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025B1 - 음료수병 보온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수병 보온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025B1
KR101783025B1 KR1020150164897A KR20150164897A KR101783025B1 KR 101783025 B1 KR101783025 B1 KR 101783025B1 KR 1020150164897 A KR1020150164897 A KR 1020150164897A KR 20150164897 A KR20150164897 A KR 20150164897A KR 101783025 B1 KR101783025 B1 KR 101783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window
heat insulating
beverage bottle
insulating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444A (ko
Inventor
최상돈
Original Assignee
최상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돈 filed Critical 최상돈
Priority to KR102015016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025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65D81/384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수병이 외기와 직접 접촉이 차단되도록 음료수병이 내장되어 음료수병의 몸체를 밀봉시키는 보온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통체로서 내부에 음료수 병이 삽입되는 단열용기와; 상기 개구부에 조립되어 개구부를 밀봉시키며, 상면은 상기 음료수 병 저면에 접촉되는 밀봉체; 및 상기 단열용기에 삽입되는 음료수 병의 선단부를 감싸며 접촉되어 단열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밀봉재로 구성되어 음료수병과 외부 공기와의 직접적인 열전달을 차단시켜 줄 수 있는 한편, 음료수병 보온용기에 보관될 음료수병을 별도의 용기에 넣어서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킬 필요 없이 음료수병 보온용기 내부에 음료수병이 장착된 상태에서 곧바로 냉장고에 넣어서 온도를 조절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냉장고에서 꺼내어 곧바로 휴대 가능한 음료수병 보온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음료수병 보온 용기{Two layer thermal container}
본 발명은 보온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료수병이 외기와 직접 접촉이 차단되도록 음료수병이 내장되어 음료수병의 몸체를 밀봉시키는 보온용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음료수병은 단일 용기로 제작되며, 일반적으로 유리나 얇은 PET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외부공기와 바로 접촉되어 외부공기의 열이 그대로 내부로 전달되어 보온 효과가 없다. 음료수 병의 색상을 어둡게 하는 방법으로 복사열을 일부 차단시킬 수는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하다. 따라서 음료수병의 내용물을 장시간 시원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음료수 병 자체를 냉장고에 보관하거나 또는 별도의 보온병에 옮겨 담는 방법이 가장 확실하다.
그러나 냉장고가 없는 상황에서는 내용물이 담긴 상태의 음료수병 자체의 시원함을 유지시킬 방법이 없고, 보온병이 있더라도 음료수병 내용물을 보온병에 옮겨 담는 과정에서 외기에 노출되고, 탄산음료수는 탄산의 농도가 저하되며, 옮겨 담는 성가신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음료수를 마실 때 마다 보온병을 열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음료수 병의 내용물을 별도의 보온병에 옮겨 담지 않고도 내용물의 시원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용기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0453호(등록일자: 2000. 05. 16)에 개시된 '보오보냉용 페트병들이'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폴리에틸렌 폼과 같이 유연성과 신축성이 있어 가공성이 뛰어난 단열재(10)의 양면 또는 한 면에 알루미늄 은박(11)을 공지의 방법으로 체결하고, 양면 또는 한 면이 은박 처리된 단열재를 반복 체결함으로써 공지의 단열재에 알루미늄 은박이 세 겹 이상 체결되어 페트병에 저장된 음료수나 식수 등을 일정시간 동안 보온 보냉 상태로 보관하고 병의 휴대가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음료수 병을 냉각시켜야 할 경우 페트병들이에서 음료수병을 꺼내어서 음료수병 만을 냉장고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페트병들이에 보관중인 음료수를 마시고자 할 때 마다 뚜껑을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통상의 음료수병의 보온이 장시간 유지될 수 있게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냉각이 필요할 때에는 음료수병 을 분리시킬 필요 없이 통째로 냉장고에 넣어서 냉각시킬 수 있고, 여러 가지 형상의 음료수 병에 모두 대응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료수병의 종류에 상관없이 보관 가능하게 되어 별도의 덮개를 열 필요 없이 음료수를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음료수 병 보온 용기에 관한 기술이 요청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0453호(등록일자: 2000. 05. 16)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음료수병을 시원함이 장시간 유지되고, 휴대할 수 있으면서도, 냉각이 필요할 때에는 음료수병 만을 분리시킬 필요 없이 통째로 냉장고에 넣어서 냉각시킬 수 있고, 여러 가지 형상의 음료수 병에 모두 대응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료수병의 종류에 상관없이 보관 가능하게 되어 별도의 덮개를 열 필요 없이 음료수를 바로 섭취할 수 있는 음료수 병 보온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병 보온용기는, 상단에 제1흡입구와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단열용기와; 상단에 제2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단열용기의 개구부로 삽입되는 통체로서, 제2흡입구 외주면이 상기 제1흡입구 내주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개구부에 조립되어 개구부를 밀봉시키며, 상면은 상기 내부용기의 저면에 접촉되는 밀봉체; 및 상기 내부용기의 제2흡입구에 삽입되어 제2흡입구를 밀봉시키는 삽입마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용기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지고, 이중벽 사이는 바람직하게는 진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봉체 내부에는 바람직하게는 냉매가 내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봉체는 측면과 저면에 통기창이 형성되는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내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외부케이스와 내부케이스의 측면 통기창과 저면 통기창이 동시에 연통되거나 밀폐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저면 통기창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저면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열용기는 측면 둘레를 따라 제2측면 통기창이 형성되고, 단열용기 내주면에는 단열용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원통으로서 상기 원통 둘레를 따라 대응 통기창이 형성되는 통기창 개폐통이 설치되며, 단열용기 내주면에는 상기 통기창 개폐통을 회전 지지하는 가이드가 통기창 개폐통의 상부 및 하부에 접촉되게 형성되어, 통기창 개폐통의 회전에 따라 제2측면 통기창과 대응 통기창이 서로 연통과 밀폐가 반복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응 통기창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측면 손잡이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용기의 측면 일부면적이 단열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절개되어 제3 측면 통기창이 형성되고, 제3측면 통기창을 밀폐시키는 측면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덮개의 단부와 제3측면 통기창의 내주면에 각각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암이 구비되어, 연결암의 가변에 따라 측면덮개가 제3측면 통기창을 개폐시킬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덮개의 단부에는 측면덮개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돌출되는 가변 판이 구비되고, 제3측면 통기창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변 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측면덮개의 표면에는 상기 가변 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가변 판을 후퇴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병 보온용기에 따르면, 음료수병과 외부 공기와의 직접적인 열전달을 차단시켜 줄 수 있는 한편, 음료수병 보온용기에 보관될 음료수병을 별도의 용기에 넣어서 냉장고에 넣어 냉각시킬 필요 없이 음료수병 보온용기 내부에 음료수병이 장착된 상태에서 곧바로 냉장고에 넣어서 온도를 조절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냉장고에서 꺼내어 곧바로 휴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밀봉체에 냉매가 저장된 것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c 내지 4e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1실시예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밀봉체의 제2부가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a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통기창에 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와, 도 3에 도시된 밀봉체의 부가실시예와, 도 4a 내지 4e에 도시된 통기창에 관한 제1실시예와, 도 5에 도시된 밀봉체의 제2부가실시예와, 도 6a 내지 6c에 도시된 통기창에 관한 제2실시예와, 도 7a 및 7b에 도시된 통기창에 관한 제3실시예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의 설명 순서대로 차례대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실시예 및 부가실시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 실시예에서의 음료수병 보온 용기는 단열용기(10)와, 밀봉체(40)와, 상부밀봉재(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열용기(10)는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밀봉체(40)가 상기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그리고 단열용기(10)는 바람직하게는 상부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작아지며, 상부 끝단에는 음료수 병(3)의 상단이 돌출 가능한 개구 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 홈 내측의 단열용기(10) 내주면에 상부밀봉재(30)가 구비되어 음료수 병(3) 선단의 외주면과 접촉된다. 이때 상부밀봉재(30)는 단열재질의 탄성부재나 쿠션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열용기(10)의 상부는 상부밀봉재(30)로 밀봉되고, 단열용기(10)의 하부는 밀봉체(40)로 밀봉되므로 음료수병(30)은 상부 끝단의 마개 결합 부위만 제외하면 나머지 부위는 단열용기(10)로 인하여 외부 공기와 차단된다.
이 경우 단열용기(10) 내부가 진공이 아니라 진공상태와 대기압 상태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기가 존재하더라도 단열용기(10)로 인하여 외부의 열기가 음료수 병(3)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으므로 단열용기는 열전달의 완충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병 보온 용기는 하부의 밀봉체(40)만 분리하면 음료수병(3)을 단열용기(10)로부터 꺼내지 않고도 음료수병(3)이 단열용기(10)와 결합된 상태 그대로 냉장고에 넣었을 경우 음료수병(3)이 냉장고 내부 공기와 직접 접촉하므로 음료수병(3) 및 단열용기(10)가 함께 냉각된다. 따라서 냉장고에서 냉각된 단열용기(10)와 음료수병(3)을 꺼내고 밀봉체(40)를 단열용기(10)의 하부에 결합시키면 단열용기(10)는 외부 공기와 직접 접촉되어 외부공기로부터 열을 전달받더라도 단열용기 내부온도는 외부공기 온도와 음료수병(3)의 내부온도 사이의 온도로 형성되어 온도구배가 완만해지므로 외부로부터 전달받는 열량이 줄어들며, 따라서 단열용기(10) 내부로부터 음료수병(3) 내부로 전달되는 열량도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음료수병(3)을 직접 외부공기 환경 하에 보관하는 경우보다 음료수의 시원함이 유지되는 시간이 몇 배로 길어진다.
그리고 단열용기(10)는 내부가 꽉 찬 단일 벽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둘 이상의 벽으로 이루어지는 다중 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단열용기(10)를 이루는 다중 벽 사이의 공간은 진공 상태일 수도 있으며, 또는 진공상태와 대기압 상태 사이의 상태일 수 있다. 즉 공기가 어느 정도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단열용기(10)가 다중 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중 벽 사이 공간에 어느정도 공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열용기(10)내부 공간 및 단열용기(10)를 이루는 다중 벽과 다중 벽 사이의 공간 자체가 완충지대로 작용되며, 음료수병(3)과 함께 단열용기(10)도 냉장고 내에서 같이 냉각되므로 다중 벽 사이의 공기도 함께 냉각되어 단열용기(10)에 내장되는 음료수병(3)의 시원함은 장시간 휴대 중에도 유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용기(10)의 하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개방되고 개구부의 내주면에는 하부 나사산(13)이 형성되며, 밀봉체(40)의 외주면에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되어 단열용기(10) 하부에 밀봉체(40)가 결합된다. 이 경우 밀봉체(40) 또는 단열용기(10)의 하부 나사산 하부에는 밀봉이 더욱 기밀하게 이루어지도록 원형 링 형상의 기밀 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체(40) 내부에는 냉매(43)가 내장되어 밀봉체(40) 만을 냉장고에 얼려서 단열용기(10)에 장착함으로써 단열용기(10) 내부의 음료수병(3)이 장시간 시원함이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체(40)가 간편하게 착탈되도록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잡이 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기본 실시예에 대한 부가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용기(110) 하부의 개구부가 단열용기(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열용기의 하부 전체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밀봉체(140)는 단열용기(11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되 단열용기(110)의 측면 벽이 하부로 더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열용기(110)를 개방시켜 음료수 병(3)을 넣고 빼는 과정이 수월하게 되도록 밀봉체(140)와 단열용기(110)는 서로 나사결합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통기창에 관한 제1실시예>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창에 관한 제1실시예(이하 '제1실시예'라 칭한다.)와 위에서 기술한 기본 실시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1실시예에서는 밀봉체(40)가 외부케이스(46), 내부케이스(47), 바닥 원판(48)으로 구성되고, 위의 세 구성 모두 통기창이 형성되어 밀봉체(40)를 이탈시키지 않더라도 통기창을 연통시켜 음료수병 보온용기(1)를 냉장고에 넣어 빠른 속도로 내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는 점이다.
밀봉체(40)를 이루는 외부케이스(46)는 기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주면에 단열용기(1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러나 제1실시예예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46)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제1측면 통기창(461)이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제1측면 통기창(461)은 외부케이스(46)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모두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내부케이스(47)는 외부케이스(46)의 내부에 삽입되며, 외부케이스(46)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외부케이스(46)는 내부케이스(47)가 외부케이스(46)로부터 추락되지 않도록 외부케이스(46) 하부가 도 4a에서처럼 수평 방향으로 내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내부케이스(47)의 옆면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제1측면 통기창(461)과 동일한 위치에 제1대응 통기창(471)이 형성된다. 따라서 내부케이스(47)가 회전되면 제1측면 통기창(461)과 제1대응 통기창(471)이 서로 연통되었다가 엇갈리면서 모두 밀폐되게 구성된다.
내부케이스(47)는 바닥면에 도 4a와 같이 단턱이 형성되어 바닥 원판(48)이 착지되어 회전될 수 있는 자리가 형성된다. 이때 내부케이스(47)의 바닥에는 저면 통기창(473)이 형성되고, 바닥 원판(48)에는 대응 저면 통기창(483)이 형성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통기창(473)과 대응 저면 통기창(483)은 모두 같은 위치에 형성되며, 바닥 원판(48) 또는 내부케이스(47)의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바닥 원판(48)의 회전에 따라 연통과 밀폐가 반복되게 구성된다. 이때 바닥 원판(48)의 상부로의 이탈을 방지시키기 위하여 이탈방지핀(375)이 바닥 원판(48)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하여 내부케이스(47)의 바닥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바닥 원판(48)은 내부케이스(47)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여야 하며 바닥 원판(48)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 4a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원판(48)의 저면에 걸림 돌기(482)가 형성되거나, 또는 도 4d에서와 같이 바닥 원판(48) 저면 중심에 저면 중심 손잡이(485)가 형성되고 내부케이스(47) 저면 중심이 원형으로 관통되어 손가락으로 저면 중심 손잡이(485)를 돌려 바닥 원판(48)을 회전시키거나, 또는 도 4e의 (a) 및 (b)에서처럼 바닥 원판(48)의 대응 저면 통기창(483)의 내주면 상에 힌지 결합되는 저면손잡이(487)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원판(48)을 회전시킴으로써 저면 통기창(473)과 대응 저면 통기창(483)을 연통시키고, 저면 통기창(473)을 이용하여 내부케이스(47)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측면 통기창(461)과 제1대응 통기창(471)을 서로 연통시키면, 음료수병 보온 용기(1)에서 음료수병(3) 인출하지 않고서도 음료수병 보온 용기(1) 자체를 냉장고에 넣고 냉장고 내부의 차가운 공기가 음료수병(3) 표면에 까지 도달되게 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음료수병(3)의 내용물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도 4c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용기(10)가 투명 용기가 아닌 경우에는 내측 통기표시선(462)과 외측 통기표시선(472)이 서로 일치되게 정렬시킴으로써 제1측면 통기창(461)과 제1대응 통기창(471)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외측 통기표시선(472)은 제1측면 통기창(461)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되고 내측 통기표시선(462)은 제1대응 통기창(471)에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된다.
<통기창에 관한 제2실시예>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창에 관한 제2실시예(이하 '제2실시예'라 칭한다.) 는 제1실시예와 달리 통기창이 단열용기(210)의 옆면에 형성된다.
이때 단열용기(210) 옆면에 형성되는 통기창을 제2측면 통기창(214)이라 한다. 이 경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2측면 통기창(214)을 개폐시킬 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2실시예에서는 6a 내지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용기(210)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밀착되는 원통 형상의 회전 개폐통(250)을 마련하고, 회전 개폐통(250)의 옆면을 따라 제2대응 통기창(254)을 형성시키며, 회전 개폐통(250)이 단열용기(210) 내주면에서 추락되지 않으면서 회전되도록 회전 개폐통(250)의 상부와 하부가 삽입될 수 있게 단열용기(210) 내주면상으로 가이드(216,218)가 돌출된다. 여기서 가이드(216,218)는 원통형상의 회전 개폐통(250)이 지지될 수 있게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열용기(210) 내주면상에 돌기 형상으로 복수개로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 회전 개폐통(250)이 단열용기(210) 내부에 위치하므로 회전 개폐통(250)을 회전시킬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도 6b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대응 통기창(254)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측면 손잡이(252)가 설치될 수 있다.
<통기창에 관한 제3실시예>
통기창에 관한 제3실시예(이하 '제3실시예'라 칭한다)에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통기창이 형성되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통기창은 두 개의 원통형 회전체가 서로 안팎으로 회전되면서 통기창이 연통과 밀폐가 반복되게 형성되는 것과 달리 제3실시예에서는 연통창의 개폐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방식으로 형성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단열용기(310)의 측면 일부면적이 단열용기(31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절개되어 제3측면 통기창(351)이 형성되고, 제3측면 통기창(351)을 개폐시키는 수단은 제3측면 통기창(351)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암(352)으로 연결되는 측면덮개(350)이다. 여기서 연결암(352)은 양단이 각각 제3측면 통기창(351)의 내주면과 측면덮개(350)의 외주면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연결암(352)의 가변에 따라 측면덮개(350)가 제3측면 통기창(351)을 개폐시킬 수 있다.
도 7a에는 연결암(352)이 측면덮개(350)의 상부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측면덮개(350)의 상부와 하부에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측면덮개(350)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파지 손잡이(354)가 도 7a에서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측면덮개(350)가 제3측면 통기창(351)을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측면덮개(350) 내부에 삽입되어 측면덮개(35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가변 판(356)이 구비될 수 있다. 가변 판(356)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은 측면덮개(350) 외주면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측면덮개(350)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가변 판(356)을 측면덮개(350) 외부로 밀어내는 탄성체(357)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3측면 통기창(351) 내주면에는 가변 판(356)이 삽입되는 조립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덮개(350) 내부에는 가변 판(356)을 측면덮개(350) 외부로 밀어내는 탄성체(357)의 탄성력과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대응 탄성체(358)가 도 7b에서처럼 구비될 수 있다. 대응 탄성체(358)는 탄성체(357)의 탄성력을 억제시켜, 손으로 가변 판(356)을 후퇴시키는 동작이 더 수월하게 되도록 도와주는 작용을 한다.
이때 가변 판(356)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측면덮개(35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 3실시예에서는 측면덮개(350) 만을 개폐시켜 단열용기(3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특히 측면덮개(350)가 제3측면 통기창(351)을 철저하게 밀폐시키도록 측면덮개(350)의 외주면 둘레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부재(353)가 부착될 수 있다. 이때의 기밀부재(353)는 신축 가능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음료수병 보온 용기 10,110,210,310: 단열용기
13,113,213: 하부 나사산 30: 상부밀봉재
40,140,240: 밀봉체 41: 손잡이 홈
43,243: 냉매 46: 외부케이스
47: 내부케이스 48: 바닥원판
214: 제2측면 통기창 216: 상부 가이드
218: 하부 가이드 250: 회전 개폐통
252: 측면 손잡이 254: 제2대응 통기창
350: 측면 덮개 351: 제3측면 통기창
352: 연결암 353: 기밀부재
354: 파지 손잡이 356: 가변 판
357: 탄성체 358: 대응 탄성체
461: 제1측면 통기창 462: 내측 통기표시선
471: 제1대응 통기창 472: 외측 통기표시선
473: 저면 통기창 475: 이탈방지핀
482: 걸림 돌기 483: 대응 저면 통기창
485: 저면 중심 손잡이 487: 저면 손잡이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통체로서 내부에 음료수 병이 삽입되는 단열용기와;
    상기 개구부에 조립되어 개구부를 밀봉시키며, 상면은 상기 음료수 병 저면에 접촉되는 밀봉체; 및
    상기 단열용기에 삽입되는 음료수 병의 선단부를 감싸며 접촉되어 단열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상부밀봉재;로 구성되되,
    상기 밀봉체는 측면에 제1측면 통기창이 형성되는 외부케이스와, 측면에 제1대응 통기창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내부케이스의 회전에 따라 제1 측면 통기창과 제1대응 통기창이 연통과 밀폐가 반복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바닥에는 저면 통기창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상면에는 자유 회전 가능한 바닥 원판이 구비되며, 바닥 원판에는 저면 통기창에 대응되는 대응 저면 통기창이 형성되어 바닥 원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저면 통기창과 대응 저면 통기창은 연통과 밀폐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용기는 단일 벽 또는 다중 벽으로 이루어지고, 다중 벽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벽 사이의 공기량은 진공상태와 대기압 상태의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용기는 선단부의 수평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상부밀봉재는 선단부의 끝단 내주면에 부착됨으로써 음료수 병의 선단 외주면에 접촉되어 단열용기 내부가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병 보온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체는 냉매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원판의 대응 저면 통기창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저면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용기는 측면 둘레를 따라 제2측면 통기창이 형성되고, 단열용기 내주면에는 단열용기 내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원통으로서 상기 원통 둘레를 따라 제2대응 통기창이 형성되는 회전 개폐통이 설치되며, 단열용기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개폐통을 회전 지지하는 가이드가 회전 개폐통의 상부 및 하부에 접촉되게 형성되어, 회전 개폐통의 회전에 따라 제2측면 통기창과 제2대응 통기창이 서로 연통과 밀폐가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응 통기창 내주면에는 제2대응 통기창 내주면에 힌지 결합되는 측면 손잡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용기의 측면 일부면적이 단열용기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게 절개되어 제3 측면 통기창이 형성되고, 제3측면 통기창을 밀폐시키는 측면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측면덮개의 단부와 제3측면 통기창의 내주면에 각각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암이 구비되어, 연결암의 가변에 따라 측면덮개가 제3측면 통기창을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덮개의 단부에는 측면덮개 내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돌출되는 가변 판이 구비되고, 제3측면 통기창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변 판의 끝단이 삽입되는 조립홈이 형성되며, 측면덮개의 표면에는 상기 가변 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가변 판을 후퇴시키는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병 보온 용기.
KR1020150164897A 2015-11-24 2015-11-24 음료수병 보온 용기 KR101783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97A KR101783025B1 (ko) 2015-11-24 2015-11-24 음료수병 보온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897A KR101783025B1 (ko) 2015-11-24 2015-11-24 음료수병 보온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44A KR20170060444A (ko) 2017-06-01
KR101783025B1 true KR101783025B1 (ko) 2017-09-29

Family

ID=5922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897A KR101783025B1 (ko) 2015-11-24 2015-11-24 음료수병 보온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0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268B1 (ko) * 2018-05-08 2018-10-10 한기수 가스용기 보온장치
KR101922975B1 (ko) * 2018-07-26 2018-11-28 한기수 가스용기 보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079B1 (ko) * 2019-04-05 2021-02-24 이강욱 발열체가 구비된 음료 용기 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277A (ja) * 1999-11-24 2001-05-29 Yoshinobu Toyomura ペットボトル収納容器
JP2004217275A (ja) * 2003-01-16 2004-08-05 Thermos Kk 飲料容器収納用断熱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6277A (ja) * 1999-11-24 2001-05-29 Yoshinobu Toyomura ペットボトル収納容器
JP2004217275A (ja) * 2003-01-16 2004-08-05 Thermos Kk 飲料容器収納用断熱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268B1 (ko) * 2018-05-08 2018-10-10 한기수 가스용기 보온장치
KR101922975B1 (ko) * 2018-07-26 2018-11-28 한기수 가스용기 보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444A (ko)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025B1 (ko) 음료수병 보온 용기
US3511407A (en) Valve for containers
WO1995024146A2 (en) Insulated bag and accessories for cooling bottled beverages
US20190135502A1 (en) Vacuum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with removable cu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741162B1 (ko) 이중 보온 용기
JP3158283U (ja) 飲料用容器の蓋体及びこれを有する飲料用容器
US20200367678A1 (en) Leak-proof container lid with foam insulation
US20180334306A1 (en) Two-layer thermal container
JP6101298B2 (ja) 蓋付断熱容器
KR101555348B1 (ko) 식품저장용기의 속뚜껑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저장용기
KR20150000860U (ko) 온도 보존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 내의 온도보존을 위한 뚜껑
KR200460978Y1 (ko) 물통
KR200267719Y1 (ko) 음료용기
CN211269831U (zh) 一种可保温的两用水杯
US20230107675A1 (en) Venting device, lid, and container comprising lid
KR200197682Y1 (ko) 진공용기의 뚜껑
CN215604776U (zh) 一种保温餐杯
CN107744310A (zh) 一种便于开启的保温杯盖和保温杯
JP3231031U (ja) 食品容器
CN214510619U (zh) 一种具有双腔结构的保温水杯
KR20130045878A (ko) 단열용 커버와 보냉용 커버를 가지는 용기
CN213605680U (zh) 一种保温水杯
JP3050770U (ja) 保冷用飲料容器
US20220175167A1 (en) Insulated Cup Holder
CN208371441U (zh) 一种双胆水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