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679B1 -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교체형 렌즈 고글 - Google Patents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교체형 렌즈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679B1
KR101782679B1 KR1020147010084A KR20147010084A KR101782679B1 KR 101782679 B1 KR101782679 B1 KR 101782679B1 KR 1020147010084 A KR1020147010084 A KR 1020147010084A KR 20147010084 A KR20147010084 A KR 20147010084A KR 101782679 B1 KR101782679 B1 KR 101782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ttery
goggles
heating element
gog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7174A (ko
Inventor
데이비드 맥컬로츠
잭 코네리우스
토렌 오젝
테일러 페섹
코리 피어만
에본 에프링
Original Assignee
아보미네이블 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보미네이블 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아보미네이블 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4007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8Anti-misting means, e.g. ventilating, heating; Wiper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4Visors with means for avoiding fogging or mis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4Visors with means for avoiding fogging or misting
    • A42B3/245Visors with means for avoiding fogging or misting using means for heating, e.g. electric heating of the vi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7Straps; Buckles; Attachment of head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8Ventil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배터리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은 전방 부분 및 사용자의 안면에 결합되는 가요성 후방 부분을 포함하는 몸체, 몸체의 전방 부분과 결합되고 상부에 저항성 김서림 방지 요소를 갖는 렌즈, 렌즈와 몸체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한 결합 기구,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몸체에 매달린 상호연결 기구 - 상호연결 기구는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의 상호연결에 따라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의 상호연결이 보강되도록 결합 기구에 따라 작동가능하거나 또는 이와 일체로 구성됨 - , 및 사용자의 머리와 헬멧 중 하나에 고글을 고정하는 스트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교체형 렌즈 고글{INTERCHANGEABLE LENS GOGGLE ADAPTABLE TO PREVENT FOGGING}
본 특허 출원은 미국 출원 제13/587,908호 및 2011년 10월 18일자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548,253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고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화하는 날씨, 조명 및 고글 김서림 상태에 대해 적응할 수 있는 용이 교체형 렌즈를 갖는 고글에 관한 것이다.
대개, 예컨대, 스키, 사이클링, 스노우-보딩, 모터사이클 및 ATV 라이딩, 페인트-볼링, 또는 주요하게 군용 작업을 위해 사용되는 표준 군용 고글의 용도로 사용되는 스포츠 고글은 전형적으로 플라스틱 프레임 또는 몸체 및 투명 플라스틱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시-스루 렌즈(see-through lens)를 포함한다. 대개, 플라스틱 몸체는 후방 몸체에 상호연결된 전방 몸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후방 몸체의 최전방 부분은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적합한 거리에 렌즈의 배치를 위해 부착되도록 설계된다. 후방 몸체는 사용자의 눈의 시야를 정하고 이 주위에서 사용자의 안면에 몸체의 적합한 배치를 위해 최 후방 부분에 발포 고무 계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고글은 헬멧 또는 머리의 후방 주위에 스트랩을 연신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머리 또는 헬멧에 고글을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방 몸체의 대응 단부에 일 단부에서 부착된 신장된 탄성중합체성 스트랩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글은 사용자의 안면에 마주보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렌즈의 상이한 색상이 상이한 조명 및 날씨 조건에 대해 선호되는 것으로 고글 착용자들 중에서 인식되고 이해된다.
고글 내에 용이 교체형 렌즈에 대한 필요성
기존의 통상적인 고글은 교체형 렌즈용으로 제공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지형, 특히 변화의 존재를 결정하기 위해 표면에 단지 약간의 쉐도우를 갖는 단색의 눈길에서 변화를 보다 용이하게 구별하기 위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현재의 고글의 경우 변화하는 조명 조건과 같이 고글이 상당히 덜 유용하고, 이러한 고글이 전체 고글의 교체를 필요로 하는, 고글의 렌즈가 손상 또는 파괴되는 경우에도 유용하지 못하다.
보다 최근에는, 통상적인 고글은 파손되거나 또는 깨진 렌즈의 교체 또는 변화된 조명 조건에 더 이상 적합하지 않은 렌즈의 교체가 허용된다. 이러한 고글 내에서, 몸체는 대개 정렬 및 고정의 목적으로 요홈 내의 펙(peg)과 정합되는 렌즈 상의 복수의 노치와 함께 비교적 깊은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요홈을 형성하는 가요성이지만 탄성인 성형된 재료를 포함한다. 노치 및 정합 펙은 몸체에 대해 팩 상에서 적합한 배향으로 렌즈를 보유하고 요홈 내에 수직 방향의 배향 방식으로 렌즈의 주변 에지를 수용 및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사용자가 이러한 렌즈를 제거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가요성 몸체 부재를 분리시켜 노치를 분리하고 게다가 몸체 내의 요홈으로부터 렌즈를 분리한다. 상이한 색상의 렌즈로의 교체는 연계된 요홈 및 펙과 렌즈의 에지 및 이의 노치의 정렬, 우선적으로 연계된 요홈 및 펙 내로 렌즈의 상부 또는 대안으로 하부 부분의 끼워맞춤 및 그 뒤에 이의 연계된 요홈 및 펙 내로 렌즈의 마주보는 부분의 끼워맙춤의 역 공정을 수반한다. 이 공정은 시간이 소요되고 번거롭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렌즈를 용이하게 교체하기가 곤란하고, 공공연하게 렌즈의 교체 시도가 매우 어려워지고 게다가 대부분의 조명 조건의 경우 다목적이지만 이상적이지 않은 사용을 통해 렌즈의 사용이 곤란해진다. 대안으로, 사용자가 렌즈를 반복적으로 교체하는 경우에 인내심이 필요하며, 이들 고글 몸체는 몸체의 반복적인 응력 제공으로 인해 일부 탄성력이 소실되거나, 파손되거나, 또는 크랙이 발생되며, 이는 렌즈와 몸체 사이의 결합의 불량을 야기한다.
이들 타입의 고글의 경우 렌즈 교체의 곤란성에 따라, 변화된 조건에 대해 적합하도록 렌즈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개방 및 밀폐식으로 설계된 관절식 프레임을 갖는 고글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프레임의 예시는 교체형 렌즈에 대한 피벗회전식 프레임 부재를 갖는 스키 고글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5,815,235호(런켈(Runckel))에 의해 제공된다. 유사하게, 편향식 아웃트리거, 게이트 또는 렌즈를 고글에 대해 고정하기 위한 래치를 포함하는, 이러한 고글의 렌즈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교체형 렌즈 기구를 갖는 안경(Eyewear)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US20110225709A1호가 공고되었고, 렌즈는 렌즈 내에서 구멍 또는 구멍들과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 부재에 의해 적합한 배향으로 추가로 보유된다.
고글 내의 김서림 방지 수단의 필요성
고글은 이슬점에 도달되고 고글의 내부 표면에서 "김서림"과 같은 응축이 형성되도록 사용자의 안면 및 눈과 고글 몸체 사이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온도 및 상대 습도가 형성되는 경우, 습기로 인해 보이지 않는다. 이는 고글 렌즈의 더 차가운 내부 표면이 고글 몸체 내에 둘러싸인 더 따듯하고 더 습도가 높은 영역과 접촉 시에 전형적으로 발생된다. 렌즈 내에서 이슬점이 변화하는 온도, 습도, 압력 및 통기 조건에 의해 형상을 받기 때문에, 고글의 김서림을 야기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조건이 있다. 김서림의 일 통상적인 예시는 스키를 타거나, 사이클을 타거나, 하이킹을 하거나, 또는 다른 격렬한 활동을 하는 사람인 이전보다 더 신속히 움직임을 중단할 때 발생되며, 이는 고글의 표면에 걸쳐 공기 유동의 양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며, 고글의 둘러싸인 공간과 물리적으로 격렬한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고글 내의 따듯해지고 습기가 있는 공기와 고글의 내부 표면 간의 온도 차이가 김서림을 야기한다.
김서림의 또 다른 예시는 활동의 상당한 증가로 인해 주요하게는 땀으로부터 그리고 또한 이러한 물리적으로 격렬한 활동과 연계된 방출되는 따듯하고 습기가 있는 공기의 더 높은 발생으로부터 고글 내에 가둬진 열과 습도의 양 증가로부터 수반된다. 고글 내에 가둬진 따듯하고 습기가 있는 공기와 고글 렌즈의 내부 표면 간의 온도의 상당한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 응축이 야기되고 고글 렌즈의 내부 표면에서 김서림이 발생된다.
따라서, 김서림은 고글에 있어서 매우 통상적인 문제이며, 이는 절대 온도, 및 구체적으로는 고글 몸체의 외부에서 더 차가운 온도의 조건에 대해 더 따듯하고 고글 엔클로저 내에 유입되는 땀과 호흡에 의해 야기되는 더 따듯한 온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건에서 발생된다. 물론, 이 문제점은 사용자에 매우 귀찮은 일이며, 사용자가 예컨대, 융기부, 절벽 또는 다른 참가자와 같은 상당히 변화하는 지형 그리고 나무와 같은 고정된 장애무들 간에 고속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의도된 타겟 또는 적국 전투원을 명확히 볼 수 없는 경우에 사용자의 시야가 상당히 가려져서 매우 위험한 상태가 제시된다. 김서린 고글의 문제는 고글 사용자가 상해, 심지어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러한 통상적이고 불편하고 심지어 위험한 조건에 따라, 고글의 김서림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예를 들어, 고글 내로 수동 기류의 양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노력이 기울어졌다. 이의 예시는 고글 부착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출원 제20050193478호(허쉬(Hussey)) 및 고글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6,665,885호(마수모토(Masumoto))에서 찾을 수 있다.
고글의 렌즈의 김서림 제거를 위해 수동 기류 수단을 이용하는 고글을 제조하는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개 수동 기류 수단이 김서림 제거가 구현하지 못하는 조건이 존재한다. 이러한 조건은 통기 수단을 방해하는 눈의 쌓임 또는 추운 결빙 조건에서 사용자의 격렬한 활동에 의해 제공되는 온도 및 습도 차이를 극복하는 수동 수단의 능력을 능가한다. 또한, 대개 사용자의 의류, 특히 예컨대 스카프 또는 안면 마스트는 이러한 고글의 의도된 기류를 방해하여 작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 결과, 김서림을 야기하는 조건을 줄이기 위해 고글의 렌즈의 내부 표면과 이 내의 둘러싸인 공간을 통기시키기 위해 능동 개인용 팬을 갖는 고글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시는 스키 고글이라는 명칭으로 미국 특허 제5,452,480호(라이든(Ryden))에 제시된다. 이러한 장치의 문제점은 외부 고글 벤트의 응결, 눈 쌓임, 또는 다른 막힘을 필수적으로 극복해야 하는데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시스템의 효율성이 경감된다.
특정 조건에서 고글의 김서림이 야기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고글의 렌즈의 내부 표면의 충분한 가열은 렌즈로부터 김서림을 제거하고 추가 김서림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고글 렌즈의 내부 표면을 능동 가열하는 다양한 수단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일 수단은 고글 렌즈의 내부 표면에 와이어 또는 저항성 필름 표면의 배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와이어 또는 저항성 표면은 렌즈를 가열하기에 충분한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재킷 또는 고글 헤드밴드에 배치된 DC 배터리와 같은 전력원에 부착된다. 고글의 렌즈를 가열하는 이러한 방법의 예시는 전기 가열식 스키 고글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4,868,929호(쿠시오(Curcio)), 안경의 김서림 제거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5,459,533호(맥쿠이(McCooeye) 등), 및 고글용 가역가능 스트랩-장착 클립이라는 명칭의 공고된 미국 특허 출원 제US20090151057호(레벨(Lebel) 등)에서 개시된다.
따라서, 고글에 김서림이 없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필요성 및 표준 군용 고글 또는 스포츠 고글의 렌즈의 용이 교환을 위한 필요성에 대한 독립적인 해결 방법이 고찰되며, 또한 용이 교체형 렌즈 시스템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해 렌즈의 능동적인 효과적 수단을 제공하는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고글의 렌즈를 고글 몸체에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키고 바람직하게는 김서림을 방지할 필요가 있을 때 렌즈의 가열을 위한 공급원에 렌즈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상호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상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심지어 장갑을 낀 손으로도 용이 조작가능하고, 제조하기에 비교적 저렴한 고글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스포츠 및 표준 군용 작업 용도로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라서, 배터리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이 제공되며, 상기 고글은 몸체, 김서림 방지 렌즈, 렌즈/몸체 결합 수단 또는 기구, 렌즈/몸체 결합 기구와 함께 작동될 수 있는 전기식 상호연결 및 렌즈/몸체 부착 보강 수단 또는 기구, 및 사용자의 머리 또는 헬멧에 고글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 수단을 포함한다.
몸체는 제1 및 제2 단부, 사용자의 눈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요성 후방 부분 및 반-강성 전방 부분을 갖다.
렌즈는 상부에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포함하고,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결합 기구는 상기 렌즈에 부착된 부분 및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몸체에 부착된 부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 기구는 텅-및-요홈 부재 또는 텅-및 요홈 밀봉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텅-및-요홈 중 하나는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텅-및-요홈의 다른 하나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된다. 대안으로, 결합 기구는 캡-및-리지 부재 또는 캡-및-리지 밀봉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캡은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리지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된다.
상호연결 기구는 배터리와 상기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몸체에 매달린다. 추가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배터리와의 상기 렌즈의 가열 요소의 상호연결이 또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의 상호연결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가열 요소의 분리가 또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렌즈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결합 기구와 함께 작동가능하다.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상기 렌즈의 후크와 결합을 위해 몸체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렌즈 상에 후크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래치는 바람직하게는 몸체에 대해 렌즈의 단부를 편향시키는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여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래치는 또한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제2 위치에서 작동하다.
대안으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몸체 상에 피벗회전식 래칭 게이트(latching gat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대해 렌즈의 단부를 편향시키는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다. 따라서, 게이트는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게이트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하다.
추가로, 대안의 실시 형태에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고글 프레임 주위의 중간 위치에 또는 고글 프레임의 각각의 단부 상에 포스트 및 렌즈 주위에 신축성 실리콘 밴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실리콘 밴드는 복수의 신축성 밴드, 또는 루프를 형성하고, 렌즈 주위에서의 중간 위치 또는 렌즈의 각각의 단부에서 하나의 밴드는 몸체에 대해 렌즈를 편향시키기 위해 몸체 주위의 중간 위치 또는 몸체의 단부에서 대응하는 포스트 주위에 감기는 또는 둘러싸이는 제1 위치에 대해 작동가능하고, 이에 따라 몸체 상에서 렌즈의 부착이 보강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가 상호연결되며, 각각의 신축성 밴드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대응하는 포스트로부터 분리된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배터리와 렌즈 상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접촉부가 고글의 프레임 및 렌즈 상에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고글의 일 단부에서 포스트 또는 고글의 프레임과 실리콘 밴드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포스트는 전기장치의 제어를 위한 버튼이 형성될 수 있고, 버튼은 실리콘으로 덮이거나 또는 덮이지 않을 수 있다.
추가로 대안의 실시 형태에서,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 상호연결 수단은 예컨대, 너브-형 실리콘 결합 부재(nub-like silicone engagement member)와 같이 하나 이상의 상호연결 부재를 갖는 전방 플라스틱 면 또는 프레임 또는 실리콘 스킨과 같은 외부 주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플라스틱과 같은 보다 강성의 재료로 제조된 고글 몸체 상의 외부 주연부 주위에 형성된 대응 리셉터클 내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전방 플라스틱 면 또는 프레임으로부터 매달린 보다 강성의 클립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리셉터클은 고글 몸체 상에서 렌즈를 편향시키기 위해 제1 밀폐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호연결 또는 클립 부재를 수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상기 상호연결 부재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이의 대응하는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된 개방 위치에서 작동가능하다. 이 실시 형태에서, 렌즈는 프레임 또는 전방 면 또는 외부 실리콘 스킨과 고글 프레임 사이에 배열되고, 렌즈는 프레임 또는 전방 면 또는 외부 실리콘 스킨에 의해 고글 프레임 상의 제 위치에 보유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배터리와 렌즈 상에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접촉부가 고글의 몸체 및 렌즈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의 실시 형태에서,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 상호연결 수단은 보다 강성의 고글 플라스틱 몸체 상에서 스냅 리셉터클 내에 포지티브하게 수용 및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클립-형, 또는 후크-형 결합 부재를 갖는 팝-오프 전방 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렌즈는 전술된 실리콘 전방 면의 경우와 같이 고글 몸체와 팝-오프 전방 면 사이에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렌즈는 보다 강성의 팝-오프 전방 면의 일부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배터리와 렌즈 상에서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하기 위한 접촉부가 고글의 몸체와 렌즈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스트랩은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와 상호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제2 단부와 상호연결되며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의 머리와 헬멧 중 하나에 고글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스트랩은 통상적인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특히 헬멧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실리콘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방수 케이스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류 내에, 고글의 몸체 내에 또는 스트랩 내에 또는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는 또한 김서림이 없는 착용의 상황을 위해 구성되는 고글 내에 용이 교체형 렌즈를 제공하고, 통상적인 고글에 의해 제시되는 문제점을 해결 및 경감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레임 내에 렌즈를 성공적으로 배치하기 위해 종래의 고글과 연계된 불편함을 견디지 않고 변화하는 조명 및 날씨 조건에 적응되도록 김서림 방지 렌즈를 또 다른 김서림 방지 렌즈와 교체가능하다. 추가로, 사용자는 비-김서림 방지 렌즈와 김서림 방지 렌즈를 교체할 수 있고, 상기 렌즈의 모든 타입은 본 발명에 따라 교체형이다. 단계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는 렌즈를 교체하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김서림 방지 특성을 사용해야 하며, 사용자는 개선된 고글의 특징으로부터 보다 이점이 제공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배터리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김서림 방지 교체형 렌즈가 제공되며, 상기 렌즈는 몸체, 김서림 방지 렌즈, 렌즈를 배터리에 그리고 렌즈를 몸체에 상호연결하기 위한 결합 기구, 및 사용자의 머리에 고글을 고정하기 위한 스트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의 몸체, 렌즈 및 스트랩 부분은 전술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몸체, 렌즈 및 스트랩 부분과 유사하고, 예컨대, 저항성 요소 코팅-타입 렌즈, 매립형 와이어-타입 렌즈, 저항성 요소 렌즈, 등과 같은 다양한 타입의 전기 가열식 렌즈가 첨부된 청구항을 기초로 본 발명의 진실된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고글과 함께 사용되기에 적합할 수 있다.
결합 기구는 배터리와 렌즈의 김서림 방지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결합 기구의 일부는 몸체에 연결되고 결합 기구의 일부는 렌즈에 연결된다. 결합 기구는 바람직하게는 제1 결합 위치와 제2 결합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하고, 제1 결합 위치에 대한 결합 기구의 작동은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김서림 방지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한다. 제2 결합해제 위치에 대한 결합 기구의 작동은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렌즈를 제거시키고 전력원으로부터 렌즈의 김서림 방지 가열 요소를 분리시킨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른 고글의 상호연결 기구는 텅-및-요홈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텅-및-요홈 중 하나는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텅-및-요홈 중 다른 하나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된다. 대안으로, 상호연결 기구는 캡-및-리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캡은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리지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이 양태는 특히 고글의 전방 주연부로부터 렌즈를 벗겨내는 단지 단일 단계가 사용자가 렌즈를 제거하기 위해 요구되고, 필수적으로 다른 렌즈의 주연부와 전방 주연부를 결합하는 단일 단계가 요구되는, 렌즈 상으로 또는 이 내로 통합되는 김서림 방지용 고글 상에서 렌즈를 교체하는 단계를 추가로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라 전력원과의 전기적 연결의 구성은 임의의 추가 단계가 렌즈에 대한 전력의 연결을 구성하기 위하여 추가로 요구되지 않고 렌즈의 교체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또는 자동화된다. 물론, 사용 중이 아닐 경우 배터리 전력이 보존될 수 있도록 배터리 전력 시스템 상에 온/오프 스위치(실제로 전형적으로는 고/저 전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지만 이러한 작동은 렌즈의 교체를 위한 추가 단계로서 보여지지 않고, 이는 이러한 교체가 우선 배터리를 차단시키지 않고(switch off) 저-전압 전력 시스템 내의 시스템 또는 사용자에게 위험을 야기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 양태의 김서림 방지 교체형 렌즈 고글은 상호연결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호연결 기구의 일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호연결 기구의 일부는 상기 렌즈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른 상호연결 기구는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의 결합을 보강시킨다.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복수의 후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후크가 렌즈의 제1 단부에 매달리고, 하나 이상의 후크가 렌즈의 제2 단부에 매달리며, 상호연결 기구는 복수의 래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래치가 몸체의 제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래치가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의 상기 래치가 래치의 제1 결합 위치에서 배터리와 상기 렌즈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고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들 중 하나의 후크와 결합된다. 각각의 상기 래치는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렌즈를 분리시키고 각각의 래치의 제2 결합해제 위치에서 배터리-동력식 열 공급원으로부터 렌즈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의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복수의 래칭 게이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이고, 하나 이상의 게이트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하나 이상의 게이트는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의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대해 렌즈의 단부를 편향시키는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여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각각의 상기 게이트는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킨다. 각각의 상기 게이트는 또한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하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라서, 상호연결 기구는 대안으로 실리콘 밴드 및 포스트 조합, 외부 실리콘 스킨 또는 주변 부재, 또는 클립 타입의 상호연결부를 갖는 팝-오프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모두가 본 발명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라서, 다양한 날씨, 조명 및 김서림 상태에 적응하도록 구성된 교체형 렌즈를 갖는 고글은 몸체, 렌즈, 몸체와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한 필-오프 수평 텅-및-요홈 결합 기구, 및 스트랩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의 몸체, 렌즈, 및 스트랩은 전술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몸체, 렌즈 및 스트랩과 유사하다. 필-오프 수평 텅-및-요홈 결합 기구에 있어서, 텅-및-요홈 중 하나는 렌즈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되고 텅-및-요홈 중 다른 하나는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된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고글은 필-오프 캡-및-리지 결합 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캡은 렌즈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되고 리지는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라 제공된 고글은 가열식 렌즈와 함께 또는 이를 배제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고, 사용자는 예컨대, 고글 내외에서의 상대 습도, 외부 온도, 체온, 상당히 격렬한 활동을 요하는 지형의 난이성, 및 기압 조건과 같이 주어진 날씨, 조명, 및 김서림 상태에 따라 고글 렌즈의 타입을 준비할 수 있다. 고글의 사용자는 드물게 이러한 조건이 임의의 주어진 날에 있을 수 있는 필연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글은 임의의 주어진 날에 발생될 수 있는 많은 그리고 변화하는 조건에 폭 넓게 적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르는 고글은 텅-및-요홈 및 캡-및-리지 결합 기구가 이용되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래치와 같은 상호연결 기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밀폐된 위치에서 래치가 상기 렌즈를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 편향시켜서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의 탈착가능한 상호연결을 보강하고, 상기 래치의 개방 위치에서 렌즈가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 시에 탈착되도록 개방 위치와 밀폐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하고 몸체로부터 매달린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라서, 상호연결 기구는 대안으로 실리콘 밴드 및 포스트 조합, 외부 실리콘 스킨 또는 면, 또는 클립 타입의 상호연결부를 갖는 팝-오프 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전술된 바와 같이 모두가 본 발명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른 고글의 렌즈는 재차 텅-및-요홈 또는 캡-및-리지 결합 기구가 이용되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거나 또는 래치, 실리콘 밴드-및-포스트 조합, 외부 실리콘 스킨 또는 면, 또는 팝-오프 면이 이용되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배터리와의 연결을 위해 적합하고 렌즈 상에 김서림 방지 가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몸체에 대한 렌즈의 상호연결은 또한 배터리와 렌즈 상의 김서림 방지 가열 요소를 연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른 고글은 통합된 김서림 방지 수단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맑은 날을 위한 렌즈이거나, 통합된 김서림 방지 수단을 갖거나 또는 갖지 않는 구름낀 날을 위한 렌즈이거나, 또는 비, 폭설, 또는 이들 간의 일부 날씨 조건에 대해 적합한 렌즈이든지 완전 교체형 렌즈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적합한 렌즈를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글을 사용함으로써 적절히 선택된 고글을 통해 더 명확한 시야의 안전에 기여하고, 이는 원하는 경우 렌즈의 교체, 및 고글에 대한 전기적 열 공급원의 실질적으로 자동식 상호연결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배터리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김서림 방지 교체형 렌즈를 갖는 고글이 제공되고, 상기 고글은 제1 및 제2 단부, 전방 부분 및 후방 부분을 갖는 반-강성 주변 몸체, 주변 몸체의 반-강성 후방 부분을 결합시키기도록 구성된 반-가요성 전방 부분을 갖는 주변 렌즈 프레임 - 렌즈 프레임은 사용자의 눈 주위에 사용자의 안면을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가요성 후방 부분을 가짐 - , 및 상부에 전기식 가열 요소를 가지며 렌즈 프레임 내에 장착된 렌즈 - 렌즈와 렌즈 프레임은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고 단일의 고글 엔클로저를 형성함 - 를 포함한다. 고글의 이 실시 형태는 결합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결합 기구는 몸체의 반-가요성 후방 부분과 렌즈 프레임을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몸체에 부착된 부분과 렌즈 프레임에 부착된 부분, 및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에 적합하고 몸체로부터 매달린 상호연결 스트랩 수단을 가지며,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의 상호연결이 또한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의 상호연결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가열 요소의 분리가 또한 몸체의 반-강성 후방 부분으로부터의 결합해제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도록 상호연결 스트랩이 결합 기구와 함께 작동가능하며, 스트랩은 사용자의 머리 및 헬멧에 고글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 실시 형태의 고글 몸체는 배터리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고,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이 실시 형태의 몸체는 배터리 강도를 시그널링하기 위해 테스트 버튼과 배터리용 온/오프 스위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대안으로, 배터리는 고글의 후방 몸체 부분 상에 배열될 수 있고, 렌즈와 주변 프레임은 몸체의 전방 부분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스트랩은 몸체와 프레임을 함께 보유하고, 이에 따라 렌즈의 가열 요소와 배터리 사이의 상호연결이 보강된다. 본 발명의 이들 추가 특징에 따라 김서림 방지 모드에서 고글의 조작이 더 용이해지고, 이는 사용자의 머리에 고글을 간단히 배치함으로써 고글의 몸체와 용이 교체형 렌즈의 결합이 보강되며, 또한 배터리 전력 공급원과 고글의 가열 요소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 실시 형태, 다른 실시 형태 및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배터리는 스트랩 내에 또는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와이어는 렌즈 프레임 또는 고글의 몸체에 대해 스트랩의 외부에 또는 이를 통하여 통과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특히 본 명세서의 결론 부분에서 청구된 바와 같이 주지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추가 이점 및 목적과 함께, 구성 및 작동 방법이 첨부된 도면에 따른 하기 상세한 설명에 따라 가장 잘 이해될 것이며,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는 김서림 방지 교체형 렌즈 고글의 사시도.
도 2는 방수 배터리 팩이 고글의 스트랩 부분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머리에 감긴 것으로 도시된 도 1의 고글의 상부 평면도.
도 3a는 저항성 와이어 김서리 방지 수단을 가지며 도 1의 고글의 대안의 비-착색된 렌즈 부분의 전방 평면도.
도 3b는 저항성 와이어 김서리 방지 수단을 가지며 도 1의 고글의 대안의 착색된 렌즈 부분의 전방 평면도.
도 3c는 김서리 방지 수단을 가지 않고, 도 1의 고글의 대안의 착색된 렌즈 부분의 전방 평면도.
도 4a는 고글 몸체 상에 탈착가능한 렌즈가 설치되기 전에 도 4k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 몸체 부분과 탈착가능한 렌즈를 도시하는 고글의 대안의 실시 형태의 텅-및-요홈 결합 기구의 상면도.
도 4b는 렌즈가 고글 몸체 상에 장착되고 보강 래치 또는 게이트를 갖지 않고, 도 4k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의 몸체와 렌즈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글의 대안의 텅-및-요홈 결합 기구의 상면도.
도 4c는 고글 몸체에 부분적으로 장착되고, 보강 게이트를 가지며, 도 4k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의 몸체와 렌즈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글의 대안의 텅-및-요홈 결합 기구의 상면도.
도 4d는 고글 몸체에 장착되고, 보강 게이트를 가지며, 도 4k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의 비-김서림 방지 렌즈를 도시하는, 도 4c의 대안의 텅-및-요홈 결합 기구의 상면도.
도 4e는 분해된 모듈식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도 4k에 일반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프레임 내의 고글의 렌즈를 도시하는, 대안의 텅-및-요홈 결합 기구의 상면도.
도 4f는 분해된 모듈식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김서림 방지 고글에 대한 대안의 실리콘 밴드 및 포스트 상호연결 기구의 사시도.
도 4g는 분해된 모듈식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실리콘 스킨 또는 면을 갖는, 김서림 방지 고글용 대안의 실리콘 스킨 및 면 상호연결 기구의 사시도.
도 4h는 분해된 모듈식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고글의 고글 몸체 부분, 렌즈 및 면을 갖는, 김서림 방지 고글용 대안의 스냅-온 면 상호연결 기구의 사시도.
도 4i는 분해된 모듈식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고글의 고글 몸체 부분, 및 렌즈 면/프레임을 갖는 김서림 방지 고글용 대안의 클립-온 풀 렌즈 면 상호연결 기구의 사시도.
도 4j는 분해된 모듈식 구성요소로서 도시된, 고글의 고글 몸체 부분, 렌즈 및 면을 갖는, 김서림 방지 고글용 대안의 클립 온 렌즈 상호연결 기구의 사시도.
도 4k는 도 4a 내지 도 4e에 대해 취한 단면도를 도시하는 일반적인 김서림 방지 고글의 정면도.
도 5a는 고글의 몸체에 설치하기 전에, 렌즈가 단면도로 도시되고, 도 4a의 고글의 실시 형태의 상호연결 기구 및 와이어링의 일부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 5b는 렌즈가 고글의 몸체 상에 부분적으로 설치되고 단면도로 도시되며, 도 4a의 고글의 실시 형태의 상호연결 기구 및 와이어링의 일부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 5c는 렌즈가 고글의 몸체 상에 부분적으로 설치되고 단면도로 도시되며, 도 4a의 고글의 실시 형태의 상호연결 기구 및 와이어링의 일부를 도시하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글용 캡-및-리지 결합 기구를 포함한 또 다른 대안의 실시 형태의 결합 기구를 도시하는 상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 방지 교체형 렌즈 고글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고글 스트랩, 다른 설비 및 다른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클립을 갖는, 일차 또는 이차 백업 파워용으로 적합한 대안의 방수 배터리 팩의 정면, 측면, 및 배면도.
도 1을 참조하면, 몸체(102), 용이 교체형 렌즈(104), 렌즈-대-몸체 결합 기구(106), 선택적 상호연결 수단 또는 기구(108) 및 변화하는 날씨, 조명 및 고글 김서림 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는 고글을 제공하는 스트랩(110)을 포함하는, 교체형 렌즈 고글(100)의 실시 형태의 교체형 렌즈 고글 구성요소가 도시된다.
김서림-방지 고글(100)로서 사용되는, 고글의 렌즈(104)는 전력 공급 케이블(116)을 통해 방수 전력 공급원(114)에 연결되는 저항성 와이어 김서림-방지 수단(resistive-wire anti-fog means, 112)을 추가로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원(114)은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또는 리튬-폴리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고, 배터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 스트랩(110) 또는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회전식 클립(701) 및 O-링 밀봉부(710)를 갖는 플라스틱 방수 케이스(119) 내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114)는 고글(100)의 사용자에게 배터리 강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예컨대 가변 색상 인디케이터 LED와 같은 배터리-수명 표시기(122), 배터리-수명 표시기 스위치(120) 및 온-오프 스위치(118)를 포함한다. 렌즈(104)는 결합 기구(106)의 내부 부분 또는 표면을 포함하는 렌즈 프레임(117)을 추가로 포함하고, 결합 기구(10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및-리지 결합 기구(cap-and-ridge engagement mechanism)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텅-및-요홈 결합 기구(tongue-and-groove engagement mechanism)와 같은 임의의 탈착식 부착 기구를 포함한다.
몸체(102)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안면과 접하는 발포체 또는 고무-타입 재료를 포함하는 후방의 가요성 부분(101)과 렌즈(104)와 접하는 전방의 더 강성이고 반-강성의 효과를 가지며 경량인 플라스틱,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의 부분(103)을 포함한다. 몸체(102)의 후방 가요성 부분(101)은 사용자의 코의 콧마루에서 그리고 사용자의 눈 주위에서 사용자의 안면과 결합되며, 몸체(102)는 전방 주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방 주연부 주위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및-요홈 결합 기구의 텅 부분(409)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및-리지 결합 기구의 리지 부분(609)이든지 결합 기구(106)의 일부가 설치된다. 결합 기구의 일부가 몸체(102)의 전방 부분(103)의 주연부 상에 있든지, 대응 결합 부재는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이 렌즈(104) 상에 부착되고, 결합 기구(106)의 2개의 부분은 렌즈를 몸체에 접하게 하고, 결합시키며, 탈착가능하게 부착시킨다. 이 부착은 렌즈(104)를 몸체(102)에 밀봉시킬 수 있지만 이를 밀봉시킬 필요는 없다. 렌즈(1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몸체(102)의 반-강성 전방 부분을 결합시키기에 적합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상호연결 기구(108)는 렌즈(104)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금속화된 인입부(indentation, 111) 내로 후크고정되는 드로우 래치(draw latch, 109)를 포함한다. 드로우 래치의 바람직하게는 금속 엄지손가락 누름 부분(113)에 따라 사용자는 고글 몸체(102)와 렌즈(104)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드로우 래치를 하향으로 누를 수 있다. 드로우 래치(109)는 몸체(102) 상에서의 렌즈(104)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해 제공될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도 4a에 관해 추가로 기재되고 와이어(116)를 통하여 배터리-작동식 전력 공급원(114)과 렌즈 상에 김서림-방지 저항성 수단(112)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추가로 형성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몸체(102), 용이 교체형 렌즈(104), 렌즈-대-몸체 결합 기구(106), 선택적 상호연결 수단 또는 기구(108') 및 변화하는 날씨, 조명 및 고글 김서림 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는 고글을 제공하는 스트랩(110)을 포함하는, 교체형 렌즈 고글(100')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교체형 렌즈 고글 구성요소가 도시된다. 스트랩(110)은 쌍을 이루는 스월 링(430)을 이용하여 외부 몸체 주연부 부분(105)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와이어링(116)은 적합한 플러그(432)를 이용하여 탈착가능하거나, 또는 단순히 몸체(102)의 외부 몸체 주연부 부분(105)에 하드-와이어링될 수 있다(hard-wired).
도 2의 고글(100')과 도 1의 고글(100) 사이의 주요한 차이는 고글(100')의 드로우 래치(109')의 버클 부분(115')이 드로우 래치 상에서 피벗회전하는 반면 고글(100)의 드로우 래치(109)의 버클 부분(115)은 드로우 래치와 일체구성되는 데 있다. 그 결과, 드로우 래치(109, 109')의 일부 내부 작동이 두 실시 형태 사이에서 다소 상이할 수 있지만 고글의 몸체(102) 상으로 렌즈(104)의 확고한 결합을 보장하고 또한 배터리(114)와 렌즈(104)의 가열 요소 김서림-방지 저항성 수단 간의 상호연결을 구성하기 위해 렌즈(104)의 후크 부분(111) 상으로 클램핑고정하는 이의 기능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3가지의 상이한 실시 형태의 렌즈 부분의 정면도가 도시된다. 도 3에는 저항성-코팅, 필름, "겔" 또는 이 상에 층 김서림-방지 수단(112')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라 고글의 밝게 착색되거나 또는 착색되지 않은 렌즈 부분(104')이 도시된다. 도 3b에는 상부에 저항성-와이어 김서림-방지 수단(112)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라 고글의 착색된 렌즈 부분(104")의 대안의 실시 형태가 도시된다. 도 3c에는 상부에 임의의 배터리 가열식 김서림-방지 수단을 갖지 않고 본 발명에 따라 고글의 상이하게 착색된 렌즈 부분(104"')의 또 다른 대안의 실시 형태가 도시된다.
도 2,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및 도 6을 참조하면, 임의의 렌즈 부분(104, 104', 104", 104"')에 대한 결합 기구(106)의 텅(409), 요홈(407) 또는 리지(609) 부분의 부착은 몰딩, 그루잉(gluing) 및/또는 물리적 핀/리벳 타입 부착 수단을 통하여 구현되며, 이는 가능한 텅, 요홈 또는 리지의 부착이 바람직하게는 렌즈 프레임 부분(11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확고한 밀봉 방식으로 렌즈 프레임 부분(117)의 전체 주연부 주위에 몰딩될 수 있는 경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이한 쉐이드 틴트(shade tint) 및 상이한 김서림-방지 수단의 복수의 렌즈가 도시된다. 도 3a의 렌즈(104')는 필요에 따라 김서림-방지 표면의 스크레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이중-렌즈 구성 또는 투명 후방을 갖는 김서림-방지 코팅(112')을 포함한 투명 렌즈 표면(302)을 포함한다. 김서림-방지 코팅(112')은 바람직하게는 분사될 수 있거나, 공지된 이온-스퍼터링 기술로 증착될 수 있거나, 페인팅될 수 있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층상이거나 또는 도포될 수 있는 ITO(Indium Tin Oxide)를 포함한다. 필름 가열 부재(112')는 본 발명의 진실된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전기 회로에 연결 시에 열을 생성하는 저항성 요소의 형태로 설계된 또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104')는 상호연결/결합 후크, 상호연결 기구(108)를 통하여 포지티브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플레이트 또는 인입부(410), 또는 하기에서 전력 공급 케이블(116)을 통하여 전력 공급원(114)에 대한 다른 상호연결 기구(하기에서 개시됨)를 추가로 포함하다. 렌즈(104')는 렌즈 상에서 도 3a에 도시된 결합 기구(106)의 일부가 요홈 또는 텅을 포함할 수 있고 도 4a에서 도면부호(407, 409)로 도시된 텅-및-요홈 타입 결합 기구일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렌즈 상에서 도 3a에 도시된 결합 기구(106)의 일부가 캡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면부호(607, 609)로 도시된 캡-및-리지 타입 결합 기구인 결합 기구(106)의 일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에, 렌즈(104')와 연계되는 결합 기구(106)의 일부는 렌즈에 상호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전체 주연부 주위에서 연장되어 고글(100)의 몸체(102)와 렌즈(104') 사이에서 완전하지만 탈착가능한 부착 또는 대안으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04')에 대한 결합 기구(106)의 텅(409), 요홈(407) 또는 캡(607) 부분의 부착이 몰딩, 글루잉 및/또는 물리적 핀/리벳 타입 부착 수단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고, 이는 텅, 요홈 또는 캡의 부착이 바람직하게는 렌즈 표면(30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을 갖는 밀봉과 같이 확고한 방식으로 렌즈 표면 주위에 타이트하게 몰딩되는 경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제 도 3b를 참조하면, 렌즈(104")는 요구에 따라 김서림-방지 표면의 스크레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공재된 바와 같은 이중-렌즈 구조 또는 투명 후방을 갖는 상부에 포함된 김서림-방지 저항성 와이어(112)를 포함한 착색된 렌즈 표면(302')을 포함한다. 렌즈(104")는 상호연결 기구(108) 또는 하기에서 기재된 다른 상호연결 기구를 통하여 전력 공급 케이블(116)에 의한 전력 공급원(114)으로의 포지티브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상호연결/결합 후크 또는 플레이트(410)를 추가로 포함한다. 렌즈(104')는 렌즈 상에서 도 3b에 도시된 결합 기구(106)의 일부가 요홈 또는 텅을 포함할 수 있고 도 4a에서 도면부호(407, 409)로 도시된 텅-및-요홈 타입 결합 기구일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렌즈 상에서 도 3b에 도시된 결합 기구(106)의 일부가 캡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면부호(607, 609)로 도시된 캡-및-리지 타입 결합 기구인 결합 기구(106)의 일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에, 렌즈(104")와 연계되는 결합 기구(106)의 일부는 렌즈에 상호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전체 주연부 주위에서 연장되어 고글(100)의 몸체(102)와 렌즈 사이에서 완전하지만 탈착가능한 부착 또는 대안으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04")에 대한 결합 기구(106)의 텅(409), 요홈(407) 또는 캡(607) 부분의 부착이 몰딩, 글루잉 및/또는 물리적 핀/리벳 타입 부착 수단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고, 이는 텅, 요홈 또는 캡의 부착이 바람직하게는 렌즈 표면(30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확고한 방식으로 렌즈 표면 주위에 타이트하게 몰딩되는 경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제 도 3c를 참조하면, 렌즈(104"')는 대안의 착색된 렌즈 표면(302")을 포함하고, 이는 시스템에 손상을 입히지 않거나 심지어 배터리 수명을 감소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고글이 이용될 수 있는 비-김서림-방지 렌즈의 사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비-김서림-방지 저항성 코팅 또는 이 상에 와이어를 포함한다. 이 특징에 따라 배터리가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든지 고글의 사용에 있어서 보다 더욱 안심이 되고, 사용자는 날씨, 지형 및 순간 조명 조건에 적합하게 고글을 선택할 수 있다. 렌즈(104"')는 와이어링 없이 비-김서림-방지 렌즈가 설치되는 경우 상호연결 기구(108) 또는 후술된 다른 상호연결 기구를 통하여 포지티브 전기적 연결을 허용하기에 적합한 상호연결/결합 후크 또는 플레이트(410)를 추가로 포함할지라도, 상호연결 기구는 전력 공급 케이블(116)을 통하여 전력 공급원(114)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지 않지만 상호연결 기구는 추가로 하기에 기술되고 선택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결합 기구를 보강한다. 렌즈(104"')는 렌즈 상에서 도 3c에 도시된 결합 기구(106)의 일부가 요홈 또는 텅을 포함할 수 있고 도 4a에서 도면부호(407, 409)로 도시된 텅-및-요홈 타입 결합 기구일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렌즈 상에서 도 3c에 도시된 결합 기구(106)의 일부가 캡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도 6에서 도면부호(607, 609)로 도시된 캡-및-리지 타입 결합 기구인 결합 기구(106)의 일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 경우에, 렌즈(104"')와 연계되는 결합 기구(106)의 일부는 렌즈에 상호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전체 주연부 주위에서 연장되어 고글(100)의 몸체(102)와 렌즈 사이에서 완전하지만 탈착가능한 부착 또는 대안으로 밀봉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104"')에 대한 결합 기구(106)의 텅(409), 요홈(407) 또는 캡(607) 부분의 부착이 몰딩, 글루잉 및/또는 물리적 핀/리벳 타입 부착 수단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고, 이는 텅, 요홈 또는 캡의 부착이 바람직하게는 렌즈 표면(302")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확고한 방식으로 렌즈 표면 주위에 타이트하게 몰딩되는 경우이다.
이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a,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몸체(102), 용이 교체형 렌즈(104'), 텅(409) 및 요홈(407)을 포함하는 렌즈-대-몸체 결합 기구(106), 선택적 상호연결 기구(108') 및 변화하는 날씨, 조명 및 고글 김서림 상태에 대해 용이하게 적응할 수 있는 고글을 제공하는 스트랩(110)을 포함하는, 대안의 실시 형태의 고글(100')이 도시된다. 고글(100')의 렌즈(104')와 고글 몸체(102)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구성요소에 대응되는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1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10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고글(100')은 김서림-방지 고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고글(100')의 렌즈(104')가 전력 공급 케이블(116)을 통하여 방수 전력 공급원(114)에 연결되는 저항성-필름 김서림-방지 수단(112)을 추가로 포함하기 때문이다. 전력 공급원(114)은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한 요소와 특징부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고글(100)과는 달리, 고글(100')은 드로 래치(109'), 또는 압력 래치를 포함하는 상이한 스타일의 상호연결 기구(108') 및 후크(410) 상호연결 기구를 포함한다. 상호연결 기구(108')는 텅-및-요홈 결합 기구(407, 409)를 보강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더욱 격렬한 물리적 활동 중에 야기되는 낙하 동안에 렌즈(104')는 충격 시에 손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호연결 기구(108')는 일 방식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로 도시될 수 있고, 결합 기구(407, 409)는 더 타이트한 공차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보다 수수한 타입의 활동 고글 착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 결합 기구는 고글 몸체(102)의 외측 주변 부분과 렌즈(104')를 결합시키기에 충분한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호연결 기구(108')는 추가로 몸체(102)와 렌즈(104')의 상호연결 시에 전력 공급원(114)과 복합 렌즈(104') 내의 저항성-필름 김서림-방지 수단(112)(예를 들어, 보호 내부 중합체 코팅과 주 폴리카보네이트 렌즈를 포함함)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호연결 기구(108')는 렌즈(104')의 제1 및 제2 외측 단부 상에 장착된 금속 후크(410)를 포함한다. 이들 후크(410)는 상호연결 기구(108)의 전방 부분(115)이 인입부 내로 결합되는 도 1에서의 유사 인입부(111)와는 다소 상이하다. 상호연결 기구(108')는 대안의 엄지손가락 누름 부분(113') 및 버클(115')을 추가로 포함하는 드로우 래치(109')를 추가로 포함한다. 저항성-필름 김서림-방지 수단(112')은 저항성 필름(112')이 렌즈 프레임(117)을 통과하는 전기 연결 와이어(420)에 의해 상호연결되도록 렌즈(104') 상에 배치된다. 버클(115')은 또한 금속 후크(410)와 버클(115')의 상호연결이 결합 기구(106)를 보강하고 동시에 와이어링(419, 116), 저항성 필름(112')(또는 대안으로 저항성 와이어(112)), 와이어(420), 금속 후크(410), 래치 또는 클립(115'), 드로우 래치(109') 및 엄지손가락 누름 부분(113')으로 구성되는 회로를 동시에 밀폐하도록 드로우 래치(109')(및 바람직하게는 엄지손가락 누름 부분(113'))와 같이 금속으로 구성된다. 이는 상호연결 기구(108)와 기능이 유사하다. 따라서, 상호연결 기구(108')를 통하여 렌즈(104')는 배터리-작동식 전력 공급원(114)과 김서림-방지 저항성 수단(112) 사이의 전기적 상호연결이 확고하게 형성될 때와 유사하게 몸체(102)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양태는 고글이 설계되는 활동성과 연계되어 사용하도록 전력 공급원(114)과 새로운 렌즈(104)의 상호연결을 위해 대부분의 하나 또는 둘의 단계에서 최소의 단계를 이용한다.
이 방식으로, 요홈(407) 및 텅(409)을 포함하는 결합 기구(106)에 의해 렌즈(104')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상호연결 기구(108')는 또한 렌즈의 보강과 동시에 전술된 회로를 완성한다.
결합 기구(106)의 텅-및-요홈 결합 기구(409, 407)에 있어서, 텅(409)은 몸체(102)의 전방 주변 부분(103)으로부터 매달린 것으로 도시되고, 텅이 본 명세서에서 추가로 기재된 바와 같이 몸체의 전방 주변 부분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이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된다. 텅-및-요홈 결합 기구(106)의 요홈(407)은 렌즈 프레임(117) 내에 형성된다.
스트랩(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 또는 헬멧(8) 상에서 고글(100')의 안정된 고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신축성이 있으며 게다가 탄성을 갖는 통상적인 조절형 탄성중합체성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은 조절 부재(121)를 통하여 조절가능하다. 게다가, 방수 배터리 케이스가 스트랩(110)에 재봉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스트랩 상에 또는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도 5a를 참조하면, 드로우 래치(109")를 포함하는 상호연결 기구(108")의 동작이 도시된다. 도 5a에서, 사용자는 렌즈(104')를 제거하는데 자유롭고, 이는 래치 또는 클립(115)이 렌즈 상의 후크(410)에 결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몸체(102)의 텅(409)과 렌즈(104')의 요홈(407)을 상호연결하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전기 회로를 밀폐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드로우 래치(109")의 엄지손가락 누름 부분(113")을 들어올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10) 내의 래치(115)를 배치해야 한다. 이러한 동작이 수행되면, 사용자는 엄지손가락 누름 부분(113")을 누르고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우 래치(109")를 밀폐할 수 있어서 렌즈(104')가 몸체(102)의 텅(409)에서 보강되고 회로가 완성되어 렌즈(104') 내에서 또는 상에서 탄성 요소(112)에 힘이 전달될 수 있다.
이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 형태가 개시되며, 여기서 고글(100")이 도시된다. 고글(100', 100)과 같이, 고글(100")도 또한 외측 주연부(105'), 전방 부분(103'), 및 사용자의 안면에 결합하는 후방 부분(101)을 추가로 포함하는 몸체(102')를 포함하며, 렌즈 프레임(117")을 추가로 포함하는 렌즈(104") 및 스트랩(110)을 포함한다. 결합 기구(106)는 또한 텅(409)과 요홈(407)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이 실시 형태에 따라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같이, 렌즈(104")는 저항성 렌즈 와이어링(112) 또는 필름(112')을 추가로 포함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특정 틴트 특성을 갖는 렌즈 표면(302)을 포함한다. 고글(100, 100')과 유사하게, 고글(100")의 전기적 연결은 저항성 렌즈 와이어링(112) 또는 대안으로 저항성 필름(112')과 렌즈(104")의 후방 부분이 몸체(102')의 전방 부분(103')에 설치될 때 배터리 수명 표시기(122)와 배터리 수명 스위치(120)가 있는 온/오프 스위치(118)를 포함한 방수 케이스(119) 내에 수용된 배터리 전력 공급원(114) 사이에서 동시에 구현된다.
고글(100")과 고글(100, 100') 간의 주요한 차이는 상호연결 기구를 보강하는 드로우 래치 타입을 포함하지 않는 데 있다. 그러나, 텅(409)과 요홈(407)은 텅과 요홈 사이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더 강력한 상호연결 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제조된다. 고글(100")의 렌즈(104")와 고글 몸체(102')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1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10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고글(100")에 포함된 배터리 공급원(114)을 가지며, 필름(112') 또는 와이어링(112)의 상호연결을 위한 상호연결 기구가 제공된다. 김서림-방지 수단(112) 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heads up display system)과 같은 다른 전기적 요구를 위한 전기적 상호연결에 따라 요홈(407)의 내부 표면이 금속화되고 와이어링(112) 또는 필름(112')에 연결하며, 동시에 텅(409)이 또한 금속화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419, 116)를 통한 이들과 배터리(114)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허용된다.
이제,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 형태가 개시되며, 여기서 고글(100"')이 도시된다. 본 발명을 포함하는 다른 고글과 같이, 고글(100"')도 또한 외측 주연부(105")를 갖는 몸체(102"), 렌즈(104") 및 추가로 렌즈 프레임(117")과 스트랩(110)을 포함한다. 결합 기구(106)는 또한 텅(409)과 요홈(407)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이 실시 형태에 따라 개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와 같이, 렌즈(104")는 저항성 렌즈 와이어링(112) 또는 필름(112')을 추가로 포함하고 원하는 바에 따라 특정 틴트 특성을 갖는 렌즈 표면(302)을 포함한다. 고글(100"')의 렌즈(104")와 고글 몸체(102")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1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10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고글(100, 100', 100")과 유사하게, 고글(100"')의 전기적 연결은 저항성 와이어(112) 또는 대안으로 저항성 필름(112')과 렌즈(104")의 후방 부분이 몸체(102')의 전방 부분(103)에 설치될 때 배터리 수명 표시기(122)와 배터리 수명 스위치(120)가 있는 온/오프 스위치(118)를 포함한 방수 케이스(119) 내에 수용된 배터리 전력 공급원(114) 사이에서 동시에 구현된다.
도 4c의 고글(100"')은 핑거 부재(452) 및 피벗(454) 상에 몸체(102")에 대해 피벗회전가능하고 이로부터 매달리는 피벗회전식 기저 부재(450)를 추가로 포함하는 상호연결 기구(106")를 보강하는 게이트-타입 래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게이트 래치 상호연결 기구(106")는 핑거 부재의 원위 단부가 프레임(117") 또는 렌즈(104")를 편향시키는 렌즈(104")의 표면(302 또는 302')와 결합 시에 몸체 상의 제 위치로 스냅고정되고, 이에 따라 렌즈가 제 위치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포스트(409)의 금속화 표면(417)과 요홈(407)의 금속화 내부 표면(411) 사이에 전기적 연결이 형성되고, 요홈은 저항식 히터 요소(112)와 상호연결되며 포스트는 와이어링(419)과 상호연결되며 차례로 와이어링(116) 및 배터리(114)에 연결된다.
이제 도 4d를 참조하면, 고글(100"")은 또한 핑거 부재(452) 및 피벗(454) 상에 몸체(102")에 대해 피벗회전가능하고 이로부터 매달리는 피벗회전식 기저 부재(450)를 추가로 포함하는, 도 4c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이 상호연결 기구(106")를 보강하는 게이트-타입 래치를 포함한다.
게이트 래치 상호연결 기구(106")는 핑거 부재의 원위 단부가 프레임(117") 또는 렌즈(104"')를 편향시키는 렌즈(104")의 표면(302") 또는 프레임(117")과 결합 시에 몸체(102") 상의 제 위치로 스냅고정되고, 이에 따라 렌즈가 제 위치에 고정된다. 고글의 이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배터리 공급원(114)과 저항성 히터 요소(112, 112') 사이에 어떠한 전기적 연결도 형성되지 않으며, 이는 렌즈(104"') 내에 히터 요소(112, 112')가 없기 때문이다.
도 4d의 이 실시 형태에 따라 배터리(114) 상의 스위치(118)는 배터리가 사용 중이지 않을 때, 온 또는 오프 상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글 내의 비-김서림-방지 렌즈가 손상을 받지 않거나 또는 배터리를 지나치게 소모시키지 않을 것이다. 도 4d의 실시 형태는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타입의 렌즈가 상이한 결합 및 상호연결 기구를 사용하는 상이한 고글 몸체와 교체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이제 도 4e를 참조하면, 렌즈(476)를 고정하기 위한 반-강성 내지 반-가요성 전방 부분(475)을 추가로 포함하는 주변 내부 렌즈 프레임(470) 및 단일의 개방 고글 엔클로저로서 콧마루와 눈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의 결합을 위한 더 연성이고 가요성이며 발포-고무-유사 후방 부분(479)을 포함하는 대안의 실시 형태의 고글(468)이 도시된다.
렌즈 프레임(470)은 주변 텅-및-요홈 렌즈/몸체 결합 부재(480)의 일부로서 제공되는, 전기적 접촉의 목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화되는 요홈(474)을 형성한다. 렌즈(476)는 내부 렌즈 프레임(470) 내에 고정되고 이 상에는 예컨대 저항성-필름 가열 요소 또는 저항성-와이어 가열 요소와 같은 저항성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482)가 배치되며, 저항성 가열 요소는 477에서 금속화 요홈(47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글(468)은 요홈(474)과 결합되도록, 전기적 접촉의 목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화되는 주변 텅(486)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전방의 주변방향 반-강성 내지 반-가요성 몸체 부재(484)를 추가로 포함한다. 텅(486)은 또한 몸체 부재 내에 수용된 배터리(490)에 몸체 부재(484)의 단부(465, 467)를 통하여 와이어(488)와 부분(487)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글 몸체 부재(484), 렌즈 프레임(470) 및 고글(468)의 렌즈(476)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구성요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476)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렌즈 프레임(470)에 의해 고정된다.
저항성 요소(482)에 대한 배터리(490)의 연결부는 몸체 상에 형성된 온/오프 스위치(492)를 가지며, 몸체 상에 형성된 배터리 테스트 버튼(494)이 제공되고 몸체 상에 또한 배터리 강도 표시기(495)가 제공된다. 온/오프 스위치(492)를 누를 때, 배터리 강도 표시기(495), 열, 또는 전력 수준 표시기(499)가 고글의 사용자에게 고글(468) 내에서 보여지고 표시된다. 고글(468)은 추가로 사용자의 머리 또는 헬멧에 고글을 고정하기 위하여 몸체(484)의 단부(465, 467)에 커넥터(463)에 의해 부착된 스트랩(496)을 추가로 포함한다. 주변 텅(486)과 요홈(474)의 간격은 선택적으로 스트랩(496)이 텅과 요홈 사이의 선택적 스프링 편향 또는 디텐트(detent)를 극복하도록 사용자가 이의 머리에 고글을 배치할 때까지 배터리(490)와 저항성 요소(482)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형성하기 않도록 텅 및/또는 요홈 내의 다소의 디텐트에 따라 달성되는 바와 같이 주변 텅과 요홈을 다소 이격된 상태로 고정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대안으로, 텅(486)과 요홈(474)의 간격은 스트랩(496)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지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각각 서로 전기적 접촉부를 편향시키는데 적합할 수 있다. 물론, 고글(468)은 이의 렌즈(476)에서 저항성 와이어 또는 저항성 필름 김서림-방지 수단, 또는 대안으로 비-김서림-방지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이제 도 4f를 참조하면, 렌즈(504)의 주연부를 둘러싸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다른 탄성 또는 대안으로 점착성 또는 신축성 재료로 제조된 외측 렌즈 프레임(502)을 포함하는 고글(500)이 도시된다. 렌즈(504)는 저항성 와이어(112) 또는 저항성 필름(112') 또는 이 위에 김서림 수단 가열 요소를 포함한다. 렌즈(504)의 각각의 단부(503, 505) 상에는 신축성, 바람직하게는 렌즈의 결합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호연결 기구(506, 508)로서 제공되는 실리콘 재료로 형성된 루프 또는 밴드(506, 508)가 제공된다. 루프/밴드 상호연결 기구(508)는 바람직하게는 렌즈 프레임(502)으로부터 루프/밴드 상호연결 기구의 용이한 그래빙(grabbing), 설치 및 제거를 돕기 위해 루프 밴드의 가장 이격된 위치에 풀 탭(pull tab, 510)을 추가로 포함한다.
고글(500)은 바람직하게는 반-가요성이지만 탄성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고글 주변 몸체(512)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라스틱 몸체(512)의 각각의 단부(511, 513) 상에는 각각 포스트(514, 515)가 제공되며, 각각의 포스트는 각각 대응 신축성 실리콘 루프 밴드(506, 508)를 수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포스트 주위에 형성된 채널(516, 517)을 갖는다. 고글 렌즈 프레임(502)이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을지라도, 고글(500)의 고글 몸체(512)와 렌즈(504)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5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51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렌즈 프레임(502)은 렌즈 프레임의 단부에 각각 쌍을 이루는 접촉부(516, 528)를 추가로 포함하고 고글 몸체(512)는 한 쌍의 접촉부(530, 532)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 접촉부들 중 하나의 접촉부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포스트(514, 515)의 전방 부분에 제공된다. 고글(500)은 고글 몸체(512)의 단부(511, 513)에 각각 매달리는, 실리콘 스트랩 신장 부재(520, 522)를 추가로 포함한다. 각각의 포스트(514, 515) 주위에서 밴드(506, 508)를 연신 시에, 고글 몸체(512) 상에서 렌즈 프레임(502)의 결합이 보장되고, 저항성-필름 김서림-방지 수단(112')과 고글(512)의 내측에 있는 배터리(519) 사이에 또는 스트랩 신장 부재(520, 522)에서 전기적 연결이 형성된다. 전기적 연결은 각각 고글 몸체(512)의 포스트(514, 515) 상의 접촉부(530, 532)와 렌즈 프레임(502) 상의 접촉부(526, 528)을 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글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고글(500)은 예컨대, 글루잉(gluing)에 의해 고글 몸체(512)의 후방 부분에 부착된 후방 발포 고무 계면 부재(524)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고글(500)의 안락한 계면이 제공되고 사용자의 머리 또는 헬멧에 고글의 안착을 돕기 위해 직물 스트랩 부분(507)이 제공된다.
고글(500)은 각각 렌즈(504) 상에서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의 온/오프 및 열 수준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 고글 몸체(512)의 각각의 단부(511, 513) 상에 바람직하게는 포스트(514, 515) 상에 버튼(534, 536)을 추가로 포함한다. 온/오프 버튼(534)을 누를 때, 열 공급원이 켜진다. 대안으로, 바람직하게는 배터리-강도 표시기(도시되지 않음), 및 열 또는 전력 수준, 표시기(도시되지 않음)가 고글의 사용자에게 고글(500)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재차 온/오프 버튼(534)을 누를 때, 열 공급원이 꺼지거나 또는 전력이 보다 정확히 상당히 낮은 전력 상태로 줄어든다. 버튼(536)을 누름에 따라 김서림-방지 수단(112')(또는 대안으로 도시되지 않은 112)에 적용된 전력 수준이 조절되고, 또한 전력 수준 디스플레이(540)가 김서림-방지 수단에 적용된 전력의 수준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짧은 기간 이후에, 표시기(538, 540)는 고의로 사용자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꺼진다. 회로(588)는 또한 예를 들어, 전등 파이프(electric light pipe)를 사용하여 전력 온/오프, 전력 수준 증가/감소, 전력 수준 표시 및 배터리 수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 배터리(519), 표준 USB 또는 다른 전력 커넥터 충전 리셉터클(575)을 상호연결한다.
이제, 도 4g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서 대안의 실시 형태의 고글(600)이 제공된다. 고글(600)은 실리콘 신장 부재(620, 622)를 포함한 단부(611, 612)를 갖는 몸체(612)를 포함한다. 고글 몸체(612)는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605), 하나 이상의 부착 하부 립(603), 및 고글 몸체(612)의 내부에 있는 배터리 전력 공급원(619)을 추가로 포함한다. 전력 공급원(619)은 대안으로 실리콘 신장 부재(620, 62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고글(600)은 저항성-필름/코팅 김서림-방지 수단(112'), 또는 대안으로 저항성-와이어 김서림-방지 수단(112)을 갖는 개별 렌즈(604)를 추가로 포함한다. 접촉부(624, 626)는 고글 몸체(612) 상에 제공되고, 대응 접촉부(628, 630)는 배터리 전력 공급원(619)과 렌즈의 저항성 가열 수단(112')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기 하기 위해 렌즈(604) 상에 제공된다. 외부 면 부재(602)는 고글 몸체(612)와 렌즈(604)의 상호연결을 위해 제공되고, 외부 면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고글 몸체의 하부 립(603)을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하부 외측 립(632)을 가지며 실리콘으로 제조된다. 외부 면 부재(602)는 고글 몸체(612)의 부착 리셉터클(605) 내에 삽입을 위해 측면 너브(side nub, 635)와 상부 너브(upper nub, 635)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에 따라 실리콘 면 부재와 고글 몸체 사이의 제 위치에 고정되고 개재되는 렌즈와 고글 몸체 및 실리콘 면 부재가 상호연결된다. 고글 면/스킨(602)이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을지라도, 고글(600)의 렌즈(604)와 고글 몸체(612)가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6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61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렌즈(604) 상에서 김서림-방지 수단(112')은 접촉부(624, 626, 628, 630)를 통하여 고글 몸체(612)와 접촉을 이룬다.
도 4e에 따라 도시된 것과 같은 전기 회로(688)는 고글(600)의 고글 몸체(612) 내에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77)와 유사한 렌즈(604) 상의 접촉부(예를 들어, 버스 바(buss bar))(628, 630)가 제공되고, 고글 프레임 상의 접촉부(624, 626)는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87)와 유사하고, 와이어링(688)은 저항성-필름 가열 수단(112'), 배터리(619), USB, 또는 다른 전력 연결 충전 리셉터클(675), 온/오프 버튼(634), 전력 수준 조절 버튼(636) 및 표시기(638, 640)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고글 몸체(612)를 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글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고글(600)은 예컨대, 글루잉에 의해 고글 몸체(612)의 후방 부분에 부착된 후방 발포 고무 계면 부재(625)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고글(600)의 안락한 계면이 제공된다. 고글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직물 스트랩 부분(607)을 포함한다. 고글 몸체(612)는 또한, 배터리(619)가 고장 난 경우 또는 렌즈(604)가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을 갖지 않는 경우 김서림 및 응축을 배제하기 위해 통기를 돕는 벤트(621)를 포함할 수 있다.
고글(600)은 각각 렌즈(604) 상에서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의 온/오프 및 열 수준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 고글 몸체(612)의 각각의 단부(611, 613) 상에 버튼(634, 636)을 추가로 포함한다. 온/오프 버튼(634)을 누를 때, 열 공급원(619)이 켜지고, 바람직하게는 배터리-강도 표시기(638), 및 열 또는 전력 수준, 표시기(640)가 고글의 사용자에게 고글(600)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재차 온/오프 버튼(634)을 누를 때, 열 공급원이 꺼지거나 또는 전력이 보다 정확히 상당히 낮은 전력 상태로 줄어든다. 버튼(636)을 누름에 따라 저항성 코팅/필름 김서림-방지 수단(112') 또는 대안으로 저항성-와이어 김서림-방지 수단(112)(도시되지 않음)에 적용된 전력 수준이 조절되고, 또한 전력 수준 디스플레이(640)가 김서림-방지 수단에 적용된 전력의 수준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짧은 기간 이후에, 표시기(638, 640)는 고의로 사용자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꺼진다. 회로(688)는 또한 예를 들어, 전등 파이프를 사용하여 전력 온/오프, 전력 수준 증가/감소, 전력 수준 표시 및 배터리 수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 배터리(619), 표준 USB 충전 리셉터클(675)을 상호연결한다.
이제 더 4h를 참조하면, 도 4g의 고글(600)과 유사한 고글(700)이 도시된다. 고글(600)과 같이, 고글(700)은 이에 매달린 실리콘 신장 부재(720, 722)를 갖는 고글 몸체(712)를 갖는다. 고글(700)은 복수의 부착 슬롯(705), 손가락 누름 부착 보조부(706), 부착 하부 립(703), 및 실리콘 신장 부재(720, 722)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고글 몸체(712)의 내부에 형성된 배터리 전력 공급원(719)을 포함한다. 고글(700)은 저항성-와이어 김서림-방지 수단(112) 또는 이 상에 저항성-필름 김서림-방지 수단(112')을 갖는 개별 렌즈(704)를 추가로 포함한다. 접촉부(724, 726)는 고글 몸체(712) 상에 제공되고, 대응 접촉부(728, 730)는 배터리 전력 공급원(719)과 렌즈의 상호연결을 허용하는 렌즈(704) 상에 제공된다. 외측 팝-오프 면 부재(702)는 고글 몸체(712)와 렌즈(704)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며, 외측 팝-오프 면 부재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고글 몸체와 외측 팝-오프 면 부재를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부착 프롱(attachment prong, 732)을 갖는다. 이 방식으로, 고글 몸체(702)와 외측 팝-오프 면 부재(702)는 외측 팝-오프 면 부재와 고글 몸체 사이의 제 위치에 개재 및 고정되는 렌즈(704)와 상호연결된다. 외부 팝-오프 면 부재(702)는 실리콘으로 구성될 수 있고, 면 부재, 고글 몸체(712) 및 고글(700)의 렌즈(704)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대응 구성요소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7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71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렌즈 상의 김서림-방지 수단(112')은 또한 팝-오프 면 부재(702)에 의해 고글 몸체(712)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되고, 이에 따라 김서림-방지 수단이 접촉부(724, 726, 728, 730)를 통하여 고글 몸체 와 접촉을 이룬다.
도 4e에 따라 도시된 것과 같은 전기 회로는 고글(700)의 고글 몸체(712) 내에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77)와 유사한 렌즈(704) 상의 접촉부(예를 들어, 버스 바)(728, 730)가 제공되고, 고글 프레임 상의 접촉부(724, 726)는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87)와 유사하고, 와이어링(788)은 저항성-필름 가열 수단(112'), 배터리(719), USB, 또는 다른 전력 연결 충전 리셉터클(775), 온/오프 버튼(734), 전력 수준 조절 버튼(736) 및 표시기(738, 740)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고글 몸체(712)를 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글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고글(700)은 예컨대, 글루잉에 의해 고글 몸체(712)의 후방 부분에 부착된 후방 발포 고무 계면 부재(725)를 추가로 포함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고글(700)의 안락한 계면이 제공된다. 고글(700)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직물 스트랩 부분(707)을 포함한다.
고글(700)은 각각 렌즈(704) 상에서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의 온/오프 및 열 수준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 고글 몸체(712)의 각각의 단부(711, 713) 상에 버튼(734, 736)을 추가로 포함한다. 온/오프 버튼(734)을 누를 때, 배터리(719)가 켜져서(즉, 회로 내에서) 저항성 가열 수단(112')에 전력이 공급되며, 바람직하게는 배터리-강도 표시기(738), 및 열 또는 전력 수준, 표시기(740)가 고글의 사용자에게 고글(700)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재차 온/오프 버튼(734)을 누를 때, 열 공급원이 꺼지거나 또는 전력이 보다 정확히 상당히 낮은 전력 상태로 줄어든다. 버튼(736)을 누름에 따라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에 적용된 전력 수준이 조절되고, 또한 전력 수준 디스플레이(740)가 김서림-방지 수단에 적용된 전력의 수준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짧은 기간 이후에, 표시기(738, 740)는 고의로 사용자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꺼진다. 회로(788)는 또한 예를 들어, 전등 파이프를 사용하여 전력 온/오프, 전력 수준 증가/감소, 전력 수준 표시 및 배터리 수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 배터리(719), 표준 USB 충전 리셉터클(775)을 상호연결한다.
이제 더 4i를 참조하면, 대안의 실시 형태의 고글(800)이 이로부터 매달린 직물 스트랩을 포함하는 단부(811, 813)를 갖는 고글 몸체(812)를 포함하는 것으로 개시된다. 고글 몸체(812)는 이 내에 형성된 복수의 부착 클립 리셉터클(805) 및 고글 몸체의 내부에 있는 배터리 전력 공급원(819)를 갖는다. 고글(800)은 팝-오프 백 프레임(pop-off back frame, 809) 상에 일체구성된 렌즈(804)를 추가로 포함하고, 백 프레임(809)은 고글 몸체(812)로부터 부착 및 탈착가능하며, 렌즈는 저항성-필름 김서림-방지 수단(112') 또는 대안으로 이 상에 저항성-와이어 김서림-방지 수단(112)을 갖는다. 전력 커넥터 리셉터클(824, 826)은 고글 몸체(812) 상에 제공되고, 대응 전력 커넥터(828, 826)는 배터리 전력 공급원(819)과 렌즈(804)의 저항성 김서림-방지 수단(112')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팝-오프 백 프레임(809) 상에 제공된다. 팝-오프 백 프레임(809)의 후방 부분에 부착되고 이로부터 매달리는 복수의 누름 스냅 피트 클랩(835)은 대응 부착 리셉터클(805) 내에 삽입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결합 시에, 고글 몸체(812)와 팝-오프 백 프레임(809)은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되고, 렌즈(804)의 김서림-방지 수단(112')은 전력 커넥터(828, 830)와 전력 커넥터 소켓(824, 826)을 통하여 고글 몸체(812) 상에서 배터리(819)에 전기적으로 상호연결된다. 렌즈(804)와 렌즈 백 프레임(809)은 대응 부착 리셉터클(805) 내에서 클립 상의 후크에 의해 고정된 스냅 피트 클립(835)에 의해 고글 몸체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탈착 보조 인입부(801)는 고글 몸체(812)로부터 백 프레임(809)의 분리를 돕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고글(800)의 고글 몸체(812), 렌즈 백 프레임(809) 및 렌즈(804)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결합 기구(106)와 대략 대응하는 대응 구성요소(렌즈 백 프레임(809))과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8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81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4e에 따라 도시되는 것과 유사한 전기 회로가 고글(800)의 고글 몸체(812) 내에 제공되고, 렌즈 백 프레임(809) 상의 전력 커넥터(828, 830)는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77)와 유사하며 고글 프레임 상의 전력 커넥터 리셉터클(824, 826)은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87)와 유사하고, 와이어링(888)은 저항성-필름 가열 수단(112'), 배터리(819), USB, 또는 다른 전력 연결 충전 리셉터클(875), 온/오프 버튼(834), 전력 수준 조절 버튼(836) 및 표시기(838, 840)를 상호연결하기 위해 렌즈 백 프레임(809) 및 고글 몸체(812)를 통하여 형성된다.
고글(800)은 각각 렌즈(804) 상에서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의 온/오프 및 열 수준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 고글 몸체(812)의 단부(811) 상에 복수의 버튼(834, 836)을 추가로 포함한다. 온/오프 버튼(834)을 누를 때, 배터리-강도 표시기(838), 및 열 또는 전력 수준, 표시기(840)가 고글의 사용자에게 고글(800)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버튼(836)을 누름에 따라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에 적용된 전력 수준이 조절되고, 또한 전력 수준 디스플레이(840)가 김서림-방지 수단에 적용된 전력의 수준을 표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짧은 기간 이후에, 표시기(838, 840)는 고의로 사용자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꺼진다. 회로(888)는 또한 예를 들어, 전등 파이프를 사용하여 전력 온/오프, 전력 수준 증가/감소, 전력 수준 표시 및 배터리 수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 배터리(819), 표준 USB 충전 리셉터클(875)을 상호연결한다.
이제 도 4j를 참조하면, 단부(911, 913), 각각의 단부(911, 913)로부터 가요성 방식으로 매달린 실리콘 신장 부재(920, 922), 및 각각의 실리콘 시장 부재로부터 매달린 직물 스트랩(907)을 포함한 고글 몸체(912)를 갖는 고글(900)이 도시된다. 고글(900)은 고글 몸체(912) 내의 전방 표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부착 리셉터클(905) 및 실리콘 신장 부재(920, 922) 내에 형성되거나 또는 대안으로 고글 몸체(912)이 내부(도시되지 않음)에 있는 배터리 전력 공급원(919)을 갖는다.
고글(900)은 저항성-필름/코팅 김서림-방지 수단(112'), 또는 대안으로 저항성-와이어 김서림-방지 수단(112)을 가지며, 주변 팝-오프 렌즈 프레임 내에 형성된 렌즈(904)를 추가로 포함한다. 접촉부(924, 926)는 고글 몸체(912) 상에 제공되고, 대응 접촉부(928, 930)는 커넥터(997, 998)를 통하여 배터리 전력 공급원(919)과 렌즈의 상호 연결을 가능하기 하기 위해 렌즈(904) 상에 제공된다. 외부 필-오프 실리콘 면 부재/스킨(outer peel-off silicone face member/skin, 902)은 팝-오프 렌즈 프레임(909)을 덮기 위해 제공되고, 외부 필-오프 실리콘 면 부재/스킨은 팝-오프 렌즈 프레임(909)의 주연부 상에서 외측 립(952)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후방 주연부 주위에서 내부 립(950)을 포함하고, 스타일의 목적으로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갖는다. 외부 필-오프 면 부재(902)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구성될지라도, 고글(900)의 팝-오프 렌즈 프레임(909), 고글 몸체(912) 및 렌즈(904)는 고글(100)에 대해 기재된 대응 구성요소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구성된다. 렌즈(904)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몸체(912)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팝-오프 렌즈 프레임(909)은 고글 몸체(912) 상에서 부착 리셉터클(905)과 팝-오프 렌즈 프레임을 탈착가능하게 결합하고, 이에 따라 고글 몸체(912) 상의 제 위치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렌즈와 고글 몸체 그리고 고정된 렌즈와 팝-오프 렌즈 프레임 부재를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손가락 누름 부분(933)을 갖는 복수의 부착 프롱(932)을 추가로 포함한다. 따라서, 부착 리셉터클(905) 내에 결합된 부착 프롱(932)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되고, 렌즈 상의 김서림-방지 수단(112')이 접촉부(924, 926, 928, 930)를 통하여 고글 몸체와의 접촉이 가능해지고 이러한 접촉이 보장될 수 있다.
고글(900)은 각각 렌즈(904) 상에서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의 온/오프 및 열 수준을 제어하기 위하여 각각 고글 몸체(812)의 단부(911, 913) 상에 복수의 버튼(934, 936)을 추가로 포함한다. 온/오프 버튼(934)을 누를 때, 김서림-방지 수단(112')으로의 전력이 회로 내로 배터리를 스위칭함으로써 제공되고, 배터리-강도 표시기(938), 및 열 또는 전력 수준, 표시기(940)가 고글의 사용자에게 고글(900) 내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온-오프 버튼(934)을 재차 누름에 따라 배터리는 꺼지거나 또는 매우 작은 무시할만한 전력 상태로 전력이 정확히 감소된다. 버튼(936)을 누름에 따라 김서림-방지 수단(112, 112')에 적용된 전력 수준이 조절되며, 또한 전력 수준 디스플레이(940)가 김서림-방지 수단에 적용된 전력의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짧은 기간 이후에, 표시기(938, 940)는 고의로 사용자를 혼란시키지 않도록 꺼진다. 전기 회로(999)는 또한 예를 들어, 전등 파이프를 사용하여 전력 온/오프, 전력 수준 증가/감소, 전력 수준 표시 및 배터리 수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 배터리(919), 표준 USB 충전 리셉터클(975)을 상호연결한다.
전기 회로(999)는 고글(900)의 고글 몸체(912) 내에 제공되는 도 4e에 대해 도시된 회로와 유사하며, 렌즈(904) 상의 접촉부(928, 930)는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77)와 유사하며, 고글 몸체 상의 접촉부(924, 926)는 도 4e에 도시된 접촉부(487)와 유사하다. 와이어링(999)은 배터리(919)와 저항성-코팅/필름 가열 수단(112'), 또는 대안으로 저항성 와이어 가열 수단(112)(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고글 몸체(912)를 통하여 이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 모두에 따라, 회로(999)는 또한 예를 들어, 전등 파이프를 사용하여 전력 온/오프, 전력 수준 증가/감소, 전력 수준 표시 및 배터리 수준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로직, 배터리(919), 표준 USB 충전 리셉터클(975)을 상호연결한다.
본 발명의 고글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고글(900)은 예컨대, 글루잉에 의해 고글 몸체(912)의 후방 부분에 부착된 고무 발포 고무 계면 부재(925)를 추가로 포함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안면에 고글(900)의 안락한 계면이 제공된다. 고글(900)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직물 스트랩 부분(907)을 포함한다.
이제 도 4k를 참조하면, 도 4a 내지 도 4e의 단면을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글의 전방 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4k의 단면은 또한 일반적으로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에 대한 단면이 취해지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참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고글(650)의 캡-및-리지 버전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대안의 실시 형태가 개시된다. 고글(650)은 이 상에 또는 이 내에 가열 요소(654)을 갖는 렌즈(652)를 포함한다. 가열 요소는 캡 에지(607)에서 말단을 이루는 렌즈 프레임(658)을 통하여 이어지는 와이어(65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렌즈(652)는 이의 주연부가 각각의 캡 및 리지의 주연부를 따라 캡 에지(607)를 탈착가능하게 고정하고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지 부분 내에서 말단을 이루는 몸체 부재(670)의 주연부에 대응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렌즈 프레임(658) 내의 와이어(658)는 접촉부(660)에서 말단을 이룬다. 렌즈(652)와 렌즈 프레임(658)은 프라스틱으로 제조되는 일체형 유닛일 수 있거나 또는 프레임은 렌즈의 주연부 주위에 장착될 수 있다. 고글(650)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이지만 탄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는 고글 몸체(670)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서, 고글 몸체(670)는 이의 후방에 사용자의 안면과 고글(650)이 접하는 발포 고무 타입의 계면(621)을 추가로 포함한다. 고글 몸체(670)는 접촉부(662) 및 와이어링(419)을 추가로 포함한다.
접촉부(660)는 선택적 플러그(663)를 통하여 몸체로부터 스트랩(110)에 의해 배터리(114) 내로 유도되는 와이어(116) 및 몸체(670)에 매립된 와이어(419)를 통하여 연결되고, 접촉부(662)와 전기적 접촉을 이루도록 배열된다. 사용자가 렌즈(652)를 교체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렌즈를 벗겨내고 이를 다른 렌즈로 교체하며, 이에 따라 렌즈(652)가 몸체(670)와 용이하게 결합되고, 사용자는 이에 따라 김서림-방지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가열 요소(654)를 갖는 고글 렌즈(652)를 가열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술된 전기적 상태를 자동으로 또는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 형태가 도시 및 기재될지라도, 다수의 변경 및 개조가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청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실된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형태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조합 및 정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예시로서, 캡-및-리지 결합 기구는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임의의 실시 형태에서 텅-및-요홈 결합 기구와 교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게다가, 대안의 실시 형태의 몸체 또는 렌즈 프레임을 갖는 교체형 렌즈 색상 또는 개시된 김서림-방지 기능도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본 발명의 진실된 사상과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모든 변경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1)

  1. 배터리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로서,
    제1 및 제2 단부, 사용자의 눈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요성 후방 부분 및 반-강성 전방 부분을 갖는 몸체,
    상부에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갖는 렌즈 - 상기 렌즈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됨 - ,
    상기 렌즈에 부착된 부분 및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몸체에 부착된 부분을 갖는 결합 기구,
    배터리와 상기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 몸체에 매달린 상호연결 기구 -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배터리와의 상기 렌즈의 가열 요소의 상호연결이 또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의 상호연결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가열 요소의 분리가 또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렌즈를 분리시키도록 상기 결합 기구와 함께 작동가능함 - , 및
    사용자의 머리와 헬멧 중 하나에 고글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와 상호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제2 단부와 상호연결됨 - 을 포함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텅-및-요홈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텅-및-요홈 중 하나는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텅-및-요홈 중 다른 하나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캡-및-리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캡은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리지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상기 렌즈의 후크와 결합을 위해 몸체에 피벗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래치 및 렌즈 상에 후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래치는 몸체에 대해 렌즈의 단부를 편향시키는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여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래치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몸체 상에 피벗회전식 래칭 게이트(latching gate)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대해 렌즈의 단부를 편향시키는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여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상기 게이트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렌즈로부터 매달린 복수의 신축성 밴드 및 몸체 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몸체에 대해 렌즈의 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대응하는 포스트 주위에 감겨진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고 이에 따라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각각의 상기 신축성 밴드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대응하는 포스트로부터 분리된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상기 렌즈의 가열 요소와 배터리-동력식 열 공급원 사이의 복수의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대응하는 포스트와 상기 신축성 밴드 내에 배열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주변 부재의 내부 주연부 주위에 복수의 상호연결 부재를 갖는 외부 주변 부재 및 고글 몸체의 외부 주연부 주위에 형성된 대응하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리셉터클은 몸체 상에서 렌즈를 편향시키기 위해 제1 밀폐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호연결 부재를 수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상기 상호연결 부재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이의 대응하는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된 개방 위치에서 작동가능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8. 배터리와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로서,
    제1 및 제2 단부, 사용자의 눈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요성 후방 부분 및 반-강성 전방 부분을 갖는 몸체,
    상부에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렌즈 - 상기 렌즈는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됨 - ,
    배터리와 상기 렌즈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된 결합 기구 - 결합 기구의 일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결합 기구의 일부는 상기 렌즈에 연결되며, 상기 결합 기구는 제1 결합 위치와 제2 결합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하고, 제1 결합 위치로의 상기 결합 기구의 작동은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고 배터리와 상기 렌즈의 김서림-방지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며, 제2 결합해제 위치로의 결합 기구의 작동은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렌즈를 제거하고 전력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렌즈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분리시킴 - , 및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와 상호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제2 단부와 상호연결되며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의 머리와 헬멧 중 하나에 고글을 고정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텅-및-요홈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텅-및-요홈 중 하나는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텅-및-요홈 중 다른 하나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구는 캡-및-리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캡은 렌즈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고, 리지는 몸체의 전방 부분의 주연부 상에 배열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11. 제8항에 있어서, 상호연결 기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호연결 기구의 일부는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상호연결 기구의 일부는 상기 렌즈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의 결합이 보강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복수의 후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후크가 렌즈의 제1 단부에 매달리고, 하나 이상의 후크가 렌즈의 제2 단부에 매달리며, 상호연결 기구는 복수의 래치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래치가 몸체의 제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하나 이상의 래치가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각각의 상기 래치가 래치의 제1 결합 위치에서 배터리와 상기 렌즈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고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상기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후크들 중 하나의 후크와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래치는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렌즈를 분리시키고 각각의 래치의 제2 결합해제 위치에서 배터리-동력식 열 공급원으로부터 렌즈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분리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복수의 래칭 게이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게이트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되며, 하나 이상의 게이트는 상기 몸체의 제2 단부에 피벗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각각의 상기 게이트는 상기 몸체에 대해 렌즈의 단부를 편향시키는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여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각각의 상기 게이트는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각각의 상기 게이트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렌즈로부터 매달린 복수의 신축성 밴드 및 몸체 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포스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신축성 밴드는 상기 몸체에 대해 렌즈의 부분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대응하는 포스트 주위에 감겨진 제1 위치에서 작동가능하고 이에 따라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각각의 상기 신축성 밴드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하고 몸체로부터 제거를 위해 렌즈를 분리시키는 대응하는 포스트로부터 분리된 제2 위치에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상기 렌즈의 가열 요소와 배터리-동력식 열 공급원 사이의 복수의 접촉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대응하는 포스트와 상기 신축성 밴드 내에 배열되는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기구는 렌즈의 가열 요소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도록 구성되며, 배터리는 주변 부재의 내부 주연부 주위에 복수의 상호연결 부재를 갖는 외부 주변 부재 및 고글 몸체의 외부 주연부 주위에 형성된 대응하는 복수의 리셉터클을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리셉터클은 몸체 상에서 렌즈를 편향시키기 위해 제1 밀폐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호연결 부재를 수용 및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몸체 상에 렌즈의 부착을 보강하고 배터리와 렌즈의 가열 요소를 상호연결시키며, 상기 상호연결 부재는 배터리로부터 렌즈의 가열 요소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이의 대응하는 리셉터클로부터 분리된 개방 위치에서 작동가능한 김서림-방지 교체형-렌즈 고글.
  16. 다양한 날씨, 조명 및 김서림 상태에 적응하도록 구성된 교체형 렌즈를 갖는 고글로서,
    제1 및 제2 단부, 사용자의 눈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요성 후방 부분 및 반-강성 전방 부분을 갖는 몸체,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렌즈,
    필-오프 수평 텅-및-요홈 결합 기구 - 텅-및-요홈 중 하나는 렌즈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되고 텅-및-요홈 중 다른 하나는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됨 - , 및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와 상호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의 제2 단부는 제2 단부와 상호연결되며,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의 머리에 고글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고글.
  17. 제16항에 있어서, 밀폐된 위치에서 래치가 상기 렌즈를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 편향시켜서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의 탈착가능한 상호연결을 보강하고, 상기 래치의 개방 위치에서 렌즈가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 시에 탈착되도록 개방 위치와 밀폐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하고 몸체로부터 매달린 래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부에 있는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며, 렌즈의 상호연결에 따라 배터리와 렌즈 상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가 연결되는 고글.
  19. 다양한 날씨, 조명 및 김서림 상태에 적응하도록 구성된 교체형 렌즈를 갖는 고글로서,
    제1 및 제2 단부, 사용자의 눈에 인접한 사용자의 안면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가요성 후방 부분 및 반-강성 전방 부분을 갖는 몸체,
    눈에 대한 보호부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이격된 거리에서 상기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렌즈,
    필-오프 캡-및-리지 결합 기구 - 캡은 렌즈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되고 리지는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를 탈착가능하게 상호연결하기 위해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의 주연부 주위에 부착됨 - , 및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스트랩 - 상기 스트랩의 제1 단부는 상기 몸체의 제1 단부와 상호연결되고 상기 스트랩의 제2 단부는 몸체의 제2 단부와 상호연결되며, 상기 스트랩은 사용자의 머리에 고글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는 고글.
  20. 제19항에 있어서, 밀폐된 위치에서 래치가 상기 렌즈를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 편향시켜서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과 렌즈의 탈착가능한 상호연결을 보강하고, 상기 래치의 개방 위치에서 렌즈가 몸체의 반-강성 전방 부분으로부터 제거 시에 탈착되도록 개방 위치와 밀폐된 위치 사이에서 작동가능하고 몸체로부터 매달린 래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글.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배터리와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상부에 있는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며, 렌즈의 상호연결에 따라 또한 배터리와 렌즈 상의 김서림-방지 가열 요소가 연결되는 고글.
KR1020147010084A 2011-10-18 2012-10-17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교체형 렌즈 고글 KR101782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48253P 2011-10-18 2011-10-18
US61/548,253 2011-10-18
US13/587,908 2012-08-16
US13/587,908 US9301879B2 (en) 2011-10-18 2012-08-16 Goggle with easily interchangeable lens that is adaptable for heating to prevent fogging
PCT/US2012/060523 WO2013059257A1 (en) 2011-10-18 2012-10-17 Interchangeable lens goggle adaptable to prevent fog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7174A KR20140077174A (ko) 2014-06-23
KR101782679B1 true KR101782679B1 (ko) 2017-09-27

Family

ID=48084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0084A KR101782679B1 (ko) 2011-10-18 2012-10-17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교체형 렌즈 고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9301879B2 (ko)
EP (1) EP2769263B1 (ko)
JP (1) JP6180066B2 (ko)
KR (1) KR101782679B1 (ko)
CN (1) CN104136965B (ko)
AU (1) AU2012326310B2 (ko)
CA (1) CA2852245C (ko)
WO (1) WO201305925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66B1 (ko) * 2018-08-10 2019-03-06 이재율 이중사출 고글
KR102010723B1 (ko) 2019-03-25 2019-08-13 이재율 김서림 방지를 위한 미세구조를 갖는 고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5187A (ko) 2019-07-25 2019-08-14 이재율 김서림 방지를 위한 미세구조를 갖는 고글
KR102290371B1 (ko) 2020-03-31 2021-08-19 이재율 이중사출에 의한 수경 제조방법
KR20220072230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재우 렌즈프레임에 멀티디자인층이 형성된 수경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5740A1 (en) 2000-06-02 2012-05-03 Oakley, Inc. Eyewear with detachable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US8482488B2 (en) 2004-12-22 2013-07-09 Oakley, Inc. Data input management system for wearable electronically enabled interface
US7013009B2 (en) 2001-06-21 2006-03-14 Oakley, Inc. Eyeglasse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eatures
USD801589S1 (en) 2006-02-10 2017-10-31 Gi Sportz Direct Llc Protective mask
EP2095178B1 (en) 2006-12-14 2015-08-12 Oakley, Inc. Wearable high resolution audio visual interface
US9999545B2 (en) * 2011-11-25 2018-06-19 Abominable Labs, Llc Modular anti-fog goggle system
US9532905B2 (en) * 2012-11-01 2017-01-03 Abominable Labs, Llc Goggle with battery pods
US10751218B2 (en) * 2013-01-25 2020-08-25 100% Speedlab, Llc Air cooled goggle
US10716708B2 (en) 2013-01-25 2020-07-21 100% Speedlab, Llc Protective eyewear systems and methods
WO2014138159A1 (en) * 2013-03-07 2014-09-12 Oakley, Inc. Regeneratable ant-fogging element for goggle
EP2973533A4 (en) 2013-03-15 2016-11-30 Oakley Inc ELECTRONIC ORNAMENTATION FOR EYEWEAR
WO2014201213A1 (en) 2013-06-12 2014-12-18 Oakley, Inc. Modular heads-up display system
CN105828651A (zh) * 2013-09-29 2016-08-03 阿巴米纳博实验室有限责任公司 多区域加热的眼罩
KR102258256B1 (ko) * 2014-01-31 2021-05-28 야마모토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고글
FR3019035A1 (fr) * 2014-03-26 2015-10-02 Bondet Lunettes Masque de protection des yeux, notamment pour la pratique du ski
US20160044747A1 (en) * 2014-08-08 2016-02-11 Lincoln Dale Prins Modular anti-fog devices
CN104407448A (zh) * 2014-12-02 2015-03-11 厦门安搏体育用品有限公司 护目镜镜片快速更换结构
JP6443748B2 (ja) * 2015-01-22 2018-12-26 山本光学株式会社 眼用保護具
CN107405213A (zh) * 2015-01-27 2017-11-28 阿巴米纳博实验室有限责任公司 适于防止起雾的可更换镜片的护目镜
EP3272241B1 (en) * 2015-03-19 2020-09-23 Wins Japan Co. Ltd. Attachment sheet, helmet, goggles, and method for attaching anti-fog sheet
US10009405B2 (en) 2015-04-27 2018-06-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ally adjusting quality of service using cognitive focus of attention detection
US20160359207A1 (en) * 2015-06-08 2016-12-08 Abominable Labs, Llc Thermally-protected chemical-cell battery system
EP3146947A1 (en) * 2015-09-25 2017-03-29 WMT Asia Limited Three-dimensional structure lens group for ski and snowboarding masks and mask provided with said group
JP2017068253A (ja) * 2015-09-28 2017-04-06 鈴木 達也 メガネ
ITUB20154254A1 (it) * 2015-10-09 2017-04-09 Anomaly Action Sports S R L Maschera di protezione per gli occhi, per impiego sportivo, comprendente un sistema ottico rimovibile
US10111780B2 (en) 2015-10-23 2018-10-30 Abominable Labs, Llc Goggle lens and face gasket engagement system
WO2017070628A1 (en) * 2015-10-23 2017-04-27 Abominable Labs, Llc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for heating eye-shield
CA3205571A1 (en) 2016-01-28 2017-07-28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Helmet with electrical heating device
USD827208S1 (en) * 2016-05-23 2018-08-28 Marlybag Ski helmet visor
US10456299B2 (en) 2016-12-15 2019-10-29 Maui Jim, Inc. Goggles with interchangeable lens attachment
CN110087883B (zh) 2016-12-16 2021-11-09 3M创新有限公司 红外反射型光学透明组件及其制造方法
US10509239B2 (en) * 2017-03-16 2019-12-17 Symbiotic, LLC Accessory mount for goggles
TWI628466B (zh) * 2017-06-02 2018-07-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佩戴顯示裝置
US11510814B2 (en) * 2017-06-29 2022-11-29 Kimpex Inc. Electric goggles for preventing fogging in cold weather conditions
WO2019159153A1 (en) * 2018-02-19 2019-08-22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Helmet
KR102047405B1 (ko) * 2018-05-14 2019-11-21 (주)경도상사 투시창 교체형 송기 마스크
WO2019234560A1 (en) * 2018-06-04 2019-12-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oformed abrasion-resistant multilayer optical fil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8784929B (zh) * 2018-08-31 2020-04-10 谢子胜 一种基于电磁感应定律的防雾电焊护目镜
USD919696S1 (en) * 2019-07-18 2021-05-18 Guangzhou Dexin Sport Googs Co., Ltd. Sports goggles
USD908784S1 (en) * 2019-08-28 2021-01-26 Aiping Zhang Ski goggle
USD906406S1 (en) * 2019-08-28 2020-12-29 Oakley, Inc. Goggle
USD906407S1 (en) * 2019-08-28 2020-12-29 Oakley, Inc. Goggle
USD919695S1 (en) * 2019-08-28 2021-05-18 Aiping Zhang Ski goggle
TWI709521B (zh) 2019-12-12 2020-11-11 鴻勁精密股份有限公司 輸送裝置之貼接機構及其應用之測試設備
CN111772924A (zh) * 2020-06-02 2020-10-16 倪鸿宁 一种防疫用具有防潮结构便于佩戴的防疫用护目镜
USD942530S1 (en) 2020-06-02 2022-02-01 Fabio Arguello, Jr. Goggles
CN111973340A (zh) * 2020-08-05 2020-11-24 四川大学 一种医用除雾护目镜
US11994750B2 (en) 2021-01-07 2024-05-28 Polaris Industries Inc. Goggle with anti-fog lens
CN113081480A (zh) * 2021-04-01 2021-07-09 上海理工大学 一种可塑性人体工学防护镜
CN114637131A (zh) * 2022-03-21 2022-06-17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电热式防水雾眼镜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0736A (en) 1959-10-13 1962-08-28 Chicago Eye Shield Company Protective face shield and hood
US4150443A (en) * 1978-03-13 1979-04-24 Robert E. Smith Anti-fogging sports goggle
US4209234A (en) 1978-06-02 1980-06-24 Mccooeye Donald E Defogging eye glasses
US4443893A (en) * 1980-08-05 1984-04-24 Yamamoto Kogaku Co., Ltd. Goggles for ski use
US4638728A (en) 1985-07-31 1987-01-27 Allen Elenewski Visor defroster
US4682007A (en) * 1986-04-17 1987-07-21 Hollander James M Defogging and deicing shield structure
JPS6462156A (en) * 1987-09-02 1989-03-08 Nitto Denko Corp Goggle equipped with anti-fogging device
US4868929A (en) * 1988-05-09 1989-09-26 Curcio Philip L Electrically heated ski goggles
DE3818389C1 (ko) 1988-05-30 1989-10-12 Optyl Holding Gmbh & Co Verwaltungs-Kg, 8013 Haar, De
JPH03228763A (ja) * 1990-02-02 1991-10-09 Takashi Nishiyama レンズ交換可能なゴーグル
US5363153A (en) * 1991-10-07 1994-11-08 Bailiff Clealen D Comfort zone heating apparatus for glasses or the like
US5471036A (en) 1991-12-02 1995-11-28 Sperbeck; Scott W. Goggle defogging system with transparent indium-tin-oxide heating layer disposed on a lens
US5459533A (en) 1993-11-12 1995-10-17 See Clear Eyewear Inc. Defogging eye wear
US5452480A (en) 1994-04-15 1995-09-26 Electric Eyewear Systems, Inc. Ski goggles
US5617588A (en) * 1995-03-16 1997-04-08 Uvex Safety, Inc. Snap together protective goggle construction with toric lens
US5802622A (en) * 1996-05-09 1998-09-08 Shalon Chemical Industries Ltd. Protective goggles
US5815235A (en) * 1997-07-09 1998-09-29 John L. Runckel Trust Ski goggles with pivotal frame members for interchanging lenses
CN2397631Y (zh) 1999-10-22 2000-09-20 华琦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闩锁机构的电连接器
JP2001170103A (ja) * 1999-12-17 2001-06-26 Pentel Corp ヒーター付ゴーグル
JP4337071B2 (ja) 2000-02-22 2009-09-30 山本光学株式会社 ゴーグル
US6718561B2 (en) * 2001-04-30 2004-04-13 John Dondero Goggle for protecting eyes with a movable lens and methods for using the goggle
JP4470085B2 (ja) * 2001-05-08 2010-06-02 山本光学株式会社 スポーツ用ゴーグル
US6701537B1 (en) * 2002-06-28 2004-03-09 Jamie J. Stamp Heated visor system
US6611965B1 (en) * 2002-12-23 2003-09-02 Shu-Min Lee Safety goggles
US6948813B2 (en) * 2003-01-21 2005-09-27 Dye Precision, Inc. Lens assembly parts and assemblies therefrom
US20050193478A1 (en) 2003-10-27 2005-09-08 Hussey Patrick P. Goggle attachment system
US7100215B2 (en) * 2004-08-18 2006-09-05 Qds Injection Molding Llc Goggles with changeable lenses
US7810174B2 (en) 2004-08-30 2010-10-12 Pasquale Matera Goggle lens interchange system
GB0522784D0 (en) 2005-11-08 2005-12-14 Nel Technologies Ltd Anti-fogging device and anti-fogging viewing member
US7648234B2 (en) * 2006-04-28 2010-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yewear with heating elements
US7686447B2 (en) * 2006-06-06 2010-03-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afety eyewear including a prescription insert
US7604346B2 (en) * 2007-03-08 2009-10-20 Day Sun Industrial Corp. Protective glasses assembly
US7882575B2 (en) * 2007-06-06 2011-02-08 Jiann Lih Optical Co., Ltd. Protective goggle assembly
US7856673B2 (en) 2007-07-18 2010-12-28 Cross Optical Group, Inc. Goggles with interchangeable lens
US20090025125A1 (en) * 2007-07-26 2009-01-29 Wan-Chen Jou Diving goggles with defogging device
US20090144872A1 (en) * 2007-08-29 2009-06-11 Stephane Lebel Attachment System For A Helmet
CN102171727A (zh) * 2007-09-13 2011-08-31 视威迅护目镜公司 用于护目镜的可颠倒的束带安装夹具
US20100064421A1 (en) * 2008-09-18 2010-03-18 Tzu-Feng Wang-Lee Protective Goggle Assembly
JP5344346B2 (ja) * 2009-12-02 2013-11-20 山本光学株式会社 防曇レンズ類及び眼用保護具
CA2855170C (en) 2010-03-19 2016-11-01 Oakley, Inc. Eyewear
US8893314B2 (en) * 2012-08-03 2014-11-25 Dye Precision, Inc. Sport goggle with quick release len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266B1 (ko) * 2018-08-10 2019-03-06 이재율 이중사출 고글
KR102010723B1 (ko) 2019-03-25 2019-08-13 이재율 김서림 방지를 위한 미세구조를 갖는 고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95187A (ko) 2019-07-25 2019-08-14 이재율 김서림 방지를 위한 미세구조를 갖는 고글
KR102290371B1 (ko) 2020-03-31 2021-08-19 이재율 이중사출에 의한 수경 제조방법
KR20220072230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재우 렌즈프레임에 멀티디자인층이 형성된 수경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36965A (zh) 2014-11-05
EP2769263B1 (en) 2019-03-27
AU2012326310B2 (en) 2016-03-24
JP2014531965A (ja) 2014-12-04
EP2769263A1 (en) 2014-08-27
NZ622576A (en) 2015-10-30
EP2769263A4 (en) 2015-09-16
CA2852245A1 (en) 2013-04-25
AU2012326310A1 (en) 2014-04-03
US9351880B2 (en) 2016-05-31
US20140237709A1 (en) 2014-08-28
US20160051411A1 (en) 2016-02-25
WO2013059257A9 (en) 2017-09-14
KR20140077174A (ko) 2014-06-23
US20130091623A1 (en) 2013-04-18
JP6180066B2 (ja) 2017-08-16
CN104136965B (zh) 2017-06-06
WO2013059257A1 (en) 2013-04-25
US9681987B2 (en) 2017-06-20
US9301879B2 (en) 2016-04-05
CA2852245C (en)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679B1 (ko) 김서림을 방지하기 위한 교체형 렌즈 고글
US9693395B2 (en) Goggle with easily interchangeable lens that is adaptable for heating to prevent fogging
US20180000648A1 (en) Interchangeable lens goggle adaptable to prevent fogging
US20180256398A1 (en) Modular anti-fog goggle system
US10398601B2 (en) Immersive experience headset adapted to prevent fogging
US9678367B2 (en) Multi-pane, multi-geometry goggle eye-shield
EP2914228B1 (en) Goggle with battery pods
US8756715B1 (en) Sport helmet with ventilating fan
US11382379B2 (en) Helmet
US11266198B2 (en) Connector assembly for a helmet
US10111780B2 (en) Goggle lens and face gasket engagement system
NZ622576B2 (en) Interchangeable lens goggle adaptable to prevent fogging
US10980308B2 (en)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