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251B1 -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 Google Patents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251B1
KR101783251B1 KR1020170020788A KR20170020788A KR101783251B1 KR 101783251 B1 KR101783251 B1 KR 101783251B1 KR 1020170020788 A KR1020170020788 A KR 1020170020788A KR 20170020788 A KR20170020788 A KR 20170020788A KR 101783251 B1 KR101783251 B1 KR 101783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guide hole
slope
cast ir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권섭
Original Assignee
송권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권섭 filed Critical 송권섭
Priority to KR1020170020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12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allowing substantial longitudinal adjustment or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압륜(3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체결공(31)과 다수개의 하우징(32)이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2)의 원주방향쪽 외주면에는 조임볼트(34)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공(3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안내구(40)와 스파이크(50)가 조립식으로 안착되되, 상기 안내구(40)의 상부에는 상기 조임볼트(34)가 끼워지는 제1안착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41)의 직상방에는 상기 조임볼트(3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구(35)가 걸리도록 제1파지부(42)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홈(41)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면이송단턱(43)이 형성되어, 스파이크(50)가 상기 사면이송단턱(43)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조립되고, 상기 스파이크(50)는 저면에 압착날(51)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날(51)의 상부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끼워지도록 제2안착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52)의 직상방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걸리도록 제2파지부(53)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2)의 일측 안쪽면과 스파이크(5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신축공간(S)이 생성되어, 외력 발생시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스파이크(50)가 신축공간(S)으로 움직이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The buffering type separation prevention pressing wheel}
본 발명은 이탈방지 압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진으로 대표되는 강한 외력으로 인해 지중에 매설된 주철관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외부 충격을 일시적으로 흡수하여 완충시킬 뿐 아니라, 주철관이 압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에 관한 것이다.
상수(上水)를 비롯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지중에는 주철관이 매립된다. 일정한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주철관을 상호 연속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원하는 목적지까지 유체를 안전하게 이송시키는바, 상기 다수개의 주철관을 연결하는 결합수단이 압륜이다.
도 1은 종래의 주철관용 압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주철관용 압륜의 대표 단면도로서, 종래의 주철관용 압륜의 구성과 구성상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륜(30)은 주철관삽구(20)와 주철관수구(10)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먼저 압륜(30)을 주철관삽구(20)에 끼우고, 수밀 기능을 위한 패킹(21)을 주철관삽구(20)의 선단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주철관삽구(20)를 주철관수구(10)에 삽입한 다음, 도 1, 2에서와 같이 연결볼트(22)를 주철관수구(10)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1)에 걸리도록 압륜(30)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체결공(31)에 통과시켜 너트(23)로 조여주면, 주철관삽구(20)와 주철관수구(10)가 수밀 기능을 유지한 상태로 결합 된다.
그러나, 도 1, 2를 통해 설명한 일반적인 압륜(30)은 지진이나 지반침하와 같은 강력한 외력이 주철관에 충격을 가할 때에,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으므로 주철관삽구(20)가 주철관수구(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의 강한 충격을 완충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주철관의 이탈이 방지되는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의 구체적인 과제 해결 수단으로는, 압륜(3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체결공(31)과 다수개의 하우징(32)이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2)의 원주방향쪽 외주면에는 조임볼트(34)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공(3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안내구(40)와 스파이크(50)가 조립식으로 안착되되, 상기 안내구(40)의 상부에는 상기 조임볼트(34)가 끼워지는 제1안착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41)의 직상방에는 상기 조임볼트(3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구(35)가 걸리도록 제1파지부(42)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홈(41)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면이송단턱(43)이 형성되어, 스파이크(50)가 상기 사면이송단턱(43)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조립되고,
상기 스파이크(50)는 저면에 압착날(51)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날(51)의 상부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끼워지도록 제2안착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52)의 직상방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걸리도록 제2파지부(53)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2)의 일측 안쪽면과 스파이크(5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신축공간(S)이 생성되어, 외력 발생시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스파이크(50)가 신축공간(S)으로 움직이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을 사용하게 되면, 지진과 지반침하와 같은 강한 외력이 주철관에 충격을 가하는 위급한 상황에서, 주철관에 전달되는 강한 충격을 안내구(40)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움직이는 스파이크(50)로 인해 완충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의 송수 기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파이크(50)가 안내구(40)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주철관의 외주면을 파고들면서 매우 강력한 압착력을 주철관삽구(20)에 발생시킴에 따라,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이 압륜에서 이탈되지 않게됨으로써, 주철관의 송수 기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주철관용 압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주철관용 압륜의 대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중 안내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중 스파이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중 스펀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의 신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되, 종래기술로 언급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3,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압륜(30)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공(31)과 교호되면서 다수개의 하우징(32)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사면이송단턱(43)을 갖는 안내구(40)와 스파이크(50)가 조립식으로 안착되며,
상기 하우징(32)의 원주방향쪽 외주면에 형성된 암나사공(33)에는 조임볼트(34)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안내구(40)를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저면에 압착날(51)이 형성된 스파이크(50)가 주철관삽구(20)의 외주면을 방사상으로 압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지진과 지반침하와 같은 외부 충격 발생시에 주철관에 전달되는 강한 충격을 완충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주철관이 압륜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의 송수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 5는 본 발명중 안내구(4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내구(40)는 하우징(32)의 내부에 안착되되, 하우징(32)의 원주방향쪽에서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34)의 걸림구(35)와 조립되는 것이다.
즉, 도 5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안내구(40)의 상부에는 조임볼트(34)가 끼워지도록 제1안착홈(41)이 형성되고, 개구된 제1안착홈(41)의 직상방에서 안쪽으로 제1파지부(4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조임볼트(3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구(35)가 제1안착홈(41)에 끼워진 다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도 5의 원내확대도 및 도 5의 A-A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상기 제1안착홈(41)의 양측에는 경사면이 길이 방향을 따라 이루어진 사면이송단턱(43)이 형성되어, 스파이크(50)가 상기 사면이송단턱(43)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중 스파이크(5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단면도로서,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50)는 하우징(32)의 내부에 상기 안내구(40)와 조립되면서 안착되어, 조임볼트(34)의 추진력에 의해 안내구(40)의 가압을 받으면서, 실질적으로 주철관삽구(20)의 외주면에 압착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즉, 도 6의 원내확대도에서 보듯이 스파이크(50)의 저면에는 주철관삽구(20)를 압착하기 위한 압착날(51)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날(51)의 상부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끼워지도록 제2안착홈(52)이 형성되며, 개구된 제2안착홈(52)의 직상방에서 안쪽으로 제2파지부(53)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도 6의 B-B선 단면도에서와 같이 스파이크(50)가 상기 제2파지부(53)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미끄럼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중 스펀지(6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표시된 C-C선 단면도를 기준으로 스파이크(50)가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움직이면서 지진 및 지반침하와 같은 강한 외력 발생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이 압륜에서 이탈되지 않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대표 단면도이다.
도 8의 (a)에서 보듯이, 앞서 설명한 안내구(40)와 스파이크(50)가 조립된 상태로, 압륜(30)의 하우징(32)에 안착되고, 스파이크(50)는 조임볼트(34)의 추진력에 의해 안내구(40)의 가압을 받으면서, 주철관삽구(20)의 외주면에 압착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지진과 지반침하와 같은 강한 외력이 주철관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도 8의 (b)에 ①번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강한 외력에 의하여 주철관삽구(20)가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압착력을 발휘하고 있는 압륜(30)에서 이탈하려고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50)가 도 8의 (b)에서와 같이 주철관삽구(20)를 압착하는 상태에서,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도면상 왼쪽으로 미끄럼 운동을 진행하면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으로써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의 송수 기능이 상실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철관삽구(20)의 외주면과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의 일측과의 거리(L)가, 주철관삽구(20)의 외주면과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의 타측과의 거리(L')보다, 사면이송단턱(43)의 하향 경사면의 구조로 인해 크게(L > L') 형성되기 때문에,
주철관삽구(20)가 도 8의 (b)에서와 같이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하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하는 스파이크(50)의 압착날(51)이 주철관삽구(20)의 외주면을 파고들면서 더욱 강력하게 주철관삽구(20)를 압착함으로써,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이 압륜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c)에서와 같이 주철관삽구(20)가 강한 외력에 의하여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도 8의 (b)보다 더욱 많이 움직일 때에도, 스파이크(50)가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하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하면서, 외부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스파이크(50)의 압착날(51)이 주철관삽구(20)의 외주면을 도 8의 (b)보다 더욱 많이 파고들면서 매우 강력한 압착력을 주철관삽구(20)에 발생시킴에 따라,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이 압륜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50)는 강한 외력 발생시,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하향으로 미끄럼 운동을 수행하게 되는바, 스파이크(50)가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신축공간(S)은, 도 8의 (a)에 표시한 것처럼 하우징(32)의 일측 안쪽면과 스파이크(50)의 일측면과의 사이 공간이다.
따라서, 강한 외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신축공간(S)을 초기부터 크게 확보하고자, 스파이크(50)의 초기 장착 위치는 도 8의 (a)에서와 같이 하우징(32)의 타측 안쪽면에 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압륜(30) 장착 초기에 스파이크(50)를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하우징(32)의 타측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이동시킨 다음, 초기 위치를 임의로 고정하기 위해, 도 8의 (a)에서와 같이 스펀지(60)를 신축공간(S)에 삽입시킨다.
상기 부피의 압축률이 우수한 스펀지(60)는 스파이크(50)의 초기 장착 위치를 설정할 뿐 아니라, 더욱 중요하게는 주철관이 지중에 매립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토사가 신축공간(S)으로 채워질 수 있는바, 상기 스펀지(60)를 신축공간(S)에 위치시킴으로써, 토사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스펀지(60)로 인해 토사가 하우징(32)의 신축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게 됨으로써, 강한 외력이 발생하는 위기 상황에서 스파이크(50)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신축공간(S)이 상시적으로 확보되는 것이다.
상기 스펀지(60)의 구성은 도 7에서 보듯이, 중앙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끼워지도록 제3안착홈(61)이 형성되며, 개구된 제3안착홈(61)의 직상방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걸리도록 제3파지부(62)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을 사용하게 되면, 지진과 지반침하와 같은 강한 외력이 주철관에 충격을 가하는 위급한 상황에서, 주철관에 전달되는 강한 충격을 안내구(40)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움직이는 스파이크(50)로 인해 완충적으로 흡수할 수 있음에 따라,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의 송수 기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파이크(50)가 안내구(40)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주철관의 외주면을 파고들면서 매우 강력한 압착력을 주철관삽구(20)에 발생시킴에 따라, 강한 외력에도 불구하고 주철관이 압륜에서 이탈되지 않게됨으로써, 주철관의 송수 기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10 : 주철관수구
11 : 플랜지부
20 : 주철관삽구
21 : 패킹
22 : 연결볼트
23 : 너트
30 : 압륜
31 : 체결공
32 : 하우징
33 : 암나사공
34 : 조임볼트
35 : 걸림구
40 : 안내구
41 : 제1안착홈
42 : 제1파지부
43 : 사면이송단턱
50 : 스파이크
51 : 압착날
52 : 제2안착홈
53 : 제2파지부
60 : 스펀지
61 : 제3안착홈
62 : 제3파지부
L, L' : 거리
S : 신축공간

Claims (2)

  1. 압륜(3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체결공(31)과 다수개의 하우징(32)이 교호되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32)의 원주방향쪽 외주면에는 조임볼트(34)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공(3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32)의 내부에는 안내구(40)와 스파이크(50)가 조립식으로 안착되되, 상기 안내구(40)의 상부에는 상기 조임볼트(34)가 끼워지는 제1안착홈(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안착홈(41)의 직상방에는 상기 조임볼트(34)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구(35)가 걸리도록 제1파지부(42)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안착홈(41)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사면이송단턱(43)이 형성되어, 스파이크(50)가 상기 사면이송단턱(43)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도록 조립되고,
    상기 스파이크(50)는 저면에 압착날(51)이 형성되며, 상기 압착날(51)의 상부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끼워지도록 제2안착홈(52)이 형성되고, 상기 제2안착홈(52)의 직상방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걸리도록 제2파지부(53)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하우징(32)의 일측 안쪽면과 스파이크(5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신축공간(S)이 생성되어, 외력 발생시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을 따라 스파이크(50)가 신축공간(S)으로 움직이며, 상기 신축공간(S)에는 스펀지(60)가 삽입되되, 상기 스펀지(60)는 중앙에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끼워지도록 제3안착홈(61)이 형성되고, 상기 제3안착홈(61)의 직상방에는 상기 안내구(40)의 사면이송단턱(43)이 걸리도록 제3파지부(62)가 안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2. 삭제
KR1020170020788A 2017-02-16 2017-02-16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KR101783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88A KR101783251B1 (ko) 2017-02-16 2017-02-16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788A KR101783251B1 (ko) 2017-02-16 2017-02-16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251B1 true KR101783251B1 (ko) 2017-10-10

Family

ID=6019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788A KR101783251B1 (ko) 2017-02-16 2017-02-16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2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39B1 (ko) 2018-10-15 2019-05-30 한돈규 조임 스틱 일체형 쐐기 그립 안전 압륜
CN112609794A (zh) * 2020-12-11 2021-04-06 宁波华康陆鼎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污水管路防渗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185A (ja) * 2000-05-22 2001-11-30 Kubota Corp 耐震継手ならびに耐震管路
KR101049449B1 (ko) 2011-02-09 2011-07-15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185A (ja) * 2000-05-22 2001-11-30 Kubota Corp 耐震継手ならびに耐震管路
KR101049449B1 (ko) 2011-02-09 2011-07-15 현대주철산업 주식회사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39B1 (ko) 2018-10-15 2019-05-30 한돈규 조임 스틱 일체형 쐐기 그립 안전 압륜
CN112609794A (zh) * 2020-12-11 2021-04-06 宁波华康陆鼎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污水管路防渗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609794B (zh) * 2020-12-11 2022-03-18 宁波华康陆鼎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污水管路防渗结构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8783B1 (ko) 수평 추진형 이탈방지 스파이크가 장착된 주철관용 압륜
KR101783251B1 (ko)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AU2011211421B2 (en) Pipe connector
CA2591362C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ulling a pipe
CA2797176C (en) One-touch pipe connection device
AU2020101459A4 (en) Telescoping boom wear pad improvements
KR101882799B1 (ko) 소방호스 연결커플링유닛
WO2006135485A3 (en) Self restrained fitting for pvc and ductile iron pipe
KR101564692B1 (ko) 풀림 방지 체결구가 구비된 압륜
CN217501722U (zh) 一种大变形恒阻让压锚杆
KR101008711B1 (ko) 관연결용 신축이탈방지압륜 어셈블리
KR100953158B1 (ko) 분기관 연결구
CN107089301B (zh) 一种张力筋腱底部连接器及其辅助锁定机构
KR20110053067A (ko) 상수도관의 이탈방지용 압륜
KR102379945B1 (ko) 신축형 이탈방지 압륜
GB2078327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ling members for pipe joints
US9739401B1 (en) Pipe gripping elements and pipe joint restraints incorporating same
GB71826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exible metallic hose and couplings therefor
US1992580A (en) Coupling
JPS6018717Y2 (ja) 離脱防止管継手
CN210769777U (zh) 一种用于机械连接的不脱出螺钉
KR101984139B1 (ko) 조임 스틱 일체형 쐐기 그립 안전 압륜
KR200355612Y1 (ko) 파이프 연결 장치
CA2320457A1 (en) Nut, bolt, and thread unit of female and male thread members
KR100300737B1 (ko) 이탈방지장치가 설치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