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164B1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164B1
KR101779164B1 KR1020170025250A KR20170025250A KR101779164B1 KR 101779164 B1 KR101779164 B1 KR 101779164B1 KR 1020170025250 A KR1020170025250 A KR 1020170025250A KR 20170025250 A KR20170025250 A KR 20170025250A KR 101779164 B1 KR101779164 B1 KR 101779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lid
container
present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이아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이아이엘 filed Critical (주)에스이아이엘
Priority to KR1020170025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91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12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by destroying, in the act of opening the container, an integral por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과일, 채소, 음식물 등의 각종 식료품을 담아 시중에 판매하는 용기의 개방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타공홀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타공홀과 마주하며 절취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 채소, 음식물 등을 저장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에 담아 판매되는 제품들은 유통과정이나 상품판매를 위한 진열과정에서 여러 사람의 손을 거치게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일부 불순한 의도나 호기심을 가진 사람들에 의하여 임의로 개봉되어 내용물에 변경을 가져오거나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판매자들은 현재 유통중에 있는 제품이 유통중 개봉되지 않고 공장에서 출하될 때 당시의 제품과 동일한 상태임을 소비자에게 확인시켜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종 형태의 봉인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100㎖ 내지 2ℓ 내외의 제품을 포장할 수 있는 소형 용기로써,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용기본체와 뚜껑의 체결구조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에 있어서는 용기본체의 상단을 종이나 은박지, 비닐 등과 같이 얇은 재질로 된 밀봉막을 부착한 후 뚜껑을 덮도록 하여, 밀봉막을 손상시키지 않고서는 내용물을 꺼낼 수 없도록 한다거나, 혹은 뚜껑의 테두리 일부에 절취선을 통해 개봉팁을 형성하여 뚜껑의 회전과 함께 절취선이 손상되어 개봉팁이 떨어져 나가도록 함으로써 용기의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25991호(2007.05.3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과일, 채소, 음식물 등의 각종 식료품을 담아 시중에 판매하는 용기의 개방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타공홀이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타공홀과 마주하며 절취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에는 절취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부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의 일측에는 서로 접촉되는 제1,2날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날개부와 제2날개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타공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절취선을 통해 연결되며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의 일측에는 서로 접촉되는 제1,2날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2날개부에는 절취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부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 본체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는 상기 용기 본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상기 분리부는 전체 또는 일부 구간만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에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덮개 전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는, 용기본체에서 덮개를 분리하기 전에 분리부를 분리하도록 구성하여, 분리부의 분리여부를 통해 용기본체의 개방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용기본체가 덮개에 의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분리부가 덮개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커넥터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분리부가 덮개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용기본체가 덮개에 의해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분리부가 덮개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에서 커넥터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용기본체(10), 덮개(2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10)는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각 가장자리에서 상부를 향해 절곡된 형상을 이루는 측벽부(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0)는 상부에 개구부(10d)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본체(10)의 저장공간에는 음식물이나 과일 등의 상품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10)는 저장하고자 하는 저장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본체(10)는 그 단면 형상이 사각형, 삼각형,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가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용기본체(10)는 가볍고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가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본체(1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본체(10)의 측벽부(12)에는 상기 측벽부(12)의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보강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21)는 상기 저장공간 측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용기를 압진공성형, 진공성형, 사출성형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제조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121)는 상기 측벽부(12)의 일부 구간에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전체 구간에 걸쳐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보강부(121)가 상기 측벽부(12)의 일부 구간에만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보강부(121)는 상기 바닥부(11)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도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덮개(20)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에 형성된 개구부(10d) 측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본체(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20)는 상기 용기본체(10)와 동일하게 가볍고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타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C)를 통해 상기 용기본체(10)에 일체형 연결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넥터(C)는 상기 용기본체(10) 및 덮개(20)와 동일한 재질로 제작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용기(1)는 용기본체(10)와 덮개(20)에 타공홀(10a)과 분리부(22)를 각각 형성하여 용기본체(10)의 개방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공홀(10a)은 상기 용기본체(10)와 덮개(2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22)는 다른 하나에 절취선(20a)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에 타공홀(10a)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22)가 덮개(20)에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때, 덮개(20)가 용기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부(22)와 타공홀(10a)은 서로 마주하는 형태가 되어, 상기 덮개(20)의 상측에서 분리부(22)를 손가락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용기본체(10)의 하측에서 손가락을 타공홀(10a)에 통과시켜 분리부(22)를 상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덮개(2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22)는 그 크기가 타공홀(10a)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어, 도 3과 같이 상기 덮개(20)의 일부분은 타공홀(10a)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분리부(22)가 제거됨으로 인해 덮개(20)에 형성된 홀(20b)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덮개(20)의 저면(21)에 걸친 다음 위로 젖힘으로써, 상기 덮개(20)를 용기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취선(20a)을 분리부(22)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리부(22) 전체가 덮개(2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분리부(22)의 전체 테두리 중 일정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만 절취선(20a)을 형성함으로써, 분리부(22)의 일부분은 상기 덮개(20)에 붙어 있고, 이를 제외한 다른 부분만 상기 덮개(20)에서 분리되는 구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마트 등에서 과일, 채소, 음식물 등의 상품을 담아 판매하기 위한 일회용 용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품을 판매한 이후에 구매자가 교환이나 환불을 요청할 경우, 판매자가 분리부(22)의 분리여부를 통해 용기본체(10)의 개방여부를 확인 가능토록 하여 교환이나 환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용기본체(10)의 내벽면을 따라서는 사용자가 상기 분리부(22)를 통해 덮개(20)를 개방시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안착턱(122)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턱(122)은 용기본체(10)의 개구부(10d)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덮개(20)를 상기 용기본체(10)에 장착하게 되면 용기본체(10)의 저장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안착턱(122)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분리부(22)를 제거한 다음 덮개(20)를 개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상기 제1실시예의 용기와 그 구성에 있어서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분리부(13,22)에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용기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언급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13,22)는 용기본체(10)의 상측과 덮개(20)에 절취선(10b,20a)을 통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분리부(13,22)는 덮개(20)가 용기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형태가 되며, 상기 덮개(20)의 형성된 분리부(22)가 용기본체(10)에 형성된 분리부(22)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20)의 상측 또는 용기본체(10)의 하측에서 분리부(13,22)를 가압하여 상기 덮개(2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리부(13,22)를 용기본체(10)와 덮개(20)에서 분리시킬 경우, 도 3과 같이 용기본체(10)와 덮개(20)에는 홀(10c,20b)이 형성되며, 덮개(20)의 일부분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덮개(20)의 홀(20b)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덮개(20)의 저면(21)에 걸친 다음 위로 젖힘으로써, 상기 덮개(20)를 용기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에 적용된 분리부가 덮개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상기 제1실시예의 용기 및 제2실시예의 용기와 그 구성에 있어서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용기본체(10) 및 덮개(20)에 제1,2날개부(14,2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날개부(14,23)에 타공홀(10a)과 날개부가 각각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용기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언급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10)의 상측 모서리에는 제1날개부(14)가 형성되고, 덮개(20)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1날개부(14)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날개부(2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날개부(14)와 제2날개부(23) 중 어느 하나에는 타공홀(10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분리부(22)가 절취선(20a)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제1날개부(14)에 타공홀(10a)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에 분리부(22)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덮개(20)가 용기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부(22)와 타공홀(10a)은 서로 마주하는 형태가 되어, 상기 덮개(20)의 상측에서 분리부(22)를 손가락으로 가압하거나, 또는 용기본체(10)의 하측에서 손가락을 타공홀(10a)에 통과시킨 다음 분리부(22)를 상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덮개(2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22)는 그 크기가 타공홀(10a)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제작되어, 도 3과 같이 상기 덮개(20)의 일부분은 타공홀(10a)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분리부(22)가 제거됨으로 인해 덮개(20)에 형성된 홀(20b)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덮개(20)의 저면(21)에 걸친 다음 위로 젖힘으로써, 상기 덮개(20)를 용기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상기 제2실시예의 용기와 그 구성에 있어서 많이 다르지는 않지만 분리부(13,22)에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용기의 구성요소를 간단히 언급하고 차이점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용기(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본체(10) 및 상기 용기본체(10)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13,22)는 제1날개부(14)와 제2날개부(23)에 절취선(10b,20a)을 통해 각각 연결된다.
상기 분리부(13,22)는 덮개(20)가 용기본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하는 형태가 되며, 상기 덮개(20)의 형성된 분리부(22)가 용기본체(10)에 형성된 분리부(13)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덮개(20)의 상측 또는 용기본체(10)의 하측에서 분리부(13,22)를 가압하여 상기 용기본체(10) 및 덮개(2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분리부(13,22)를 용기본체(10)와 덮개(20)에서 분리시킬 경우, 도 3과 같이 덮개(20)와 용기본체(10)에는 홀(10c,20b)이 형성되며, 덮개(20)의 일부분이 용기본체(10)의 상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덮개(20)의 홀(20b)에 손가락을 통과시켜 덮개(20)의 저면(21)에 걸친 다음 위로 젖힘으로써, 상기 덮개(20)를 용기본체(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용기 10 : 용기본체
10a : 타공홀 10b,20a : 절취선
10c,20b : 홀 10d : 개구부
11 : 바닥부 12 : 측벽부
121 : 보강부 122 : 안착턱
13,22 : 분리부 14 : 제1날개부
20 : 덮개 21 : 저면
23 : 제2날개부 C : 커넥터

Claims (8)

  1. 삭제
  2.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에는 절취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부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된 용기.
  3. 삭제
  4.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용기 본체 및 상기 용기 본체에 장착 또는 분리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상기 용기 본체와 덮개의 일측에는 서로 접촉되는 제1,2날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날개부에는 절취선을 통해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분리되는 분리부가 서로 마주하는 형태로 형성된 용기.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 본체에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되는 용기.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는 상기 용기 본체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형성된 용기.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전체 또는 일부 구간만 분리되도록 구성된 용기.
  8.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덮개 전체가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이 형성된 용기.
KR1020170025250A 2017-02-27 2017-02-27 용기 KR101779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50A KR101779164B1 (ko) 2017-02-27 2017-02-27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250A KR101779164B1 (ko) 2017-02-27 2017-02-27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9164B1 true KR101779164B1 (ko) 2017-09-15

Family

ID=5992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250A KR101779164B1 (ko) 2017-02-27 2017-02-27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91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3351A (ja) * 2018-11-20 2020-06-04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JP7370637B1 (ja) 2022-08-22 2023-10-30 スミ株式会社 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開蓋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897B2 (ja) * 1997-04-21 2000-08-28 株式会社東芝 沸騰水型原子炉用混合酸化物燃料体の燃料保護容器および燃料輸送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897B2 (ja) * 1997-04-21 2000-08-28 株式会社東芝 沸騰水型原子炉用混合酸化物燃料体の燃料保護容器および燃料輸送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3351A (ja) * 2018-11-20 2020-06-04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JP7370637B1 (ja) 2022-08-22 2023-10-30 スミ株式会社 包装用容器、及び、包装用容器の開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7842B2 (en) Tamper-evident containers
US10494161B2 (en) Tamper evident container
US11697530B2 (en) Tamper evident container
US9132942B2 (en) Tamper-evident container
US8794471B2 (en) Container with improved tamper evident structure
US8944270B2 (en) Container with improved tamper evident structure
US8807385B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US8857642B2 (en) Lightweight fruit and produce packaging container
US10759571B2 (en) Container for produce storage, packing and transport
KR101779164B1 (ko) 용기
CA2966428C (en) Two-piece container lid
US10343824B2 (en) Tamper evident container
JP5653027B2 (ja) 包装用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643761B1 (en) Child-resistant containers
KR100806220B1 (ko) 과일 포장용 박스
KR20170002459U (ko) 개봉이 용이한 일회용 포장용기
KR20090002093U (ko) 양방 모두 딸 수 있는 캔 포장 개선방법
KR101846323B1 (ko) 용기부와 뚜껑부, 판지카드가 일체로 적용되는 블리스터 포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3204197U (ja) 複数容器の包装体
JP3199227U (ja) 収容容器
KR20200001945U (ko) 식품 포장 용기
EP3297929A1 (en) Packaging
GB2480863A (en) Display device
JPH04367435A (ja) 容器
KR20090002092U (ko) 양방 모두 딸 수 있는 캔 포장 개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