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517B1 -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517B1
KR101782517B1 KR1020160140180A KR20160140180A KR101782517B1 KR 101782517 B1 KR101782517 B1 KR 101782517B1 KR 1020160140180 A KR1020160140180 A KR 1020160140180A KR 20160140180 A KR20160140180 A KR 20160140180A KR 101782517 B1 KR101782517 B1 KR 101782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underground structure
waterproofing
rock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1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순욱
장수호
이철호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4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5004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07Base structures; Cell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of a room-and-pillar underground structure including an inner space (100) and a rock pillar (200), provided is a method for designing a room-and-pillar underground structure which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determining a target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is to be installed; a second step (S200)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supports to be applied to the target surface; and a third step (S300) of constructing the support on the target surface. The first step (S100) includes the steps of: examining a stress intensity ratio of each shape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inner space (100) and the rock pillar (200); examining a critical strain of each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pace (100) and the rock pillar (200); and calculating a space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the space utilization purpose of the inner space (1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struc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room-and-pillar underground structure.

Description

매트릭스 설계법에 의한 지보재 설계방법을 포함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signing an underground structure including a support structure by a matrix design method,

본 발명은 토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반층에 형성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vil engineering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for an underground structure in a main system formed on a rock layer.

지하에 형성되는 지하구조물은 지하 공간을 굴착하고, 기둥과 같은 내부 지지 구조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ed in the underground is generally formed through a step of excavating the underground space and forming an internal support structure such as a column.

다만,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형성방법은 대단위로 이루어지는 지하구조물 형성에 있어서 내부 지지 구조물의 시공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However, the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an underground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construct an internal support structure in forming a large-sized underground structure.

또한, 시공이 완료된 지하구조물은 내부 공간의 확장이나 변경이 불가능하였고, 인접된 추가적인 지하구조물의 형성에 있어서 기 형성된 지하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주변 거주민들의 민원 등으로 인하여 시공의 곤란성을 겪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취약지반 구간에서 내부 지지구조를 지지하고 보강하는 지보재의 총량이 상승됨에 따라 시공 경제성을 해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In addition, it is impossible to expand or modify the internal space of the completed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due to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existing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complaints of the surrounding residents in the formation of the adjoining additional underground structure come.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construction economics are deteriorated as the total amount of the support material supporting and reinforcing the internal support structure in the fragile ground section is increased.

상술된 종래의 지하구조물의 형성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을 굴착함과 동시에 지하구조물의 지지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에 관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method of forming an underground structure,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on a main-type underground structure for excavating an inner space of an underground structure and forming a support structure for the underground structure.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인간이 직접적으로 생활을 영위하는 공간이므로 무엇보다 구조물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암주 자체에 의해서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므로 연약한 지반에 주방식 지하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굴착폭 대비 암주의 폭이 커져 공간 활용이 불량하고, 지보재 사용량이 많아져 구조물의 경제성과 안정성 확보에 있어 매우 불리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Because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a space where people live directly,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is very important. In addition, since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supports the structure by supporting itself, it is necessary to form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on soft grou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becomes very disadvantageous in securing economical efficiency and stability of the structure.

따라서, 주방식 구조물에 특화된 지보재의 시공방법이 요구되는데 현재까지의 지보재 관련 기술은 터널 등의 구조물에 대한 지보재 시공방법에 한정되어 있고 주방식 구조물에 특화된 지보재 시공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pecial support material for the main structure. Up to now, the related technology has been limited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pport for the structures such as the tunnel, and there is no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pport material specialized in the main structure.

더하여, 주방식 지하구조물과 같이 일반적으로 산악지형 또는 지하심부의 암반 영역을 관통하여 건설되는 터널공사는 암반의 절리나 균열 등의 불연속면을 통하여 지하수와 지표수가 터널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공사를 실시한다.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from flowing out into the tunnels through discontinuities such as cleavage or cracks in the rock, tunnel construction works, which are generally constructed through mountainous terrain or underground rocky areas such as underground structures, .

일반적으로는 굴착된 터널의 벽면에 숏크리트를 타설하고, 이 숏크리트 위에 부직포와 방수시트를 부착한 후, 이를 보호를 위한 콘크리트 라이닝을 설치하는 이중셀 터널구조로 시공하고 있다.Generally, shotcrete is installed on the walls of excavated tunnels, a nonwoven fabric and a waterproof sheet are attached on the shotcrete, and a concrete lining for protection is installed.

다만, 1차 숏크리트 층을 형성한 이후에 방수 대상면의 누수 양상이 다양함에도 종래의 경우 일률적인 방수 시공을 수행하였으므로 시공 효율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완벽한 방수 시공의 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어왔다. However, since the uniform waterproofing work is performed uniformly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waterproofing work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waterproofing work is not performed completely, even though the leakage surface pattern of the waterproofing surface varies after forming the primary shotcrete layer. .

종래의 방수 시공방법이 제시된 선행 특허 문헌은 이하와 같다. Prior art patents which disclose a conventional waterproof construction method are as follows.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134754-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134754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61629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616299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는 체계화된 터널 방수 설계방법이 수립되고, 다양한 누수 양상에 대응할 수 있는 최적의 방수 시공방법들이 정립될 것이 요구된다.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atic tunnel waterproofing design method and to establish optimal waterproofing methods to cope with various leakage patterns.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지보재 설계방법 및 방수 설계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식 지하구조물에 특화된 지보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upport material design method and waterproof design metho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material specialized in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용도에 따른 지보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installing a support material according to the use of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지보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member capable of enhancing st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 대상면에 적합한 방수 시공이 수행 가능토록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방수 설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proof design method of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in which a waterproof construction suitable for a waterproof target surface can be perform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수 대상면의 누수 정도에 따라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수 설계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various waterproof design method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akage of a waterproof target surfa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주(200) 및 내부공간(100)을 포함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매트릭스 설계법에 의한 지보재 설계단계(S); 및 방수 설계단계(A);를 포함하되, 상기 지보재 설계단계(S)는, 상기 지보재가 시공될 대상면을 결정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대상면에 시공될 상기 지보재의 양을 결정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대상면에 상기 지보재를 시공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암주(200) 및 상기 내부공간(100)의 형상에 따른 형상별 응력강도비를 검토하는 단계; 상기 암주(200) 및 상기 내부공간(100)의 형상에 따른 형상별 한계변형률을 검토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공간(100)의 공간 활용 목적에 따른 공간활용률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esigning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including a bush 200 and an inner space 100, including: a step of designing a support material (S) by a matrix design method; And a waterproofing designing step (S), wherein the supporting material designing step (S) comprises: a first step (S100) of determining a target surface on which the supporting material is to be mounted; A second step (S200)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support material to be applied to the object surface; And a third step (S300) of placing the support material on the target surface, wherein the first step (S100) comprises: Reviewing the ratio; Examining the critical strain of each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ss (200) and the inner space (100); And calculating a space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a space utilization purpose of the internal space 100. The method of claim 1,

또한, 상기 지보재는 숏크리트이며, 상기 지보재의 양은 [식 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암주(200)의 안전율에 따른 상기 숏크리트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support material may be a shotcrete, and the amount of the support material may be a thickness of the shotcrete depending on the safety factor of the beech 200, which is determined by Equation (1).

[식 1][Formula 1]

암주(200)의 안전율 = 암주(200)의 강도 / 암주(200)에 작용하는 평균 상재 압력The safety factor of the calf 200 = the intensity of the calf 200 / the average supernatant pressure acting on the calf 200

또한, 상기 지보재는 록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보재의 양은 상기 숏크리트의 두께 및 상기 록볼트의 설치 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록볼트의 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support may further include a lock bolt, and the amount of the support further includes a number of the lock bolts determined by a thickness of the shotcrete and an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lock bolts. Lt; / RTI >

또한, 상기 형상별 응력강도비는 [식 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Also, the stress intensity ratio of each shap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2).

[식 2][Formula 2]

응력강도비 = 암반의 일축압축강도 / 암반 파괴 시의 축방향 응력Stress intensity ratio =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 mass / axial stress at rock breakage

암반 파괴 시의 축방향 응력 = σcm + k×σ3 Axial stress at rock failure = σ cm + k × σ 3

또한, 상기 형상별 한계변형률은 [식 3]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Also, the critical strain of each shape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3).

[식 3][Formula 3]

한계변형률(logεc) = -0.25log(암반의 변형계수)-1.96Limit strain (log ε c ) = -0.25 log (deformation modulus of rock) -1.96

또한, 상기 공간활용률은 [식 4]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Also, the space utilization factor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4).

[식 4][Formula 4]

공간활용률 = (암주(200)에 의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단위 면적 - 암주(200)의 면적) / (암주(200)에 의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단위 면적)Space utilization rate = (unit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the canopy 200-area of the canopy 200) / (unit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the canopy 200)

또한, 상기 방수 설계단계(A)는, 숏크리트 층(700)을 형성하는 제1 단계(A100); 방수 대상면(10)에 대한 지하수 유입 정도(a)를 결정하는 제2 단계(A200);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에 대응하는 방수 처리(b)를 수행하는 제3 단계(A300);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을 형성하는 제4 단계(A400); 및 표면 콘크리트 층(900)을 형성하는 제5 단계(A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waterproof designing step (A) may include a first step (A100) of forming a shotcrete layer (700); A second step (A200)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groundwater inflow (a) to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A third step (A300) of performing a waterproofing process (b) corresponding to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A fourth step A400 of forming a waterproofing membrane layer 800 to be sprayed; And a fifth step (A500) of forming a surface concrete layer (900).

또한,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는 건조 상태(a1), 국부적인 누수 상태(a2) 및 광범위의 누수 상태(a3)로 구분되며,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가 국부적인 누수 상태(a2)인 경우의 상기 방수 처리(b)는 배수공 형성 처리(b1) 또는 배수로 형성 처리(b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divided into a dry state a1, a local water leakage state a2 and a wide water leakage state a3. (B) is a drainage hole forming process (b1) or a drainage forming process (b2).

또한, 상기 제3 단계(A3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에 대하여 천공홀(2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A310a); 및 상기 천공홀(20)에 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천공홀(20)에 유입된 상기 지하수를 상기 천공홀(20) 외부로 유도하는 유도관(30)을 설치하는 유도관 설치단계(A320a);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A400)는, 상기 천공홀(20)의 입구와 상기 유도관(30)의 접촉부를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hird step (A300) may include a perforating step (A310a) of forming a perforation hole (20) with respect to the waterproof surface (10); And an induction pipe (A320a) for inserting an induction pipe (30)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20) and guiding the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perforation hole (20)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ion hole (20) The fourth step A400 is a closing step A410a of closing the inlet of the perforation hole 20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induction pipe 30 with the spraying waterproofing membrane layer 800; The method of designing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제4 단계(A400) 이후에, 상기 유도관(30)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상기 천공홀(20)을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further comprising a grouting step of grouting the perforation hole (20) by injecting a grout material into the induction pipe (30) after the fourth step (A400) Lt; / RTI >

또한, 상기 제3 단계(A3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의 누수지점(11)부터 시작되어 배수로(12)까지 연장되는 반원형 배수 파이프(40)를 설치하는 배수 파이프 설치단계(A310b);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A4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 및 상기 반원형 배수 파이프(40)를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third step A300 includes a drain pipe installation step A310b for installing a semicircular drain pipe 40 extending from the water leakage point 11 of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to the drain water pipe 12, (A410b) closing the waterproof object surface (10) and the semicircular drain pipe (40) with the sprayed waterproof membrane layer (800); and the fourth step (A400) And a method of designing an underground structure.

또한, 상기 배수 파이프(40)의 양단(41)은 상기 방수 대상면(10)에 대하여 면접촉 되도록 직선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th ends 41 of the drain pipe 40 are linearly exten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또한, 상기 배수 파이프 설치단계는, 상기 배수 파이프(40)의 양단(41)을 상기 방수 대상면(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2)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step of installing the drain pipe includes fixing the both ends 41 of the drain pipe 40 with the fixing member 42 that fixes the waterproof object surface 10. [ It can be a desig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s.

또한,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는 건조 상태(a1), 국부적인 누수 상태(a2) 및 광범위의 누수 상태(a3)로 구분되며,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가 광범위의 누수 상태(a3)인 경우의 상기 방수 처리(b)는 방수포 처리(b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divided into a dry state (a1), a local water leakage state (a2) and a wide water leakage state (a3) , And the waterproofing treatment (b) in the case of the waterproofing treatment (b3) is a waterproofing treatment (b3).

또한, 상기 제3 단계(A3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의 누수지점(11)부터 시작되어 배수로(12)까지 연장되는 방수포(50)를 설치하는 방수포 설치단계(A310c);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A4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 및 상기 방수포(50)를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third step A300 includes the step A310c of installing the tarpaulins 50 extending from the water leakage point 11 of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to the drainage path 12 (A410c) closing the waterproof object surface (10) and the waterproof film (50) with the waterproofing membrane layer (800) sprayed. It can be a desig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s.

또한, 상기 방수포(50)는 불투수성 재질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방수포 고정 홀(51)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보강부재(52)가 덧대어지며, 상기 방수포 설치단계는, 상기 방수포(50)의 테두리를 상기 고정 홀(5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두부를 갖는 방수포 고정부재(53)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waterproofing cloth 50 is made of an impermeable material and a waterproofing cloth fixing hole 51 is formed along the rim and a rim reinforcing member 52 is padded along the rim. And fixing the rim of the fixing hole (50) with the waterproof fixing member (53) having a head of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hole (51) .

또한, 상기 제4 단계(A400)는, 복수의 돌출부(61)가 형성된 판형 부재(62)의 상기 돌출부(61)를 상기 숏크리트 층(700)에 접촉 설치하는 수로판 설치단계(A410); 상기 판형 부재(62)의 배면에 뿜칠 방수 멤브레인을 도포하고 뿜칠 방수 멤브레인(810) 도포 단계(A420); 및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을 양생하는 양생단계(A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일 수 있다. The fourth step A400 includes a water channel installing step A410 for mounting the projecting portions 61 of the plate member 62 having the plurality of projecting portions 61 formed thereon to the shotcrete layer 700; Applying a waterproof membrane 810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62 by applying and spraying a waterproof membrane; And a curing step (A430) for curing the sprayed waterproofing membrane.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식 지하구조물에 특화된 지보재의 시공방법에 의해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the method of applying the support material specialized in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용도에 따른 지보재의 시공방법에 의해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안정성 및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stability and space utilization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can be improved by the method of applying the support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대상면의 누수 정도에 따라 적합한 방수 시공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현장 시공의 난이도를 낮추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field construction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performing the waterproof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leakage of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본 발명에 따르면 방수 대상면의 누수 정도에 따라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수 설계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waterproof design methods that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ter leakage on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이 형성되는 암반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암주, 상부면 및 하부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층으로 형성된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암주, 상부면 및 하부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지보재를 시공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지하공간활용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록볼트의 개수를 결정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설계가 적용된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방수 설계방법의 순서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공 형성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공 형성 처리 과정이 적용된 주방식 지하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형성 처리 과정이 적용된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로 형성 처리 과정이 적용된 주방식 지하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포 처리 과정이 적용된 주방식 지하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 파이프의 고정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형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rock layer in which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basement,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ound,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support of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underground space utilization rate in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of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of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etermines the number of rock bolts. FIG.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to which a waterproof design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of a waterproof designing method of a subway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views showing a drain hole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to which a drainage hole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4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to which a drainage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5 is a view showing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to which a drainage form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16 is a view showing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to which a waterproof process is appli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in a state where a fixing member of a drain pipe is instal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showing a plat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 및 이를 형성하는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embodiments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은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개념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of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To this end, the concept of underground structures is explained first.

주방식 지하구조물 형성 공법이란 암반층(1)을 굴착하여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100)을 형성함에 있어, 지하구조물의 지지 구조물인 암주(200)부분을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만을 굴착하여 지하구조물을 형성하는 공법을 의미한다(도 1). The main method of forming an underground structure is to excavate only the remaining part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except for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o excavate the underground structure in the formation of the inner space 10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by excavat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Fig. 1).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기본적으로 암반층(1)이 굴착되어 형성되는 내부공간(100) 및 내부공간(100)의 상부면(110) 및 하부면(120)을 지지하는 암주(2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may include an internal space 100 formed by excavating the rock layer 1 and a cow 200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internal space 100 (Fig. 3).

여기서, 암주(200)는 암반층(1)의 굴착되지 않은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bush 200 is formed as a non-excavated portion of the rock layer 1.

암주(200)는 암석으로 형성된 기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100)과 맞닿아 있는 상부면(110) 및 하부면(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curb 200 means a column formed of rock and supports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lower surface 12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space 100.

즉, 지하구조물을 형성을 위한 암반층(1)의 굴착에 있어 암주(200) 부분만을 제외하고 굴착을 수행하면,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100)과 지하구조물의 지지 구조물인 암주(200)를 동시에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excavation is performed except for the portion of the rock 200 in excavation of the rock layer 1 for forming an underground structure, so that the inner space 10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rock 200, which is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본 발명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mai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100)과 지하구조물의 지지 구조물인 암주(200)를 동시에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종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지하구조물과 비교할 때, 시공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sin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construct the inner space 100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and the bush 200 as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with the underground structure form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Can be saved.

둘째, 지하구조물의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수평적 또는 수직적인 내부공간의 확장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Second, it is easy to expand the horizontal or vertical internal space eve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completed.

셋째, 대규모 공간이 요구되는 지하구조물을 형성함에 있어, 시공의 편의성 및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 in forming an underground structure requiring a large space, the convenience of construction and the structural safety can be improved.

넷째, 별도의 지지 구조물의 형성이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지보재 및 보강을 위한 부재 및 콘크리트의 물량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암반층(1)을 굴착하여 형성되므로 굴착에 의해 발생되는 암반을 재활용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지하구조물의 형성방법이라는 효과가 있다. Fourth, because the formation of a separate support structure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the supporting members and reinforcing members and concrete, and by forming the rock layer 1 by excavation, the rock mass generated by the excavation can be recycled, It has the effect of form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underground structure.

다섯째,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온도 및 습도의 변동이 적은 지하에 형성되므로 지상에 형성되는 건축물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하게 낮은 운영비용이 요구되는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다. Fifth,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is formed in the basement where the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humidity is low, so it has economical effect that remarkably low operating cost is required compared with the structure formed on the ground.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암주(200)와 결합된 구획부재(300) 및 구획부재(300)에 의해 형성되는 구획공간(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The main system underground structure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space 300 formed by the partition member 300 and the partition member 300 coupled with the boss 200 (FIG. 2).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 폐쇄되어 있고, 일정 간격 이격된 복수의 암주(20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암주(200)에 판 형상의 구획부재(300)를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사방이 폐쇄된 구획공간(400)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도 2). Sin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are closed and the plurality of troughs 200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e formed, only by connecting the plate-shaped partitioning member 300 to the trough 200, It is possible to form the closed compartment space 400 (Fig. 2).

구획공간(400)은 방, 저장소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compartment space 400 can be variously used as a room, a store, and the like.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내부공간(100)은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4).The inner space 100 of the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FIG. 4).

내부공간(100)이 복수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층부(100a)의 암주(200)와 상층부(100a)와 이웃하는 하층부(100b)의 암주(200)는 서로 연결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및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When the inner space 10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the cave 200 of the upper layer 100a and the cave 200 of the lower layer 100b adjacent to the upper layer 10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즉, 상층부(100a)의 암주(200)와 상층부(100a)와 이웃하는 하층부(100b)의 암주(200)는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boss 200 of the upper layer portion 100a and the boss 200 of the lower layer portion 100b adjacent to the upper layer portion 100a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암주(200)는 양단부의 직경이 중앙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이 응력집중의 방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3). It is preferable from the aspect of prevention of stress concentration that the diameter of both ends of the boss 200 of the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central portion (FIG. 3).

또한, 암주(200)의 모서리는 만곡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응력집중의 방지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3).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s of the bushes 200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view of prevention of stress concentration (Fig. 3).

즉, 암주(200)의 모서리는 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보다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edge of the bush 200 is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rather than a square shape.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상부면(110)은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상부에서 전달되는 토압 등의 하중에 저항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in an arcuate shape to resist a load such as earth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FIG. 3).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암주(200)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탄성부재로 형성된 완충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2). The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bush 200 and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600 formed of an elastic member (FIG. 2).

완충부재(600)는 암주(200)에 가하여지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암주(200)에 충돌하는 충돌체에 가하여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ushioning member 600 mitigates an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bush 200 and alleviates an impact applied to a collision body colliding with the bush 200. [

완충부재(600)를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로 사용되는 내부공간(100)에 인접한 암주(200)에 설치함으로서, 주행 차량의 안전성 및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cushioning member 600 is installed in the bush 200 adjacent to the inner space 100 used as a road on which the vehicle travels so as to secure the safety of the traveling vehicle and the safety of the main structure underground 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구조물의 지보재 설계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ep of designing a support for a mai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지보재 설계단계는 상기 지보재가 시공될 대상면을 결정하는 제1 단계(S100), 대상면에 시공될 지보재의 양을 결정하는 제2 단계(S200) 및 대상면에 지보재를 시공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한다(도 5). The step of designing the support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determining a target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is to be installed, a second step (S200)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support And a third step S300 of installing a support material on the target surface (Fig. 5).

여기서 제1 단계(S100)는, 암주(200) 및 내부공간(100)의 형상에 따른 형상별 응력강도비를 검토하는 단계, 암주(200) 및 내부공간(100)의 형상에 따른 형상별 한계변형률을 검토하는 단계 및 내부공간(100)의 공간 활용 목적에 따른 공간활용률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step S100 is a step of examining the stress intensity ratio of each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ell 200 and the internal space 100 and the limit of the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ell 200 and the internal space 100 Reviewing the strain rate, and estimating the space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the space utilization purpose of the internal space 100.

주방식 지하구조물은 굴착 시 특정 형상비의 암주를 남겨두어 상재하중을 지지하는 구조체로 활용하기 때문에 암주의 안정성이 지하구조물의 안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Since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used as a structure to support the overburden load by leaving a certain ratio of the shape ratio during excavation, the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tability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또한 설계 운용기간 동안 장기적으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상재하중에 대한 응력강도비, 한계변형률을 검토해야하며 인간의 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지하공간이기 때문에 공간의 활용 목적에 맞도록 암주와 공간에 대한 공간활용률도 반드시 설계에 고려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al stability should be secured over the long term during the design operation period, the stress intensity ratio and the critical strain against the overburden load should be examined. Since it is an underground space intended for human activities, The space utilization rate for the system must also be considered in the design.

응력강도비는 암반의 일축압축실험에 의해 결정되는 강도와 암반 파괴 시의 축방향 응력과의 비율을 의미한다. The stress intensity ratio means the ratio between the strength determined by the uniaxial compression test of rock mass and the axial stress at rock failure.

응력강도비는 실험에 의해 나타난 재료의 강도와 이론적으로 제시된 파괴 시 축방향 응력과의 비율을 말하므로, 응력강도비가 1보다 작으면 파괴 시 축차응력이 암반의 강도보다 큰 경우이므로 암반이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The stress intensity ratio is the ratio of the strength of the material shown by the experiment to the axial stress at the time of failure. Therefore, if the stress intensity ratio is less than 1, the strain stress at fracture is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rock. The possibility increases.

응력강도비는 구조물의 안전율과 유사한 개념이나 암반 자체의 재료 물성으로 접근하는 방식으로서, 암반의 능력을 강도와 파괴 시 응력의 비율로 판단하는 개념에 해당한다. The stress intensity ratio is a concept similar to the safety factor of the structure, but approaches to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rock itself. It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determining the capacity of the rock by the ratio of strength to stress at failure.

응력강도비는 이하의 [식 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The stress intensity ratio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xpression (2).

[식 2][Formula 2]

응력강도비 = 암반의 일축압축강도 / 암반 파괴 시의 축방향 응력Stress intensity ratio =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 mass / axial stress at rock breakage

암반 파괴 시의 축방향 응력 = σcm + k×σ3 Axial stress at rock failure = σ cm + k × σ 3

[식 2]에서, 응력강도비는 구속압(σ3)을 고려하여 표현되며 암반의 일축압축강도(σcm)와 k는 Mohr-Coulomb 파괴 기준에서 제시하는 값으로 각각 순서대로 (2×암반의 점착력×cos(내부 마찰각)/(1-sin(내부 마찰각)), (1+sin(내부 마찰각))/(1-sin(내부 마찰각)으로 표현된다.In Equation 2, the stress intensity ratio is expressed in terms of the confining pressure (σ 3 ), and the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σ cm ) and k of the rock are given in the Mohr-Coulomb failure criterion (1 + sin (internal friction angle)) / (1-sin (internal friction angle)).

한계변형률은 토질 및 암석 시편에 대한 실내실험의 결과를 토대로 정립된 개념으로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인 응력-변형률 관계로부터 산정되며, 초기 탄성영역의 거동 특성과 파괴시의 일축압축강도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The critical strain is calculated from the stress-strain relationship, which is the result of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laboratory tests on soil and rock specimens. .

한계변형률은 일반적으로 파괴변형률(εf)보다는 작은 값을 나타낸다. 암석이 견딜 수 있는 능력을 변형율(변형/길이) 개념으로 접근하는 방이므로, 변형률(변형/길이)이 한계변형률 보다 크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The critical strain is generally less than the fracture strain (εf). Since the ability of the rock to withstand the approach of the strain rate (strain / length) concept, it can be judged structurally unstable if the strain (strain / length) is larger than the critical strain.

한계변형률은 이하의 [식 3]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The critical strain can be determin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3).

[식 3][Formula 3]

한계변형률(logεc) = -0.25log(암반의 변형계수)-1.96Limit strain (log ε c ) = -0.25 log (deformation modulus of rock) -1.96

[식 3]에서 암반의 변형계수는 암반의 탄성계수(Elastic Modulus)를 의미한다. In Equation (3), the deformation modulus of the rock is the elastic modulus of the rock.

본 발명에서는 한계변형률의 수준(level)을 기존에 제시한 범위보다 더 낮게 설정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el of the critical strain is set to be lower than the range suggested previously.

이는 인간의 활동을 위한 공간임을 고려하여 보다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존 암반의 한계변형률 수준보다 보수적인 관점에 근거한 것이다. Considering that this is a space for human activities, it is based on a view that is more conservative than the limit strain level of existing rock masses in order to secure more stability.

공간활용률이란 암주(200)의 형상과 암주(200) 사이 간격에 의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단위 면적에서 암주(200)의 면적을 제외한 면적을 의미한다(도 6). The space utilization rate refers to the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the shape of the shank 2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hacks 200, excluding the area of the shank 200 (FIG. 6).

공간활용률은 실제 지하공간에서 활용이 가능한 공간의 비율을 말하며, 공간활용률이 클수록 내부공간(100)이 암주(200)보다 차지하는 비율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space utilization rate refers to the ratio of space available in the actual underground space, and the larger the space utilization rate, the larger the ratio of the internal space (100) to the hill (200).

인간이 생활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공간이 요구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공간활용율이 85% 이상일 때 지하공간으로 개발할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Since a certain amount of space is required for a human being to live, the present invention judges that it is meaningful to develop the underground space when the space utilization rate is 85% or more.

공간활용률은 이하의 [식 4]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도 6). The space utilization rate can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4) (Fig. 6).

[식 4][Formula 4]

공간활용률 = (암주(200)에 의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단위 면적 - 암주(200)의 면적) / (암주(200)에 의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단위 면적)Space utilization rate = (unit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the canopy 200-area of the canopy 200) / (unit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the canopy 200)

도 6을 참조하면, 도 6에서 A는 결정된 암주(200)의 간격과 형상을 고려한 공간의 단위 면적에 해당한다. Referring to FIG. 6, A in FIG. 6 corresponds to a unit area of a space considering the interval and shape of the determined bushes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지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서의 지보재는 숏크리트와 록볼트이다.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pport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material is a shotcrete and a rock bolt.

따라서, 지보재의 양은 대상면에 타설되어지는 숏크리트의 두께 및 록볼트의 개수를 의미한다. Therefore, the amount of the support material means the thickness of the shotcrete and the number of the lock bolts to be placed on the target surface.

숏크리트의 두께는 이하의 [식 1]에 의해 결정되는 암주(200)의 안전율에 따른다. The thickness of the shotcrete depends on the safety factor of the bush 200 determin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식 1][Formula 1]

암주의 안전율 = 암주의 강도 / 암주에 작용하는 평균 상재 압력Cancer Safety Rate = Cancer Strength / Mean Grain Pressure on Bottom

[식 1]에서의 암주(200)의 안전율은 암주(200)의 강도와 암주(200)에 작용하는 상재압력의 비율을 말한다. The safety factor of the cave 200 in Equation 1 refers to the ratio of the strength of the cave 200 to the supercritical pressure acting on the cave 200.

여기서, 암주(200)의 강도는 파괴 시까지 견딜 수 있는 암주(200)의 능력을 말하는 것이고, 상재 압력은 암주(200)가 지지하고 있는 상부의 자중과 외부 조건에 의해 암주(200)에 작용하는 압력을 의미한다. Herein, the strength of the bush 200 refers to the ability of the bush 200 to withstand failure until the failure, and the overburden pressure acts on the bush 200 due to the weight of the upper part supported by the bush 200 and external conditions. .

상부에서 작용하는 압력이 암주(200)의 강도보다 큰 경우(안전률이 1보다 작은 경우) 암주(200)의 안정성이 불안정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stability of the bush 200 is unstable when the pressure acting on the upper portion is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bush 200 (the safety factor is less than 1).

구조적 안정성을 평가하여 숏크리트를 피복하지 않은 무지보(unsupported) 암주만으로는 설계단계에서 설정한 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숏크리트의 두께를 변화시켜가며 숏크리트로 피복된 암주의 안전율을 수치해석 등에 의해서 산정하여 안전율을 만족하는 경우의 숏크리트 두께를 해당 조건의 숏크리트 설계 두께로 산정한다.If the safety factor set in the design stage can not be satisfied with unsupported shovels that do not cover the shotcrete by evaluating the structural stability, the safety rate of the shotcrete coated with the shotcrete is changed by numerical analysis And the shotcrete thickness when the safety factor is satisfied is calculated as the shotcrete design thickness of the corresponding condition.

록볼트의 개수는 숏크리트의 두께 및 록볼트의 설치 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도 7). The number of rock bolts can be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shotcrete and the installation spacing of the lock bolts (FIG. 7).

본 발명에 따른 설계 흐름에 따라 지하구조의 형상을 결정하고 공간의 크기와 록볼트의 간격을 고려하여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치한다. According to the design f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is determined and arranged in a square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space size and the space between the lock bolts.

본 발명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는 암주 및 룸의 형상비에 따라 시공 장비가 매우 다양하게 검토될 수 있다. In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can be considerably diversified depending on the shape ratio of the hill and the room.

예를 들어 룸 형상비가 클 경우에는 시공 장비 중의 하나인 공사용 차량의 교행성 및 회전방경 등에 의해 주방식 지하구조의 형상이 많은 영향을 받지 않지만, 품의 형상비가 작은 경우에는 적용되는 시공 장비에 따라 형상의 결정에 제약을 받는다. For example, when the room aspect ratio is large, the shape of the underground structure of the main system is not influenced much by the interchangeability of the construction vehicle, which is one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the rotation deflection, but when the aspect ratio of the product is small, Is limit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forming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주방식 지하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은, 암반층(1)의 지반 조건을 조사하는 지반조건조사 단계(A100), 암반층(1)을 굴착하여 내부공간(100) 및 암주(200)를 형성하는 암주형성 단계(A200) 및 상부면(110), 하부면(120) 및 암주(200)를 보강하는 지보재(500)를 시공하는 지보재시공 단계(A30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includes a ground condition investigation step (A100) for investigating the ground conditions of the rock layer (1), a rock formation (A100) for excavating the rock layer (1) to form the inner space (100) Step A 300 and step A 300 of constructing the support material 500 to reinforce the upper surface 110, the lower surface 120 and the shingles 200.

지반조건조사 단계(A100)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이 형성되는 대상 지반의 지층구조, 지하수 상태, 불연속면 존재 여부, 측압, 암반의 물성 등의 조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The ground condition survey step (A100) includes conducting a survey of the ground structure of the ground in which the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is formed, the groundwater condition, the existence of the discontinuity, the lateral pressur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ock.

암주형성 단계(A200)에서는 암반층(1)을 굴착하여 내부공간(100) 및 암주(200)를 형성한다. 암반층(1)의 굴착 방법으로는 발파를 통한 굴착 또는 터널 굴착기를 이용한 기계식 굴착이 고려될 수 있다. In the hill formation step (A200), the rock layer (1) is excavated to form the inner space (100) and the hill (200). As the excavation method of the rock layer 1, excavation through blasting or mechanical excavation using a tunnel excavator can be considered.

지보재시공 단계(A300)는 상부면(110), 하부면(120) 및 암주(200)를 보강하는 지보재(500)를 설치한다. The support material construction step A300 includes a support material 500 for reinforcing the upper surface 110, the lower surface 120, and the shingles 200.

상술된 바와 같이 지보재(500)는 숏크리트(510), 박층 폴리머 라이너(520) 또는 록 볼트(53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 material 500 may include shotcrete 510, a thin layer polymer liner 520, or a lock bolt 530 as described above.

박층 폴리머 라이너(Thin Spray on Liner)는 폴리머 유기화합물을 기반으로 형성된 지보재의 일종으로서 암반의 보강의 목적으로 암반의 표면에 뿜어 붙이는 얇은 피복재이다. Thin Spray on Liner is a kind of support material formed on the basis of polymer organic compounds, and it is a thin covering material sprayed on the surface of rock mass for the purpose of reinforcing rock mass.

박층 폴리머 라이너(520)를 통한 시공을 수행하는 경우, 박층 폴리머 라이너(520)에 의해 암주(200)에 가하여지는 수압이 증대될 수 있다. 따라서, 암주(200)에 가하여지는 수압의 제거를 위해 유도배수공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구조물의 안정성의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When performing the application through the thin layer polymer liner 520, the water pressure applied to the bush 200 by the thin layer polymer liner 520 can be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duction drainage installation step for removing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bush 200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the structure.

숏크리트(510) 또는 박층 폴리머 라이너(520)와 같은 지보재로 상부면(110), 하부면(120) 및 암주(200)를 보강하는 경우, 내부공간(100) 및 암주(200) 형성을 위한 굴착과정에의, 굴착면의 부착력이 상승되어 굴착면이 붕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굴착면 표면의 누수 방지 및 굴착 공간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When reinforcing the upper surface 110, the lower surface 120 and the shingles 200 with the support material such as the shotcrete 510 or the thin polymer liner 520, the inner space 100 and the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xcavation surface from collapsing due to an increase in the adhering force of the excavation surface in the process, and to prevent leakage of the excavation surface and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excavation space.

이하,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방수 설계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waterproof design method of the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방수 설계방법은 숏크리트를 포함하는 지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The waterproof design method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support material including shotcrete is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방수 설계방법은 기본적으로 숏크리트 층(700)을 형성하는 제1 단계(A100), 방수 대상면(10)에 대한 지하수 유입 정도(a)를 결정하는 제2 단계(A200), 지하수 유입 정도(a)에 대응하는 방수 처리(b)를 수행하는 제3 단계(A300),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을 형성하는 제4 단계(A400) 및 표면 콘크리트 층(900)을 형성하는 제5 단계(A500)를 포함한다(도 9). A method of designing a waterproofing system for a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first step A100 of forming a shotcrete layer 700 and a step A100 of determining a degree of groundwater inflow a to the waterproof surface 10 A third step A300 of performing a waterproofing process b corresponding to the degree of inflow of groundwater a, a fourth step A400 of forming a waterproofing membrane layer 800, And a fifth step A500 of forming a concrete layer 900 (Fig. 9).

제1 단계(A100)의 숏크리트 층(700)이 형성된 경우에도 숏크리트는 투수성 소재이므로 지하수의 유입에 따른 누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Even when the shotcrete layer 700 of the first step A100 is formed, the shotcrete is a water-permeable material, so that water leakage due to the inflow of groundwater may occur.

이러한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 지점(방수 대상면(10))에는 추가적인 방수 처리(b)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방수 처리(b)는 방수 대상면의 지하수의 유입 정도(a)에 따라 달리 선택되어야 한다. An additional waterproofing treatment (b)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point where the leakage phenomenon occurs (waterproofing surface 10), and the waterproofing treatment (b) should be sele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flow of groundwater (a) .

지하수 유입 정도(a)는 건조 상태(a1), 국부적인 누수 상태(a2) 및 광범위의 누수 상태(a3)로 구분될 수 있다. The degree of groundwater inflow (a) can be divided into a dry state (a1), a local leaking state (a2), and a wide leaking state (a3).

지하수 유입 정도(a)가 국부적인 누수 상태(a2)인 경우에는 방수 처리(b)는 배수공 형성 처리(b1) 또는 배수로 형성 처리(b2) 과정이 수행된다. When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a local water leakage state (a2), the waterproofing process (b) is performed in the drain hole forming process (b1) or the drainage forming process (b2).

지하수 유입 정도(a)가 광범위의 누수 상태(a3)인 경우에는 방수 처리(b)로서 방수포 처리(b3) 과정이 수행된다. When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in a wide leaking state (a3), the waterproofing treatment (b3) is performed as the waterproofing treatment (b).

건조 상태(a1)인 경우에는 추가적인 방수 처리(b)과정인 제3 단계(A300)가 수행되지 않고 제4 단계(A400)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dry state (a1), the third step (A300), which is the additional waterproofing process (b), is not performed and the fourth step (A400)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배수공 형성 처리(b1)가 수행되는 제3 단계(A300)는 방수 대상면(10)에 대하여 천공홀(2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A310a) 및 천공홀(20)에 입구에 삽입되며 천공홀(20)에 유입된 상기 지하수를 천공홀(20) 외부로 유도하는 유도관(30)을 설치하는 유도관 설치단계(A320a)를 포함한다(도 10, 도 11).The third step A300 in which the drain hole forming process b1 is performed includes a drilling step A310a for forming the drilling hole 20 with respect to the surface 10 to be watertight, And an induction pipe installation step A320a for installing the induction pipe 30 for guiding the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hole 20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ion hole 20 (FIGS. 10 and 11).

배수공 형성 처리(b1)가 수행되는 제3 단계(A300) 이후의 제4 단계(A400)는 천공홀(20)의 입구와 유도관(30)의 접촉부를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a)를 포함한다.  In the fourth step A400 after the third step A300 in which the drain hole forming process b1 is performed,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inlet of the perforation hole 20 and the guide pipe 30 is closed with the waterproof membrane layer 800 Closing step A410a.

제4 단계(A400) 이후에 유도관(30)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천공홀(20)을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2). And then grouting the perforation hole 20 by injecting the grout material into the induction pipe 30 after the fourth step A400 (FIG. 12).

배수로 형성 처리(b2)가 수행되는 제3 단계(A300)는 방수 대상면(10)의 누수지점(11)부터 시작되어 배수로(12)까지 연장되는 반원형 배수 파이프(40)를 설치하는 배수 파이프 설치단계(A310b)를 포함한다(도 14). The third step A300 in which the drainage forming process b2 is carried out is a drainage pipe installation in which a semicircular drainage pipe 40 extending from the water leakage point 11 of the waterproofing surface 10 to the drainage passage 12 is installed And includes step A310b (Fig. 14).

배수 파이프(40)의 양단(41)은 방수 대상면(10)에 대하여 면접촉 되도록 직선형으로 연장되며, 면접촉된 양단(41)은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42)에 의해 방수 대상면(10)에 고정된다. The both ends 41 of the drain pipe 40 extend linearly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aterproof object surface 10 and the both ends 41 of the surface contact are fixed by the fixing member 42 such as a bolt to the waterproof object surface 10 .

배수로 형성 처리(b2)가 수행되는 제3 단계(A300) 이후의 제4 단계(A400)는 방수 대상면(10) 및 반원형 배수 파이프(40)를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b)를 포함한다. The fourth step A400 after the third step A300 in which the drainage formation process b2 is performed is a closing step of closing the waterproof object surface 10 and the semicircular drain pipe 40 with the waterproof membrane layer 800 to be sprayed (A410b).

방수포 처리(b3)가 수행되는 제3 단계(A300)는 방수 대상면(10)의 누수지점(11)부터 시작되어 배수로(12)까지 연장되는 방수포(50)를 설치하는 방수포 설치단계(A310c)를 포함한다. The third step A300 in which the waterproofing treatment process b3 is performed includes a waterproofing cloth installation step A310c for installing a waterproofing cloth 50 extending from the water leakage point 11 of the waterproofing surface 10 to the water drainage path 12, .

방수포(50)는 불투성 재질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방수포 고정 홀(51)이 형성되고,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보강부재(52)가 덧대어진다(도 16). The waterproof 50 is formed of a non-penetrating material, a waterproof fixing hole 51 is formed along the rim, and a rim reinforcing member 52 is padded along the rim (Fig. 16).

방수포(50)의 테두리는 고정 홀(51)을 관통하는 방수포 고정부재(53)에 의해 방수 대상면(10)에 고정된다. The edge of the waterproof film 50 is fixed to the surface 10 to be waterproofed by the waterproof fixing member 53 passing through the fixing hole 51.

방수포 고정부재(53)의 두부는 고정 홀(51)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of the waterproof fixing member 53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hole 51. [

방수포 처리(b3)가 수행되는 제3 단계(A300) 이후의 제4 단계(A400)는 방수 대상면(10) 및 방수포(50)를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c)를 포함한다. The fourth step A400 after the third step A300 in which the waterproofing treatment process b3 is performed is a closing step A410c of closing the waterproofing object surface 10 and the waterproofing pail 50 with the waterproofing membrane layer 800, .

제4 단계(A400)는, 뿜칠 멤브레인 층(800)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복수의 돌출부(61)가 형성된 판형 부재(62)의 돌출부(61)를 숏크리트 층(700)에 접촉 설치하는 수로판 설치단계(A410) 판형 부재(62)의 배면에 뿜칠 방수 멤브레인을 도포하고 뿜칠 방수 멤브레인 도포 단계(A420) 및 뿜칠 방수 멤브레인을 양생하는 양생단계(A430)를 포함한다. The fourth step A400 is a step of forming the sprayed membrane layer 800. The fourth step A400 is a step of forming the sprayed membrane layer 800. The fourth step A400 is a step of forming the sprayed membrane layer 800, Installation step A410 includes a waterproofing membrane application step A420 applying and spraying a waterproofing membrane on the back side of the plate member 62 and a curing step A430 curing the watering membrane.

뿜칠 방수 멤브레인은 액상 폴리머 혼화재와 분말 혼화재가 혼합되어 조성된다. Sprayed waterproof membrane is formed by mixing liquid polymer admixture and powder admixture.

액상 폴리머 혼화재는 폴리머(EVA 공중합체 또는 PVAc-라텍스) 80~98중량%, 분산제(폴리에테르) 1~10중량%, 산화안정제(BHT) 0.1~5중량%, 점도조절제(HPMC) 0.1~5중량%, 가교제(보락스) 0.1~5중량%을 포함한다. The liquid polymer admixture may comprise from 80 to 98% by weight of a polymer (EVA copolymer or PVAc-latex), from 1 to 10% by weight of a dispersant (polyether), from 0.1 to 5% by weight of an oxidative stabilizer (BHT) By weight, and 0.1 to 5%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borax).

분말 혼화재는 고순도 알루미나 시멘트(Al2O3 68.5%이상) 20~39중량%, 탄산칼슘 40~60중량%, 칼슘설포알루미네이트 20~40% 중량, 촉진제(칼슘 포메이트 또는 리튬 카보네이트) 0.1~1중량%, 지연제(시트르산 또는 타르타르산) 0.1~1중량%, 소포제 0.1~1중량%, 합성섬유(직경 10~20 μm, 길이 6~18 mm) 0.1~1중량%를 포함한다. The powder admixture is composed of 20-39 wt% of high purity alumina cement (Al 2 O 3 68.5% or more), 40-60 wt% of calcium carbonate, 20-40 wt% of calcium sulfoaluminate, 0.1-1.0 wt% of accelerator (calcium formate or lithium carbonate) 0.1 to 1% by weight of a retarder (citric acid or tartaric acid), 0.1 to 1% by weight of an antifoaming agent, and 0.1 to 1% by weight of synthetic fibers (10 to 20 μm in diameter and 6 to 18 mm in length).

액상 폴리머 혼화재와 분말 혼화재의 혼합비율은 1 : 0.3 ~ 0.5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xing ratio of the liquid polymer admixture and the powder admixture is preferably 1: 0.3-0.5 by weight.

제4 단계(A400) 이후에는 표면 콘크리트 층(900)을 형성하는 제5 단계(A500)가 수행되는데, 제4 단계(A400)에서 도포된 뿜칠 방수 멤브레인이 완전히 경화되기 전에 표면 콘크리트 층(900)을 형성하는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부착 강도의 확보면에서 바람직하다. After the fourth step A400, a fifth step A500 of forming the surface concrete layer 900 is performed. In the fourth step A400, the surface concrete layer 900 is formed before the spraying waterproof membrane applied in the fourth step A400 is completely cure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lining concrete that forms the reinforcing member in terms of securing the bonding strength.

뿜칠 방수 멤브레인의 경화 속도를 고려하면 뿜칠 방수 멤브레인이 도포된 후 1 시간 이내에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nsidering the curing rate of the waterproof membrane to be sprayed,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lining concrete within 1 hour after the spray waterproof membrane is appl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방수 설계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The waterproof design method of the main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A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방수 대상면
100 : 내부공간
200 : 암주
300 : 구획부재
400 : 구획공간
500 : 보강부재
600 : 완충부재
700 : 숏크리트 층
800 : 멤브레인 층
900 : 표면 콘크리트 층
10: Waterproof face
100: interior space
200: Beast
300: partition member
400: compartment space
500: reinforcing member
600: buffer member
700: shotcrete layer
800: membrane layer
900: Surface concrete layer

Claims (18)

암주(200) 및 내부공간(100)을 포함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에 있어서,
매트릭스 설계법에 의한 지보재 설계단계(S); 및
방수 설계단계(A);를 포함하되,
상기 지보재 설계단계(S)는,
상기 지보재가 시공될 대상면을 결정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대상면에 시공될 상기 지보재의 양을 결정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대상면에 상기 지보재를 시공하는 제3 단계(S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암주(200) 및 상기 내부공간(100)의 형상에 따른 형상별 응력강도비를 검토하는 단계;
상기 암주(200) 및 상기 내부공간(100)의 형상에 따른 형상별 한계변형률을 검토하는 단계; 및
상기 내부공간(100)의 공간 활용 목적에 따른 공간활용률을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보재는 숏크리트이며,
상기 지보재의 양은 [식 1]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암주(200)의 안전율에 따른 상기 숏크리트의 두께이며,
상기 방수 설계단계(A)는,
숏크리트 층(700)을 형성하는 제1 단계(A100);
방수 대상면(10)에 대한 지하수 유입 정도(a)를 결정하는 제2 단계(A200);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에 대응하는 방수 처리(b)를 수행하는 제3 단계(A300);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을 형성하는 제4 단계(A400); 및
표면 콘크리트 층(900)을 형성하는 제5 단계(A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식 1]
암주(200)의 안전율 = 암주(200)의 강도 / 암주(200)에 작용하는 평균 상재 압력
In a method of designing a main type underground structure including a trough 200 and an inner space 100,
A step of designing a support material by a matrix design method (S); And
(A) a waterproof design step,
The support material designing step (S)
A first step (S100) of determining a target surface on which the support is to be installed;
A second step (S200)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the support material to be applied to the object surface; And
And a third step (S300) of constructing the support material on the target surface,
In the first step S100,
Examining the stress intensity ratio of each shape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 bushes (200) and the internal space (100);
Examining the critical strain of each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oss (200) and the inner space (100); And
And calculating a space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a space utilization purpose of the internal space 100
The support material is a shotcrete,
The amount of the support material is the thickness of the shotcrete according to the safety factor of the bush 200 determined by Equation 1,
The waterproof designing step (A)
A first step A100 of forming a shotcrete layer 700;
A second step (A200) of determining the degree of groundwater inflow (a) to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A third step (A300) of performing a waterproofing process (b) corresponding to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A fourth step A400 of forming a waterproofing membrane layer 800 to be sprayed; And
A fifth step A500 of forming a surface concrete layer 90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Formula 1]
The safety factor of the calf 200 = the intensity of the calf 200 / the average supernatant pressure acting on the calf 2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보재는 록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보재의 양은 상기 숏크리트의 두께 및 상기 록볼트의 설치 간격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록볼트의 개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lock bolt,
Wherein the amount of the support material further includes the number of the lock bolt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of the shotcrete and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lock bol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별 응력강도비는 [식 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식 2]
응력강도비 = 암반의 일축압축강도 / 암반 파괴 시의 축방향 응력
암반 파괴 시의 축방향 응력 = σcm + k×σ3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ress intensity ratio of each shape is determined by Equation (2).

[Formula 2]
Stress intensity ratio =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ock mass / axial stress at rock breakage
Axial stress at rock failure = σ cm + k × σ 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별 한계변형률은 [식 3]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식 3]
한계변형률(logεc) = -0.25log(암반의 변형계수)-1.96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ritical strain for each shape is determined by Equation (3).

[Formula 3]
Limit strain (log ε c ) = -0.25 log (deformation modulus of rock) -1.9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활용률은 [식 4]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식 4]
공간활용률 = (암주(200)에 의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단위 면적 - 암주(200)의 면적) / (암주(200)에 의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단위 면적)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pace utilization factor is determined by Equation (4).

[Formula 4]
Space utilization rate = (unit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the canopy 200-area of the canopy 200) / (unit area of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the canopy 20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는 건조 상태(a1), 국부적인 누수 상태(a2) 및 광범위의 누수 상태(a3)로 구분되며,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가 국부적인 누수 상태(a2)인 경우의 상기 방수 처리(b)는 배수공 형성 처리(b1) 또는 배수로 형성 처리(b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divided into a dry state a1, a local water leakage state a2, and a wide water leakage state a3,
Wherein the waterproofing treatment (b) when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a local water leakage state (a2) is a drainage hole forming treatment (b1) or a drainage path formation treatment (b2)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A3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에 대하여 천공홀(20)을 형성하는 천공단계(A310a); 및
상기 천공홀(20)에 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천공홀(20)에 유입된 상기 지하수를 상기 천공홀(20)의 외부로 유도하는 유도관(30)을 설치하는 유도관 설치단계(A320a);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A400)는,
상기 천공홀(20)의 입구와 상기 유도관(30)의 접촉부를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step (A300)
A perforating step (A310a) of forming a perforation hole (20) with respect to said waterproof surface (10); And
A guide pipe installation step A320a for installing an induction pipe 30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20 and guiding the groundwater introduced into the perforation hole 20 to the outside of the perforation hole 20; ; ≪ / RTI >
In the fourth step A400,
And a closure step (A410a) of closing the inlet of the perforation hole (20)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induction pipe (30) with the spraying waterproof membrane layer (80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A400) 이후에,
상기 유도관(30)으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상기 천공홀(20)을 그라우팅하는 그라우트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fter the fourth step A400,
A grouting step of grouting the perforation hole 20 by injecting a grout material into the induction pipe 30;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A3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의 누수지점(11)부터 시작되어 배수로(12)까지 연장되는 반원형 배수 파이프(40)를 설치하는 배수 파이프 설치단계(A310b);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A4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 및 상기 반원형 배수 파이프(40)를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third step (A300)
A drain pipe installation step (A310b) for installing a semicircular drain pipe (40) starting from a water leakage point (11) of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and extending to a drainage path (12)
In the fourth step A400,
And closing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and the semicircular drain pipe (40) with the sprayed waterproof membrane layer (80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파이프(40)의 양단(41)은 상기 방수 대상면(10)에 대하여 면접촉 되도록 직선형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both ends (41) of the drain pipe (40) are linearly extended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파이프 설치단계는,
상기 배수 파이프(40)의 양단(41)을 상기 방수 대상면(10)에 고정하는 고정부재(42)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rain pipe installation step includes:
Fixing the both ends (41) of the drain pipe (40) to a fixing member (42) for fixing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는 건조 상태(a1), 국부적인 누수 상태(a2) 및 광범위의 누수 상태(a3)로 구분되며,
상기 지하수 유입 정도(a)가 광범위의 누수 상태(a3)인 경우의 상기 방수 처리(b)는 방수포 처리(b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divided into a dry state a1, a local water leakage state a2, and a wide water leakage state a3,
Wherein the waterproofing treatment (b) when the groundwater inflow degree (a) is in a leaking state (a3) in a wide range is a waterproofing treatment (b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A3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의 누수지점(11)부터 시작되어 배수로(12)까지 연장되는 방수포(50)를 설치하는 방수포 설치단계(A310c);를 포함하되,
상기 제4 단계(A400)는,
상기 방수 대상면(10) 및 상기 방수포(50)를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 층(800)으로 폐쇄하는 폐쇄단계(A41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third step (A300)
(A310c) installing a tarpaulin (50) extending from the water leakage point (11) of the waterproof target surface (10) to the drainage path (12)
In the fourth step A400,
And closing the waterproof object surface (10) and the waterproof film (50) with the waterproofing membrane layer (800) sprayed on the waterproof surface (A410c).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50)는
불투성 재질로 형성되며,
테두리를 따라 방수포 고정 홀(51)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보강부재(52)가 덧대어지며,
상기 방수포 설치단계는,
상기 방수포(50)의 테두리를 상기 고정 홀(5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의 두부를 갖는 방수포 고정부재(53)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tarpaulin (50)
And is formed of an impermeable material,
A waterproof fixing hole 51 is formed along the rim,
A frame reinforcing member 52 is padded along the rim,
In the step of installing the tarpaulin,
Fixing the rim of the waterproof pail (50) with a waterproofing fixing member (53) having a head of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ing hole (51);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A400)는,
복수의 돌출부(61)가 형성된 판형 부재(62)의 상기 돌출부(61)를 상기 숏크리트 층(700)에 접촉 설치하는 수로판 설치단계(A410);
상기 판형 부재(62)의 배면에 뿜칠 방수 멤브레인을 도포하고 뿜칠 방수 멤브레인(810) 도포 단계(A420); 및
상기 뿜칠 방수 멤브레인을 양생하는 양생단계(A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fourth step A400,
(A410) of installing a projecting portion (61) of a plate-like member (62) hav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61) in contact with the shotcrete layer (700);
Applying a waterproof membrane 810 to the rear surface of the plate member 62 by applying and spraying a waterproof membrane; And
A curing step (A430) for curing the sprayed waterproof membrane;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제1항에 따른 주방식 지하구조물의 설계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designing a main method underground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KR1020160140180A 2016-10-26 2016-10-26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KR101782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80A KR101782517B1 (en) 2016-10-26 2016-10-26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80A KR101782517B1 (en) 2016-10-26 2016-10-26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517B1 true KR101782517B1 (en) 2017-09-29

Family

ID=6003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180A KR101782517B1 (en) 2016-10-26 2016-10-26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1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754B1 (en) 2011-09-02 2012-03-29 (주)삼성건업 Unevenness waterproof-displacement sheet, tunnel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tructure thereof
KR101501453B1 (en) 2014-03-20 2015-03-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chor and drainag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tunn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754B1 (en) 2011-09-02 2012-03-29 (주)삼성건업 Unevenness waterproof-displacement sheet, tunnel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structure thereof
KR101501453B1 (en) 2014-03-20 2015-03-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anchor and drainage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or tun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41349B (en) A kind of excavating construction method that station is digged on the basis of Subway Tunnel shield tunnel
CN102966108B (en) Construction method of deep foundation pit close to building and adopting underground structure as internal support
CN105370289B (en) A kind of existing pipeline overlength Dryopteris sublaetaChing et Hsu method of complex environment
CN102704957A (en) Shed-frame method for shallowly burying large-sized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CN205013013U (en) Secretly dig station supporting construction suitable for last soft hard formation down
Zheng et al. The efficiency of the ability of isolation piles to control the deformation of tunnels adjacent to excavations
CN107386274A (en) Wear the compound isolation pile and its reinforced construction method of bridge pier in tunnel side
CN109236328A (en) The reinforcement means of shallow embedding mountain tunnel suitable for rich water soft layer
CN112832802B (en) Large-bottom plate suppor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asymmetric pressure
CN108797620A (en) A kind of OPT construction method of interlocking pile
EA031926B1 (en) Method for forming a pillar part and reinforcing adjacently constructed parallel tunnels with reinforcing rods
CN109026012A (en) Vertical shaft surrounding rock supporting structure and its excavation supporting method
CN110374657A (en) The Mining Method Subway Tunnel ventilating shaf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 well after first shield "
CN109505653A (en) A kind of stifled arrange of convertible type of rich water tunnel combines supporting construction
Lu et al. Overview of typical excavation failures in China
CN107245989A (en) Bear the tunne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technology of external water pressure in height
KR101901848B1 (en) Desig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Outer Side Waterproofing
KR101782517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girder of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CN109487793A (en) Inner support of pile foundation pit permanent support structure is perfused in a kind of solid matter under complex environment
CN105113513B (en) Anti-seepage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CN108952765B (en) Construction method for advanced support of super-large pipe shed on water-rich sand layer
KR20130082134A (en) Pre-support tunneling reinforced by in-situ soil mixed with cement
CN110512649A (en) The excavating construction method of basement and communication channel structure is added under existing building
RU2328577C2 (en) Method of existing buildings and constructions protection
KR101548926B1 (en)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and method for pillar type undergroun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