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562B1 -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 Google Patents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562B1
KR101782562B1 KR1020170067155A KR20170067155A KR101782562B1 KR 101782562 B1 KR101782562 B1 KR 101782562B1 KR 1020170067155 A KR1020170067155 A KR 1020170067155A KR 20170067155 A KR20170067155 A KR 20170067155A KR 101782562 B1 KR101782562 B1 KR 10178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rackets
elastic
fix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목
문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산업
Priority to KR1020170067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ng and fixing device of a lane separator including: respective support connecting portions having an elastic bracket for connecting and fixing each coupling shaft rod of a horizontal member coupled and fixed to face each other onto a support shaft rod of a vertical member of a lane separator, and having a concave/convex portion for fixing a fixing bracket with high fixing force to each other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slidable on a floor at a position of each elastic bracket facing each other to prevent rotation, caused by the damage by impacts due to collisions, and escape caused by deformation; a connecting block having a slidable coupling portion formed on and coupled to a bottom to be slidable into the concave/convex portion on the bottom thereof; and a fixing portion provid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and a surface opposite to the fixing bracke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having excellent assembly workability and preventing rotation of a vertical member by damage by minimizing the damage even caused by impacts from vehicle collisions, as well as securing longtime use and leading to excellent economic feasibility.

Description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본 발명은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선분리대의 수직부재의 지지축봉 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을 연결 고정하는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을 서로 높은 고정력으로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회전되는 것과 변형 등으로 인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선분리대용 연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and fixing device for a lane separation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ion and fixing device for a lane separation belt, which comprises an elastic bracket for connecting and fixing each coupling rod of a horizontal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ng and securing device for a lane departing lane, which can be fixed with a high fixing force and is prevented from being broken due to impact due to collision,

일반적으로, 차선분리대는 차량의 통행 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교통의 흐름을 공간적으로 분리 또는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Generally, the lane separation is one of th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in order to separate the roadwa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to spatially separate the flow of traffic or to prevent unauthorized crossing of the pedestrian.

이러한, 통상적인 차선분리대는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등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성형 제작되는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휘어졌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Such a typical lane separating bar is formed by a known method such as polyurethane, rubber, or a plastic material, and generally has a function of being bent and restored when the vehicle collides.

본원에서는 차선분리대 중에서도 수직부재의 상부에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축봉 상에 복수의 수평대를 포함하여 양 끝단으로 형성된 각 결합축봉이 서로 마주보게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각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차선분리대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upport shaft rods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rods are formed on the support shaft and the respective shaft rods formed at both ends are coupled and fixed to face each other in a conventional manner And is applied to a lane separating bar composed of each horizontal member.

상기와 같은 차선분리대와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본 출원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209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가로대를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도로 분리대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격의 완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Prior art relating to the lane dividing line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method of continuously interconnecting the respective cross bars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0209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filed 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tion , A technique such as a support for a road separation stand capable of improving the overall stiffness of a road separating block and improving the shock buffering effect has been propos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70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2열로 형성된 수직 지지대와, 고정 브래킷과 탄성 브래킷의 결합 고정에 의해 외부 충격이 발생하거나 장기적인 설치기간에도 차선분리대의 내부 결합구조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1670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the vertical support formed by two rows, the fixing bracket and the elastic bracket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ique for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inner joining structure of the lane departure lane during the lane departure period.

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48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짐은 물론 충돌에 따른 파손시에도 그 파손된 부분이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과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In addition,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71748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3"), not only can the vehicle be highly responsive to a vehicle collision, A technique such as a reinforcing bracket for a lane separator has been proposed so as to prevent a collision of the lane departure lan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2095호Korean Patent No. 10-080209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6706호Korean Patent No. 10-101670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7485호Korean Patent No. 10-1717485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지지봉의 삽입부로 가로대의 각 끝단에 형성된 삽입홀이 삽입된 후 일체형 마감캡이 삽입되어 연결 고정되나, 이는 마감캡 자체가 차량의 충격에 의해 쉽게 이탈되거나 혹은 파손되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in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insertion hole formed at each end of the cross bar is inserted by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support bar, and then the integral finish cap is inserted and fixed by the insertion hole, but the finish cap itself is easily detached or damaged by the impact of the vehicle I have.

선행기술문헌 2 내지 3은 수직부재의 수직봉 또는 지지축봉으로 수평부재의 양단에 형성된 각 결합축봉이 삽입되어 결합된 후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나, 상기 고정 브래킷은 중간에 얇은 리이브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관계로, 차량의 충돌에 의한 충격에 대하여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가지며, 그로 인해 고정 브래킷 또한 쉽게 분리되는 단점과 그 고정 브래킷의 분리로 인한 탄성 브래킷 또한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In the prior art documents 2 to 3, the elastic brackets and the fixing brackets are successively inserted and fixed after the respective shaft rods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are inserted and joined to the vertical bar or support shaft of the vertical member, The fixing bracke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impact due to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due to the fact that the fixing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bracket and the elastic bracket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fixing bracket is also separated It has disadvantages that occur frequently.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차선분리대의 수직부재의 지지축봉 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을 연결 고정하는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을 서로 높은 고정력으로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회전되는 것과 변형 등으로 인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선분리대용 연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ne separating apparatus comprising: an elastic bracket for connecting and disengaging respective engagement axles of a horizontal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ing and securing device for a lane departing lane which can be fixed at a high fixing force to each other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due to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연결부위가 더욱더 높은 고정력을 가지면서 교체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ing part having a higher fixing force and being easily replac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서로 마주보게 양 끝단으로 각 결합축봉이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결합축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축봉 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 브래킷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고정 브래킷의 포함하는 차선분리대의 각 탄성 브래킷과 각 고정 브래킷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로서, 상기 연결 고정장치는 각 탄성 브래킷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밑면으로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 및 상기 연결 블록의 상면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ounting a support shaft, the support shaft having a pair of support shaft rods fixed on a roa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elastic brackets;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s; Each of the support brackets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brackets extending from opposite sides of the elastic brackets so as to be slidable on a floor surface so as to form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 connecting block having a slide coupling pa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so as to be slidable from the concave / And a fix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and adapted to engage with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ixing bracket.

상기 고정부는 연결 블록의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 상기 고정 브래킷의 헤드에 밑면으로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랜지로 구성된다. The fixing part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lock, and a fix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head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s at the bottom.

상기 받침 연결부의 상단에는 연결 블록이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상면을 지지하는 커버가 일체로 형성된다. And a cover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block slidably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서로 마주보게 양 끝단으로 각 결합축봉이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결합축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축봉 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 브래킷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고정 브래킷의 포함하는 차선분리대의 각 탄성 브래킷과 각 고정 브래킷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로서, 상기 연결 고정장치는 각 탄성 브래킷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 및 양측에 상기 고정 브래킷이 삽입되는 각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밑면에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상부와 연결 블록의 상면과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일체형 연결 링크;를 포함한다. A vertical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road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shaft rods formed there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horizontal member having each of the engagement shaft rod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shaft ro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an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Wherein each of the connecting and securing devices is formed to be extended to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so that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are slidably slidable on the floor surface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A connection block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so as to be slidable with the concave / And an integral connecting link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상기 연결 링크의 밑면에 복수의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 브래킷의 상부와 연결 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인입 홈과 인입 돌기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and engaging grooves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link,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and a receiving reces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서로 마주보게 양 끝단으로 각 결합축봉이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결합축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축봉 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 브래킷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고정 브래킷의 포함하는 차선분리대의 각 탄성 브래킷과 각 고정 브래킷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로서, 상기 연결 고정장치는 각 탄성 브래킷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로 커버가 형성되며,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연결 홈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상부에서 그 탄성 브래킷의 상면과 상기 받침 연결부로 삽입되는 연결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홈과 함께 맞물리며, 상기 고정 브래킷이 관통되는 각각의 고정링 부재;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헤드 밑면에 상기 연결 블록과 고정링 부재의 상면과 맞물리게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 고정돌기;를 포함한다. A vertical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road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shaft rods formed there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horizontal member having each of the engagement shaft rod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shaft ro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an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Wherein the connecting and secur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ing links each having an upper cover at a position facing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and extending to form a concave / A connecting block having a slide engaging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concave-convex portion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each of the fixing brackets is engaged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onnection block inserted into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at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And a plurality of mounting fixing protrusion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stationary ring member.

상기 탄성 브래킷의 상면에는 복수의 맞물림 홈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링 부재의 밑면에는 상기 연결 블록의 연결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연결 돌기 및 상기 맞물림 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 결합돌기가, 상면에는 상기 장착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복수의 장착홈이 형성된다.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connection block and a plurality of fixed coupl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ring member,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fixing projections are formed.

본 발명은 차선분리대의 수직부재의 지지축봉 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을 연결 고정하는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을 서로 높은 고정력으로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회전되는 것과 변형 등으로 인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차량 충돌에 의한 충격에도 파손됨을 최소화하여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함은 물론 그로 인한 경제성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파손된 파편으로 인한 2차적인 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bracket connecting and fixing each coupling shaft of a horizontal member, which is fixed on a support shaft of a vertical member of a lane separation belt, is fastened to each other with a high fixing force, It is possible not only to have excellent assembling workability but also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impact of a vehicle collision, thereby securing a long period of use and economical efficiency It also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broken debris.

또한, 연결부위가 더욱더 높은 고정력을 가지면서 교체 또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파손됨을 최소화에 따라 차선분리대의 전체적인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함께 유지 보수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portion has a higher fixing force and can be easily replaced,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lane separation can be improved with minimized damage, and the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quickly.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따른 결합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ure 1,
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gaging cross section according to Figure 2,
FIG. 6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according to FIG. 4,
7 to 8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분리대(100)는 차량의 통행 방향에 따라 차도를 분리하거나 교통의 흐름을 공간적으로 분리 또는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되는 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차선분리대는 합성수지인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재질 등으로 성형 제작되어 차량의 충돌시 휘어졌다가 원상태로 복원되는 기능도 가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ane separator 100 is one of th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road for separating the roadway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ehicle or for spatially separating the flow of traffic or preventing unauthorized crossing of the pedestrian. Such a conventional lane dividing member is formed of synthetic resin such as polyurethane, rubber, or a plastic material, and has a function of being bent and restored when the vehicle collides.

통상적인 차선분리대(100)는 하부가 하단에 마련된 고정 플랜지(111)에 의해 도로에 공지된 방식에 의해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112)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110)와, 상기 지지축봉(112) 상에 복수의 수평대를 포함하여 양 끝단으로 형성된 각 결합축봉(122)이 서로 마주보게 공지된 방식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각 수평부재(120)로 구성된다. 상기한 차선부리대와 관련된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선행기술문헌 2에 기재된 것이므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한 상세한설명은 생략한다. The conventional lane departure band 100 is fixed by a fixed flange 111 provided at the lower end in a manner known in the road and includes a vertical member 110 and a pair of support rods 112, And each horizontal member 120 having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on its supporting shaft rod 112 and each of the connecting rod bars 122 formed at both ends thereof is coupled and fixed in a manner known to face each other. The detailed technical structure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lane departure point is described in the prior art document 2 which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d registered,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technical constitution will be omitted.

아울러, 상기 수직부재(110)의 지지축봉(112)으로 수평부재(120)의 각 결합축봉(122)은 상기 결합축봉(122)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축봉(112) 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 브래킷(130)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13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각의 고정 브래킷(140)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이때, 각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은 개별적으로 삽입시켜 고정하는 것에 비하여 상호 연결시켜 고정하는 것이 차량의 충돌에 대하여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형 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 고정된다. Each of the coupling axes 122 of the horizontal member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haft 122 and fixed to the supporting shaft rod 112 by the supporting shaft rod 112 of the vertical member 110. [ And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elastic brackets 130 and respective fixing brackets 140 inserted and fixed in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130. In this case, the resilient brackets and the fixing brackets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so as to be able to have high responsiveness against collision of the vehicle and to minimize deformation,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elastic brackets and the fixing brackets are inserted and fixed separately.

본 발명은 차선분리대의 수직부재의 지지축봉 상으로 서로 마주보게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의 각 결합축봉을 연결 고정하는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을 서로 높은 고정력으로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따른 충격에 의해 파손되어 회전되는 것과 변형 등을 인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높은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차선분리대용 연결 고정장치(1)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bracket connecting and fixing each coupling shaft of a horizontal member, which is fixed on a support shaft of a vertical member of a lane separation belt, is fastened to each other with a high fixing force, (1) for a lane departure lane so as to be able to have high impact resistance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and rotated and being detached due to deformation or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결 고정장치(1)는 각 탄성 브래킷(130)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돌기와 홈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인 통상적인 요철부(12)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10)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12)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밑면으로 상기 요철부와 대응되는 형태인 돌기와 홈이 연속 반복되는 슬라이드 결합부(22)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20); 및 상기 연결 블록(20)의 상면과 상기 고정 브래킷(140)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고정부(30);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and fix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a conventional concave-convex portion 12, which is a shape in which protrusions and grooves are continuously repeated so as to be slidable on the floor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130 (10); A connection block 20 on the bottom surface of which a slidably engaging portion 22 is formed and connected so that protrusions and grooves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cave-convex portion on the underside so as to be slidable by the concave-convex portions 12; And a fixing part (30)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20)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ixing bracket (140).

여기서, 연결 블록(20)은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에 대하여 각 탄성 브래킷(130)과 고정 브래킷(140)이 서로 연결되는 사이에 개재되어 높은 대응력을 가져, 충격에 대해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는 역할을 하며,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연결 블록(20)과 함께 각 탄성 브래킷(130) 및 고정 브래킷(140)을 연결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Here, the connection block 20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brackets 130 and the fixing bracket 140 in connection with impacts caused by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connection block 20 has a high response force, And the fixing part 30 fixes the elastic brackets 130 and the fixing bracket 140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block 20. [

고정부(30)는 연결 블록(20)의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32)과, 상기 고정 브래킷(140)의 헤드(142)에 밑면으로 상기 고정홈(32)과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돌기(34)가 형성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랜지(36)로 구성된다. The fixing section 30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2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ng block 20 and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32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s 3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142 of the fixing bracket 140. [ And a fixing flange 36 extended to form the fixing protrusion 34. [

즉, 받침 연결부의 요철부에 슬라이딩 되어 끼워진 연결 블록을 고정 브래킷이 탄성 브래킷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과정에서 그 탄성 브래킷의 헤드에 형성된 고정플랜지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돌기가 연결 블록에 형성된 복수의 고정홈으로 끼워져 결합 고정됨으로써, 긴밀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높은 고정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fixing flange formed on the head of the elastic bracket in a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 by inserting the fixing bracket into the connecting block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cave / So that they can be tightly and firmly fixed and have a high fixing force.

이로써, 본 발명은 번거롭거나 불편한 조립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탄성 브래킷에 연결 블록을 슬라이딩 연결한 후 그 탄성 브래킷으로 고정 브래킷을 삽입함에 따라 간단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roublesome or inconvenient assembly work, but can be easily connected and fixed by inserting the fixing bracket with the elastic bracket after sliding the connecting block to the elastic bracket.

더욱이,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의 연결 부위를 연결 블록을 개재시켜 높은 고정력과 내충격성을 갖도록 연결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에 대하여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어, 파손됨으로 인한 수평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한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하여 경제성도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Further,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elastic bracket and the fixing bracket with the connecting block so as to have a high fixing force and an impact resista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vehicle collision and minimize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due to the breakage Not only can it be used, but also it has a long period of use and secures economical efficiency.

아울러, 연결 구조로 인해 차량 충돌로 인해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될 경우,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함으로 인한 유지보수의 우수성은 물론 그로 인한 더욱더 높은 경제성도 가진다. In addition, when a part is damaged due to a collision du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not only replacement of the entire part but also replacement of only the damaged part results in excellent maintenance as well as higher economic efficiency.

한편, 상기 받침 연결부(10)의 상단에는 연결 블록(20)이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상면을 지지하는 커버(10A)가 일체로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cover 10A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onnection part 10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20 while the connection block 20 is slidably inserted.

즉, 상기 커버는 연결 블록이 슬라이딩 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하나의 보강 역할을 겸하여, 충돌에 의한 충격에도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지는 역할도 겸한다. That is, the cover allows the connection block to be slidably and slidably engaged when sliding, and also serves as a reinforcing role and also has a higher responsiveness to impact due to collis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따른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assembled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2,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use state according to FIG.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차선분리대와 관련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연결 고정장치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전술한 일부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the same technical constitution relating to the lane departure band is not described in detail, and only the connection and fixing apparatu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some of the same technical constructions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연결 고정장치(1)는 각 탄성 브래킷(130)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상적인 돌기와 홈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인 요철부(12)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10)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12)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상적인 돌기와 홈이 연속 반복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부(22)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20)과; 및 양측에 상기 고정 브래킷(140)이 삽입되는 각각의 관통공(42)이 형성되며, 밑면에 상기 각 탄성 브래킷(130)의 상부와 연결 블록(20)의 상면과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일체형 연결 링크(40);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fixing device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supporting brackets 13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astic brackets 130 so as to form a protruding portion 12, (10); A connecting block 20 having a slide engaging portion 22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oncave / The connecting brackets 140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rackets 140 and the connecting brackets 140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brackets 140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brackets 130, (40).

각 탄성 브래킷(130)의 상부와 연결 블록(20)의 상면과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것은, 상기 연결 링크(40)의 밑면에 복수의 결합 돌기(44A)와 결합 홈(44B)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 브래킷(130)의 상부와 연결 블록(2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44A)와 결합 홈(44B)과 대응되는 복수의 인입 홈(46A)과 인입 돌기(46B)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44A and coupling grooves 44B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link 4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lock bracket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20,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1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20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lead grooves 46A and lead-in projections 46B corresponding to the engagement protrusions 44A and the engagement grooves 44B.

연결 블록(20)은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에 대하여 각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이 서로 연결되는 사이에 개재되어 높은 대응력을 가져, 충격에 대해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는 역할을 한다. The connecting block 20 intervenes between the elastic brackets and the fixing brackets to each other in response to a collision caused by a collision of the vehicle, so that the connecting block 20 has high responsiveness and has a high impact resistance against impact.

아울러, 연결 링크는 각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 및 연결 블록을 한 번에 긴밀하게 밀착시켜 높은 고정력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즉 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은 각 탄성 브래킷의 상부와 연결 블록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인입 홈과 인입 돌기로 삽입되어 결합됨에 따라 높은 고정력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link serves to closely fix the elastic brackets, the fixing bracket, and the connection block at a time to fix them at a high fixing force, that is,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coupling groov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has a high fixing force as it is inserted and coupled with a plurality of lead-in groove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lead-in protrusion.

더욱이, 연결 링크는 연결 블록에 의해 각 탄성 브래킷을 연결한 상태에서 다시 한 번 연결되는 일체형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더욱더 높은 고정력을 가지도록 함과 동시에 충돌에 의한 충격에 대해서도 더욱더 높은 대응력을 가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Further, since the connection link is formed as a unitary shape in which the elastic brackets are connected once again by the connection block, the connection link is provided with a higher fix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Condition.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연결 고정장치 역시 번거롭거나 불편하게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즉 받침 연결부에 연결 블록을 슬라이딩 결합한 후 연결 링크를 각 탄성 브래킷의 상부와 연결 블록의 상부로 올려 결합한 다음 고정 브래킷으로 탄성 브래킷으로 고정함으로써, 간단하게 작업과정에 의해 각각의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을 높은 고정력과 내충격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fixing device,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ssembled in a cumbersome or inconvenient manner. That is, the connection block is slidably coupled to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and then the connection link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each elastic bracket, By fixing the brackets with the elastic brackets,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fix the elastic brackets and the fixing brackets so as to have high fixing force and impact resistance by a simple operation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또한 차량의 충돌에 대하여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어, 파손에 따른 수평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로 인한 오랜 사용기간을 확보하여 경제성도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Therefore,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damage to the vehicle collision, thereby preventing the horizontal member from rotating due to breakage, and also ensuring a long period of use thereby ensuring economical efficiency .

또한, 간단한 연결 구조로 인해 차량 충돌로 인해 어느 한 부분이 손상될 경우, 이 또한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함으로 인한 유지보수의 우수성은 물론 그로 인한 더욱더 높은 경제성도 가진다. Further, when a part is damaged due to a vehicle collision due to a simple connection structure, it is not replaced entirely, but also has excellent maintenance due to replacement of the damaged part, and furthermore, it has higher economical efficiency.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7 to 8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차선분리대와 관련한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인 연결 고정장치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전술한 일부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the same technical constitution relating to the lane departure band is not described in detail, and only the connection and fixing apparatus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addition, some of the same technical constructions described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연결 고정장치(1)는 각 탄성 브래킷(130)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로 후술하는 연결 블록을 슬라이딩 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지지하는 커버(10A)가 형성되며,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상적인 돌기와 홈이 연속 반복되는 형태인 요철부(12)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10)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12)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상적인 돌기와 홈이 연속 반복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결합부(22)가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연결 홈(24)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20)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130)의 상부에서 그 탄성 브래킷(130)의 상면과 상기 받침 연결부(10)로 삽입되는 연결 블록(20)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홈(24)과 함께 맞물리며, 상기 고정 브래킷(140)이 관통되는 각각의 고정링 부재(50); 및 상기 고정 브래킷(140)의 헤드(142) 밑면에 상기 연결 블록(20)과 고정링 부재(50)의 상면과 맞물리게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 고정돌기(60);를 포함한다. The connection fixing device 1 is provided with a cover 10A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block,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 position where the elastic brackets 130 are slidably and stably sliding when sliding, Each of the support connecting portions 10 extending so as to form a protrusion 12 and a protrusion 12 in a form in which protrusions and grooves are repeatedly formed; A sliding block 22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cave / convex block 12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oncave-convex portion 12,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24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concave / 20); The elastic bracket 130 is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130 and the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2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20 inserted into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10, Each fixing ring member (50) through which the bracket (140) penetrates; And a plurality of mounting fixing protrusions 60 which ar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142 of the fixing bracket 14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lock 20 and the stationary ring member 50.

탄성 브래킷(13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고정링 부재의 밑면에 형성되는 연결돌기와 상기 장착 고정돌기가 맞물려 고정되는 복수의 맞물림 홈(62)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링 부재(50)의 밑면에는 상기 연결 블록(20)의 연결 홈(24)에 대응되는 복수의 연결 돌기(52) 및 상기 맞물림 홈(62)과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 결합돌기(54)가, 상면에는 상기 장착 고정돌기(60)와 대응되는 복수의 장착홈(56)이 형성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1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62 for engaging and fixing the mounting fixing protrusions with connection protrus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ring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A plurality of connecting projections 52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grooves 24 of the connecting block 20 and a plurality of fixed engaging projections 54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s 6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ixing projections 60,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56 are formed.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인 연겨 고정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먼저 각 탄성 브래킷의 각 받침 연결부에 연결 블록이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링 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유동성 없이 고정된다. In other words, the most significant feature of the cord locker,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nnection block is first inserted into each of the support brackets of each elastic bracket and is fixed without fluidity primarily by the retaining ring member.

그런 다음 다시 2차적으로 고정 브래킷이 고정링 부재를 거쳐 탄성 브래킷으로 삽입되면서 그 헤드의 밑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장착 고정돌기에 의해 연결 블록 및 탄성 브래킷의 상부를 연결 고정하게 된다. Then, the fixing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 through the stationary ring memb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elastic bracket are connected and fixed by a plurality of mounting fixing projection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그에 따라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각 탄성 브래킷을 연결 블록과 고정링 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연결 고정한 후 다시 고정 브래킷에 의해 2차적으로 연결 고정함으로써, 높은 고정력을 갖도록 고정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So that the elastic brackets positioned opposite each other can be fixed so as to have a high fixing force by primarily connecting and fixing the elastic brackets by the connection block and the fixing ring member and then by secondary fixing by the fixing bracket again.

그로 인해 충돌에 의한 충격에 의해서도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the impact caused by the collision.

특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각 부분이 모두 분할 형성된 상태이므로 충돌에 의한 충격에 의해 어느 한 부분이 손상이나 파손되더라도 그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인해 유지 보수 또한 뛰어난 조건을 가진다. 이는 결과적으로 경제적이 높은 조건 또한 가지게 된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each part is divided and formed, even if a part is damaged or broken due to an impact caused by a collis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only the damaged part, I have. As a result, it also has a high economic condition.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의 연결 블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에 대하여 각 탄성 브래킷과 고정 브래킷이 서로 연결되는 사이에 개재되어 높은 대응력을 가져, 충격에 대해 높은 내충격성을 가지는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brackets and the fixing brackets connected to each other in response to a collision caused by a collision of a vehicle as described above, and has a high responsive force, .

이로써,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각 탄성 브래킷을 연결 블록과 함께 고정링 부재에 의해 1차적으로 고정한 후 고정 브래킷에 의해 2차적으로 재차 고정함으로써, 연결 고정력을 극대화하는 조건과 함께 충돌에 의한 충격에도 높은 대응력을 가져 파손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그로 인해 파손됨으로 인해 수평부재가 회전되는 것 또한 극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elastic bracket is fixed primarily by the fixing ring member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block, and then fixed again by the fixing bracket, It has a condition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due to high responsiveness to impact.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due to the breakage can be minimized.

아울러, 각 부분이 부품별로 분할 형성됨에 따라 일부의 파손된 부분이 발생할 경우라도 그 파손된 부품만이 교체 가능함에 따라 유지보수에 따른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 또한 가진다. In addition, since each part is divided into parts, even if some damaged parts are generated, only the damaged parts can be replaced, and therefore,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is maximized.

1 : 연결 고정장치
10 : 받침 연결부 10A : 커버
12 : 요철부 20 : 연결 블록
22 : 슬라이드 결합부 24 : 연결홈
30 : 고정부 32 : 고정 홈
34 : 고정돌기 36 : 고정플랜지
40 : 연결링크 42 : 관통공
44A : 결합 돌기 44B : 결합 홈
46A : 인입 돌기 46B: 인입 홈
50 : 고정링 부재 52 : 연결 돌기
54 : 고정 결합돌기 56 : 장착홈
60 : 장착 고정돌기 62 : 맞물림 홈
100 : 차선분리대
110 : 수직부재 111 : 고정 플랜지
112 : 지지축봉 120 : 수평부재
122 : 결합축봉 130 : 탄성 브래킷
140 : 고정 브래킷 142 : 헤드
1: connection fixing device
10: support connecting portion 10A: cover
12: concave / convex portion 20: connecting block
22: slide engaging portion 24: connecting groove
30: fixing part 32: fixing groove
34: Fixing projection 36: Fixing flange
40: connecting link 42: through hole
44A: engaging projection 44B: engaging groove
46A: Inlet projection 46B: Inlet groove
50: stationary ring member 52: connecting projection
54: fixed engaging projection 56: mounting groove
60: mounting fixing projection 62: engaging groove
100: Lane separator
110: vertical member 111: fixed flange
112: support shaft 120: horizontal member
122: coupling shaft 130: elastic bracket
140: fixing bracket 142: head

Claims (7)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서로 마주보게 양 끝단으로 각 결합축봉이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결합축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축봉 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 브래킷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고정 브래킷의 포함하는 차선분리대의 각 탄성 브래킷과 각 고정 브래킷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로서,
상기 연결 고정장치는,
각 탄성 브래킷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밑면으로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 및
상기 연결 블록의 상면과 상기 고정 브래킷의 서로 대응되는 면에 서로 맞물리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연결 블록의 양단에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홈, 상기 고정 브래킷의 헤드에 밑면으로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게 연장 형성되는 고정플랜지로 구성되는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A vertical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road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shaft rods formed there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horizontal member having each of the engagement shaft rod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shaft ro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an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s,
The connection fixing device includes:
Each of the support brackets extending so as to be slidable on the floor surface so as to form a concavo-convex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A connecting block having a slide coupling part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so as to be slidable from the concave / And
And a fixing part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fixing bracket,
Wherein the fix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block, and a fixing flange extending from the head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s,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연결부의 상단에는 연결 블록이 슬라이딩 삽입되면서 상면을 지지하는 커버가 일체로 형성되는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nection block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and a cover for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is integrally formed.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서로 마주보게 양 끝단으로 각 결합축봉이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결합축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축봉 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 브래킷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고정 브래킷의 포함하는 차선분리대의 각 탄성 브래킷과 각 고정 브래킷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로서,
상기 연결 고정장치는,
각 탄성 브래킷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 및
양측에 상기 고정 브래킷이 삽입되는 각각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밑면에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상부와 연결 블록의 상면과 맞물리도록 연결되는 일체형 연결 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링크의 밑면에 복수의 결합 돌기와 결합 홈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 브래킷의 상부와 연결 블록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 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인입 홈과 인입 돌기가 형성되는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A vertical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road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shaft rods formed there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horizontal member having each of the engagement shaft rod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shaft ro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an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s,
The connection fixing device includes:
Each of the support brackets extending so as to be slidable on the floor surface so as to form a concavo-convex portion at a position facing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A connection block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so as to be slidable with the concave / And
And an integral connection link formed on both sides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for inserting the fixing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elastic bracke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on block,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nd engaging grooves ar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ng link, and a plurality of engag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s and the engaging grooves ar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Device.
삭제delete 하부가 도로에 고정되며 상부로 한 쌍의 지지축봉이 형성되는 각각의 수직부재와, 상기 지지축봉 상에 서로 마주보게 양 끝단으로 각 결합축봉이 형성되어 결합 고정되는 수평부재와, 상기 결합축봉의 내부로 삽입되어 지지축봉 상에 고정되는 각각의 탄성 브래킷과,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각 고정 브래킷의 포함하는 차선분리대의 각 탄성 브래킷과 각 고정 브래킷을 연결 고정하는 연결 고정장치로서,
상기 연결 고정장치는 각 탄성 브래킷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부로 커버가 형성되며, 바닥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요철부가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각각의 받침 연결부;
밑면에 상기 각 요철부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드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의 연결 홈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연결 블록;
상기 각 탄성 브래킷의 상부에서 그 탄성 브래킷의 상면과 상기 받침 연결부로 삽입되는 연결 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의 연결 홈과 함께 맞물리며, 상기 고정 브래킷이 관통되는 각각의 고정링 부재; 및
상기 고정 브래킷의 헤드 밑면에 상기 연결 블록과 고정링 부재의 상면과 맞물리게 고정되는 복수의 장착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A vertical member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road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shaft rods formed thereon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 horizontal member having each of the engagement shaft rods formed at both ends thereof facing each other on the support shaft ro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support shaft, and a plurality of elastic brackets inserted into the elastic brackets and fixed to the respective elastic brackets, as,
Wherein the connection fixing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 connecting portions each having an upper cover formed at a position facing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and extended to form a concave /
A connecting block having a slide engaging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concave / convex portions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Wherein each of the fixing brackets is engaged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bracket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onnection block inserted into the support connection portion at a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elastic brackets, And
And a plurality of mounting fixing projection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bracket so as to engage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block and the stationary ring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브래킷의 상면에는 복수의 맞물림 홈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링 부재의 밑면에는 상기 연결 블록의 연결 홈에 대응되는 복수의 연결 돌기 및 상기 맞물림 홈과 대응되는 복수의 고정 결합돌기가, 상면에는 상기 장착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복수의 장착홈이 형성되는 차선분리대의 연결 고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of the connection block and a plurality of fixed coupling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r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fixing projections are formed.
KR1020170067155A 2017-05-30 2017-05-30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KR1017825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55A KR101782562B1 (en) 2017-05-30 2017-05-30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55A KR101782562B1 (en) 2017-05-30 2017-05-30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562B1 true KR101782562B1 (en) 2017-09-27

Family

ID=60036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55A KR101782562B1 (en) 2017-05-30 2017-05-30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6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en)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Traffic lane seperator
KR101593885B1 (en) * 2015-08-31 2016-02-12 표옥근 Shock and elastic absorbing connection assembly and, absorb type sky-walk with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en)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Traffic lane seperator
KR101593885B1 (en) * 2015-08-31 2016-02-12 표옥근 Shock and elastic absorbing connection assembly and, absorb type sky-walk with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344B1 (en) Divisional strip for preventing jaywalking
KR101016706B1 (en) Traffic lane seperator
KR101683268B1 (en)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elastic body
KR102213118B1 (en) Joint and Reinforcement device at each end of the post and crossbar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ane separator
KR102118831B1 (en) Apparatus for a divisional strip
KR101962657B1 (en) Divisional Strip with Improved Assembly
KR100979401B1 (en) Pole for indicating traffic controle of road
KR20190032021A (en) A road protective fence having multi buffering function
KR100827373B1 (en) The bottom fixing part for the elasticity support pole
KR101787014B1 (en) A divisional strip
KR102068824B1 (en) Dust cover of support beam for bridge extension joint
KR101782562B1 (en) Connecting fixture of lane separator
KR101499459B1 (en) Prefabricated safety bollard
KR200480206Y1 (en) Tubular markers
KR101904588B1 (en) Easily be installed guard rail clamp
KR101825050B1 (en) Traffic lane seperator
KR102133374B1 (en) Traffic lane separator with good visibility and easy replacement of reflective materials
KR101815641B1 (en) A lane separator
KR100443709B1 (en) Flexible bar for division of median line
KR101816697B1 (en) Reinforcement bracket for lane separation
KR20110001808U (en) Bendable ballard
KR101880189B1 (en) Road signs assembled using a bar
KR101635769B1 (en) Column Structure
KR102172917B1 (en) traffic guiding unit
KR102299389B1 (en) A shock absorbing fastening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clearance of the non-welding f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