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742B1 -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742B1
KR101779742B1 KR1020170027519A KR20170027519A KR101779742B1 KR 101779742 B1 KR101779742 B1 KR 101779742B1 KR 1020170027519 A KR1020170027519 A KR 1020170027519A KR 20170027519 A KR20170027519 A KR 20170027519A KR 101779742 B1 KR101779742 B1 KR 10177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stamping foil
fabric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춘호
Original Assignee
강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춘호 filed Critical 강춘호
Priority to KR102017002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8Electrical discharge treatment, e.g. corona, plasma treatment;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83/00Adhesive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물 등의 원단에 적용되어 미려한 금속광택 무늬를 나타내는 스탬핑 포일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한 하는 패턴을 용이하게 커팅하여 원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간편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신축성 있는 원단에 적용 시 원단의 신장에 의한 포일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 완성도 및 상품성을 향상하며, 공정이 간단하고 설비가 단순하여 설치공간의 최소화 및 제조비용 절감효과를 갖도록 하는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METHOD FOR PREPARING HOT STAMPING FOIL FILM USING SILICONE}
본 발명은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물 등의 원단에 적용되어 미려한 금속광택 무늬를 나타내는 스탬핑 포일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한 하는 패턴을 용이하게 커팅하여 원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부착 가능하므로 사용의 편의성과 간편성을 부여함과 아울러 신축성 있는 원단에 적용 시 원단의 신장에 의한 포일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 완성도 및 상품성을 향상하며, 공정이 간단하고 설비가 단순하여 설치공간의 최소화 및 제조비용 절감효과를 갖도록 하는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탬핑 포일은 박막의 금속 포일을 열과 압력을 가하여 직물이나 가죽, 플라스틱, 종이와 같은 피착물의 표면에 여러 가지 모양이나 문자로 전사하는 핫 스탬핑(hot stamping)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주로 티셔츠나 수영복과 같은 의류, 가방, 커튼 등의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여 화려한 광택을 부여함으로써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하도록 한다.
종래의 스탬핑 포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6~12㎛ 정도의 얇은 PET 필름으로 된 기재층의 일면에 아크릴수지, 셀룰로오즈수지 등으로 된 액상 점착제를 코팅하여 이형 처리를 하고, 이형층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분말을 증착하여 증착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증착층의 색상이 선명하게 살아나도록 그 표면에 백색안료를 코팅하여 스탬핑 포일을 얻는다.
그런데 종래에는 백색안료를 코팅한 후에 그 상면에 가열성 접착제가 적층된 예가 없는바, 예컨대, 백색안료 위에 핫멜트와 같은 접착제를 적층 시 백색안료가 도포된 기재층이 쭈글쭈글해지는 현상이 발생함과 아울러 작업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스탬핑 포일을 이용하여 의류 등의 피착물에 부착할 때에는 필요로 하는 모양이나 문자와 같은 디자인 패턴을 부착하기 위하여 피착물의 사이즈에 맞도록 별도로 롤동판이나 실크스크린 인쇄판을 디자인하여 제작 후 스탬핑 포일에 액상 접착제를 바른 다음 이를 피착물에 부착하여 감아준 후 온풍기가 있는 건조실에서 24시간 경화과정을 거치고, 열을 식히고 나서 얇은 PET 부분을 분리하면 피착물에 디자인 패턴 그대로 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스탬핑 포일을 이용하여 전사 시 10㎏ 가량의 동판을 이용해야 하는 등 그 작업과정이 번거롭고 고가의 롤 동판 제작 및 그에 관한 설비를 필요로 하므로 전체적인 제조비용과 인건비가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소비자가 직접 포일 작업을 하거나 소량 제품을 작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스탬핑 포일을 신축성이 있는 원단으로 된 피착물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원단을 당기면 스탬핑 포일의 부착 부위가 갈라지거나 깨질 우려가 있으므로 제품의 완성도가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970662호의 "의류용 하프커팅형 스탬핑 호일 및 그 제조방법" (2010.07.09)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15976호의 "스탬핑 호일 전사지" (2000.12.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탬핑 포일을 제조하는 설비를 단순화하여 비용을 절감하도록 함과 아울러 신축성 있는 직물 등의 원단에 적용 시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포일 부분의 손상을 줄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은, 원단에 부착되는 스탬핑 포일 필름에 있어서, a) 70~100㎛의 PET 필름으로 된 기재층(10)의 일면을 코로나 처리 후 박리형 점착제를 도포하여 박리 점착층(2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박리 점착층의 상면에 액상 점착제를 코팅하여 이형층(30)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이형층의 상면에 실리콘 점착제를 도포하여 실리콘층(4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실리콘층의 상면에 필요로 하는 색상의 금속 분말을 진공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50)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금속 증착층의 상면에 우레탄 안료를 코팅하여 백색 안료 코팅층(60)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안료 코팅층의 상면에 경화성 핫멜트형 접착제를 코팅하여 접착제 코팅층(7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실리콘 점착제는 0.001~0.002㎛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스탬핑 포일 필름이 부착된 원단을 당기면 포일 부분이 터지거나 갈라지는 종래의 포일 필름과는 달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포일 필름은 기재층의 일면에 실리콘 점착 처리를 행함으로써 고무처럼 늘어나고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며 신축성이 있는 원단에 적용 시 원단이 당겨지는 일이 발생하더라도 포일 부분에 손상이 생기지 않으므로 제품 완성도가 높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또한, 가정에서도 누구나 쉽게 가위나 칼을 이용하여 원하는 디자인 패턴을 따라 커팅 후 티셔츠나 수영복, 모자, 가방, 커튼, 탁자 등 원하는 위치에 올려놓고 다리미나 드라이어, 소형 프레스 등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하여 가압 부착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패턴으로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공정이 단순하고 동판 등 별도의 설비를 구비할 필요 없이 작업이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탬핑 포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의 일면에 실리콘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알루미늄 분말을 증착하는 단계; 백색안료를 도포하는 단계; 경화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표면 처리
기재층의 일면을 코로나 처리 후 그 일면을 점착 처리하여 기재층을 표면 처리하는 단계이다.
우선, 기재층(10)과 여기에 라미네이트되는 접착제와의 접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기재층의 일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고, 코로나 처리층의 일면에 박리형(removal) 점착제를 도포하여 박리 점착층(20)을 형성한다.
이때, 기재층(10)으로는 PET 필름이 사용되되, 바람직하게는 70~100㎛의 두꺼운 PET 필름이 사용되는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일 필름에 원하는 디자인 패턴을 따라 절취선을 형성 시 기재층(10)에 천공이 생기는 것과 방지하고 기재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용이하게 커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2] 이형 처리
표면 처리된 기재층의 일면을 이형 처리하는 단계이다.
기재층(10)의 이형 처리를 위해서는 공지와 마찬가지로 아크릴수지, 셀룰로오즈수지 등으로 된 액상 점착제가 사용되며, 상기 박리 점착층만으로는 박리성이 약한 편이므로 이러한 박리 점착층(20)의 일면에 코팅하여 이형층(30)을 형성한다.
[3] 실리콘 도포
이형 처리된 기재층, 즉 이형층의 일면(상면)에 실리콘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이형층의 일면에 형성되는 실리콘층(40)은 최종적으로 얻어진 스탬핑 포일 필름이 부착된 원단이 당겨지는 일이 생기더라도 스탬핑 포일 부분이 갈라지거나 터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자인 패턴의 형상을 손상하지 않게 된다.
이때, 실리콘층(4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실리콘 점착제를 너무 두껍게 도포할 경우에는 신축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0.001~0.002㎛로 도포함이 바람직하다.
[4] 증착
실리콘층의 일면에 금속 증착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실리콘층(30)이 형성된 기재층의 일면에 공지와 같이 원하는 색상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 분말을 진공 증착하여 칼라 증착층(50)을 형성한다.
[5] 백색 안료 코팅
금속 증착층의 일면에 백색 안료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금속 증착층의 색상이 더욱 선명하게 살아나도록 금속 증착층(50)이 형성된 기재층의 일면에 공지와 같이 백색의 우레탄 안료를 코팅하여 백색 안료 코팅층(60)을 형성한다.
[6] 핫멜트 접착제 코팅
백색 안료 코팅층의 일면에 접착제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탬핑 포일을 피착물에 가열 부착하기 위한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백색 안료 코팅층(60)이 형성된 기재층의 일면에 경화성 핫멜트형 접착제를 코팅하여 접착제 코팅층(70)을 형성한다.
상기 경화성 핫멜트형 접착제로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또는 아크릴과 같은 접착제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이를 80~100의 두께로 코팅 후 소정 시간 경과하면 경화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코팅된 접착제의 경화가 완료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스탬핑 포일 필름이 얻어진다.
이러한 스탬핑 포일 필름은 레이저나 공업용 톰슨기, 철형, 마킹기계 등을 이용하여 표면에 꽃이나 동물 또는 만화 캐릭터, 상호나 로고 등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이나 글자로 이루어진 디자인 패턴을 따라 원하는 위치에 절취선(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절취선(S)은 기재층(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절취선 형성 작업이 완료되면 롤 상태로 감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탬핑 포일 필름을 사용 시에는 절취선(S)을 따라 디자인 패턴만을 박리 후 이를 섬유 원단이나 액세서리, 장난감, 인형 등 다양한 종류의 피착물에 부착 후 가열 압착하면 접착제 코팅층에 의해 스탬핑 포일이 원단에 전사되며, 이에 따라 피착물에 미려한 금속광택을 부여하고 장식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전사 작업이 완료된 후 기재층(10)은 박리 처리하면 된다
또한, 상기 스탬핑 포일 필름의 표면에 별도의 절취선을 형성하지 않고 무지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무지 상태의 스탬핑 포일 필름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디자인 패턴으로 잘라낸 후 이를 옷이나 가방 등에 부착하고 다리미 등으로 가열 압착하면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 자신만의 개성 넘치는 디자인 효과를 표현할 수 있게 된다.
10 : 기재층 20 : 박리 점착층
30 : 이형층 40 : 실리콘층
50 : 금속 증착층 60 : 백색 안료 코팅층
70 : 핫멜트 접착제 코팅층 S : 절취선

Claims (4)

  1. 원단에 부착되는 스탬핑 포일 필름에 있어서,
    a) 70~100㎛의 PET 필름으로 된 기재층(10)의 일면을 코로나 처리 후 박리형 점착제를 도포하여 박리 점착층(20)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박리 점착층의 상면에 액상 점착제를 코팅하여 이형층(30)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이형층의 상면에 실리콘 점착제를 도포하여 실리콘층(4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실리콘층의 상면에 필요로 하는 색상의 금속 분말을 진공 증착하여 금속 증착층(50)을 형성하는 단계;
    e) 상기 금속 증착층의 상면에 우레탄 안료를 코팅하여 백색 안료 코팅층(60)을 형성하는 단계; 및
    f) 상기 백색 안료 코팅층의 상면에 경화성 핫멜트형 접착제를 코팅하여 접착제 코팅층(7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 상기 실리콘 점착제는 0.001~0.002㎛ 도포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70027519A 2017-03-03 2017-03-03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KR10177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19A KR101779742B1 (ko) 2017-03-03 2017-03-03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19A KR101779742B1 (ko) 2017-03-03 2017-03-03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742B1 true KR101779742B1 (ko) 2017-09-26

Family

ID=6003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19A KR101779742B1 (ko) 2017-03-03 2017-03-03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74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2115B2 (en) Interactive-design garment where the wearer can create and alter the graphic decoration on the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07103168A3 (en) Digital printed applique emblem
KR101337224B1 (ko) 건식 네일 스티커
CN202264512U (zh) 水晶转印标
CN101519861A (zh) 木塑复合环保装饰纸及生产工艺
KR101395449B1 (ko) 장식 박막이 전체적으로 전이된 미용재료 원단과 그 제조방법 및 미용재료 원단을 이용한 미용 스티커
KR101779742B1 (ko) 실리콘 핫 스탬핑 포일 필름의 제조방법
KR200437582Y1 (ko) 실리콘 표면막을 구비한 발포입체 열전사지
JP5745683B1 (ja) 転写シートおよび該転写シートを用いる転写方法
CN110053387A (zh) 一种高光泽度荧光烫金膜及其制作工艺
KR100354714B1 (ko) 유리구슬 비드전사지 제조방법
KR20200023818A (ko) 미네랄안료를 이용한 직편물의 전사 인쇄 방법
KR101626585B1 (ko) 음각 인쇄면을 갖는 인쇄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70000071U (ko) 우레탄 열전사지
JP2016088956A (ja) 加飾シートおよび加飾用粘着シート
JP2004329578A (ja) 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の製造法および貼着用装飾体付きシート
JP2011026462A (ja) 芳香性ゴムシートとその製造法
JP2003094891A (ja) 表面質感の特異な熱転写ラベルとその製造法
KR101979663B1 (ko) 실리콘소재를 이용한 인쇄용 열전사시트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0879141B1 (ko) 펄과 전사지를 이용한 장식 유리판의 제조 방법
KR20170011400A (ko) 입체감 패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216885563U (zh) 一种可喷绘的热熔胶复合皮革装饰材料
KR20030067042A (ko) 가죽 원단에 무늬를 인쇄 하는 방법과 이에 의해 인쇄된가죽원단
JPH0364582A (ja) 合成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8053001A (ja) 装飾具およびその作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