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284B1 -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284B1
KR101780284B1 KR1020150148899A KR20150148899A KR101780284B1 KR 101780284 B1 KR101780284 B1 KR 101780284B1 KR 1020150148899 A KR1020150148899 A KR 1020150148899A KR 20150148899 A KR20150148899 A KR 20150148899A KR 101780284 B1 KR101780284 B1 KR 101780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mode
charging
mode
duty cycle
puls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034A (ko
Inventor
이소진
김지훤
양창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284B1/ko
Priority to US15/000,823 priority patent/US10131241B2/en
Priority to CN201610140384.6A priority patent/CN106611983B/zh
Publication of KR2017004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284B1/ko
Priority to US16/169,814 priority patent/US1077360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B60L11/1846
    • B60L11/187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1DC charging controlled by the charging station, e.g. mode 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3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network capacity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6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i.e. power aggregation of EV or HEV, vehicle to grid arrangements [V2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전기차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은 수신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상응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제1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따라 제2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2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 모드를 자동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METHOD FOR SELECTING AUTOMATIC RECHARGING MODE AND RECHARGING SYSTEM FOR CARRYING OUT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전기차와 충전기 간의 충전 모드를 자동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자동차는 과거 디젤, 가솔린 엔진 자동차보다 먼저 개발, 보급되었으나 석유 연료의 대량 보급으로 자동차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었다. 하지만 환경오염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각종 배기가스 규제 및 시장의 고유가 문제로 다시금 전기 자동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 시장의 보급에는 충전 인프라 확보가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야 하는 충전기 특성 상 균일한 수준의 전력 공급망을 갖추기가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국제 표준에서 정의하는 전기 자동차/충전기 간의 기본적인 신호 처리 기술의 중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전기차의 충전 방식으로 다양한 표준이 정의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방식으로 콤보 방식을 들 수 있다.
콤보(DC Combo, TYPE 1) 방식이란 완속 충전에 쓰이는 교류 커넥터와 급속 충전용 직류 커넥터가 하나의 파워 인렛 소켓(power inlet socket)에 통합되는 방식으로, 완속과 급속 충전 모두가 하나의 인렛으로 가능해지기 때문에 공간 효율성이 높은 것이 장점이다.
이러한 콤보 방식에서는 완속 충전 모드와 급속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충전기에서 선택되면, 충전기에서 차량으로 선택된 모드에 대응되는 펄스폭 변조(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예를 들어, 급속 충전 모드인 경우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즉, 펄스 폭의 H 신호와 L 신호의 비율)이 3% ~ 7%의 범위이고, 완속 충전 모드인 경우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은 10%~96%의 범위로 정의될 수 있다.
종래의 급속/완속 통합 컨넥터를 이용하는 콤보 방식의 경우, 충전기에 구비된 통합 충전 컨텍터를 전기차 충전 인렛(Vehicle Charging Inlet)에 연결하면, 충전기에 구비된 화면에는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급속 모드가 선택되면,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을 이용한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수행되고, 완속 모드가 선택되면,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완속 충전 프로세스가 수행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급속 모드가 선택되어,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중 급속 충전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는 전기차 충전 인렛에 삽입된 통합 충전 컨텍터를 탈거하고, 다시 통합 충전 컨텍터를 전기차 충전 인렛에 삽입한 후, 화면상에서 완속 모드를 선택하여 완속 충전을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은 수신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상응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제1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따라 제2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2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는 상기 전기차의 인렛에 구비된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급속 충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충전 모드는 완속 충전 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은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이 100%이면,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완속 충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충전 모드는 급속 충전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은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소정 충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선택된 충전 모드가 제1 충전 모드인 경우, 제2 충전 모드로의 자동 전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자동 충전 전환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컨넥터에 구비된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전기차로 송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급속 충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충전 모드는 완속 충전 모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은 상기 제1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제2 충전 모드로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듀티 사이클이 100%인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완속 충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충전 모드는 급속 충전 모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은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기반하여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온보드 충전기와 상기 식별된 충전 모드가 급속 충전 모드이면, 상기 온보드 충전기에 의해 활성화되어 외부 충전기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제어기와 상기 식별된 충전 모드에 따라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충전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선 통신 제어기에 의해 상기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소정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온보드 충전기가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기반하여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속 충전 프로세스는 상기 제어 파일롯 포트를 이용한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이 상기 온보드 충전기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력선 통신 제어기가 상기 외부 충전기와의 상기 전력선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은 상기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소정 충전 모드 선택 화면 및 상기 충전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선택된 충전 모드가 제1 충전 모드인 경우, 제2 충전 모드로의 자동 전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전기차와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차에 송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자동 충전 전환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가 생성되어 송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가 생성되어 송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콤보 방식에서 급속 충전 실패 시 자동으로 완속 충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 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방식의 전기차 인렛(Vehicle Inlet)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 실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 실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콤보 방식의 경우 PWM 신호와 전압 기반의 기본적인 신호처리를 통하여 완속 충전을 위한 제어기나 급속 충전을 위한 제어기 중 어느 하나에서 충전 과정을 주관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PWM 신호의 노이즈로 인한 모드 선택 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서로 다른 두 충전 방식을 주관하는 제어기 각각에서 PWM 신호의 듀티 비율을 측정하고, 이를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으로 전송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그에 따라, BMS에서는 두 측정 값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충전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 결과를 각 제어기로 전달하여 선택 결과에 따른 모드로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충전 방식을 주관하는 제어기들과 BMS는 CAN통신을 통해 신호를 교환할 수 있으며, PWM 신호는 충전 커넥터의 제어 파일럿(Control Pilot) 라인을 통해 충전기에서 차량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파일럿 라인이란 충전기와 차량간의 충전 레벨 조율이나 기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선을 의미한다.
또한, 완속 충전은 PWM 신호와 전압 기반의 신호 처리를 통해 온보드 충전기(OBC: On-Board Charger)에서 주관될 수 있으며, 급속 충전은 온보드 충전기에서 PWM 신호와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을 통해 급속 충전을 인식하면 전력선 통신 제어기 및 배터리 관리 제어기(BMC: Battery Management Controller)를 활성화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에 장착되는 콤보 방식의 전기차 인렛(Vehicle Inlet)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기차 인렛(100)은 제어 파일롯(CP: Control Pilot) 포트(101), N 포트(102), L1 포트(103), 접지 포트(GND, 104), 접근 감지(PD: Proximity Detection) 포트(105), DC(+) 포트(106) 및 DC(-) 포트(1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파일롯 포트(101)는 전기차와 충전기 사이의 전력선 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및 펄스 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포트일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는 CP 라인을 통해PWM 신호를 전기차의 전송하며,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 제어를 통해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개시되었는지 완속 충전 프로세스가 개시되었는지를 전기차에 알릴 수 있다. 전기차는 수신된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식별하여 개신된 충전 모드가 확인되면, 확인된 충전 모드에 따른 충전 프로세스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충전기와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이 5%인 경우, 전기차는 급속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듀티 사이클이 20%인 경우, 전기차는 완속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듀티 사이클이 100%인 경우, 전기차는 충전이 종료된 것으로 인지할 수 잇다. 하지만, 상기 듀티 사이클의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급속 충전 모드와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의 값은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상이할 수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N 포트(102) 및 L1 포트(103)는 완속 충전 모드에서의 전력 전송을 위한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접지 포트(GND, 104)는 전기차의 전력선 통신 제어기와 온보드 충전기에 접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접근 감지 포트(105)는 충전 컨넥터의 전기차 인렛으로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포트로서, 충전기는 충전 컨넥터가 전기차 인렛에 접속되면 충전 모드 선택을 위한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DC(+) 포트(106) 및 DC(-) 포트(107)는 급속 충전을 위한 포트로서, 전기차의 배터리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차(20)는 전기차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기 및 배터리로 구성된 충전 제어 장치(200)와 충전기에 구비된 충전 컨넥터와 연결되면 각종 제어 신호를 충전기와 송수신하고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접속 포트이 구비된 전기차 인렛(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충전 제어 장치(200)는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 온보드 충전기(220), 배터리 관리 제어기(230) 및 배터리(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온보드 충전기(220) 및 배터리 관리 제어기(230)와 CAN 통신 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CAN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파일롯 포트(101)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와 온보드 충전기(220)에 분기될 수 있다. 이때, 제어 파일롯 포트(101)는 전력선 통신 신호를 제어 파일롯 포트(101)를 통해 수신하고, 온보드 충전기(220)는 PWM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제어 장치(200)의 CP 라인 일측에는 제어 파일롯 포트(101)를 통해 수신되는 PLC 신호와 PWM 신호를 분기시키기 위한 소정 분배기(2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PLC+PWM 신호-즉, 혼합 신호-가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와 온보드 충전기(220)에 전달되고,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와 온보드 충전기(220)가 내부적으로 혼합 신호로부터 각각 PLC 신호와 PWM 신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온보드 충전기(220)는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산출하고, 산출된 듀티 사이클에 기반하여 개시된 충전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
온보드 충전기(220)는 산출된 듀티 사이클에 따라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식별되면,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 및 배터리 관리 제어기(23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온보드 충전기(220)에 의해 식별된 충전 모드에 따라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전기차에서 지원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충전기에 전송하고, 충전기는 전력선 통신 제어(210)로부터 수신된 지원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충전기에서 선택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충전기는 통신 프로토콜 선택에 실패하였음을 지시하는 소정 제어 신호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만약,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와 충전기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 협상이 실패한 경우,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자동으로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하여 완속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로,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요구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소정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충전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는 요청된 전력이 제공 불가하거나 충전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소정 충전 파라메터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 충전이 불가함을 알리는 소정 제어 신호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에 전송한 후, PLC 통신 종료 절차를 개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CAN 통신을 통해 배터리 관리 제어기(230) 및 온보드 충전기(220)에 급속 충전이 실패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급속 충전이 실패되었음이 확인되면, 전력선 통신을 통해 소정 완속 충전 요청 메시지를 충전기에 전송한 후 소정 완속 충전 응답 메시지가 충전기로부터 수신되면, PLC 통신 종료 절차를 개시할 수도 있다.
만약,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와 충전기 사이의 잘못된 충전 파라메터 전송으로 인한 급속 충전 절차가 실패한 경우,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는 CAN 통신을 통해 배터리 관리 제어기(230) 및 온보드 충전기(220)에 급속 충전이 실패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급속 충전이 실패한 경우, 급속 충전 프로세스 및 전력선 통신이 종료되고 사용자는 충전 컨넥터를 전기차 인렛에서 탈거하고 별도의 완속 충전 컨넥터를 연결하거나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완속 충전 모드를 선택하는 절차를 다시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는 급속 충전 절차가 실패한 경우,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PWM 신호를 CP 포트를 통해 자동 송출함으로써, 전기차가 자동으로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 프로세스는 상위 레벨 통신인 전력선 통신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온보드 충전기(220)는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PWM 신호가 감지되면, CAN 통신을 통해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를 비활성화시키고 배터리 관리 제어기(230)에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이 후, 온보드 충전기(220)는 N 포트(102) 및 L1 포트(103)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배터리(24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 실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차(310)는 지원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토콜 버전 정보가 포함된 통신 프로토콜 선택 요청 메시지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충전기(320)에 전송할 수 있다(S301).
충전기(320)는 전기차(3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 버전 정보 중 어느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 버전을 선택하고, 선택 결과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기차(310)에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충전기(320)에 의해 통신 프로토콜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기차(320)와 충전기(320) 사이의 세션이 개설될 수 있다.
반면, 충전기(320)는 전기차(31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지원 가능한 프로토콜 버전 정보 중 선택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 버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통신 프로토콜 선택에 실패하였음을 지시하는 소정 통신 프로토콜 선택 응답 메시지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기차(310)에 전송할 수 있다(S302).
이 경우, 전기차(310)는 소정 통신 종료 요청 메시지를 충전기(320)에 전송하고, 충전기(320)는 소정 통신 종료 확인 메시지를 전기차(310)에 전송하여 전력선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S303 내지 S304).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급속 충전 실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세하게 도 4는 전기차와 충전기 사이의 유효하지 않은 충전 파라미터 교환으로 인한 충전 실패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차(410)는 충전 관련 정보-예를 들면, 요구 전력 정보 등을 포함함-가 포함된 소정 충전 요청 메시지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충전기(420)에 전송할 수 있다(S401).
충전기(420)는 수신된 충전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해당 충전 관련 정보에 따라 충전이 불가능한 경우, 소정 충전 불가능 응답 메시지를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기차(410)에 전송할 수 있다(S402).
이때, 전기차(410)는 소정 통신 종료 요청 메시지를 충전기(420)에 전송하고, 충전기(420)는 소정 통신 종료 확인 메시지를 전기차(410)에 전송하여 전력선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S403 내지 S40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는 충전 컨넥터가 전기차 인렛에 접속되었음이 감지되면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S501 내지 S502).
다른 일 예로, 충전기는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의 소정 메뉴 선택에 따라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소정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충전기는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자동 완속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하고, 표시된 화면상에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취득하여 소정 기록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S503 내지 S504).
충전기는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가지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전기차에 송출하고, 급속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505). 여기서, 급속 충전 프로세스는 전기차의 온보드 제어기에 의해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PWM 신호가 감지되면, 전력선 통신 제어기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충전기는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한 경우, 자동 완전 충전 전환 모드가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506 내지 S507).
충전기는 자동 완전 충전 전환 모드가 활성화된 경우,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가지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전기차에 송출함으로써, 완속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508).
이 후, 충전기는 완속 충전을 수행하여 충전이 완료된 경우, PWM 신호를 충전 완료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가지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전기차에 송출할 수 있다(S509 내지 S510).
상기한 503 단계에서, 충전기는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즉, 완속 충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한 508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506 단계에서, 충전기는 급속 충전 프로세스에 성공한 경우, 급속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511).
또한, 상기한 507 단계에서, 충전기는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고, 자동 완속 충전 전환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충전 실패를 알리는 소정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S512).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기차는 충전 컨넥터가 전기차 인렛에 접속되었음이 감지되면,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산출하여 충전 모드를 식별할 수 있다(S602). 여기서,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 산출 및 충전 모드 식별은 상기한 도 2의 온보드 충전기(2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기차는 산출된 듀티 사이클에 상응하는 충전 모드가 급속 충전 모드인 경우, 상기한 도2의 전력선 통신 제어기(210) 및 배터리 관리 제어기(230)를 활성화시키고, 충전기와 급속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 있다(S604 내지 S605).
전기차는 급속 충전 프로세스의 실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6). 이때, 확인 결과,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한 경우, 전기차는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통해 식별된 충전 모드가 완속 충전 모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607).
확인 결과, 완속 충전 모드인 경우, 전기차는 충전기와 완속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하고 완속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608 내지 S609).
이 후, 전기차는 제어 파이롯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통해 충전 완료가 감지되면, 소정 충전 완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610).
상기한 603 단계의 확인 결과, 급속 충전 모드가 아닌 경우-즉, 완속 충전 모드인 경우-, 전기차는 상기한 607 단계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606 단계에서,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전기차는 급속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S611).
또한, 상기한 607 단계에서, 급속 충전 프로세스 실패 후, 소정 시간 동안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가지는 PWM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전기차는 충전 실패로 판단하고, 구비된 화면-예를 들면, 차량 헤드 유닛 또는 클러스터 등을 포함함-을 통해 충전이 실패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S612).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충전기(700)는 충전기(7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10), 표시부(720), 통신부(730), 전원제어부(740), 완속 충전부(750) 및 급속 충전부(7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도 7의 충전기(700) 구성은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 요소들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거나 적은 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특히, 상기한 도 7에는 충전기(700)에 구비된 충전용 컨넥터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전기차 충전을 위해 충전용 컨넥터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제어부(710)는 충전용 컨넥터가 전기차 인렛에 접속되었음을 감지하거나, 충전용 컨넥터가 충전기에 구비된 거치대에서 탈거되거나, 구비된 화면상에서의 사용자가 충전 모드 선택을 위한 소정 메뉴가 선택된 경우, 소정 충전 모드 선택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7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710)는 사용자에 의해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되어 급속 충전 프로세스를 진행 중 급속 충전 프로세스에 실패한 것이 확인되면, 통신부(730)에 소정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PWM 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0)는 소정 충전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급속 충전 모드가 선택된 경우, 소정 자동 완속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부(7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자동 완속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동 완속 충전 전환 모드가 활성된 경우에만, 제어부(710)는 급속 충전이 실패하면, 자동으로 완속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통신부(730)는 제어부(7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력선 통신 신호 및 PWM 신호를 생성하여 구비된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전기차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710)는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수신된 전력선 통신 신호를 복호하여 제어부(7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통신부(710)는 제어부(7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차는 PWM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통해 충전 모드를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 완료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740)는 제어부(7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완속 충전부(750) 또는 급속 충전부(74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740)는 제어부(7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완속 충전 또는 급속 충전을 위한 충전 파라메터를 설정할 수도 있다.
완속 충전부(750)는 충전용 컨넥터의 L1 포트 및 N 포트를 통해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전력을 전기차에 공급할 수 있다.
급속 충전부(750)는 충전용 컨넥터의 DC(+) 포트 및 DC(-) 포트를 통해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전력을 전기차에 공급할 수 있다.
이상의 도 1 내지 도 7의 설명에서는 급속 충전이 실패한 경우, 자동으로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완속 충전이 실패한 경우, 자동으로 급속 충전 모드로 전환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이 제공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소정 충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완속 충전 모드를 선택하고, 완속 충전 실패 시 급속 충전 모드로 자동 전환을 지시하는 자동 급속 충전 전환 모드를 활성화시킨 경우, 충전기는 완속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자동으로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전기차에 송출함으로써, 급속 충전 프로세스를 개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전기차 인렛
101: 제어 파일롯 포트
210: 전력선 통신 제어기
220: 온보드 충전기
230: 배터리 관리 제어기
240: 배터리

Claims (25)

  1. 전기차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에 있어서,
    수신된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상응하는 제1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수행된 제1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따라 제2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2 충전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급속 충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충전 모드는 완속 충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는 상기 전기차의 인렛에 구비된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충전기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이 100%이면,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6. 삭제
  7. 삭제
  8. 충전기에서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에 있어서,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소정 충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충전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선택된 충전 모드가 제1 충전 모드인 경우, 제2 충전 모드로의 자동 전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자동 충전 전환이 활성화되면,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급속 충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충전 모드는 완속 충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는 상기 충전기의 컨넥터에 구비된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전기차로 송출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제2 충전 모드로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듀티 사이클이 100%인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어 파일롯 포트를 통해 수신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기반하여 충전 모드를 식별하는 온보드 충전기;
    상기 식별된 충전 모드가 급속 충전 모드이면, 상기 온보드 충전기에 의해 활성화되어 외부 충전기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력선 통신 제어기; 및
    상기 식별된 충전 모드에 따라 상기 충전기로부터 수신된 전력이 충전되는 배터리
    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선 통신 제어기에 의해 상기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소정 급속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한 것이 확인되면, 상기 온보드 충전기가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에 기반하여 완속 충전 모드로 자동 전환시키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충전 프로세스는 상기 제어 파일롯 포트를 이용한 상기 전력선 통신을 통해 수행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외부 충전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이 상기 온보드 충전기를 통해 상기 배터리에 전달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완속 충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전력선 통신 제어기가 상기 외부 충전기와의 상기 전력선 통신을 종료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급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은 상기 완속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의 듀티 사이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 충전 시스템.
  20. 충전 모드를 선택 받기 위한 소정 충전 모드 선택 화면 및 상기 충전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선택된 충전 모드가 제1 충전 모드인 경우, 제2 충전 모드로의 자동 전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전기차와 전력선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고 펄스 폭 변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차에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자동 충전 전환 모드 선택 화면상에서 자동 충전 전환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가 생성되어 송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제1 충전 프로세스가 실패하면,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펄스 폭 변조 신호가 생성되어 송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충전 모드는 급속 충전 모드이고, 상기 제2 충전 모드는 완속 충전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은 상기 제2 충전 모드에 상응하는 상기 듀티 사이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모드 또는 상기 제2 충전 모드로의 충전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듀티 사이클이 100%인 상기 펄스 폭 변조 신호가 생성되어 송출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충전기.
  24. 삭제
  25. 삭제
KR1020150148899A 2015-10-26 2015-10-26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KR101780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99A KR101780284B1 (ko) 2015-10-26 2015-10-26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US15/000,823 US10131241B2 (en) 2015-10-26 2016-01-19 Method and recharging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recharging mode
CN201610140384.6A CN106611983B (zh) 2015-10-26 2016-03-11 自动选择充电模式的方法和充电系统
US16/169,814 US10773605B2 (en) 2015-10-26 2018-10-24 Method and recharging system for automatically selecting recharging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899A KR101780284B1 (ko) 2015-10-26 2015-10-26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034A KR20170048034A (ko) 2017-05-08
KR101780284B1 true KR101780284B1 (ko) 2017-10-10

Family

ID=58562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899A KR101780284B1 (ko) 2015-10-26 2015-10-26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131241B2 (ko)
KR (1) KR101780284B1 (ko)
CN (1) CN10661198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08A (ko) 2019-01-02 2020-07-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장 벽면 이동형 전기차 자동충전 시스템
KR20230119838A (ko) 2022-02-08 2023-08-16 오형종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3131171T (pt) * 2014-11-11 2019-03-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daptador de alimentação, terminal e sistema de carregamento
KR101780284B1 (ko) * 2015-10-26 201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US20190225330A1 (en) * 2018-01-19 2019-07-25 Gopro, Inc. Extended flight by regenerative lift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2361334B1 (ko) * 2018-05-09 2022-02-0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8909489A (zh) * 2018-07-06 2018-11-30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充电控制方法、主控单元ccu、车辆及计算设备
KR20200123337A (ko) * 2019-04-18 2020-10-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로부터 차량을 충전하는 시스템
KR20210119718A (ko) * 2020-03-25 2021-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 충전 제어 방법, 이를 이용한 충전 제어 장치 및 전기자동차
KR102454325B1 (ko) * 2020-08-11 2022-10-17 한국전력공사 인증서 제공 방법 및 인증서 제공 시스템
US11685281B2 (en) * 2020-11-10 2023-06-27 FlexCharging, Inc. Demand flexibility optimizing scheduler for EV charging and controlling appliances
CN112910061B (zh) * 2021-04-07 2022-10-25 科世达(上海)机电有限公司 一种充电系统负载均衡的控制方法、装置及介质
KR102532588B1 (ko) * 2021-06-16 2023-05-17 주식회사 글로쿼드텍 전기차 충전 모드 자동 설정 방법
US11639229B1 (en) 2021-11-18 2023-05-02 Beta Air, Llc High voltage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623497B1 (ko) * 2023-06-28 2024-01-09 최영석 사용 수명이 연장된 전기차용 급속 충전기 및 이를이용한 충전 방법
CN116834599B (zh) * 2023-08-25 2023-12-01 江苏开沃汽车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集成快慢充充电控制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420A (ja) * 2011-10-12 2013-05-09 Toyota Motor Corp プラグイン充電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KR101490958B1 (ko) * 2013-11-26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전력선 통신장치
KR101512879B1 (ko) * 2012-04-25 2015-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US20150115873A1 (en) 2013-10-25 2015-04-30 Hyundai Motor Company On-board charger for eco-friendly vehicle
US20150175020A1 (en) 2013-12-23 2015-06-2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1909B2 (ja) 2007-09-21 2013-09-1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KR20110043861A (ko) 2009-10-22 2011-04-28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모듈과 충전기 사이의 통신 방법
JP5249277B2 (ja) 2010-04-13 2013-07-31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充電装置
JP2011229344A (ja) 2010-04-22 2011-11-10 Jfe Engineering Corp 急速充電方法及び装置
WO2011139675A1 (en) * 2010-04-26 2011-11-10 Proterra Inc Fast charge stations for electric vehicles in areas with limited power availabilty
KR101466438B1 (ko) 2012-04-25 2014-11-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방법
KR101308711B1 (ko) 2012-06-29 2013-09-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장치
US10046661B2 (en) * 2013-10-09 2018-08-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ction of on-board charger connection to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KR101558374B1 (ko) 2013-12-26 2015-10-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충전기 및 충전 방법
US9425646B2 (en) * 2014-03-26 2016-08-23 Chicony Power Technology Co., Ltd. Fast charging apparatus
KR101560655B1 (ko) 2014-03-28 2015-10-15 주식회사 글로쿼드 전기차 충전 방법 및 전기차 충전 방식 변환 장치
KR101578916B1 (ko) * 2014-05-15 2015-12-21 주식회사 경신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인-케이블 제어 장치
US9573476B2 (en) * 2014-06-09 2017-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r wakeup using control pilot signal from charge port
KR102320853B1 (ko) * 2014-09-02 2021-11-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 전원 공급 장치, 및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방법
CN104467079A (zh) * 2014-11-17 2015-03-2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车辆充电方法及设备
KR101780284B1 (ko) * 2015-10-26 201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5420A (ja) * 2011-10-12 2013-05-09 Toyota Motor Corp プラグイン充電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512879B1 (ko) * 2012-04-25 2015-04-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스템
KR101488586B1 (ko) * 2013-03-04 2015-02-0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전기차 동적 충전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15873A1 (en) 2013-10-25 2015-04-30 Hyundai Motor Company On-board charger for eco-friendly vehicle
KR101490958B1 (ko) * 2013-11-26 2015-02-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의 전력선 통신장치
US20150175020A1 (en) 2013-12-23 2015-06-25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208A (ko) 2019-01-02 2020-07-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차장 벽면 이동형 전기차 자동충전 시스템
KR20230119838A (ko) 2022-02-08 2023-08-16 오형종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3605B2 (en) 2020-09-15
US20190061548A1 (en) 2019-02-28
KR20170048034A (ko) 2017-05-08
CN106611983B (zh) 2021-01-08
CN106611983A (zh) 2017-05-03
US20170113563A1 (en) 2017-04-27
US10131241B2 (en) 201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284B1 (ko) 전기차의 충전 모드 자동 선택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충전 시스템
US9878628B2 (en) Power supply device, vehicle and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KR102626252B1 (ko) 충전기를 활용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및 진단 방법 및 시스템
US9114715B2 (en) Electronic control unit
US9156367B2 (en) Overriding delayed electric vehicle charging events
US9566873B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using an SAE standard and user terminal
WO2013054435A1 (ja) 電気自動車用の充電装置
US9908428B2 (en) Method and charging system for selecting charging mode of electric vehicle
KR101792267B1 (ko) Bms와 충전기 그리고 이들을 포함하는 차량용 충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EP2769871A2 (en) Electric vehicle and method for actuating same
CN104283238A (zh) 用于移动终端的车载无线充电系统
CN109562700B (zh) 包括机动车和连接机构的布置结构,机动车和连接机构
US11292351B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KR20170072992A (ko)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및 전기자동차 전력충전 제어시스템
KR101560654B1 (ko) 전기차 충전 방식 변환 방법 및 그 장치와, 전기차 충전 시스템
KR20180029462A (ko) 전기자동차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977412B1 (ko)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US9096137B2 (en)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battery
CN105121216A (zh) 用于在能量存储系统的充电期间的错误检测的方法和布置
KR20130107739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선 통신 어쏘시에이션 방법 및 전력선 통신 모뎀
EP4119389A1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KR20150052504A (ko)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제공 방법,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102670271B1 (ko) 전기차 충전 시스템에서 원격으로 셀프 고장 진단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102339524B1 (ko)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제공 방법,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US202400832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