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187B1 -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187B1
KR101779187B1 KR1020150057543A KR20150057543A KR101779187B1 KR 101779187 B1 KR101779187 B1 KR 101779187B1 KR 1020150057543 A KR1020150057543 A KR 1020150057543A KR 20150057543 A KR20150057543 A KR 20150057543A KR 101779187 B1 KR101779187 B1 KR 101779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e
delete delete
support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490A (ko
Inventor
오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피에스
오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피에스, 오현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50057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10/4257Smart batteries, e.g. electronic circuits inside the housing of the cells or batteries
    • H01M2/109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보조용,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로 이용되는 배터리가 보관되는 저장장치 내에 안치되어 사용 중일 때, 비정상적인 충, 방전현상(열 폭주)이나, 지진 등의 진동으로 인해 배터리가 불량해지거나, 폭발 및 전기화재 사고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배터리저장장치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의 신호들을 검출하여 배터리의 파손 누액으로 인한 감전 및 누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산업용이나 보조전원용으로 이용되는 배터리는 일정한 무게와 부피를 가지면서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위한 화학적 성분을 내포하기 때문에 사용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으로 종래 설치방법에는 없는 하부지지대를 통하여 지면을 크게(넓게)하고, 다중화 시키면서도 배터리의 무게 하중을 분산시키고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대를 구성하고,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된 배터리의 과전압이나, 누설전류와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상태를 감시하고, 공간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환기용 냉각팬이 동작되도록 하며, 검출된 센서 신호 값이 정상값을 초과하고, 설정된 경보범위에서는 이상발생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 할 수 있도록 경보회로를 동작시켜 이상경보 상태를 표시하여 알리며, 설치된 화염신호나 지진 등으로 배터리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신호 및 설정된 안전범위 초과 시, 안전을 위하여 케이스의 내, 외부에 설치된 제어박스를 통해 냉각팬의 작동여부, 누설전류 확인, 발열상태 확인, 주변온도 확인, 배터리의 전압상승, 이상발열 및 배터리 케이스의 이동이나 흔들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배터리의 불량진행이나, 수명단축을 미연에 예방함으로서 수명단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배터리불량으로 인하여 필요 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과 배터리로 인한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터리의 불량발생이나 수명단축을 예방하고 화재발생요인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안전기능과 내진기능이 있는 배터리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하나 이상 다수개의 배터리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배터리를 보호하거나,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규격과 사용 수량에 따라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케이스 상부에는 견인용 볼트고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이동이나 설치를 편리하게하고, 자동소화기를 상부에 설치하여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화재 발생 시,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2차적인 화재사고를 조기에 진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베터리의 전압과 전류 및 누설전류를 감시하고,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온도검출센서, 배터리 발열 및 화염검출센서와 위치(진동)검출센서의 정보가 제어박스로 전달되어 설정 및 경보표기부와 트립회로를 통하여 배터리의 이상상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배터리의 수명단축을 예방하며, 배터리의 충, 방전 및 열화에 의한 열 폭주(발열)를 방지하고, 지진 및 배터리의 외형변형, 폭발, 파손에 의한 누전 등에 의한 화재를 예방함으로서 배터리 불량진행을 예방함으로 경제적이며, 화재로 인한 2차 피해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을 유지할 수 있고, 케이스하부에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하부지지대 및 높이와 수평조절을 할 수 있는 높이조절대를 통하여 배터리의 무게 쏠림을 방지하고 보조고정홀을 통하여 하중을 분산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지진 등으로부터 케이스를 안전하게 유지시켜주는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Enhanced safety battery storage }
본 발명은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보조용,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로 이용되는 배터리가 보관되는 저장장치 내에 안치되어 사용 중일 때, 비정상적인 충, 방전현상(열 폭주)이나, 지진 등의 진동으로 인해 배터리가 불량해지거나, 축전지의 파손 및 전기화재를 일으키는 사고로부터 배터리를 미연에 보호하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배터리저장장치 내부에 설치된 센서부의 신호들을 검출, 분석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관리자에게 경고함으로서 불량과 누전사고, 발열에 의한 화재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배터리를 사용하는 설비나 전원장치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배터리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배터리들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장소나 공간에 보관함(CASE)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설치하여 운영하게 되며 배터리의 사용 환경은 배터리의 특성상 방전성능과 수명에 큰 영양을 미치게 된다.
또한, 배터리를 사용하기위해서 평시에는 배터리에 전기에너지를 저장(충전)시켰다가 필요시에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방전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충전상태에서나, 방전상태에는 배터리 내부에 높은 압력과 열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거나 일정온도 이하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면 자기발열에 의한 자기 방전이 커지며, 고증가되는 자기방전으로 발열이 가속화되는 현상 열 폭주로 말미암아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고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배터리자체의 온도상승으로 외형의 변형과 파손, 누액 등의 불량현상이 발생하고 더욱 심하면 누전이나 극판의 합선으로 인한 화재와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배터리가 CASE내에 보편적으로 설치되는 방법을 보면 설치되는 배터리의 전압과 용량에 따라 많은 부피와 중량(무게)을 가지므로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하기위해 철재 함에 여러 층으로 나누어 설치하게 되므로 조그만 흔들림이나 기울기에도 무게중심이 분산되지 못하고 한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지지구조물이나 층간구조물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쳐지거나, 전복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고는 치명적인 전기화재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무게중심이 변동되어도 수평균형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부지지대의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하여 지진 등의 흔들림으로부터 보호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
상기 종래에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사용하고자하는 배터리의 크기와 수량 등을 감안하여 허용되는 일정한 공간에 설치운용하게 되며 관리의 편의성으로 배터리의 외관이 노출되게 설치하거나 안전상의 문제로 금속함체 내부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배터리를 적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배터리설치방법이나 함체로는 지진이나 배터리의 이동이나 흔들림에 대한 보완방법이 없었고, 배터리의 누전이나 이상발열을 진단하여 차단시키거나 사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에 종래 사용되는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10-1051446호의 ‘배터리케이스’와, 등록번호 10-1270796호의 ‘안전장치가 구비된 배터리’와, 출원번호 10-2012-0000137호의 ‘차량용 배터리안전장치’ 및 등록번호 10-1409999호의 ‘에너지 저장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산업용이나 보조전원용으로 이용되는 배터리는 일정한 무게와 부피를 가지면서도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기위한 화학적 성분을 내포하기 때문에 사용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됨으로 종래 설치방법에는 없는 하부지지대를 통하여 하중 지면을 크게(넓게)하고, 다중화 시키면서도 배터리의 무게 하중을 분산시키고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지지대를 구성하고,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전압과 누전상태, 내부온도 등의 상태를 감시하고, 공간부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환기용 냉각팬이 동작되도록 하며, 검출된 센서 신호 값이 정상값을 초과하고, 설정된 경보범위에서는 이상발생 상황을 사용자에게 알림 할 수 있도록 경보회로를 동작시켜 이상경보 상태를 표시하여 알리며, 설치된 화염신호 발생 시에는 케이스 상부에 자동소화 설비를 구비하여 동작시키거나 지진 등으로 배터리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신호 및 설정된 안전범위 초과 시, 안전을 위하여 케이스의 내, 외부에 설치된 제어박스를 통해 냉각팬의 작동여부, 누전상태 확인, 발열상태 확인, 주변온도 확인, 배터리의 전압상승, 배터리 케이스의 과도한 흔들림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배터리의 불량진행이나 사고를 미연에 예방함으로서 수명단축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배터리불량으로 인하여 필요 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없게 됨으로서 발생되는 시스템의 정지 등 2차적 피해와 배터리로 인한 화재사고를 방지함으로서 배터리의 불량발생이나 수명단축을 예방하고 화재발생요인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안전기능과 내진기능이 있는 배터리저장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배터리가 위치되는 공간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공간부에 위치된 배터리의 전원단자와 연결된 전선이 케이스 외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통로와, 상기 공간부의 온도측정, 공간부의 화염발생여부, 배터리 온도측정, 배터리 및 케이스의 진동에 따라 작동하는 센서부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배터리의 전원이 외부전원장치와 연결되는 전원선로를 제어하는 차단(트립)회로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센서부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의 작동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알림 하는 표시부와, 배터리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원검출부 및 신호의 결과에 따라 처리하는 제어신호출력부와, 케이스의 내부 및 배터리의 화제에 따라 작동하는 자동소화기 및 외부로 신호를 송출시키는 통신회로부로 구성된 제어박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를 제공함으로서 그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의하면, 하나 이상 다수개의 배터리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배터리를 보호하거나,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터리의 규격과 사용 수량에 따라 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도록 케이스 상부에는 견인용 볼트고리를 설치하여 케이스의 이동이나 설치를 편리하게하고, 자동소화기를 상부에 설치하여 케이스 내부의 공간부에 화재 발생 시, 내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2차적인 화재사고를 조기에 진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화재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베터리의 전압과 전류 및 누전 상태를 감시하고, 배터리의 운용 상태에 대한 이상 유무를 온도검출센서, 배터리 발열 및 화염검출센서와 위치(진동)검출센서의 정보가 제어박스로 전달되어 설정 및 경보표기부, 외부통신회로 및 트립회로 등을 통하여 제어되게 관리자에게 인식시킴으로 배터리의 이상상태를 미연에 조치함으로서 배터리의 수명단축을 예방하며, 배터리의 충, 방전 및 열화에 의한 열 폭주(발열)를 방지하고, 지진 및 배터리의 외형변형, 폭발, 파손에 의한 누전 등에 의한 화재를 예방함으로서 배터리 불량진행을 예방함으로 경제적이며, 화재로 인한 2차 피해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을 유지할 수 있고, 케이스하부에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하부지지대 및 높이와 수평조절을 할 수 있는 높이조절대를 통하여 배터리의 무게 쏠림을 방지하고 보조지지대를 통하여 하중을 분산 지면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서 무게중심을 유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지진 등으로부터 케이스를 안전하게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에 구성되는 제어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의 내부에 층간고정대의 실시 예와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층간고정대에 대한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에 냉각팬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의 하부에 지지대가 구성되는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지지대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에 보조측면지지대가 구성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8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보조바닥지지대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이에 본 발명인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10)는 케이스(100)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배터리(b)가 위치되는 공간부(h)와,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공간부(h)에 위치된 배터리(b)의 전원단자와 연결된 전선이 케이스(100) 외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통로(110)와, 상기 공간부(h)의 온도측정, 공간부(h)의 화염발생여부, 배터리(b) 온도측정, 배터리(b) 및 케이스(100)의 진동에 따라 작동하는 센서부(12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트립회로(21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센서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20)의 작동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알림 하는 표시부(220)와, 외부로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통신회로부(250)와, 배터리(b)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원검출부(230) 및 신호의 결과에 따라 처리하는 제어신호출력부(240)로 구성된 제어박스(20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케이스(100)에서 측면케이스(130)가 분리되며, 상기 측면케이스(130)가 분리되는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측면케이스고정홈(10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케이스(100)를 고정하는 측면고정부재(103)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h)에는 배터리(b)가 두 개 이상 다수개 구성 시, 각각의 배터리(b)를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양측면 또는 사방면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가로고정대(140)와, 케이스(100)의 상, 하측 또는 케이스(100)의 상측과 가로고정대(140) 또는 가로고정대(140)와 케이스(100)의 하측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세로고정대(150)가 구성된다.
상기 가로고정대(140)의 상측에는 지지플레이트(141)가 구성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141)는 상기 가로고정대(140)와 연결부재(143)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세로고정대(150)의 일 측에는 지지플레이트(151)가 구성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151)는 상기 세로고정대(150)와 연결부재(153)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로고정대(140)는 배터리(b)의 수량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하여 공간부(h)를 수직으로 다수개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세로고정대(150)는 배터리(b)의 수량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하여 공간부(h)를 수평으로 다수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가로고정대(140)와 세로고정대(150)는 개별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100)를 지면(g)에 지면연결부재로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 고정 홀(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박스(200)에는 트립회로(210)로 인해 배터리(b)의 전원과 외부전원이 차단 시, 배터리(b)의 전력을 사용하여 이상 발생 시에도 제어박스(200)에 전원을 계속 공급시킴으로 지속적으로 감시 및 경보회로를 동작시키며 외부에 신호를 전달시키는 통신회로부(25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부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냉각팬(300)과 제어박스(200)의 신호에 의해 동작 또는 정지되는 자동소화기(60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고정 홀(10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105)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대(400)가 구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요철 홈(411)이 형성된 바닥지지대(410)와, 일 측은 상기 바닥지지대(410)의 홈(411)에 연결되는 제 1볼트(420)와, 타 측은 상기 케이스(100)의 고정 홀(105)에 연결되는 제 2볼트(440) 및 상기 제 1, 2볼트(420, 440)를 상호 연결하는 높이조절대(43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하부지지대(400)가 구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요철 홈(411)이 형성된 바닥지지대(410)와, 높이조절대(430)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제 1볼트(420)와 제 2볼트(440) 및 상기 제 2볼트(440)와 연결되는 보조바닥지지대(45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 또는 양 측면과 지면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좌, 우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보조측면지지대(460)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배터리저장장치(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견인용고리(500)가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인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저장장치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은 케이스가 구비되고, 전면에 잠금 또는 잠금이 되지 않는 손잡이가 구성되며, 내부에는 저장하려는 제품이 위치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인 배터리저장장치(10)는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b)가 위치되는 공간부(h)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h)의 상측 또는 하측 또는 측면 또는 배면 중 어느 한 측 또는 다수의 위치에는 상기 공간부(h)의 온도, 배터리(b)의 온도, 배터리(b) 누액발생 및 케이스(100)의 진동에 따라 작동하는 센서부(120)가 구성된다.
상기 센서부(120)에는 공간부(h)의 온도 및 화염감지센서, 배터리(b)의 배부름(복배)이나, 케이스(100)나 배터리(b)의 흔들림 및 진동에 따라 작동하는 위치센서 등이 구성되며, 이는 측정하려는 센서의 종류 및 다양성에 따라 수량이 정해지게 되어 상기 센서부(120)에 구성되는 센서의 수량, 종류 및 그 위치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상측 또는 하측 또는 배면에는 상기 공간부(h)에 위치된 배터리(b)의 전원단자와 연결된 전선이 케이스(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선로(110)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선로(110)는 공간부(h)에 위치되는 배터리(b)의 수량 및 외부로 배출되는 전선의 수량에 따라 하나 이상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출선로(110)의 위치는 케이스(100)의 공간부(h)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전선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위치면 상, 하측 또는 배면 또는 측면에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설명과 도면의 위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케이스(100)에는 도 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박스(200)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박스(200)는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부(h)에 위치되는 배터리(b)에 대한 충전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b)를 제어 및 관리를 위한 것으로써, 공간부(h)에 위치되는 배터리(b)와 전선으로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신호출력부(21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성되는 센서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20)의 작동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알림 하는 경보표시부(220)와, 배터리(b)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부(230) 및 신호의 결과에 따라 처리하는 처리부(240) 및 외부로 신호를 송출하는 통신회로(250)으로 구성된다.
제어신호출력부(210)는 경보표시부(220), 검출부(230) 및 처리부(240)에 대한 전체적인 제어와, 외부전원과 전선으로 연결되는 배터리(b)에 대한 트립회로(210) 제어를 담당하게 된다.
경보표시부(220)는 케이스(100) 내부에 구성되는 센서부(120)의 감지에 따라 제어신호출력부(210)에 대한 제어로 인해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와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회로부(250)이다.
검출부(230)는 전압검출부와 누전검출부로 구분되며, 공간부(h)에 위치되는 배터리(b)의 전압 또는 배터리(b)의 누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검출하는 것이다.
처리부(240)는 상기 센서부(120)의 센서 감지와, 검출부(230)의 전압, 누전에 대한 검출에 있어 제어신호출력부(210)의 제어에 따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제어박스(200)에 구성되는 다수의 구성요소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에 대한 온도, 배터리(b)에 대한 온도, 배터리의 전압 또는 누전상태, 화염발생여부, 케이스(100) 자체에 대한 진동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한 검출, 처리, 표시 및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써, 상기한 설명과 도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도 4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은 상기 케이스(100)에서 측면케이스(130)가 분리되며, 상기 측면케이스(130)가 분리되는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측면케이스고정홈(10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케이스(100)를 고정하는 측면고정부재(103)가 구성된다.
상기 측면케이스고정홈(101)과 측면고정부재(103)는 배터리(b)를 공간부(h)로 위치 시, 케이스(100)의 전면부로 인입시키게 되는데, 이를 측면에서 인입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측면부에 구성되는 측면케이스(130)를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측면케이스(130)의 분리 시, 상기 측면케이스(130)의 측면 또는 하면에 측면케이스고정홈(101)을 형성하여 상기 측면케이스(130)를 상기 측면케이스고정홈(101)에 끼움 한 후, 측면케이스(130)의 상부 또는 측면에 대해 측면고정부재(103)를 이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h)에는 배터리(b)가 두 개 이상 다수개 구성 시, 각각의 배터리(b)를 지지할 수 있도록 층간고정대(140)가 구성된다.
상기 층간고정대(140)는 공간부(h)에 위치되는 배터리(b)의 수량이 다수일 경우, 각각의 배터리(b)에 대해 상호 간섭하지 않으며,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상기한 층간고정대(140)를 이용하면, 공간부(h)에 두 개 이상 다수개의 배터리(b)를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배터리(b)를 적치하도록 하여 공간 활용을 높일수 있다.
도 6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층간고정대(140)는 케이스(100)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면에서 내측으로 각각 일정 간격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층간고정대(140)의 상측에는 지지플레이트(141)가 구성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141)는 상기 층간고정대(140)와 연결부재(143)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층간고정대(140)는 공간부(h)에 위치되는 배터리(b)가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b)의 하부 양 끝부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처럼 배터리(b)의 양 끝부만 지지 시, 지지플레이트(141)와 연결부재(143)를 이용하여 배터리(b) 지지에 대한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지만, 배터리(b)의 하부 양 끝부가 지지되는 각각의 층간고정대(140)에 상기 지지플레이트(141)를 구성 시, 레일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에 배터리(b)를 위치시킨 후, 슬라이딩하며 공간부(h)로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상기한 도 5의 (B), (C)와 같이 층간고정대(140)는 하나 이상 다수개가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배터리(b)의 수량에 따라 가변 가능한 것임으로 도면 및 상기한 설명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박스(200)에는 제어신호출력부(210)로 인해 배터리(b)의 전원과 외부전원이 차단 시, 배터리(b)의 전력을 사용하는 보조전원부가 구성된다.
상기 보조전원부는 제어박스(200)의 제어신호출력부(210)의 제어에 의해 배터리(b)의 전력을 외부로 공급 시, 회로차단기 등으로 인해 외부로 전달되는 전력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b)와 연결되어 전력의 일부를 저장하여 저장된 전력을 비상시에 사용하여 이상 발생 시에도 경보회로와 외부에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전원부이다.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냉각팬(300)이 구성된다.
상기 냉각팬(300)은 케이스(100)의 측면 또는 후면이나 상부면에 구성하여 자연대류현상으로 냉각되지 않을 때 보다 많은 열기를 발산하게 되는데, 상기한 열기가 케이스(100) 내부의 공간부(h)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냉각팬(300)은 케이스(100)의 상부 또는 측면 또는 배면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에 따라 공간부(h)의 열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곳이면 가능한 것으로써, 상기한 설명과 도면 상의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8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고정 홀(10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105)에 연결되는 지지대(40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400)에는 저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상부에 홈(411)이 형성된 바닥지지대(410)와, 일 측은 상기 바닥지지대(410)의 홈(411)에 연결되는 제 1볼트(420)와, 타 측은 상기 케이스(100)의 고정 홀(105)에 연결되는 제 2볼트(440) 및 상기 제 1, 2볼트(420, 440)를 상호 연결하되 내부에 일정 길이의 공간부가 형성된 높이조절대(43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400)는 케이스(100)를 위치시키려는 부분에 대해 지지력을 상승시키고자 하는 별도의 구성이며, 바닥지지대(410)가 지면에 접지된 후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저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지면과 접지되는 부분에는 미끄럼을 방지 할 수 있도록 매쉬형상 등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높이조절대(430)는 일 측과 타 측에 각각의 제 1볼트(420)와 제 2볼트(44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볼트(420)는 상기 바닥지지대(410)의 상부에 형성된 홈(411)과 연결되고, 제 2볼트(420)는 케이스(100)의 고정 홀(105)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2볼트(420, 440)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높이조절대(430)의 내부에는 일정 길이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케이스(100)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 1, 2볼트(420, 440)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하부지지대(400)는 케이스(100) 하부에 보조고정홀(107)에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홀(107)은 케이스(100)의 무게에 따라 지지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다수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지지대(400)가 구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요철 홈(411)이 형성된 바닥지지대(410)와, 높이조절대(430)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제 1볼트(420)와 제 2볼트(440) 및 상기 제 2볼트(440)와 연결되는 보조바닥지지대(450)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바닥지지대(450)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고정홀(105) 또는 보조고정홀(107)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을 때,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면 또는 하부면과 측면부를 동시에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보조측면지지대(46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 또는 양 측면과 지면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좌, 우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도 9를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상기 케이스(100)를 지면(g)에 지면연결부재로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 고정 홀(10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고정 홀(107)은 케이스(100)를 지정된 위치에 위치 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직접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며, 이는 앙카볼트 등과 같은 지면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고정 홀(107)을 지면과 연결시키도록 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 이상 다수개의 배터리(b)를 사용함에 있어 상기 배터리(b)를 보호하거나,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배터리(b)의 규격과 사용 수량에 따라 배터리(b)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층간고정대(140)와 배터리(b)의 누설전류를 방지, 배터리상태에 대한 이상 유무를 감지, 배터리 전원으로 동작 제어되는 전류검출센서, 누설전류센서, 온도검출센서, 발열검출센서와 함께 경보표시부와 보조전원기능을 통하여 배터리(b)의 이상상태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배터리(b)의 수명단축을 예방하고, 배터리(b)의 충, 방전 및 노후열화에 의한 열 폭주(발열)를 방지하여 배터리(b)의 외형변형, 폭발, 파손에 의한 누액 등에 의한 화재를 예방함으로서 배터리(b) 불량을 방지함으로 경제적이고, 화재도 예방할 수 있는 안전을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10 : 배터리저장장치
100 : 케이스 101 : 측면케이스고정홈 103 : 측면고정부재
105 : 고정 홀 107 : 보조 고정 홀 109 : 케이스바닥부
110 : 전선통로 120 : 센서부 130 : 측면케이스
140 : 가로고정대 141 : 지지플레이트 143 : 연결부재
150 : 세로고정대 151 : 지지플레이트 153 : 연결부재
200 : 제어박스 210 : 트립회로 220 : 표시부
230 : 전원검출부 240 : 제어신호출력부 250 : 통신회로부
300 : 냉각팬
400 : 하부지지대 410 : 바닥지지대 411 : 홈
420 : 제 1볼트 430 : 높이조절대 440 : 제 2볼트
450 : 보조바닥지지대 460 : 보조측면지지대
500 : 견인용고리 600 : 자동소화기
b : 배터리 h : 공간부 g : 지면

Claims (13)

  1. 케이스(100)가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배터리(b)가 위치되는 공간부(h)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케이스(100)에서 측면케이스(130)가 분리되되 상기 측면케이스(130)가 분리되는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측면케이스고정홈(10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케이스(100)를 고정하는 측면고정부재(103)가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지면(g)에 지면연결부재로 직접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 고정 홀(107)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상측 또는 하측에는 상기 공간부(h)에 위치된 배터리(b)의 전원단자와 연결된 전선이 케이스(100) 외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통로(110)와, 상기 공간부(h)의 온도측정, 공간부(h)의 화염발생여부, 배터리(b) 온도측정, 배터리(b) 및 케이스(100)의 진동에 따라 작동하는 센서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h)에는 배터리(b)가 두 개 이상 다수개 구성 시, 각각의 배터리(b)를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양측면 또는 사방면에 각각 연결 구성되되 상측에 지지플레이트(141)가 연결부재(143)로 연결되는 가로고정대(140)와, 케이스(100)의 상, 하측 또는 케이스(100)의 상측과 가로고정대(140) 또는 가로고정대(140)와 케이스(100)의 하측에 각각 연결 구성되되 일 측에 지지플레이트(151)가 연결부재(153)로 연결되는 세로고정대(150)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트립회로(21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의 센서부(12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120)의 작동에 따라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알림 하는 표시부(220)와, 외부로 상태정보를 전달하는 통신회로부(250)와, 배터리(b)의 전압 또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원검출부(230) 및 신호의 결과에 따라 처리하는 제어신호출력부(240)로 구성된 제어박스(200)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박스(200)에는 트립회로(210)로 인해 배터리(b)의 전원과 외부전원이 차단 시, 배터리(b)의 전력을 사용하여 이상 발생 시에도 제어박스(200)에 전원을 계속 공급시킴으로 지속적으로 감시 및 경보회로를 동작시키며 외부에 신호를 전달시키는 통신회로부(25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부가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고정 홀(105)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홀(105)에 연결되는 하부지지대(400)가 구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요철 홈(411)이 형성된 바닥지지대(410)와, 일 측은 상기 바닥지지대(410)의 홈(411)에 연결되는 제 1볼트(420)와, 타 측은 상기 케이스(100)의 고정 홀(105)에 연결되는 제 2볼트(440) 및 상기 제 1, 2볼트(420, 440)를 상호 연결하는 높이조절대(430)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하부지지대(400)가 구성되되, 오목한 형상을 가지고 요철 홈(411)이 형성된 바닥지지대(410)와, 높이조절대(430)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제 1볼트(420)와 제 2볼트(440) 및 상기 제 2볼트(440)와 연결되는 보조바닥지지대(450)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일 측 또는 양 측면과 지면에 각각 연결 고정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좌, 우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보조측면지지대(460)가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배터리저장장치(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견인용고리(500)가 하나 이상 다수개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외부로 표출시키는 냉각팬(300)과 제어박스(200)의 신호에 의해 동작 또는 정지되는 자동소화기(60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57543A 2015-04-23 2015-04-23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KR101779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43A KR101779187B1 (ko) 2015-04-23 2015-04-23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543A KR101779187B1 (ko) 2015-04-23 2015-04-23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490A KR20160126490A (ko) 2016-11-02
KR101779187B1 true KR101779187B1 (ko) 2017-09-18

Family

ID=5751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543A KR101779187B1 (ko) 2015-04-23 2015-04-23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8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969A (ko) * 2018-12-27 2020-07-0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KR20210006660A (ko) 2019-07-09 2021-01-19 유윤종 배터리 스토리지 유닛 및 배터리 보관실
WO2021177759A1 (ko) *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WO2021177757A1 (ko) *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313994B1 (ko) 2020-04-28 2021-10-28 주식회사 에어퓨쳐 배터리 보관장치 및 배터리 보관실
KR102341681B1 (ko) * 2021-07-06 2021-12-20 한국전지연구조합 사용 후 배터리 모듈용 방폭형 보관 시스템
KR102472121B1 (ko) * 2022-08-19 2022-11-29 허민 배터리팩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717B1 (ko) * 2016-11-04 2017-03-09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배터리팩 화재예방장치
KR102351291B1 (ko) 2018-03-08 2022-01-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온도 편차가 개선된 이차전지의 활성화 공정을 위한 충방전 장치
KR102019214B1 (ko) * 2019-01-09 2019-09-06 김경룡 내진 구조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10021790B (zh) * 2019-01-22 2021-06-25 中国矿业大学 一种动力电池的故障显示保护装置及保护方法
KR102165355B1 (ko) * 2020-04-23 2020-10-13 (주)범한네트웍스 통신 장비 보관용 랙
CN111952684A (zh) * 2020-08-07 2020-11-17 许玲玲 一种便携式电池维护用警示装置
CN112428809B (zh) * 2020-12-07 2023-05-16 顾智荟 一种基于汽车行驶速度可自由调节重心的电池架
KR102463223B1 (ko) * 2022-07-20 2022-11-09 주식회사 태일시스템 무감전 비상전원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141B1 (ko) * 2012-04-25 2013-10-14 주식회사 성화 리튬계열 단전지를 사용한 직류 전원 백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141B1 (ko) * 2012-04-25 2013-10-14 주식회사 성화 리튬계열 단전지를 사용한 직류 전원 백업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969A (ko) * 2018-12-27 2020-07-07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KR102166778B1 (ko) 2018-12-27 2020-10-16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을 이용한 배터리팩
KR20210006660A (ko) 2019-07-09 2021-01-19 유윤종 배터리 스토리지 유닛 및 배터리 보관실
WO2021177759A1 (ko) *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WO2021177757A1 (ko) * 2020-03-04 2021-09-1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 및 이러한 배터리 랙을 포함하는 전력 저장 장치
KR102313994B1 (ko) 2020-04-28 2021-10-28 주식회사 에어퓨쳐 배터리 보관장치 및 배터리 보관실
KR102341681B1 (ko) * 2021-07-06 2021-12-20 한국전지연구조합 사용 후 배터리 모듈용 방폭형 보관 시스템
KR102472121B1 (ko) * 2022-08-19 2022-11-29 허민 배터리팩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팩 자동이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490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187B1 (ko) 안전성을 높인 배터리저장장치
US20150050532A1 (en) Battery pack system
EP2181481B1 (en) Mitigation of propagation of thermal runaway in a multi-cell battery pack
KR101584295B1 (ko) 랙 구조를 갖는 배터리 시스템
US20180159110A1 (en) Electric vehicle battery safety
CN211684695U (zh) 充电仓
KR101799537B1 (ko) 내진 성능이 높은 원전 dc비상전원 공급 시스템
KR101970236B1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용 함체
CN114454748B (zh) 储能电池消防应急装置及其控制方法及充电场站
KR20190090992A (ko) 압력센서를 갖는 2차 전지의 배터리 모듈
CN212313300U (zh) 智能充换电柜
CN215933689U (zh) 储能箱、储能设备及充电场站
KR102262360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설비의 과열 및 가스 누출 감시 시스템
US20100149708A1 (en) Integrate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center fire protection system
KR200455333Y1 (ko) 비상전원 공급과 배터리 감시 통합 시스템
KR101753091B1 (ko) 무정전 전원장치가 일체화된 통신 시스템 및 동작방법
KR102406230B1 (ko) 안전성이 강화된 ess 제어 방법
JP2002289262A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監視システム
CN211908405U (zh) 充电装置
KR20230056811A (ko) 수냉식 통합 에너지 저장 장치
EP2823522B1 (en) Battery pack system
US20220336882A1 (en) Method for avoiding the propagation of a thermal event in an enclosure comprising several modules of electrochemical cells
CN220421462U (zh) 一种带有安全仓的工业储电系统
CN112216918A (zh) 一种汽车新能源电池及其电池管理系统
CN211240475U (zh) 一种消防设备电源用带有监控功能的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