문(210)과 후면 벽체(120)에 형성된 보조 소문(300)이 동시에 개방된 경우, 비록 다수의 소초광(또는 소비)에 의해 기류의 직접적인 통과 경로는 차단되어 있지만, 소초광 양측단의 빈 공간을 따라서 상당한 속도의 기류가 흐를 수 있고, 이는 벌들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소문(210)에 구비된 소문 마개판(도시되지 않음)과 함께 상기 보조 소문(300)에 구비된 마개판(340)을 활용하여 기류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보조 소문틀(310)의 좌우 양측에는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350)이 구비된다.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350)은 상기 보조 환기망(330) 또는 마개판(34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상기 보조 소문틀(310)에 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350)은 보조 환기망(330) 또는 마개판(340) 중 하나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보조 환기망(330)과 마개판(340)이 동시에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350)은 보조 소문틀(310)의 좌우 양측 외에 중앙측에도 1-2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보조 소문틀(310)에 보조 환기망(330) 또는 마개판(340)을 장착시 가운데 부분이 틈새가 벌어져서 벌들이 이탈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비롯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350)이 보조 소문틀(310)의 좌우 양측 2개소와 중앙측 2개소 등 총 4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 소문틀(310)에는 상기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350)의 상단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처마결합 돌출부(3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처마결합 돌출부(360)에는 상기 마개판(340)이 결합되어 상기 보조 소문(300)의 처마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마개판(340)이 상기 처마결합 돌출부(360)에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마개판(340)에는 네 군데의 모서리 부근에 4개의 결합관통공(343)이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결합관통공(343) 대신 4개의 결합관통공(343)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마개판(340)은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처마결합 돌출부(360)에 결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조 환기망(330)과 마개판(340) 대신에, 또는 보조 환기망(330) 및 마개판(340)과 더불어, 상기 보조 소문틀(310)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보조 소문(300)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개폐판(41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판(410)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상기 보조 소문틀(3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소문틀(310) 상측에는 개폐판 수직결합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개폐판(410)이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두 쌍의 개폐판 수직결합부(42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410)은 꿀벌의 출입이 불가능한 환기망만을 구비한 제1형 개폐판, 꿀벌의 출입이 가능한 출입공과 환기망을 모두 구비한 제2형 개폐판, 또는 전체적으로 폐쇄되어 있는 제3형 개폐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소문틀(310) 하측에 상기 개폐판(410)을 수평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개폐판 수평결합부(430)를 더 구비함으로써, 수평으로 결합된 개폐판(410)이 착륙판으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개폐판 수평결합부(430) 역시 두 쌍이 구비된다.
개폐판(410)에는 개폐판 수직결합부(420) 또는 개폐판 수평결합부(430)를 통한 개폐판(410)의 수직 또는 수평 이동시에 작업자가 개폐판(410)을 잡기 위한 손잡이부(415)가 구비될 수 있다. 개폐판(410)을 개폐판 수평결합부(430)에 결합한 때에는 상기 손잡이부(415)가 하측을 향하도록 해야 벌들이 개폐판(410)에 안전하게 이착륙할 수 있다.
보조 환기망(330) 및 마개판(340)과 함께, 개폐판(410)과 개폐판 수평결합부(430)까지 구비하는 경우, 마개판(340)은 처마로 사용하고 개폐판(410)은 착륙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조 환기망(330)은 환기 역할과 함께 말벌의 출입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되므로, 규모만 다소 작을 뿐 보조 소문(300)도 소문으로서 온전하게 기능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 소문(300)을 활용하여 하나의 벌통에서 두 무리의 벌을 키우는 일상이군이 가능해진다.
다만, 이처럼 마개판(340)과 개폐판(410)을 각각 처마와 착륙판으로 사용하는 구성은 고정 양봉시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벌통 이동시에도 이러한 구성을 계속 사용하려 한다면 차량에 벌통을 적재할 때 벌통끼리 밀착되지 못하여 흔들리거나 서로 부딪혀 파손되기 쉽고, 적재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벌통 적재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벌통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에 의하면, 이동망(220)이 구비된 소문(210)에 의해 출입구와 환기창을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벌통의 이동시에는 벌들의 이탈을 차단하면서도 벌통 내부의 환기는 충분히 이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절한 환기를 위해 별도의 환기창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기보다는 이미 구비되어 있는 소문을 적극 활용하여 환기창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충분한 환기를 유지하면서도 벌통 내부에 외부의 냉기 또는 열기가 지나치게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조 환기망(330)과 마개판(340)을 구비한 보조 소문(30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출입구와 환기창 간에 용이하게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에 언급한 바와 동일한 이점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보조 소문(300)이 상기 이동망(220)이 구비된 소문(210)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이점이 배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벌통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의 상부 테두리 커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목재 벌통 계상과 종래 발포 수지제 벌통 단상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사시도로서, 상부 테두리 커버 일측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상부 테두리 커버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상부 테두리 커버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A)와 그 A-A’단면도(B)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상부 테두리 돌출부와 상부 테두리 커버의 단면도로서, 결합 상태(A)와 분리 상태(B)를 도시한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벌통 몸체는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벽체(110, 120, 130, 140)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테두리 돌출부(170)가 형성된다. 계상 벌통은 대략 위와 동일한 구성이 될 것이고, 단상 벌통의 경우에는 바닥부(150)와 상기 바닥부(150)에 결합된 다리(160)가 더 포함될 것이다.
상기 테두리 돌출부(170)에는 상부 테두리 커버(500)가 결합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 테두리 커버(500)는 계상 벌통 몸체(700)의 하단부에 결합된 하부 테두리 커버(720)와 맞물림으로써 단상 벌통 몸체(100)와 계상 벌통 몸체(700)를 상호 결합시키게 된다.
상부 테두리 커버(500)와 하부 테두리 커버(720)는 공차의 영향을 상쇄하여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조각으로 나뉘어져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상부 테두리 커버(500)는 단상 벌통 몸체(100)의 전면 벽체(110) 쪽 테두리 돌출부(170)에 끼워지는 전면 테두리 커버(510)와 후면 벽체(120) 쪽 테두리 돌출부(170)에 끼워지는 후면 테두리 커버(520)로 나뉜다.
전면 테두리 커버(510)는 다시 상기 좌측면 벽체(130)의 테두리 돌출부(170)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515)와 상기 우측면 벽체(140)의 테두리 돌출부(170)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517), 및 상기 전면 벽체(110) 테두리 돌출부(170)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513)로 이루어진다.
이와 유사하게, 후면 테두리 커버(520)는 다시 상기 좌측면 벽체(130)의 테두리 돌출부(170)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525)와 상기 우측면 벽체(140)의 테두리 돌출부(170)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527), 및 상기 후면 벽체(120) 테두리 돌출부(170)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523)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발포성 수지로 제작되는 벌통에 있어서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의 두께는, 전체적으로 대략 27㎜ 정도로 형성되고, 테두리 돌출부(170)가 형성되는 상부면 부근 등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은 최대 45㎜ 정도가 된다. 계상 벌통 몸체(700)의 경우는 단상 벌통 몸체(100)와의 결합호환성 때문에 벽체의 두께가 단상 벌통 몸체(100)보다 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테두리 돌출부(170)에 결합되는 상부 테두리 커버(500)는 통상적으로 폭이 27㎜ 정도의 것이 많이 사용된다.
이에 반하여, 목재 벌통은 통상 16-18㎜ 정도 두께의 판재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지고, 최대 20㎜ 두께의 판재까지 사용하는데, 벌통 내부에 설치되는 소초광의 사이즈가 사실상 표준화되어 있으므로, 소초광의 매수가 동일하다면, 목재 벌통이든 발포성 수지제 벌통이든 내부 사이즈는 대동소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목재 계상 벌통과 종래 발포수지제 단상 벌통의 결합 호환성을 따져보려면, 소초광(30)이 설치되는 벌통 내부의 벽체면을 계상 벌통과 단상 벌통 상호간에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이를 검토해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목재 계상 벌통(10)은 단상 벌통과 결합되는 결합부의 폭이 판재의 두께인 16-18㎜ 에 그치는 반면, 발포수지제 단상 벌통(20)의 결합부는 상부 테두리 커버(50)의 폭이 27㎜ 에 이르므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재 계상 벌통(10)과 종래 발포수지제 단상 벌통(20)의 결합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발포수지제 단상 벌통과 목재 계상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을 개선하려면, 상기 결합부의 폭 차이를 좁혀야 할 필요가 있고, 이는 곧 발포수지제 단상 벌통에서 상기 상부 테두리 커버(50)의 폭을 좁혀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한편, 통상적으로 목재 벌통은 소초광 10매 사이즈로 제작되고, 종래 발포수지제 벌통은 소초광 9매 사이즈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발포수지제 벌통과 목재 벌통간의 결합 호환성을 향상시키려면, 일단 벌통에 수용가능한 소초광의 매수가 목재 벌통과 동일하도록 발포수지제 벌통을 설계 및 제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내부 사이즈는 목재 벌통과 호환되는 소초광 10매용으로 제작된 것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부 테두리 커버(500)에서 좌측 커버(515, 525)와 우측 커버(517, 527)는 단순히 테두리 커버의 폭을 좁혀서 제작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좌측 커버(515, 525) 또는 우측 커버(517, 527)에 대응하는 벌통 몸체의 테두리 돌출부(170)의 폭 또한 좁혀서 제작해야 할 것이다.
이와 달리, 상부 테두리 커버(500)에서 전면 커버(513)와 후면 커버(523) 부분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초광(30)의 상부 양단 걸이부(35)가 놓여지는 계단부(530)가 있으므로, 조금 더 세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계단부(530)는 소초광의 상부 양단 걸이부가 놓여지는 곳인데, 소초광의 치수가 사실상 표준화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계단부(530)는 치수변경이 어렵고, 따라서 계단부 이외의 부분의 폭을 좁혀야만 할 것이다.
따라서 전면 커버(513) 및 후면 커버(523)에서는 상부면에서 외측면 쪽 부분의 폭을 줄여야 한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발포수지제 벌통에서 이 부분에는 테두리 돌출부(170)가 2단으로 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전면 커버(513) 및 후면 커버(523)의 상부면에서 외측면 쪽 부분의 폭을 줄이려면, 발포수지의 재료 특성을 감안할 때 위쪽 계단 부분을 삭제한 형상으로 테두리 돌출부(17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전면 커버(513) 및 후면 커버(523) 하측의 테두리 돌출부(170)는 상부가 절삭되어 좌측 또는 우측 커버(515, 517, 525, 527) 하측의 테두리 돌출부(170)에 비하여 높이가 낮게 형성된 형성이 될 것이다(도 11 참조).
달리 말하면, 상기 전면 및 후면 벽체(110, 120)의 테두리 돌출부(170)는 상기 좌측면 또는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보다 낮게 형성된 커버결합 단턱부(173)가 형성되고, 이때 커버결합 단턱부(173)의 높이는 사실상 표준화된 소초광의 형상 및 치수를 고려할 때 종래 발포수지제 벌통의 2단 계단 형상 중 1단 부분의 높이와 동일하다.
테두리 돌출부(170)가 위와 같이 전면 커버(513) 및 후면 커버(523)에 대응되는 부분에서 커버결합 단턱부(173)로 형성되는 경우, 전면 커버(513) 및 후면 커버(523)는, 종래의 발포수지제 벌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벌통 기준으로 외측의 상부면과 내측에서 하측으로 하강되어 형성된 계단부(530)로 이루어지게 되며, 다만, 종래 발포수지제 벌통에 비해 외측의 상부면의 폭이 많이 좁아지게 된다.
이처럼 외측 상부면의 폭이 좁아지게 되면, 종래 발포수지제 벌통의 전면 및 후면 커버(513, 523) 부분이 사실상 박스형 구조물이던 것이 거의 평판형 구조물로 바뀌게 되어 구조 강성이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비틀림에 취약하게 되어 상부 테두리 커버(500)의 조립이나 분해 과정에서 손상이나 파손이 생기기 쉬운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계단부(530)와 상기 전면 커버(513) 또는 후면 커버(523)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다수의 테두리 커버 리브(540)를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하고 있다(도 13 참조). 도 13에서(특히 도 13(B)에서) 테두리 커버 리브(540)는 시인성을 위하여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130, 140)의 테두리 돌출부(170)에서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인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도 14 참조). 이로써,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지 않은 종래 발포수지제 벌통에 비해, 상부 테두리 커버(500)를 테두리 돌출부(170)에 끼울 때 보다 쉽게 끼워지게 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테두리 돌출부(170)의 형상에 맞추어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510) 및 후면 테두리 커버(520)의 좌측 커버(515, 525)와 우측 커버(517, 527)의 상측 양 모서리 또한 둥근 곡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좌측 커버(515, 525)와 우측 커버(517, 527)의 형상이 이처럼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면, 사출성형 후 냉각 단계에서 좌측 커버(515, 525)와 우측 커버(517, 527)의 측부가 내측으로 살짝 휘게 되므로, 상기 좌측 커버(515, 525)와 우측 커버(517, 527)의 측부가 상기 테두리 돌출부(170)를 가압하게 되어 상부 테두리 커버(500)가 테두리 돌출부(170)로부터 잘 빠지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상기 상부 테두리 커버(500)는 상기 좌측 커버(515, 525) 및 우측 커버(517, 527)의 외측 저면 중 일부로부터 벌통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계상 벌통과 단상 벌통이 장시간 결합되어 있을 때 벌들이 밀납을 붙여 계상과 단상이 고착화되어 잘 분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철판 등의 얇은 도구를 이용해 지렛대 원리를 적용하여 계상을 단상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을 흔히 사용하는데, 이때 단상 벌통의 상부면이 파손되는 일이 잦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방법으로 고착화된 계상과 단상을 분리시킬 때에 벌통의 상부면이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강부재로서 날개부(550)를 구비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날개부(550)가 벌통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단상과 계상의 결합시에 틈새가 많이 뜨게 되어 보기에도 좋지 않고 결합 자체의 견고함도 다소 떨어지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130, 140)의 상부면에 상기 날개부(5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구성된 날개안착부(17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날개안착부(177)는 상기 날개부(55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130, 140)의 상부면에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뚜껑의 구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뚜껑의 내면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저면도이고, 도 16은 뚜껑의 상면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17은 뚜껑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벌통 뚜껑은 일정한 두께의 평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특히, 면적이 넓고 외부 하중이나 충격을 받기 쉬운 뚜껑의 상부면을 전체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평면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뚜껑의 전후좌우 측면에 의해 일부 하중이 지지될 수 있는 테두리 부근과 달리, 상부면 중앙부는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에 매우 취약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뚜껑(800)은, 하측에 위치한 뚜껑의 내면에 좌우방향 중심부로부터 좌우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내면 굴곡부(820)를 구비한다. 이때 좌우방향은 벌통 몸체(100)의 좌측면 벽체(130)에서 우측면 벽체(14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지칭한다. 한편, 벌통 몸체(100)의 전면 벽체(110)에서 후면 벽체(120)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은 전후방향으로 지칭될 것이다.
상기 내면 굴곡부(820)는 좌우방향 중심부로부터 좌우측 단부를 향하여 직선 형태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곡선 형태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면 굴곡부(820)는 좌우대칭의 아치(Arch) 형상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내면 굴곡부(820)가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하중 또는 충격에 의해 벌통 뚜껑(800)의 상면에 상측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진 경우, 압력이 상기 내면 굴곡부(820)를 따라서 뚜껑(800)의 좌우측 단부측으로 분산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내면 굴곡부(820)에는 상기 내면 굴곡부(8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외부에서 뚜껑 상면에 가해진 압력이 뚜껑(800)의 좌우측 및 전후측 단부쪽으로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부재(8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830)는 중앙 격자 리브(839)를 형성하는 다수의 가로 리브(835) 및 다수의 세로 리브(837)와, 대각선 리브(831) 및 중앙선 리브(8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가로 리브(835)는 상기 내면 굴곡부(820)의 중심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가로 리브(835)의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로 리브(835)는 3개가 구비되어 있다.
세로 리브(837)는 상기 내면 굴곡부(820)의 중심부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세로 리브(837)의 개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세로 리브(837)는 3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가로 리브(835) 및 다수의 세로 리브(837)는 상호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다수의 격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가로 리브(835) 및 다수의 세로 리브(837)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격자를 포함하는 뚜껑 보강 구조물을 중앙 격자 리브(839)라 지칭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격자 리브(839)는 4개의 격자를 포함하는 구조물이다.
상기 중앙 격자 리브(839)의 외측 모서리와 상기 외측 모서리에 인접한 상기 내면 굴곡부(820)의 내측 모서리를 연결하는 대각선 리브(831)가 각 모서리마다 구비되며,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대각선 리브(831)는 4개 구비된다.
대각선 리브(831)와 유사하게, 상기 중앙 격자 리브(839)의 외측 변의 가운데 부분과 상기 외측 변에 인접한 상기 내면 굴곡부(820)의 내측 변의 가운데 부분을 연결하는 중앙선 리브(833)가 각 변마다 구비되며,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선 리브(833)는 4개 구비된다.
상기 가로 리브(835) 및 세로 리브(837)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격자 리브(839)는 외부의 하중이나 충격에 의한 파손에 가장 취약한 벌통 뚜껑(800)의 중앙부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대각선 리브(831) 및 중앙선 리브(833)는 벌통 뚜껑(800)의 중앙부, 즉 중앙 격자 리브(839) 상측에 가해진 외부 하중이나 충격에 의한 압력을 벌통 뚜껑(800)의 전후좌우측 단부, 즉 사방 테두리쪽으로 전달하여 골고루 분산하는 역할을 하며, 이로써 뚜껑 상부면의 파손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벌통 뚜껑(800)에 내면 굴곡부(820)를 형성하고 보강 부재(830)를 구비하는 경우, 뚜껑(800)의 성형에 소요되는 발포성 수지의 양은 종래의 평면 구조 벌통 뚜껑과 동등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도 전체적인 구조강도는 훨씬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중앙 격자 리브(839) 등의 보강 부재(830)가 형성되지 않은 내면 굴곡부(820) 부분의 두께가 종래의 평면 구조 벌통 뚜껑의 상면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되더라도, 내면 굴곡부(820)와 보강 부재(830) 등의 구성에 의해 종래의 평면 구조 벌통 뚜껑보다 오히려 크게 향상된 구조강도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내면 굴곡부(820)의 좌우방향 중심부에 대응하는 위치인 상면의 좌우방향 중심부에서 소정 폭을 가지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면 돌출부(8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 돌출부(840)는 아치 형상 등 중심부로부터 좌우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내면 굴곡부(820)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벌통 뚜껑(800)의 상면이 내면 굴곡부(820)에도 불구하고 필요한 최소한의 두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내면 굴곡부(820), 보강 부재(830), 상면 돌출부(840) 등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뚜껑의 구조강도가 향상되는 원리는 돔 양식의 건축물이나 아치 모양의 교량 구조물의 구조설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830)는 벌통 뚜껑(800)과 동일한 발포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벌통 뚜껑(80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벌통 뚜껑(800)에 대해서도 목재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우선 벌통 뚜껑(800)의 내부 가로세로 사이즈를 목재 벌통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설정한다. 벌통 뚜껑(800)의 내부 사이즈는 목재 벌통에 직접 결합되는 하측 부분에 한해서만 목재 벌통의 사이즈에 대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벌통 뚜껑(800)을 목재 벌통 몸체에 결합했을 때에 상기 벌통 뚜껑(800)이 목재 벌통 몸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미관 측면이나 벌통 운반시 적재효율 측면에서 보다 유리하다.
다만, 벌통 뚜껑(800)이 목재 벌통 몸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려면, 벌통 뚜껑(800)의 전후좌우 측면의 두께를, 통상적으로 발포성수지제 벌통에 적용되는 최소 두께인 27㎜ 가 아니라, 목재 벌통에 사용되는 판재의 통상적인 두께인 16-18㎜ 정도로 얇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 경우 얇아진 두께로 인하여 벌통 뚜껑(800)의 측면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뚜껑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 테두리 커버(7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벌통 뚜껑(800)은 하측 테두리를 따라서 하측 저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 테두리 돌출부(71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 테두리 돌출부(710)에 하부 테두리 커버(720)가 결합된다.
상기 벌통 뚜껑(800)에 상기 하부 테두리 커버(720)가 구비되면, 상기 내면 굴곡부(820) 및 보강 부재(830)를 통해 전달되는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상기 하부 테두리 커버(720)로 전달되어 지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벌통 뚜껑(800)이 본 발명에 따른 발포수지제 벌통의 몸체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테두리 커버(720)는, 상기 상부 테두리 커버(500)를 형성하는 전면 테두리 커버(510) 및 후면 테두리 커버(520)에 그 외측에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로써 상기 벌통 뚜껑(800)이 상기 벌통 몸체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부 테두리 커버(720)는 벌통 뚜껑(800)뿐 아니라 계상 벌통 몸체(700)의 하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계상 벌통 몸체(700)의 하부에 상기 하부 테두리 커버(720)가 결합됨으로써 단상 목재 벌통과의 호환성 향상을 위해 하단부가 종래에 비해 얇게 형성된 계상 벌통 하부의 구조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출입구와 환기창을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벌통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오직 하기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하여지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단상 벌통 몸체 110 : 전면 벽체
120 : 후면 벽체 130 : 좌측면 벽체
140 : 우측면 벽체 150 : 바닥부
160 : 다리 170 : 테두리 돌출부
173 : 커버결합 단턱부 177 : 날개안착부
180 : 소문 개구부 185 : 보조 소문 개구부
190 : 원통형 개구부 210 : 소문
220 : 이동망 223 : 이동망 고정결합부
230 : 처마부재 233 : 처마 고정결합부
225, 235 : 관통홀(이동망 고정결합부, 처마 고정결합부)
240 : 나사식 마개 243 : 핀 마개
245 : 호스 터널 247 : 호스 터널 착좌부
249 : 호스 터널 안착부 250 : 너트
300 : 보조 소문 310 : 보조 소문틀
313 : 통공부(보조 소문틀) 320 : 보조 소문 마감 부재
330 : 보조 환기망 340 : 마개판
343 : 결합 관통공 350 :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
360 : 처마결합돌출부 410 : 개폐판
415 : 손잡이부 420 : 개폐판 수직결합부
430 : 개폐판 수평결합부 500 : 상부 테두리 커버
515, 525 : 좌측 커버 517, 527 : 우측 커버
513 : 전면 커버 523 : 후면 커버
510 : 전면 테두리 커버 520 : 후면 테두리 커버
530 : 계단부 540 : 테두리 커버 리브
550 : 날개부 600 : 수액급수장치
610 : 급수 호스 700 : 계상 벌통 몸체
710 : 하부 테두리 돌출부 720 : 하부 테두리 커버
800 : 벌통 뚜껑 810 : 뚜껑 환기구
813 : 뚜껑 환기망 820 : 내면 굴곡부
830 : 보강부재 831 : 대각선 리브
833 : 중앙선 리브 835 : 가로 리브
837 : 세로 리브 839 : 중앙 격자 리브
840 : 상면 돌출부

Claims (8)

  1. 발포성 수지로 형성되고, 적어도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벽체를 포함하며, 상단부에 그 둘레를 따라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테두리 돌출부가 형성된 벌통 몸체;
    상기 좌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 및 상기 전면 벽체 테두리 돌출부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전면 테두리 커버; 및
    상기 좌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좌측 커버와 상기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 일부에 결합되는 우측 커버, 및 상기 후면 벽체 테두리 돌출부에 결합되는 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후면 테두리 커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및 후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에는 상기 좌측면 또는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보다 낮게 형성된 커버 결합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의 테두리 돌출부는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인 종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의 전면 커버의 상부 내측 및 상기 후면 테두리 커버의 후면 커버의 상부 내측에는 하측으로 하강 형성되어 상기 커버 결합 단턱부와 맞물리는 계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계단부는 상기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의 외측면과 다수의 테두리 커버 리브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 및 후면 테두리 커버의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의 상측 양 모서리가 둥근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의 측부가 상기 테두리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좌측 커버 및 우측 커버의 외측 저면 중 일부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날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의 상부면에는 상기 날개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함몰되어 구성된 날개안착부가 구비되되, 상기 날개안착부는 상기 날개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측면 및 우측면 벽체의 상부면에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벌통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벽체의 하부에 구비되며 꿀벌이 출입하는 보조 소문이 조립될 수 있는 보조 소문 개구부;
    상기 후면 벽체 외측에서 상기 보조 소문 개구부에 결합되며, 꿀벌의 출입은 가능하되 말벌의 출입은 불가능한 크기의 다수의 통공부를 구비한 보조 소문틀;
    상기 후면 벽체 내측에서 상기 보조 소문 개구부에 결합되는 보조 소문 마감부재;
    상기 보조 소문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공기는 통과하되 꿀벌은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보조 환기망;
    상기 보조 소문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조 소문을 개폐할 수 있는 마개판; 및
    상기 보조 소문틀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 환기망 또는 마개판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슬라이드되어 상기 보조 소문틀에 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조 소문틀이 상기 소문 측방향 결합레일 상단에 상측으로 돌출된 처마결합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판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마개판이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처마결합 돌출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소문의 처마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4개의 결합관통공이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벌통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통 몸체 상측에 결합되는 벌통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벌통 뚜껑은,
    하측 내면의 좌우방향 중심부로부터 좌우측 단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을 좌우측 단부측으로 분산시키도록 구성된 내면 굴곡부;
    상기 내면 굴곡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면 굴곡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동시에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이 좌우측 및 전후측 단부측으로 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보강 부재; 및
    상기 내면 굴곡부의 좌우방향 중심부에 대응하는 상면의 좌우방향 중심부에서 전후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상면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내면 굴곡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가로 리브;
    상기 내면 굴곡부의 중심부에 구비되며,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가로 리브와 교차하도록 구성된 다수의 세로 리브;
    상기 다수의 가로 리브 및 다수의 세로 리브가 상호 교차되어 형성된 다수의 격자로 이루어지는 중앙 격자 리브;
    상기 중앙 격자 리브의 외측 모서리와 그에 인접한 상기 내면 굴곡부의 모서리를 연결하는 4개의 대각선 리브; 및
    상기 중앙 격자 리브의 외측 변과 그에 인접한 상기 내면 굴곡부의 내측 변을 연결하는 4개의 중앙선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벌통 뚜껑은,
    하측 테두리를 따라서 하측 저면으로부터 하방 돌출되어 형성된 하부 테두리 돌출부; 및
    상기 하부 테두리 돌출부에 끼워져 상기 내면 굴곡부 및 보강 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상측으로부터의 압력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전면 테두리 커버 및 후면 테두리 커버에 그 외측에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벌통 뚜껑이 상기 벌통 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하부 테두리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벌통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7. 삭제
  8. 삭제
KR1020170024148A 2017-02-23 2017-02-23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KR101783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48A KR101783465B1 (ko) 2017-02-23 2017-02-23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148A KR101783465B1 (ko) 2017-02-23 2017-02-23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465B1 true KR101783465B1 (ko) 2017-09-29

Family

ID=6003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148A KR101783465B1 (ko) 2017-02-23 2017-02-23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4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71A (ko) * 2018-04-24 2019-11-01 오승재 발포수지재 벌통
KR20200001970U (ko) 2019-02-28 2020-09-07 김광진 클립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338Y1 (ko) * 2003-09-30 2003-12-18 김남식 스티로폼재 황토벌통
KR100969198B1 (ko) * 2009-12-22 2010-07-09 (주)비센 보강수단이 구비된 발포수지재 벌통
KR101593181B1 (ko) * 2015-07-15 2016-02-18 김광진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338Y1 (ko) * 2003-09-30 2003-12-18 김남식 스티로폼재 황토벌통
KR100969198B1 (ko) * 2009-12-22 2010-07-09 (주)비센 보강수단이 구비된 발포수지재 벌통
KR101593181B1 (ko) * 2015-07-15 2016-02-18 김광진 출입구의 개폐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벌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471A (ko) * 2018-04-24 2019-11-01 오승재 발포수지재 벌통
KR102159309B1 (ko) * 2018-04-24 2020-09-23 오승재 발포수지재 벌통
KR20200001970U (ko) 2019-02-28 2020-09-07 김광진 클립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3941A (en) Transportable, disassemblable cabin
KR101783465B1 (ko) 이종 벌통과의 결합 호환성이 향상된 상부 테두리 커버를 포함하는 벌통
KR101778946B1 (ko) 출입구와 환기창을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벌통
JPH079134B2 (ja) 圧縮成形されたスキンを有するドア組み立て物及びその製法
JP2007276883A (ja) モジュールケース及びその形成方法
JP4657046B2 (ja) 断熱コンテナ
US6206779B1 (en) Grain tank extension
US20100139186A1 (en) Skylight with curb design
WO2019008668A1 (ja) 車両のピラー構造体
KR101925714B1 (ko) 계상용 보강프레임 및 그 보강프레임이 적용된 계상형 벌통
JP5186519B2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US20140242897A1 (en) One-way exhaust vent
KR101378394B1 (ko) 보강 조립구조를 갖는 화물적재용 팔레트
JP2009084797A (ja) ドアパネル
US2969726A (en) Building construction
JP2001062833A (ja) 中空構造物の補強構造とその補強具
JP2006240672A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1966234B1 (ko) 양봉용 벌통
KR102137685B1 (ko) 가구용 도어틀
KR101209818B1 (ko) 납골안치단
JP5277016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20190123471A (ko) 발포수지재 벌통
JP2006057440A (ja) 土台用スペーサ及び土台構造
AU2019101738B4 (en) A void forming module and system therefor
KR102030249B1 (ko) 유로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