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430B1 - 전기로 - Google Patents

전기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30B1
KR101780430B1 KR1020160117557A KR20160117557A KR101780430B1 KR 101780430 B1 KR101780430 B1 KR 101780430B1 KR 1020160117557 A KR1020160117557 A KR 1020160117557A KR 20160117557 A KR20160117557 A KR 20160117557A KR 101780430 B1 KR101780430 B1 KR 10178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block
lead wire
lead
electric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손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손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손금속
Priority to KR102016011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8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24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of metallic work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6Charging or discharging machines on travelling carri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63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endless 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71Use of a comminuting device, e.g. grinding mi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75Charging or discharging vertically, e.g. through a bottom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2003/121Band, belt or me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02W30/821

Abstract

본 발명은 폐전선에서 분리된 도선조각을 손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로는 상기 전기로본체(A)는 바닥면(3)에 형성된 삽입공(4)에 매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에는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이송하여 상기 전기로본체(A)의 개구부로 공급하는 이송수단(50)이 구비되어,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자동으로 전기로본체(A)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업으로 도선조각(1)을 상기 전기로본체(A)로 투입할 필요가 없음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로{electric furnace}
본 발명은 폐전선에서 분리된 도선조각을 손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구리재질의 도선과, 상기 도선의 둘레부를 덮고 있는 합성수지재의 피복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장시간 사용되어 폐기된 전선, 즉, 폐전선은 폐전선 동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구리재질의 도선과 합성수지재질의 피복으로 분리한 후, 고가인 도선은 전기로 등에서 용융시켜 재활용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이 폐전선을 재활용하는데 사용되는 전기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기로본체(A)와, 상기 전기로본체(A)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폐전선의 도선과 피복을 분리하는 폐전선 동분리장치(B)로 구성된다.
상기 전기로본체(A)는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바닥면(3)에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로 폐전선의 도선을 투입하여 용융시키고, 도선이 충분히 용융되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용융된 도선을 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폐전선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폐전선을 분쇄하여 폐전선이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쇄기(30)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배출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을 선별하여 배출하는 선별유닛(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쇄기(30)는 둘레면에 복수개의 절단날(31)이 구비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분쇄기(30)를 회전시키면,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폐전선이 상기 절단날(31)에 의해 짧게 잘려져 하측으로 배출냄으로써,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이 상호 분리되도록 한다.
즉, 상기 피복은 도선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피복될 뿐, 도선에 접착되어 있지 않음으로, 상기 분쇄기(30)를 이용하여 피복과 도선을 잘게 조각형태로 분쇄하면, 분쇄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이 저절로 분리된다.
상기 선별유닛(40)은 상기 분쇄기(30)의 하측에 구비된 선별판(41)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단은 상기 선별판(41)의 전후단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힌지결합된 한 쌍의 지지아암(42)과, 상기 지지아암(42)에 연결되어 지지아암(42)을 전후방향으로 왕복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선별판(41)이 전후방향으로 왕복되도록 하는 구동모터(44)와, 상기 선별판(41)의 상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45)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선별판(41)은 전방으로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전선 동분리장치(B)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분쇄기(30)를 작동시키면,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폐전선이 상기 분쇄기(30)에 의해 잘게 잘려진 상태로 상기 선별판(41)의 상면으로 배출되며, 이때, 잘게 잘려진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은 저절로 상호 분리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이 선별판(41)의 상면으로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급수수단(45)을 이용하여 선별판(41)의 상면으로 물을 공급하면서 상기 구동모터(44)를 구동시키면, 상기 선별판(41)이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을 진동시키고, 이때, 비중이 낮은 피복조각(2)은 물과 함께 상기 선별판(41)의 경사를 따라 전방으로 흘러내려 배출되고, 비중이 높은 구리재질의 도선조각(1)은 선별판(41)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선별판(41)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별도로 수집하여 전기로 등에서 용해시켜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폐전선 동분리장치(B)의 자세한 구조 및 작용은 등록특허 10-1158862호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로는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에서 도선조각(1)이 분리되어 배출되면, 이를 작업자가 수거한 후 수작업으로 상기 전기로본체(A)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로 투입하여야 함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용량이 큰 전기로본체(A)의 경우, 상기 개구부의 높이가 높아서, 작업자가 사다리 등을 밟고 올라가서 도선조각(1)을 투입하여야 함으로, 사고발생의 위험성이 더욱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도선의 둘레부를 피복이 덮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분쇄기(30)를 이용하여 폐전선을 잘게 분쇄함으로써, 합성수지재질의 피복조각(2)이 구리재질의 도선조각(1)의 둘레부로부터 저절로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이때, 피복조각(2)이 도선조각(1)으로부터 원활히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선이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피복조각(2)의 일측이 개방되는 형태로 폐전선이 절단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분쇄기(30)를 이용하여 폐전선을 잘라낼 때,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조각(2)이 도선조각(1)의 둘레면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로 폐전선이 잘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피복조각(2)이 도선조각(1)으로부터 분리되기 어렵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선조각(1)의 외부에 피복조각(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별유닛(40)으로 공급되면,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이 분리된 도선조각(1)이 함께 상기 선별판(41)의 후방으로 배출되어 섞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수작업을 통해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선별하여야 함으로, 불필요한 인건비가 소요될 뿐 아니라,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와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의 경우, 사이즈가 작아서, 다시 상기 분쇄기(30)로 공급하더라도, 더 이상 잘려지지 않음으로, 도선조각(1)으로부터 피복조각(2)을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은 재활용하지 못하고 폐기시켜야 함으로, 자원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 들어, 식품가공회사 등에는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감지하는 이물질감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이물질감지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식재료를 촬영하고,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식재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크기나 색상의 차이를 분석하여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빠르게 이송되는 쌀알의 사이에 포함된 작은 쭉정이를 찾아낼 정도로 정밀도가 향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전선에서 분리된 도선조각을 손쉽게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전기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전기로본체(A)와, 상기 전기로본체(A)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폐전선의 도선과 피복을 분리하는 폐전선 동분리장치(B)를 포함하는 전기로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본체(A)는 바닥면(3)에 형성된 삽입공(4)에 매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바닥(3)면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폐전선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폐전선을 분쇄하여 폐전선이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쇄기(30)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배출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을 선별하여 도선조각(1)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유닛(40)과,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이송하여 상기 전기로본체(A)의 개구부로 공급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이송수단(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되는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60)과,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촬영하는 카메라(70)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감지하며 상기 배출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배출수단(60)에 의해 배출된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피복분리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선별판(41)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컨베이어장치(51)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2)과,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후방으로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장치(53)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후방 하측에서 상기 전기로본체(A)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바닥면(3)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3 컨베이어장치(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지지대(61)와, 지지대(61)에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낙하되는 도선조각(1)에 선택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전방으로 밀어내는 에어분사장치(62)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장치(62)는 상기 지지대(61)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분사공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분사노즐(62)과, 상기 분사노즐(6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6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2b)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62)은 상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피복분리수단(90)은 상기 배출수단(60)의 전방에 위치되어 배출수단(60)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는 수집호퍼(91)와, 상기 수집호퍼(91)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통공(9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블록(92)과,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블록(93)과, 상기 회전블록(93)에 연결된 구동모터(94)와, 상기 회전블록(93)의 하측 둘레부에 배치된 배출가이드(95)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블록(93)은 상면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과 회전블록(93)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출핀(96)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집호퍼(91)에 도선조각(1)을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블록(93)을 회전시키면, 상기 도선조각(1)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과 회전블록(93)의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에 의해 상하면이 가압되어 도선조각(1)으로부터 이탈되고, 상호 분리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은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상대회전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가이드(95)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블록(92)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블록본체(92b)와, 상기 블록본체(92b)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단열부재(92c)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92b)에 연결되어 블록본체(92b)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0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냉각수단(100)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본체(92b)를 저온으로 냉각시켜서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사이로 삽입된 도선조각(1)에 결합된 피복조각(2)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블록(92)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98)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블록(93)의 내부에는 공간부(93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93)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93a)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기공(93b)이 형성되며, 상기 급기수단(62b)은 상기 공간부(93a)에 연결되어 공간부(93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사이에 도선조각(1)이 삽입되고 상기 급기수단(62b)을 이용하여 공간부(93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98)으로 고정블록(92)을 상승시키면, 상기 배기공(93b)을 통해 회전블록(93)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블록(93)의 상면에 올려진 도선조각(1)이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뒤집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로는 상기 전기로본체(A)는 바닥면(3)에 형성된 삽입공(4)에 매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에는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이송하여 상기 전기로본체(A)의 개구부로 공급하는 이송수단(50)이 구비되어,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자동으로 전기로본체(A)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업으로 도선조각(1)을 상기 전기로본체(A)로 투입할 필요가 없음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로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전기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폐전선 동분리장치의 배출수단을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폐전선 동분리장치의 배출수단을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폐전선 동분리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폐전선 동분리장치의 배출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폐전선 동분리장치의 피복분리수단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폐전선 동분리장치의 피복분리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폐전선 동분리장치의 피복분리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구성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다른 전기로를 도시한 것으로,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전기로본체(A)와, 상기 전기로본체(A)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폐전선의 도선과 피복을 분리하는 폐전선 동분리장치(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기로본체(A)는 바닥면(3)에 형성된 삽입공(4)에 매입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삽입공(4)은 바닥면(3)에 상기 전기로본체(A)의 높이에 비해 조금 낮은 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4)에 전기로본체(A)를 설치하면, 상기 전기로본체(A)의 투입구가 바닥면(3) 보다 조금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바닥면(3)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폐전선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폐전선을 분쇄하여 폐전선이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쇄기(30)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배출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을 선별하여 도선조각(1)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유닛(40)과,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이송하여 상기 전기로본체(A)의 개구부로 공급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이송수단(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되는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60)과,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촬영하는 카메라(70)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감지하며 상기 배출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배출수단(60)에 의해 배출된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피복분리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과 공급수단(20)과 분쇄기(30) 및 선별유닛(40)은 종래의 폐전선 동분리기(B)에 구비된 것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수단(5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별판(41)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컨베이어장치(51)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2)과,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구비된 제2 컨베이어장치(53)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후방에 구비된 제3 컨베이어장치(54)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는 일반적인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것으로, 후단부가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선별판(41)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후방으로 이송하여 후단부에서 하측으로 낙하시킴으로써, 도선조각(1)을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건조수단(52)은 내부에 도시안된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건조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도선조각(1)은 상기 선별판(41)의 상면으로 공급된 후 상기 급수수단(45)에 의해 공급되는 물에 의해 피복조각(2)과 선별되어 선별판(41)의 후방으로 배출됨으로, 물에 젖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중간부에 건조수단(52)을 구비함으로써, 제1 컨베이어장치(5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가열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는 일반적인 벨트컨베이어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후방으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54)는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후방 하측에서 상기 전기로본체(A)의 상측으로 연장된 벨트컨베이어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바닥면(3)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폐전선 동분리장치(B)를 이용하여 도선조각(1)을 분리하여 상기 전기로본체(A)의 개구부로 공급할 때는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54)를 후퇴시켜 제3 컨베이어장치(54)의 후단부가 상기 전기로본체(A)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도선조각(1)의 공급을 완료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3 컨베이어장치(54)를 전방으로 전진킴으로써, 전기로본체(A)의 주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이동이 제3 컨베이어장치(54)에 의해 방해받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수단(6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지지대(61)와, 지지대(61)에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낙하되는 도선조각(1)에 선택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전방으로 밀어내는 에어분사장치(6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6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고정된다.
상기 에어분사장치(62)는 상기 지지대(61)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분사공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분사노즐(62)과, 상기 분사노즐(6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6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2b)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62)은 상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급기수단(62b)에 의해 공급된 고압의 공기를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향해 분사함으로써, 도선조각(1)을 전방으로 불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기수단(62b)은 급기관(62c)에 의해 상기 분사노즐(62)에 연결된 일반적인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62)은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됨으로, 상기 분사노즐(62)에서 고압의 공기가 분사되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하측으로 낙하되는 도선조각(1)중에서 일부분가 전방으로 밀려나가서 후술하는 피복분리수단(90)의 수집호퍼(91)로 수집된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상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복수개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폭이 넓은 제1 컨베이어장치(51)에 의해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감지하며 상기 배출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구리색이 아닌 다른 색의 물체가 있을 경우, 이를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으로 판단한다.
즉, 상기 도선은 구리재질로 구성됨으로, 피복조각(2)이 분리된 도선조각(1)은 구리색을 띄게 된다.
이에 반해, 피복은 흰색이나 청색, 적색 또는 검은색과 같이, 구리색 이외의 다른 색을 갖게 됨으로,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은 구리색 이외의 색을 띄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구리색 이외의 색을 띄는 물체가 있을 경우, 이를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70)에 촬영된 도선조각(1)의 색깔의 차이를 이용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확인하는 방법은 종래에 이물질검사장치에서 이물질을 감지하는 방법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80)은 제1 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되는 도선조각(1)에 피복조각(2)이 결합된 것이 있는 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상기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감지되면 해당 도선조각(1)의 위치와 이송속도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62)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피복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전방으로 불어냄으로서, 피복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피복분리수단(90)의 수집호퍼(91)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선조각(1)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에 의해 일정한 속도로 후방으로 이송된 후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하측으로 낙하되면서 상기 분사노즐(62)을 통과함으로, 상기 카메라(70)에 촬영된 도선조각(1)이 상기 분사노즐(62)의 전방을 통과하는 정확한 시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80)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피복이 결합된 도선조각(1)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도선조각(1)이 분사노즐(62)의 전방을 통과할 때 이에 대응되도록 분사노즐(62)만을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피복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정확히 상기 피복분리수단(90)의 수집호퍼(91)로 배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피복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우측에 위치된 경우, 우측에 위치된 분사노즐(62)만을 작동시켜 해당 도선조각(1)을 전방으로 불어내고, 피복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좌측에 위치된 경우, 좌측에 위치된 분사노즐(62)만을 작동시켜 해당 도선조각(1)을 전방으로 불어내어 배출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62)에서 분사되는 공기는 넓게 퍼지게 됨으로, 분사노즐(62)을 이용하여 도선조각(1)을 전방으로 불어낼 때, 목적한 피복이 결합된 도선조각(1)과 함께 주변의 다른 도선조각(1)도 함께 전방으로 밀려나가 배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도선조각(1)은 후술하는 공정에서 다시 재활용됨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상기 피복분리수단(90)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수단(60)의 전방에 위치되어 배출수단(60)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는 수집호퍼(91)와, 상기 수집호퍼(91)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통공(9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블록(92)과,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블록(93)과, 상기 회전블록(93)에 연결된 구동모터(94)와, 상기 회전블록(93)의 하측 둘레부에 배치된 배출가이드(95)로 구성된다.
상기 수집호퍼(91)는 하단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통공(92a)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블록(92)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통공(92a)은 고정블록(92)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블록(93)은 상면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은 원형의 블록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간격은 상기 통공(92a)으로 공급되는 도선조각(1)의 지름에 비해 조금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과 회전블록(93)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출핀(96)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94)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동축(94a)이 상기 회전블록(93)의 하측면 중앙부에 결합된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94a)은 상기 배출가이드(9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출가이드(95)는 상기 회전블록(93)의 하측 둘레부를 가리도록 배치되며 일측에는 배출구(9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95a)의 전방에는 별도의 수집통(97)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수단(60)에 의해 상기 수집호퍼(91)로 도선조각(1)이 배출되면, 도선조각(1)은 상기 통공(92a)을 통해 회전블록(93)의 상면으로 공급되며, 상기 회전블록(93)을 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선조각(1)이 회전블록(93)과 고정블록(92) 사이의 틈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93)을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블록(93)과 고정블록(92)의 사이로 삽입된 도선조각(1)은 회전블록(93)의 회전에 따라, 상하면이 가압된 상태로 구르면서 상기 회전블록(93)이 회전되는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있을 경우, 피복조각(2)이 회전블록(93)과 고정블록(92)에 의해 납작하게 가압되면서 찢어져 도선조각(1)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회전블록(93)이 계속적으로 회전되면, 상호 분리된 피복조각(2)과 도선조각(1)이 점차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최종적으로 상기 회전블록(93)과 고정블록(92)의 둘레부로 배출되어 상기 배출가이드(95)에 수집된 후 상기 배출구(95a)를 통해 수집통(97)에 수집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수집통(97)에 적정량의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이 수집되면, 상기 수집통(97)에 저장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을 상기 선별유닛(40)으로 재투입하여 다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선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기로는 상기 전기로본체(A)는 바닥면(3)에 형성된 삽입공(4)에 매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에는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이송하여 상기 전기로본체(A)의 개구부로 공급하는 이송수단(50)이 구비되어,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자동으로 전기로본체(A)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업으로 도선조각(1)을 상기 전기로본체(A)로 투입할 필요가 없음으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한,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상기 선별판(41)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판(41)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이송수단(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되는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60)과,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촬영하는 카메라(70)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감지하며 상기 배출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배출수단(60)에 의해 배출된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피복분리수단(90)을 이용하여, 선별유닛(40)에서 배출된 도선조각(1)에,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포함되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배출함으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제거하는 불편함을 해결하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분리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을 상기 선별유닛(40)을 다시 공급하여 도선조각(1)을 재활용함으로써, 자원낭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선별판(41)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컨베이어장치(51)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2)과,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후방으로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장치(53)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후방에서 상기 전기로본체(A)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바닥면(3)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3 컨베이어장치(54)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제3 컨베이어장치(54)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제3 컨베이어장치(54)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지지대(61)와, 지지대(61)에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낙하되는 도선조각(1)에 선택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전방으로 밀어내는 에어분사장치(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에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촬영되면, 상기 제어수단(80)의 제어에 따라 상기에어분사장치(62)가 구동되어 해당 도선조각(1)을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복분리수단(90)은 상기 배출수단(60)의 전방에 위치되어 배출수단(60)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는 수집호퍼(91)와, 상기 수집호퍼(91)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통공(9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블록(92)과,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블록(93)과, 상기 회전블록(93)에 연결된 구동모터(94)와, 상기 회전블록(93)의 하측 둘레부에 배치된 배출가이드(95)로 구성되며, 상기 회전블록(93)은 상면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 상기 수집호퍼(91)에 도선조각(1)을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블록(93)을 회전시키면, 상기 도선조각(1)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과 회전블록(93)의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에 의해 상하면이 가압되어 도선조각(1)으로부터 이탈되고, 상호 분리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은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상대회전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가이드(95)로 배출된다.
따라서, 작게 잘려진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작은 피복조각(2)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과 회전블록(93)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출핀(96)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됨으로, 회전블록(93)이 회전될 때, 상기 도선조각(1)이 돌출핀(96)에 걸려 임의의 방향으로 밀려나가면서 불규칙한 운동을 하게 됨으로,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작은 피복조각(2)이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블록(92)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블록본체(92b)와, 상기 블록본체(92b)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단열부재(92c)로 구성되다.
그리고, 상기 블록본체(92b)에는 블록본체(92b)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00)이 연결된다.
상기 냉각수단(100)은 냉매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압축기(101)와 응축기(102) 및 증발기(103)로 구성된 일반적인 냉각사이클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증발기(103)가 상기 블록본체(92b)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블록본체(92b)를 영하로 차갑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상기 냉각수단(100)을 이용하여 블록본체(92b)를 영하로 차갑게 냉각시킨 후, 상기 통공(92a)을 통해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 사이의 틈으로 도선조각(1)이 공급되면, 도선조각(1)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차갑게 냉각되어 경화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에 의해 도선조각(1)의 상하면이 가압될 때, 도선조각(1)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효과적으로 잘려져 도선조각(1)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피복조각(2)은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됨으로, 상온의 상태에서는 적절한 탄성을 갖게 되지만, 차갑게 냉각되면 탄성이 줄어들면서 쉽게 부러지는 성질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록본체(92b)를 냉각시켜 피복조각(2)을 냉각시킨 상태로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에 의해 피복조각(2)이 가압되면, 피복조각(2)이 상온을 유지할 때보다 더욱 쉽게 잘려져 상기 도선조각(1)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블록(92)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98)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98)은 상기 고정블록(92)의 상면 중앙부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고정블록(92)과 수집호퍼(91)를 빠르게 반복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블록(93)의 내부에는 공간부(93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93)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93a)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기공(93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94)의 구동축(94a)에는 상기 공간부(93a)에 연결되는 급기공(94b)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축(94a)의 중간부에는 상기 급기공(94b)에 연결되는 커플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수단(62b)은 급기관(62c)이 상기 커플러에 연결되어, 상기 커플러와 급기공(94b)을 통해 상기 공간부(93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급기수단(62b)을 이용하여 상기 공간부(93a)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면, 공간부(93a)의 내부로 공급된 고압의 공기는 상기 배기공(93b)을 통해 상기 회전블록(93)의 상면으로 배출되어, 회전블록(93)의 상면에 올려진 도선조각(1)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 도선조각(1)의 다른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사이에 도선조각(1)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블록(92)을 하강시키면, 상기 도선조각(1)의 상하면이 회전블록(93)과 고정블록(92)에 의해 가압되면서 도선조각(1)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짓눌려져 도선조각(1)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98)을 이용하여 고정블록(92)을 상승시키면, 상기 배기공(93b)을 통해 회전블록(93)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블록(93)의 상면에 올려진 도선조각(1)이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다른 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뒤집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수단(98)을 이용하여 고정블록(92)을 하강시키면, 고정블록(92)이 다시 도선조각(1)의 상면을 하측으로 눌러 가압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면, 상기 고정블록(92)이 도선조각(1)의 다양한 면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됨으로써,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효과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전술한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을 이용하여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피복조각(2)을 효과적으로 분리하기 위해서는, 회전블록(93)의 회전에 따라 도선조각(1)이 적절히 구르면서, 피복조각(2)의 다양한 부분이 상기 회전블록(93)과 고정블록(92)에 의해 가압되어야 한다.
그런데, 상기 도선조각(1)은 폐전선을 상기 분쇄기(30)로 잘라내어 만들어짐으로, 도선조각(1)이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블록(93)을 회전시켜 도선조각(1)이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사이에서 구르도록 할 때, 구르지 못하고 정해진 상하면만이 상기 회전블록(93)과 고정블록(92)에 밀착되어 미끌어지는 특이한 크기 또는 형태의 도선조각(1)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블록(92)을 상승시키면, 상기 배기공(93b)을 통해 배출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도선조각(1)이 임의의 방향으로 뒤집히게 됨으로, 상기 고정블록(92)을 하강키면,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에 의해 도선조각(1)의 다양한 면이 가압되고, 이에 따라, 도선조각(1)의 크기나 형태에 관계없이 피복조각(2)의 다양한 부분이 정확히 가압되어, 도선조각(1)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효과적으로 도선조각(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10. 지지프레임 20. 공급수단
30. 분쇄기 40. 선별유닛
50. 이송수단 60. 배출수단
70. 카메라 80. 제어수단
90. 피복분리수단 100. 냉각수단

Claims (5)

  1.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전기로본체(A)와,
    상기 전기로본체(A)에 근접되도록 구비되어 폐전선의 도선과 피복을 분리하는 폐전선 동분리장치(B)를 포함하는 전기로에 있어서,
    상기 전기로본체(A)는 바닥면(3)에 형성된 삽입공(4)에 매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폐전선 동분리장치(B)는
    바닥면(3)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폐전선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0)과,
    상기 공급수단(20)에 의해 공급된 폐전선을 분쇄하여 폐전선이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쇄기(30)와,
    상기 분쇄기(30)에서 배출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을 선별하여 도선조각(1)이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별유닛(40)과,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선별유닛(40)의 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이송하여 상기 전기로본체(A)의 개구부로 공급하는 이송수단(50)과,
    상기 이송수단(50)의 일측에 구비되며 작동시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이송되는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수단(60)과,
    상기 이송수단(5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촬영하는 카메라(70)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감지하며 상기 배출수단(60)의 작동을 제어하여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이 배출되도록 하는 제어수단(80)과,
    상기 배출수단(60)에 의해 배출된 피복조각(2)이 결합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피복분리수단(90)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50)은
    선별판(41)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제1 컨베이어장치(51)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베이어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도선조각(1)을 건조시키는 건조수단(52)과,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하측으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수집하여 후방으로 배출하는 제2 컨베이어장치(53)와,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후방 하측에서 상기 전기로본체(A)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바닥면(3)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레일(5)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제3 컨베이어장치(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60)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방 하측에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53)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지지대(61)와,
    지지대(61)에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배출되어 낙하되는 도선조각(1)에 선택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전방으로 밀어내는 에어분사장치(62)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분사장치(62)는
    상기 지지대(61)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면서 분사공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향하도록 배치된 다수개의 분사노즐(62)과,
    상기 분사노즐(62)에 연결되어 분사노즐(6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62b)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62)은 상기 제어수단(8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51)의 후단부에서 낙하되는 도선조각(1)을 향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분리수단(90)은
    상기 배출수단(60)의 전방에 위치되어 배출수단(60)에 의해 전방으로 배출된 도선조각(1)을 수집하는 수집호퍼(91)와,
    상기 수집호퍼(91)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는 통공(92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고정블록(92)과,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에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회전블록(93)과,
    상기 회전블록(93)에 연결된 구동모터(94)와,
    상기 회전블록(93)의 하측 둘레부에 배치된 배출가이드(95)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블록(93)은 상면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과 회전블록(93)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출핀(96)이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집호퍼(91)에 도선조각(1)을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블록(93)을 회전시키면, 상기 도선조각(1)이 상기 고정블록(92)의 하측면과 회전블록(93)의 사이로 삽입되며, 상기 도선조각(1)의 둘레부에 결합된 피복조각(2)이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에 의해 상하면이 가압되어 도선조각(1)으로부터 이탈되고, 상호 분리된 도선조각(1)과 피복조각(2)은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상대회전에 따라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배출가이드(95)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92)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블록본체(92b)와,
    상기 블록본체(92b)의 상면과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단열부재(92c)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본체(92b)에 연결되어 블록본체(92b)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10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냉각수단(100)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본체(92b)를 저온으로 냉각시켜서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사이로 삽입된 도선조각(1)에 결합된 피복조각(2)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92)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강구동수단(98)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블록(93)의 내부에는 공간부(93a)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블록(93)의 상면에는 상기 공간부(93a)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기공(93b)이 형성되며,
    상기 급기수단(62b)은 상기 공간부(93a)에 연결되어 공간부(93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블록(92)과 회전블록(93)의 사이에 도선조각(1)이 삽입되고 상기 급기수단(62b)을 이용하여 공간부(93a)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98)으로 고정블록(92)을 상승시키면, 상기 배기공(93b)을 통해 회전블록(93)의 상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회전블록(93)의 상면에 올려진 도선조각(1)이 상측으로 밀어 올려져 뒤집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KR1020160117557A 2016-09-12 2016-09-12 전기로 KR10178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57A KR101780430B1 (ko) 2016-09-12 2016-09-12 전기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557A KR101780430B1 (ko) 2016-09-12 2016-09-12 전기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430B1 true KR101780430B1 (ko) 2017-10-24

Family

ID=60299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557A KR101780430B1 (ko) 2016-09-12 2016-09-12 전기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39B1 (ko) * 2024-01-26 2024-04-03 비피시(주) 철강제련용 부원료 자동 투입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1393A (ja) 2007-09-06 2009-03-26 Kurimoto Mec Ltd 廃タイヤ処理装置
JP2009512552A (ja) 2005-10-24 2009-03-26 エムティディ アメリカ リミテッド 異種材料分類処理システム及び装置
KR101158862B1 (ko) 2009-09-08 2012-06-26 변길수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552A (ja) 2005-10-24 2009-03-26 エムティディ アメリカ リミテッド 異種材料分類処理システム及び装置
JP2009061393A (ja) 2007-09-06 2009-03-26 Kurimoto Mec Ltd 廃タイヤ処理装置
KR101158862B1 (ko) 2009-09-08 2012-06-26 변길수 폐전선 동분리기 및 분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339B1 (ko) * 2024-01-26 2024-04-03 비피시(주) 철강제련용 부원료 자동 투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871B1 (ko) 폐전선 동분리장치
CN106312062B (zh) 一种检验铺粉质量的方法及增材制造设备
KR101780430B1 (ko) 전기로
KR102014681B1 (ko) 폐지선별장치
CN108621342A (zh) 一种塑料破碎机
JP2010184226A (ja) 穀物選別機
CN104328510A (zh) 一种蚕茧筛选装置
CN107824479A (zh) 一种螺栓分选装置
JP2007190481A (ja) 廃プラスチックの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KR101637542B1 (ko) 폐페인트통 처리장치
KR20170106873A (ko) 폐전선 동선 분리 및 피복 재활용 장치 및 분리방법
CN209955174U (zh) 一种注塑机上料装置
CN108940900B (zh) 电机刷握的全自动检测设备
CN109570058B (zh) 一种碳棒出料筛分装置
CN105689275A (zh) S1螺栓头部压型加热自动分选装置及分选方法
TW201729915A (zh) 自動元件分離器
KR101958559B1 (ko) 폐 알루미늄 재활용 처리 시스템의 폐 알루미늄 수분 저감을 위한 건조장치
CN206868313U (zh) 一种铅锌泥溶解、搅拌、过滤一体化设备
KR20160131464A (ko) 협잡물 제거수단을 구비한 저온 슬러지 건조장치
KR200486942Y1 (ko) 밤송이 탈피기
KR101667271B1 (ko) 금속포일 표면의 코팅제거 시스템
KR20040092022A (ko) 폐비닐 재활용을 위한 전처리 장치 및 방법
JP5085103B2 (ja) 粉砕装置
KR20140056119A (ko) 이송 및 파쇄 장비와 이송 및 파쇄 방법
CN218133242U (zh) 一种菜油加工用筛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