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71B1 -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 - Google Patents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371B1
KR101782371B1 KR1020127007691A KR20127007691A KR101782371B1 KR 101782371 B1 KR101782371 B1 KR 101782371B1 KR 1020127007691 A KR1020127007691 A KR 1020127007691A KR 20127007691 A KR20127007691 A KR 20127007691A KR 101782371 B1 KR101782371 B1 KR 10178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tissue
needle
surgical nee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5370A (ko
Inventor
윤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림사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림사이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림사이언스
Publication of KR20120065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1Holders for needles or sutures, e.g. rack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14Packages or dispensers for needles or sutures
    • A61B17/06119Packages or dispensers for needles or sutures of cylindrical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봉합사 중에서 적절한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봉합 기구로서,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를 보관하는 봉합사 보관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봉합사 공급부를 포함하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SUTURE APPARATUS FOR SELECTING AND SUPPLYING SUTURE THREADS}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봉합사 중에서 적절한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수술에 있어서, 장막, 근육, 근막, 피부, 혈관 등과 같은 조직을 봉합하는 과정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봉합 과정에서는 수술용 바늘과 여러 가지 봉합사(縫合絲)가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여러 가지 봉합사 중에서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을 봉합하기에 적절한 봉합사를 선택하는 것은 중요한데, 종래에는 이를 위하여 시술자의 경험적 지식에만 전적으로 의존하여 왔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봉합 시에는, 시술자가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의 신체 부위나 환자의 나이, 성별 등을 고려할 때 어떠한 봉합사가 사용되는 것이 적절한지에 관하여 자신의 경험적 지식(때로는, 감(感))에만 전적으로 의존하여 결정을 내리고 봉합을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관행 때문에 봉합의 퀄리티가 기대에 못 미쳤고, 또한, 시술자의 오판에 따른 의료 사고의 위험까지도 상존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한편, 본 출원인은 신규한 외과용 봉합 기구를 발명한 바 있고, 이에 관하여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를 출원하여 그 등록을 허여하는 취지의 결정을 이미 받은 바 있다(상기 출원의 명세서는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편입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출원인은 상기 외과용 봉합 기구나 이와 유사한 봉합 기구와 함께 사용되어 위와 같은 종래로부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신규한 기술을 아래와 같이 제안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봉합사 중에서 적절한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가지 봉합사 중에서 적절한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봉합의 퀄리티를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봉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봉합 원리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 제1 봉합사
20: 제2 봉합사
100: 결합부
200: 샤프트부
300: 동작부
400: 봉합부
410: 지지대
412: 내부 실린더
414: 외부 실린더
416: 홈
420: 바늘 구동부
422: 수술용 바늘
424: 바늘 수용부
426: 봉합사 보관부
428: 스풀
430: 봉합사 공급부
432: 연결 부속
434: 텐션 바
436: 선택 부속
438: 홀
440: 연결관
442: 공급 부속
444: 공급관
450: 샤프트 연결부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봉합 기구로서,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를 보관하는 봉합사 보관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봉합사 공급부를 포함하는 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봉합 기구로서, 지지대, 바늘 구동부, 및 수술용 바늘을 포함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은 상기 바늘 구동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따라, 상기 수술용 바늘로부터의 제1 봉합사와 상기 지지대로부터의 제2 봉합사가 서로 얽히게 되며, 상기 제1 봉합사와 상기 제2 봉합사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봉합사 공급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된 것인봉합 기구가 제공된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나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 그리고 그 세부 구성요소는 위에서 언급된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에서 설명된 외과용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 그리고 그 세부 구성요소와 많은 부분에 있어서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구성 중 특징적인 것과 재설명이나 부연 설명이 필요한 것을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봉합 기구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봉합 기구가 결합부(100), 샤프트부(200), 동작부(300) 및 봉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결합부(100)는 봉합 기구가 로봇 팔을 갖는 수술용 로봇 시스템이나 기타 수술용 시스템과 같은 외부 장치(미도시됨)에 결합되어 이로부터 소정의 제어 신호나 소정의 제어 조작(예를 들면, 기계적인 제어 조작)을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부(200)는 결합부(100)와 봉합부(40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동작부(300)와 같은 관절 구성요소를 개입시켜 봉합 기구가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봉합부(400)의 제어를 위한 와이어 기타 제어 부속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200)는 봉합 기구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부(300)는 샤프트부(200)의 하나 이상의 샤프트의 말단이나 사이에 배치되어 봉합 기구가 관절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외부 장치로부터의 소정의 제어 신호나 소정의 제어 조작에 따라 봉합부(400)의 위치 및/또는 방향이 결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부(300)는 필요에 따라 봉합부(400) 및/또는 샤프트부(200)의 샤프트가 피치 방향 및/또는 요 방향으로 동작하게끔 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400)에 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4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부(400)는 지지대(410)와 수술용 바늘(422)을 포함하는 바늘 구동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410)가 주로 하부 지지대(410)인 것으로 예시되지만, 수술용 바늘(422)에 대향하거나 대하여 있는 지지대(410)가 수술용 바늘(422)의 위쪽에 또는 다른 쪽에 배치될 수도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410)는 기본적으로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구동부(420)는 수술용 바늘(422)을 지지대(410)에 대하여 동작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술용 바늘(422)의 동작에 따라 조직이 봉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봉합의 원리에 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늘 구동부(420)의 상세한 구성에 관하여는 도 5 등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수술용 바늘(422)로부터의 봉합사와 지지대(410)로부터의 봉합사가 서로 얽힘에 따라 봉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공지의 여러 가지 재봉틀에서 발견되는 원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원리가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봉합 원리의 일 예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바늘(422)은 지지대(410)에 대하여 (즉, 조직(T)에 대하여) 왕복 동작을 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1 봉합사(10)를, 바람직하게는, 그 첨단에 가까운 부분에서, 물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지지대(410)는 조직(T)을 지지하면서 제2 봉합사(20)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지지대(410)는 그 내부에 내부 실린더(412)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실린더(4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실린더(412)와 외부 실린더(414)는 함께 또는 각자 회전할 수 있다. 내부 실린더(412)에는 제2 봉합사(20)가 배치되어 있어서 제2 봉합사(20)가 이로부터 풀리게 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실린더(414)는 소정의 홈(416)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살펴본다. 먼저, 도 3의 좌도(左圖)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바늘(422)이 제1 봉합사(10)를 문 채로 지지대(410)에 대하여 동작하면서 조직(T)을 관통하면, 수술용 바늘(422)에 물려 있는 제1 봉합사(10)가 지지대(410)의 외부 실린더(414)의 회전에 따라 그 홈(416)에 걸리면서 소정의 고리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의 중도(中圖)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실린더(414)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커지는 제1 봉합사(10)의 고리 안으로 지지대(410)의 내부 실린더(412)의 회전에 따라 그로부터 풀리는 제2 봉합사(20)가 들어 가기 시작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술용 바늘(422)은 여전히 제1 봉합사(10)를 문 채로 지지대(4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3의 우도(右圖)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용 바늘(422)이 한 번의 왕복 동작을 마칠 즈음에 외부 실린더(414)의 1회 회전도 마무리되면서 제2 봉합사(20)가 제1 봉합사(10)의 고리 안으로 들어 가게 될 수 있고, 이로써 제1 봉합사(10)와 제2 봉합사(20)가 조직(T)을 봉합하면서 서로 얽히게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봉합사(10)와 제2 봉합사(20)는 서로 얽히되 묶여지지 않을 수 있다. 이후에는, 여기서 설명된 한 단위의 봉합 과정이 반복되면서 전체적인 봉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1 봉합사(10)와 제2 봉합사(20)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부(400)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제어 신호나 제어 조작에 따라 바늘 구동부(4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술자가 외부 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바늘 구동부(420)가 그에 수용되어 있는 수술용 바늘(422)과 함께 지지대(410)에 대하여 동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시술자가 외부 장치를 조작함에 따라 바늘 구동부(420) 및/또는 지지대(410)가 봉합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이와 관련하여, 필요한 경우, 샤프트부(200)의 체장이 신장하거나 수축하면 바늘 구동부(420) 및/또는 지지대(410)가 이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에서 설명된 바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를 위하여도, 봉합 시 옵션(3층 봉합, 세 줄 봉합, 네 줄 봉합, 지그재그 봉합, 평행 봉합, 말아박기 봉합, 오버로크 봉합 등)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나, 봉합 진행 모드를 자동 모드나 반자동 모드로 하는 구성이나, 바늘땀의 간격 및/또는 봉합 속도가 결정되거나 설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나, 침습 수술 등의 다양한 수술에 적합하도록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이나 디멘젼에 필요한 변경을 가한 구성 등이 채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에서 설명된 바를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를 위하여도, 바늘 구동부(420)에 레일(미도시됨)이 적용되도록 하는 구성이나 봉합부(400)에 회전부(미도시됨)가 적용되도록 하는 구성 등이 채택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봉합 기구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는 소위 분리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봉합 기구는 제1 결합부(100a), 제2 결합부(100b), 제1 샤프트부(200a), 제2 샤프트부(200b), 제1 동작부(300a), 제2 동작부(300b) 및 봉합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바늘 구동부(420)를 포함하는 봉합부(400)의 상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00a), 제1 샤프트부(200a) 및 제1 동작부(300a)와 함께 봉합 기구의 하나의 분리된 모듈을 형성할 수 있고, 봉합부(400)의 하부에 해당하는 지지대(41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부(100b), 제2 샤프트부(200b) 및 제2 동작부(300b)와 함께 봉합 기구의 다른 분리된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부(100a), 제1 샤프트부(200a) 및 제1 동작부(300a)는 제2 결합부(100b), 제2 샤프트부(200b) 및 제2 동작부(300b)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구성의 봉합 기구의 각 모듈은 다양한 경로로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에서의 관절 운동이 보다 자유로울 수 있고, 각 모듈이 서로 다른 외부 장치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관형 장기를 봉합하는 경우나 수술용 포트를 사용하여 봉합을 수행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의 변경된 구성에 관하여는 한국특허출원 제2009-37128호를 더 참조할 수 있다.
바늘 구동부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 기구는 적절한 봉합사를 공급하기 위한 신규한 구성의 바늘 구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구동부(420)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구동부(420)는 수술용 바늘(422), 바늘 수용부(424), 봉합사 보관부(426), 다수의 스풀(spool)(428), 봉합사 공급부(430) 및 샤프트 연결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바늘(422)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봉합사를 물고 지지대(410)에 대하여 왕복 동작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구성요소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늘 수용부(424)는 수술용 바늘(422)을 수용한 상태에서 지지대(410)에 대하여 왕복 동작을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술용 바늘(422)의 왕복 동작을 야기할 수 있다. 바늘 수용부(424)의 동작이 구현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지의 전기식 또는 기계식 액츄에이터(미도시됨)와 이러한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공지의 구동원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보관부(426)는 그에 배치되는 다수의 스풀(428)에 구비되는 여러 가지 봉합사를 보관하고 이를 후술하는 봉합사 공급부(43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봉합사 보관부(426)에는 봉합사가 다양하게 구비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비되는 여러 가지 봉합사는 재질, 장력, 강도, 굵기, 체내 흡수 시간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봉합사 보관부(426)는, 바늘 구동부(420)가 차지하는 공간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고 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보관부(426) 상의 각 스풀(428)은 봉합사가 소진된 경우나 봉합사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착탈 방식 등으로 손쉽게 교체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공급부(430)는 수술용 바늘(422)에 필요한 봉합사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봉합사 공급부(430)는 연결 부속(432), 텐션 바(tension bar)(434), 선택 부속(436), 다수의 홀(438), 다수의 연결관(440), 공급 부속(442) 및 공급관(444)의 세부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연결 부속(432)은 봉합사 보관부(426)와 봉합사 공급부(430)를 서로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연결 부속(432)에 의한 이러한 연결은, 봉합사 보관부(426)(와 다수의 스풀(428))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여, 손쉽게 해제될 수 있는 연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공지의 다양한 연결 수단이 연결 부속(432)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텐션 바(434)는, 봉합사 보관부(426)의 교체나 개별 스풀(428)의 교체 등으로 인하여 봉합사 보관부(426)로부터 봉합사 공급부(430)로 제공되는 봉합사의 장력이 봉합사 공급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상기 제공되는 봉합사의 장력을 소정의 기준에 맞도록 조절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 부속(436)은 봉합사 보관부(426)로부터 제공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봉합사 중에서 하나 이상의 선택된 봉합사(수술용 바늘(422)에 공급되는 봉합사는 경우(예를 들면, 세 줄 봉합과 같은 봉합 옵션이 선택된 경우 등)에 따라 둘 이상일 수도 있음)만이 공기 흡입 수단(미도시됨)에 의한 흡입력에 의하여 후술하는 연결관(440)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택 부속(436)은 다수의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는 홀(438)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홀(438)의 각각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봉합사 선택에 따라 소정의 개폐 수단(미도시됨)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결과적으로 봉합사의 선택적인 공급에 기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급 부속(442)은 연결관(440)에 이송된 봉합사를 다시 공급관(444)으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급 부속(442)은 다수의 연결관(440)이 그를 개입시켜 공급관(444)으로 회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 부속(442)에도 봉합사가 연결관(440)으로부터 공급관(444)으로 계속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흡입 수단(미도시됨)이 구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급관(444)은 그에 이송되어 온 봉합사가 수술용 바늘(422)에 공급되도록 하는 통로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비록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급관(444) 주변에는 공급관(444)의 봉합사를 수술용 바늘(422)에 직접적으로 결속시키기 위한, 루프(미도시됨)와 같은 봉합사 결속 수단(미도시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이와 같은 봉합사 결속 수단의 필요성을 없애기 위하여, 봉합사가 봉합사 보관부(426) 상에서 애초에 수술용 바늘(422)에 결속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봉합사와 함께 공급관(444) 등을 통하여 공급된 수술용 바늘(422)이 바늘 수용부(424)의 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바늘 배치 수단(미도시됨)은 요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 연결부(450)는 바늘 구동부(420)가 전술된 바와 같은 샤프트부(200)에 연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 연결부(450)는 당업자의 니즈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봉합사의 선택
전술한 바와 같이, 봉합사(바람직하게는, 제1 봉합사(10))는 바늘 구동부(420)의 여러 구성요소의 작용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시술자가 봉합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자는 소정의 제어 패널(미도시됨)을 조작함으로써 스풀(428)에 구비된 봉합사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패널의 각 봉합사 선택 수단(예를 들면, 봉합사 선택을 위한 기계적인 버튼이나 그래픽 버튼)은, 각 스풀(428)의 봉합사의 선택을 위한, 각각의 홀(438)의 개폐 수단에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버튼에는, 일반적으로 봉합사 선택의 기준이 되는, 조직의 신체 부위의 명칭이나 기타 정보(예를 들면, 환자의 나이, 성별 등)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그리고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어 패널은, 그것이 다수의 홀(438)의 개폐 수단에 의한 개방/폐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인 이상, 당업자에 의하여 자유롭게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 또는 봉합 기구가 결합되는 외부 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 기구의 후술하는 바와 같은 측정 수단(미도시됨)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는, 조직 또는 조직 주변의 물리적, 화학적 상태에 따라, 적절한 봉합사가 자동적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봉합 기구는, 측정 수단으로부터의 측정 데이터를 갖고, 조직 또는 조직 주변의 물리적, 화학적 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적절한 봉합사에 대응되는 정보(예를 들면, 적절한 봉합사에 대응되는 스풀(428)이나 홀(438)에 관한 식별 정보)를 서로 매칭시키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를 참조함으로써, 봉합사를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서(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에 의한 봉합사 선택은 필요에 따라 시술자의 제어 패널 상의 조작에 의하여 승인될 수 있다. 물론, 시술자가 정히 프로세서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선택된 봉합사가 아닌 다른 봉합사를 스스로 선택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는,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조작에 따른 시술자의 봉합사 선택을 허용할 수도 있다.
한편, 조직 또는 조직 주변의 물리적, 화학적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수술용 바늘(422)로 조직을 꿰뚫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이나, 조직 또는 조직 주변의 전위, 산도, 혈액 등의 농도, 수분의 양 등일 수 있다. 위와 같은 데이터의 측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측정 수단은 수술용 바늘(422)의 첨단이나 별도의 탐침(미도시됨)에 배치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측정 수단은 당업자가 공지의 여러 측정 수단 중 하나 이상을 채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술용 바늘(422)로 조직을 꿰뚫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은 공지의 가압 센서(미도시됨)나 압력 센서(미도시됨)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는 봉합 전에 수술용 바늘(422)로 시험적으로 조직을 꿰뚫는 과정에서 임계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가압 센서나 압력 센서는, 예를 들면, 바늘 수용부(424)의 가압 상태나 속도, 속도 변화를 측정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임계 압력 측정치는 프로세서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가압 센서나 압력 센서 외에도, 공지의 전위 센서(미도시됨)나 산도 검출기(미도시됨) 등과 같은 공지의 측정 수단이 그 측정 데이터를 프로세서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봉합 전 또는 후에 측정 수단에 의하여 측정되는 데이터는 소정의 디스플레이(미도시됨)를 통하여 시술자에게 보여질 수도 있다. 이에 기하여, 시술자는 위에서 설명된 봉합사의 직접 선택이나 아래에서 설명되는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위한 조작을 제어 패널을 이용하여 행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시술자가 이러한 피드백을 제공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봉합은 더욱 정교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된 봉합사의 선택과 공급에 관한 원리는 지지대(410)로부터의 제2 봉합사(20)에 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봉합 기구의 소정의 제2 봉합사 보관부(미도시됨)와 소정의 제2 봉합사 공급부(미도시됨)로부터 선택, 공급되는 제2 봉합사(20)가 지지대(410)의 내부 실린더(412)에 감겨져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봉합사의 자동 선택을 위한 매칭 정보는, 필요에 따라, 시술자의 제어 패널을 이용한 봉합사 선택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이러한 갱신은, 개별 봉합 기구에서의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내용이 소정의 컴퓨터 통신망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 서버(미도시됨)에 보고되거나 개별 봉합 기구에 의하여 컴퓨터 통신망 상의 웹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가 공통적으로 참조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경험이 많은 시술자가, 조직 또는 조직 주변의 물리적, 화학적 상태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봉합 기구가 자동적으로 선택하는 것보다 더 적절한 봉합사를 스스로 선택한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갱신을 통하여 시술자의 경험적 지식이 공익적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수술용 바늘의 선택적 이용
봉합사가 봉합사 보관부(426) 상에서 애초에 수술용 바늘(422)에 결속되어 있고, 수술용 바늘(422)이 봉합사와 함께 공급될 수 있는 실시예에 관하여 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다. 이러한 경우, 각 봉합사는 해당 봉합사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가장 적절한 수술용 바늘(422)에 결속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봉합사뿐만 아니라, 굵기, 길이, 강도, 유연성 등의 성질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수술용 바늘(422)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수술용 바늘(422)을, 봉합사와는 별도로,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구성이 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늘 수용부(424) 내에 소정의 수술용 바늘 인벤토리(미도시됨)가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인벤토리 내의 수술용 바늘(422)이 선택되어 그 일부가 바늘 수용부(424) 밖으로 돌출, 이용되는 구성을 상정할 수 있다. 상기 선택은 간단한 인벤토리 로테이션 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에 있어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측정 수단, 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제어 패널,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여러 구성요소를 개입시켜 수술용 바늘(422)이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선택된 수술용 바늘(422)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봉합사가 결속되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특히, 프로세서, 데이터베이스, 제어 패널, 디스플레이 등과 연관된 처리에 관한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위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8)

  1. 봉합 기구로서,
    수술용 바늘,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를 보관하는 봉합사 보관부, 및
    상기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한 가지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봉합사 공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의 선택은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는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봉합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공급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가지의 선택된 봉합사를 상기 수술용 바늘에 공급하는 봉합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공급부는 상기 적어도 한 가지의 선택된 봉합사와 상기 수술용 바늘을 함께 공급하는 봉합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보관부 상에 다수의 스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스풀 각각은 상기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한 가지를 구비하는 봉합 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공급부는 상기 봉합사 보관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속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속에 의한 상기 연결은 해제될 수 있는 봉합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공급부는 상기 봉합사의 장력의 조절을 위한 텐션 바를 포함하는 봉합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공급부는 상기 봉합사의 선택을 위한 선택 부속을 포함하는 봉합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부속은 다수의 개폐 가능한 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개폐 가능한 홀 각각은 상기 적어도 두 가지의 봉합사 중 적어도 한 가지에 대응되는 봉합 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의 선택은 시술자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는 봉합 기구.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봉합사에 관한 정보를 서로 매칭시키는 봉합 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수술용 바늘로 상기 조직을 꿰뚫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 상기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전위, 상기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산도, 상기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혈액의 농도, 및 상기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수분의 양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데이터인 봉합 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시술자의 봉합사 선택에 따라 갱신될 수 있는 봉합 기구.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공급부는 상기 다수의 개폐 가능한 홀에 대응되는 다수의 연결관과 상기 다수의 연결관이 회합되도록 하는 공급 부속을 더 포함하는 봉합 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가지의 선택된 봉합사는 상기 공급 부속으로부터 공급되어 상기 수술용 바늘에 결속되는 봉합 기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가지의 선택된 봉합사는 상기 공급 부속으로부터 상기 조직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로 공급되는 봉합 기구.
  17. 봉합 기구로서,
    봉합의 대상이 되는 조직의 지지를 위한 지지대,
    바늘 구동부, 및
    수술용 바늘
    을 포함하고,
    상기 수술용 바늘은 상기 바늘 구동부에 수용되어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따라, 상기 수술용 바늘로부터의 제1 봉합사와 상기 지지대로부터의 제2 봉합사가 서로 얽히게 되며,
    상기 제1 봉합사와 상기 제2 봉합사 중 적어도 하나는 봉합사 공급부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봉합사의 선택은 상기 조직 또는 상기 조직 주변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는 측정부에 의하여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봉합 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용 바늘은 적어도 두 가지의 수술용 바늘을 보관하는 수술용 바늘 인벤토리로부터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봉합 기구.
KR1020127007691A 2009-08-28 2010-08-30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 KR101782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292 2009-08-28
KR20090080292 2009-08-28
PCT/KR2010/005851 WO2011025337A2 (ko) 2009-08-28 2010-08-30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370A KR20120065370A (ko) 2012-06-20
KR101782371B1 true KR101782371B1 (ko) 2017-09-27

Family

ID=43628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691A KR101782371B1 (ko) 2009-08-28 2010-08-30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04875B2 (ko)
EP (1) EP2471465A2 (ko)
JP (1) JP2013502974A (ko)
KR (1) KR101782371B1 (ko)
CN (1) CN102573661B (ko)
IN (1) IN2012DN02704A (ko)
WO (1) WO201102533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8123A2 (ko) * 2011-09-26 2013-04-04 Yoon Sang Jin 지능적 수술 시스템
CN103705282B (zh) * 2014-01-08 2015-11-11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后勤学院附属医院 一种手术压线盒
CN108371549B (zh) * 2018-04-17 2019-09-06 杨东 一种用于植皮区域和手术切口创面区域的缝合器械
CN109394285B (zh) * 2018-11-22 2024-01-19 兰州大学第二医院 一种腹腔镜手术缝合牵引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091A (ja) * 1999-08-17 2003-04-02 インブロ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自動刺繍機用上糸供給装置
JP2008000550A (ja) * 2006-06-26 2008-01-10 Brother Ind Ltd 多針式刺繍ミシン及び多針式刺繍ミシンプログラム
US20080035038A1 (en) * 2006-07-31 2008-02-14 Ekholm C Roger Automated surgical implant sew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0393U (ko) * 1974-08-02 1976-02-14
JPS55151956A (en) * 1979-05-17 1980-11-26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Sewing machine for medical treatment
JPS57170239A (en) * 1981-04-13 1982-10-20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Holding of shuttle of suturing device for operation
DE4310555C1 (de) * 1993-03-31 1993-12-09 Strobel & Soehne Gmbh & Co J Chirurgische Nähmaschine
JP3021570U (ja) 1995-08-10 1996-02-27 ロイヤル工業株式会社 ハンディ自動ミシン
JPH10259563A (ja) * 1997-03-13 1998-09-29 Mitsuwa Kinzoku Kk 多頭式刺繍機の糸道
JP3430152B2 (ja) * 1997-10-27 2003-07-28 アクシーア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縫合材給送及び張力調整装置
GB9817995D0 (en) * 1998-08-19 1998-10-14 Griffith John D A surgical sewing device
US6951565B2 (en) * 2002-04-24 2005-10-04 Linvatec Biomaterials Ltd. Device for inserting surgical implants
US7041111B2 (en) 2002-08-02 2006-05-09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Placing sutures
KR100742366B1 (ko) * 2006-03-14 2007-07-25 (주) 인브로 자수기용 윗실 공급장치
KR20090037128A (ko) 2007-10-11 2009-04-15 현대제철 주식회사 평행 채널 및 그의 제조방법
CN201263695Y (zh) * 2008-10-10 2009-07-01 孙志贤 手术用丝线分线盒
JP4862907B2 (ja) * 2009-03-24 2012-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針式ミシン
KR100994459B1 (ko) * 2009-04-28 2010-11-16 윤상진 재봉 기능을 갖는 외과용 봉합 기구
JP4798260B2 (ja) * 2009-06-10 2011-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システム、多針ミシン及び記憶装置
JP2011019699A (ja) * 2009-07-15 2011-02-03 Brother Industries Ltd 糸立て装置及びミシン
JP2011019700A (ja) * 2009-07-15 2011-02-03 Brother Industries Ltd 糸立て装置及びミシン
JP5722893B2 (ja) * 2009-08-17 2015-05-27 カリガン、パトリック、ジョン 複数の針を収容する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4915441B2 (ja) * 2009-08-21 2012-04-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2091A (ja) * 1999-08-17 2003-04-02 インブロ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自動刺繍機用上糸供給装置
JP2008000550A (ja) * 2006-06-26 2008-01-10 Brother Ind Ltd 多針式刺繍ミシン及び多針式刺繍ミシンプログラム
US20080035038A1 (en) * 2006-07-31 2008-02-14 Ekholm C Roger Automated surgical implant sewing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25337A2 (ko) 2011-03-03
CN102573661B (zh) 2015-03-25
EP2471465A2 (en) 2012-07-04
US9204875B2 (en) 2015-12-08
IN2012DN02704A (ko) 2015-09-04
WO2011025337A3 (ko) 2011-07-21
US20120209299A1 (en) 2012-08-16
KR20120065370A (ko) 2012-06-20
JP2013502974A (ja) 2013-01-31
CN102573661A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8190B2 (ja) 縫合装置
JP5323815B2 (ja) 結節要素のためのローダー及び糸通し器
JP3880907B2 (ja) 内視鏡用縫合器
KR101782371B1 (ko) 봉합사를 선택하여 공급하기 위한 봉합 기구
KR100933949B1 (ko) 스텐트-그래프트의 제조방법
JP5925857B2 (ja) 裁縫機能を有する外科用縫合器具
CN105769271A (zh) 一种深部软组织切口吻合的器械
CN107714116A (zh) 腹腔镜缝合器
KR101990064B1 (ko) 재봉 기능을 갖는 봉합 기구
CN102160810A (zh) 手术缝合器
CN202036260U (zh) 微创手术深度自动缝合器
JP7320523B2 (ja) 医療用双方向縫合システム
CN220735446U (zh) 一种导向套及腹腔闭合装置
JP6766520B2 (ja) 縫合装置
CN114767189A (zh) 内镜下负压连续缝合器
CN201719294U (zh) 腹腔镜手术打结器
JPWO2019163306A1 (ja) 医療用双方向縫合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US20120221023A1 (en) Suture apparatus having sew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