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826B1 - Telescopic fork - Google Patents

Telescopic f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826B1
KR101780826B1 KR1020110120685A KR20110120685A KR101780826B1 KR 101780826 B1 KR101780826 B1 KR 101780826B1 KR 1020110120685 A KR1020110120685 A KR 1020110120685A KR 20110120685 A KR20110120685 A KR 20110120685A KR 101780826 B1 KR101780826 B1 KR 101780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s
fork
lower base
slide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6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65227A (en
Inventor
마우리지오 트라베르사
피에르 프란코 콤비나
바니 우그헤토
Original Assignee
유로포크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포크 에스.알.엘. filed Critical 유로포크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2006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2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포크는, 하측 기저부(10) 및 다단접힘식으로 연장될 수 있는 이동식 슬라이드(20,30)들을 포함하고, 각 세트의 롤러(13,14)들에 의해 각각의 슬라이드(20,30)가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각각의 수직 평면(P11,P12)들내에서 기저플레이트(16)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수직 플랜지(11,12)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대해 중간 슬라이드(20)를 미끄럼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1,12)들의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한 세트의 롤러(13)들을 고정한다. 상기 중간 슬라이드(20)는, 체인들의 안내부로서 작동하는 종방향 요홈(26a,26b)들을 가지고, 체인안내용 요홈(26a,26b)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의 플랜지(11,12)들이 연장되는 수직 평면(P11,P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중간위치들에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에서 중간위치에 적어도 제 1 광학장치(F)가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의 하부표면에 제 2 광학장치(C)가 고정된다.
관통 개구부(23)는 상기 포크의 적어도 한 개의 작업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장치(F,C)들사이에 배열되도록 중간 슬라이드(20)내에 형성된다.
The fork includes a lower base portion 10 and movable slides 20,30 that can be folded in a multi-fold fashion and each slide 20,30 is slid by each set of rollers 13,14 You can exercise. The lower base 10 has a pair of parallel vertical flanges 11 and 12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plate 16 in respective vertical planes P11 and P12 and the flanges are connected to the lower base 10, a set of rollers 13 arranged transversely outside the flanges 11, 12 to hold the intermediate slide 20 in a sliding manner. The intermediate slide 20 has longitudinal grooves 26a and 26b which act as guiding portions of the chains and the chain inner grooves 26a and 26b are formed by flanges 11 and 12 of the lower base portion 10 And is formed at the intermediate posit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extending vertical planes P11 and P12. At least a first optical device F is fixed to the lower base 10 in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flanges 11, A second optical device (C)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lide (30).
Through openings 23 are formed in the intermediate slide 20 such that they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devices F, C in at least one working position of the fork.

Description

다단접힘식 포크{TELESCOPIC FORK}[0001] TELESCOPIC FORK [0002]

본 발명은, 다단접힘식 포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단접힘식 포크는, 자동 조정(manipulation) 및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이용되고 전형적으로 파레트(pallet)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화된 리프트 트럭(lift truck)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자동화된 창고(warehouse)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tage folding fork. The multistage collapsible fork is used in automated manipulation and industrial automation applications and is typically used in conjunction with automated lift trucks to move pallets, for example, in an automated warehouse ).

공지된 것처럼, 다단접힘식 포크는 고정된 하측의 기저부 및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해 양측으로 다단접힘식으로 운동하고 중첩되어 연장될 수 있는 한 개이상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처리되어야 하는 화물들의 크기와 원하는 총 이동거리에 맞춰지도록 이동식 다단접힘 요소들의 갯수(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가 선택된다. As is known, a multi-fold folding fork is comprised of one or more elements that can move in a multi-folded fashion on both sides to move and overlap in order to move the fixed lower base and cargo. The number (two, three or four) of movable multi-stage folding elements is selected to match the size of the cargo to be processed and the desired total travel distance.

종래기술 및 종래기술이 가진 문제점들을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들 중 도 2에 도시된 공지형태의 다단접힘식 포크가 우선 설명된다. 상기 포크는, 중앙에 위치한 두 개의 수직 플랜지(11,12)들을 가진 고정상태의 하측 기저부(10)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들은 수평축을 가진 제 1 세트의 롤러(13)들을 가진다. 상기 롤러(13)들은 중간 슬라이드(20) 또는 운동하는 요소를 다단접힘식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한다. 제 2 세트의 롤러(14)들에 의해, 상기 중간 슬라이드는 상부슬라이드(30) 또는 이동요소를 다단접힘식으로 미끄럼가능하게 지지하고, 이용시 상기 상부 슬라이드는 전달되어야 하는 화물을 직접 지지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prior art, the multi-stage folding fork of the known type shown in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first described. The fork includes a fixed lower base portion 10 having two centrally located vertical flanges 11 and 12, the flanges having a first set of rollers 13 with a horizontal axis. The rollers 13 slidably support the intermediate slide 20 or the moving element in a multi-fold collapsible manner. With the second set of rollers 14, the intermediate slide slidably supports the upper slide 30 or the moving element in a multi-fold collapsible manner, and in use, the upper slide directly supports the load to be conveyed.

두 개의 체인(27)들(도 2에서 단지 한 개만 도시됨)의 단부들이, 측면의 외측위치들내에서 상기 플랜지(11,12)들에 고정되고, 랙과 피니온 구동기구에 의해 중간 슬라이드(20)에 전달되는 종방향 미끄럼 운동이 상기 체인들에 의해 상기 상부 슬라이드(30)로 제공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하측 기저부(10)에 구성되는 회전식 기어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플랜지(11,12)들 사이에서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의 하부의 전체 길이를 따라 중앙에서 이동하는 종방향 랙(25)을 포함한다. 상기 체인(27)들은, 중간슬라이드(20)내에 형성되고 평행하게 배열된 요홈(26a,26b)들에 의해 안내된다. The ends of the two chains 27 (only one of which is shown in Fig. 2) are fixed to the flanges 11, 12 in the lateral outer positions, and the intermediate slide < RTI ID = The longitudinal sliding movement transmitted to the upper slide 20 is provided to the upper slide 30 by the chains. The drive mechanism is moved centrally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slide 20 between the rotary gear wheel (not shown in the figure) and the flanges 11, 12 formed in the lower base portion 10 Lt; RTI ID = 0.0 > 25 < / RTI > The chains 27 are guided by grooves 26a, 26b formed in the intermediate slide 20 and arranged in parallel.

상기 슬라이드들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종래기술을 따르는 다수의 포크들은, 포크 몸체외부에 장착된 행정 스위치(stroke switch)(D)의 기계적 위치 또는 유도(inductive) 위치를 가진 제어시스템을 가진다. 포크가 이용되는 동안, 상기 외측위치는 행정 스위치들의 상기 단부를 특히 취약하게 만들고 약 5내지 10cm 만큼 포크의 전체 횡방향 수평크기를 증가시킨다.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lides, a plurality of fork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a control system with a mechanical or inductive position of a stroke switch D mounted outside the fork body. While the fork is being used, the outward position makes the end of the stroke switches particularly vulnerable and increases the overall lateral horizontal size of the fork by about 5 to 10 cm.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접힘식 포크내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을 최적화하고, 특히 상부슬라이드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광학 제어유닛을 보호위치에 배열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rrange the optical control unit in a protected position in order to optimize the space available in the multi-stage foldable fork and, in particular,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top slide.

하기 설명에서 이해되는 상기 및 다른 목적들과 장점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특징들을 가진 다단접힘식 포크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Thes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which are understoo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by a multi-stage folding fork having feature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을 따르는 다단접힘식 포크의 선호되지만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A preferred but non-limiting embodiment of a multi-stage foldable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다단접힘식 포크(telescopic fork)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다단접힘식 포크를 도시한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multi-stage telescopic f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or art multi-stage foldable fork;

도 1을 참고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다단접힘식 포크의 선호되는 실시예가, 하측 기저부(10), 상기 하측기저부(10)에 대해 다단접힘식으로 이동하는 중간 슬라이드(20) 및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에 대해 순서에 따라 다단접힘식으로 이동하는 상부 슬라이드(30) 또는 플랫폼을 포함한다. 1,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base 10, an intermediate slide 20 which is folded in a multi-fold manner with respect to the lower base 10, 20 and a top slide 30 or platform that moves in a multi-stage folding fashion.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수평의 기저플레이트(16)를 가지고, 측면으로 수직배열된 한 쌍의 플랜지(11,12)들이 상기 기저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들은 수직의 중앙 또는 중간 평면(P)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동일한 거리에 배열된다. 단면으로 볼 때,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대략 역 π의 형상을 가진다. 하기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종방향", "횡방향", "외부", "내부"와 같이 상대적인 방향 및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와 표현은, 수직의 중간평면(P) 및 도 1의 평면과 수직인 포크의 다단접힘식 운동의 "종방향"과 관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The lower base portion 10 has a horizontal base plate 16 and a pair of flanges 11 and 12 vertically arranged laterally extend from the base plate and the flanges extend in a vertical center or intermediate plane P at the same distan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Viewed in cross-section, the lower base 10 has a substantially inverted-π shape. In the following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erms and expressions indicating relative directions and positions, such as "longitudinal "," lateral ", & Shall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ulti-fold folding motion of the vertical fork.

상기 플랜지(11,12)들은, 각각 마주보는 상기 기저플레이트(16)의 종방향 측부 또는 변부(16a,16b)와 중간평면(P)사이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중간평면(P)에 대해 대칭을 이루며 상기 기저플레이트(16)로부터 연장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11,12)들은, 상기 변부(16a,16b)들사이의 거리를 따라 대략 1/3 및 2/3 경로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랜지(11,12)들은, 수평플레이트(17)에 의해 서로 강하게 연결된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7)는, 상기 플랜지(11,12)들과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11,12)들과 함께 H 형상의 단면을 가진 단일 성형부재를 형성하는 수평의 플레이트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The flanges 11,12 are symmetrical about the middle plane P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sides or edges 16a and 16b of the base plate 16 facing each other and the middle plane P And extends from the base plate (16). More specifically, the flanges 11, 12 are located approximately one-third and two-thirds of the path along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s 16a, 16b.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flanges 11, 12 are strong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orizontal plate 17. The horizontal plate 17 is formed by a horizontal plate porti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anges 11 and 12 and forms a single molded member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together with the flanges 11 and 12 do.

상기 하측기저부(10)상에서 상기 중간슬라이드(20)가 다단접힘식으로 미끄럼운동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수평축을 가진 제 1 세트의 롤러(13)들이 상기 플랜지(11,12)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제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롤러(13)들은, 중간슬라이드(20)내에서 측면의 종방향(lateral longitudinal) 공동(21)으로 형성된 두 개의 안내부들내에서 구름운동상태로 연결된다. 상기 공동(21)들은 상기 중간 평면(P)을 향한다. 상기 중간 슬라이드는, 횡방향으로 마주보게 외측을 향하는 제 2 쌍의 측면 종방향 공동(22)들을 가진다. 상부 슬라이드(30)에 형성된 수직의 횡방향 외측플랜지(36,37)들로부터 돌출하는 제 2 세트의 롤러(14)들이, 공지된 형태의 일반적인 구조로 상기 공동(22)내에 구름운동상태로 연결된다. A first set of rollers 13 having a horizontal axis are arranged transversely outside the flanges 11 and 12 so as to support the intermediate slide 20 on the lower base 10 in a multi- Position. The rollers 13 are connected in a rolling motion within two guides formed in the lateral longitudinal cavity 21 in the intermediate slide 20. The cavities (21) face the middle plane (P). The intermediate slide has a second pair of side longitudinal cavities 22 facing outwardly in a transverse direction. A second set of rollers 14 protruding from the vertical transverse outer flanges 36,37 formed in the upper slide 30 are connected in a rolling motion within the cavity 22 to a general structure of known type do.

중간슬라이드(20)는, 수평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평평한 중앙부분(24)을 포함한다. 상기 중앙부분은 상기 플랜지(11,12)위에서 다리(bridge)와 같이 연장된다. 종방향으로 기다란 슬롯(slot) 형상을 가진 수직의 관통 개구부(23)는, 중앙영역에서 중간슬라이드(2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와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다. 종방향 랙(rack)(25)은,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의 하부 전체 길이를 따라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중간슬라이드(20)의 중앙부분(24) 하측면으로부터 돌출한다. The intermediate slide 20 includes a flat central portion 24 having a horizontal plate shape. The central portion extends like a bridge on the flange (11, 12). A vertical through opening 23 having a longitudinally elongated slot shape is formed at a position in the central region close to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intermediate slide 20. A longitudinal rack 25 is centrally formed along the entire lower length of the intermediate slide 20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24 of the intermediate slide 20.

평행하게 배열된 종방향 요홈(26a,26b)들이, 중간 슬라이드(20)내에 형성되고 전달(transmission)기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각 체인을 위한 안내부로서 작동한다. 상기 전달기구는 래크(rack) 기구에 의해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에 전달된 미끄럼운동을 상부 슬라이드(30)로 전달한다. 각각의 상기 체인들은, 상기 하측기저부(10)에 고정된 제 1 단부 및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에 고정된 제 2 단부를 가진다. Parallel longitudinal grooves 26a, 26b act as guides for each chain (not shown) forming within the intermediate slide 20 and forming part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The transmission mechanism transfers the sliding movement transmitted to the intermediate slide 20 to the upper slide 30 by a rack mechanism. Each of the chains has a first end fixed to the lower base portion 10 and a second end fixed to the upper slide 30. [

본 발명을 따르는 포크내에 형성된 체인 전달기구는, 도 2에 도시된 공지의 포크내에 배열된 것보다 중간 평면(P)과 더욱 근접하게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전달체인과 간섭하지 않도록 수직의 플랜지(11,12)들은 횡방향으로 서로 더욱 떨어져 배열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측기저부(10)로부터 상기 플랜지(11,12)들이 돌출하는 수직 평면(P11,P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중간위치에서 체인 안내기능의 요홈(26a,26b)들이 포크의 중간평면(P)과 근접하게 형성된다. The chain transfer mechanism formed in the f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closer to the intermediate plane P than arranged in the known fork shown in Fig. The vertical flanges 11, 12 are arranged further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chain (not shown in the figure). The grooves 26a and 26b of the chain guiding function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vertical planes P11 and P12 from which the flanges 11 and 12 protrude from the lower base 10, Are formed close to the middle plane (P) of the fork.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부 슬라이드의 위치를 직접 제어하기 위한 광학 제어유니트가 포크의 중심과 근접한 보호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의 횡방향 거리가 증가하면 상기 횡방향 플랜지(11,12)들 중 적어도 한 개와 상기 랙사이에서 측면공간이 증가된다.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의 측면 보호위치에서 상기 하측기저부(1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 장착된 포토셀(photocell)(F)과 같은 제 1 광학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충분한 공간이 존재한다. 상기 플랜지(11,12)들과 상기 랙(25)사이에 자유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상부 슬라이드(3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서 하부면에 고정된 리플렉터(reflector)(C)와 같은 반사요소인 제 2 광학장치 및 상기 포토셀(F)사이에 관통 개구부(23)가 정렬될 때, 상기 제 2 광학장치가 상기 제 1 광학장치에 의해 직접 판독될 수 있다. 상기 포토셀(F), 관통개구부(23)와 리플렉터(C)는, 수직 평면이 선호되는 동일한 평면내에 위치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포크가 완전히 수축된 행정(stroke)위치의 단부와 같은 규정된 작업위치에 도달할 때, 두 개의 광학장치들과 관통 개구부(23)가 이상적인 동일 직선을 따라 배열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ptical control unit for directl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slide can be arranged in the protection posit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fork. As the lateral distance between the flanges 11, 12 increases, the lateral spacing increases between at least one of the lateral flanges 11, 12 and the rack. In order to accommodate a first optical device, such as a photocell F mounted on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lower base 10, in a side protective position between the flanges 11,12, There is sufficient spa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etween the flanges 11, 12. Since a fre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langes 11 and 12 and the rack 25, a reflector fixed to the lower surface from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upper slide 30, for example, The second optical device can be directly read by the first optical device when the through-hole 23 is aligned between the second optical device, which is a reflective element, such as the optical element C, and the photocell F. The photocell F, the through-opening 23 and the reflector C are located in the same plane in which the vertical plane is preferr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hen the fork reaches a prescribed working position, such as the end of the fully retracted stroke position, the two optics and the through opening 23 follow the ideal identical straight line .

상기 광학 시스템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전체 치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것이 분명하다. 상기 랙(25)이 중간 슬라이드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지라도, 랙은 포토셀(F)에 의해 방출되고 리플렉터(C)에 의해 반사되는 광선(R)의 통과를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17)는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공되는 수평 플레이트가 포토셀(F)에 고정되고 관통 개구부(18) 또는 다른 개구부를 가져서 상기 광선(R)이 차단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멍(18)은 상기 포토셀(F)과 수직으로 정렬된다. 상기 광선(R)의 수직방향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광선(R)을 수직에 대해 경사지게 향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리플렉터(C)를 일치되게 기울어지게 하여 동일하게 만족스럽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를 이용하면 리플렉터가 절대수직(absolute verticality) 조건 없이도 반사광선을 효과적으로 수신기를 향해 확산시키므로 유리하다. 상기 광선(R)이 상기 중간 평면(P)에 대해 기울어지면, 포크의 규정된 위치, 전형적으로 포크가 완전히 수축된 행정 위치의 단부에서 방출된 광선 및 반사된 광선이 통과할 수 있도록 중간 슬라이드의 개구부(23)가 배열되거나 설계된다. It is clear that the optical system is protected from impact and does not increase the overall dimensions. Although the rack 25 extends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intermediate slide, the rack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assage of the light R emitted by the photocell F and reflected by the reflector C. The horizontal plate 17 may be selectively constructed and the provided horizontal plate is fixed to the photocell F and has a through opening 18 or other opening so that the light R is not block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holes 18 are aligned vertically with the photocells F.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ight beam R is not essential. The present invention can equally well be applied by orienting the light beam R obliquely to the vertical and, if necessary, tilting the reflector C in a consistent manner. Using the reflector is advantageous because the reflector effectively spreads the reflected light toward the receiver without absolute verticality conditions. When the light beam R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intermediate plane P, the light beam emitted from the end of the prescribed position of the fork, typically at the fully retracted position of the fork, The openings 23 are arranged or designed.

본 발명은 반드시, 송신기와 수신기로서 작동하는 단일 포토셀을 포함한 광학장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덜 선호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랜지들(11 또는 12) 중 한 개가 배열되는 수직 평면(P11 또는 P12)들 중 한 개 및 해당 플랜지를 향하는 랙의 측부사이에서, 측면으로 한정된 평면에 입사광선과 반사광선사이에 예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 송신 광학장치와 별도의 수신 광학장치가 제공된다. 모든 경우에서 상기 개구부(23)는, 행정 위치의 단부에서 반사광선과 입사광선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선택적으로, 중간슬라이드내에, 입사광선을 위한 개구부와 반사광선을 위한 개구부가 존재할 수 있다. 추가로, 도 1에 도시되고 단일 송신 및 수신 광학장치(F)를 가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드들 사이에 종방향으로 기계적 유극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개구부(23)는 슬롯형태를 가지고 다시 말해 종방향으로 약간 기다란 형상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optical devices including a single photocell that operates a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ccording to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at are not described herein and are relatively less preferred, one of the vertical planes (P11 or P12) in which one of the flanges 11 or 12 is arranged and a rack An acute angle can be formed between the incident light beam and the reflected light beam in the plane defined by the side surface. In this modification, a transmission optical apparatus and a separate reception optical apparatus are provided. In all cases, the opening 23 is designed to allow reflected light and incident light to pass at the end of the stroke position. Optionally, in the intermediate slide, there may be an opening for the incident light and an opening for the reflected light.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and having a sing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optic (F), the opening 23 has a slotted shape to allow mechanical clear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slides, It is preferable to have a slightly elongated shap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고려되어야 하는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사실상, 본 발명은 부품들의 형상, 치수 및, 배열 및 구성, 작동의 상세부분들과 관련하여 수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사용조건에서는, 단지 두 개의 이동 슬라이드들이 포크에 제공되는 사양이 선호되지만,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세 개이상의 이동 슬라이드들을 포함한 포크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변형예들에서, 방출광선과 반사광선이 포크의 규정위치, 전형적으로 포크가 완전히 수축될 때 행정위치의 단부에서 통과될 수 있도록 상부 슬라이드와 기저부사이의 중간슬라이드들이 개구부들을 가져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which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nly. Indeed, the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connection with the shape, dimensions,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of parts, and details of operation. For example, in some conditions of use, a specification in which only two moving slides are provided on the forks is preferred, but is not necessary for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fork including three or more moving slides. In these variants, the intermediate slides between the top slide and the base should have openings so that the emitted light and the reflected light can pass at the prescribed position of the fork, typically at the end of the stroke position when the fork is fully retracted.

11, 12....플랜지,
13, 14....롤러,
23.....관통 개구부,
24.....중간 평면,
25.....랙.
11, 12 .... flange,
13, 14 .... Rollers,
23 ..... through opening,
24 ..... medium plane,
25 ..... rack.

Claims (13)

하측 기저부(10) 및 이동하는 복수 개의 슬라이드들(20,30) 또는 다단접힘식으로 연장될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하는 다단접힘식 포크(fork)로서, 수직의 대칭 평면(P)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열된 각 세트의 롤러(13,14)들에 의해 각각의 슬라이드(20,30)가 미끄럼운동하고,
상기 하측 기저부(10)는 각각의 수직 평면(P11,P12)들내에서 기저플레이트(16)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행한 수직 플랜지(11,12)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대해 중간 슬라이드(20)를 미끄럼상태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플랜지(11,12)들의 외측에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한 세트의 롤러(13)들을 고정하고,
상기 중간 슬라이드(20)는, 종방향 미끄럼운동을 상부 슬라이드(30)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들의 안내부로서 작동하는 종방향 요홈(26a,26b)들을 가지는 다단접힘식 포크에 있어서,
체인안내용 요홈(26a,26b)들은, 상기 하측 기저부(10)의 플랜지(11,12)들이 연장되는 수직 평면(P11,P12)들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중간위치들에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1,12)들사이에 위치하고 횡방향으로 중간위치에서 상기 하측 기저부(10)에 적어도 제 1 광학장치(F)가 고정되며,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의 하부표면에 제 2 광학장치(C)가 고정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드(30)와 하측 기저부(10)사이에서 중간 슬라이드(20)내에 적어도 한 개의 관통 개구부(23)가 형성되며, 상기 포크의 적어도 한 개의 작업위치에서 상기 관통 개구부(23)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학장치(F,C)들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A multi-step foldable fork comprising a lower base (10) and a plurality of moving slides (20,30) or elements capable of being multi-folded and fold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k is symmetrical about a vertical symmetry plane Each slide 20, 30 is slid by the rollers 13, 14 arranged in each set,
The lower base 10 has a pair of parallel vertical flanges 11 and 12 extending upwardly from the base plate 16 in respective vertical planes P11 and P12 and the flanges are connected to the lower base 10, a set of rollers 13 arranged transversely outside the flanges 11, 12 to hold the intermediate slide 20 in a sliding manner,
The intermediate slide (20) is a multi-step foldable fork having longitudinal grooves (26a, 26b) which act as guides of chains for conveying longitudinal sliding movement to the upper slide (30)
The chain inner grooves 26a and 26b are formed at intermediate positions transversely between the vertical planes P11 and P12 where the flanges 11 and 12 of the lower base 10 extend,
At least a first optical device (F) is fixed to the lower base (10) at an intermediate position located between the flanges (11, 12) and in a transverse direction,
A second optical device (C)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lide (30)
Wherein at least one through opening (23)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slide (20) between the upper slide (30) and the lower base (10), wherein the through opening (23) 1 and the second optics (F, 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슬라이드(20)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랙(25)이 추가로 포함되고, 상기 플랜지(11,12)들 중 한 개의 플랜지(12)가 연장되는 이상적인 수직 평면(P11) 및 상기 플랜지(12)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플랜지(12)를 향하는 상기 랙(25)의 측부가 연장되는 또 다른 이상적인 수직평면사이에서 상기 광학장치(F,C)들과 개구부(23)가 횡방향 또는 측면으로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3.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ack (25) extending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intermediate slide (20), and an ideal vertical plane in which one of the flanges (11,12) Between the optical devices F and C and the openings 23 (see Fig. 23) between the other ideal vertical planes where the sides of the rack 25 facing the flange 12 extend at a position closest to the flange 12, Is constrain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in the lateral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부(23)는 종방향으로 기다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3. The multi-step foldable fork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hrough-opening (23) is longitudinally elonga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개구부(23)는 상기 플랜지(11,12)위에서 다리(bridge)와 같이 연장되는 중앙부분(24)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openings (23) ar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24) extending like a bridge on the flanges (11,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작업위치에서 관통 개구부(23), 제 1 광학장치(F)와 제 2 광학장치(C)가 수직평면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rough openings (23), the first optical device (F) and the second optical device (C) are arranged in a vertical plane at the working position of the fork.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작업위치에서 관통 개구부(23), 제 1 광학장치(F)와 제 2 광학장치(C)가 수직 직선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through-opening (23), the first optical device (F) and the second optical device (C) are arranged along a vertical straight line at the working position of the f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2)들은, 기저플레이트(16)의 마주보는 종방향 변부(16a,16b)들과 중간평면(P)사이에서 횡방향의 중간위치들에서 상기 중간평면(P)에 대해 대칭구조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2. A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flanges (11,12) are arranged in the middle plane (P) between the opposed longitudinal sides (16a, 16b) of the base plate (16) Are arranged in a symmetrical configuration with respect to the pivot (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2)들은 수평 플레이트(17)에 의해 서로 강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평 플레이트(17)는 제 1 광학장치(F)위에 배열되며 상기 광학장치(F)위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관통 구멍(18)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s (11,12) are connected strongly by a horizontal plate (17), the horizontal plate (17) is arranged on a first optics (F) And a through hole (18) arranged vertical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장치(F)는 포토셀과 같은 광학적 송신기/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irst optical device (F) is an optical transmitter / receiver such as a photo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광학장치(F)는 하측 기저부(1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aid first optics (F) is mounted on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lower base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장치(C)는 리플렉터와 같은 반사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econd optical device (C) is a reflective element such as a refl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광학장치(C)는 상부 슬라이드(30)의 종방향 단부들 중 한 개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optics (C) is arranged in on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the top slide (3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의 작업위치는, 포크가 다단접힘식으로 수축될 때 행정 위치의 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접힘식 포크. The multi-stage folding for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orking position of the fork is an end of the stroke position when the fork is contracted in a multi-fold folding manner.
KR1020110120685A 2010-12-10 2011-11-18 Telescopic fork KR10178082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10A000985A IT1403012B1 (en) 2010-12-10 2010-12-10 TELESCOPIC FORK
ITTO2010A000985 2010-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227A KR20120065227A (en) 2012-06-20
KR101780826B1 true KR101780826B1 (en) 2017-09-21

Family

ID=4373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685A KR101780826B1 (en) 2010-12-10 2011-11-18 Telescopic fork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63226B1 (en)
KR (1) KR101780826B1 (en)
CN (1) CN102556902B (en)
IT (1) IT14030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91822B (en) * 2014-06-10 2016-04-06 山西东杰智能物流装备股份有限公司 Can pinpoint telescopic light-duty pallet fork
CN104310281B (en) * 2014-08-28 2016-09-14 缪慰时 Internal combustion drives large-tonnage hydrostatic four-way fork truck
ITUA20163972A1 (en) 2016-05-31 2017-12-01 Eurofork S R L Telescopic fork.
IT202200010799A1 (en) 2022-05-24 2023-11-24 Eurofork S P A Pair of telescopic forks
IT202200010787A1 (en) 2022-05-24 2023-11-24 Eurofork S P A Telescopic f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880A (en) 2004-12-14 2006-06-29 Daifuku Co Ltd Sliding fork device
CN101885456A (en) 2010-06-24 2010-11-17 西安航天动力机械厂 Telescopic f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27570A (en) * 1967-06-16 1968-05-31 Demag Zug Gmbh Stacking device with telescopic platform expandable on both sides or on one side
SE366009B (en) * 1972-07-11 1974-04-08 Bygg Och Transportekonomie Ab
DD102367A1 (en) * 1973-03-12 1973-12-12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8880A (en) 2004-12-14 2006-06-29 Daifuku Co Ltd Sliding fork device
CN101885456A (en) 2010-06-24 2010-11-17 西安航天动力机械厂 Telescopic f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3226B1 (en) 2014-03-19
CN102556902A (en) 2012-07-11
KR20120065227A (en) 2012-06-20
IT1403012B1 (en) 2013-09-27
ITTO20100985A1 (en) 2012-06-11
EP2463226A1 (en) 2012-06-13
CN102556902B (en)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826B1 (en) Telescopic fork
JP2020525372A (en) Transfer robot and method of picking goods by transfer robot
EP2112095B1 (en) Article conveyance device
US20090136331A1 (en) Manipulatio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helf
CN105692019B (en) Side arm type transfer device
EP3040235B1 (en) Trailer for a route train
CN110809554B (en) Pallet for a conveyor system, convey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conveyor system
CN105050930A (en) Turning system for belt transport system
KR20010007319A (en) Stacker crane
EP2261168B1 (en) A telescopic fork
CN111170217A (en) Unmanned forklift
US9994427B2 (en) Safety chain for pallets for conveyors used to transport people and goods
KR20200021990A (en) Forklift including clamping device for forklift and clamping device
ES2577538T3 (en) Gantry truck for use in container terminals and for general transport tasks
EP1151959B1 (en) Lift truck with extensible mast
US20230135834A1 (en) Industrial truck with a load receiving element for receiving elongated goods
KR102223773B1 (en) Running Carriage Assembly and Gantry Crane Apparatus Therewith
JP5532342B2 (en) Goods storage facility
CN116409732A (en) Light heavy-duty three-way forklift type AGV and cargo connection and transfer method
US20050061613A1 (en) Transport system for containers, in particular an airport baggage handling system
KR20060072972A (en) Multi angle fork carriage of forklift
JP4257599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CN117658021A (en) Telescopic fork and stacker
CN117105131A (en) telescopic fork
SU1047786A1 (en) Load-lifting platform of stacker cr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