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941B1 -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941B1
KR101780941B1 KR1020150155366A KR20150155366A KR101780941B1 KR 101780941 B1 KR101780941 B1 KR 101780941B1 KR 1020150155366 A KR1020150155366 A KR 1020150155366A KR 20150155366 A KR20150155366 A KR 20150155366A KR 101780941 B1 KR101780941 B1 KR 101780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pleurotus
cultivation
strain
ferul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070A (ko
Inventor
신평균
오민지
공원식
장갑열
오연이
김은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55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9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01G1/04
    • C12R1/64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원을 명칭으로 하는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용버섯으로 유용한 느타리속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하는 설원을 명칭으로 하는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비산1호-20 x 백령20-199의 교배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NEW VARIETIES OF SEOLWON OBTAINED BY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PLEUROTUS FERULAE AND PLEUROTUS TUOLIENSIS, AND CULTIVATION METHOD OF FRUITBODY THEREOF}
본 발명은 설원을 명칭으로 하는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용버섯으로 유용한 느타리속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하는 신균주 설원버섯(비산1호-20 x 백령20-199의 교배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국 등에서 도입된 “백영고[(아위느타리(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의 백색변종으로서 중국 자체 진화종으로‘아위측이’또는 ‘바이링구’로 불리며, 학명으로 Pleurotus nebrodensis로 불리어지다가 최근에 Pleurotus tuoliensis로 분류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 "Pleurotus tuoliensis"로 기술함)]”는 느타리속(Pleurotus) 버섯으로 중국이 원산지이고, 버섯 전체가 순백색이며, 갓은 손바닥형에서 말안장형으로 직경이 4-13cm이고, 중앙부는 평평하거나 요철형이며, 대의 길이는 3-4cm로 측생 또는 드물게 편생한다. 치매예방, 노화예방, 항암, 심장병, 고혈압 및 당뇨병 등에 효과가 있으나, 재배가 힘들고 반드시 15일 이상 저온처리가 필요하며, 갓이 잘 깨지거나 저장성이 약해 상품화하기 어렵다.
이 버섯의 재배방법은 다음과 같이 크게 2 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첫 번째 재배방법은, 적절하게 조절된 배양기에 백영고의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온도를 20℃ 전후로 40일간 유지 후 배양 후반에 온도를 10℃ 전후로 내려 10일 정도 배양하고, 다시 10일 동안 30℃ 전후까지 크게 상승하도록 하여 배양기에 균사를 만연시킨 후 버섯 발생 시에는 1℃ 전후로 며칠간 저온유지하고, 이후 5℃ 전후로 온도를 올려 7일 정도 배양한 뒤 균긁기를 하고, 균긁기 후 온도를 18℃ 전후에서 자실체 발생을 유도하는 것이며, 이는 특허문헌 일본 특개 제2004-2016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두 번째 재배방법은, 22-26℃에서 90일 정도 배양 후, 15일 정도의 저온처리를 행하고, 균긁기를 하여 생육시키는 것이며 생육에는 20일 정도 필요하므로, 총 재배기간으로 120일 이상이 소요되는 재배방법이며, 이는 Proceedings of China (Guang Shui) symposium on standarization production for edible mushroom & production fair for rare mushroom (Pleurotus nebrodensis), Edible Fungi Society of China, 2005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큰느타리(새송이)버섯은 유럽이 원산지인 느타리속(Pleurotus) 버섯으로 이 버섯의 갓은 성장에 동반하여 둥근 산 모양에서 평평하고 거꾸로인 로드상이 되고, 직경이 3-12cm이며, 대의 길이는 3-10cm으로 중심에서 나고 크다. 이 버섯의 재배기간은 비교적 짧고, 23℃에서 30-40일 정도 배양 후 균긁기를 하여 15-17℃에서 생육이 20일 정도 필요하기 때문에 총 재배기간은 50-60일 정도이다(澤章三著, 에링기-안정재배의 실제와 판매·이용, 농산어촌문화협회, 2001 참조).
따라서, 백영고의 재배방법은 기존의 새송이 버섯(P. eryngii)의 재배에 비해 재배주기가 길고, 게다가 재배공정에서 -1~10℃까지 온도 변화관리에 의한 저온처리를 하지 않으면 버섯이 발생하지 않는 등 재배 공정상의 문제점이 많이 도출되어 사업상의 이점이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그러나, 백영고와 큰느타리버섯의 잡종의 제작 방법으로 핵방법이 보고된 바 있으나, 이에 의해 얻어진 버섯의 형질 및 재배특성은 양자의 중간적인 것이 대부분이었다(일본 특개 제2006-67930호 참조).
그러므로, 재배기간이 짧고, 복잡한 이상온도 관리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의 새송이버섯 재배기술을 그대로 적용하여 쉽게 재배가 가능한 느타리속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하는 신규 균주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던 중 어떤 다른 느타리속(Pleurotus)의 버섯에 속하는 새송이 “Pleurotus eryngii (DC. : Fr.) Quel.”와 백영고 “P. nebrodensis (Inzenga) Quel”를 교배하는 사실을 발견하고, 새송이의 변종 아위느타리(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와 백영고(백령느타리, P. tuoliensis)를 세포질전환 기법으로 교잡된 우량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우량계통을 이용하여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 재배용 인공배양기를 사용하여 교잡하여 작출하는 균주의 선발을 실시한 결과, 새송이버섯과 같은 재배방식으로 재배가 가능한 느타리속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한 신규 균주 및 이의 재배 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배기간이 짧고, 복잡한 이상온도 관리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의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 재배기술을 그대로 적용하여 쉽게 재배가 가능한 느타리속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하는 신규 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12900BP의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신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신균주는 아위느타리(P. eryngii var. ferulae) 비산 1호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단포자와 백령느타리(P. tuoliensis) 백령20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하여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아위느타리(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신균주로 형성된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실체는 병 재배 시 수확량이 104g/병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자실체는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 인공재배 방법으로 재배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a) 재배 용기의 혼합배지에 영양원을 첨가하여 수분을 조절한 뒤 배양기에 충전하는 단계;
b) 배양기를 가열 살균 후 제1항의 신균주의 종균을 접종하고 균사를 배양하는 단계; 및
c) 저온 처리 없이 균긁기를 한 다음 생육실로 이동하여 자실체를 수확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은 총 재배기간이 40일 내지 50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로부터 얻어지는 포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탁번호 KCTC12900BP의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신균주의 균사체 배양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위느타리버섯(P. eryngii var. ferulae)과 백영고 (P. tuoliensis)와 교배시켜 작출하는 신규 균주를 사용하여 아위느타리 (P. eryngii var. ferulae)뿐만 아니라 새송이(Pleurotus eryngii) 인공재배 방법으로 신규 균주재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백영고와 같은 다단계 이상온도 관리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느타리속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하는 신규 버섯을 쉽게 재배할 수 있다.
도 1은 아위느타리 비산 1호의 자실체 사진이다.
도 2는 백령느타리 백령20의 자실체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서 얻은 본 발명의 신균주 느타리아위버섯의 자실체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재배기간이 짧고, 복잡한 이상온도 관리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기존의 새송이버섯 재배기술을 그대로 적용하여 쉽게 재배가 가능한 느타리속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하는 신규 균주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기탁번호 KCTC12900BP의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신균주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였다.
상기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는 아위느타리 비산 1호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단포자와 백령느타리 백령20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하여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위느타리 비산1호의 균주는 본 발명자가 아위느타리간 교배하여 육성된 품종으로서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된 균주이며, 상기 백령느타리 백령20의 균주는 농촌진흥청 버섯과에서 수집 보관중인 균주 중에서 수량이나 형태적으로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모균주로 이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백영고(白靈, Pleurotus tuoliensis)”는 상용 백영고, 백령고, 백령느타리 및 바이링구와 동일어이며, 상기 용어들은 본원에서 혼재되어 사용되었으나 모두 동일한 버섯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신균주로 형성된 아위느타리버섯 자실체를 제공한다.
상기 자실체는 병 재배 시 수확량이 104g/병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4g/병 내지 129g/병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의 자실체는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 인공재배 방법으로 재배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새송이버섯 인공재배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배지재료는 톱밥 : 콘코브 : 소맥피 : 미강 : 옥수수분 : 비트펄프 : 대두피 : = 30 : 38 : 12 : 8 : 4 : 4 : 4(%)의 용적비로 혼합하여 배지 함수율이 약 68%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배지의 충진량은 580g씩 입병한 후 2cm의 봉으로 가운데 위에 밑부분까지 타공하여 121℃에서 60분간 멸균할 수 있다. 종균의 접종양은 1병당 15∼20cc 정도를 표준으로 접종할 수 있다. 배양온도는 22℃에서 30∼35일간 종균이 밑둥까지 생장하도록 배양할 수 있다. 배양 완료 후 균긁기 작업을 한 다음 발이 생육온도는 18-15℃으로 관리하고, 습도는 90-95%으로 5∼8일간 물구나무서기 상태로 관리할 수 있다. 발이가 3cm 정도의 어린버섯의 원기가 형성되면 바로 물구나무서기 상태에서 정립상태로 되돌린 후 생육온도는 16℃에서 5∼7일간, 습도는 80-85%, 조도 100~200룩스, 이산화탄소 1,200∼1,500ppm에서 후기생육을 관리하여 버섯 갓이 반반구형의 모양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수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의 자실체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a) 재배 용기에 혼합배지에 영양원을 첨가하여 수분을 조절한 뒤 배양기에 충전하는 단계;
b) 배양기를 가열 살균 후 제1항의 신균주의 종균을 접종하고 균사를 배양하는 단계; 및
c) 저온 처리 없이 균긁기를 한 다음 생육실로 이동하여 자실체를 수확하는 단계.
상기 재배방법은 총 재배기간이 40일 내지 50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이링구(Pleurotus tuoliensis ) 형태를 띤 비산1호-20 x 백령20-199는 30∼35일간 배양한 후 생육실로 이동하여 10∼15일 후에는 수확할 수 있다. 따라서, 총 재배기간은 40일 내지 50일로 새송이 재배기간과 같으며 목표 내에 수확되었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량은 104g 얻어져 대조 비산1호보다 적었다. 또한, 버섯 형상은 갓의 직경과 두께가 대조의 것보다 크고 각각 86㎜, 38㎜였다. 대의 길이는 46㎜로 짧아 전형적인 바이링구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육질은 대조 바이링구와 같은 정도의 너무 질기도도 너무 연하지도 않고 치밀하고 식감이 매우 좋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비산1호-20 x 백령20-199는 재배기간이 짧고, 발생에 저온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발생 버섯의 형질이 좋고 갓이 발달하여 크고 대가 별로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서 식감 또한 좋은 균주라는 점에서 상품성의 관점에서 볼 때 아위느타리(P. eryngii var. ferulae)와 바이링구 (Pleurotus tuoliensis) 종간교잡에 의한 신교잡주라 할만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의 자실체로부터 얻어지는 포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기탁번호 KCTC12900BP의 신균주 아위느타리버섯(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의 균사체 배양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초과하지 않는 한 다음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새 균주의 육종 방법 및 유전학적 제반 특성
본 발명에 따른 신규 균주의 작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아위느타리버섯 포자와 백영고의 포자를 교배시킨 후, 혼합배지를 사용하여 수분 조절하였으며, 새송이버섯 재배용 배양기에 교잡균을 배양하여 선발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균주의 수집
아위느타리버섯은 본 발명자가 육성한 ‘비산1호’를 사용하였고, 백영고는 국내외에서 수집되어 농촌진흥청 버섯과에 보존중인 균주를 사용하였다. 보관 중인 균주로부터 균사를 배양하여 육종 모본 및 보존주로 하였다.
수집계통의 재배시험
수집계통의 특성을 배양시험을 위해 수집균주에서 균사 생장이 치밀하고 좋고, 발생기간이 보다 짧고, 발생이 확실하고 버섯의 형질이 좋은 균주를 선발한다.
1차 균사의 분리
1차 균사는 자실체로부터 포자를 얻고 단포자를 분리하여 얻었다. 1차 균사는 클램프가 없는 균주로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확인가능하다. 1계통당 300주 정도 분리하면 좋다. 이 1차 균사의 생장시험을 행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총 형태가 정상이고, 균사밀도가 높은 주를 선발한다. 이 선발에 의해 1 계통당 20주 정도의 1차 균사를 선발한다.
교잡
선발된 1차 균사끼리의 교배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체배지에 2개의 1차 균사를 1-3cm 정도 떨어져서 접종하고, 양 균사가 접촉하여 7∼10일 후에 균사를 현미경 관찰을 통해 클램프가 생겨 있는 것을 확인하고 525개의 교잡주를 얻는다. 종간교잡에 의한 분리형태가 나타나는 균주는 버리고 안정화된 교잡주의 생장시험을 행하여 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총형태가 정상이고 균사밀도가 높은 주를 선발한다. 여기서 65주 정도의 교잡주를 1차로 선발한다.
PCR에 의한 세포질전환 교잡주의 선발
1차로 선발된 교잡주 중에서 생장속도가 빠르고 균총 형태가 정상이고 균사밀도가 높은 33주를 선발하여 미토콘드리아 DNA 마커(MtPO1, 특허 제10-1166781호)를 이용하여 아위느타리 미토콘드리아 DNA가 존재하는 균주를 선발한 후 URP6 프라이머 (서린과학)를 이용하여 염색체 패턴이 하이브리드된(hybrid) 균주를 2차로 선발하였다.
재배시험에 의한 선발
2차로 선발된 교잡주의 자실체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새송이 재배방법으로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양 28일간에서 저온처리 없어도 발생하고, 형질이 좋고, 대가 발달하여 갓이 작은 주 또는 대가 거의 없고 갓이 발달한 주를 선발하였다.
최종선발
이들의 2차 선발주로부터 세포질전환 균주 33주로 좁혀 더욱 재배시험을 실시하여 형질이 명료하게 뛰어난 9주를 선발했다. 이 선발주의 재배시험을 반복하여 형질이 안정하고 갓이 크고 대가 짧은 우수한 균주를 비산1호-20 x 백령20-199로 명명하였고, 한국유전자원센터에 ‘설원버섯’으로 기탁하였다.
새 균주
설원버섯으로 명명된 비산1호-20 x 백령20-199 균주는 느타리속 새송이(Pleurotus eryngii) 속하는 신규 균주이며, 이 균주의 유전학적 제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분자분류
PDA 한천 배지에 3cm 간격으로 위의 각 균주를 접종하고 23℃에서 7일간 배양한 후, 양 균사 경계에 대선이 발생 여부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의 각 균주는 비산1호, 백령20, 비산1호 x 백령20-199와 대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이 균주는 아위느타리(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에 속하는 신규 균주임이 분명하다.
신규 자실체의 재배방법 및 신규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자실체의 재배 방법은 재배용기에 혼합배지에 영양원을 혼합하여 수분을 조절하여 배양기를 충전하고, 배양기를 가열 살균 후 실시예 1에서 얻은 새 균주의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실에서 균사를 배양하여 균긁기를 한 후 생육실에서 발이시킨 다음 후생육을 통하여 자실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양기술은 이전 새송이버섯 재배용 배양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재배 관리는 폴리프로필렌 병 (1,100cc)에 총 무게 550~580g 배양기를 충전하고, 배양기의 중앙부에 직경이 약 15mm로 바닥에 도달 접종 구멍을 만들고 고압살균기에서 살균 처리를 한 후 무균실에서 무균적으로 냉각하여 느타리속(Pleurotus)에 속하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신규 균주 (비산1호 x 백령20-199)를 접종하고 23℃에서 35일간 배양 관리를 실시했다. 이어 배양이 끝난 균상의 표면을 약 15mm의 깊이로 균긁기를 한 후, 도립 상태에서 온도 18~15℃, 탄산가스 농도 800~2,000ppm, 환경습도 95%이상의 습도 범위에서 발이를 유도하고, 용기를 업라이트 상태로 복구하고, 온도를 16℃, 환경 습도를 80~ 90%로 변경하여 낮 시간대에만 400㏓ 정도의 빛을 조사하여 발이 관리와 같은 조도 환경에서 성장 관리를 실시했다.
본 발명의 신규 균주의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자실체는 갓의 크기는 8cm, 원형 또는 부정 형태로 원형 내지 깔때기 모양, 갓 색상은 옅은 황백색 내지 재황색, 표면은 평활에 윤기가 있다. 버섯 모양은 주로 편심형이나 재배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색상은 흰색, 육질은 백색, 포자는 타원형 내지 방추형, 표면은 평활, 크기는 5~6 ×7~9μm에서 포자 무늬는 흰색이다.
실시예 1에서 선발하여 얻어진 신규 균주에 관하여, 이들 균주가 목적으로 하는 상업생산용 아위느타리(Pleurotus eryngii var. ferulae)와 바이링구(P. tuoliensis)의 종간교잡주라는 것을 이하 시험에 의해 실증한다.
신규 균주의 육종
신규 균주의 육종방법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신규 균주
본 발명의 아위느타리·백령느타리 종간교잡주 비산1호-47 x 백령20-75, 비산1호-132 x 백령20-112, 비산1호-179 x 백령20-184, 비산1호-20 x 백령20-199와, 대조 아위느타리 및 바이링구 균주를 비교했다. 대조 아위느타리 비산1호 균주는 본 발명자가 아위느타리간 교배하여 육성된 품종으로서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출원된 균주(출원 2013-203)이며, 대조 백령20 균주는 농촌진흥청 버섯과에서 수집 보관중인 균주 중에서 수량이나 형태적으로 우량계통을 선발하여 모균주로 이용하였다.
재배시험
배지재료는 톱밥 : 콘코브 : 소맥피 : 미강 : 옥수수분 : 비트펄프 : 대두피 : = 30 : 38 : 12 : 8 : 4 : 4 : 4(%)의 용적비로 혼합하여 배지 함수율이 약 68%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배지의 충진량은 580g씩 입병한 후 2cm의 봉으로 가운데 위에 밑부분까지 타공하여 121℃에서 60분간 멸균하였다. 종균의 접종양은 1병당 15∼20cc 정도를 표준으로 접종하였다. 배양온도는 22℃에서 30∼35일간 종균이 밑둥까지 생장하도록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균긁기 작업을 한 다음 발이 생육온도는 18-15℃으로 관리하고, 습도는 90-95%으로 5∼8일간 물구나무서기 상태로 관리하였다. 발이가 3cm 정도의 어린버섯의 원기가 형성되면 바로 물구나무서기 상태에서 정립상태로 되돌린 후 생육온도는 16℃에서 5∼7일간, 습도는 80-85%, 조도 100~200룩스, 이산화탄소 1,200∼1,500ppm에서 후기생육을 관리하여 버섯 갓이 반반구형의 모양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수확하였다. 수확한 자실체의 특성을 조사한 후 형태적으로 뛰어나고 수량성이 우수 균주인 비산1호-47 x 백령20-75, 비산1호-132 x 백령20-112, 비산1호-179 x 백령20-184, 비산1호-20 x 백령20-199를 선발하였다. 이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5107972747-pat00001
대조인 백령20은 배양기간이 30∼35일 배양하여 저온발생처리 후 2개월 정도 경과해도 전혀 발생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배양기간을 60일로 해도 저온처리를 하지 않으면 발생이 거의 보이지 않았다.
대조인 비산1호는 배양기간이 30∼35일 배양하여 생육실로 이동하여 10∼15일간 생육하면 수확가능하고, 수량은 131g으로 많았다. 버섯의 형상은 이른바 아위느타리형으로, 대의 직경이 28.5㎜, 길이가 69.5㎜, 개체수 5.5, 갓의 직경이 47.3㎜ 였다.
본 발명의 바이링구 형태를 띤 비산1호-20 x 백령20-199는 30∼35일간 배양한 후 생육실로 이동하여 10∼15일 후에는 수확 가능했다. 총 재배기간은 50일간으로 새송이 재배기간과 같으며 목표 내에 수확되었다. 수량은 104g 얻어져 대조 비산1호보다 적었다. 또한, 버섯 형상은 갓의 직경과 두께가 대조의 것보다 크고 각각 86㎜, 38㎜였다. 대의 길이는 46㎜로 짧아 전형적인 바이링구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육질은 대조 바이링구와 같은 정도의 너무 질기지도 너무 연하지도 않고 치밀하고 식감이 매우 좋았다.
이상 표 1의 결과에 기반하여, 본 발명 비산1호-20 x 백령20-199는 재배기간이 짧고 발생에 저온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발생 버섯은 형질이 좋고 갓이 발달하여 대형이며 대가 별로 발달하지 않은 것으로서 버섯의 식감이 좋은 균주라는 점에서 상품성의 관점에서 볼 때 아위느타리·바이링구 종간교잡에 의한 신교잡주라고 할만하다.
<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대조 백령20과 다른 바이링구를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관리하여 바이링구 재배를 실시했다. 결과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이 자실체의 발생이 되지 않았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라 아위느타리버섯 (P. eryngii var. ferulae) 과 바이링구 (P. tuoliensis)를 교잡시켜 육성하는 신규 균주는 바이링구 재배와 달리 재배기간이 짧으면서 저온처리가 필요없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새송이버섯 재배용 인공배양기를 사용하여 쉽게 인공 재배를 할 수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900BP 20150909

Claims (9)

  1. 아위느타리(P. eryngii var. ferulae)와 백령느타리(P. eryngii var. tuoliensis)의 종간 교잡주인 기탁번호 KCTC12900BP의 설원버섯 신균주(Pleurotus ferulae × Pleurotus tuoliensis).
  2. 제1항에 있어서, 아위느타리(P. eryngii var. ferulae) 비산 1호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단포자와 백령느타리(P. tuoliensis) 백령20의 자실체에서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탁번호 KCTC12900BP의 설원버섯 신균주.
  3. 제1항의 균주로 형성된 설원버섯 자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실체를 병 재배 시 수확량이 104g/병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원버섯 자실체.
  5. 제3항에 있어서, 새송이버섯(Pleurotus eryngii) 인공재배 방법으로 재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원버섯 자실체.
  6.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제3항의 설원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
    a) 재배 용기에 혼합배지에 영양원을 첨가하여 수분을 조절한 뒤 배양기에 충전하는 단계;
    b) 배양기를 가열 살균 후 제1항의 신균주의 종균을 접종하고 균사를 배양하는 단계; 및
    c) 저온 처리 없이 균긁기를 한 다음 생육실로 이동하여 자실체를 수확하는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총 재배기간이 40일 내지 50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설원버섯 자실체의 재배방법.
  8. 제3항의 설원버섯 자실체로부터 얻어지는 포자.
  9. 제1항의 기탁번호 KCTC12900BP의 설원버섯 신균주의 균사체 배양물.
KR1020150155366A 2015-11-05 2015-11-05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 KR101780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366A KR101780941B1 (ko) 2015-11-05 2015-11-05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366A KR101780941B1 (ko) 2015-11-05 2015-11-05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070A KR20170053070A (ko) 2017-05-15
KR101780941B1 true KR101780941B1 (ko) 2017-09-25

Family

ID=5873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366A KR101780941B1 (ko) 2015-11-05 2015-11-05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5056A1 (ko) * 2020-06-29 2022-01-06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신규 교잡품종 버섯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058B1 (ko) * 2018-02-21 2020-03-02 경상북도 중성지방 흡수 저해율이 높은 신규 교잡 신품종 버섯 균주 gbn2wp0970 및 그 자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5056A1 (ko) * 2020-06-29 2022-01-06 주식회사 노바셀테크놀로지 신규 교잡품종 버섯의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070A (ko) 2017-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84201B (zh) 一种真姬菇菌株及其选育方法
US9565829B2 (en) Strain of Lentinula edodes GNA01
KR20220164791A (ko) 플레보푸스 포텐토수스 균주 및 응용
CN106416774A (zh) 一种野生稻抗纹枯病的鉴定方法
WO2014014258A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CN110140591B (zh) 羊肚菌高产菌株及其应用
KR101200399B1 (ko) 신규 애주름버섯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천마종자의 기내발아방법
CN109749953B (zh) 蜡样芽孢杆菌、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528395B (zh) 一株捕食番茄青枯菌的黄色黏球菌及其在番茄青枯病生物防控中的应用
EP3247787B1 (en) New hybrid agaricus bisporus mushrooms strains
KR101780941B1 (ko) 아위느타리와 백령느타리의 종간 교잡을 통해 수득된 설원버섯 신균주 및 이의 자실체 재배방법
KR102276931B1 (ko) 침수 저항성, 혐기 발아성 및 도열병 저항성이 우수한 인디카 벼 신품종 &#39;세종인디1&#39; 및 이의 육종 방법
CN102732430A (zh) 一种黑曲霉菌及其应用
KR101239641B1 (ko) 신규한 백색 팽이버섯 균주
CN110607346A (zh) 一种杂草稻病原菌的鉴定方法及应用
Priyatmojo et al. Characterization of Rhizoctonia spp. causing root and stem rot of miniature rose
CN107325973B (zh) 一株对榛椿象具有强致病力的白僵菌菌株及其应用
CN108342448A (zh) 一种甘蔗杂交组合白条病抗性鉴定及抗病组合筛选方法
CN114350546A (zh) 假单胞菌属细菌及其在促进植物生长和开花坐果中的应用
KR101544927B1 (ko) 아위느타리버섯 신균주 P48-24s 및 이의 자손
CN106834135A (zh) 一种诱导葡萄痂囊腔菌产孢的方法
KR101044345B1 (ko) 버섯의 인공재배 방법
CN102362579A (zh) 一种人工杂交六倍体油菜小孢子再生植株的培养方法
JP4981278B2 (ja) ハナビラタケの人工栽培方法
CN115093976B (zh) 一株白玉菇ZHSjg-byg及其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